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18U -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18U
KR20110005118U KR2020090014906U KR20090014906U KR20110005118U KR 20110005118 U KR20110005118 U KR 20110005118U KR 2020090014906 U KR2020090014906 U KR 2020090014906U KR 20090014906 U KR20090014906 U KR 20090014906U KR 20110005118 U KR20110005118 U KR 201100051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abinet
plate
prefabricated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9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두업
Original Assignee
배두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두업 filed Critical 배두업
Priority to KR2020090014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118U/en
Publication of KR20110005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1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장 내부에 구비되는 선반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반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장식장을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a cabinet,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shelf provided in the cabine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shelf can be used more easily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a cabinet.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일정거리 이격된 상면판과 하면판의 양측에 각각 측면판이 결합되고, 이들의 후방을 폐쇄하며 후면판이 결합하는 통상의 장식장에 조립식 선반구조를 구비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후면결합홈이 형성되는 후면판; 후방에 상기 후면결합홈과 대응하며 끼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late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spaced from a certain distance, the rear panel is closed and the rear panel is combined in the common cabinet having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at least one rear A back plate on which a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least one shelf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rear coupling groove and fitted to the rea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따라서 본 고안은, 다양한 길이의 선반을 다양한 위치의 장식장 내부 후면에 끼움 결합하게 되므로, 선반에 의한 장식장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장식장을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별도로 많은 결합부품을 필요하지 않게 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선반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the shelf of the various lengths into the interior rear of the cabinet of various positions,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cabinet by the shelf and the effect of using the cabinet more easily, and does not require a lot of separate parts separately As a result, all men and women of all ages do not have a great for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elf can be installed in the desired shape.

장식장, 진열장, 조립식, 선반, 선반구조 Cabinet, showcase, prefab, shelves, shelf structure

Description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본 고안은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장 내부에 구비되는 선반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반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장식장을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a cabinet,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shelf provided in the cabine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shelf can be used more easily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a cabinet.

일반적으로 장식장은 책이나 기타 장식품을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되고 있는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주요 가구 중 하나이다.In general, the cabinet is used as a place for storing books and other ornaments,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furnitures that are essential for homes and offices.

이러한 장식장은, 구성이나 선반과 선반 사이의 크기가 규격화된 상태로 출고되어, 장식장에 놓을 물건의 높이 및 부피에 따라 사용자가 마음대로 놓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abinet has been shipped with the configuration or the size between the shelf and the shelf standardiz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place at will according to the height and volume of the object to be placed in the cabinet.

그리고 상기 물건의 높이 및 부피에 따라 다양한 물건을 놓기 위해서는 많은 장식장이 구비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많은 비용을 발생시킴은 물론, 장소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도를 저하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place various object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volume of the object, many decoration cabinets must be provided, thereby incurring a lot of costs and occupying a lot of places, thereby becoming one of the main causes of degrading space utilization.

또한, 공간의 협소 및 비용의 절감을 위해 장식장을 하나만 구비하게 되면, 규격화된 장식장의 구성에 따라 원하는 물건을 놓지 못하고, 장식장의 규격에 맞는 물건만을 놓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식장으로 꾸미지 못하게 되어, 장식장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f only one cabinet is provided in order to reduce the space and the cost, it is impossible to place the desired obj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ized cabinet, and only the objects that meet the standard of the cabinet are placed,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Could not decorate the desired cabine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play the role of the original cabine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고는 있으나, 구성상의 한계가 있어 증설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r has made and used directl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expansion due to the configuration limitations.

그리고 간편하고 자유롭게 장식장을 구성하고자, 앵글을 이용하여 구성하기도 하지만, 상기 앵글을 이용하여 장식장을 만들면 볼트나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외관상 드러나게 되고, 많은 볼트와 너트를 구비해야만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And to configure the cabinet simply and freely, it is also configured using an angle, but when the cabinet is made using the angle, the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uts are exposed in appearance, and the inconvenience and cumbersome problem that must be provided with many bolts and nuts Occu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다시 해결하고자, 현재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식장들이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조립하는 부분이 많고 취급이 곤란하며, 이 또한 증설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지속적으로 조립식 장식장을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gain, cabinets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by the user have been proposed and used, but there are many parts to assemble and difficult to handle, and this is also difficult to expand. There is a trend.

상기와 같은 추세에 따라, 장식장의 선반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립하여 제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23723호(등록일자: 2001.3.2, 명칭: 다용도 진열장 조립장치)는, 양 수직판과 연결측판 각각의 사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선반을 올려놓고 연결핀으로 선반을 고정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선반의 개수만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그 변형도 간편하여 실용성을 높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선반을 양 수직판 및 연결측판에 고정하는데 연결핀이 사용되므로, 하나 이상의 연결핀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과 함께 작은 크기의 연결핀을 지속적으로 보관해야 함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한다.In accordance with the trend 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for assembling the shelf of the cabinet is manufactured by the user is disclosed,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23723 (Registration Date: 2001.3.2, Name: multi-purpose showcase assembly device), The shelf is placed at the desired position between the two vertical plates and the connecting side plate, and the shelf is fixed with the connecting pin so that the user can freely install as many shelves as needed. will be. However, in the above technique, since the connecting pin is used to fix the shelf to both the vertical plate and the connecting side plate, it is inconvenient to continuously store the small size of the connecting pin with the inconvenience and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one or more connecting pins. Problems also arise.

또한, 상기 측면진열장과 근접한 수직판 사이에 선반을 설치한 경우, 상기 수직판과 근접한 수직판 사이에 같은 높이로 선반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측면진열장과 근접한 수직판 사이에 선반을 설치할 때 수직판의 연결구멍에 연결핀을 결합하였으므로, 선반의 한쪽을 고정할 연결구멍이 없어 같은 높이의 선반을 설치할 수 없는 크나 큰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helf i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display panel and the adjacent vertical plate, if you want to install the shelf at the same height between the vertical and adjacent vertical plate, when the shelf i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display panel and the adjacent vertical plate Since the connection pin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of the direct plate, there is a big problem that there is no connection hole to fix one side of the shelf, so that a shelf of the same height cannot be installed.

더욱이, 상기 특정위치에 결합한 선반의 상단을 분리하여 구분해줄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평판 형상의 선반에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할 수 없어 이 또한 불편함을 느끼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distinguish the upper end of the shelf coupled to the specific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add a configuration that can be separated to the flat-shaped shelf this also makes you feel uncomfortable.

이때, 상기 선반의 상단을 분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제165001호(등록일자: 1999.10.13, 명칭: 칸막이의 폭 조절이 가능한 장식장)는, 사용자가 물건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필요한 폭 만큼 임의로 세로칸막이판의 간격을 조절하여 세로칸막이판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선반 상부의 가로 상의 공간을, 하나 이상의 세로간막이판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만큼 구분하여 만들 수 있는 것뿐, 선반의 높낮이에 대한 변화를 자유롭게 추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At this time, the technology for separating the upper end of the shelf is disclosed,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65001 (Registration Date: October 13, 1999, Name: decorative cabinets that can adjust the width of the partition), the user the size and type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as needed,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can be easily mounted at a desired position. However, the above technology is limited to the space on the upper side of the shelf, which can be made by combining one or more vertical partition boards as much as the user desires, and cannot freely change the height of the shelf.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편의대로 선반들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반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장식장을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shelves freely to the user's convenience, so that you can easily install,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shelf and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to enable more convenient use of the cabinet The purpose is to provide.

그리고 별도의 많은 결합부품 없이 간편하게 선반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선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shelf without a lot of separate parts, there is also the purpose of allowing the man and woman of all ages to install the shelf in the desired shape without great effor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장식장이 조립식 선반구조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면판과 하면판의 양측에 각각 측면판이 결합되고, 이들의 후방을 폐쇄하며 후면판이 결합하는 통상의 장식장에 조립식 선반구조를 구비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후면결합홈이 형성되는 후면판; 후방에 상기 후면결합홈과 대응하며 끼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binet is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the side plat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op and bottom plate spaced apart a certain distance, respectively, the rear plate is assembled and assembled in a common cabinet to close the back plate In providing a structure, the back plate is formed with one or more back coupling groove; At least one shelf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rear coupling groove and fitted to the rea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이때 상기 후면결합홈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되, 같은 간격으로 수평배열 또는 수직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ack coupling groov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horizontal arrangement or a vertical arrangement at the same interval.

그리고 상기 선반은, 하나 이상으로 수평배열되는 후면결합홈 중 미리 설정 된 개수만큼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helf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rear coupling grooves arranged horizontally in one or more.

한편, 후방에 상기 장식장의 후면결합홈과 대응하며 끼움 결합하는 지지돌기가 수직배열로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면은 상측에 결합한 선반의 하면과 밀착하고, 하면은 하측에 결합한 선반의 상면과 밀착하는 지지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support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rear coupling groove of the cabinet is fitted in the vertical arrangement in the rear, the upp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coupled to the upper side, the low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coupled to the lower side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장식장의 양 측면판에 같은 간격으로 수직배열되어 각각 형성되는 측면결합홈; 상기 각각의 측면결합홈에 각각 끼움 결합하여 선반의 하면과 밀착하는 지지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coupling grooves are vertic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both side plates of the decoration cabinet; Supporting and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helf by fitting into the respective side coupling groove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따라서 본 고안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는, 다양한 길이의 선반을 다양한 위치의 장식장 내부에 끼움 결합하게 되므로, 선반에 의한 장식장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장식장을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f of the various lengths are combined to fit inside the cabinet of the various positions,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cabinet by the shelf and has the effect of using the cabinet more easily.

그리고 별도로 많은 결합부품을 필요하지 않게 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선반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it does not need a lot of separate parts separate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in a desired shape without any force for everyone, young and old.

또한, 사용자가 장식장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간편하게 선반을 빼서 원하는 위치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장식장의 구조변경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abinet, simply remove the shelf and insert it in the desired pos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abinet very easily.

그리고 다양한 길이의 선반을 이용하여 마음대로 선반의 형태를 만들 수 있으므로, 장식장에 놓을 물건의 크기와 부피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는 효 과가 있다.And since the shelf can be freely made using shelves of various length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freely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size and volume of the object to be placed in the cabinet.

또한, 종래에는 상기 장식장의 고정된 형태를 고려해서 장식을 위한 물건을 구입하여 장식장에 놓게 되므로, 장식장 형태의 한계 내에서 장식하려는 물건을 찾아야만 하고, 이에 따라 원하는 장식을 위한 물품을 구입하지 못하거나, 더 나아가 원하는 장식을 위한 물품을 구입하고 이에 맞는 새로운 장식장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object for the decoration is purchased in consideration of the fixed form of the cabinet and placed in the cabinet, it is necessary to find the object to be decorated within the limits of the cabinet form, and thus cannot purchase the article for the desired ornament.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and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to purchase a new cabinet for the decoration and to purchase an item for the desired decoration.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식장의 선반들의 형태를 수시로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어 장식장 형태에 한계가 없는 특징이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유롭게 장식을 위한 물품을 구입하여 장식장에 장식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shelves of the cabinet can be freely deformed at any time, there is a feature that has no limit to the form of the cabinet,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freely buy the items for decoration and decorate the cabinet have.

그리고 종래에는 장식장의 고정된 선반 형태에 의해 사용자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게 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식장의 선반들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식장을 다양한 형태로 꾸미는 즐거움을 줄 수 있고, 자신만의 독특함을 강조하여 꾸민 장식장의 형태를 보며 더욱 큰 기쁨을 느낄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related art, a lot of stress has been given to the user by the fixed shelf of the cabinet,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orms of the shelves of the cabinet can be variously modified, thereby giving the user the pleasure of decorating the cabinet in various form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you can feel even more joy to see the form of the decorative cabinets emphasized their uniquenes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desig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과 지지판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장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장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elf and the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decorativ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coration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본 고안은, 일정거리 이격된 상면판(2)과 하면판(3)의 양측에 각각 측면판(4)이 결합되고, 이들의 후방을 폐쇄하며 후면판(6)이 결합하는 통상의 장식장(1)에 조립식 선반구조를 구비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후면결합홈(7)이 형성되는 후면판(6); 후방에 상기 후면결합홈(7)과 대응하며 끼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11)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late 4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plate 2 and the lower surface plate 3 spaced apart at a certain distance, respectively, the rear plate 6 is closed to close the rear plate 6 In the conventional decorative cabinet (1) having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the back plate (6) is formed with one or more back coupling groove (7); At least one shelf 10 having a rear end corresponding to the rear coupling groove 7 and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11 fitted therei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본 고안은, 다양한 길이의 선반(10)을 다양한 위치의 장식장(1) 내부에 끼움 결합하게 되므로, 선반(10)에 의한 장식장(1)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장식장(1)을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f 10 of the various lengths are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 of various positions,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cabinet (1) by the shelf 10 and use the cabinet 1 more easily It can be.

도면과 같이, 상기 장식장(1)의 후면판(6)에는 후면결합홈(7)이 같은 간격으로 수평배열 또는 수직배열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선반(10)의 후방에는 후면결합홈(7)과 대응하는 돌기(11)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선반(10)의 돌기(11)를 후면판(6)의 후면결합홈(7)에 수평 상으로 끼움 결합하며 선반(10)을 장식장(1) 내부에 설치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ar plate 6 of the cabinet 1 is formed with one or more rear coupling grooves 7 are formed in a horizontal arrangement or a vertical arrangement at equal intervals, the rear coupling groove in the rear of the shelf 10 One or more protrusions 11 corresponding to (7) are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s 11 of the shelf 10 are horizontally fitted into the rear coupling grooves 7 of the rear plate 6 and the shelf 10 ) Will be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

이때, 상기 선반(10)은 수평 상 그 길이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길이의 선반(1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장식장(1)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helf 10 is made of a variety of horizontal length, the user can install the shelf 10 of the desired length in the desir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cabinet (1).

또한, 상기 후면결합홈(7)은 장식장(1)의 후면판(6)을 관통하며 구멍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장식장(1)의 후방에서 후면결합홈(7)이 보이지 않도록 홈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ar coupling groove 7 may be formed as a hole through the back plate 6 of the decorative cabinet 1, but is formed as a groove so that the rear coupling groove 7 is not visible from the rear of the decorative cabinet 1. This is desirable.

한편, 상기 선반(10)의 후방에 형성되는 돌기(11)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는바, 상기 돌기(11)를 하나만 형성한 경우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졌을 경우를 말하며, 이때에도 선반(10)을 후면판(6)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돌기(11)를 하나 이상으로 기술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s 11 formed on the rear of the shelf 10 is formed in one or more bar, in the case of forming only one projection 11, refers to the case consisting of one projection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shelf 10 may be coupled to the rear plate 6, the protrusion 11 is described as one or more.

그리고 상기 선반(1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지지판(20)을 장식장(1)의 내부에 설치하게 되는바, 상기 선반(10)의 수평 상 양측 하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지지판(20)을 후면판(6)에 수직 상으로 결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20 is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 to reinforce the support force of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supports the rear plate to support the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elf 10, respectively. It is coupled vertically to (6).

즉, 상기 지지판(20)의 후방에는 후면결합홈(7)과 대응하는 지지돌기(21)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판(20)의 지지돌기(21)를 후면결합홈(7)에 끼움 결합하며 지지판(20)을 장식장(1) 내부에 수직 상으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t least one support protrusion 21 corresponding to the rear coupling groove 7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plate 20,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21 of the support plate 20 is connected to the rear coupling groove 7. The fitting is to install the support plate 20 vertically in the cabinet (1).

이때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은, 상부에 설치된 선반(10)의 한쪽 하면과 밀착되어 선반(10)을 지지하게 됨은 물론, 선반(10)이 장식장(1) 내부의 양 측면판(4)에 밀착되지 않고 장식장(1) 내부의 중앙 측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선반(10)의 한쪽 하면과 다른 쪽 하면에 각각 지지판(20)의 상면이 밀착하도록 지지판(20)을 선반(10)의 하부 양측에 설치한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lower surface of the shelf 1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o support the shelf 10, of course, the shelf 10 is both side plates (4) inside the cabinet 1 In the cas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10 and the other lower surface of the shelf 10,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10 is installed on the center side of the cabinet 1, the support plat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elf 10. Install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한편, 상기 선반(10)의 한쪽 하면에 지지판(20)의 상면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선반(10)이 지지판(20)보다 수평 상으로 더 돌출되면 미관상 보기 안 좋으므로, 지지판(20)의 끝 면과 선반(10)의 한쪽 하면 끝 면이 일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10, if the shelf 10 protrudes further horizontally than the support plate 20, it is not good to look aesthetically, so that the support plate 20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end face coincide with the end face of one side of the shelf 10.

상기에 따라 상기 선반(10)은 도 2a와 같이, 수평 상 길이방향 양 끝단이 후방에 구비되는 돌기(11) 중 양끝의 돌기(11) 각각의 외측 끝단과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20)은 도 2b와 같이, 수직 상 길이방향 양 끝단이 후방에 구비되는 지지돌기(21) 중 양끝의 지지돌기(21) 끝단보다 더 돌출시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20)의 돌출되는 길이는, 지지판(20)의 양끝의 돌기(21)에서 각각 같은 간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돌기(21)(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의 각각의 내측 끝단과 일치되도록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helf 10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outer end of each of the protrusions 11 at both ends of the protrusions 11 provided at the rear in the horizontal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A, and the support plate 20. 2b is formed by protruding more than the ends of the support protrusions 21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rotrusions 21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plate 20 coincides with the respective inner ends of the protrusions 21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the drawing) to be formed to extend at equal intervals from the protrusions 21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late 20. To form.

따라서, 상기 선반(10)의 한쪽 하부에 지지판(20)을 설치하면, 상기 선반(10)의 한쪽 하면과 지지판(20)의 상면이 밀착하며 지지판(20)이 선반(10)을 지지하게 됨은 물론, 상기 선반(10)의 한쪽 끝단과 지지판(20)의 끝 면이 일치되어 선반(10)의 미관이 수려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upport plate 20 is installed on one lower side of the shelf 10, one lower surface of the shelf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plate 20 supports the shelf 10. Of course, one end of the shelf 10 and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shelf 10 may be beautiful.

한편, 상기 선반(10)의 한쪽이 장식장(1) 내부의 측면판(4)과 밀착되어 있으면, 상기 지지판(20)을 설치하여 장식장(1) 내부의 측면판(4)과 밀착한 선반(10) 한쪽의 지지력을 보강해줄 수도 있으나, 이때에는 장식장(1)의 측면판(4)에 지지구(30)를 결합하여 선반(10)의 한쪽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one side of the shelf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late (4) inside the cabinet 1, the shelf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late (4) inside the cabinet (1) by installing the support plate ( 10) It may be to reinforce one side of the supporting force, bu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side of the shelf 10 by coupling the support 30 to the side plate 4 of the decorative cabinet (1).

즉, 상기 장식장(1)의 양 측면판(4)에는 각각 지지구(30)가 결합되는 측면결합홈(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30)에는 측면결합홈(5)에 삽입하는 삽입부(31)와, 선반(10)의 하면과 밀착하며 선반(10)을 지지하는 지지부(32)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지지구(30)의 삽입부(31)가 측면결합홈(5)에 결합하여 선반(10)의 한쪽을 지지부(32)가 지지하게 된다.That is, both side plates (4) of the decorative cabinet (1) is formed with side coupling grooves (5) to each support 30 is coupled, the support 30 is inserted into the side coupling groove (5) The insertion part 31 and the support part 3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10 and supports the shelf 10, the insertion part 31 of the support 30 is the side engaging groove (5)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32 is to support one side of the shelf (10).

이때, 상기 선반(10) 한쪽의 전, 후방을 지지구(30)가 지지하도록, 장식장(1)의 양 측면에는 측면결합홈(5)이 각각 전, 후방에 형성되되, 상기 측면결합홈(5)이 수직배열로 형성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of one side of the shelf 10 to support the support 30, the side coupling grooves 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binet 1,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the side coupling grooves ( 5) is of course formed in a vertical arrangement.

또한, 상기 측면결합홈(5)은 장식장(1)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장식장(1)의 측면 외부방향에서 후면결합홈(7)이 보이지 않도록 홈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ide coupling groove 5 may be formed as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of the decorative cabinet 1, it is preferable to form a groove so that the rear coupling groove 7 is not visible from the side outward direction of the decorative cabinet 1 will b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는, 우선 사용자가 장식장(1)에 장식하고자 하는 물품들을 장식장(1) 주변에 가져다 놓은 다음, 각 물품들을 어떻게 장식할지 고민하며 장식장(1) 내부의 선반(10) 형상을 설정한다.The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user to place the items to be decorated in the cabinet (1) around the cabinet (1), and then consider how to decorate each article inside the cabinet (1) The shelf 10 shape is set.

그리고 사용자는, 설정된 위치에 설정된 길이를 갖는 선반(10)을 후방에 구비된 돌기(11)를 이용하여 후면결합홈(7)에 수평 상으로 끼워 선반(10)을 설치한다. 이때 사용자는 설정된 모든 선반(10)을 모든 설정된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The user installs the shelf 10 by horizontally inserting the shelf 10 having the length set at the set position into the rear coupling groove 7 horizontally using the protrusion 11 provided at the rear. At this time, the user installs all set shelves 10 at all set positions.

또한, 상기 선반(10)의 한쪽이 장식장(1) 내부의 측면판(4)과 밀착해 있으면, 상기 측면판(4)과 밀착된 선반(10)의 한쪽 하부에 지지구(30)를 결합하고, 상 기 선반(10)의 다른 쪽은 수직 상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는 지지판(20)을 결합한다.In addition, when one side of the shelf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late 4 inside the cabinet 1, the support 30 is coupled to one lower part of the shelf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late 4. And, the other side of the shelf 10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0 having a length set in the vertical phase.

따라서, 도 3과 같이 자유롭게 선반(10)을 설치한 장식장(1)이 완료되며, 상기 선반(10)들의 상부에 원하는 물품을 올려놓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장식장이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cabinet 1 freely installed with the shelf 10 is completed, and when the desired item is placed on top of the shelves 10, the cabinet is desired by the user.

한편, 상기 선반(10) 및 지지판(20)은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10)은 수평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후면결합홈(7)의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고, 상기 지지판(20)은 수직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후면결합홈(7)의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된다.On the other hand,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is made of various lengths, the shelf 10 is made of a corresponding length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one or more rear coupling grooves 7 arranged horizontally, The support plate 20 is manufactured to have a corresponding length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one or more rear coupling grooves 7 arranged vertically.

즉, 상기 선반(10) 및 지지판(20)의 각각의 후방에는, 돌기(11)와 지지돌기(21)가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후면결합홈(7)에 대응하는 개수 즉, 3개 또는 4개 등 다양한 개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제작하여, 장식장(1)의 후면판(6)에 선반(10) 및 지지판(20)을 결합하며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t each rear of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one or more protrusions 11 and support protrusions 21 are formed, respectively, that i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ar coupling groove 7, that is, three Or by manufacturing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variety of numbers such as four,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to the back plate 6 of the decoration cabinet 1 to make a variety of forms.

한편, 도 4와 같이 장식장(1) 내부의 수평 상 길이와 대응하는 선반(10)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바, 상기 장식장(1)을 더욱 편리하게 구분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shelf 10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hase length inside the cabinet 1 is also manufactured and used, and the cabinet 1 can be more conveniently divided and used.

이때 상기 선반(10)과 지지판(20)은, 제작 당시 다양한 길이로 제작하여, 많은 선반(10)과 지지판(20) 및 지지구(30)를 사용자에게 판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장식장(1)을 꾸미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식장(1)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도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are manufactured in various lengths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sell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supporter 30 to the user to decorate the cabinet as desired by the user. It can be used to decorate, it is possible to freely modify the shape of the cabinet (1).

즉, 사용자가 장식장(1)의 선반(10) 형태를 변형하고자 한다면, 선반(10)을 전방으로 빼서 후면결합홈(7)에서 돌기(11)를 빼면 선반(10)이 분리되고, 지지판(20)도 전방으로 빼서 후면결합홈(7)에서 지지돌기(21)를 빼면 지지판(20)도 분리되므로, 장식장(1)에서 선반(10) 및 지지판(20)을 분리하기가 매우 간편할 뿐 아니라, 원하는 형태로 선반(10)과 지지판(20)을 분리와 역순으로 설치하여 이 또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식장(1)의 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 바로바로 간편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f the user wants to deform the shape of the shelf 10 of the cabinet 1, the shelf 10 is separated by removing the shelf 10 forward and removing the protrusion 11 from the rear coupling groove 7, the support plate ( Since the support plate 20 is also removed when the support protrusion 21 is removed from the rear coupling groove 7 by removing the front side 20, it is very easy to separate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from the cabinet 1. In addition, since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can be installed in a reverse order from the reverse and in the desired form, the shelf 10 and the support plate 20 can be easily installed.

또한, 상기 장식장(1)을 판매함에 있어서, 변형될 수 있는 장식장(1)의 형태를 한정하여 하나의 패턴으로 지정하고, 상기와 같은 패턴을 여러 가지로 구비하여, 각 패턴에 사용되는 선반(10)과 지지판(20) 및 지지구(30)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ale of the cabinet (1), by limiting the shape of the cabinet (1) that can be deformed to designate one pattern, and provided with a variety of such patterns, the shelf used for each pattern ( 10)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support 30 may be sold to the user separately.

한편, 상기 선반(지지선반)은 나무 또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바, 상기 나무로 제작할 경우에는 사각 판 형상의 선반을 제작하고 상기 돌기를 따로 제작하여 선반의 후방에 돌기를 결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금형으로 사출하여 간편하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사각 판 형상의 선반을 제작하고 상기 돌기를 따로 제작하여 선반의 후방에 돌기를 결합함이 바람직한바, 이 외에도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돌 기가 구비된 선반을 제작하는 것은 단순 재질변경이므로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며, 각 재질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돌기가 구비된 선반을 제작함에 있어 그 제작방법이나 구조를 달리함은 단순 재질변경에 따른 구조적 설계변경이므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helf (support shelf) can be made of wood or plastic or metal bar, if the wood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shaped shelf and the protrusions separately to combine the projections on the rear of the shelf In this case, when the plastic is produc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old is simply injected into the mold, and when the metal is manufactured, the rectangular plate-shaped shelf is manufactured and the protrusions are separately manufactured to combine the protrusion at the rear of the shelf. Preferred bar, in addition to making a shelf with a projection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is a simple material change, using each material to make a shelf with a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 are different, the structural desig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mple material change. It would be within the scope of the intended.

또한, 상기 돌기의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돌기의 형상을 사각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인바, 이는 돌기 형상의 단순 변경에 속하므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rotrusion is shown and described in a circular form,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possible to form the shape of the protrusion in the shape of a rectangle, oval or polygon, of course, this belongs to a simple change in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Will belong to the category of devise.

그리고 상기 선반의 후방에 돌기를 형성하지 않고 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장식장의 후면판에 홈이 아닌 돌기를 형성하여 선반을 장식장의 후면판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바, 이는 단순 설계변경에 지나지 않으므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groove may be formed without forming a protrusion at the rear of the shelf, and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rear plate of the cabinet to allow the shelf to be coupled to the rear plate of the cabinet. This is also only a categor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고안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esign changes of each p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과 지지판의 구성을 보인 도면2a and 2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elf and the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장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corativ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장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corativ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장식장 2 - 상면판 3 - 하면판1-Cabinet 2-Top plate 3-Bottom plate

4 - 측면판 5 - 측면결합홈 6 - 후면판4-side plate 5-side coupling groove 6-back plate

7 - 후면결합홈7-rear coupling groove

10 - 선반 11 - 돌기10-lathe 11-turning

20 - 지지판 21 - 지지돌기20-support plate 21-support protrusion

30 - 지지구 31 - 삽입부 32 - 지지부30-Support 31-Insert 32-Support

Claims (5)

일정거리 이격된 상면판(2)과 하면판(3)의 양측에 각각 측면판(4)이 결합되고, 이들의 후방을 폐쇄하며 후면판(6)이 결합하는 통상의 장식장에 조립식 선반구조를 구비함에 있어서,Side panels 4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op plate 2 and the bottom plate 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is installed in a common cabinet where the rear plates 6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providing, 하나 이상의 후면결합홈(7)이 형성되는 후면판(6);A back plate 6 on which one or more back coupling grooves 7 are formed; 후방에 상기 후면결합홈(7)과 대응하며 끼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11)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At least one shelf 10 having a rear end corresponding to the rear coupling groove 7 and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11 fitted therein;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면결합홈(7)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되, The rear coupling groove 7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같은 간격으로 수평배열 또는 수직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arrangement at the same interv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반(10)은, 하나 이상으로 수평배열되는 후면결합홈(7) 중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 구조.The shelf 10 is a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made in a corresponding length as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rear coupling groove (7) arranged horizontal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후방에 상기 장식장(1)의 후면결합홈(7)과 대응하며 끼움 결합하는 지지돌기(21)가 수직배열로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면은 상측에 결합한 선반(10)의 하면과 밀착하고, 하면은 하측에 결합한 선반(10)의 상면과 밀착하는 지지판(2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One or more support protrusions 21 corresponding to the rear coupling grooves 7 of the decorative cabinet 1 and fitted to the rear are provided in a vertical arrangement at the rear, and the upp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10 coupled to the upper side. Silver support plate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10 coupled to the lower side;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식장(1)의 양 측면판(4)에 같은 간격으로 수직배열되어 각각 형성되는 측면결합홈(5);Side coupling grooves 5 which are vertic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both side plates 4 of the decoration cabinet 1, respectively; 상기 각각의 측면결합홈(5)에 각각 끼움 결합하여 선반(10)의 하면과 밀착하는 지지구(3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의 조립식 선반구조.Supporting means (30)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helf (10) by fitting into the respective side coupling grooves (5); Prefabricated shelf structure of th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KR2020090014906U 2009-11-17 2009-11-17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KR2011000511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06U KR20110005118U (en) 2009-11-17 2009-11-17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06U KR20110005118U (en) 2009-11-17 2009-11-17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18U true KR20110005118U (en) 2011-05-25

Family

ID=4929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906U KR20110005118U (en) 2009-11-17 2009-11-17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118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574A (en) * 2016-04-24 2016-07-13 金勇� LEGO building block type modular bookshelf
CN115462624A (en) * 2022-10-19 2022-12-13 李娅 File cabin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574A (en) * 2016-04-24 2016-07-13 金勇� LEGO building block type modular bookshelf
CN115462624A (en) * 2022-10-19 2022-12-13 李娅 File cabinet
CN115462624B (en) * 2022-10-19 2024-01-09 李娅 File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3433A (en) Merchandising display system
CA126120S (en) Candy
WO2006035742A1 (en) Combination housing furniture
KR20110008725U (en) Shelf Holder for System Furniture
KR20130077007A (en) Self-assembly divided interior shelf set having varied corner member
CN205804697U (en) Combination type wall
US20170105553A1 (en) Decorative article with receiving member
KR20110005118U (en)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lf for a Display Rack
CN203619188U (en) Perfect variable display rack
US20160273568A1 (en) Diy leg frame and diy furniture using same
KR200460603Y1 (en) Variable rack
KR100210755B1 (en) Assembly check furniture
CN210329870U (en) Bookshelf unit and combined bookcase
CN205106944U (en) Disposable drawer panel of pattern and contain combination layer cabinet of this kind of panel
KR20090115376A (en) Shelf
CN216467109U (en) Ornament
KR20200134046A (en) Case for displaying an object
KR200377530Y1 (en) Knockdown display stand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length
CN212787973U (en) Object placing unit and object placing device comprising same
CN214711829U (en) Assembled garden for multiple scenes
JP3143104U (en) Swivel wall hanging shelf
CN201798285U (en) Combined rectangular-ambulatory-plane furniture
KR102149012B1 (en) Self-assembly display stand using modular frame
KR200444412Y1 (en) Component of Furniture and Furniture Using the Component
KR200287510Y1 (en) Show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