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322A -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322A
KR20200098322A KR1020190016322A KR20190016322A KR20200098322A KR 20200098322 A KR20200098322 A KR 20200098322A KR 1020190016322 A KR1020190016322 A KR 1020190016322A KR 20190016322 A KR20190016322 A KR 20190016322A KR 20200098322 A KR20200098322 A KR 2020009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part
irregularities
fixing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876B1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플라텍
Priority to KR102019001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2Clamps with slid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부재를 다른 하나의 부재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 장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을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이다.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부재를 눌러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이 형성된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요철에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의 결합 시,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부재를 누르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상기 제2 고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정 장치는 작업자의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작용함에 따라 단위 시간 당 생산 능력이 약 5배 이상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볼트 및 체결 공구의 휴대가 불필요하고,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만 휴대하면 되므로, 휴대성이 향상되었으며, 대량 생산으로 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 장치{FIXING DEVICE}
본 발명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부재를 다른 하나의 부재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부재를 다른 하나의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기구의 필요성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간단하게는 본드로 고정할 수 있으나, 부재들 간의 분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볼트로도 고정할 수 있으나, 부재들 간의 분리 시 볼트 구멍 등의 손상이 남게 된다.
이렇듯 다양한 고정 방식들이 존재하나, 2개의 부재들 간에 일시적인 고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싱크대 볼(계수대)을 싱크대에 실리콘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실리콘 접착 시 실리콘 안착이 필요하고 안착 시간 동안 자리를 잡는 용도로 싱크대 볼을 싱크대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고정 기구에 의해 싱크대 볼을 싱크대에 고정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 기구 (10) 는 제1 고정부 (11) 와 제2 고정부 (12) 를 가진다. 제1 고정부 (11) 는 싱크대 (1) 에 접착되어 고정되며, 제2 고정부 (12) 는 제1 고정부 (11) 에 볼트로 고정된다.
제1 고정부 (11) 와 제2 고정부 (12) 간의 결합이 되면 제2 고정부 (12) 의 돌출된 부분이 싱크대 볼 (1) 을 눌러서 싱크대 (2) 와 싱크대 볼 (1) 이 고정된다.
제1 고정부 (11) 는 싱크대 (2) 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며, 상측에 제2 고정부 (12) 를 위치시킨 후 볼트 체결을 통해 제1 고정부 (11) 와 제2 고정부 (12) 가 결합된다. 이 결합에 의해 싱크대 볼 (1) 은 싱크대 (2) 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한 고정은 작업의 번거러움으로 인해 작업 시간을 증대시키고, 볼트 체결에 의한 부품의 파손이 빈번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부재를 다른 하나의 부재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을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이다.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부재를 눌러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이 형성된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요철에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의 결합 시,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부재를 누르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상기 제2 고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부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간의 결합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공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요철 및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에 가까워질 때에는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 간의 걸림이 없는 반면,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맞춰진 경우에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고정부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정 장치는 작업자의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작용함에 따라 단위 시간 당 생산 능력이 약 5배 이상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볼트 및 체결 공구의 휴대가 불필요하고,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만 휴대하면 되므로, 휴대성이 향상되었으며, 대량 생산으로 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고정 기구에 의해 싱크대 볼을 싱크대에 고정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고정 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하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고정 장치가 설치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1 코팅 후 제2 코팅을 행한다 기재하였더라도, 그 반대의 순서로 코팅을 행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서셉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고정 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하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의 고정 장치가 설치된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 (100) 는, 제1 고정부 (110) 및 제2 고정부 (120) 로 구성된다. 제1 고정부 (110) 는 제1 부재 (2) 에 고정되며, 제2 고정부 (120) 는 제1 고정부 (110) 와 결합됨으로써 제2 부재 (1) 를 눌러 제1 부재 (2) 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을 특히 참조하면, 제1 고정부 (110) 는 중심부 (111) 를 가지며, 중심부 (111) 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112) 를 가진다. 또한, 제1 고정부 (110) 는 중심부 (111) 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 (113) 을 가진다. 제1 요철 (113) 은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측면에 각각 1개씩 대향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평행하게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 (110) 는 부착 대상인 제1 부재 (2) 의 면과 평행하게 중심부 (111) 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114) 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 (114) 는 제2 고정부 (120) 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제1 고정부 (110) 의 접착면을 넓혀 제1 부재 (2) 와의 강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제2 고정부 (120) 는 제1 고정부 (110) 의 상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내려와서 제1 고정부 (110) 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고정부 (120) 는, 도 4를 참조하면, ㄷ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제1 고정부 (110) 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날개 (124a) 및 제2 날개 (124b) 를 가지며, 제1 날개 (124a) 및 제2 날개 (124b) 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제2 요철이 형성된다.
제2 요철은 제1 요철 (113) 에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요철들의 형상이 결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요철 (113) 및 제2 요철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서로 반전되어 있어 빈틈없이 끼워맞춰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철의 형상은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요철 (113) 및 제2 요철은, 제2 고정부 (120) 가 제1 고정부 (110) 에 가까워질 때 (즉, 끼워질 때) 에는 제1 요철 (113) 과 제2 요철 간의 걸림이 없는 반면, 제1 요철 (113) 과 제2 요철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맞춰진 경우 (즉, 끼워진 이후) 에는 제2 고정부 (120) 가 제1 고정부 (110) 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 고정부 (120) 가 결합이 될 때에는 제2 고정부 (120) 가 제1 고정부 (110) 로 미끄러져 들어가되,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걸리도록 제1 요철 (113) 및 제2 요철이 형성된다.
제1 요철 (113) 및 제2 요철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 고정부 (110) 와 제2 고정부 (120) 간의 결합 방향에 대해서 완만한 각 (약 30 내지 50도) 을 형성하는 면을 가지고,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인 분리 방향에 대해서 급한 각 (약 80 내지 100도) 을 형성하는 면을 가진다.
또한, 제2 고정부 (120) 는 ㄷ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그 내측면에 제2 요철을 가짐으로써, 제1 날개 (124a) 및 제2 날개 (124b) 는 결합 시 탄성에 의해 제2 요철이 제1 요철 (113) 을 넘을 때마다 벌어질 수 있게 기능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부 (120) 의 결합 시, '딱딱딱' 소리가 발생하면서 제2 고정부 (120) 가 제1 고정부 (110) 에 고정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제2 고정부 (120) 가 제1 고정부 (110) 와 완전히 밀착하여 제1 요철 (113) 이 제2 요철의 가장 내측부에 고정된 것을 예시하나, 제1 요철 (113) 은 제2 요철들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부 (recessed portion) 중 어느 하나에 끼워맞춰져 고정될 수 있다.
제1 요철 (113) 과 제2 요철 간의 끼워맞춰짐에 따라, 제2 고정부 (120) 는 제1 고정부 (110) 와 결합되고, 이에 따라 가압부 (123) 가 제2 부재 (1) 를 누름으로써, 제1 부재 (2) 와 제2 부재 (1) 간의 고정이 행해질 수 있다.
한편, 제1 요철 (113) 및 제2 요철은 제1 고정부 (110) 에 대해 제2 고정부 (120) 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 (123) 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가압부 (123) 은 제2 고정부 (120) 의 본체 (121) 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압부 (123) 는 눌러지는 제2 부재 (1) 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1 고정부 (110) 는 돌출부 (112) 를 가진다. 이 돌출부 (112) 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돌출부 (112) 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고정부 (120) 의 본체 (121) 에는 장공 (長空, 122) 이 형성된다. 장공 (122) 은 슬라이드 이동 방향 (결합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 으로 길게 형성된다. 결합 시에 돌출부 (112) 가 장공 (122) 에 끼워지게 되는데, 장공 (122) 이 길게 형성되므로, 가압부 (123) 는 장공이 제한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특히 참조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고정부 (110) 및 제2 고정부 (120) 로 제1 부재 (2) 와 제2 부재 (1) 을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정 장치 (100) 는 제1 부재 (2) 로서의 싱크대에 제2 부재 (1) 로서의 싱크대 볼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 (110) 는 그 하단이 제1 부재 (2) 에 접착제 등에 의해 기설정된 위치에 부착된다. 제1 고정부 (110) 는 제2 고정부 (120) 의 가압부 (123) 가 적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미리 자리를 설정하여 고정되여야 한다.
이후 고정 대상인 제2 부재 (1) 를 위치시킨 후에 그 상측으로부터 제2 고정부 (120) 를 제1 고정부 (110) 에 결합시킨다. 결합 시 제1 고정부 (110) 의 돌출부 (112) 가 장공 (122) 을 관통하면서, 제1 요철 (113) 과 제2 요철이 서로 맞물리기 시작한다.
가압부 (123) 가 충분히 제2 부재 (1) 를 누를 때까지 제2 고정부 (120) 를 눌러 제1 고정부 (110) 에 결합시킨다. 제2 고정부 (120) 는 제1 고정부 (110) 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요철 (113) 및 제2 요철이 형성되므로, 가압부 (123) 는 제2 부재 (1) 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도 5와 같이 여러 부분에 본 발명의 고정 장치 (100) 를 사용하여 제1 부재 (2) 와 제2 부재 (1) 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 (123) 의 위치 조정을 위해 제2 고정부 (120) 를 제1 고정부 (110) 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고정 장치 (100) 는 제1 부재 (2) 와 제2 부재 (1) 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일례로 싱크대 볼을 싱크대에 고정시키는 작업은 종래에 도 1과 같은 고정 장치 (10) 를 통해 행하여져 왔으며, 제1 고정부 (11) 와 제2 고정부 (12) 간의 볼트 체결 방식은 부품 손실 및 작업 시간 지체를 가져왔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고정 장치 (100) 는 작업자의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작용함에 따라 단위 시간 당 생산 능력이 약 5배 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볼트 및 체결 공구의 휴대가 불필요하고,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만 휴대하면 되므로, 휴대성이 향상되었으며, 대량 생산으로 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제1 고정부
111…중심부
112…돌출부
113…제1 요철
114…연장부
120…제2 고정부
121…본체
122…장공
123…가압부
124a, 124b…제1 날개, 제2 날개
100…본 발명의 고정 장치

Claims (4)

  1.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을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부재를 눌러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철이 형성된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요철에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의 결합 시,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부재를 누르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상기 제2 고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고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간의 결합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공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 및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에 가까워질 때에는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 간의 걸림이 없는 반면,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맞춰진 경우에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 장치.
KR1020190016322A 2019-02-12 2019-02-12 고정 장치 KR102171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22A KR102171876B1 (ko) 2019-02-12 2019-02-12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22A KR102171876B1 (ko) 2019-02-12 2019-02-12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22A true KR20200098322A (ko) 2020-08-20
KR102171876B1 KR102171876B1 (ko) 2020-10-29

Family

ID=7229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322A KR102171876B1 (ko) 2019-02-12 2019-02-12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8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31Y1 (ko) * 2005-07-07 2005-09-23 전추길 배관 고정용 받침대
KR20160113245A (ko) * 2014-03-31 2016-09-28 노벨리스 인크. 통합형 클램프를 갖는 에지 보호 부싱
KR20180081238A (ko) * 2017-01-06 2018-07-16 배재원 클램핑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31Y1 (ko) * 2005-07-07 2005-09-23 전추길 배관 고정용 받침대
KR20160113245A (ko) * 2014-03-31 2016-09-28 노벨리스 인크. 통합형 클램프를 갖는 에지 보호 부싱
KR20180081238A (ko) * 2017-01-06 2018-07-16 배재원 클램핑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876B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2471B1 (en) Fixture
JP3219950U (ja) ワーク固定用クランプ組立構造
US8322697B2 (en) Clamping device for adjoining board materials
TWI540032B (zh) 剪切治具
JP6518219B2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用の取付部材
TW201617161A (zh) 夾持裝置
WO2016091053A1 (zh) 连接装置及具有其的显示屏
US11396174B2 (en) Bonding devices and bonding methods for curved cover plates with irregular shape and flexible screen
CA3027971A1 (en) Connector of systematic board of building
RU2014148161A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US2498725A (en) Corner clamp
KR101556761B1 (ko) 평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하는 씨형 클램프
KR102171876B1 (ko) 고정 장치
US6405421B1 (en) Die assembly for riveting
TW201524689A (zh) 虎鉗
AU2016358314A1 (en) Clamping assembly
CN205325274U (zh) 夹具
KR200468390Y1 (ko) 절삭 공구 조립 및 조립 해제 장치용 로터리 장치
TWM505375U (zh) 工件加工夾具之改良結構
JP2017031990A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による結合構造
KR20140104870A (ko) 방전가공용 전극을 고정하는 지그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방전가공용 전극과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의 결합구조
JP3199549U (ja) 接着剤塗布具
CN109713995B (zh) 一种支撑工装和具有其的工装组件
CN218137542U (zh) 一种工件自动夹紧装置
CN107738181A (zh) 一种基板夹紧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