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226A -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226A
KR20200099226A KR1020190016563A KR20190016563A KR20200099226A KR 20200099226 A KR20200099226 A KR 20200099226A KR 1020190016563 A KR1020190016563 A KR 1020190016563A KR 20190016563 A KR20190016563 A KR 20190016563A KR 20200099226 A KR20200099226 A KR 20200099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lighting
iot smart
wireless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정종혁
Original Assignee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226A/ko
Publication of KR2020009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5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illumination, e.g.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1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기능, 해충방지기능, 조명기능 및 외부 단말기의 충전기능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에 관한 것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기 위한 무선스피커부; 초음파신호를 발생시켜 해충을 방지하기 위한 해충방지부; 조명부, 무선스피커부 및 해충방지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조명부, 무선스피커부, 해충방지부 및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Multi-function IoT smart chair}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기능, 해충방지기능, 조명기능 및 외부 단말기의 충전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에 관한 것이다.
야외활동의 인구가 증가하는 시점에,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는 야외 캠핑,낚시 및 등산 등의 여가생활을 영유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제품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6870호(2014.06.05 등록)는 사용자가 앉을 때, 자체에서 생성된 전원으로 엘이디를 점등시켜 유지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조명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과; 좌판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좌판을 지지해 주는 다리; 좌판의 배면에 상방으로 비스듬히 일정길이 설치되어 좌판에 사용자가 앉을 경우, 사용자의 등을 받쳐 주는 등받이를 포함하되, 좌판은, 수용공간을 갖는 제1지지판; 제1지지판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공을 갖는 제2지지판; 제1지지판의 저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되, 내부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콘트롤박스; 제1지지판의 수용공간과 제2지지판의 관통공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가압판; 제1지지판의 수용공간과 가압판의 수용공간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가압판을 원위치시키는 스프링; 가압판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가압판의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가압판이 제2지지판의 관통공을 통해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압테두리판; 가압테두리판의 저면을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 압력신호를 보내는 에프에스알센서(FSR : Force Sensing Resistor); 콘트롤박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전지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5612호(2016.01.08 공개)는 조명등을 사용하고자 하는 승객에게만 효율적으로 빛을 제공하여, 조명등을 사용하는 승객 및 사용하지 않는 승객 모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 의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등받이와; 등받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기구와; 등받이에 설치되며, 조명기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발지지하는 조명기구탄발체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조명기구를 잠그거나 풀고, 조명기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회전 후 이동 상태가 유지되어 조명기구의 조명각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조명기능이 내장된 제품이 일부 개발, 판매되고 있으나 조명은 단순한 무드등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수준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는 야간에, 조명으로 인해 모여드는 해충을 방지할 수 없으며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스피커구성도 포함되지 않아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소형전자기기를 별도로 구비해야한다. 더욱이,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소형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포트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장시간 캠핑시에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소형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를 추가로 구비해야만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687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8561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기능, 해충방지기능, 조명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충전기능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서비스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기 위한 무선스피커부; 초음파신호를 발생시켜 해충을 방지하기 위한 해충방지부;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및 상기 해충방지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상기 해충방지부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개의 LED를 구비하여 빛을 발산하는 LED램프수단;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램프수단을 디밍하는 디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선스피커부는, 외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수신받는 블루투스모듈수단; 및 상기 블루투스모듈수단으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아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루투스모듈수단은, 외부 단말기에서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최대 통신거리가 20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해충방지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1000Hz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는,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및 상기 해충방지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및 상기 해충방지부의 구동을 제어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리모컨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하기 위한 리모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멀티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노래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버튼; 및 노래의 재생순서를 변경하는 재생순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제어명령을 전달해 주기 위한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원을 생산하여 출력하는 전원생산수단; 및 상기 전원생산수단에서 생산되어 출력되는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상기 해충방지부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충전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배터리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포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생산수단은, 복수개의 태양광 셀을 구비하여 직류 전류를 생산하며 생상된 전류를 집적하여 상기 충전배터리수단으로 출력하는 태양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생산수단은, 상기 태양광부재를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의 후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전배터리수단은, 리튬이온배터리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의 하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전원생산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상기 해충방지부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스피커기능, 해충방지기능, 조명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충전기능이 가능하므로 야간에 활용도가 높고 캠핑, 낚시 및 등산에도 활용이 가능하고 야외활동시에 음악을 듣고 필요시 소형전자기기의 충전, 야간 활동에 필요한 랜턴 및 해충방지 역할도 가능하므로, 즐거운 여가생활을 영유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조명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무선스피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해충방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전원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전원생산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10)는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해충방지부(300), 제어부(400), 전원공급부(500), 입력부(600)를 포함한다.
조명부(100)는,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명부(100)는, 전원공급부(50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한다.
무선스피커부(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스피커부(200)는, 이어폰단자를 구비하여 필요시 이어폰의 연결잭을 이어폰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전원공급부(500)로부터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해충방지부(300)는, 초음파신호를 발생시켜 해충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해충방지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주파수를 발진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해충방지부(300)는, 제어부(400)에 구비된 고정형 발진회로에서 생성된 기 설정된 주파수 발진 신호가 해충방지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해충방지부(300)는, 전기에너지를 초음파로 변환시켜 발생하기 위한 압전소자가 결합된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및 해충방지부(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공급부(500)는,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해충방지부(300) 및 제어부(4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는, 입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0)는,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해충방지부(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제어부(400)로 입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해충방지부(300)의 구동을 제어해 준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조명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부(100)는, LED램프수단(110), 디밍수단(120)을 포함한다.
LED램프수단(110)은, 복수개의 LED를 구비하여 빛을 발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LED 발광시에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커버를 투명재질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라 투과율이 70 내지 90중 어느 하나로 세팅된 보조커버를 커버의 상부에 구성하여 맞춤형 LED 조명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커버를 투명 재질로 한정하지 않고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량을 보정하기 위한 반투명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디밍수단(120)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LED램프수단(110)을 디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밍수단(120)은, 제어부로(400)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구동신호에 따라 조명부(100)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전압출력레벨을 가변하여 LED램프수단(110)으로 공급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무선스피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스피커부(200)는, 블루투스모듈수단(210), 스피커수단(220)을 포함한다.
블루투스모듈수단(210)은, 외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수신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모듈수단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마이크와 같은 별도 장비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송신 모듈의 기능도 포함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모듈수단(210)은,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외부 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수단(220)으로 송신한다.
일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모듈수단(210)은, 외부 단말기에서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최대 통신거리가 20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피커수단(220)은, 블루투스모듈수단(210)으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아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수단(220)은, 의자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수단(220)은, 스피커수단(220)의 일측에 이어폰단자를 구비하여 필요시 이어폰의 연결잭을 이어폰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스피커수단(220)의 다른 일측에 충전단자를 구비하고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내부전원회로를 구성하여 전원공급부(500)로부터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수단(220)은, 스피커수단(220)의 외부 일측에 조명부(100)가 고정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해충방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충방지부(300)는, 초음파발생수단(310)을 포함한다.
초음파발생수단(310)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1000Hz의 초음파를 발생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해충방지부(300)는, 제어부(400)에 구비된 고정형 발진회로에서 생성된 주파수 1000Hz의 발진 신호가 초음파발생수단(3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초음파발생수단(310)은, 전기에너지를 초음파로 변환시켜 발생하기 위한 압전소자가 결합된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10)는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해충방지부(300), 제어부(400), 전원공급부(500`), 입력부(600`), 신호수신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해충방지부(300), 제어부(400)는 도 1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600`)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리모컨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하기 위한 리모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600`)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멀티스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600`)는, 노래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버튼; 및 노래의 재생순서를 변경하는 재생순서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신호수신부(700)는, 입력부(600)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400)로 제어명령을 전달해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전원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500`)는, 전원생산수단(510), 충전배터리수단(520)을 포함한다.
전원생산수단(510)은, 전원전원을 생산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전배터리수단(520)은, 전원생산수단(510)에서 생산되어 출력되는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해충방지부(300) 및 제어부(4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원공급부(500`)는, 충전포트수단(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포트수단(530)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충전포트를 구비하여, 충전배터리수단(5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포트수단(530)은, USB 205FB 타입을 사용하여 충전회로의 최대 출력전류를 2A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전원생산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생산수단(510)은, 태양광부재(511)을 포함한다.
태양광부재(511)는, 복수개의 태양광 셀을 구비하여 직류 전류를 생산하며 생상된 전류를 집적하여 충전배터리수단(5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생산수단(510)은, 태양광부재(511)를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의 후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배터리수단(520)은, 리튬이온배터리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의 하측에 고정 형성되어 전원생산수단(510)과 연결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조명부(100), 무선스피커부(200), 해충방지부(300) 및 제어부(4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배터리수단(520)은, 금속재의 하우징 내에 전해액을 포함하고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사이에 절연 소자를 포함하여 충전 또는 방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배터리수단(520)은, 용량을 2600mA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는, 스피커기능, 해충방지기능, 조명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충전기능이 가능하므로 야간에 활용도가 높고 캠핑, 낚시 및 등산에도 활용이 가능하고 야외활동시에 음악을 듣고 필요시 소형전자기기의 충전, 야간 활동에 필요한 랜턴 및 해충방지 역할도 가능하므로, 즐거운 여가생활을 영유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100 : 조명부
200 : 무선스피커부
300 : 해충방지부
400 : 제어부
500 : 전원공급부
600 : 입력부
700 : 신호수신부

Claims (5)

  1.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기 위한 무선스피커부;
    초음파신호를 발생시켜 해충을 방지하기 위한 해충방지부;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및 상기 해충방지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상기 해충방지부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개의 LED를 구비하여 빛을 발산하는 LED램프수단;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램프수단을 디밍하는 디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스피커부는,
    외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수신받는 블루투스모듈수단; 및
    상기 블루투스모듈수단으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아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방지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1000Hz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5. 상기 조명부, 상기 무선스피커부 및 상기 해충방지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KR1020190016563A 2019-02-13 2019-02-13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KR20200099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63A KR20200099226A (ko) 2019-02-13 2019-02-13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63A KR20200099226A (ko) 2019-02-13 2019-02-13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226A true KR20200099226A (ko) 2020-08-24

Family

ID=7223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563A KR20200099226A (ko) 2019-02-13 2019-02-13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2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162A (zh) * 2021-06-15 2021-09-21 中机工程有限公司 城市智慧街区照明设备及控制系统
KR20220135985A (ko) * 2021-03-31 2022-10-07 문종훈 멀티 기능을 갖는 다목적 소파
KR102459821B1 (ko) * 2021-12-02 2022-10-27 주식회사 피앤지 휴대용 다용도 해충퇴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870B1 (ko) 2013-03-21 2014-06-13 (주)제이앤씨세기 조명기능을 갖는 조명의자
KR101585612B1 (ko) 2015-02-10 2016-01-14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870B1 (ko) 2013-03-21 2014-06-13 (주)제이앤씨세기 조명기능을 갖는 조명의자
KR101585612B1 (ko) 2015-02-10 2016-01-14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 의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985A (ko) * 2021-03-31 2022-10-07 문종훈 멀티 기능을 갖는 다목적 소파
CN113418162A (zh) * 2021-06-15 2021-09-21 中机工程有限公司 城市智慧街区照明设备及控制系统
CN113418162B (zh) * 2021-06-15 2022-05-31 中机工程有限公司 城市智慧街区照明设备及控制系统
KR102459821B1 (ko) * 2021-12-02 2022-10-27 주식회사 피앤지 휴대용 다용도 해충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9226A (ko)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US7997772B2 (en) Flameless candle with multimedia capabilities
US20160097527A1 (en) Battery powered electronic candle with speaker
WO2005109080A3 (en) Head mounted photoeffective device
CN103067816A (zh) 一种360度音效的蓝牙音箱
CN104506993A (zh) 多功能蓝牙音响装置
TWM569517U (zh) 多功能無線充電板
EP3776792A1 (en) A portable electrical device with integrated charger
KR20110120378A (ko) 휴대폰 멀티 충전기
US20120140600A1 (en) Table lamp with alarm clock
CN212752531U (zh) 一种蓝牙音响灯
CN208424724U (zh) 一种智能音响
US20200044468A1 (en) Mobile power supply module with light source
CN202125733U (zh) 一种多功能led手电筒
CN206403869U (zh) 一种眼科医疗用led灯
CN212108164U (zh) 白噪音情景灯
CN109991881A (zh) 用于远程控制电子设备的音频调节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018426B1 (ko) 멀티기능 led 스탠드
CN209345332U (zh) 具备充电照明功能的蓝牙音箱
CN216122855U (zh) 一种声控图案发光蓝牙音箱电路系统
US20240170981A1 (en) Outdoor power bank
CN217011079U (zh) 调音式音箱装置
CN210372991U (zh) 磁悬浮音响桌灯
CN209806021U (zh) 一种散热效果好的wifi智能音响
KR101653399B1 (ko) 이동식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