KR20200099676A - 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 - Google Patents

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676A
KR20200099676A KR1020190017544A KR20190017544A KR20200099676A KR 20200099676 A KR20200099676 A KR 20200099676A KR 1020190017544 A KR1020190017544 A KR 1020190017544A KR 20190017544 A KR20190017544 A KR 20190017544A KR 20200099676 A KR20200099676 A KR 20200099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terminal
fixing
inse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라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라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라공업
Priority to KR1020190017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676A/en
Publication of KR2020009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6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vehicle sensor terminal, in which an insert assembly consisting of a terminal and a lead wire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s injection-molded by inserting a support unit is into a cavity of a mold,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support unit is aligned and fixed to a receiving groove of a sensor housing, and includes an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together with the support unit. Therefore, the alignment of the terminal ends is simple and accurate, and product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expansion and rupture which may occur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Description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Support assembly for fixing sensor terminals for vehicles {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 단부의 정렬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팽창 및 파열로 인한 제품 파손 및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he alignment of the terminal ends is simple and accurate, as well as preventing product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expansion and rupture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relates to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등록특허 제10-1647169호의 "센서 리드 실링 및 변형 완화" 및 공개특허 제10-2016-0048526호의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등을 포함한 무수히 많은 공지의 기술에서와 같이, 차량에는 다양한 센서류가 터미널과 리드 와이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s in the myriad of known technologies, including “sensor lead sealing and deformation mitigation” of Patent No. 10-1647169 and “speed sensor assembly for vehicl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8526, vehicles have various Sens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erminals and lead wires.

이중 터미널과 리드 와이어의 정렬 및 고정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도 9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In order to align and fix the double terminal and the lead wire, a method as shown in FIG. 9 is generally used.

일반적인 센서 하우징(10)에는 수용홈(11)이 구비되고, 이러한 수용홈(10)에 절연재(21)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20)가 연결된 복수의 터미널(22)들이 안착되는데, 이러한 복수의 터미널(22)들을 일괄 고정하고 안착시키기 위하여 리드 와이어(20)를 감싸는 절연재(21)가 관통되도록 하는 그로밋(40)이 수용홈(11)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A general sensor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1,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22 connected to the lead wire 20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21 are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10. In order to fix and seat the terminals 22 at once, a grommet 40 through which the insulating material 21 surrounding the lead wire 20 passes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이후 도 9(b)와 같이 고정된 복수의 터미널(22)들이 수용된 수용홈(11)에 인서트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키면 센서 하우징(10)의 터미널 어셈블리 제작이 완료된다.Thereafter, when insert injection resin is injec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 in which the plurality of fixed terminals 22 are accommodated as shown in FIG. 9(b) and solidified, the terminal assembly of the sensor housing 10 is completed.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수용홈(11)에 수용된 복수의 터미널(22)들이 용융된 수지를 수용홈(11)에 주입하여 응고되는 과정에서 최초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비틀리는 불상사가 발생하게 되어 추후 커넥터(이하 미도시)와 연결되는데 지장을 초래하는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by injecting the molten resin into the receiving groove 11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22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misalignment or twist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occurs. It is connected to (not shown below), but it is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defects that cause trouble.

또한, 전술한 방법에 의하면 용융된 수지가 수용홈(11)에 주입되고 응고되는 과정에서 수지에 포함되거나 생성되는 기포가 수용홈(11) 주변으로 배출되려 하므로, 복수의 터미널(22)들이 최초 정렬된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휘어지고 뒤틀리는 변형 및 불량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since the molten resin is injec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 and bubbles generated or contained in the resin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are about to be discharged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1, the plurality of terminals 22 are initially Deformation and defects that are shifted, bent, or twisted from the aligned position will inevitably occur.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터미널 단부의 정렬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팽창 및 파열로 인한 제품 파손 및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urgent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enables simple and accurate alignment of the terminal ends, as well as preventing product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expansion and rupture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등록특허 제10-1647169호Registered Patent No. 10-1647169 공개특허 제10-2016-0048526호Publication Patent No. 10-2016-00485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터미널 단부의 정렬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so that alignment of terminal ends can be made simply and accurately.

그리고, 본 발명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팽창 및 파열로 인한 제품 파손 및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so as to prevent product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expansion and rupture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시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절연재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서트 조립체; 및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상기 터미널 각각의 말단부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 및 상기 리드 와이어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서포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sert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and a lead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rting end of the terminal and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support unit that collectively fixes a plurality of the insert assemblies so that the distal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protrude to the same height, and the terminal and the lead wire are align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an be provided.

여기서,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고정된 상기 서포트 유닛이 특정 형상의 캐비티(cavity)가 형성된 금형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에 인서트 사출용 수지가 주입되면,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특정 형상으로 응고된 수지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support unit 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are fixed is put into a mold having a cavity of a specific shape, when insert injection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support unit is solidified into the specific shap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by resin.

이때, 상기 특정 형상은, 센서 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의 일측에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형상이며,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고정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수용홈이 될 형성될 상기 캐비티 내부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pecific shape is a shape including a sensor housing and a receiving groove forming a seating space on one side of the sensor housing, and the support unit to which a plurality of the insert assemblies are fixed is the receiving groove to be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cavity.

한편, 본 발명은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센서 하우징;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시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으로부터 배출 연장되고 절연재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고,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상기 터미널 각각의 말단부가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 및 상기 리드 와이어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서포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housing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ming a seating space; An insert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lead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rt end of the terminal and extending discharged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an end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exposed at the same height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by collectively fixing a plurality of the insert assemblies, and the terminal and the lead wir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pport unit to be aligned by overheating.

여기서,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고정된 상기 서포트 유닛이 상기 수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에 주입된 인서트 사출용 수지의 응고에 의하여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센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are fixed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support unit is fixed to the sensor housing by solidification of the insert injection resin injec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do.

이때, 상기 서포트 유닛은,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각각 좌우 양측에 구획 배치되도록 하는 일면과 타면을 가진 제1 기준 격벽과,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각각의 단자핀을, 상기 센서 하우징의 상면과 평행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 정렬부와,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으로부터 연장 절곡된 연결핀과 연결된 상기 리드 와이어를, 상기 연결핀과 함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핀 각각의 말단부는 상기 제1 정렬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for partitioning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includes terminal pins of each of the terminals. , The first alignment part arranged to b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and the connection pi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extended and bent from the terminal pin. And a second alignment portion for aligning the lead wire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i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 end portion of each of the terminal pins is exposed from the first alignment portion.

그리고,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타단부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 각각의 터미널에 구비된 단자핀의 길이는, 점차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the inserts disposed on on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from an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The length of the terminal pins provided in the terminals of each of the assembli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그리고,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타단부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 각각의 리드 와이어가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높이는,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the inserts disposed on on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from an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 height at which the lead wires of each of the assemblies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may be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또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각각의 상기 연결핀을 상기 제1 정렬부 상에 밀착되게 정렬시키는 제3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lignmen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configured to closely align the connection pins of each of the terminals on the first alignment portion.

아울러,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 각각의 상기 리드 와이어를 일괄 정렬 고정시키는 제1 그로밋(gromme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grommet (grommet) for collectively aligning and fixing the lead wi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한편, 본 발명은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센서 하우징;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시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으로부터 배출 연장되고 절연재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고,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고온 환경에 노출되면, 상기 수용홈에 내장된 상기 인서트 조립체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를 상기 리드 와이어를 따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housing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ming a seating space; An insert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lead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rt end of the terminal and extending discharged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an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expanding around the insert assembly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along the lead wire when the insert assembly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과 함께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고,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상기 터미널 각각의 말단부가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 및 상기 리드 와이어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서포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t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and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exposed at the same height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by collectively fixing a plurality of the insert assemblies, and the terminal And a support unit configur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o align the lead wires.

이때,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 각각의 상기 리드 와이어를 일괄 정렬 고정시키며,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으로부터 에어가 누설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그로밋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lead wi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are collectively aligned and fix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air leakage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is regul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grommet.

그리고,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은, 개방된 상기 수용홈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어 상기 안착 공간과 연통되는 벤트홀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조립체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는 상기 벤트홀을 통하여 상기 리드 와이어측으로 배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includes a finishing piece dispos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opened receiving groove, and a vent hole passing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nished pieces to communicate with the seating space, and around the insert assembly The expanding air of is discharged to the lead wire side through the vent hole.

그리고, 상기 서포트 유닛은,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각각 좌우 양측에 구획 배치되도록 하는 일면과 타면을 가진 제2 기준 격벽과, 상기 제2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각각의 단자핀을, 상기 센서 하우징의 상면과 평행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정렬시키는 제4 정렬부와, 상기 제2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으로부터 연장 절곡된 연결핀과 연결된 상기 리드 와이어를, 상기 연결핀과 함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정렬시키는 제5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핀 각각의 말단부는 상기 제4 정렬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의 일부는 상기 제2 기준 격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for partitioning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includes terminal pins of each of the terminals. , A fourth alignment part arranged to be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and the connection pi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extended and bent from the terminal pin The lead wire,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in, includes a fifth alignment portion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terminal pins are exposed from the fourth alignment portion, and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Part of th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은, 상기 제2 기준 격벽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를 상기 리드 와이어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에어 유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air circulation hole formed to pass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to induce the expansion of air around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to be discharged to the lead wire side. It features.

아울러,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은, 상기 서포트 유닛을 안착 수용시키는 밀착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에 안착 고정되는 기밀 커버와, 상기 기밀 커버의 일측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설치 슬롯과 연통하는 설치 개방부와, 상기 기밀 커버의 개방된 상면에 밀착 마감되어 상기 제2 기준 격벽과 연결되는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고, 상기 기밀 커버와 상기 제2 기준 격벽의 일면 및 타면 사이에 형성된 제1 밀폐 공간과 연통되는 벤트홀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편과 상기 기밀 커버에 의하여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상면이 밀폐되며, 상기 인서트 조립체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는 상기 벤트홀 및 상기 제1 밀폐 공간을 통하여 상기 리드 와이어측으로 배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space for seating and receiving the support unit, an airtight cover seat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cut-out formed in one side of the airtight cover to penetrate into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n installation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formed installation slot, a finishing pie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airtight cover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and at least one that penetrates through the finished piece, the airtight cover and the first 2 It includes 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ealed space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sealed by the finish piece and the airtight cover, and expands around the insert assembly. Air is discharged to the lead wire side through the vent hole and the first sealed spac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터미널과 절연재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로 이루어진 인서트 조립체들을 서포트 유닛이 금형의 캐비티 내에 투입되어 인서트 사출 성형되거나, 전술한 서포트 유닛이 센서 하우징의 수용홈에 정렬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터미널 단부의 정렬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들이 최초에 정렬 고정된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비뚤어지는 등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unit is inserted into a cavity of a mold to insert injection molding, or the above-described support unit is align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ensor hous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misalignment or distortion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from the initial alignment and fixed position, as well as simple and accurate alignment of the terminal ends.

또한, 본 발명은 서포트 유닛과 함께 수용홈에 수용되는 에어배출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인서트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인서트 조립체 주변에서 팽창하는 에어 또는 기포로 인한 제조 과정상 발생할 우려가 있는 팽창 및 파열로 인한 제품 파손 및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까다롭고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cluding an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accommodated in a receiving groove along with a support unit,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air or bubbles that expand around the insert assembly in the process of injecting and solidifying the insert injection resi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duct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expansion and rupture that may occur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ducts with high reliability that can actively meet the demands of demanding and diverse consumers.

특히, 본 발명은 기밀 유지를 하면서도 에어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나 고어택스 섬유와 같은 고가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없이 간단한 합성수지재의 에어배출 유도 유닛으로도 전술한 고가의 재료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닌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ame performance as the above-described expensive materials even with a simple synthetic resin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without the need to use expensive materials such as epoxy resin or high attack fiber used to effectively discharge air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It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price competitiveness in that it can demonstrate

아울러, 본 발명은 에어배출 유도 유닛과 함께 결합되는 제2 그로밋이 오링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기밀 및 수밀 유지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 조립체 주변에서 팽창하는 에어 또는 기포가 오로지 절연재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를 따라서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까지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cond grommet coupled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to function as an O-ring, so that airtightness and watertightness and leakage can be prevented, as well as air or bubbles that expand around the insert assembly only as an insulating materia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hie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discharged only along the lead wire coated wi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포트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포트 유닛에 인서트 조립체를 결합시키고 수용홈에 삽입하기 전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 및 주요부인 서포트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포트 유닛과 에어배출 유도 유닛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내부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도 9는 기존의 센서 하우징에 터미널 및 리드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upport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before the insert assembly is coupled to a support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erted into a receiving groov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ructure of a support unit, which is a main par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combining a support unit and an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a path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xing a terminal and a lead wire to an existing sensor housin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ed to) are intend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text, and the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including (or includ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or reference,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포트 유닛(3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300 that is a main part of the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포트 유닛(300)에 인서트 조립체(200)를 결합시키고 수용홈(110)에 삽입하기 전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s 3 and 4 show the insert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00,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support assembly for fixing the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sequentially.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 및 주요부인 서포트 유닛(3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Meanwhil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ructure of a support unit 300 that is a main part.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포트 유닛(300)과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support unit 300 and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In addition,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내부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In addition,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a path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조립체(200)들을 정렬 고정시키는 서포트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 unit 300 for aligning and fixing the insert assemblies 200 as shown.

우선, 인서트 조립체(200)는, 터미널(210)과, 터미널(210)의 시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절연재(221)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220)를 포함하는 것이다.First, the insert assembly 200 includes a terminal 210 and a lead wire 2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rt end of the terminal 210 and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221.

그리고, 서포트 유닛(300)은 이러한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터미널(210) 각각의 말단부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터미널(210) 및 리드 와이어(220)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300 collectively fixes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so that the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10 protrude to the same he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210 and the lead wire 220 It is prepared to perform the role of aligning by forming rows and colum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센서 하우징(100)에 인서트 조립체(200)들이 서포트 유닛(300)에 의하여 정렬 고정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insert assembly 200 is aligned and fixed to the sensor housing 100 by the support unit 300.

우선,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가 고정된 서포트 유닛(300)이 특정 형상의 캐비티(cavity)가 형성된 금형(이하 미도시)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캐비티에 인서트 사출용 수지가 주입되면, 서포트 유닛(300)은 특정 형상으로 응고된 수지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First, when the support unit 300 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are fixed is put into a mold (not shown below) in which a cavity of a specific shape is formed, and a resin for insert injectio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support unit 300 can be fixed by the resin solidified into a specific shape.

이때, 전술한 특정 형상은, 후술할 센서 하우징(100)과, 센서 하우징(100)의 일측에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110)이 구비된 형상이며,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가 고정된 서포트 유닛(300)은 수용홈(110)이 될 형성될 캐비티 내부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specific shape described above is a shape in which a sensor housing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n accommodation groove 110 forming a seating space on one side of the sensor housing 100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are fixed. The supported unit 300 will be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cavity to be formed to be the receiving groove 110.

한편, 본 발명은 센서 하우징(100)에 인서트 조립체(200)들이 서포트 유닛(300)에 의하여 정렬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apply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the insert assembly 200 is aligned and fixed to the sensor housing 100 by the support unit 300.

우선, 센서 하우징(100)은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110)이 구비된 것이다.First, the sensor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10 forming a seating space.

그리고, 인서트 조립체(200)는 수용홈(110)에 수용되는 터미널(210)과, 터미널(210)의 시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용홈(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배출 연장되고 절연재(221)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220)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sert assembly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the start end of the terminal 210 to be discharged and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the insulating material 221 It includes a lead wire 220 coated with.

또한, 서포트 유닛(300)은 수용홈(110)에 내장되고,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터미널(210) 각각의 말단부가 수용홈(110)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노출됨과 동시에, 터미널(210) 및 리드 와이어(220)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300 is built in the receiving groove 110, by fixing a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at once,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10 have the same height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While exposed to, the terminal 210 and the lead wire 220 form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o be alig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우선, 리드 와이어(220)는 터미널(210)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First, the lead wire 220 may be connected in a direction crossing or orthogonal to the terminal 210.

리드 와이어(220)는 터미널(210)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후술할 단자핀(212)들의 수용홈(110) 바닥면(111)에 대한 수직 정렬의 측면에서 유리하다.The lead wire 220 is more preferably conn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210 in terms of vertical alignment of the terminal pins 212 with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터미널(210)은, 절연재(221)로부터 노출된 리드 와이어(220)의 말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된 연결핀(2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210 may include a connection pin 211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lead wire 220 exposed from the insulating material 221.

이러한 연결핀(211)의 말단부로부터 단자핀(212)이 연장 절곡된다.The terminal pin 212 is extended and bent from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on pin 211.

그리고, 연결핀(211)의 시작단부로부터 제1 클램프(213)가 연장되고, 제1 클램프(213)에 의하여 절연재(221)로부터 일정 길이로 노출된 리드 와이어(220)의 말단부가 클램핑된다.In addition, the first clamp 213 extends from the start end of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end portion of the lead wire 220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sulating material 221 is clamped by the first clamp 213.

또한, 제1 클램프(213)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편(214, 이하 도 3 참조)이 연장된다.In addition, an extension piece 214 (see FIG. 3 below) extends from one edge of the first clamp 213.

아울러, 연장편(214)의 말단부로부터 제2 클램프(215)가 연장되어 절연재(221)의 외주면을 클램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lamp 215 extends from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piece 214 to clamp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221.

이러한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가 고정된 서포트 유닛(300)이 수용홈(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용홈(110)에 주입된 인서트 사출용 수지(이하 미도시)의 응고에 의하여 서포트 유닛(300)은 센서 하우징(100)에 고정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300 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are fixed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the insert injection resin (not shown below) injec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is supported by solidification. The unit 300 is fixed to the sensor housing 100.

한편, 서포트 유닛(300)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제1 기준 격벽(310)과 제1 정렬부(320)와 제2 정렬부(3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when looking at with reference to FIG. 2, the support unit 300 may be largely identified as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 first alignment unit 320, and a second alignment unit 330.

우선, 제1 기준 격벽(310)은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를 각각 좌우 양측에 구획 배치되도록 하는 일면(311)과 타면(312)을 가진 것이다.First,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310 has one surface 311 and the other surface 312 that allow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to be partition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그리고, 제1 정렬부(320)는 제1 기준 격벽(310)의 일측에 형성되고, 터미널(210) 각각의 단자핀(212)을, 센서 하우징(100)의 상면과 평행한 수용홈(110)의 바닥면(111, 이하 도 1 참조)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정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lignment part 3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310, and the terminal pins 212 of each of the terminals 210 ar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10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100. ) Is provided to perform a role of align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11 (see FIG. 1 below).

아울러, 제2 정렬부(330)는 제1 기준 격벽(3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단자핀(212)으로부터 연장 절곡된 연결핀(211)과 연결된 리드 와이어(220)를, 연결핀(211)과 함께, 수용홈(110)의 바닥면(111)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정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alignment part 3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connects the lead wire 2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211 extended and bent from the terminal pin 212, the connection pin 211 ), and is provided to perform a role of aligning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따라서, 단자핀(212) 각각의 말단부는 제1 정렬부(320)로부터 노출된다.Accordingly,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terminal pins 212 are exposed from the first alignment portion 320.

한편, 수용홈(110)의 바닥면(111)에 대하여 수직한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단부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 또는 타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들 각각의 터미널(210)에 구비된 단자핀(212)의 길이는, 점차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toward the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The length of the terminal pin 212 provided on the terminals 21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disposed on the one side 311 or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becomes longer or shorter.

또한, 수용홈(110)의 바닥면(111)에 대하여 수직한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단부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 또는 타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들 각각의 리드 와이어(220)가 수용홈(110)의 바닥면(1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높이는,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from the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toward the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The height at which the lead wire 22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disposed on one surface 311 or the oth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s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

아울러, 서포트 유닛(300)은, 제1 기준 격벽(310)의 일측에 형성되고, 터미널(210) 각각의 연결핀(211)을 제1 정렬부(320) 상에 밀착되게 정렬시키는 제3 정렬부(3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a third alignment for aligning the connection pins 211 of each of the terminals 210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lignment part 320 A unit 340 may be further provided.

제1 정렬부(320)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제1 일측 블록(321)과 제1 일측 관통홀(321h)과 제1 타측 블록(322)과 제1 타측 관통홀(322h)과 제2 일측 블록(323)과 제2 일측 관통홀(323h)과 제2 타측 블록(324)과 제2 타측 관통홀(324h)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with respect to the first alignment part 320, the first one side block 321, the first one side through hole 321h, the first other side block 322 and the first other side through hole (322h), the second one-side block 323, the second one-side through-hole 323h, the second second-side block 324 and the second second through-hole 324h may be applied. .

우선, 제1 일측 블록(321)은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으로부터 돌출되고, 단자핀(212)이 삽입되는 제1 일측 삽입면(321a)과, 단자핀(212)의 말단부가 노출되는 제1 일측 노출면(321b)을 가지는 것이다.First, the first one side block 321 is formed on one end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protrudes from one surface 311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the first one side into which the terminal pin 212 is inserted. It has an insertion surface 321a and a first exposed surface 321b on which the distal end of the terminal pin 212 is exposed.

그리고, 제1 일측 관통홀(321h)은 제1 일측 삽입면(321a) 및 제1 일측 노출면(321b)과 동시에 직교되도록 제1 일측 블록(321)에 관통 형성되어 단자핀(212)이 관통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one side through hole 321h is formed through the first one side block 321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one side insertion surface 321a and the first one side exposed surface 321b so that the terminal pin 212 penetrates It is provided to provide a path to be inserted.

그리고, 제1 타측 블록(322)은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일측 블록(321)과 연결 형성되며, 단자핀(212)이 삽입되는 제1 타측 삽입면(322a)과, 단자핀(212)의 말단부가 노출되는 제1 타측 노출면(322b)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other block 322 is formed on one end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one block 321, It has a first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2a into which the terminal pin 212 is inserted, and a first other side exposed surface 322b through which an end portion of the terminal pin 212 is exposed.

그리고, 제1 타측 관통홀(322h)은 제1 타측 삽입면(322a) 및 제1 타측 노출면(322b)과 동시에 직교되도록 제1 타측 블록(322)에 관통 형성되어 단자핀(212)이 관통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Further, the first other side through hole 322h is formed through the first other side block 322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2a and the first other side exposed surface 322b so that the terminal pin 212 penetrates It is provided to provide a path to be inserted.

그리고, 제2 일측 블록(323)은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일측 노출면(321b)과 같은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일측 노출면(323b)과, 제2 일측 노출면(323b)과 반대쪽에 형성되고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과 하나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제2 일측 삽입면(323a)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ne-side block 323 protrudes from one surface 311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one-side exposed surface 321b, and It has a second one side insertion surface 323a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one side exposed surface 323b and sharing one side 311 and one corner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그리고, 제2 일측 관통홀(323h)은 제2 일측 삽입면(323a) 및 제2 일측 노출면(323b)과 동시에 직교되도록 제2 일측 블록(323)에 관통 형성되어 단자핀(212)이 관통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ne side through hole 323h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one side block 323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second one side insertion surface 323a and the second one side exposed surface 323b so that the terminal pin 212 penetrates It is provided to provide a path to be inserted.

또한, 제2 타측 블록(324)은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타측 노출면(322b)과 같은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타측 노출면(324b)과, 제2 타측 노출면(324b)과 반대쪽에 형성되고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과 하나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제2 타측 삽입면(324a)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ther side block 324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other side exposed surface 322b, and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xposed surface 324b and has a second insertion surface 324a that shares one corner with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310.

아울러, 제2 타측 관통홀(324h)은 제2 타측 삽입면(324a) 및 제2 타측 노출면(324b)과 동시에 직교되도록 제2 타측 블록(324)에 관통 형성되어 단자핀(212)이 관통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ther side through hole 324h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other side block 324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second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4a and the second other side exposed surface 324b to penetrate the terminal pin 212 It is provided to provide a path to be inserted.

여기서, 제1 일측 관통홀(321h) 및 제1 타측 관통홀(322h)이 관통 형성된 길이는, 제2 일측 관통홀(323h) 및 제2 타측 관통홀(324h)이 관통 형성된 길이보다 커야 할 것이다.Here, the length through which the first one through hole 321h and the first through hole 322h are formed should be greater than the length through which the second through hole 323h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4h are formed. .

이때, 후술할 제2 정렬부(330)는 각각, 제1 일측 삽입면(321a) 및 제1 타측 삽입면(322a)과, 제2 일측 삽입면(323a) 및 제2 타측 삽입면(324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면을 가지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alignment unit 330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s a first one side insertion surface 321a and a first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2a, a second one side insertion surface 323a and the second second side insertion surface 324a, respectively. And, it will have a surface that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또한, 제3 정렬부(340)는 각각, 제1 일측 삽입면(321a) 및 제1 타측 삽입면(322a)과, 제2 일측 삽입면(323a) 및 제2 타측 삽입면(324a)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마주보는 면을 가지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alignment unit 340 includes a first one side insertion surface 321a and a first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2a, a second one side insertion surface 323a and the second second side insertion surface 324a, respectively, It will have a side facing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이러한 제2 정렬부(330)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제1 일측 리브(331)와 제1 일측 대향 리브(332)와 제1 타측 리브(333)와 제1 타측 대향 리브(334)와 제2 일측 리브(335)와 제2 타측 리브(336)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second alignment part 330 is also largely a first one side rib 331 and a first one side opposite rib 332 and the first other side rib 333 and the first other side opposite rib.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cluding 334 and a second rib 335 and the other rib 336 may be applied.

우선, 제1 일측 리브(331)는 제1 일측 블록(321)과 이격하여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일측 블록(321)에 관통 삽입된 단자핀(2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의 외면을 마주보며 제1 일측 삽입면(321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 일측 정렬면(331a)을 가지는 것이다.First, the first one rib 33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ne block 321, protrudes from the one surface 311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one block 321 ( It has a first one-side alignment surface 331a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one-side insertion surface 321a whil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bent and extended from 212).

그리고, 제1 일측 대향 리브(332)는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으로부터 돌출되고,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의 외면이 거치되거나 마주보도록 제1 일측 정렬면(331a)과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one-side opposing rib 332 protrudes from one surface 311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the first one-side alignment surface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is mounted or faced. It has a side facing (331a).

그리고, 제1 타측 리브(333)는 제1 타측 블록(322)과 이격하여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타측 블록(322)에 관통 삽입된 단자핀(2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의 외면을 마주보며 제1 타측 삽입면(322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 타측 정렬면(333a)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other side rib 33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ther side block 322 and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310, and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other side block 322 ( It has a first other side alignment surface 333a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2a whil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bent and extended from 212).

그리고, 제1 타측 대향 리브(334)는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으로부터 돌출되고,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의 외면이 거치되거나 마주보도록 제1 타측 정렬면(333a)과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other opposite rib 334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the first other side alignment surface so that the out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are mounted or faced. It has a side facing (333a).

또한, 제2 일측 리브(335)는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일측 블록(32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2 일측 블록(323)에 관통 삽입된 단자핀(2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의 외면을 마주보며 제2 일측 삽입면(323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일측 정렬면(335a)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ne-side rib 335 protrudes from one surface 311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extends from the second one-side block 323, and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one-side block 323 It has a second one-side alignment surface 335a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one-side insertion surface 323a and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bent and extended from 212.

아울러, 제2 타측 리브(336)는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타측 블록(324)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2 타측 블록(324)에 관통 삽입된 단자핀(2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의 외면을 마주보며 제2 타측 삽입면(324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타측 정렬면(336a)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second rib 336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extends from the second second block 324, and is inserted through the other second block 324 It has a second alignment surface 336a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insertion surface 324a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bent and extended from 212.

따라서, 제1 일측 블록(321)에 관통 삽입된 단자핀(2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는, 도 3과 같이 제1 일측 리브(331)와 제1 일측 대향 리브(332) 사이에서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에 밀착 또는 근접되어 정렬된다.Accordingly,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bent and extended from the terminal pin 212 inserted through the first one block 321 ar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one rib 331 and the first one Between the opposing ribs 332, they are aligned in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urface 311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그리고, 제1 타측 블록(322)에 관통 삽입된 단자핀(2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는, 도 3과 같이 제1 타측 리브(333)와 제1 타측 대향 리브(334) 사이에서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에 밀착 또는 근접되어 정렬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bent and extended from the terminal pin 212 inserted through the first other side block 322 ar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other side rib 333 and the first other side The opposite ribs 334 are in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and are aligned.

또한, 제2 일측 블록(323)에 관통 삽입된 단자핀(2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는, 도 3과 같이 제2 일측 리브(335)와 제1 일측 리브(331) 사이에서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에 밀착 또는 근접되어 정렬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bent and extended from the terminal pin 212 inserted through the second block 323 ar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one rib 335 and the first one The ribs 331 are aligned in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urface 311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아울러, 제2 타측 블록(324)에 관통 삽입된 단자핀(2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연결핀(211) 및 리드 와이어(220)는, 도 3과 같이 제2 타측 리브(336)와 제1 타측 리브(333) 사이에서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에 밀착 또는 근접되어 정렬될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211 and the lead wire 220 bent and extended from the terminal pin 212 inserted through the second other block 324 ar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rib 336 and the first other side. The ribs 333 may be aligned in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이때, 후술할 제3 정렬부(340)의 일부는, 제1 일측 리브(331) 및 제1 타측 리브(333)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a part of the third alignment portion 340 to be described later extends from the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rib 331 and the other rib 333.

이러한 제3 정렬부(340)도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일측 규제 돌편(341)과 제1 타측 규제 돌편(342)과 제2 일측 규제 돌편(343)과 제2 타측 규제 돌편(344)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he third alignment part 340 also includes a first one-side regulation stone piece 341 and a first other side regulation stone piece 342, a second one-side regulation stone piece 343 and a second second side regulation.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cluding the stone piece 344 may be applied.

우선, 제1 일측 규제 돌편(341)은 제1 일측 삽입면(321a)과 마주보는 면을 가지며,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First, the first one side regulation protrusion 341 has a surface facing the first one side insertion surface 321a and protrudes from one surface 311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310.

그리고, 제1 타측 규제 돌편(342)은 제1 타측 삽입면(322a)과 마주보는 면을 가지며,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other side regulation protrusion 342 has a surface facing the first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2a and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310.

또한, 제2 일측 규제 돌편(343)은 제2 일측 삽입면(323a)과 마주보는 면을 가지며, 제1 일측 리브(331)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2 일측 삽입면(323a)측을 향하여 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311)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ne-side regulation protrusion 343 has a surface facing the second one-side insertion surface 323a, and the second one-side insertion surface 323a side from the edge of the first one-sided rib 331 1 It protrudes from one surface 311 of the reference partition 310.

아울러, 제2 타측 규제 돌편(344)은 제2 타측 삽입면(324a)과 마주보는 면을 가지며, 제1 타측 리브(333)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2 타측 삽입면(324a)측을 향하여 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312)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ther-side regulation protrusion 344 has a surface facing the second other-side insertion surface 324a, and from the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other-side rib 333 toward the second other-side insertion surface 324a. 1 It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312 of the reference partition 310.

전술한 제3 정렬부(340)는 각 인서트 조립체(200)의 연결핀(211)들 및 연결핀(211)들 각각과 연결된 리드 와이어(220)의 말단부가 들뜨는 것을 눌러 잡아주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hird alignment part 340 is used to hold the connection pins 211 of each insert assembly 200 and the end portions of the lead wire 220 connected to each of the connection pins 211 to hold the lifted Can be.

여기서, 제1 일측 규제 돌편(341) 및 제1 타측 규제 돌편(342)과 함께, 제1 일측 대향 리브(332) 및 제1 타측 대향 리브(334)는 센서 하우징(100)의 수용홈(110)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인접하는 서포트 유닛(300)의 바닥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Here, together with the first one-side regulation protrusion 341 and the first other-side regulation protrusion 342, the first one-side opposing rib 332 and the first other-side opposing rib 334 are receiving grooves 110 of the sensor housing 100. ) It is seated on the floor or serves as a floo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300 adjacent to it.

따라서, 터미널(210) 및 리드 와이어(220) 각각을 도 3과 같이 정렬하고 난 다음에는 도 4의 곡선 화살표 방향과 같이 서포트 유닛(300)을 뒤집어 수용홈(110)에 안착시키는 것이다.Therefore, after aligning each of the terminals 210 and the lead wire 220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unit 300 is turned over and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as shown in the curved arrow direction of FIG. 4.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용홈(1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 각각의 리드 와이어(220)를 일괄 정렬 고정시키는 제1 그로밋(410, grommet)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grommet (410, grommet) may be further provided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collectively aligns and fixes the lead wires 22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will be.

한편,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수용홈(110)에 내장되고, 인서트 조립체(200)가 고온 환경에 노출되면, 수용홈(110)에 내장된 인서트 조립체(200)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를 리드 와이어(220)를 따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S. 5 to 8, and when the insert assembly 200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insert assembly 200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expands around th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cluding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for discharging air along the lead wire 220 may be applied.

여기서, 서포트 유닛(300)은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과 함께 수용홈(110)에 내장되고,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터미널(210) 각각의 말단부가 수용홈(110)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노출됨과 동시에, 터미널(210) 및 리드 와이어(220)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할 것이다.Here, the support unit 300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and collectively fixes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so that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10 is the receiving groove (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210 and the lead wire 220 are exposed to the same height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110), and the terminal 210 and the lead wire 220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우선, 서포트 유닛(300)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제2 기준 격벽(350)과 제4 정렬부(3600 및 제5 정렬부(37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First, the support unit 300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and a fourth alignment unit 3600 and a fifth alignment unit 370 largely when looking with reference to FIG. 5. .

우선, 제2 기준 격벽(350)은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를 각각 좌우 양측에 구획 배치되도록 하는 일면과 타면을 가진 것이다.First,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ha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are partition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그리고, 제4 정렬부(360)는 제2 기준 격벽(350)의 일측에 형성되고, 터미널(210) 각각의 단자핀(212)을, 센서 하우징(100)의 상면과 평행한 수용홈(110)의 바닥면(111)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정렬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urth alignment part 3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and the terminal pins 212 of each of the terminals 210 ar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10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100. ) To be align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11.

또한, 제5 정렬부(370)는 제2 기준 격벽(350)의 일측에 형성되고, 단자핀(212)으로부터 연장 절곡된 연결핀(211)과 연결된 리드 와이어(220)를, 연결핀(211)과 함께, 수용홈(110)의 바닥면(111)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정렬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fth alignment part 3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and connects the lead wire 2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211 extended and bent from the terminal pin 212, and the connection pin 211 ) And to be align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따라서, 단자핀(212) 각각의 말단부는 제4 정렬부(360)로부터 노출되고, 후술할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의 일부는 제2 기준 격벽(350)에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distal ends of each of the terminal pins 212 are exposed from the fourth alignment part 360, and a part of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n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용홈(1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 각각의 리드 와이어(220)를 일괄 정렬 고정시키며,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에 밀착되어 수용홈(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에어가 누설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그로밋(42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collectively aligned and fixed the lead wires 22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to accommodate the groove A second grommet 420 for restricting air leakage from one side of the 110 may be further provided.

즉, 제2 그로밋(420)은 인서트 조립체(200)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가 전부 리드 와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연재(221) 내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수용홈(11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설치 슬롯(112)에 끼움 결합되어 기밀 및 수밀 유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오링으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That is, the second grommet 420 is on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so that all of the air expanding around the insert assembly 200 is discharged through the inside of the insulating material 221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ad wire 220. It is provided to act as an O-ring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maintaining airtightness and watertightness by being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slot 112 formed through the side.

이러한 제2 그로밋(420)은, 도 7과 같이 크게 기밀 몸체(421)와 결합홈(422)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cond grommet 420 may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cluding a large airtight body 421 and a coupling groove 422 as shown in FIG. 7.

우선, 기밀 몸체(421)는 수용홈(11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설치 슬롯(112)의 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설치 슬롯(112)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다.First, the airtight body 421 has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installation slot 112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is formed in a shape gradually widening toward the side of the installation slot 112 to prevent elastic deformation. To allow.

아울러, 결합홈(422)은 기밀 몸체(421)의 외측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설치 슬롯(112)의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422 is recess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airtight body 421 so that the edge of the installation slot 112 is fitted.

따라서, 기밀 몸체(421)에서 결합홈(422)이 형성된 부분의 단면적을 이루는 폭과 길이는, 확실한 기밀 및 수밀 유지가 가능하도록, 설치 슬롯(112)의 폭과 길이보다 각각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and length constitu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422 is formed in the hermetic body 421 are larger tha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installation slot 112, respectively, so as to maintain reliable airtightness and watertightness .

한편, 제2 그로밋(420)은,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과 함께 수용홈(110)에 내장되어 복수의 터미널(210) 각각의 말단부가 수용홈(110)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노출됨과 동시에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서포트 유닛(30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기밀면(42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rommet 420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so that the distal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10 have the same height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airtight surface 423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300 that is exposed and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한편,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개방된 수용홈(1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마감편(510)과, 마감편(5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어 안착 공간과 연통되는 벤트홀(511)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the finishing piece 510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receiv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at least one penetrating through the finished piece 510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cluding a vent hole 511 communicating with the seating space may be applied.

따라서, 인서트 조립체(200)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는 벤트홀(511)을 통하여 리드 와이어(220)측으로 배출 유도될 것이다.Accordingly, the air expanding around the insert assembly 200 will be discharged to the lead wire 220 through the vent hole 511.

마감편(510)은 후술할 서포트 유닛(300)의 제2 기준 격벽(350)과 직교되게 연결 형성되며,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 각각의 터미널(210) 말단부, 즉 단자핀(212) 각각의 말단부는 마감편(510)을 통하여 노출되는 것도 도 5 내지 도 8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The finishing piece 510 is formed to be connected orthogonally to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of the support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erminal 21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that is, the terminal pins 212, respectively It can also be seen through Figures 5 to 8 that the distal end of the is exposed through the finished piece 510.

또한,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은, 도 7과 같이 제2 기준 격벽(350)의 일면(351) 및 타면(352)을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를 리드 와이어(220)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에어 유통홀(520)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t least on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one surface 351 and the other surface 352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to expand around a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It may include an air circulation hole 520 for inducing the discharge of air to the lead wire 220 side.

한편,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은,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포트 유닛(300)을 안착 수용시키는 밀착 공간(531)이 구비되며, 수용홈(110)에 안착 고정되는 기밀 커버(530)와, 기밀 커버(530)의 일측에 절개 형성되어 수용홈(11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설치 슬롯(112)과 연통하는 설치 개방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looking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space 531 for seating and accommodating the support unit 300, and is seat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It may include a cover 530 and an installation opening 532 communicating with an installation slot 112 which is cut off at one side of the airtight cover 530 and penetrated through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여기서, 벤트홀(511)은 마감편(5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고, 기밀 커버(530)와 제2 기준 격벽(350)의 일면(351) 및 타면(352) 사이에 형성된 제1 밀폐 공간(541)과 연통되어 도 8과 같이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에어 벤트의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vent hole 511 penetrates at least one of the finished piece 510, and the first enclosed space formed between the airtight cover 530 and one surface 351 and the other surface 352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It communicates with 541 and can be used as a passage for an air vent indicated by a dotted arrow as shown in FIG. 8.

이러한 마감편(510)과 기밀 커버(530)에 의하여 수용홈(110)의 개방된 상면이 밀폐되며, 인서트 조립체(200)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는 벤트홀(511) 및 제1 밀폐 공간(541)을 통하여 리드 와이어(220)측으로 배출 유도되는 것이다.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s sealed by the closing piece 510 and the airtight cover 530, and the air expanding around the insert assembly 200 is the vent hole 511 and the first sealed space 541 ) Through the lead wire 220 is induced to be discharged.

즉, 서포트 유닛(300)이 안착된 기밀 커버(530)를 수용홈(110)에 안착시킴으로써, 서포트 유닛(300)의 제2 기준 격벽(350)에 연결된 마감편(510)과 기밀 커버(530)의 개방된 상면 가장자리에 의하여, 수용홈(110)의 개방된 상면 또한 완벽하게 밀착 마감될 것이다.That is, by mounting the airtight cover 530 on which the support unit 30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the finished piece 510 and the airtight cover 530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350 of the support unit 300 ) By the edge of the open top surface, the open top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will also be completely closed in close contact.

이후, 인서트 사출용 수지를 수용홈(110) 등에 주입하고, 그 위에 캡 부재(600)를 고정시켜 센서 하우징(100)의 상면을 마감한 후, 센서 하우징(100)이 고온 환경에 노출될 경우 인서트 조립체(200) 주변에서 팽창하는 에어로 인하여 제1 밀폐 공간(541)과 캡 부재(600) 내부에 형성된 제2 밀폐 공간(542) 내부의 에어 또한 팽창하게 되면서 캡 부재(600) 하부에 주입되었던 인서트 사출용 수지가 파열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Thereafter, when the insert injection resin is injec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the cap member 600 is fixed thereon to finish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100, and the sensor housing 100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Due to the air expanding around the insert assembly 200, the air in the first sealed space 541 and the second sealed space 542 formed in the cap member 600 also expands, which was injec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member 600. There is a risk of the problem of rupture of the insert injection resin.

이때, 이러한 팽창하는 에어는 도 8과 같이 전술한 제2 그로밋(420)의 기밀면(423)과 기밀 커버(530)에 의하여 밀봉된 제1 밀폐 공간(541)에서 벤트홀(511) 및 에어 유통홀(520)을 통하여 전부 절연재(221)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출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xpanding air is vent hole 511 and air in the first sealed space 541 sealed by the hermetic surface 423 of the second grommet 420 and the hermetic cover 53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by being dischar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ad wire 220 that is entirely covered with the insulating material 221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52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은 터미널(210)과 절연재(221)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220)로 이루어진 인서트 조립체(200)들을 서포트 유닛(300)이 센서 하우징(100)의 수용홈(110)에 정렬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터미널(210) 단부의 정렬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복수의 인서트 조립체(200)들이 최초에 정렬 고정된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비뚤어지는 등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assembly 200 consisting of the terminal 210 and the lead wire 220 covered with the insulating material 221 is align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sensor housing 100 By adopting a structure that allows the terminal 210 to be aligned simply and accurat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misalignment or distortion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200 from the initial alignment and fixed position. Will be.

또한, 본 발명은 서포트 유닛(300)과 함께 수용홈(110)에 수용되는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을 포함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인서트 사출용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인서트 조립체(200) 주변에서 팽창하는 에어 또는 기포로 인한 제조 과정상 발생할 우려가 있는 팽창 및 파열로 인한 제품 파손 및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까다롭고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cluding an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together with the support unit 300, so that the insert assembly 200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by injecting a resin for insert injection. )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duct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expansion and rupture that may occu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air or bubbles expanding around it, it is highly reliable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the demands of demanding and diverse consumers. The provision of products becomes possible.

특히, 본 발명은 기밀 유지를 하면서도 에어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나 고어택스 섬유와 같은 고가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없이 간단한 합성수지재의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으로도 전술한 고가의 재료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닌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ynthetic resin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without the need to use expensive materials such as epoxy resin or high attack fiber used to effectively discharge air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It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price competitiveness in that it can exhibit the same performance as

아울러, 본 발명은 에어배출 유도 유닛(500)과 함께 결합되는 제2 그로밋(420)이 오링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기밀 및 수밀 유지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 조립체(200) 주변에서 팽창하는 에어 또는 기포가 오로지 절연재(221)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220)를 따라서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까지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leakage and maintain airtightness and watertightness by allowing the second grommet 420 coupled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500 to function as an O-ring, as well as around the insert assembly 20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hieve the effect of allowing air or bubbles to be expanded in the discharged only along the lead wire 220 covered with the insulating material 22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터미널 단부의 정렬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팽창 및 파열로 인한 제품 파손 및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so that the alignment of the terminal ends is simple and accurate, as well as product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expansion and rupture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can be seen that providing is the basic technical idea.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also possibl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센서 하우징
110...수용홈
111...수용홈(110)의 바닥면
112...설치 슬롯
200...인서트 조립체
210...터미널
211...연결핀
212...단자핀
213...제1 클램프
214...연장편
215...제2 클램프
220...리드 와이어
221....절연재
300...서포트 유닛
310...제1 기준 격벽
311...제1 기준 격벽(310)의 일면
312...제1 기준 격벽(310)의 타면
320...제1 정렬부
321...제1 일측 블록
321a...제1 일측 삽입면
321b...제1 일측 노출면
321h...제1 일측 관통홀
322...제1 타측 블록
322a...제1 타측 삽입면
322b...제1 타측 노출면
322h...제1 타측 관통홀
323...제2 일측 블록
323a...제2 일측 삽입면
323b...제2 일측 노출면
323h...제2 일측 관통홀
324...제2 타측 블록
324a...제2 타측 삽입면
324b...제2 타측 노출면
324h...제2 타측 관통홀
330...제2 정렬부
331...제1 일측 리브
331a...제1 일측 정렬면
332...제1 일측 대향 리브
333...제1 타측 리브
333a...제1 타측 정렬면
334...제1 타측 대향 리브
335...제2 일측 리브
335a...제2 일측 정렬면
336...제2 타측 리브
336a...제2 타측 정렬면
340...제3 정렬부
341...제1 일측 규제 돌편
342...제1 타측 규제 돌편
343...제2 일측 규제 돌편
344...제2 타측 규제 돌편
350...제2 기준 격벽
351...제2 기준 격벽(350)의 일면
352...제2 기준 격벽(350)의 타면
360...제4 정렬부
370...제5 정렬부
410...제1 그로밋
420...제2 그로밋
421...기밀 몸체
422...결합홈
423...기밀면
500...에어배출 유도 유닛
510...마감편
511...벤트홀
520...에어 유통홀
530...기밀 커버
531...밀착 공간
532...설치 개방부
541...제1 밀폐 공간
542...제2 밀폐 공간
600...캡 부재
100... sensor housing
110...receiving groove
111...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112...installation slot
200... insert assembly
210...terminal
211...connection pin
212...terminal pin
213...first clamp
214... extension
215...second clamp
220...lead wire
221....insulation material
300... support unit
310... first standard bulkhead
311...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bulkhead 310
312...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bulkhead 310
320...first alignment
321...1st side block
321a...first side insertion side
321b... first exposed side
321h...1st side through hole
322...1st other side block
322a...1st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2b... exposed surface on the other side
322h...1st other side through hole
323...2nd side block
323a...2nd side insertion side
323b...2nd side exposed side
323h...2nd side through hole
324...2nd other side block
324a...2nd other side insertion surface
324b...2nd exposed side
324h...2nd through hole on the other side
330... second alignment
331...first one rib
331a...first one side alignment surface
332...first one opposite rib
333...1st other rib
333a...first other alignment surface
334... 1st opposite rib
335...2nd side rib
335a... second side alignment surface
336...2nd other rib
336a...2nd other alignment surface
340...3rd alignment
341...1st side regulatory stone
342...1st other side regulatory stone
343...2nd side regulatory stone
344...2nd other side regulation stone
350...2nd standard bulkhead
351...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bulkhead 350
352...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bulkhead 350
360...4th alignment
370...5th alignment
410...first grommet
420...second grommet
421... hermetic body
422... mating groove
423...confidential
500...air emission induction unit
510...final service
511...Bent hole
520...air distribution hall
530...tight cover
531...closed space
532... mounting opening
541...first confined space
542...second confined space
600... no cap

Claims (17)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시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절연재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서트 조립체; 및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상기 터미널 각각의 말단부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 및 상기 리드 와이어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서포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An insert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and a lead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rt end of the terminal and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unit that collectively fixes a plurality of the insert assemblies so that the distal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protrude to the same height, and the terminal and the lead wire are align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Support assembly for fixing vehicle sensor terminals.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고정된 상기 서포트 유닛이 특정 형상의 캐비티(cavity)가 형성된 금형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에 인서트 사출용 수지가 주입되면,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특정 형상으로 응고된 수지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upport unit 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are fixed is put into a mold having a cavity of a specific shape, when insert injection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support unit is added to the resin solidified in the specific shape.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y means of.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특정 형상은,
센서 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의 일측에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형상이며,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고정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수용홈이 될 형성될 상기 캐비티 내부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pecific shape,
A sensor housing and a receiving groove forming a seating space on one side of the sensor housing are provided,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wherein the support unit 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are fixed is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cavity to be formed to be the receiving groove.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센서 하우징;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시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으로부터 배출 연장되고 절연재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고,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상기 터미널 각각의 말단부가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 및 상기 리드 와이어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서포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A sensor housing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ming a seating space;
An insert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lead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rt end of the terminal and extending discharged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It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are collectively fixed so that the distal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exposed at the same height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terminal and the lead wire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ows.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omprising: a support unit configured to form a row to be aligned.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고정된 상기 서포트 유닛이 상기 수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에 주입된 인서트 사출용 수지의 응고에 의하여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센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unit is fixed to the sensor housing by solidification of the insert injection resin injec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while the support unit 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are fixed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Support assembly for fixing the sensor termi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각각 좌우 양측에 구획 배치되도록 하는 일면과 타면을 가진 제1 기준 격벽과,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각각의 단자핀을, 상기 센서 하우징의 상면과 평행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 정렬부와,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으로부터 연장 절곡된 연결핀과 연결된 상기 리드 와이어를, 상기 연결핀과 함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핀 각각의 말단부는 상기 제1 정렬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unit,
A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or partitioning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 first alignmen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aligning the terminal pins of each of the terminal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A second alignment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configured to align the lead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extended and bent from the terminal pi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in And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terminal pins are exposed from the first alignment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타단부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 각각의 터미널에 구비된 단자핀의 길이는, 점차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dispos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from an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terminal pin provided in each terminal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타단부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 각각의 리드 와이어가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높이는,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dispos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from an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t which each lead wir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제1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각각의 상기 연결핀을 상기 제1 정렬부 상에 밀착되게 정렬시키는 제3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unit,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third alignment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configured to closely align the connection pins of each of the terminals on the first alignment uni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 각각의 상기 리드 와이어를 일괄 정렬 고정시키는 제1 그로밋(gromme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irst grommet fix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collectively aligning and fixing the lead wi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센서 하우징;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시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으로부터 배출 연장되고 절연재로 피복된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고,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고온 환경에 노출되면, 상기 수용홈에 내장된 상기 인서트 조립체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를 상기 리드 와이어를 따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A sensor housing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ming a seating space;
An insert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lead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rt end of the terminal and extending discharged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It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sert assembly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comprising an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for discharging the expanding air around the insert assembly built in the receiving groove along the lead wire Support assembly for fixing vehicle sensor terminal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과 함께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고,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들을 일괄 고정하여 복수의 상기 터미널 각각의 말단부가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 및 상기 리드 와이어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하는 서포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1,
It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and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exposed at the same height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by collectively fixing a plurality of the insert assemblies, and the terminal and the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unit for aligning the lead wires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 각각의 상기 리드 와이어를 일괄 정렬 고정시키며,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으로부터 에어가 누설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그로밋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1,
A second fix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fixing the lead wi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collectively, and controlling air leakage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omme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은,
개방된 상기 수용홈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어 상기 안착 공간과 연통되는 벤트홀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조립체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는 상기 벤트홀을 통하여 상기 리드 와이어측으로 배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1,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A finishing piece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ed receiving groove,
At least one or more penetrating through the finished piece includes 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ating space,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expanding around the insert assembly is discharged to the lead wire side through the vent hol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각각 좌우 양측에 구획 배치되도록 하는 일면과 타면을 가진 제2 기준 격벽과,
상기 제2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각각의 단자핀을, 상기 센서 하우징의 상면과 평행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정렬시키는 제4 정렬부와,
상기 제2 기준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으로부터 연장 절곡된 연결핀과 연결된 상기 리드 와이어를, 상기 연결핀과 함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정렬시키는 제5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핀 각각의 말단부는 상기 제4 정렬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의 일부는 상기 제2 기준 격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2,
The support unit,
A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insert assemblies are partition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 fourth alignment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aligning the terminal pins of each of the terminal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A fifth alignmen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and arranged to align the lead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extended and bent from the terminal pi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in And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terminal pins are exposed from the fourth alignment portion,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wherein a part of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is formed on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은,
상기 제2 기준 격벽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를 상기 리드 와이어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에어 유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5,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air circulation hole formed so as to penetrat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to induce the expansive air around the insert assembly to be discharged to the lead wire side. Support assembly.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 유도 유닛은,
상기 서포트 유닛을 안착 수용시키는 밀착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에 안착 고정되는 기밀 커버와,
상기 기밀 커버의 일측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설치 슬롯과 연통하는 설치 개방부와,
상기 기밀 커버의 개방된 상면에 밀착 마감되어 상기 제2 기준 격벽과 연결되는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고, 상기 기밀 커버와 상기 제2 기준 격벽의 일면 및 타면 사이에 형성된 제1 밀폐 공간과 연통되는 벤트홀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편과 상기 기밀 커버에 의하여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상면이 밀폐되며,
상기 인서트 조립체 주변의 팽창하는 에어는 상기 벤트홀 및 상기 제1 밀폐 공간을 통하여 상기 리드 와이어측으로 배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터미널 고정용 서포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5,
The air discharge induction unit,
An airtight cover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space for seating and receiving the support unit, and seat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An installation opening incised at one side of the airtight cover and communicating with an installation slot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 finishing pie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airtight cover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At least one or more penetrating through the finished piece and including 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a first sealed space formed between the airtight cover a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reference partition wall,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sealed by the closing piece and the airtight cover,
A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sensor termina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expanding around the insert assembly is discharged to the lead wire side through the vent hole and the first sealed space.
KR1020190017544A 2019-02-15 2019-02-15 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 KR202000996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544A KR20200099676A (en) 2019-02-15 2019-02-15 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544A KR20200099676A (en) 2019-02-15 2019-02-15 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676A true KR20200099676A (en) 2020-08-25

Family

ID=7224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544A KR20200099676A (en) 2019-02-15 2019-02-15 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67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526A (en) 2014-10-24 2016-05-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Speed sens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thereof for vehicle
KR101647169B1 (en) 2009-03-13 2016-08-09 스토너릿지 인코포레이티드 Sensor lead sealing and strain relie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169B1 (en) 2009-03-13 2016-08-09 스토너릿지 인코포레이티드 Sensor lead sealing and strain relief
KR20160048526A (en) 2014-10-24 2016-05-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Speed sens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thereof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4690B2 (en) Terminal structure for covered electric wire
US20030136780A1 (en) Cover mounting structure of waterproof box
CN104641514A (en) Hermetic terminal having pin-isolating feature
US10476201B2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8336848A (en) The equipment of multiple grooves of stator for sealing power driver
US20170163015A1 (en) Water drainage structure,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11345293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JP6229305B2 (en) ANTENNA DEVICE AND ANTENNA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200099676A (en) Support assembly for sensor terminal fixing of vehicle
JP2009241701A (en)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US11050227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10770878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9197025B2 (en) Control unit housing and production method
KR100435354B1 (en) How to interconnect two electrical components
CN202817348U (en) Electric connector possessing drainage property
JP2008166176A (en) Waterstop structure of splice portion
JP3060363B2 (en) Wire protection structure for resin-filled connectors
US9705238B2 (en) Waterproof connect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for
US20210143620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220146630A (en) electronic coil
KR101925303B1 (en) Connector for wir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591159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otective gel
WO2019238116A1 (en) Electric valve
JP2009277881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490571B2 (en) Sea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