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484A -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 Google Patents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484A
KR20200099484A KR1020200016617A KR20200016617A KR20200099484A KR 20200099484 A KR20200099484 A KR 20200099484A KR 1020200016617 A KR1020200016617 A KR 1020200016617A KR 20200016617 A KR20200016617 A KR 20200016617A KR 20200099484 A KR20200099484 A KR 20200099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g
socket
pai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913B1 (ko
Inventor
부영빈
Original Assignee
부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영빈 filed Critical 부영빈
Publication of KR2020009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84A/ko
Priority to KR102021017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에 보이지 않는 위치에서도 플러그를 쉽게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의 선두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수용홈이 형성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에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 수용구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단자 수용구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구에 수용되는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와 전기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전도성 링형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단자 수용구의 가장자리 외각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하여 후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동작부의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단자 수용구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의 일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가 상기 소켓에 접근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상기 수용구로 안내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에 의하여 후퇴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Socket of Easy Plug Insetion}
본 발명은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에 보이지 않는 위치에서도 플러그를 쉽게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에 매립되는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할 때에 소켓의 수용홈에 플러그의 단자를 일치하기 위하여 눈으로 식별하거나 느낌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야간이나 가구 등 방해물의 존재로 눈에 의한 식별이 불가능한 때에는 손의 감각에 의하여 소켓의 수용홈을 느껴 플러그의 단자를 이에 삽입해야 하는데 한 번에 맞추기가 용이하지 않고 반복된 조정 동작에 의하여 맞추어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구조의 소켓을 대신하여 사용자의 손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플러그의 단자가 소켓의 수용홈에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눈으로 보지 않고도 쉽게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은 플러그의 선두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수용홈이 형성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에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 수용구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단자 수용구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구에 수용되는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와 전기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전도성 링형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단자 수용구의 가장자리 외각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하여 후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동작부의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단자 수용구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의 일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가 상기 소켓에 접근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상기 수용구로 안내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에 의하여 후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단자 수용구 각각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동작부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수용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단자 수용구의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 모두가 각각의 돌출부에 동시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동작부의 돌출부는 눈썹 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에 의하면, 사용자는 눈으로 소켓과 플러그의 일치를 확인하지 않고 단지 손의 일방향 회전 동작에 의하여 플러그의 단자와 소켓의 수용홈이 일치되어 한 번의 회전 및 삽입 동작만으로 완전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분해사시도로서 상부에서 본 모습과 하부에서 본 모습,
도 3은 동작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4는 소켓의 평면 구성도, 및
도 5 및 도 6은 돌출부가 돌출한 모습과 밀려 들어간 모습을 나타내는 비교도면이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플러그(10)의 선두부(12)를 수용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수용홈(22)이 형성된 소켓(2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홈(22)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10)의 선두부(12)에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전도성 돌기형 단자(14)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 수용구(24)가 형성된 바디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자 수용구(24)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구(24)에 수용되는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14)와 전기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전도성 링형 단자(26)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다. 링형 단자(26)는 링형 본체(26a)의 일단에 연장부(26b)가 형성되고 연장부를 통하여 소켓 내부에서 전선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링형 단자의 링형 본체(26a)를 내부에 수용하고 연장부(26b)는 절개홈(28b)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는 하방 돌기부(28)가 소켓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단자 수용구(24)의 가장자리 외각에서 상기 수용홈(22)의 바닥면(26)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돌출형성되어 플러그(10)의 선두부(12)의 가압력에 의하여 후퇴되는 돌출부(210)가 구비된 동작부(200)를 포함하는 점에서 특징을 가지며, 돌출부(210)는 단자 수용구(24)의 가장자리 외각에 형성된 관통공(120)을 통하여 바닥면의 위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동작부(200)의 돌출부(210)는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러그(10)의 전도성 돌기형 단자(14)가 회전하여 돌출부(210)에 걸린 상태에서 단자(14)가 단자 수용구(24)에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그 위치에서 단자 수용구(24)로 가압하면 그대로 단자(14)가 수용구(24)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10)의 전도성 돌기형 단자(14)가 상기 소켓(20)의 수용홈(22)의 바닥면(26)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22)의 중심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14)가 상기 돌출부(210)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14)를 상기 단자 수용구(24)로 안내하고 다음에 상기 플러그(10)의 선두부(12)가 상기 수용홈(22)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210)가 상기 플러그(10)의 선두부(12)에 의하여 밀려 후퇴된다.
돌출부(210)는 일정한 탄성력으로 수용홈의 바닥면(26)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플러그의 가압에 의하여 돌출부(210)가 바닥면(26)으로 밀려 들어간 후에 단자(14)와 단자수용구(24) 사이의 접촉력에 의하여 밀려 들어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돌출부의 복원력은 단자와 단자수용구 사이의 접촉력보다 충분히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부(200)는 전술한 돌출부(210)와 돌출부(210)의 하단에 형성된 베이스부(220) 및 베이스부(220)의 하방으로 연장된 스프링 고정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210)의 일면에는 단자(14)의 회전시 단자에 밀리는 부분으로서 단자가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1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220)는 돌출부(210)가 관통공(120)을 통하여 바닥면의 위로 돌출되어 동작할 때에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며, 스프링 고정돌기(2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동작부(200)는 상기 단자 수용구 각각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동작부 각각의 돌출부(210a, 210b)는 상기 수용홈(2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단자 수용구(24)의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 모두가 각각의 돌출부에 동시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동작부의 돌출부는 눈썹 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소켓의 표면에는 화살표 등의 플러그의 올바른 회전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지시부(208)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용홈(22)에 장착되어 단자(14)를 단자 수용구(24)로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가이드홈(320)이 형성된 삽입판(300)을 포함할 수 있고, 삽입판(300)에는 단자 수용구(24)와 관통공(120)에 대응하는 제1공(310)과 제2공(330)이 연통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3)

  1. 플러그의 선두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수용홈이 형성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에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 수용구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단자 수용구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구에 수용되는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와 전기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전도성 링형 단자; 및
    상기 단자 수용구의 가장자리 외각에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돌출형성되어 플러그의 가압력에 의하여 후퇴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동작부;
    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의 전도성 돌기형 단자가 상기 소켓의 수용홈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의 중심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가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상기 단자 수용구로 안내하고 다음에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가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플러그의 선두부에 의하여 밀려 후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단자 수용구 각각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동작부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수용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단자 수용구의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 모두가 각각의 돌출부에 동시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동작부의 돌출부는 눈썹 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도성 돌기형 단자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KR1020200016617A 2019-02-14 2020-02-11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KR10234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081A KR102412866B1 (ko) 2019-02-14 2021-12-14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03 2019-02-14
KR20190017103 2019-02-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081A Division KR102412866B1 (ko) 2019-02-14 2021-12-14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84A true KR20200099484A (ko) 2020-08-24
KR102340913B1 KR102340913B1 (ko) 2021-12-17

Family

ID=722354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617A KR102340913B1 (ko) 2019-02-14 2020-02-11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KR1020210179081A KR102412866B1 (ko) 2019-02-14 2021-12-14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081A KR102412866B1 (ko) 2019-02-14 2021-12-14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0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92A1 (ko)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598A (ko) * 2010-12-20 2012-06-28 신헌수 콘센트 장치
KR101346088B1 (ko) * 2012-08-21 2014-01-03 최인혜 전기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09Y1 (ko) * 2003-05-28 2004-04-03 윤종원 플러그 접속단자 유도홈이 형성된 콘센트
KR100920673B1 (ko) * 2007-10-31 2009-10-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콘센트 장치
JP5155458B2 (ja) 2009-01-02 2013-03-06 ホンス シン 安全コンセント
JP4469404B1 (ja) 2009-01-26 2010-05-26 加賀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ラグアセンブリ、差込プラグ、および変換プラグ
KR101336335B1 (ko) * 2012-03-31 2013-12-06 송승근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KR20160019153A (ko) * 2014-08-11 2016-02-19 백승재 플러그가 안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598A (ko) * 2010-12-20 2012-06-28 신헌수 콘센트 장치
KR101346088B1 (ko) * 2012-08-21 2014-01-03 최인혜 전기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92A1 (ko)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913B1 (ko) 2021-12-17
KR102412866B1 (ko) 2022-06-23
KR20210156261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714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 pins
US9812803B2 (en) Socket
CA2863676C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push-in type contact
US952068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ecting contact
US1004414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dhesive layer covering seam of main shell
TW200403898A (en) Power line connection plug
US2011023711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protecting means
KR20200099484A (ko)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CA2544294A1 (en) Connector systems for electrosurgical generator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US686354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structure
TWI452781B (zh) Connector
JP3605923B2 (ja) 電線接続端子装置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コンセント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スイッチ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端子台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ジョイントボックス
CA2878770A1 (en) Neutral-ground subassembly for electric meter assembly
CN109980467A (zh) 插座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US3985412A (en) Grounding electrical adapter
US20040067692A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US2021002857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200266570A1 (en) Orientation device
JP3484959B2 (ja) テーブルタップ
US2012032229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quipped with enhanced locking mechanism thereon
CN217691966U (zh) 一种导光组件和数据线
CN209896299U (zh) 插头组件及多用途锅具
US20060134947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protec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