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363A -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 Google Patents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363A
KR20200099363A KR1020190017276A KR20190017276A KR20200099363A KR 20200099363 A KR20200099363 A KR 20200099363A KR 1020190017276 A KR1020190017276 A KR 1020190017276A KR 20190017276 A KR20190017276 A KR 20190017276A KR 20200099363 A KR20200099363 A KR 20200099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rotrusion
corner
fram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9012B1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102019001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012B1/en
Publication of KR2020009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1458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A47B96/1475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and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A47B96/1483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and radial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isplay stand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efabricated display stand capable of reducing production cos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comprises: an assembly frame (100); a connection frame (200); a panel frame (300) having a panel insertion part (301) and a panel part (302); a rear finishing cover (400); a corner connection member (500); a front panel part (600); and a front finishing cover (700).

Description

조립식 진열대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Assembly display stand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본 발명은 조립식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과 선반 역할을 하는 패널 프레임을 조립 프레임으로 조립되게 하게 상기 조립 프레임은 연결 프레임을 이용하여 길이를 연장하도록 하며 전면부는 투명창을 구비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직접 조립하여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는 조립식 진열장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isplay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a panel frame serving as a wall and a shelf to be assembled into an assembly frame. The assembly frame extends the length using a connection frame, and the fro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to open and close. It relates to providing a prefabricated display case that enables a user to conveniently assemble and perform various directions.

일반적으로 진열대는 진열 대상 목적물인 물품이나 상품을 진열하거나 보관하도록 판매하고자 하는 진열 대상 목적물을 하나 또는 복수의 진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고 있다.In general, a display rack is manufactured such that one or a plurality of display spaces are formed for a display object to be sold to display or store a display object or a product.

최근에는 진열대의 형상을 변화시켜 다양한 상품 또는 상품 진열에 다양한 연출 하고자 하는 요구는 가정이나 상업용 가게에서 꾸준히 요청 되는 추세이며, 진열기간 동안 상품을 진열하고 나면,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식 진열대의 편리함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the demand to display various products or products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shelf is a trend that is steadily requested at home or commercial stores, and after displaying the products during the display period, they can be separated and reused and can be easily moved. The convenience of prefabricated display stands is being emphasized.

한편, 종래 기술의 조립식 진열장은 규격에 맞추어 제작된 수평조립판재와 수직조립판재 및 배면 조립판재 등을 조립볼트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assembly type display case of the prior art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rizontal assembly plate, a vertical assembly plate, and a rear assembly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standards are assembled using assembly bolts or screws.

그러나 이러한 진열대는 조립볼트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 조립 판재를 조립하는 조립작업이 어렵고 힘들 뿐 아니라 숙련된 기술을 요하게 되므로 비숙련자는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설계에 맞추어 조립하는데 힘들고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일단 조립되었던 진열장을 다른 모양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분리 해체하였을 경우 한번 사용했던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재사용할 수 없고 새로운 조립판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such a display stand is difficult and difficult to assemble horizontal and vertical assembly plates using assembly bolts or screws, and requires skilled skills.Therefore, unskilled persons have difficulty in assembling horizontal and vertical assembly plates according to design. There is a problem that follows, and onc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ssembly plates are separated and disassembled to change the assembled display case to a different shap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ssembly plates used once cannot be reused, and a problem arises that a new assembly plate should be used. Is done.

조립식 진열장에 사용했던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으로 다시 박아주는 조립볼트 또는 나사못은 헐겁게 박히게 되므로 조립식 진열장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며, 또는 나사구멍을 피해서 조립 볼트 내지 나사못을 박아주게 될 경우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가 손상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assembly bolts or screws that are screwed back into the screw holes formed in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ssembly plates used in the assembly display case will be loose, so that the assembly display case cannot be assembled firmly. In the case of driving, defects such as damage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ssembly plates will occur.

이러한 진열대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4180호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진열대는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단하고 제조공정도 축소되어 견고하게 구성된 하이퍼 조립식 앵글 진열대에 관한 것인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As for such a display st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4180 is disclosed. The disclosed display rack relates to a hyper-assembled angle display rack that is rigidly configured by a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y operation and a reduced manufacturing process, and has the sam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또한, 종래의 진열대 중에는 조립식 진열대의 수직프레임이 되는 기둥이 조립하고자 하는 진열대의 전체 길이에 대응되어 기둥의 길이가 사전에 결정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임의로 진열대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고, 기둥의 무게가 무겁고 외형이 길고 투박하며 분해된 상태로 운반 및 운송하기가 매우 불편하다.In addition, among the conventional display racks, the vertical fram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rack corresponds to the total length of the display rack to be assembled, so that the length of the column is manufactured in a predetermined state. The weight is heavy, the appearance is long, and it is very uncomfortable to transport and transport in a disassembled stat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462호(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다용도 조립식 진열대)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3462 (a vertical frame for a display stand and a prefabricated display rack for use with the same) is disclosed.

상기 등록 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조립식 진열대의 수직프레임을 조립식 블록 형태로 제작한 상태에서 수직프레임을 다단조립되게 구성하여 진열대의 조립성을 높이기 위한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진열대는 조립성이 뛰어나고 깔끔한 외형을 가지는 등 종래의 문제점을 크게 해소하였으나, 조립식 모듈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몸체 결합 돌기 및 몸체 결합 부재의 구조가 취약하여 반복하여 결합 분리하는 경우에는 몸체 결합 돌기 등이 파손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반복사용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로방향으로는 확장이 가능 하나 세로방향으로의 확장이 어려워 간단한 다단 수평식 진열대로의 구성은 가능하나, 계단식 진열대 등의 다양한 진열대의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relates to a vertical frame for a display stand for increasing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display stand by configuring the vertical frame to be assembled in multiple stages while the vertical frame of the assembled display stand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assembled block, and a multipurpose assembly type display stand using the same. However, the display stand has largely solved the conventional problems such as excellent assembling and having a neat appearance, but the structure of the assembled module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body coupling protrusion and the body coupling member is weak, so it is repeatedly combined and separated.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ody coupling protrusion is damaged and cannot be used. In other words, it has a problem of poor durability against repeated use. In addit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exp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expand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simple multi-level horizontal display rack,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display rack shapes such as a stepped display rack.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4180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418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46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346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열대를 구성함에 접착제 또는 볼트와 너트가 필요없이 조립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mble a display rack without the need for adhesives or bolts and nu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 프레임의 패널 삽입부를 가이드하여 결합시키도록 조립 프레임을 제공하여 수평 지지대를 동일 부품으로 구성하여 조립을 단순하게 하여 초보자도 조립이 편리하게 하고 부품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 frame so as to guide and couple the panel insertion portion of the panel frame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is composed of the same parts to simplify assembly,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assemble and reduce the number of par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프레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프레임과 다양한 크기의 패널 프레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진열 대상 목적물에 유연하게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ng frame that allows the assembly frame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nel frame of various sizes so that the user can flexibly apply it to the object to be display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 마감 커버로 조립 프레임을 마감하도록 하여 외적임 미감을 유지하고 안정감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ose the assembly frame with a rear finishing cover to maintain an external aesthetic and increase a sense of st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서리 연결부재로 전면 패널부를 고정하고 필요시 탈거 할 수 있도록 하여 진열 대상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reception of items to be displayed by fixing the front panel portion with a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removing it if necessary.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조립식 진열대 먼저, 양단의 중심 위치 내부에 소정 깊이로 중공부(101)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90°의 간격으로 삽입 홈(102)이 4개 배치되며, 양단 위치에서는 상기 삽입 홈(102)의 사이에 연결구(103)가 4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조립 프레임(100);를 포함할 수 있다.Assembly-type display stand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First, a hollow portion 10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the central position of both ends, and four insertion grooves 102 are formed at intervals of 90° on the outer surface. It is disposed, and at both ends of the assembly frame 100 provided so that four connector 103 is disposed between the insertion groove 102; may include.

또한,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기 조립 프레임(100)을 연장 결합하도록 중심 위치에는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는 중앙 돌출부(201)가 구비되고 네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구(103)에 삽입되도록 모서리 돌출부(202)가 구비되는 연결 프레임(2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entral protrusion 201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101 is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so as to extend and couple the assembly fram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and the connector 103 is provided at four corners. )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frame 200 provided with the edge protrusions 202; may include.

여기에, 사변형을 이루되 나란히 마주보는 두 변에는 상기 삽입 홈(102)에 삽입되어 어 상기 조립 프레임(100)과 결합 되도록 패널 삽입부(301)와 패널부(302)가 구비되는 패널 프레임(3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 panel frame having a panel insertion portion 301 and a panel portion 302 formed in a quadrilateral shape but provided with a panel insertion portion 301 and a panel portion 302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2 on two sides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coupled to the assembly frame 100 ( 300); may include.

한편,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도록 일 측면의 중심 위치에 돌출부(401)가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는 상기 삽입 홈(102)과 상기 연결구(103)에 치합되어 결합되도록 마감 돌출부(402)와 상기 돌출부 이면에는 마감면(403)이 구비되는 후방 마감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otrusion 401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one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101, and a closing protrusion 402 engages and engages the insertion groove 102 and the connector 103 at four corners. And a rear finishing cover 400 provided with a finishing surface 403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sion.

이때, 상기 연결구(103)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일단에 결합 되어 조립식 진열대(A)의 모서리를 위치에 배치되도록 연결부재(50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501)의 대향 위치에 수용공간(502)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502)의 내부에는 결합 만곡부(503)가 구비되며, 조립식 진열대(A)의 내측을 바라보는 위치에 손잡이 날개(504)가 구비되는 모서리 연결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501 is provi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3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assembly frame 100 to place the corner of the assembly type display stand (A) at the position, and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01 The receiving space 502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502, a coupling curved portion 503 is provided, and a corner connecting member provided with a handle wing 504 at a posi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A) (500); may include.

또한, 조립식 진열대(A)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공간(502)에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 연결부재(500)에 지지 되도록 상기 결합 만곡부(503)에 치합되는 형태로 네 모서리부에 모서리 결합부(601)와 투명부(602)로 구비되는 전면 패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502 so as to b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A) and engaged with the coupling curved portion 503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corner connecting member 500. It may include; a front panel part 600 provided with 601 and a transparent part 602.

여기에,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도록 일 측면의 중심 위치에 삽입부(701)가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구(103)의 단면에 치합되도록 마감 중공부(702)가 구비되는 전방 마감 커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part 701 is formed at the center position of one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101, and the front where the finished hollow part 702 is provided so as to mesh with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or 103 at four corners. The closing cover 700;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중공부(101)는 단면이 정4각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앙 돌출부(201)와 상기 돌출부(401)의 단면 또한 상기 중공부(101)에 치합되도록 정4각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hollow part 101 is provided to form a regular square in cross secti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ral protrusion 201 and the protrusion 401 is also provided in a regular square so as to mesh with the hollow part 101 It can be characterized.

한편,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중심 방향 위치의 상기 삽입 홈(102)은 단면이 원형인 삽입 내면(102a)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외면 방향은 개구되게 삽입 개구부(102b)로 구비되되, 상기 삽입 개구부(102b)는 상기 패널 삽입부(301)의 단면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groove 102 at the center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inner surface 102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outer surface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is opened to the insertion opening 102b. However, the insertion opening 102b may be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panel insertion portion 301.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200)은 상기 모서리 돌출부(202)의 사이에 상기 삽입 홈(102)의 삽입 가능 구간이 연장될 수 있도록 연결 삽입 홈(20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frame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insertion groove 203 between the corner protrusions 202 so that an insertable s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02 extends.

여기서, 상기 모서리 돌출부(202)의 외부면에는 상기 삽입 개구부(102b)를 커버 하도록 모서리 돌출면(202a)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rotrusion 202 may further include a corner protrusion surface 202a to cover the insertion opening 102b.

한편, 상기 모서리 결합부(601)는 경사부(601a) 및 제 1 오목부(601b)가 각 모서리의 양측에서 한 쌍으로 배치되며 모서리의 위치에는 내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제 2 오목부(601c)가 상기 결합 만곡부(503)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rner coupling portion 601, the inclined portion 601a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601b are arranged in a pair on both sides of each corner,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601c is curved in the inward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corn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engage with the coupling curved portion 503.

이때, 상기 제 2 오목부(601c)의 양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오목부(601c)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오목부(601c)의 들어가는 방향은 서로 직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cave portions 601c are disposed in a pair at positions vertically bent in both directions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s 601c so that the entering directions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601c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can be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제 2 오목부(601c)의 곡률이 상기 제 1 오목부(601b)의 곡률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curvature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601c may be provided to be greater than a curvatur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601b.

한편, 상기 전방 마감 커버(700)의 외면을 이루는 상기 삽입부(701)의 배면 방향에는 상기 마감 중공부(702)와 상기 전방 마감 커버(700)의 테두리를 따라서 단차를 갖는 전방면(70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701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losing cover 700, the front surface 703 having a step along the edge of the closing hollow portion 702 and the front closing cover 70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또 한편, 상기 전면 패널(600)은 아크릴, 투명 플라스틱 중 어느 한가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panel 60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y one of acrylic and transparent plastic.

이에 본 발명은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하여,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display stand,

첫째, 사용자가 진열대를 구성함에 접착제 또는 볼트와 너트가 필요없이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부품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display rack without the need for adhesives or bolts and nuts, while allowing the recycling of parts.

둘째, 패널 프레임의 패널 삽입부를 가이드하여 결합시키도록 조립 프레임을 제공하여 수평 지지대를 동일 부품으로 구성하여 조립을 단수하게 하여 초보자도 조립이 편리하게 하고 부품의 수를 줄여서 생산 단가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assembly frame is provided to guide and connect the panel insertion part of the panel frame,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is composed of the same parts and assembles in a single step, making it easier for beginners to assemble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o reduce production cost. have.

셋째, 조립 프레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프레임과 다양한 크기의 패널 프레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진열 대상 목적물에 따라서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생산 표준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Third, by providing a connecting frame that allows the assembly frame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nel frame of various sizes, the user can flexibly apply it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displayed, and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in production standardization.

넷째, 후방 마감 커버로 조립 프레임을 마감하도록 하여 외적임 미감을 유지하고 후방 마감 커버를 지면 부위에 배치하여 수직 지지 안정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Fourth, by finishing the assembly frame with the rear finishing cover,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ense of stability of vertical support by maintaining the external appearance and placing the rear finishing cover on the ground.

다섯째, 모서리 연결부재로 전면 패널부를 고정하고 필요한 경우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진열 대상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Fifth,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items to be displayed by fixing the front panel portion with a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removing it if necessary.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 프레임, 연결 프레임, 패널 프레임, 후방 마감 커버, 모서리 연결부재 및 전방 마감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다.
도 3 및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연결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다.
도 6 및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패널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후방 마감 커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모서리 연결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전면 패널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전방 마감 커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다.
도 12 및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4 및 15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limited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and 2 are three-dimensional views for explaining an assembly frame, a connection frame, a panel frame, a rear finishing cover, a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a front finishing cover of an assembly type display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three-dimensional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assembly fram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nection fram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three-dimensional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panel fram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rear finishing cover of the assembl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rner connecting member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front panel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front finish cover of the assembl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photographs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assembl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 프레임, 연결 프레임, 패널 프레임, 후방 마감 커버, 모서리 연결부재 및 전방 마감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고, 도 3 및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연결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고, 도 6 및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패널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후방 마감 커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모서리 연결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전면 패널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전방 마감 커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삼차원도면이며, 도 12 및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며, 도 14 및 15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1 and 2 are three-dimensional views for explaining an assembly frame, a connection frame, a panel frame, a rear finishing cover, a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a front finishing cover of an assembly type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It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assembly fram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nection fram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three-dimensional drawing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panel fram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rear finish cover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and FIG. 9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edg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etailed front panel part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and FIG. 11 is a three-dimens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front finish cover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and 13 are prefabricated display cas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ate of, and FIGS. 14 and 15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assembly-type display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도 3 및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하는 본원 발명은 먼저, 양단의 중심 위치 내부에 소정 깊이로 중공부(101)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90°의 간격으로 삽입 홈(102)이 4개 배치되며, 양단 위치에서는 상기 삽입 홈(102)의 사이에 연결구(103)가 4개 배치되도록 조립 프레임(100)이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ovides an assembled display stand as shown in FIGS. 3 and 4, first, a hollow portion 10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the center position of both ends, and an insertion groove 102 is formed at an interval of 90° on the outer surface. The assembly frame 100 is provided so that four connectors 103 are disposed between the insertion grooves 102 at both ends.

상기 조립 프레임(100)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조립식 진열장의 지지력을 증대 시키는 동시에 패널부를 결합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e assembly frame 100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so as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assembly type display case and at the same time combine the panel portion.

여기에 도 5 에 도신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기 조립 프레임(100)을 연장 결합하도록 중심 위치에는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는 중앙 돌출부(201)가 구비되고 네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구(103)에 삽입되도록 모서리 돌출부(202)가 포함되는 연결 프레임(200)이 구비된다.Here, as illustrated in FIG. 5, a central protrusion 201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01 is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so as to extend and couple the assembly fram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Four corners are provided with a connection frame 200 including a corner protrusion 20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3.

즉, 상기 연결 프레임(200)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 프레임(100)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 결합하여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길이를 늘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assembly frame 100 is extended and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the connection frame 200 so that the length of the assembly frame 100 can be increased.

여기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변형을 이루되 나란히 마주보는 두 변에는 상기 삽입 홈(102)에 삽입되어 어 상기 조립 프레임(100)과 결합 되도록 패널 삽입부(301)와 패널부(302)가 포함되는 패널 프레임(300)이 구비된다.Here, as shown in FIG. 6, the panel insertion portion 301 and the panel portion 302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2 on two sides facing each other, but are coupled to the assembly frame 100, respectively. ) Is provided with a panel frame 300 included.

즉, 상기 조립 프레임(100)에 상기 패널 프레임(300)을 결합하여 조립식 진열대의 츠면부와 상하면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anel frame 300 is coupled to the assembly frame 100 to form the top and bottom portions of the assembly type display stand.

한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도록 일 측면의 중심 위치에 돌출부(401)가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는 상기 삽입 홈(102)과 상기 연결구(103)에 치합되어 결합되도록 마감 돌출부(402)와 상기 돌출부 이면에는 마감면(403)이 형성되는 후방 마감 커버(40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a protrusion 401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one side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101, and is engaged with the insertion groove 102 and the connector 103 at four corners. A finishing protrusion 402 and a rear finishing cover 400 on which a finishing surface 403 is formed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sion so as to be coupled.

이때, 상기 마감면(403)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럽게 처리되거나 또는 다양한 문양으로 마감 철리 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surface 403 may be smoothly processed as shown in FIG. 8 or may be finished and removed in various patterns.

여기에,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03)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일단에 결합 되어 조립식 진열대(A)의 모서리를 위치에 배치되도록 연결부재(50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501)의 대향 위치에 수용공간(502)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502)의 내부에는 결합 만곡부(503)가 구비되며, 조립식 진열대(A)의 내측을 바라보는 위치에 손잡이 날개(504)가 배치되는 모서리 연결부재(500)가 구비된다.Here, as shown in FIG. 9, a connecting member 501 is provi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3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assembly frame 100 so that the edge of the assembly type display stand A is disposed at a position, and the A receiving space 502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member 501, and a coupling curved portion 503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502, and a handle blade at a posi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assembly type display stand (A) ( A corner connecting member 500 on which the 504 is disposed is provided.

여기에, 조립식 진열대(A)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공간(502)에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 연결부재(500)에 지지 되도록 상기 결합 만곡부(503)에 치합되는 형태로 네 모서리부에 모서리 결합부(601)와 투명부(602)로 형성되는 전면 패널부(600)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는 것이다.Here, 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502 so as to be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A), and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curved portion 503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corner connecting member 500, and corners at the four corners The front panel part 600 formed of the coupling part 601 and the transparent part 602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0.

즉, 전면 패널부(600)는 전 후면의 창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ront panel part 600 is to serve as a front and rear window.

여기에,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도록 일 측면의 중심 위치에 삽입부(701)가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구(103)의 단면에 치합되도록 마감 중공부(702)가 형성되는 전방 마감 커버(700)가 구비되는 것이다.Here, as shown in Fig. 11, the insertion portion 701 is formed at the center position of one side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01, and the finished hollow portion is engaged with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or 103 at four corners. The front closing cover 700 on which the 702 is formed is provided.

이때, 상기 중공부(101)는 단면이 정4각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앙 돌출부(201)와 상기 돌출부(401)의 단면 또한 상기 중공부(101)에 치합되도록 정4각형으로 구비되어 사용자 조립 후 방향이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ollow part 101 is provided to form a regular square in cross secti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ral protrusion 201 and the protrusion 401 is also provided in a regular square so as to mesh with the hollow part 101, so that the user It can prevent the direction from being distorted after assembly.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중심 방향 위치의 상기 삽입 홈(102)은 단면이 원형인 삽입 내면(102a)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외면 방향은 개구되게 삽입 개구부(102b)로 구비되되, 상기 삽입 개구부(102b)는 상기 패널 삽입부(301)의 단면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삽입된 상기 패널부(300)이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insertion groove 102 at the center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inner surface 102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outer surface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is an opening It is provided as an insertion opening 102b, and the insertion opening 102b is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panel insertion portion 301 so that the inserted panel portion 300 is not removed.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20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 돌출부(202)의 사이에 상기 삽입 홈(102)의 삽입 가능 구간이 연장될 수 있도록 연결 삽입 홈(203)이 더 구비되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를 갖는 상기 패널 삽입부(301)을 수용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frame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insertion groove 203 between the corner protrusions 202 so that the insertable s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02 can be extended,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7, the panel insertion part 301 having various lengths can be accommodated.

이때, 상기 모서리 돌출부(202)의 외부면에는 상기 삽입 개구부(102b)를 커버 하도록 모서리 돌출면(202a)가 더 포함되어 마감면이 원통형으로 매끄럽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rotrusion 202 further includes a corner protrusion surface 202a to cover the insertion opening 102b so that the end surface is smooth in a cylindrical shape.

여기서, 상기 모서리 결합부(601)는 경사부(601a) 및 제 1 오목부(601b)가 각 모서리의 양측에서 한 쌍으로 배치되며 모서리의 위치에는 내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제 2 오목부(601c)가 상기 결합 만곡부(503)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오목부(601c)의 양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오목부(601c)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오목부(601c)의 들어가는 방향은 서로 직각이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전면 패널부(600)이 비틀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in the corner coupling portion 601, the inclined portion 601a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601b are arranged in a pair on both sides of each corner,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601c is curved inward at the position of the corner. Is provided to engage with the coupling curved portion 503,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601c is disposed in a pair at a position vertically bent in both directions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601c,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601c ) Is provid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panel part 600 can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twisted.

이때,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오목부(601c)의 곡률이 상기 제 1 오목부(601b)의 곡률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601c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601b.

한편, 상기 전방 마감 커버(700)의 외면을 이루는 상기 삽입부(701)의 배면 방향에는 상기 마감 중공부(702)와 상기 전방 마감 커버(700)의 테두리를 따라서 단차를 갖는 전방면(703)이 더 구비되어 외부의 미감이 살아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701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losing cover 700, the front surface 703 having a step along the edge of the closing hollow portion 702 and the front closing cover 700 This is to make the external aesthetic alive.

여기서, 상기 전면 패널(600)은 아크릴, 투명 플라스틱 중 어느 한가지로 구비되어 진열 대상 물품이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front panel 600 is provided with any one of acrylic and transparent plastic so that the object to be displayed can be seen.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진열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열대를 구성함에 접착제 또는 볼트와 너트가 필요없이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부품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패널 프레임의 패널 삽입부를 가이드하여 결합시키도록 조립 프레임을 제공하여 수평 지지대를 동일 부품으로 구성하여 조립을 단수하게 하여 초보자도 조립이 편리하게 하고 부품의 수를 줄여서 생산 단가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조립 프레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프레임과 다양한 크기의 패널 프레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진열 대상 목적물에 따라서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생산 표준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후방 마감 커버로 조립 프레임을 마감하도록 하여 외적임 미감을 유지하고 후방 마감 커버를 지면 부위에 배치하여 수직 지지 안정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모서리 연결부재로 전면 패널부를 고정하고 필요한 경우 손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진열 대상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Using the prefabricated display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display rack without the need for adhesives, bolts, and nuts, and to enable recycling of parts, and the panel insert of the panel frame The assembly frame is provided to guide and connect the horizontal support to the same parts, making assembly easier for beginners to assemble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providing a connection frame that can be extended by a user and a panel frame of various sizes, the user can flexibly apply it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displayed, has an advantage in production standardization, and the assembly frame is finished with a rear finishing cover.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vertical support stability by maintaining the sense of appearance and placing the rear finishing cover on the ground, and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accommodation of the items to be displayed by fixing the front panel part with a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making it easy to remove if necessary. There is.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not by specific embodiments, but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corresponding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조립 프레임
101 ... 중공부
102 ... 삽입 홈
102a ... 삽입 내면
102b ... 삽입 개구부
103 ... 연결구
200 ... 연결 프레임
201 ... 중앙 돌출부
202 ... 모서리 돌출부
202a ... 모서리 돌출면
203 ... 연결 삽입 홈
300 ... 패널 프레임
301 ... 패널 삽입부
302 ... 패널부
400 ... 후방 마감 커버
401 ... 돌출부
402 ... 마감 돌출부
403 ... 마감면
500 ... 모서리 연결부재
501 ... 연결부재
502 ... 수용공간
503 ... 결합 만곡부
504 ... 손잡이 날개
600 ... 전면 패널부
601 ... 모서리 결합부
601a ... 경사부
601b ... 제 1 오목부
601c ... 제 2 오목부7
602 ... 투명부
700 ... 전방 마감 커버
701 ... 삽입부
702 ... 마감 중공부
A ... 조립식 진열대
100 ... assembly frame
101 ... hollow part
102 ... insertion groove
102a ... insert inner
102b ... insert opening
103 ... connector
200 ... connection frame
201 ... center protrusion
202 ... edge overhang
202a ... edge protrusion
203 ... connection insertion groove
300 ... panel frame
301 ... panel insert
302 ... panel
400 ... rear finish cover
401 ... protrusion
402 ... finish protrusion
403 ... finish surface
500 ... corner joint
501 ... connecting member
502 ... accommodation space
503 ... combined bend
504 ... handle wing
600 ... front panel
601 ... edge joint
601a ... slope
601b ... first recess
601c ... 2nd recess 7
602 ... transparent part
700 ... front closure cover
701 ... insert
702 ... finish hollow
A ... prefab display rack

Claims (10)

양단의 중심 위치 내부에 소정 깊이로 중공부(101)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90°의 간격으로 삽입 홈(102)이 4개 배치되며, 양단 위치에서는 상기 삽입 홈(102)의 사이에 연결구(103)가 4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조립 프레임(100);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기 조립 프레임(100)을 연장 결합하도록 중심 위치에는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는 중앙 돌출부(201)가 구비되고 네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구(103)에 삽입되도록 모서리 돌출부(202)가 구비되는 연결 프레임(200);
사변형을 이루되 나란히 마주보는 두 변에는 상기 삽입 홈(102)에 삽입되어 어 상기 조립 프레임(100)과 결합 되도록 패널 삽입부(301)와 패널부(302)가 구비되는 패널 프레임(300);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도록 일 측면의 중심 위치에 돌출부(401)가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는 상기 삽입 홈(102)과 상기 연결구(103)에 치합되어 결합되도록 마감 돌출부(402)와 상기 돌출부 이면에는 마감면(403)이 구비되는 후방 마감 커버(400);
상기 연결구(103)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일단에 결합 되어 조립식 진열대(A)의 모서리를 위치에 배치되도록 연결부재(50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501)의 대향 위치에 수용공간(502)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502)의 내부에는 결합 만곡부(503)가 구비되며, 조립식 진열대(A)의 내측을 바라보는 위치에 손잡이 날개(504)가 구비되는 모서리 연결부재(500);
조립식 진열대(A)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공간(502)에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 연결부재(500)에 지지 되도록 상기 결합 만곡부(503)에 치합되는 형태로 네 모서리부에 모서리 결합부(601)와 투명부(602)로 구비되는 전면 패널부(600); 및
상기 중공부(101)에 삽입되도록 일 측면의 중심 위치에 삽입부(701)가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구(103)의 단면에 치합되도록 마감 중공부(702)가 구비되는 전방 마감 커버(7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진열대.
A hollow portion 10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the central position of both ends, and four insertion grooves 102 are disposed at intervals of 90° on the outer surface, and at both ends, a connector ( An assembly frame 100 provided so that four 103) are disposed;
The assembl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central protrusion 201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01 at a central position so as to extend and couple the assembly fram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and the connector 103 at four corners. A connection frame 200 provided with a corner protrusion 202 to be inserted;
A panel frame 300 having a panel insertion portion 301 and a panel portion 302 formed in a quadrilateral shape, but provided with a panel insertion portion 301 and a panel portion 302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2 and coupled to the assembly frame 100 on two sides facing each other;
A protrusion 401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n one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101, and the closing protrusion 402 and the end protrusion 402 are engaged with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02 and the connector 103 at four corners. A rear finishing cover 400 provided with a finishing surface 403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sion;
A connecting member 501 is provi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3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assembly frame 100 to place the corner of the assembly-type display stand A at the position, and accommodated at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01 A corner connecting member 500 provided with a space 502, a coupling curved portion 503 inside the receiving space 502, and provided with a handle wing 504 at a posi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rack A. );
The four corners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502 so as to b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efabricated display rack (A), and are engaged with the coupling curved part 503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corner connecting member 500. A front panel part 600 provided with 601 and a transparent part 602; And
An insertion portion 701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n one side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01, and a front closing cover provided with a closing hollow portion 702 so as to mesh with the end face of the connector 103 at four corners ( 700); a prefabricated display rack cont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01)는 단면이 정4각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앙 돌출부(201)와 상기 돌출부(401)의 단면 또한 상기 중공부(101)에 치합되도록 정4각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low part 101 is provided to form a regular square in cross secti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ral protrusion 201 and the protrusion 401 is also provided in a regular square so as to mesh with the hollow part 101 Prefab display stands ma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중심 방향 위치의 상기 삽입 홈(102)은 단면이 원형인 삽입 내면(102a)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립 프레임(100)의 외면 방향은 개구되게 삽입 개구부(102b)로 구비되되, 상기 삽입 개구부(102b)는 상기 패널 삽입부(301)의 단면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groove 102 in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inner surface 102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outer surface direction of the assembl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opening 102b to be opened. , Wherein the insertion opening 102b is provided to be smaller than a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panel insertion portion 30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200)은,
상기 모서리 돌출부(202)의 사이에 상기 삽입 홈(102)의 삽입 가능 구간이 연장될 수 있도록 연결 삽입 홈(20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frame 200,
An assembly type display stand,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on insertion groove (203)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rner protrusions (202) so that the insertable s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02) is extend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돌출부(202)의 외부면에는 상기 삽입 개구부(102b)를 커버 하도록 모서리 돌출면(202a)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3,
An assembly type display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rotrusion 202 further includes a corner protrusion surface 202a to cover the insertion opening 102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결합부(601)는,
경사부(601a) 및 제 1 오목부(601b)가 각 모서리의 양측에서 한 쌍으로 배치되며 모서리의 위치에는 내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제 2 오목부(601c)가 상기 결합 만곡부(503)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rner coupling portion 601,
The inclined portion 601a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601b are arranged in a pair on both sides of each corner,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601c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curved portion 503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rner is curved in the inward direction. Display rack,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목부(601c)의 양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오목부(601c)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오목부(601c)의 들어가는 방향은 서로 직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oncave portions 601c are arranged in a pair at positions vertically bent in both directions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s 601c so that the entering directions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601c are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Prefabricated display rack characterized b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목부(601c)의 곡률이 상기 제 1 오목부(601b)의 곡률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7,
The assembly type display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601c) is provided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601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마감 커버(700)의 외면을 이루는 상기 삽입부(701)의 배면 방향에는 상기 마감 중공부(702)와 상기 전방 마감 커버(700)의 테두리를 따라서 단차를 갖는 전방면(70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701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losing cover 700, a front surface 703 having a step difference along the edges of the closing hollow portion 702 and the front closing cover 700 is further Assembly type display rack,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600)은,
아크릴, 투명 플라스틱 중 어느 한가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panel 600,
Assembled display stan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y one of acrylic and transparent plastic.
KR1020190017276A 2019-02-14 2019-02-14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KR102149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76A KR102149012B1 (en) 2019-02-14 2019-02-14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76A KR102149012B1 (en) 2019-02-14 2019-02-14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363A true KR20200099363A (en) 2020-08-24
KR102149012B1 KR102149012B1 (en) 2020-10-14

Family

ID=7223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276A KR102149012B1 (en) 2019-02-14 2019-02-14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01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6057A (en) * 1994-03-16 1995-11-14 Blankenburg; Karl Modular storage apparatus
KR20030066263A (en) * 2002-02-02 2003-08-09 이은숙 Prefabricated wooden cabinet
KR200334180Y1 (en) 2003-08-18 2003-11-22 김영배 An assembling angle display stand
US20040226249A1 (en) * 2003-05-13 2004-11-18 Chang Chou Wang Structure assembly assembled without tools
JP2012241898A (en) * 2011-05-18 2012-12-10 Chang Wen-Tsung Connecting member structure of assembly frame
KR101253462B1 (en) 2012-10-22 2013-04-10 재 욱 한 Self-assembly display stan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6057A (en) * 1994-03-16 1995-11-14 Blankenburg; Karl Modular storage apparatus
KR20030066263A (en) * 2002-02-02 2003-08-09 이은숙 Prefabricated wooden cabinet
US20040226249A1 (en) * 2003-05-13 2004-11-18 Chang Chou Wang Structure assembly assembled without tools
KR200334180Y1 (en) 2003-08-18 2003-11-22 김영배 An assembling angle display stand
JP2012241898A (en) * 2011-05-18 2012-12-10 Chang Wen-Tsung Connecting member structure of assembly frame
KR101253462B1 (en) 2012-10-22 2013-04-10 재 욱 한 Self-assembly display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012B1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894A (en) Display panel and assembly
US8733851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CA2592549A1 (en) Plastic pegboard assembly
KR101339341B1 (en) Modular assembly board
US20140259840A1 (en) Multi-level picture frame
CN106861211B (en) Building block base
CA2894185A1 (en) Pop-up shelving system
KR102149012B1 (en)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KR101665254B1 (en)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20120298606A1 (en) Sectional rack
MX2009012756A (en) Cover for the base of a counter.
US20070001073A1 (en) Bracket
KR102243046B1 (en) Module type asembly display case
CN102302281B (en) Combined cabinet
KR102032355B1 (en)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KR20200134046A (en) Case for displaying an object
KR200464733Y1 (en) Space use possible joint cabinet with door seal
KR20110005118U (en)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CN220587946U (en) Assembled combination show shelf
KR102657308B1 (en) Assembly furniture
JP5460345B2 (en) Assembled structure
JP3085878U (en) Assembled display shelf
CN216931345U (en) Pipeline concatenation type pet cage
KR200371631Y1 (en) Assemblage for manufacturing furniture
CN215737654U (en) Free combination formula wardrobe accomodates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