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281A -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281A
KR20200099281A KR1020190017032A KR20190017032A KR20200099281A KR 20200099281 A KR20200099281 A KR 20200099281A KR 1020190017032 A KR1020190017032 A KR 1020190017032A KR 20190017032 A KR20190017032 A KR 20190017032A KR 20200099281 A KR20200099281 A KR 20200099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g
personal
user
doct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448B1 (ko
Inventor
황희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워즈
Priority to KR102019001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4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CG(심전도) 센서 및 각종 센서를 탑재한 웨어러블 기기들로부터 측정, 수집된 개인 라이프 로그 정보들을 개인 주치의와 공유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싱된 ECG를 환경 정보와 개인 활동(운동)량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일상 생활에서의 개인의 심장 질환 유무를 의사가 판독할 수 있는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회원 사용자에게 응급시 이를 처리하는 최소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응급 통지용 앱을 강제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REMOTE MANAGEMENT METHOD FOR PERSONALIZED HEALTH CARE BASED ON ECG}
본 발명은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웨어러블 밴드,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IoT 기기의 보급이 급속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나, 소비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일상 생활에서 불편한 점을 개선하거나 획기적인 삶의 변화를 일으킬만한 가치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는 현재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기들은 제품의 차별화가 어려운 운동량 관리 영역에 머물러 있어 때문이다. 이에 소비자 구매 의욕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운동(활동) 관리에서 개인의 건강 관리 및 예방 영역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의 휴대용 ECG(심전도) 장치는 개인의 ECG 신호를 측정 및 저장 후 병원에 설치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저장된 정보를 읽어, 분석하는 방법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개인은 병원에 내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의사는 ECG 정보만을 확인 할 수 있어, 측정 당시의 개인의 환경이나 활동 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판독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비회원 사용자에게 응급시 이를 처리하는 최소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ECG 데이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들로부터 측정 및 수집되는 개인의 환경 정보 및 활동 정보와 같은 라이프 로그 정보를 함께 개인 주치의에게 제공하며, 비회원 사용자에게도 응급 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는, 부착자의 ECG(electrocardiogram; 심전도) 신호를 감지하여 그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ECG 측정기; 상기 부착자의 체온, 기온, 고도, 및 자외선 지수인 환경 정보, 그리고, 상기 부착자의 이동 속도, 상기 부착자의 이동 거리, 및 상기 부착자의 이동 타입인 개인 활동량 정보를 구비하는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측정하는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기기 그룹; 상기 웨어러블 ECG 측정기으로부터 수신한 ECG 신호 데이터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 그룹으로부터 수신한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 상기 부착자가 회원 사용자인 경우, 상기 ECG 신호와 상기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ECG 신호 및 상기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데이터 정보로 저장하는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 및 주치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에 분석된 상기 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정보를 조회하여 표시하는 개인 주치의 PC를 포함하는 개인 주치의 서비스 시스템의 개인 주치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ECG 측정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동된 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응급 통지 기능을 구비하는 응급 통지용 앱의 설치를 권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응급 통지용 앱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응급 통지용 앱에서 사용자에게 개인 주치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회원 가입을 요청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회원 미가입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최소한의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비회원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상기 ECG 신호가 비정상일 경우, 상기 비회원인 사용자에게 위험을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위험 안내에 대해 무대응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응급 상황임을 상기 획득한 최소 권한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른 앱을 통해, 다른 사용자나 응급 조치 기관에 응급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개인 주치의 서비스 신청시 등록한 웨어러블 기기 모델 정보를 조회하여 블루투스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미리 프로그램 되어 기설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연동 프로그램 모듈 중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에 해당되는 데이터 분석용 연동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연동 모듈에서,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라이브 로그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연동 모듈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미리 규약된 서버와의 표준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상기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주치의 PC에서,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개인 주치의 PC에서 주치의 사용자로부터 가입된 회원 리스트 중 특정 회원을 선택 받고, 선택된 해당 회원에게 비정상 ECG가 발생했는지 판단하고, 비정상 ECG가 있는 경우 이를 상기 주치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개인 주치의 PC에서 상기 주치의 사용자 인증 후 상기 해당 회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회원의 상기 비정상 ECG 데이터를 시간축 상의 ECG 그래프 또는 상기 비정상 ECG가 발생한 시간 정보의 리스트 중 하나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비정상 ECG 그래프나 상기 시간 정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시간에 기록된 라이프 로그 데이터들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비정상 ECG 데이터와 상기 라이트 로그 데이터들 사이의 상관 관계가 나타나도록 하고 상기 ECG 데이터를 상기 환경 정보와 상기 개인 활동량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일상 생활에서 상기 회원의 심장 질환 유무의 판독을 도와주도록 타임 라인상에 각각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서, 현 위치 기준, 주소 기준, 인기순, 및 평판순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치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목록 중 상기 회원 사용자에 의해 주치의가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에서 서비스 신청을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사용하는 웨어러블 기기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회원 사용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서 제공하는 라이프 로그 정보중 주치의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웨어러블 ECG 측정기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ECG 신호 및 라이브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수신된 ECG 신호를 보정 및 도식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도식화된 ECG 데이터를 표시하는 ECG 신호 처리부; 다양한 데이터 포맷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정보 추출하고, 특정 포맷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써드 파티 데이터 연동부; 및 상기 단만기 사용자가 개인용 주치의 서비스 가입하게 하는 단말기 서비스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ECG 데이터와 라이브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고, 개인 주치의 서비스 가입 처리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상기 주치의 PC의 요청에 따라 조회 데이터를 상기 주치의 PC와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개인별, 시간별로 저장하고 다양한 조건으로 검색을 수행하는 라이프 로그 관리부; 상기 ECG 데이터를 개인별 ECG 로 데이터(raw data)로 저장하고, 상기 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ECG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ECG 관리부; 상기 주치의 PC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조회 요청을 처리하여 결과를 응답하는 주치의 서비스 처리부; 및 개인 주치의 서비스의 가입, 해지 및 인증(로그인)을 관리하는 서버 서비스 관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라이프 로그 정보(위치, 생체, 운동 및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휴대용 웨어러블 ECG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ECG 정보와 결합하여 개인의 건강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함으로써, ECG 데이터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진단 및 판독이 가능하도록 하며, 일반 동네 병원의 의사와 개인 간에 인터넷상으로 개인 주치의 계약을 맺고, 개인의 라이브 로그 데이터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 및 개인 건강 관리를 제공하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앱으로 개인 주치의를 선택하고, 자신의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되는 라이브 로그 데이터를 해당 주치의에게 제공하면, 주치의는 주기적으로 제공된 라이브 로그 데이터와 서버에서 제공하는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강 이상 여부를 진단하고 개인에게 피드백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ECG 데이터 등의 보다 전문적인 생체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의 단순한 운동 및 활동량 관리 위주의 헬스케어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회원 사용자에게 응급 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관련 앱을 강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
도 4는 휴대 단말기와 웨어러블 ECG 측정기의 연동되어 주치의 서비스의 비회원인 사용자의 위험을 안내하는 과정의 순서도,
도 5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에서 웨어러블 기기들과 통신하여, 등록된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된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서 개인 주치의 PC을 통해 ECG 데이터와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유의미한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및
도 7은 도 1의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에서 회원 사용자가 개인 주치의 서비스를 신청하는 절차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서 감지된 ECG(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정보를 이용한 개인 주치의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 휴대 단말기(300),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 및 개인 주치의 PC(50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는 웨어러블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 부착된 장치로, 부착자(회원 사용자)의 ECG(electrocardiogram;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는 사용자의 ECG 신호를 감지하는 전위 센서, 및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의 통신 모듈은 휴대 단말기(300)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 200-1,200-2,200-3)은 다양한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은 심박 센서, 온도 센서, UV 센서, 가속도 센서, 및 고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은 이러한 센서를 통해 기온, 체온, 고도, 자외선 지수와 같은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은 이동 속도, 이동 거리, 이동 타입(걷기, 뛰기) 등의 개인 활동(운동)량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라이프 로그 정보(데이터)는 환경 정보 및 개인 활동량 정보를 의미한다.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은 하나의 기기 또는 사용자 신체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되는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은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 단말기(30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 및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은 사물 인터넷(IoT)을 지원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는 여러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또는 이러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휴대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휴대 단말기(300)은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으로부터 수신한 ECG 신호 데이터 및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으로부터 수신한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는 ECG 신호와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분석된 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정보를 개인 주치의 PC에 제공할 수 있다.
개인 주치의 PC(500)는 주치의의 요청에 따라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에 저장 및 분석된 ECG 및 라이프 로그 정보를 조회하고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300)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300)는 단말기 제어부(310), 단말기 통신부(320), ECG 신호 처리부(330), 써드 파티(3rd party) 데이터 연동부(340), 및 단말기 서비스 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320)는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320)는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ECG 신호 및 라이브 로그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ECG 신호 처리부(330)는 수신된 ECG 신호를 보정 및 도식화할 수 있다. 도식화된 ECG 데이터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 그룹(200)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포맷을 가진다. 써드 파티 데이터 연동부(340)는 다양한 데이터 포맷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정보 추출을 할 수 있다. 써드 파티 데이터 연동부(340)는 다양한 포맷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특정 포맷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300) 및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에서 데이터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말기 서비스 관리부(350)는 단말기 사용자(회원 사용자)가 스마트 폰 등에서 개인용 주치의 서비스 가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1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ECG 신호 처리, 서비스 가입 등의 제어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모듈, 위치 정보에 관련된 GPS 모듈,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에 관련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접속 모듈은 단말기 통신부(320)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10)는 써드 파티 연동부(340)에서 처리한 특정 포맷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 및/또는 ECG 신호 처리부(330)에서 보정 처리한 ECG 신호를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 모듈을 통해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은 서버 제어부(410), 서버 통신부(420), 라이프 로그 관리부(430), ECG 관리부(440), 및 주치의 서비스 처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420)는 휴대 단말기(300)과 인터넷을 통해 ECG 데이터와 라이브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고, 개인 주치의 서비스 가입 처리 정보를 송수신하고, 주치의 PC의 요청에 따라 조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라이프 로그 관리부(430)는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개인별, 시간별로 저장하고 다양한 조건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ECG 관리부(440)는 개인별 ECG를 로(raw) 데이터(data)로 저장하고, 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심전도 정보를 이용하여 ECG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주치의 서비스 처리부(450)는 주치의 PC(50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조회 요청을 처리하여 결과를 응답할 수 있다.
서버 서비스 관리부(460)는 개인 주치의 서비스의 가입, 해지 및 인증(로그인)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41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휴대 단말기(300)와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의 연동되어 주치의 서비스의 비회원인 사용자의 위험을 안내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는 휴대 단말기(300)와 블루투스 통신 등으로 서로 연동되고,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에서 휴대 단말기(300)로 관련 앱 설치를 권유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510). 관련 앱은 적어도 응급 통지 기능을 구비하는 응급 통지용 앱인 것이 바람직하다.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는 응급 통지용 앱이 설치되지 않으면,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앱의 설치를 강제할 수 있다. 이는 주치의 서비스의 비회원이라도, 사용자의 최소한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주치의 서비스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휴대 단말기(300)에서 응급 통지용 앱이 실행(S515)되면, 응급 통지용 앱은 사용자에게 주치의 서비스의 회원 가입을 권유할 수 있다(S520). 사용자가 주치의 서비스의 회원이 되면,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주치의 서비스의 회원에 미가입하면, 다양한 주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는 없게된다. 그러나, 주치의 서비스의 최소한의 기능, 예를 들어, 응급시에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최소한의 주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응급 통지용 앱은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기(300)의 최소한의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S525). 최소한의 권한은 통화 앱 접근 및 실행 권한이며, 그 외에 연락처 접근 권한, 문자 메시지 접근 권한, 위치 정보 접근 권한 등이 있을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에서 웨어러블 ECG 측정기(100)으로부터 수신한 ECG 신호가 비정상으로 판단(S535)하고, 사용자가 비회원인 경우, 응급 통지용 앱은 비회원 사용자에게 위험을 안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를 통한 위험 안내에 대해 사용자가 무대응한 경우, 응급 통지용 앱은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획득한 최소 권한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른 앱을 통해, 다른 사용자나 응급 조치 기관에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S560).
또한, 응급 통지용 앱은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로 ECG 응급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이 경우, 비회원이라도 일반 회원처럼 주치의 서비스 중 일부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CG 응급 메시지를 분석한 주치의 사용자가 응급 기관에 연락을 하거나, 사용자에게 고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에서 웨어러블 기기들과 통신하여, 등록된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된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300)은 사용자가 개인 주치의 서비스 신청시 등록한 웨어러블 기기(200) 모델 정보를 조회하여 블루투스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의 종류를 판단(S610)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은 미리 프로그램 되어 설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연동 프로그램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은 상기 여러 종류의 연동 프로그램 모듈 중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200)에 해당되는 데이터 분석용 연동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S620).
상기 실행된 연동 모듈은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라이브 로그 데이터들을 추출할 수 있다(S630).
상기 실행된 연동 모듈은 추출된 데이터를 미리 규약된 서버와의 표준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S640)하고, 인터넷을 통해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650).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서 개인 주치의 PC을 통해 ECG 데이터와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유의미한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또한, 주치의 사용자가 개인의 라이브 로그 정보로부터 심장 질환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판독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인 주치의 PC(500)는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710). ECG 응급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주치의 서비스 회원의 단말로부터 발송되지만, 비회원의 단말로부터도 전송 받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회원이라도 응급일 경우, 본 주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개인 주치의 PC(500)는 주치의 사용자로부터 가입된 회원 리스트 중 특정 회원을 선택 받을 수 있다(S720). 개인 주치의 PC(500)는 회원 선택을 받으면, 해당 회원에게 비정상 ECG가 발생했는지 판단하여 비정상 ECG가 있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730).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개인 주치의 PC(500)는 주치의 사용자 인증 후 해당 회원을 선택할 수 있다(S740). ECG 응급 메시지가 비회원에 기인한 경우,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는 주치의 사용자가 개인 주치의 PC(500)를 이용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응급 메시지를 해당 개인 주치의 PC(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응급 메시지는 비회원으로 기인한 것이며, 다른 주치의 사용자가 처리하겠다는 의사 표시가 있으면, 해당 응급 메시지는 개인 주치의 PC(500)에서 사라지거나 처리되었다는 안내를 주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인 주치의 PC(500)에서 회원 또는 응급 상황의 비회원이 선택되면, 주치의 사용자가 해당 회원에 대한 정보, 또는 비회원의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살펴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정상 ECG는 심전도 기록들 중 정상 범위가 아닌 범위의 심전도 기록이 있음을 의미한다. ECG 응급은 심전도 기록들 등이 정상 범위가 아니며 응급 상황인 범위의 심전도 기록이 있음을 의미한다. 비정상 ECG는 ECG 응급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는 회원의 심전도가 ECG 응급이면, 이를 개인 주치의 PC(500)로 이를 알리거나, 개인 주치의 PC(500)의 주치의 사용자의 다른 연락 수단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주치의 사용자는 비정상 ECG 데이터 존재를 확인 후 비정상 ECG 데이터 조회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S750). 이때 화면 표시 방법은 시간축 상의 ECG 그래프로 표현되거나 비정상 ECG가 발생한 시간 정보의 리스트로 표현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된 비정상 ECG 그래프나 시간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는 해당 시간에 기록된 라이프 로그 데이터들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S760)하고, 타임상에 각각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770). 이를 통해 주치의 사용자는 비정상 ECG 데이터와 라이프 로그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주치의는 심전도 데이터를 환경 정보 및 개인 활동량 정보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일상 생활에서의 회원의 심장 질환 유무를 더 정확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판독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에서 회원 사용자가 개인 주치의 서비스를 신청하는 절차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원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300)에서, 현 위치 기준, 주소 기준, 인기순, 평판순 등의 조건으로 주치의 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S810).
검색된 목록으로부터 상세 주치의 정보를 확인 후 회원 사용자가 주치의를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300)는 서비스 신청을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에 요청할 수 있다(S820).
써드 파티 데이터 연동부(340)에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300)는 사용자에게 사용하는 웨어러블 기기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830). 휴대 단말기(300)는 등록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는 회원 사용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서 제공하는 라이프 로그 정보중 주치의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면(S840), 이를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400)에 전송하여(S850), 서비스 신청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 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웨어러블 ECG 측정기 200: 웨어러블 기기 그룹
300: 휴대 단말기 400: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
500: 개인 주치의 PC

Claims (4)

  1. 부착자의 ECG(electrocardiogram; 심전도) 신호를 감지하여 그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ECG 측정기;
    상기 부착자의 체온, 기온, 고도, 및 자외선 지수인 환경 정보, 그리고, 상기 부착자의 이동 속도, 상기 부착자의 이동 거리, 및 상기 부착자의 이동 타입인 개인 활동량 정보를 구비하는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측정하는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기기 그룹;
    상기 웨어러블 ECG 측정기으로부터 수신한 ECG 신호 데이터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 그룹으로부터 수신한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
    상기 부착자가 회원 사용자인 경우, 상기 ECG 신호와 상기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ECG 신호 및 상기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데이터 정보로 저장하는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 및
    주치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에 분석된 상기 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정보를 조회하여 표시하는 개인 주치의 PC를 포함하는 개인 주치의 서비스 시스템의 개인 주치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ECG 측정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동된 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응급 통지 기능을 구비하는 응급 통지용 앱의 설치를 권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응급 통지용 앱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응급 통지용 앱에서 사용자에게 개인 주치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회원 가입을 요청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회원 미가입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최소한의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비회원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상기 ECG 신호가 비정상일 경우, 상기 비회원인 사용자에게 위험을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위험 안내에 대해 무대응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응급 상황임을 상기 획득한 최소 권한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른 앱을 통해, 다른 사용자나 응급 조치 기관에 응급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개인 주치의 서비스 신청시 등록한 웨어러블 기기 모델 정보를 조회하여 블루투스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미리 프로그램 되어 기설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연동 프로그램 모듈 중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에 해당되는 데이터 분석용 연동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연동 모듈에서,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라이브 로그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연동 모듈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미리 규약된 서버와의 표준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상기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주치의 PC에서,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개인 주치의 PC에서 주치의 사용자로부터 가입된 회원 리스트 중 특정 회원을 선택 받고, 선택된 해당 회원에게 비정상 ECG가 발생했는지 판단하고, 비정상 ECG가 있는 경우 이를 상기 주치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ECG 응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개인 주치의 PC에서 상기 주치의 사용자 인증 후 상기 해당 회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회원의 상기 비정상 ECG 데이터를 시간축 상의 ECG 그래프 또는 상기 비정상 ECG가 발생한 시간 정보의 리스트 중 하나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비정상 ECG 그래프나 상기 시간 정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시간에 기록된 라이프 로그 데이터들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비정상 ECG 데이터와 상기 라이트 로그 데이터들 사이의 상관 관계가 나타나도록 하고 상기 ECG 데이터를 상기 환경 정보와 상기 개인 활동량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일상 생활에서 상기 회원의 심장 질환 유무의 판독을 도와주도록 타임 라인상에 각각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서, 현 위치 기준, 주소 기준, 인기순, 및 평판순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치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목록 중 상기 회원 사용자에 의해 주치의가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에서 서비스 신청을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사용하는 웨어러블 기기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회원 사용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에서 제공하는 라이프 로그 정보중 주치의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개인 주치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KR1020190017032A 2019-02-14 2019-02-14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KR102272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32A KR102272448B1 (ko) 2019-02-14 2019-02-14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32A KR102272448B1 (ko) 2019-02-14 2019-02-14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281A true KR20200099281A (ko) 2020-08-24
KR102272448B1 KR102272448B1 (ko) 2021-07-02

Family

ID=7223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032A KR102272448B1 (ko) 2019-02-14 2019-02-14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817B1 (ko) * 2021-10-28 2022-09-16 김정애 통근버스 탑승자 관리 시스템
WO2024005340A1 (ko) * 2022-06-26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건강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922A (ko) 2022-07-29 2024-02-06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 판독 센터를 이용한 협진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17319A (ko) 2022-07-29 2024-02-07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 판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864A (ko) 2003-06-17 2003-09-02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인터넷 콜센터를 이용한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KR20120028585A (ko) 2010-09-15 2012-03-23 박우종 1차 의료기관 통합형 가상종합병원 시스템
KR20130062464A (ko) 2011-11-25 2013-06-1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864A (ko) 2003-06-17 2003-09-02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인터넷 콜센터를 이용한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KR20120028585A (ko) 2010-09-15 2012-03-23 박우종 1차 의료기관 통합형 가상종합병원 시스템
KR20130062464A (ko) 2011-11-25 2013-06-1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817B1 (ko) * 2021-10-28 2022-09-16 김정애 통근버스 탑승자 관리 시스템
WO2024005340A1 (ko) * 2022-06-26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건강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448B1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448B1 (ko)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Abdullah et al. Real time wireless health monitoring application using mobile devices
US6891936B2 (en) Remote data control system and measuring data gathering method
US11636932B1 (en) Proximity-based mobile-device updates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US200802940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lological data readings, transmission and presentation
CN104778344A (zh) 用于一通讯网络中提供健康相关服务的云端系统及其方法
CN103767691A (zh) 基于移动终端的实时诊断系统
KR102074913B1 (ko) 웨어러블 기기에서 감지된 ecg(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정보를 이용한 개인 주치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ara et al. Communication protocol for enabling continuous monitoring of elderly peopl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s
KR20060124082A (ko)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80106099A (ko) 웹 기반의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rinz et al. inSERT--an NFC-based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or patients with impaired fine motor skills
Penmatsa et al. Smart detection and transmission of abnormalities in ECG via Bluetooth
US20190269344A1 (en) Mobile Electrocardiogram System
KR20090085404A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US20190006030A1 (en) Automated healthcare system
Molano et al. Internet of things: A prototype architecture using a raspberry Pi
JP2007286947A (ja) 健康維持管理システム
KR20090014481A (ko)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eto et al. Context-aware eHealth information approach for the Brazilian primary healthcare system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TWM517881U (zh) 遠距醫療量測管理設備
KR20140022215A (ko) U-헬스케어 시스템용 중계 단말기 및 매니저 서버
Mitra et al. IoMT in Healthcare Industry—Concepts and Applications
KR102159997B1 (ko) 의료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