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426B1 - 멀티기능 led 스탠드 - Google Patents

멀티기능 led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426B1
KR101018426B1 KR1020100093872A KR20100093872A KR101018426B1 KR 101018426 B1 KR101018426 B1 KR 101018426B1 KR 1020100093872 A KR1020100093872 A KR 1020100093872A KR 20100093872 A KR20100093872 A KR 20100093872A KR 101018426 B1 KR101018426 B1 KR 10101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module
power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Original Assignee
이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덕 filed Critical 이용덕
Priority to KR102010009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멀티기능 LED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의 사용목적에 따른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도록 조명의 조도와 색상의 조절이 가능하며, 특정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하는 음원이 출력되는 LED 스탠드에 관한 것이고, 또한, 정전 등의 이유로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도 일정 시간 이상 조명과 음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한 멀티기능 LED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기능 LED 스탠드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회전부에 구비되고, 발산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의 조절이 가능한 LED를 포함하는 LED모듈;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LED가 발산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조명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입력모듈; 스피커와, 뇌를 자극하여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하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원메모리와, 상기 음원메모리의 음원 데이터를 독출 재생시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재생엔진을 포함하는 음원모듈; 그리고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제어모듈과 음원모듈에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와, 정전시 상기 조명제어모듈과 음원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회로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부와, 상기 직류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전원을 변압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전원을 평활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펄스파를 생성하는 펄스파 트랜지스터와, 상기 펄스파 트랜지스터의 출력전원 일부를 스위칭하여 방전시켜 생성되는 충전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방전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과 상기 방전부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파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기능 LED 스탠드{LED Desk lamp}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멀티기능 LED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의 사용목적에 따른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도록 조명의 조도와 색상의 조절이 가능하며, 특정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하는 음원이 출력되는 LED 스탠드에 관한 것이고, 또한, 정전 등의 이유로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도 일정 시간 이상 조명과 음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한 멀티기능 LED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는 독서를 하거나 학습을 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스탠드는 실내 전체를 조명하는 형광등과 달리 사용자가 위치한 일정 공간만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스탠드 사용목적에 따른 환경 조건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그래서 스탠드에는 조명되는 빛의 조도(밝기)를 조절하는 기능, 삼파장을 통한 시력보호 기능,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기능,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여 발열 줄이고 전력소모도 줄이는 기능 등을 구비한 것들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스탠드는 공개특허 제2004-0084478호, 공개특허 제2008-0089093호, 등록특허 제0874592호, 미국등록특허 제5384519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스탠드에서는 사용 환경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조명의 조도와 색상 조절, 그리고 발열 최소화 등과 같은 외부적인 조건에만 집중이 되어있다.
사용 환경에는 조명의 조도나 색상과 같은 외부적인 조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정신적, 신체적인 상태에 대한 내부적인 조건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의 집중력을 높이거나, 스트레스나 불안함 등을 해소시켜 편안함을 느끼거나, 액티브한 활동력을 높이거나 하는 등의 정신적, 신체적인 내부조건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정신적, 신체적인 내부조건은 소리에 의해 뇌를 자극하여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하여 높일 수 있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에서는 이러한 것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스탠드를 사용하다가 정전 등의 이유로 조명이 꺼지게 되면 하던 일을 중단해야 할 뿐만 아니라, 리듬이 깨지고 스트레스가 급증하게 된다.
따라서, 스탠드의 사용이 외부요인에 의해 중단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에서는 이러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가 구비하지 아니하는 기능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스탠드 사용 환경을 최적화하고, 스탠드 사용이 의도하지 않게 외부요인에 의해 중단되는 일이 없도록 한 멀티기능 LED 스탠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기능 LED 스탠드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회전부에 구비되고, 발산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의 조절이 가능한 LED를 포함하는 LED모듈;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LED가 발산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조명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입력모듈;
스피커와, 뇌를 자극하여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하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원메모리와, 상기 음원메모리의 음원 데이터를 독출 재생시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재생엔진을 포함하는 음원모듈; 그리고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제어모듈과 음원모듈에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와, 정전시 상기 조명제어모듈과 음원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회로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부와,
상기 직류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전원을 변압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전원을 평활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펄스파를 생성하는 펄스파 트랜지스터와, 상기 펄스파 트랜지스터의 출력전원 일부를 스위칭하여 방전시켜 생성되는 충전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방전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과 상기 방전부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파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LED가 발산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제어모듈로 피드백하는 조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다수의 버튼과,
입력되는 명령신호의 내용을 보여주는 표시창과,
외부 메모리장치가 연결되는 입력포트와,
상기 버튼, 표시창 및 입력포트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상기 조명제어모듈 및 상기 음원모듈로 전송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모듈의 마이컴은
입력되는 명령신호의 내용을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명령신호를 해당하는 상기 조명제어모듈 또는 음원모듈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스탠드의 사용목적에 따른 모드별 빛의 조도 및 색상, 그리고 음원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분석부에서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른 해당 모드에 대한 조도, 색상 및 음원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조명제어모듈 및 음원모듈로 전송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멀티기능 LED 스탠드는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여 발열이 적고, 전력소비가 적으며, 반영구적이고, 친환경적이고,
조명의 조도 및 색상(색온도)의 조절, 그리고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구동되므로 갑작스런 하던 일을 중단해야 하는 불편이 없고, 갑작스런 중단에 따라 리듬이 깨지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일 등이 발생하지 않는 멀티기능 LED 스탠드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LED 스탠드의 본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모듈 및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의 충전회로 회로도.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기능 LED 스탠드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기능 LED 스탠드는 본체(10), LED모듈(30), 조명감지센서(46, 48), 조명제어모듈(40), 입력모듈(630), 음원모듈(50), 무정전 전원공급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포스트(11)와, 회전부(13), 받침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15)는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모듈들이 내장되고, 외부에는 입력모듈의 버튼과 표시창과 입력포트, 음원모듈의 스피커, 조명감지센서 등이 구비된다.
상기 포스트(11)는 상기 받침부(15)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13)는 상기 포스트(11)의 상부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LED모듈(3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3)에는 상기 포스트(11)와의 힌지결합 부위 외에 LED 빛의 조사방향을 추가적으로 2단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LED모듈(30)은 상기 본체(10)의 회전부(13) 저면에 장착되며, 빛을 발하는 LED(31)와, 상기 LED(31) 다수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LED에서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발산하는 커버와, 빛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31)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발하는 R(Red), G(Green), B(Blue) 소자가 하나의 패키지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각 소자가 발산하는 빛이 파장이 합성되어 자체로 다양한 파장의 색상 연출이 가능하고, 또한 발산하는 빛의 조도(즉, 밝기)의 조절도 가능하다.
LED(31)에서 발산되는 빛의 파장(즉, 색상 또는 색온도) 및 조도(즉, 밝기)를 조절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명감지센서(46, 48)는 LED에서 발산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제어모듈(40)로 피드백하여 전송함으로써 설정된 조도와 색상의 빛이 지속적으로 조명되도록 한다.
상기 조명감지센서에는 입사되는 빛의 조도 세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46)와, 입사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는 파장센서(48)가 있다.
상기 조명제어모듈(40)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입력모듈(6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신호에 따른 조도와 색상의 빛이 발산되도록 한다.
상기 조명제어모듈(40)은 상기 LED(31)가 발산하는 빛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조절부(41)와, LED가 발산하는 빛의 색상을 제어하는 색상조절(43)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제어모듈(40)의 조도조절부(41)와 색상조절부(43)는 LED(31)를 구성하는 각각의 R, G, B 소자에 광제어전원을 출력하여 조도와 색상을 조절하게 되는데, 각각의 R, G, B 소자로 출력되는 광제어전원은 PWM신호로 이루어지고, PWM신호는 LED가 발산할 빛의 조도와 파장(색상)에 따른 듀티비, 진폭, 주기를 갖는다.
LED(31)가 발산하는 빛의 조도와 색상을 조절하는 기술 역시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입력모듈(60)은 사용자의 조작에 명령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명령신호를 조명제어모듈(40)과 음원모듈(50)에 전송한다.
상기 입력모듈(60)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다수의 버튼(61)과,
입력되는 명령신호의 내용 등을 보여주는 표시창(62)과,
USB와 같은 외부 메모리장치가 연결되는 입력포트(63)와,
입력모듈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처리하고, 조명제어모듈(40)과 음원모듈(50)로 해당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마이컴(65)과,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가 명령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61)으로는 온/오프 버튼, 모드 선택버튼, 조도 조절버튼, 색상 조절버튼, 음원 선택버튼, 음원 플레이버튼, 볼륨 조절버튼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포트(63)에는 외부 메모리장치가 연결되어, 각 모듈(40, 50, 60)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추가 또는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고, 음원메모리(51)에 새로운 음원데이터를 추가로 저장시킬 수 있고, 외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음원을 직접 스피커(52)로 출력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65)은
입력되는 명령신호의 내용을 분석하는 분석부(66)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명령신호를 해당하는 조명제어모듈 또는 음원모듈로 전송하는 전송부(67)와,
스탠드의 사용목적에 따른 모드별 빛의 조도와 색상, 그리고 음원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모드선택부(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드선택부(68)에 설정되는 모드의 예로는 학습모드, 독서모드, 휴식모드, 집중력강화모드, 수면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학습모드에서는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캘빈온도 약 6500K의 청색계열 색상 빛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독서모드에서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캘빈온도 약 5000K의 노란색계열 색상 빛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휴식모드에서는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 앉혀주는 캘빈온도 약 3000K의 붉은색계열 색상 빛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암기력 향상 등의 집중력강화모드에서는 녹색계역의 색상 빛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성을 자극하여 무드를 조성할 때에는 주황색계열의 빛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위와 같은 각 모드에서는 빛의 색상뿐만 아니라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시키는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함께 출력되는 것이 좋다. 이처럼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시키는 음원은 일반적으로 '바이노럴비트'라고 한다.
이러한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시키는 음원은 단독으로 출력될 수도 있지만, 클래식, 가곡, 팝송, 가요 등의 음원에 믹싱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연구로 발견된 뇌파에는 베타파,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 등이 있다.
베타파는 13~21Hz 대의 주파수를 갖고, 진폭이 작다. 그리고 매우 자극적인 뇌파이고, 활발한 활동 중에 경험되는 뇌파이다.
알파파는 8~12Hz 대의 주파수를 갖고, 진폭은 중간 정도로 작다. 그리고 몸은 휴식 중이고 마음은 고요한 상태에서 경험되는 뇌파이다.
세타파는 4~7Hz 대의 주파수를 갖고, 진폭이 크다. 그리고 꿈을 꾸는 중이나 몽상 중에 경험되는 뇌파이다.
델타파는 3~3Hz 대의 주파수를 갖고, 진폭이 크다. 그리고 깊은 수면을 취하는 중에 경험되는 뇌파이다.
따라서, 학습모드에서는 베타파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음원을 출력하고, 독서모드에서는 알파파의 발생을 촉신시키는 음원을 출력하고, 휴식모드에서는 알파파 또는 세타파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음원을 출력하고, 수면모드에서는 델타파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음원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뇌파를 발생시키는 음원은 단독으로 출력될 수도 있지만, 여러 음원이 믹싱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음원모듈(50)은 스피커(52), 음원메모리(51) 그리고 재생엔진(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피커(52)는 음원 데이터를 소리로 복원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52) 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스피커를 대체하여 이어폰(53)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음원메모리(51)에는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시키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고, 그 외에 일반 음악이나 안내 멘트에 관한 음원들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재생엔진(54)은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메모리(51)에서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독출하고 재생(디코딩)시켜 상기 스피커(52) 또는 이어폰(53)으로 송출하여 소리로 재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재생엔진(54)은 입력포트(63)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음원도 직접 독출 및 재생시킬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엔진(54)은 음원을 스피커(52)로 송출하여 출력하기 전에 출력될 음원의 제목이나, 뇌파 등에 관한 안내 멘트가 먼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학습모드에서는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베타파 또는 알파파 또는 베타파와 알파파가 믹싱된 음원이 송출되도록 하며, 타이머와 연동되어 일정시간(예;1시간)이 경과되면 학습을 잠시 중단하고 약 5분에서 10분 정도 스트레칭과 같은 운동을 하도록 하는 멘트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음악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수단(70)은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될 때에는 상용 교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제어모듈(40)과 음원모듈(50) 및 입력모듈(60)에 공급하고,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되지 않을 때에는 배터리(73)의 전원을 상기 조명제어모듈(40)과 음원모듈(50) 및 입력모듈(60)에 공급하여, 조명이 갑작스럽게 꺼지고 음원의 출력이 중단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수단(70)은 배터리(73), 파워서플라이(71), 충전회로(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워서플라이(71)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각 모듈(40, 50, 6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73)는 정전으로 파워서플라이(71)에 외부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방전하여 각 모듈에 공급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차단으로 조명이 꺼지거나 음원의 출력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충전회로(1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켜, 배터리(73)가 항시 만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회로(100)는 직류부(110), 스위칭부(120), 트랜스포머(T1), 평활부(130), 피드백부(140), 방전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직류부(110), 스위칭부(120), 트랜스포머(T1), 평활부(130), 피드백부(140)는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공유할 수도 있다.
상기 직류부(110)는 다이오드와 캐패시터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직류부(110)에는 다이오드와 캐패시터 외에,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 보호하는 퓨즈와 써지옵저버,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직류부(11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펄스파를 만들어 트랜스포머(T1)의 1차측에 공급한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직류부(110)의 출력전원으로 충전되는 캐패시터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여 펄스파를 생성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트랜스포머(T1)는 상기 스위칭부(120)에서 스위칭된 1차측의 펄스파를 변압(승압 또는 강압)하여 2차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평활부(130)는 상기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으로 유기되는 펄스파형의 출력전원을 평활한다.
상기 평활부(130)는 트랜스포머(T1)의 출력전원원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평활하는 커패시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코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피드백부(140)는 상기 평활부(130)의 출력전원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피드백시켜, 상기 제어부(160)가 평활부(130)로 일정한 크기의 정전류 또는 정전압의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방전부(150)는 상기 평활부(130)의 출력전원 중 일부를 방전시킨다. 다시 말해 평활부(130)의 출력전원 중 일부 전원이 방전된 충전전원을 배터리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상기 방전부(150)는 상기 평활부(130)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펄스파를 생성하는 펄스파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펄스파 트랜지스터(Q5)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일부 전원을 그라운드로 방전시키는 방전 트랜지스터(Q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펄스파 트랜지스터(Q5)와 방전 트랜지스터(Q6)의 스위칭은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펄스파 트랜지스터(Q5)는 차단(OFF)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평활부(130)의 출력전원을 차단하고, 도통(ON)되어 있는 구간(시간)에서만 상기 평활부(130)의 출력전원이 출력되도록 하여 펄스파를 생성하고,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Q6)는 도통(ON)되어 있을 때에 상기 펄스파 트랜지스터(Q5)에서 출력되는 펄스파 전원의 일부를 그라운드로 방전시켜 펄스파의 전원을 설정된 파형의 충전전원으로 변환시켜 배터리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펄스파 트랜지스터(Q5)와 방전 트랜지스터(Q6)를 통해 생성된 충전전원은 캐패시터(C25,C26)를 통해 평활되고, 코일(WB)을 통해 평활된 충전전원에 포함된 써지전원(즉, 오버슈트전원)이 제거되고, 다이오드(D25)를 통해 정류된 후에 배터리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트랜스포머(T1)에 입력되는 출력파형의 듀티비를 조절하고, 방전부(150)의 펄스파 트랜지스터(Q5)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충전전원 파형의 주기(펄스폭)을 조절하고, 방전 트랜지스터(Q6)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충전전원 파형의 형상을 조절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멀티기능 LED 스탠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스트 20 : 회전부
30 : LED모듈 31 : LED
40 : 조명제어모듈 41 : 조도조절부
43 : 색상조절부 46,48 : 조명감지센서
50 : 음원모듈 51 : 음원메모리
52 : 스피커 54 : 재생엔진
60 : 입력모듈 61 : 버튼
62 : 표시창 63 : 입력포트
64 : 통신부 65 : 마이컴
70 : 무정전 전원공급수단 71 : 파워서플라이
73 : 배터리 100 : 충전회로

Claims (4)

  1.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회전부에 구비되고, 발산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의 조절이 가능한 LED를 포함하는 LED모듈;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LED가 발산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조명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입력모듈;
    스피커와, 뇌를 자극하여 기능성 뇌파의 발생을 유도하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원메모리와, 상기 음원메모리의 음원 데이터를 독출 재생시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재생엔진을 포함하는 음원모듈; 그리고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제어모듈와 음원모듈에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와, 정전시 상기 조명제어모듈과 음원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회로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부와,
    상기 직류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전원을 변압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전원을 평활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펄스파를 생성하는 펄스파 트랜지스터와, 상기 펄스파 트랜지스터의 출력전원 일부를 스위칭하여 방전시켜 생성되는 충전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방전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과 상기 방전부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파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 LED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가 발산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제어모듈로 피드백하는 조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 LED 스탠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다수의 버튼과,
    입력되는 명령신호의 내용을 보여주는 표시창과,
    외부 메모리장치가 연결되는 입력포트와,
    상기 버튼, 표시창 및 입력포트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상기 조명제어모듈 및 상기 음원모듈로 전송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 LED 스탠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의 마이컴은
    입력되는 명령신호의 내용을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명령신호를 해당하는 상기 조명제어모듈 또는 음원모듈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스탠드의 사용목적에 따른 모드별 빛의 조도 및 색상, 그리고 음원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분석부에서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른 해당 모드에 대한 조도, 색상 및 음원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조명제어모듈 및 음원모듈로 전송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 LED 스탠드.
KR1020100093872A 2010-09-28 2010-09-28 멀티기능 led 스탠드 KR10101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872A KR101018426B1 (ko) 2010-09-28 2010-09-28 멀티기능 led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872A KR101018426B1 (ko) 2010-09-28 2010-09-28 멀티기능 led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426B1 true KR101018426B1 (ko) 2011-03-02

Family

ID=4393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872A KR101018426B1 (ko) 2010-09-28 2010-09-28 멀티기능 led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4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80B1 (ko) * 2011-06-07 2013-06-27 에코엘이디(주) Ups수단을 구비한 엘이디 스탠드
KR101709410B1 (ko) * 2015-10-05 2017-02-22 임영현 거울이 구비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장치
CN113741696A (zh) * 2021-09-07 2021-12-03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一种基于led立体交互界面的脑控无人机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04Y1 (ko) 2005-03-22 2005-06-20 전병광 다기능 조명등 스탠드
KR20050093616A (ko) * 2004-03-20 2005-09-23 박태욱 혼합 광색 전기스탠드
KR20080004563U (ko) * 2007-04-09 2008-10-14 유승석 다기능 학습용 스텐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16A (ko) * 2004-03-20 2005-09-23 박태욱 혼합 광색 전기스탠드
KR200387204Y1 (ko) 2005-03-22 2005-06-20 전병광 다기능 조명등 스탠드
KR20080004563U (ko) * 2007-04-09 2008-10-14 유승석 다기능 학습용 스텐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80B1 (ko) * 2011-06-07 2013-06-27 에코엘이디(주) Ups수단을 구비한 엘이디 스탠드
KR101709410B1 (ko) * 2015-10-05 2017-02-22 임영현 거울이 구비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장치
CN113741696A (zh) * 2021-09-07 2021-12-03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一种基于led立体交互界面的脑控无人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732B2 (en) Luminair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pectrally and spatially modulated illumination
US8643287B2 (en) Lighting device with switchable day/night illumination mode
CN101586755B (zh) 感性调节led台灯
CN205640716U (zh) 具有蓝牙音响播放功能及可调光调色温的led灯具
JP2010182661A (ja) 感性調節スタンド
CN102679232B (zh) 台灯
KR200473634Y1 (ko) 아로마 테라피 디퓨져
CA2741239A1 (en) Lamp base with integrated charger
KR101018426B1 (ko) 멀티기능 led 스탠드
CN104315442A (zh) 一种led声控灯
CN102413620A (zh) 声光互动情绪调节led智能光源
US20110175544A1 (en) Multifunctional Illuminating Lamp
JP2008193189A (ja) 照明付音声再生装置、及び照明付音声再生システム
US9295136B2 (en) Lighting device
KR100724795B1 (ko) 조명장치 및 조명 데이터 설정방법
JP4799576B2 (ja) 照明装置
KR20200099226A (ko)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CN203801124U (zh) 照明装置及其控制器
KR101037553B1 (ko) 버스 무드등 컨트롤러
CN103929850A (zh) 照明装置及其控制器
CN204153529U (zh) 智能蓝牙音箱led灯
JP2005245984A (ja) 光治療装置
CN206130817U (zh) 一种多功能led台灯
US20210153312A1 (en) Circuit Unit for Lamp and Lamp Comprising the Same
CN204201717U (zh) 一种led声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