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005A -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005A
KR20200098005A KR1020190015543A KR20190015543A KR20200098005A KR 20200098005 A KR20200098005 A KR 20200098005A KR 1020190015543 A KR1020190015543 A KR 1020190015543A KR 20190015543 A KR20190015543 A KR 20190015543A KR 20200098005 A KR20200098005 A KR 20200098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wire
coupled
cylinder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9010B1 (en
Inventor
남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기계
Priority to KR102019001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010B1/en
Publication of KR20200098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 fall of a cage. The device comprises: a speed regulator mounted to a cage and sensing movement speed of the cage; a plurality of wires symmetrically coupled to an upper frame of the cage; a fall prevention unit coupled to the wires and having a wire fixing unit for braking the wires and a cylinder to fix the wires according to descending speed of the cage; and a pressure accumulator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so that the fall prevention unit is operated when the descending speed of the c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preset first speed.

Description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age}Cage fall prevention device{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본 발명은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지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하강할 때에 케이지를 강재적으로 하강구동을 제어하여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prevention device of a cag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all prevention device of a cage capable of preventing the fall of the cage by controll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age by force when the cage descends above a preset speed. About.

일반적으로, 건설용 리프트(lift)는 고층 건물ㆍ광산ㆍ공장 등에서 화물이나 작업자를 운반하는 기계로서, 조립형 마스트(mast)를 건축할 건물의 예상 높이 이상으로 쌓아 올리고, 여기에 케이지(cage)를 설치한 다음, 다양한 권상장치로 케이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서, 건축 자재나 작업 인원을 건물의 층별로 운반하게 된다.In general, a construction lift is a machine that transports cargo or workers in high-rise buildings, mines, factories, etc., and an assembled mast is stacked above the expected height of the building to be built, and a cage is added thereto. After installing the cage, by raising or lowering the cage with various hoisting devices, building materials or workers are transported by floor of the building.

이러한 건설용 리프트는 케이지에 승강 구동을 위하여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과, 공급된 전원으로 각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배전반과, 마스트를 타고 승강하는 케이지의 위치를 감지하여 호출층으로 케이지를 안내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Such a construction lif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device for lifting and driving the cage, the switchboard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part with the supplied power, and the cage that goes up and down on the mast, Sensing means for guiding the can be further configured.

최근 건설용 리프트는 케이지의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비상 제동장치와, 마스트에서 케이지의 승강 또는 하강시 케이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 및 리프트의 도어를 안전하게 열고 닫는 개폐장치 등이 설치된다.Recently, construction lifts have an emergency braking device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cable supplying power to the cage's drive system, a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cage from being removed from the mast when the cage is raised or lowered, and the door of the lift safely open. A closing device and the like are installed.

종래 케이지의 하강 운전시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9417호(건설 리프트용 비상 제동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케이지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되,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되면 그 장력으로 연동되는 케이블 연동부 및 케이블 연동부와 연결 설치된다.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되면 케이블 연동부와 해체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정지시키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a typical prior art for preventing cable breakage during lowering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cag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39417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Construction Lift) has been disclosed. The prior art is installed to guide the cable from the outside of the cage, but when tension is generated in the cable, it is connected to the cable linkage unit and the cable linkage unit linked by the tension. When tension is generated in the cable,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ower cut-off part that is disassembled with the cable linking part to stop the power of the driving part.

이러한 선행기술은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하면, 구동부에 의해 운행되는 케이지를 즉시 정차시 킴으로써, 케이블이 이탈하거나 또는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개시되어 있는 선행기술은 전원차단부를 통한 동력을 차단하더라도 급작스럽게 케이블이 끊기는 경우에 추락하는 케이블의 추락을 방지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This prior art prevents the cable from being disconnected or disconnected by immediately stopping the cage operated by the driving unit when tension occurs in the cable supplying power, so that the cable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 technology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is disclosed. However, the disclosed prior art has a difficult aspect in preventing a fall of a falling cable when the cable is suddenly disconnected even if power is cut off through the power cut-off unit.

(한국등록특허 제10-1639417호, 2016년 7월 15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39417, July 15, 2016)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지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하강할 때에 케이지를 강재적으로 하강구동을 제어하여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fall of a cage capable of preventing a fall of the cage by controll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age by force when the cage descends above a preset spe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에 결합되어 케이지의 하강속도에 따라 케이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기계식 기계식 추락 방지장치는 케이지에 장착되어 케이지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조속기; 케이지의 상단 프레임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와이어; 와이어와 결합되어 와이어를 제동하는 와이어정착부와 실린더를 구비하여 케이지의 하강속도에 따라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추락방지부; 실린더와 연결되며, 케이지의 하강속도가 기설정된 제1 속도 이상으로 하는 경우, 추락방지부가 작동되도록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축압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chanical mechanical fall prevention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rols the drive of the cage according to the descending speed of the cage to prevent the cage from falling, is mounted on the cage. A governor that senses a moving speed; A plurality of wires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of the cage; A fall prevention unit that is coupled to the wire and includes a wire fixing unit and a cylinder for braking the wire to fix the wire according to the descending speed of the cage; And an accumulator that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provides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so that the fall prevention unit is operated when the lowering speed of the c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first speed.

여기서, 추락방지부는 케이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실린더와 와이어정착부가 회동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축압기를 통해 실린더에 오일이 공급되면, 실린더가 하강하면서 와이어정착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다.Here, the fall prevention uni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uni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ge, and when the cylinder and the wire fixing uni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on unit to supply oil to the cylinder through the accumulator, the cylinder is lowered. The wire can be fixed while moving the wire fixing part upward.

여기서, 와이어정착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는 테이퍼홀이 형성되는 고정몸체; 테이퍼홀의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고, 실린더에 오일이 공급되면서 테이퍼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면이 맞닿으면서 와이어를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정착구; 및 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정착구의 하단에 결합되어 정착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정착구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안내구;를 포함한다.Here, the wire fixing portion is a fixed body formed with a tapered hole formed by the upper narrow ligh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Fixtur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a pair of wires disposed in the tapered hole, while oil is supplied to the cylinder, moving up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hole, and enclosing the wire while contacting each other and fixing the wire; And a horizontal guide through which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is formed,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nchorage to guide the horizontal sliding movement of the anchorage when the anchorage moves upward.

여기서, 와이어는 테이퍼홀에 배치된 상측에서 하측을 따라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돌출구가 결합되고, 정착구는 돌출구와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반구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in the wire, at least one protruding hole may b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disposed in the tapered hole, and a hemispherical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unit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여기서, 케이지는 엘리베이터 또는 작업용 카케이지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age may be formed of an elevator or a working car cage.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는 케이지가 갑작스럽게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추락하는 경우에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서 케이지의 내부에 있는 작업자나 작업용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a worker or a working vehicle inside the cage by preventing the cage from falling when the cage suddenly falls above a preset spe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A' 부분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골조구조를 제거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제1 와이어와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된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골조구조를 제거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제1 와이어와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된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에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평형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케이지의 상세도이다.
1 is a detailed view of a fall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 fall of a cage of a balance t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A' part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cage of the balanc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balanc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first wire connected to a cage and a second wire connected to a balance weight by removing the frame structure of FIG. 3.
5 is a side view of a balanc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first wire connected to a cage and a second wire connected to a balance weight by removing the frame structure of FIG. 5.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are coupled to a w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view of a cage showing an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cage of the balance w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on” means that it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positioned above the direction of grav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장치의 상세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A' 부분 상세도이다.1 is a detailed view of a fall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 fall of a cage of a balance t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operating state of a fall prevention device of a cage of a balance t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etailed view of part'A' showing.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장치는 케이지의 상단 프레임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와이어(4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지(200)의 하강속도에 따라 케이지(2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케이지(200)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조속기(310), 추락방지부(320) 및 축압기(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2, the fall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cage of the balanc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wires 400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of the cage is coupled. In the state, as stopping the driving of the cage 200 according to the descending speed of the cage 200 to prevent the cage 200 from falling, including a governor 310, a fall prevention part 320, and an accumulator 330 do.

조속기(310)는 케이지(200)에 장착되어 케이지(20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속기(310)는 상측에서 하측을 따라 연장되며, 하단에 균형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400)는 케이지(200)에 결합되는 제1 와이어(140)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케이지(200)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overnor 310 is mounted on the cage 200 to detect the moving speed of the cage 200. Plays a role. The governor 310 extend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may have a counterweight at the lower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400 may be formed of the first wire 140 coupled to the cage 200, and is preferably provided symmetrically to support the cage 200 in a balanced manner.

추락방지부(320)는 와이어(400)와 결합되어 케이지(200)가 기설정된 제1 속도 이상으로 하강할 때에 케이지(20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서, 회동부(311), 와이어정착부(321) 및 실린더(322)를 구비한다.The fall prevention unit 320 is coupled with the wire 400 to stop the driving of the cage 200 when the cage 200 descends above a preset first speed, and the rotation unit 311, the wire fixing unit ( 321) and a cylinder 322.

회동부(311)는 케이지(200)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부(311)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회동부(311)는 연장된 양단에 와이어정착부(321)와 실린더(322)가 각각 결합된다.The rotation part 31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ge 200 and extends to both sides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part 311. The rotating part 311 is coupled to each of the wire fixing parts 321 and the cylinder 322 at both ends extended.

와이어정착부(321)는 일단이 회동부(31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와이어(300)를 와이어정착부(321)에 고정시켜 와이어(300)에 연결된 케이지(200)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고정몸체(3211), 정착구(3212) 및 수평안내구(3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fixing part 321 has one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part 311 and extending upward, and a fall of the cage 200 connected to the wire 300 by fixing the wire 300 to the wire fixing part 321 As to prevent, it may include a fixed body (3211), a fixing unit (3212) and a horizontal guide (3213).

고정몸체(3211)는 다각형 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협하광의 테이퍼홀(3214)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이퍼홀(3214)의 내부로 와이어(400)가 삽입배치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테이퍼홀(3214)은 정착구(3212)의 외주면을 따라 원활한 미끄러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테이퍼원기둥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ed body 3211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apered hole 3214 of upper and lower ligh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wire 400 is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tapered hole 3214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extended to The tapered hole 3214 is preferably formed as a tapered cylindrical hole so as to provide smooth sli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age 3212.

정착구(3212)는 테이퍼홀(3214)의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400)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된다. 정착구(3212)는 테이퍼원기둥 형상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반으로 쪼개진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착구(3212)는 초기상태에서 테이퍼홀(3214)의 하측에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며 실린더322)의 작동에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와이어(400)를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The anchorage 3212 is provided in a pair centering on the wires 400 disposed inside the tapered hole 3214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d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anchorage 3212 may be understood as a shape in which a tapered cylinder shape is divided in half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The anchorage 3212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taper hole 3214 in the initial state, and mov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322, so that the adjacent distance becomes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wire 400 can be completely contacted. have.

이때, 정착구(3212)는 서로 이웃하는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구홈(3215)이 형성될 수 있다. 반구홈(3215)은 테이퍼홀(3214)의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400)에 형성된 돌출구(410)와 결합된다. 정착구(3212)와 돌출구(410)는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반구홈(3212)의 크기는 돌출구(41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정착구(3212)가 테이퍼홀(321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400)에 형성된 돌출구(410)와 끼워지면서 와이어(40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In this case, at least one hemisphere groove 3215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inner peripheral surfac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nchorage 3212. The hemisphere groove 3215 is coupled with the protrusion 410 formed in the wire 400 disposed inside the tapered hole 3214. The anchorage 3212 and the protrusion 41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size of the hemisphere groove 3212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protrusion 410, so that the anchorage 3212 moves upward along the tapered hole 3214 While being fitted with the protrusion 410 formed in the wire 400, the wire 400 is fixed so as not to move.

정착구(3212)가 테이퍼홀(321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정착구(3212)를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착구(3212)의 하면에는 수평안내구(3213)가 결합된다.When the anchorage 3212 moves upward along the tapered hole 3214, a horizontal guide hole 3213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nchorage 3212 so that the anchorage 3212 can stabl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수평안내구(3213)는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정착구의 하단에 결합되어 정착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정착구(3212)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정착구(3212)는 이격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와이어(400)와 완전히 밀착되면서 테이퍼홀(3214)의 상측을 향하여 끼워지게 된다. 이때, 정착구(3212)가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착구(3212)의 하면에는 수평안내구(3213)가 결합된다.The horizontal guide tool 3213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400 passes,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unit to guide the horizontal sliding movement of the fixing unit 3212 when the fixing unit moves upward. The anchorage 3212 does not have a fixed separation distance, but mov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as the neighboring distances become close to each other, i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400 and is fitt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apered hole 3214. At this time, a horizontal guide tool 3213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3212 so that the fixing unit 3212 can stabl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수평안내구(3213)는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정착구의 하단에 결합되어 정착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정착구(3212)의 수평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The horizontal guide tool 3213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400 passes,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xture 32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ixture moves upward.

실린더(322)는 회동부(31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축압기(33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오일이 공급되면 회동부(311)를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cylinder 322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part 311 and extends upward, and when oil is supplied through a hose connected to the accumulator 330, it moves downward through the rotating part 311.

축압기(330)는 실린더(322)와 연결되며, 케이지(200)의 하강속도가 기설정된 제1 속도 이상으로 추락하는 경우에 축압기(330)에 수용된 오일탱크의 오일을 실린더(322)로 제공하게 된다. 실린더(322)에 오일탱크로부터 오일이 공급되면 실린더(322)가 결합된 회동부(311)측이 무거워지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와이어정착부는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정착구(3212)가 테이퍼홀(3214)의 상측에 끼워지면서 와이어(40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케이지가 갑작스럽게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추락하는 경우에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서 케이지의 내부에 있는 작업자나 작업용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accumulator 330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322, and when the descending speed of the cage 200 falls above a preset first speed, the oil in the oil tank accommodated in the accumulator 330 is transferred to the cylinder 322. Will be provided. When oil is supplied from the oil tank to the cylinder 322, the side of the rotating part 311 to which the cylinder 322 is coupled becomes heavy and moves downward, and the wire fixing part moves upward, and the fixing hole 3212 becomes a tapered hole 3214 ) To fix the wire 400 while being fitted to the upper side. Therefore, when the cage suddenly falls above a preset speed, by preventing the cage from fal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a worker or a working vehicle inside the cage.

본 발명에서 와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또는 제2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may be formed of a first wire or a second wir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케이지는 엘리베이터 또는 작업용 카케이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케이지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ge may be formed as an elevator or a working car cage, and the shape of the cage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케이지와 연결되는 밸런스 권취장치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lance winding device connected to the cag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4의 골조구조를 제거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제1 와이어와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된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골조구조를 제거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제1 와이어와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된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에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a balanc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first wire connected to a cage and a second wire connected to a balance weight by removing the frame structure of FIG. 4, 5 is a side view of a balance t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first wire connected to a cage and a second wire connected to a balance weight by removing the frame structure of FIG. 5,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are coupled to a w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을 통해 결합되는 골조구조에서 케이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구동부(110), 제1 권취부(120), 제2 권취부(130), 제1 와이어(140), 제2 와이어(150), 밸런스웨이트(160) 및 케이지(200)를 포함한다.3 to 7, the balanc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ving the cage up and down in a frame structure that is coupled through a plurality of frames, and the driving unit 110, the first It includes a winding part 120, a second winding part 130, a first wire 140, a second wire 150, a balance weight 160, and a cage 200.

구동부(110)는 골조구조에 결합된다. 이때, 구동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구조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제1 권취부(120) 및 제2 권취부(130)를 보다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110)는 제1 권취부(120)와 제2 권취부(130)와 기어결합되어 제1 권취부(120)와 제2 권취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권취부(120)와 제2 권취부(130)는 동일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어 밸런스웨이트(160) 및 케이지(200)의 위치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frame structure.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can be wound more smoothly. The driving unit 110 is gear-coupled with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to rotate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Therefore,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can rotate while maintaining the same rotational speed,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balance weight 160 and the cage 200 can be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제1 권취부(120)는 구동부(110)와 기어 결합된다. 제1 권취부(12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드럼(121), 격벽(122), 제1 나사홈(123) 및 제2 나사홈(124) 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의미하며, 제1 권취부(120) 및 제2 권취부(13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권취부(120) 및 제2 권취부(130)는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권취부(120)에 상세한 설명만으로 제2 권취부(130)의 상세한 설명을 대신한다.The first winding unit 120 is gear-coupled with the driving unit 110. The first winding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drum 121, a partition wall 122, a first screw groove 123, and a second screw groove 124 while rotating in one direction. Here, one direction means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winding unit 130 is replaced only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제1 드럼(12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부(11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50)를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drum 1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serves to wind up the first wire 140 and the second wire 150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10.

격벽(122)은 제1 드럼(121)의 일방향을 따라 제1 드럼(121)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122)은 후술하는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50)의 권취되는 영역을 분할시키는 역할을 한다. 격벽(122)은 권취되는 와이어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1 드럼(121)의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격벽(122)은 5개가 구비되어 제1 드럼(121)의 영역을 6개로 분할하고, 4개의 영역은 케이지(200)와 연결되는 케이지(200)와 연결되는 제1 와이어(140) 권취영역으로, 2개의 영역은 밸런스웨이트(160)와 연결되는 제2 와이어(150) 권취영역으로 설정 하였으나, 밸런스웨이트(160)의 무게 또는 케이지(200)의 무게 또는 형상에 따라 분할영역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설명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artition wall 122 serves to divide the first drum 121 into a plurality of spaces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drum 121. The partition wall 122 serves to divide the wound area of the first wire 140 and the second wire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partition wall 1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um 121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wire to be w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five partition walls 122 are provided to divide the region of the first drum 121 into six, and the four regions are the first wire 140 connected to the cage 200 connected to the cage 200 As the winding area, the two areas are set as the winding area of the second wire 150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160, but the divided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balance weight 160 or the weight or shape of the cage 200.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bed as that can be formed.

제1 나사홈(123)은 제1 와이어(14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제1 드럼(121)의 외주면을 따라 반복하여 형성된다. 제1 나사홈(123)은 구동부(110)와 연결되는 회전축의 내측에서 바깥측을 향하여 제1 드럼(121)의 내측에서 제1 와이어(140)를 권취하는 소정영역(a)까지 반복하여 형성된다. 제1 나사홈(123)은 제1 와이어(140)가 제1 나사홈(12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면서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제1 와이어(14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140)가 제1 나사홈(123)에 완전히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 와이어(140)의 미끄러짐 발생을 방지하여 제2 와이어(150)와 길이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지(200)의 평형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screw groove 123 is repeated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121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wire 140. The first screw groove 123 is formed repeated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10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drum 121 to a predetermined region (a) winding the first wire 140 do. The first screw groove 123 may prevent the first wire 140 from twisting by allowing the first wire 140 to be sequentially aligned and wound along the first screw groove 123. In addition, the first wire 140 is completely tightly fixed to the first screw groove 123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ping of the first wire 140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length difference from the second wire 150 The equilibrium of (200) can be more accurately maintained.

제2 나사홈(124)은 제2 와이어(15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으로 형성되며, 소정영역(a)과 겹쳐지지 않는 영역(b)을 따라 제1 나사홈(123)의 바깥측에서 제1 드럼(121)의 최외측까지 형성된다. 제2 나사홈(124)은 제2 와이어(150)가 제2 나사홈(124)을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면서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제2 와이어(15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드럼(121)에 고정된 제2 와이어(150)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와이어(140)와 길이차이가 발생하는 것과 방지하여 케이지(200)의 평형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cond screw groove 124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wire 150,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screw groove 123 along a region (b) that does not overlap a predetermined region (a). It is formed from the side to the outermost side of the first drum 121. The second screw groove 124 may prevent the second wire 150 from being twisted by allowing the second wire 150 to be sequentially aligned and wound along the second screw groove 124. 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lipping in the second wire 150 fixed to the first drum 121, the occurrence of a difference in length from the first wire 140 is prevented to more accurately balance the cage 200. Can be maintained.

제1 와이어(140)는 복수로 구비된다. 제1 와이어(140)는 일단이 격벽(122)을 통해 분할된 제1 나사홈(123)의 각 영역(a)을 따라 결합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지(200)에 결합되어 권취되면서 케이지(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와이어(150)는 일단이 제1 와이어(140)가 결합된 소정영역(a)과 겹치지 않도록 제2 나사홈(124)이 형성된 다른영역(b)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이 밸런스웨이트(160)에 결합되어 케이지(200)의 이동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지(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wire 140 is provided in plural. The first wire 140 has one end coupled and fixed along each region (a) of the first screw groove 123 divid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22,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age 200 and wound while the cage 200 ) Moves up and dow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150 are coupled and fixed to another region (b) in which a second screw groove 124 is formed so that one end does not overlap a predetermined region (a) to which the first wire 140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It is coupled to the balance weight 160 and serves to stably move the cage 200 while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ge 200.

이때, 제1 와이어(140)는 제1 드럼(121)의 하측 외주면에서 연장되면서 케이지(200)와 연결되고, 제2 와이어(150)는 제1 드럼(121)의 상측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타단이 밸런스웨이트(160)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구동부(110)의 구동에 따라 제1 나사홈(123)에 제1 와이어(140)가 권취하는 구동을 하게 되면, 제2 나사홈(124)에 권취된 제2 와이어(150)는 풀리게 된다. 그러면, 제1 와이어(140)를 통해 케이지(140)가 승강구동하게 되고, 제2 와이어(150)는 권취된 것이 풀리면서 밸런스웨이트(160)를 하강시키는 구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나사홈(123) 및 제2 나사홈(1240은 홈의 형성 방향이 각각 우나사 및 좌나사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구동을 더욱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권취되는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40)가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wire 140 extends from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121 and is connected to the cage 200, and the second wire 150 extends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121 so that the other end It is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160. Through this, when the driving of the first wire 140 wound around the first screw groove 123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10, the second wire 150 wound around the second screw groove 124 is It is released. Then, the cage 140 is driven up and down through the first wire 140, and the second wire 150 is driven to lower the balance weight 160 while being unwound. At this time, the first screw groove 123 and the second screw groove 1240 ar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right screw and the left screw, respectively, so that the driving thereof is more smoothly formed, and the first wire 140 is wound. ) And the second wire 140 may no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 와이어(140)는 변경레일(141)을 구비할 수 있다. 변경레일(141)은 제1 권취부(120)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제1 와이어(140)의 권취방향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또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골조구조가 높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제1 와이어(140)의 권취방향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제1 와이어를 보다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wire 140 may include a change rail 141. At least one change rail 1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may serve to change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first wire 140 from vertical to horizontal or from horizontal to vertical. Therefore, the frame structure is formed to be high so that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first wire 140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can be wound more smoothly.

제2 와이어(150)는 밸런스웨이트 변경레일(151)을 구비할 수 있다. 밸런스웨이트 변경레일(151)은 제2 권취부(130)와 밸런스웨이트(16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와이어(150)의 권취방향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골조구조가 높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제2 와이어(140)의 권취방향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골조구조가 높거나 또는 복수의 와이어를 보다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wire 150 may include a balance weight changing rail 151. The balance weight changing rail 1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winding unit 130 and the balance weight 160 so that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150 is changed. Accordingly, the frame structure is formed to be high so that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140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rame structure is high or a plurality of wires can be wound more smoothly.

밸런스웨이트(16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2 와이어(150)와 연결된다. 밸런스웨이트(160)는 케이지(200)가 승강구동함에 따라 케이지(200)의 구동위치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밸런스웨이트(160)는 케이지(200)의 바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밸런스웨이트(160)와 케이지(200) 내부에 있는 작업자 또는 작업차량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balance weight 160 is provided in plural and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150. The balance weight 160 serves to stably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cage 200 while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position of the cage 200 as the cage 200 moves up and down. The balance weight 160 is preferably located outside the cage 20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preventing colliding with a worker or a working vehicle in the balance weight 160 and the cage 200.

케이지(200)는 복수의 제1 와이어(140)와 결합되어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작업자 또는 중량의 물체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케이지(200)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카케이지로 형성되었으나, 엘리베이터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용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age 200 is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40 to form a working space, and serves to move a worker or an object of weigh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ge 200 is formed as a car cage forming a working space, but can be applied as an elevator, and its use is not limited thereto.

이를 통하여 밸런스웨이트와 케이지를 독립적인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방향으로 권취하여 하중보상에 의한 동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되면, 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권취할 수 있어 미세한 조정을 통해 케이지의 이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가 드럼에서 미끄러짐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의 내구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if the balance weight and the cage can be wound in different directions at independent positions to save power due to load compensation, the wire can be wound effectively while preventing slippage, so the movement of the cage can be precisely adjusted. Can be controlled. Further, since friction due to slipping of the wire on the drum does not occur, the durability life of the wire can be increas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평형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케이지의 상세도이다.8 is a detailed view of a cage showing an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cage of a balance w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평형유지 장치는 케이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케이지(200)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수평바(220), 와이어 텐션유지부(230) 및 와이어 연결부(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8, the balance holding device of the cage of the balanc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210 of the cage 200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cage 200. As such, it includes a horizontal bar 220, a wire tension holding unit 230 and a wire connection unit 240.

수평바(220)는 케이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결합된다. 수평바(220)는 회동점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horizontal bar 220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210 of the cage 200. The horizontal bar 220 is formed to extend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rotation point.

와이어 텐션유지부(230)는 수평바(2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수직구(231), 수평구(232), 탄성체(233) 및 탄성체고정부(234)를 구비한다.The wire tension holding unit 23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220 and extends upward, and includes a vertical sphere 231, a horizontal sphere 232, an elastic body 233, and an elastic body fixing portion 234. do.

수직구(231)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일단이 수평바(22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측으로 연장된다. 서로 이웃하는 거리는 탄성체(233)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spheres 231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bar 220 and extends upward. It is preferable that a distance adjacent to each other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a distan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lastic body 233.

수평구(232)는 홀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구(231)와 결합된다.The horizontal sphere 232 is coupled with a pair of vertical spheres 231 adjacent to each other and extending upward by forming a hole.

탄성체(233)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배치된 수직구(23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탄성체고정부(234)는 일단이 수평구(232)에 형성된 홀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탄성체(233)가 압축거동할 수 있도록 탄성체(233)를 고정하고 타단은 상측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다.The elastic body 233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spheres 231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and the elastic body fixing portion 234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sphere 232 with one end of the elastic body 233 ) Is fixed to the elastic body 233 so that it can perform compression,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protrude upwardly.

이때, 탄성체고정부(234)는 제1 와이어(140)의 긴장력에 따라 수평구(232)에 형성된 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탄성체(233)를 압축한다. 탄성체(233)는 탄성체고정부(234)의 하단에 막음판(2341)이 결합되어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체(233)는 길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볼트(2342)를 통해서 막음판(2341)의 고정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fixing part 234 compresses the elastic body 233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sphere 232 according to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140. The elastic body 233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lower side by being coupled to the blocking plate 2341 at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fixing portion 234. The elastic body 233 may adjust the fixing distance of the blocking plate 2341 through the bolt 2342 so as to flexibly respond according to the length.

와이어 연결부(240)는 일단이 탄성체고정부(234)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와이어(14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 홀(241)과 제2 홀(242)이 형성된다. 와이어 연결부(240)는 와이어 텐션유지부(2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 와이어(140)와 와이어 텐션유지부(230)의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ire connection part 240 has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fixing part 234, and the other end extends upwar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40, the first hole 241 and the second hole 242 is formed. The wire connection part 2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wire tension holding part 230 to prevent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irst wire 140 and the wire tension holding part 230.

제1 홀(241)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홀이 형성되면서 하단에 인접한 영역에서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first hole 241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in a reg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while a hole is form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제2 홀(242)은 제1 홀(241)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사선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와이어 연결부(240)는 상측에서 하측 소정영역까지 테이퍼 형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시 상측과 동일한 폭으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hole 24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e 2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formed along the diagonal direction. To this end, the wire connection part 240 is formed to have a tapered shape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predetermined area, and has two cross-sectional shapes extending downwardly with the same width as the upper side.

이와 같이 제1 홀(241) 및 제2 홀(242)이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240)와 제1 와이어(160) 또는 밸러스웨이트가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structure in which the wire connection part 240 in which the first hole 241 and the second hole 242 are formed and the first wire 160 or the balance weight are connecte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제1 와이어(140)는 제1 홀(241)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다가 측면을 관통한다. 그리고, 관통한 제1 와이어(140)의 종단은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2 홀(242)에 삽입되어 상측을 관통하여 와이어 연결부(240)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와이어(160)는 제1 홀(241) 및 제2 홀(242)을 관통하여 배치된 상태가 되면서 2 가닥의 제1 와이어(140)가 이웃하여 배치된다. 이웃하여 배치된 제1 와이어(140)는 대략적으로 와이어 연결부(240)에 'U' 자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와이어(140)를 와이어 연결부(24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First, the first wire 140 is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first hole 241 and then penetrates the side. In addition, the end of the first wire 140 that has passed throug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242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penetrates the upper side and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wire connection part 240. Accordingly, while the first wire 160 is disposed through the first hole 241 and the second hole 242, two first wires 14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Since the adjacent first wire 140 is approximately fixed to the wire connection part 240 in a'U' shape, it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and the first wire 140 is firmly fixed to the wire connection part 240 You can make i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평형유지 장치는 케이지(200)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수평바(22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한 쌍의 와이어 텐션유지부(230)가 구비되기 때문에 한쪽의 와이어 텐션유지부(230)가 끊어지더라도 다른 쪽의 탄성체(233)가 압축되기 때문에 케이지(200)의 평형상태를 보다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의 물체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equilibrium holding device of the cage of the balanc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cage 200, and a pair of wire tension holding units 230 on both sides around the horizontal bar 220 Is provided, even if the wire tension holding part 230 on one side is broken, the elastic body 233 on the other side is compressed so that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cage 200 is Since it can be maintained more smooth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even when a heavy object or person moves.

따라서 와이어 텐션유지부가 끊어지더라도 다른 쪽의 탄성체가 압축되기 때문에 케이지의 평형상태를 보다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중량의 물체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wire tension holding part is broken, the elastic body on the other side is compressed, so that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cage can be more smoothly maintained, and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even when a heavy object or person moves.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specific examples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 구동부 120 : 제1 권취부
140 : 제1 와이어 150 : 제2 와이어
160 : 밸런스웨이트 200 : 케이지
210 : 상부 프레임 220 : 수평바
230 : 와이어 텐션유지부 240 : 와이어 연결부
300 : 조속기 320 : 추락방지부
330 : 축압기
110: drive unit 120: first winding unit
140: first wire 150: second wire
160: balance weight 200: cage
210: upper frame 220: horizontal bar
230: wire tension holding part 240: wire connection part
300: governor 320: fall prevention unit
330: accumulator

Claims (5)

케이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의 하강속도에 따라 상기 케이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기계식 기계식 추락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지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조속기;
상기 케이지의 상단 프레임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제동하는 와이어정착부와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지의 하강속도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추락방지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지의 하강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추락방지부가 작동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축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In the mechanical mechanical fall prevention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cage and controls the drive of the cage according to the falling speed of the cage to prevent the cage from falling,
A governor mounted on the cage to sense a moving speed of the cage;
A plurality of wires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of the cage;
A fall prevention unit that is coupled to the wire and includes a wire fixing unit and a cylinder for braking the wire, and fixing the wire according to a descending speed of the cage;
And an accumulator that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provides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so that the fall prevention unit is operated when the descending speed of the c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pe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케이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와이어정착부가 상기 회동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축압기를 통해 상기 실린더에 오일이 공급되면, 상기 실린더가 하강하면서 상기 와이어정착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ll prevention part,
Further comprising; a pivot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ge,
When the cylinder and the wire fixing par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part and oil is supplied to the cylinder through the accumulator, the wire is fixed by moving the wire fixing part upward while the cylinder descends.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c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정착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는 테이퍼홀이 형성되는 고정몸체;
상기 테이퍼홀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에 오일이 공급되면서 상기 테이퍼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면이 맞닿으면서 상기 와이어를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정착구; 및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정착구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정착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정착구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안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 fixing part,
A fixed body having a tapered hole formed from upper to lower light;
A pair of wires disposed inside the tapered hole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ile oil is supplied to the cylinder, the wires are surrounded by moving upward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hole while contacting each other. While fixing the anchorage; And
And a horizontal guide hole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xing unit to guide the horizontal sliding movement of the fixing unit when the fixing unit moves upward.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테이퍼홀에 배치된 상측에서 하측을 따라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돌출구가 결합되고.
상기 정착구는,
상기 돌출구와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반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wire,
At least one protrusion is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disposed in the tapered hole.
The anchorage,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mispherical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엘리베이터 또는 작업용 카케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ge,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or work car cage.
KR1020190015543A 2019-02-11 2019-02-11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KR102179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43A KR102179010B1 (en) 2019-02-11 2019-02-11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43A KR102179010B1 (en) 2019-02-11 2019-02-11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05A true KR20200098005A (en) 2020-08-20
KR102179010B1 KR102179010B1 (en) 2020-11-17

Family

ID=7224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43A KR102179010B1 (en) 2019-02-11 2019-02-11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01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0A (en) * 1992-06-16 1994-01-11 Hitachi Ltd Elevator and its emergency suspension device including accumulator and pressure fluid bomb
KR20080090609A (en) * 2007-04-05 2008-10-09 주식회사 케이.알 Air type rope brake
CN105398908A (en) * 2015-10-10 2016-03-16 穆洪彪 Auxiliary control device of elevator safety tongs
KR101639417B1 (en) 2016-03-08 2016-07-15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Emergency brake device for construction li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0A (en) * 1992-06-16 1994-01-11 Hitachi Ltd Elevator and its emergency suspension device including accumulator and pressure fluid bomb
KR20080090609A (en) * 2007-04-05 2008-10-09 주식회사 케이.알 Air type rope brake
CN105398908A (en) * 2015-10-10 2016-03-16 穆洪彪 Auxiliary control device of elevator safety tongs
KR101639417B1 (en) 2016-03-08 2016-07-15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Emergency brake device for construction 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010B1 (en)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109B1 (en) Elevator having governor
JP2005511451A (en) Drive pulley typ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KR101658334B1 (en) Up and down device for illumination apparatus
KR101036020B1 (en) Fall prevention device of industrial lift
KR100430113B1 (en) Elevator
JP2014162634A (en) Weight variable elevator
EP1431231B1 (en) Elevator without machineroom
KR10217901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JP2014114130A (en) Elevator
JP4862296B2 (en) Elevator inspection method
JP2008024455A (en) Elevator
JP5088214B2 (en) Rope brake unit for elevator
KR102210690B1 (en) Winding apparatus
JP3140819U (en) Lifting device using hydraulic cylinder
KR102555987B1 (en) Automatic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for up-down door
KR102155308B1 (en) Balancing apparatus for cage
KR100772203B1 (en) Tower crane's go up and come down apparatus
KR100597941B1 (en)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KR101658336B1 (en) Up and down device for illumination apparatus wiht safety apparatus
KR20040104565A (en) Elevator equipmrnt
KR101842183B1 (en) Cable protection of construction lifts
JP7176649B2 (en) Elevator controllers and elevator systems
JPH07137991A (en) Wire rope hoisting device
JP7340025B2 (en) construction elevator
JP2005075575A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