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280A -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280A
KR20200099280A KR1020190017031A KR20190017031A KR20200099280A KR 20200099280 A KR20200099280 A KR 20200099280A KR 1020190017031 A KR1020190017031 A KR 1020190017031A KR 20190017031 A KR20190017031 A KR 20190017031A KR 20200099280 A KR20200099280 A KR 20200099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skin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워즈
Priority to KR102019001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280A/ko
Publication of KR2020009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는, 연성기판 및 상기 연성기판 상에 배치되며 기설정된 복수의 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다수 개 구비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외피부; 상기 발광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플렉시블(flexible)하고 광확산재를 구비하는 재질의 내피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른 구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구동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가 발광하도록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A MASK DEVICE FOR SKIN BEAUTY CARE}
본 발명은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선요법은 오래 전부터 태양광, 레이저, 형광등, 자외선 램프, 적외선 램프 등의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광을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선택적 재생 또는 파괴를 통해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광 의료 기술이다.
최근에는 피부질환치료뿐만 아니라 피부 미용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엘이디(LED) 램프의 광을 얼굴 피부에 조사하는 미용 마스크가 제안되고 있다. 즉,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LED 광원을 조사하기 위해 미용 마스크에 LED 발광 장치를 부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4882호는 안면에 착용한 상태로 안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된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마다 얼굴 형태가 모두 상이함에 비해 상기 종래의 피부미용 광 마스크는 일정 형태로 고정이 되어있어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상기 미용 광 마스크를 조정하여 밀착시키기는 것이 곤란하다.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스마트 기기에서 앱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에 부품을 최소화여 생산 단가를 낮추며, 스마트 기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4882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피부미용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경험(UE; User Experience)를 향상시키며,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는, 연성기판 및 상기 연성기판 상에 배치되며 기설정된 복수의 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다수 개 구비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외피부; 상기 발광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플렉시블(flexible)하고 광확산재를 구비하는 재질의 내피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른 구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구동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가 발광하도록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데이터는 광조사될 안면 부위, 광조사 시간, 조사되는 광 세기, 및 조사되는 광의 파장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에 장치가 근접하면 근접 검출 신호를 발신하는 근접 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근접 센서 모듈로부터 근접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테스트용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근접 센서 모듈의 상기 근접 검출 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의 구동을 개시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내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모듈; 및 상기 내피부를 투과하는 광 세기를 측정하는 광 센서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측정된 광 세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의 발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 중 어느 하나는, 400 내지 49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제1 LED; 570 내지 62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제2 LED; 620 내지 75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제3 LED; 및 750 내지 100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제4 LED;를 구비하고, 상기 어느 한 발광 소자는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LED 중 적어도 하나를 방광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확산제는 아크릴(acrylic)계 수지, 실록산(siloxan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및 스티렌(styrene)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유기(organic) 광확산제, 및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황산 바륨(barium sulfate),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 실리카(silica), 유리(glass), 활석(talc), 운모(mica), 화이트카본(white carbon),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아연(zinc oxide) 및 이산화 타이타늄(titanium dioxide) 중에서 선택된 무기(inorganic) 광확산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확산제는 아크릴(acrylic)계 수지, 실록산(siloxan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및 스티렌(styrene)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유기(organic) 광확산제, 및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황산 바륨(barium sulfate),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 실리카(silica), 유리(glass), 활석(talc), 운모(mica), 화이트카본(white carbon),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아연(zinc oxide) 및 이산화 타이타늄(titanium dioxide) 중에서 선택된 무기(inorganic) 광확산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내피부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90중량 % 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resin), 합성고무, 천연고무, 섬유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피부는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resin), 합성고무, 천연고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용 마스크 장치는 피부에 밀착성을 높이고, 안면 전체에 균일한 광을 조사시킬 수 있어 피부 피부미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분리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안면에 착용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에서 연성기판 상에 다수 개의 발광부가 배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제어 계통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2차원 조도분포에 관한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마스크 장치의 3차원 조도분포에 관한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면에 착용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에서 연성기판 상에 다수 개의 발광부가 배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100)는 외피부(100a), 내피부(100b) 및 발광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피부(100a), 내피부(100b) 및 발광부(10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시 시각확보 및 코, 입 등 일부 돌출된 형상에 대응하도록 얼굴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부(101)는 외피부(100a) 및 내피부(100b) 사이에 배치되며, 연성기판(105) 및 발광소자(106)를 구비할 수 있다.
연성기판(105)은 회로가 형성되어 변형 가능한 필름기판으로, 예를 들면, FPCB 기판 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기판을 의미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106)는 연성기판(105)상에 배치되어 소정 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해당 광은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될 수 있다.
발광부(101)는 다수 개의 발광 소자(106)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 개의 발광소자(106)는 제어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단자(107)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발광소자(106)는 연성기판(105) 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내피부(100b)를 향하도록 분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소자(106)는, 400 내지 490nm, 570 내지 620nm, 620 내지 750nm, 및 750 내지 1000nm의 파장대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즉, 발광 소자(106)는 특정 대역의 파장만을 방출하거나, 2 이상의 파장대역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106)는 400 내지 490nm의 파장대역 및 570 내지 620nm의 파장대역을 동시에 포함하여 두 가지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광 소자(106)는 400 내지 490nm, 570 내지 620nm, 620 내지 750nm, 및 750 내지 1000nm의 파장대역을 모두 포함하여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파장 대역 방출에 의해, 본 발명의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는 피부에 방사되는 다양한 파장대의 광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 피부미용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외피부(100a)는 발광부(101)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부(100a)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피부(100a)는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resin), 합성고무, 천연고무, 섬유류 등의 소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외피부(100a)의 외측 표면을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외피부(100a)는 흰색 또는 유색을 갖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피부(100a)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방광부(101)와 대면하는 면에 반사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 코팅층은 외피부(100a)의 투명도와 무관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 코팅층은 연성기판(105)의 일면, 타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내피부(100b)는 발광부(101)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안면에 밀착 가능한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피부(100b)는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피부에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사람마다 상이한 안면 윤곽 및 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있다.
예를 들면, 내피부(100b)의 재질은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resin),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의 소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내피부(100b)에 적용되는 상기 소재들은 발광부(101)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흡수하지 않고 안면에 전달하기 위해 투명하거나 투명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한 재질의 내피부(100b)는 투명한 실리콘, 투명한 고무 등의 소재에 광확산제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제의 첨가로, 발광부(101)로부터 직하조명 방식으로 방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키며, 전체에 골고루 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광확산제는 아크릴(acrylic)계 수지, 실록산(siloxan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및 스티렌(styrene)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유기(organic) 광확산제, 및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황산 바륨(barium sulfate),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 실리카(silica), 유리(glass), 활석(talc), 운모(mica), 화이트카본(white carbon),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아연(zinc oxide) 및 이산화 타이타늄(titanium dioxide) 중에서 선택된 무기(inorganic) 광확산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 타이타늄(titanium dioxide)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제의 함량은 발광부(101)로부터 조사되어 안면에 전달되는 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내피부 총 중량에 대하여 약 5 내지 9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제의 함량이 약 5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광의 균일도 효과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광확산제의 함량이 높아지는 경우, 기본 소재로 사용되는 수지 또는 고무의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이로 인해 광투과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100)는, 사용자가 숨을 용이하게 쉬게 하거나, 외부를 볼 수 있도록, 외피부(100a), 내피부(100b) 및 발광부(101) 각각에 형성되는 한쌍의 눈개구부(102), 코개구부(103), 및 입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쌍의 눈개구부(102)는 인체의 안구 부위에 공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여, 안구를 보호할 수 있다. 코개구부(103) 또는 입개구부는 사용자의 날숨에 따른 내피부에 김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피부(100a) 또는 내피부(100a)는 결합 밴드용 개구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밴드용 개구부(104)는 외피부(100a) 또는 내피부(100a)의 끝단의 일측 및 타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밀착되어 유익한 광을 안면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하며, 특히, 피부에 매우 가까이 위치한 상태에서 발광하기 때문에 피부미용에 충분한 광량의 조사가 가능하며, 발광소자의 파장 특성상 1 내지 5mm 깊이까지 침투가 가능하여 진피층 깊숙이 광이 투과 흡수되게 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주름완화, 세포재생, 콜라겐 활성화, 미백 효과 등의 피부 미용 효과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한 재질의 마스크 장치(100)를 두루마기 처럼 말릴 수 있는 등의 형태 변형으로 휴대성 및 보관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제어 계통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는 발광 소자(106)를 다수 개(1~N) 구비하는 발광부(101), 제어부(200), 통신부(220), 조작부(240), 출력부(250), 센싱부(260), 저장부(270), 및 전원 공급부(29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인터넷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데, 구동 신호, 개시 신호, 및 테스트용 개시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구동 신호는 광조사될 안면 부위, 광조사 시간, 조사되는 광 세기, 및 조사되는 광의 파장대 등의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는 앱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다양하게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템플릿 또는 프리셋(pre-set)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프리셋은 사용자들에 의해 구동 정보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구동 신호는 후술할 개시 신호 및/또는 테스트용 개시 신호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개시 신호는 발광부(101)가 구동 되도록 지시하며, 테스트용 개시 신호는 개시 신호의 특별한 경우로 발광부(101)가 강제로 구동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조작부(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가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24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4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조작부(240)를 이용하면 사용자 단말기 없이도 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의 편리를 위해, 조작부(240)는 전원 온/오프와 같은 간단한 기능을 위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 모듈, 음향 출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70)는 구동 신호에 구비된 구동 정보를 구동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발광부(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제1 내지 제4 LED를 구비할 수 있다. LED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LED는 다양한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LED는 400 내지 490nm 파장대의 광을, 제3 LED는 570 내지 620nm 파장대의 광을, 제3 LED는 620 내지 750nm 파장대의 광을, 제4 LED는 750 내지 100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LED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저장부(270)에 저장된 구동 데이터에 따라 발광부(101)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다수 개의 발광 소자(106) 중 어느 발광 소자(106)가 시간 및 해당 소자의 발광부(101) 상의 위치에 따라 다중 파장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대의 광을 소정의 세기로 방출하게 할 수 있다.
센싱부(260)는 근접 센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은 사용자의 안면에 장치가 근접하면 근접 검출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근접 센서 모듈로부터 근접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다수 개의 발광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를 안면에 착용한 경우에만, 발광부(101)에서 광이 방출되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하고 전원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테스트용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근접 센서 모듈의 근접 검출 신호와 무관하게, 다수 개의 발광 소자의 구동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가 정상 작동하는 여부를 테스트 할 수 있다.
센싱부(260)는 내피부(100b)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모듈 및/또는 내피부(100b)를 투과하는 광 세기를 측정하는 광 센서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측정된 광 세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다수 개의 발광 소자의 발광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실시예 1
실리콘 소재를 준비한 후 금형을 이용하여 외피부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하였고, 투명한 실리콘 95중량%에 이산화 타이타늄(titanium dioxide) 5중량%를 균일하게 배합하여 상기 외피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내피부를 제조하였다. 또한, 연성기판에 20mw를 소모하여 작동하는 발광소자 100개를 장착하여 발광부를 제조하였다. 이때 발광소자는 595nm 파장의 광과 630nm 파장 및 830nm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3개의 LED 칩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외피부에 연성 기판을 고정하고 외피부와 내피부의 눈부분, 코부분 및 가장자리를 맞추어 조립하고 접착제로 고정하여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피부 제조시 광확산제를 15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피부 제조시에 광확산제를 30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내피부 제조시에 광확산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2차원 조도분포 및 3차원 조도분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피부미용 마스크의 3차원 기구도와 발광소자의 배치도를 적용하고, 투명한 실리콘 소재 자체인 내피와 투명 실리콘 소재에 이산화 타이타늄이 각각 0, 5, 15, 30중량%가 포함되었을 경우의 양방향산란분포함수(bidirectional scattering distribution function)를 적용하여, 내피부를 투과하는 광의 산란을 시뮬레이션 하여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의 안면방향으로 추출되는 광의 2차원 조도 분포와 3차원 조도 분포에 대한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광확산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도 7(A) 및 도 8(A)), 피부미용 마스크의 양면과 중심의 조도분포가 균일하지 않으나, 광확산제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더 피부미용 마스크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조사가 이루어 짐을 알 수 있다(도 7(B) 내지 도 7(D), 도 8(B) 내지 도 8(D)).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 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100: 마스크 본체
100a: 외피부 100b: 내피부
101: 발광부 102: 눈 개구부
103: 코 개구부 104: 결합 밴드용 개구부
105: 연성기판 106: 발광소자
107: 단자 108: 컨트롤러
200: 제어부 220: 통신부
240: 조작부 250: 출력부
260: 센싱부 270: 저장부
290: 전원 공급부

Claims (6)

  1. 연성기판 및 상기 연성기판 상에 배치되며 기설정된 복수의 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다수 개 구비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외피부;
    상기 발광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플렉시블(flexible)하고 광확산재를 구비하는 재질의 내피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른 구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구동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가 발광하도록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데이터는 광조사될 안면 부위, 광조사 시간, 조사되는 광 세기, 및 조사되는 광의 파장대를 구비하는, 피부 미용 마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에 장치가 근접하면 근접 검출 신호를 발신하는 근접 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근접 센서 모듈로부터 근접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피부 미용 마스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테스트용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근접 센서 모듈의 상기 근접 검출 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의 구동을 개시하는, 피부 미용 마스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내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모듈; 및
    상기 내피부를 투과하는 광 세기를 측정하는 광 센서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측정된 광 세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의 발광을 중지시키는, 피부 미용 마스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제는 아크릴(acrylic)계 수지, 실록산(siloxan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및 스티렌(styrene)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유기(organic) 광확산제, 및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황산 바륨(barium sulfate),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 실리카(silica), 유리(glass), 활석(talc), 운모(mica), 화이트카본(white carbon),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아연(zinc oxide) 및 이산화 타이타늄(titanium dioxide) 중에서 선택된 무기(inorganic) 광확산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발광 소자 중 어느 하나는,
    400 내지 49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제1 LED;
    570 내지 62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제2 LED;
    620 내지 75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제3 LED; 및
    750 내지 1000nm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제4 LED;를 구비하고,
    상기 어느 한 발광 소자는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LED 중 적어도 하나를 방광시키는,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KR1020190017031A 2019-02-14 2019-02-14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KR20200099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31A KR20200099280A (ko) 2019-02-14 2019-02-14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31A KR20200099280A (ko) 2019-02-14 2019-02-14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280A true KR20200099280A (ko) 2020-08-24

Family

ID=7223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031A KR20200099280A (ko) 2019-02-14 2019-02-14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2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882B1 (ko) 2010-10-29 2011-10-19 (주) 로우티에스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882B1 (ko) 2010-10-29 2011-10-19 (주) 로우티에스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1758A (zh) 用于向受试者提供光疗的系统和方法
JP6333833B2 (ja) 光による美容治療のためのデバイス、装置、及びアセンブリ
KR20150044237A (ko) 안면 피부 클리닉 마스크 장치
EP3210647B1 (en) Pams technology-based skin adhesive-type low level light irradiator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2300604A (zh) 用于向受试者提供光疗的系统和方法
KR200471948Y1 (ko) 안면 마스크
KR20180134624A (ko)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US11975215B2 (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treatment of skin
CN209405520U (zh) 一种led保健头盔装置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KR20200035711A (ko)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KR101642839B1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팜스 기술기반의 피부접착식 저출력광선조사기 시스템
KR20200099280A (ko)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CN102753235A (zh) 光治疗系统
KR102570298B1 (ko) 파장 가변 led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W201315506A (zh) 光療裝置
CN114028728B (zh) Led光治疗面膜罩及其智能控制方法
KR102490509B1 (ko) 개인용 조합자극 led 마스크
KR102375681B1 (ko) 피부관리용 마스크
TWM499228U (zh) 臉部光療裝置
KR102361453B1 (ko) 핸드용 피부 관리 장치
KR101875409B1 (ko) 머리 착용형 장치
KR101826510B1 (ko) 스마트 단말기와 광원을 이용한 치료기
KR101561448B1 (ko)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광치료기
KR102543925B1 (ko) 피부 미용 광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