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116A -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116A
KR20200098116A KR1020190015825A KR20190015825A KR20200098116A KR 20200098116 A KR20200098116 A KR 20200098116A KR 1020190015825 A KR1020190015825 A KR 1020190015825A KR 20190015825 A KR20190015825 A KR 20190015825A KR 20200098116 A KR20200098116 A KR 20200098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visual stress
target
patterns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417B1 (ko
Inventor
임순수
Original Assignee
임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순수 filed Critical 임순수
Priority to KR102019001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417B1/ko
Priority to PCT/KR2020/001885 priority patent/WO2020166930A1/ko
Publication of KR2020009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표를 구성하는 글자 등을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형성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함으로써, 검은색 주변의 흐린 현상에 해당하는 노이즈 발생이 증폭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피검사자로 하여금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검사창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검사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시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다양한 색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에서 발산하는 광의 색 파장을 가변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시표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형성되는 글자, 무늬,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글자, 무늬, 패턴 각각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APPARATUS FOR VISUAL STRESS TEST}
본 발명은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표를 구성하는 글자 등을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형성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함으로써, 검은색 주변의 흐린 현상에 해당하는 노이즈 발생이 증폭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피검사자로 하여금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선은 사람의 눈에 보이는 영역의 전자기파를 지칭한다. 가시광선은 통상적으로 400㎚에서 700㎚까지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를 지칭하지만, 최대 380㎚부터 800㎚까지 파장의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사람도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가시광선 중에서도 흔히 백색광이라고 불리는 투명한 색상의 가시광선은 태양광과 같이 가시광선의 파장범위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인 에너지를 가지는 빛이다. 다시 말해서, 백색광은 상기 파장 범위의 가시광선들이 모두 혼합되어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투명한 빛, 즉 백색광은 모든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범용적 즉 평균적인 자극을 주게 되고, 이 범용적 자극은 각 사람의 시세포의 분포와 양안 시각 인지 통로인 시교차 그리고 뇌의 반응에 따라 개인별로 많은 다른 증상들로 표출되게 된다.
범용적 자극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의 일례로 날씨가 맑고 햇빛이 강한 날 사람이 실내에 있다가 실외로 나가게 될 때 눈부심을 느끼게 되는 상황을 들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람은 빛의 자극을 줄이려 눈을 가리거나 눈을 감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시각적 자극은 전반적인 과도한 광량에서 비롯되는 것일 수도 있고, 특정 파장 범위의 빛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나에게 현재 필요한 빛(색) 파장 이외의 범위의 빛이 내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시각적 회피 현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는데, 이는 일시적인 시각적 스트레스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컴퓨터, 스마트폰, TV 등 광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자주 사용하고, 야간의 길거리나 공원에도 밝은 조명들이 촘촘히 설치되며, 유원지나 상업시설의 간판 등에도 화려한 조명들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장치를 점점 더 많이 설치하게 됨으로써, 빛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심각한 시각적 스트레스에 받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스트레스는 많은 경우 개인의 저항력과 적응능력으로 극복될 수 있지만, 일부의 사람에게는 광 과민 증후군, 얼렌증후군, 난독증 등과 같은 새로운 질병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한편, 백색광이 사물에 비추어 졌을 때, 사물의 광학적 성질에 따라 빛의 일부 파장은 사물에 흡수되고 다른 일부 파장은 반사되는데, 이때 반사된 빛의 파장의 혼합체를 우리는 “색”으로 정의한다. 범용적으로 시각적 자극을 주는 백색광을 380㎚부터 800㎚까지를 파장 범위를 각각의 일정한 영역으로 나누어 색맹 등의 색각이상이 없는 사람에게 비춰주게 되면, 나누어진 각각의 영역은 사람의 눈에 특정 컬러의 빛으로 보이게 된다.
사람은 특정 파장 범위의 빛에 더욱 자극을 받아 더 불편하게 느낄 수 있고, 반대로 다른 특정 파장 범위의 빛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빛의 특정 파장 범위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개개인마다 시각적 스트레스가 완화되는 빛의 색을 알 수 있다면, 이러한 색상을 안경, 선글라스, 스포츠용 고글 등과 같이 사람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파장 범위를 필터링할 수 있는 기기에 적용함으로써,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 또는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각적 스트레스 상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색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0000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난독증, 편두통, 시각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증상 및 광학적 장애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시각적 도움 수단 및 시각적 도움 수단의 색을 선택하기 위한 검사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장비를 요청하고, 그 방법 또한 정교한 측정을 요하는 등 복잡하고 까다로워서, 일반인들의 시각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널리 보급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시각적 스트레스를 주는 컬러(색 파장)와 그렇치 않는 컬러(색 파장)를 구별하기에도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0000호(공고일자 : 2010년 10월 26일, 발명의 명칭: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색 오버레이 제공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시표를 구성하는 글자 등을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형성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함으로써, 검은색 주변의 흐린 현상에 해당하는 노이즈 발생이 증폭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피검사자로 하여금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표를 글자들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글자들이 두꺼운 고딕체로 형성되고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모두 갖추도록 구성되며, 획들이 복잡하게 연결 조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각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컬러(색 파장)에 대해 더욱더 노이즈 발생을 증폭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피검사자로 하여금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더욱더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구성품을 추가하지 않고, 시표를 구성하는 글자 등의 형태만을 가변 적용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시각적 스트레스의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구별하고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검사창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검사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시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다양한 색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에서 발산하는 광의 색 파장을 가변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시표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형성되는 글자, 무늬,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글자, 무늬, 패턴 각각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표가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배열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자는 고딕체이고,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되며, 획들이 복잡하게 연결 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에 의하면, 시표를 구성하는 글자 등을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형성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검은색 주변의 흐린 현상에 해당하는 노이즈 발생이 증폭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피검사자로 하여금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표를 글자들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글자들이 두꺼운 고딕체로 형성되고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모두 갖추도록 구성되며, 획들이 복잡하게 연결 조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시각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컬러(색 파장)에 대해 더욱더 노이즈 발생을 증폭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피검사자로 하여금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더욱더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구성품을 추가하지 않고, 시표를 구성하는 글자 등의 형태만을 가변 적용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시각적 스트레스의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구별하고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시표의 제1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시표의 제2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100)는 검사창(111)을 구비하는 하우징(110), 조명부(120), 시표(130) 및 조명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검사창(111)이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검사창(11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시표(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다양한 색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조명부(120)와, 상기 조명부(120)에서 발산하는 광의 색 파장을 가변 제어하는 조명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장치(100)는 빛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사방이 막혀 있되 피검사자(A)가 위치되는 쪽에만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외부로 개방된 검사창(111)이 형성되어 피검사자의 눈을 향하여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장치(100)는 하우징(110)을 통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피검사자(A)가 눈으로 내부 공간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검사창(111)이 구비되어 있다.
정리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일정 영역이 관통된 검사창(11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에 읽기 샘플에 해당하는 상기 시표(130)를 장착 또는 거치시키고, 상기 시표(130)를 외부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상기 검사창(111)을 구비하며, 상기 검사창(111)을 제외하고는 외부가 보이지 않도록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읽기검사 시 읽기샘플에 해당하는 상기 시표(130) 이외의 환경에 시선이 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검사창(111)은 불필요한 시각적 자극과 시표의 왜곡 또는 색상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순히 내외부가 연통되는 개방부로 형성되며,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 창 소재를 부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다양한 색 파장의 광에 해당하는 다양한 컬러 빛을 발산 또는 발광할 수 있는 조명부(1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다양한 색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조명부(120)는 광원으로서, 상기 시표(130)에 다양한 색 파장의 광을 비추기 위한 구성으로서, 피검사자(A)에 대한 불필요한 시각적 자극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검사창(111)을 통한 피검사자(A)의 시야각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명부(120)는 피검사자(A)의 눈에 직접 광이 도달하지 않는 위치인 상기 검사창(111)의 테두리 내측이나 그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조명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컬러, 즉 다양한 색 파장의 광을 발산한다. 상기 조명부(120)는 엘이디 램프 다수가 연결된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엘이디 모듈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120)는 다수의 LED 벌브로 구성되는 컬러 조명장치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다수의 LED 벌브는 상기 검사창(111) 테두리의 내측면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예를 들어 상기 검사창 테두리의 내측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다른 위치로 변경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황에 따라 조명의 위치나 각도가 변화되어야 할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황에 따라 상기 시표(13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빛을 발산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120)가 복수의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엘이디 모듈은 동일한 색의 빛을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교차하여 발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교차하여 발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검사창(111)을 통하여 피검사자(A)의 시선이 향하게 되는 위치, 즉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검사창(111) 또는 조명부(120)가 형성되는 반대측면에는, 글자, 일정한 패턴, 무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흰색 바탕 위에 검은색으로 형성된 시표(130)가 배치된다. 즉, 상기 시표(130)는 상기 검사창(11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장착 또는 거치된다.
상기 시표(130)는 글자, 일정한 패턴, 무늬 등이 종이,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흰색 바탕판에 인쇄된 인쇄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시표(130)는 글자, 일정한 패턴, 무늬 등이 인쇄된 종이가 다른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료로 형성된 바탕판에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표(130)는 일반적인 종이, 플라스틱 등의 형태가 아니라, LCD, OLED 등의 컬러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시표(130) 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시표(130) 또한 상기 컬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표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명부(120)의 컬러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효과는 컬러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서 상기 시표(130)에 조사 또는 오버레이된 광 컬러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표(130)는 상호 분리된 둘 이상의 시표(130)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시표(130)에는 글자가, 다른 하나의 시표(130)에는 일정한 패턴이나 무늬가 인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표(130)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교체하면서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시표(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된 시표 삽입 슬롯(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고 또한 제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조명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색 파장의 광을 발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명부(120)에서 발산하는 광의 색 파장을 가변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 제어부(140)는 상기 컴퓨팅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명부(120)의 조명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조명 제어부(140)는 상기 컴퓨팅 장치(200)로부터 수신받은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조명부(120)의 조명색, 즉 색 파장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및 색각 검사 등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조명색, 예를 들어 시각적 스트레스가 없는 색 파장에 해당하는 색이라고 판명된 컬러를 찾아내기 위함이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스마트 기기, 모바일기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및 색각검사를 할 수 있으며,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및 색각검사의 결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100),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 제어부(140)로 전송하여 최종적인 결과, 예를 들어 피검사자에게 시각적 스트레스를 가장 주지 않는 색 파장을 가지는 컬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에는 상기 조명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부(140)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프로그램의 조작을 통해 상기 조명부(120)의 점등, 소등, 색상 변경 등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제어부(140)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색상의 변경속도와 휘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형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A)의 응답을 입력받아서 저장하고, 최종적으로는 피검사자(A)의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 또는 최소화시키는 색 파장에 해당하는 컬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컴퓨팅 장치(2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부(140)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서 상기 조명부(120)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100)는 피검사자가 시각적 스트레스를 강하게 받고 시각적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색 파장에 해당하는 컬러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시표(130)의 구성을 가변하여 채택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시표(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흰색 바탕(도 3은 조명부(12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상태의 사진에 해당되어 바탕의 색이 흰색이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흰색 바탕에 해당함)에 검은색으로 형성되는 글자, 무늬,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글자, 무늬, 패턴 각각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시표(130)는 기본적으로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글자, 무늬,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시표(130)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의 글자 또는 검은색의 무늬 또는 검은색의 패턴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검은색의 글자, 무늬, 패턴들 중, 적어도 두 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시표(130)를 구성하는 상기 각각의 글자, 무늬, 패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검은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검은색의 점들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시표(130)를 구성하는 글자 등은 검은색의 점들이 조합되어 구성되되, 검은색의 점들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글자를 이루는 획들 또는 무늬나 패턴을 이루는 부분을 검은색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하면, 검은색 점과 검은색 점 사이에 흰색 여백이 부가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 적용한 상태에서 피검사자에게 시각적 스트레스를 주는 색 파장이 조사된다면, 글자 또는 무늬 또는 패턴 전체에 대한 검은색 주변에서 흐린 현상이 나타나지만, 검은색 점과 검은색 점 사이의 흰색 여백에 의해 글자 등의 검은색 주변에 흐린 증상이 증폭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피검사자가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스트레스 감소 컬러를 더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검은색 영역에서 흰색 영역으로 넘어갈 때 또는 흰색 영역에서 검은색 영역으로 넘어갈 때, 피검사자로 하여금 흐리게 보여지는 노이즈가 증가할 수 있는 개념을 착안하여 시표(130)를 구성하는 글자 등을 검은색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시표를 구성하는 글자 등이 검은색 점들이 서로 이격 배치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검은색 점들 사이에 흰색 바탕이 다수 형성되고, 이를 통해 피검사자에게 시각적 스트레스를 주는 색 파장이 조사되면, 피검사자는 증폭된 노이즈를 더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좀 더 용이하게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스트레스 감소 컬러를 구별 및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글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늬 및 패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런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표(130)가 도 3의 (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배열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자는 고딕체이고,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되며, 획들이 복잡하게 연결 조합되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표(130)가 글자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글자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자들(도 3의 (a)에서는 두 글자로 구성하고, 도 4의 (a)에서는 동일한 6개의 글자들이 상하로 구성하며, 도 4의 (b)에서는 서로 다른 9개의 글자들이 상하로 구성한 것을 예시함)은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검은색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두꺼운 획으로 이루어진 고딕체로 형성되고, 획들의 복잡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모두 갖추도록 구성되며, 획들이 복잡하게 연결 조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표(130)를 구성하는 글자들은 복잡하고 난잡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두꺼운 획들로 구성된 고딕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각각의 글자가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모두 갖추어 형성되며, 획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 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자들 전체 또는 각각의 글자들의 복잡도를 더욱더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자들은 초성 및 종성 중 적어도 하나가 두 개의 자음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글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초성 및 종성 모두가 두 개의 자음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글자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의 (a)는 적어도 하나의 글자들로 구성되는 각각 글자가 두 개의 자음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종성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고, 도 4의 (b)는 적어도 하나의 글자들로 구성되는 글자열에 일부 글자만(삶, 굶)이 두 개의 자음이 조합된 종성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다만, 초성과 종성이 모두 두 개의 자음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글자가 가장 복잡하고 난잡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글자들을 구성하는 모든 글자 각각은 초성 및 종성이 두 자음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도 4의 (a)에서 초성 역시 두 자음의 조합으로 형성하여 시표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100)에 의하면, 시표(130)를 구성하는 글자 등을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형성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검은색 주변의 흐린 현상에 해당하는 노이즈 발생이 증폭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피검사자로 하여금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표(130)를 글자들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글자들이 두꺼운 고딕체로 형성되고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모두 갖추도록 구성되며, 획들이 복잡하게 연결 조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시각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컬러(색 파장)에 대해 더욱더 노이즈 발생을 증폭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피검사자로 하여금 시각적 스트레스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더욱더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구성품을 추가하지 않고, 상기 시표(130)를 구성하는 글자 등의 형태만을 가변 적용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시각적 스트레스의 증가 컬러와 감소 컬러를 구별하고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통해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 또는 최소화시키는 색 파장에 해당하는 컬러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통해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 또는 최소화시키는 컬러를 결정하는 검사 방법을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조명부(120)의 휘도, 즉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에 따라 빛에 대한 민감성이 상이하며, 적정 범위를 넘어서는 휘도의 광원에 노출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검사의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통해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 또는 최소화시키는 컬러를 결정하는 검사 방법을 실시하기 이전에 색맹 등 색각 이상 여부에 관한 검사, 즉 디지털 색각 검사를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색각검사를 실시하여 색각이상 유무와 약한 색 파장 존재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색각 검사는 상기 컴퓨팅 장치(200)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통해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 또는 최소화시키는 컬러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디지털 색각 검사에 따른 색각이상 유무와 상관없이 시각적 스트레스 완화 색상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색각 검사는 필수적 과정은 아니다.
다음은, 피검사자의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상기 조명부(120)를 가변 제어하여 연속되는 색 파장을 상기 시표(130)에 조사되도록 하여 피검사자의 시세포를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조명부(120)를 가변 제어하여 복수의 색상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시표(130)에 조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120)를 적색, 주황색, 황색, 녹색, 청색, 남색 및 자색을 포함하는 7개 이상 다수의 색상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시표(130)에 조사하거나, 또는 적색, 녹색, 청색, 주황색을 2개씩 묶어서 또는 4개를 한 번에 상기 시표(130)에 조사하여 시각적 노이즈가 가장 적어 글자 등이 선명하게 보이는 컬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120)를 7개 컬러로 구분하는 경우 각 컬러의 파장범위는 예를 들어 적색은 723∼647㎚, 주황색은 647∼585㎚, 황색은 585∼575㎚, 녹색은 575∼492㎚, 청색은 492∼455㎚, 남색은 455∼424㎚, 그리고 자색은 424∼397㎚ 로 할 수 있다. 조명부(120)를 제어하여 컬러를 하나의 컬러에서 그 다음 순서의 컬러로 변화시킬 때에는, 컬러가 연속적으로 변하게 한다. 이는 인접한 두 컬러 사이에 시간을 잘게 쪼개어 다수의 중간색을 삽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시간을 더 잘게 쪼개고 더 많은 수의 중간색을 삽입할수록, 두 컬러 간의 변화는 더욱 매끄럽게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에 따라서 컬러의 변화에 반응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는데, 어떤 피검사자는 표준적인 컬러 변화속도에 적응하지 못하여 의미 있는 검사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컬러 변화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 이와 반대로 컬러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서 위의 경우와는 다른 의미로 표준적인 컬러 변화속도로는 의미있는 검사결과를 얻지 못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컬러 변화속도를 조금 더 빨리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조명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명부(120)가 상기 시표(130)에 연속적으로 컬러를 변화시키면서 조사하는 과정에서, 피검사자(A)가 상기 검은색 글자, 패턴 또는 무늬 중 하나 이상이 얇게 보이는 동시에 눈이 편해지는 시점을 파악하고 이 시점을 입력한다. 입력은 상기 컴퓨팅 장치(200)에 연결된 키보드 자판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이뤄질 수도 있고, 피검사자(A)의 수신호나 음성신호에 따라 검사수행자가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검은색 글자, 패턴 또는 무늬 중 하나 이상이 얇게 보이는 동시에 피검사자(A)의 눈이 편안해지는 시점의 입력은 상기 적색, 주황색, 황색, 녹색, 청색, 남색 및 자색을 포함하는 다수의 컬러 중에서 그 시점의(연속적으로 변화중인 중간색의) 컬러에 가장 근접한 컬러를 기록하는 것으로 근사적으로 입력되며, 이때 선택된 컬러를 제1-1 컬러로 기록한다.
또는, 상기 조명부(120)의 조사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컬러와 달리 컴퓨팅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적색, 등색, 황색, 녹색, 청색, 남색 및 자색을 포함하는 7개 이상 다수의 컬러 중 해당 시점에 대응하는 컬러가 선택 또는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피검사자(A)가 직접, 또는 피검사자(A)의 신호에 따라 검사수행자가 해당하는 컬러를 바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유사한 단계들에서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로써 1단계 컬러 선택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2단계 컬러 선택이 실시된다. 2단계 컬러 선택은 1단계 컬러 선택에서 선택된 컬러를 인접한 두 컬러와 각각 비교하여 시각적 스트레스 완화 또는 최소화 컬러 여부의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1단계 컬러 선택에서 선택된 컬러가 적절한 선택이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미리 정해진 컬러의 발광 순서에 따라, 상기 제1-1 컬러 이전 순서의 컬러인 제1-0 컬러와 상기 제1-1 컬러의 두 색상 사이에서 컬러가 연속적으로 변하게 한다. 이때 피검사자(A)는 상기 검은색 글자, 패턴 또는 무늬 중 하나 이상이 얇게 보이는 동시에 눈이 편해지는 시점을 입력하며, 상기 제1-1 컬러 또는 제1-0 컬러 중에서 그 시점의 컬러에 보다 근접한 컬러를 제2-1 색상으로 결정하여 기록한다. 이때 시점을 선택하고 입력하여 그에 대응되는 컬러를 찾는 대신 컴퓨팅 장치(200)의 화면을 통해 바로 해당 컬러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은 2단계 컬러 선택의 두 번째 단계로, 상기 제1-1 컬러 이후 순서의 컬러인 제1-2 컬러와 상기 제1-1 컬러의 두 컬러 사이에서 컬러가 연속적으로 변하게 하고, 상기 검은색 글씨, 패턴 또는 무늬 중 하나 이상이 얇게 보이는 동시에 눈이 편해지는 시점을 피검사자가 입력하며, 상기 제1-1 컬러 또는 제1-2 컬러 중에서 그 시점의 컬러에 보다 근접한 컬러를 제2-2 컬로로 결정하여 기록한다.
이어서, 상기 결정된 제2-1 컬러와 제2-2 컬러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제2-1 컬러와 제2-2 컬러가 일치하면 이를 제3 컬로로 결정하여 기록한다. 그러나 상기 제2-1 컬러와 제2-2 컬러가 불일치하면, 다시 상기 제2-1 컬러와 상기 제2-2 컬러의 두 색상 사이에서 컬러가 연속적으로 변하게 하면서, 상기 검은색 글씨, 패턴 또는 무늬 중 하나 이상이 얇게 보이는 동시에 눈이 편해지는 시점을 피검사자가 결정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제2-1 컬러 또는 제2-2 컬러 중에서 입력된 시점의 색상에 보다 근접한 색상이 제3 색상으로 결정하여 기록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피검사자(A)의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는 최종 결정된 컬러, 즉 제3 컬러의 선택이 완료되었으며, 선택된 제3 컬러에 따라 조명, 안경, 선글라스, 야간운전용 안경, 모니터 보안경,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 등을 제작하여 사용하면 피검사자(A)의 시각적 스트레스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110 : 하우징
111 : 검사창 120 : 조명부
130 : 시표 140 : 조명 제어부
200 : 컴퓨팅 장치

Claims (2)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검사창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검사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시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다양한 색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에서 발산하는 광의 색 파장을 가변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시표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형성되는 글자, 무늬,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글자, 무늬, 패턴 각각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점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표가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배열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자는 고딕체이고,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되며, 획들이 복잡하게 연결 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KR1020190015825A 2019-02-12 2019-02-12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KR10230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825A KR102306417B1 (ko) 2019-02-12 2019-02-12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PCT/KR2020/001885 WO2020166930A1 (ko) 2019-02-12 2020-02-11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825A KR102306417B1 (ko) 2019-02-12 2019-02-12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116A true KR20200098116A (ko) 2020-08-20
KR102306417B1 KR102306417B1 (ko) 2021-09-28

Family

ID=7204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825A KR102306417B1 (ko) 2019-02-12 2019-02-12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6417B1 (ko)
WO (1) WO20201669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46A1 (ko) * 2021-04-29 2022-11-03 주식회사 유아이컴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360A (en) * 1988-12-12 1995-08-08 Prio Corporation Reflective stimulus for computer screen simulation for eye examinations
KR20090097280A (ko) * 2008-03-11 2009-09-16 장영건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시각적 도우미 장치와검사방법
KR20160112791A (ko) * 2015-03-20 2016-09-28 박준철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2071B2 (ja) * 2001-08-27 2012-03-21 武敏 鈴木 視野検査表
KR20160113861A (ko) * 2015-03-23 2016-10-04 박준철 시각적 스트레스 완화 엘이디 조명 장치
FR3043901A1 (fr) * 2015-11-25 2017-05-26 Essilor Int Procede d'evaluation de la vision d'un individu dans des conditions de luminance predefin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360A (en) * 1988-12-12 1995-08-08 Prio Corporation Reflective stimulus for computer screen simulation for eye examinations
KR20090097280A (ko) * 2008-03-11 2009-09-16 장영건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시각적 도우미 장치와검사방법
KR100990000B1 (ko) 2008-03-11 2010-10-2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색 오버레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12791A (ko) * 2015-03-20 2016-09-28 박준철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46A1 (ko) * 2021-04-29 2022-11-03 주식회사 유아이컴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417B1 (ko) 2021-09-28
WO2020166930A1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55825A1 (en) Functional vision testing using light field displays
US4998820A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use in optometric examinations
CN109640786A (zh) 视觉功能检查及光学特性计算系统
Rea The what and the where of vision lighting research
KR102306417B1 (ko)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Mayr et al. After-effects of TFT-LCD display polarity and display colour on the detection of low-contrast objects
KR102059083B1 (ko) 자각적 검사를 통해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색상을 찾는 검사방법
Lou Effects of voluntary attention on structured afterimages
KR20160112791A (ko)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US20230055148A1 (en) System for illuminating the face of an occupant in a car
KR20220148457A (ko) 시각적 스트레스 검사 장치
DE102015217682A1 (de) Vorrichtung zur Augenuntersuchung
Girard et al. Discomfort glare from a cyclic source in outdoor lighting conditions
JP2014026093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102163953B1 (ko) 운전용 안경렌즈 처방용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2232925B1 (ko) 시야 결손 치료 장치 및 시야 결손 치료 방법
Travis Applying visual psychophysics to user interface design
US6280032B1 (en) System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color vision deficiencies based on critical fusion frequency spectral scanning
Korisky et al. Real-life continuous flash suppression-Rendering the real world unconscious using augmented reality goggles
WO2018179849A1 (ja) 自筆支援装置
JP7269357B2 (ja) 視機能検査装置
KR101836885B1 (ko) 독서실 책상용 조명장치
CN111381372A (zh) 穿透式显示设备及增强现实显示器
KR102087720B1 (ko) 적외선광 기반 시각 보조 장치
CN105388548B (zh) 一种视力保护设备和视力保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