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51A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51A
KR20200097951A KR1020190015439A KR20190015439A KR20200097951A KR 20200097951 A KR20200097951 A KR 20200097951A KR 1020190015439 A KR1020190015439 A KR 1020190015439A KR 20190015439 A KR20190015439 A KR 20190015439A KR 20200097951 A KR20200097951 A KR 20200097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nodes
network
emergency response
respons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8906B1 (en
Inventor
아볼가셈
최수미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90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89Hierarchical topolog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 device for enhancing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hrough assessment of emergency response network structure dynamics can be configured to establish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perform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based o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stablishing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comprises: detecting nodes related to emergency responses cor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nodes based on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s; 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nodes and the interactions; evaluating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to detect the properties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adjusting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properties.

Description

비상 대책 네트워크 구조 역학의 평가를 통한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다양한 실시예들은 비상 대책 네트워크 구조 역학의 평가를 통한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relate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al power through the evaluation of emergency response network structure dynamics.

일반적으로, 예기치 못한 위함하고 심각한 비상 상황, 예컨대 자연 재해 또는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가 인명과 환경을 지원하도록, 인력과 자원을 조정하는 데 요구된다. 비상 상황은 인명 또는 환경에 불확실성과 위험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과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위한 관계자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비상 상황에 대한 표준 운영 절차를 포함하는 비상 대책 계획이 수립된다. 표준 운영 절차는 비상 대책을 위한 관계자의 책임과 역할을 식별할 수 있다. In general, preparation for responding to unforeseen dangerous and serious emergencies such as natural disasters or accidents is required to coordinate manpower and resources to support people and the environment. Emergency situations can pose uncertainty and risk to people or the environment. Therefore, cooperation of stakeholders is necessary for immediate action to manage the uncertainty and risk of emergency situations. To this end, an emergency response plan is established that include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emergency situation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can identify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stakeholders for emergency response.

그런데, 상기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관계자가 비상 대책 계획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는, 비상 상황이 실질적으로 불확실하고 까다로우며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비상 대책 계획이 비상 상황에 대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 상황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in such emergency situations,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person concerned cannot continue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plan. This is because emergency situations are practically uncertain, tricky and confusing. Due to this, the emergency response plan may not be appropriate for emergency situation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방법은,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reinforcing an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al power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establishing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per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activity based o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축 단계는,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과 관련된 노드들과 상기 노드들 간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노드들과 상호 작용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uilding may include detecting an interaction between nodes related to emergency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nodes based on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Based on the action, forming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evaluat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detecting an attribute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and adjust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based on the attribute. I ca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a device for reinforcing an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 and constructs an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uses the interface unit to provide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It may include a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based on the network.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과 관련된 노드들과 상기 노드들 간 상호 작용을 검출하고, 상기 노드들과 상호 작용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을 검출하고, 상기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odes and the nodes related to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nodes. Based on,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evaluate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detect an attribute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and adjust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based on the attribut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이전에 발생된 비상 상황을 고려하여, 미래의 비상 상황을 위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생되는 비상 상황에 대해,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may build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for a future emergency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a previously generated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that occurs by using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비상 대책 네트워크 구축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비상 대책 네트워크 기반 비상 대책 활동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도 2의 비상 대책 네트워크 기반 비상 대책 활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s of establish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of FIG. 2.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of FIG. 2.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response activity step based o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of FIG. 2.
6A, 6B, 6C, and 6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eps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based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step of FIG. 2.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substitutes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ele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or B", "A, B or C" or "at least one of A, B and/or C" are all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t may include possible combinations.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can modify the corresponding elements regardless of their order or importance, a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When any (eg,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is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erm "module" used in this document includes a unit composed of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for example, logic, logic blocks, parts, or circuits.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configured component or a minimum unit or a part of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the module may be configured as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수집부(110), 메모리(120),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프로세서(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a device for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power for emergency measures, and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110, a memory 120, an interface unit 130, or a processor 140.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데이터 수집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부(110)는 카메라 모듈, 입력 장치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으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외부,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미도시)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may collect data from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mera module, an input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e camera module may take an image and receive it as data converted from the image. The input device may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a mouse or a keyboar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data by performing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및 그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 미들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20 may store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memory 120 may store at least one of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software such as a program and a command related thereto. The progra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rating system, middleware, and application.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미도시)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30 may interface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o this end, the interface unit 130 may be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perform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프로세서(140)는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발생된 비상 상황과 관련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함으로써,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발생된 비상 상황과 관련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시간 흐름에 따라,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비상 대책 활동을 진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40)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a program, and may perform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 The processor 140 may establish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may establish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by adjusting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related to an emergency situation that has previously occurred. To this end, the processor 140 may evaluate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related to a previously generated emergency situation. Further, the processor 140 may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and perform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based on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is,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us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volve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in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over time. Through this, the processor 140 ma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layers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미도시)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130), 및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a device for reinforcing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al power, and establishes an interface unit 130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not shown), and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using the interface unit 130, it may include a processor 140 configured to perform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based on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40)는,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과 관련된 노드들과 상기 노드들 간 상호 작용을 검출하고, 상기 노드들과 상호 작용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을 검출하고, 상기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detects nodes related to emergency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nodes, based on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Based on the intera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evaluate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detect an attribute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adjust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attribut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속성은,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상기 노드들의 밀도, 클러스터링 계수, 상기 노드들의 중심성 또는 상기 상호 작용의 방향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nsity of the nodes, a clustering coefficient, a centrality of the nodes, or a direction of the interaction 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는, 시간 흐름에 따라 진화되도록 구성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may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configured to evolve over tim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노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방향성을 정규화하여, 상기 상호 작용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노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자로 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be configured to normalize the directionality for each of the nodes and select at least one of the nodes as a coordinator based on the number of interactions.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조정자를 중심으로 상기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emergency response activity around the coordinator.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때 도 2는 전자 장치(100)의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this case, FIG. 2 shows a method for reinforcing the organizational power of emergency countermeasure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210 단계에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이전에 발생된 비상 상황과 관련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함으로써,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이전에 발생된 비상 상황과 관련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stablish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in step 210.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stablish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by adjusting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related to a previously generated emergency situation. To this e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valuate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related to a previously generated emergency situation.

도 3은 도 2의 비상 대책 네트워크 구축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s of establish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of FIG. 2.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310 단계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다양한 비상 상황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는 개인 로그를 기반으로 발생되며, 제출물, 진술(statement) 파일, 보고서, 기사, 웹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llect data in operation 310. The processor 140 may collect data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Here, the processor 140 may collect data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In this case, the processor 140 may collect data related to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Here, the processor 140 may store data in the memory 120. For example, data is generated based on personal logs, and may include submissions, statement files, reports, articles, and web documents.

일 예로,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의 광대한 지역에, 2009년 2월 7일 토요일에 점화된 Black Saturday bushfires라고도 불리는 일련의 산불이 발생했다. 압도적이고 파괴적인 산불로 인하여, 3,500 개가 넘는 구조물과 45 만 헥타르의 땅이 파괴되어 414 명이 부상을 당했고 7,562 명이 실향하였고 173 명이 사망했다. 가장 크고 파괴적인 일련의 화재 중 하나는 멜버른 북쪽 90 킬로미터 떨어진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 전체를 태웠다.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의 화재는 전례 없는 가장 치명적인 피해, 즉 119 명의 사망자와 1,242 채의 집 파괴를 초래했다. 전자 장치(100)는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 화재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는 화재 발생 직후 설립된 Victorian Bushfires Royal 위원회에 의해 작성된 보고서(성적서 및 개별 진술)의 내용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으며, 위원회에서 합의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For example, a series of wildfires, also known as Black Saturday bushfires, ignited on Saturday, February 7, 2009 in a vast area of Victoria, Australia. The overwhelming and devastating wildfires destroyed more than 3,500 structures and 450,000 hectares of land, injuring 414 people, displaced 7,562 people, and 173 people killed. One of the largest and most devastating series of fires burned the entire Kilmore East area, 90 kilometers north of Melbourne. A fire in the Kilmore East area caused the most deadly damage ever: 119 deaths and 1,242 home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llect data related to a fire in the Kilmore East area. Data may come from the content of reports (reports and individual statements) prepared by the Victorian Bushfires Royal Commission established shortly after the fire, and may not have been agreed upon by the Commission.

전자 장치(100)는 320 단계에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각각의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각각의 비상 상황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비상 상황들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nalyze data in step 320. 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data related to each emergency situation. Here, the processor 140 may store data in the memory 120 according to each emergency situation. In this case, the processor 140 may extract data related to any one of the emergency situations.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 화재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는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 화재와 관련된 데이터를 판독 및 요약할 수 있다. 빅토리아 주의 비상 사태 관리 계획과 운영 구조에 따르면, 인시던트 관리팀(incident management team; IMT)은 호주 국제 서비스 사고 관리 시스템(Australasian inter-service incident management system; AIIMS)의 한 부서이며, 소방 및 응급 서비스 기관의 인시던트 관리를 위한 국가 시스템으로 인정 받고 있다. IMT는 계획(planning), 운영(operations), 물류(logistics), 조사(investigation), 정보(intelligence), 공개 정보(public inform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인력을 감독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정자(control unit; incident controll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빅토리아 주는 사건의 심각성과 복잡성에 따라 세 개의 계층들로 구성되는 관리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계층은 지역 또는 초기 대응 자원만을 사용하여 사건을 해결하도록 제공되며, 제어는 직접적인 영역으로 제한되며, 조정자는 모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 계층은 규모, 자원 또는 위험 중 더 복잡한 비상 대책을 요구하는 사건을 해결하도록 제공되며, 초기 대응 이상으로 자원을 배치해야 하는 필요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책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운영은 부문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조정자는 일부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구성원이 운영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세 번째 계층은 비상 사태를 관리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보다 복잡한 조직 구조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 제공되며, 모든 기능들이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별도의 인력에 의해 또는 인력들의 협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IMT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인력을 필요로 하며 다른 기관과 소통해야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extract data related to a fire in the Kilmore East area. To this end, the processor 140 may read and summarize data related to a fire in the Kilmore East area. According to Victoria's Emergency Management Plan and Operational Structure, the incident management team (IMT) is a division of the Australian inter-service incident management system (AIIMS), and is a division of fire and emergency services agencies. It is recognized as a national system for incident management. IMT is a control coordinator to oversee and manage personnel responsible for various functions such as planning, operations, logistics, investigation, intelligence, public information, etc. unit; incident controller; IC). The state of Victoria can use a management structure consisting of three tiers, depending on the severity and complexity of the incident. The first layer is provided to resolve incidents using only local or initial response resources, control is limited to the direct domain, and the coordinator can perform all functions. The second tier is provided to address incidents that require more complex emergency countermeasures of size, resource or risk, and may require emergency countermeasures characterized by the need to deploy resources beyond the initial response, and operations are sectoral. Can be divided into The coordinator performs some administrative functions, while other members can perform other functions, such as operations. The third tier is provided for situations that require a substantially more complex organizational structure to manage emergencies, and all functions can be performed by separate personnel responsible for each function or by collaboration of personnel. In other words, IMT requires multiple personnel performing different functions and may need to communicate with other organizations.

전자 장치(100)는 330 단계에서 비상 상황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과 관련된 노드들과 노드들 간 상호 작용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노드들의 식별 정보, 노드들의 위치, 상호 작용의 시간, 상호 작용의 내용, 상호 작용이 실행된 장치 또는 상호 작용이 실행된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작용은 노드들 간 연결을 나타내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통신,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 화재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에 투입된 적어도 하나의 관계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기관을 식별하고, 이를 노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검출할 수 있다. In step 33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ct nodes related to emergency countermeasure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emergency situ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nodes. The processor 140 may detect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nodes, locations of nodes, time of interaction, content of interaction, a device in which the interaction is performed, or a technology in which the interaction is performed. Here, the interaction represents a connection between nodes and may be determin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communication, comman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t least one person concerned or at least one related agency that has been put into emergency measures in response to a fire in the Kilmore East area, and detect this by at least one of the nodes. .

전자 장치(100)는 340 단계에서 노드들과 노드들 간 상호 작용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노드들의 위치에 따라 노드들을 배치하고, 노드들의 상호 작용에 따라 노드들을 연결함으로써,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비상 대책 네트워크는 시간 흐름(T1, T2, T3, T4)에 따라 진화되도록 구성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상 대책 네트워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네 개의 계층(T1, T1-T2, T2-T3, T3-T4)들, 즉 제 1 계층(T1), 제 2 계층(T1-T2), 제 3 계층(T2-T3) 및 제 4 계층(T3-T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시간 흐름에 따라, 상위 계층으로부터 하위 계층으로, 즉 제 1 계층(T1)으로부터 제 2 계층(T1-T2), 제 3 계층(T2-T3) 및 제 4 계층(T3-T4) 순서로 진화될 수 있다. 제 1 계층(T1)은 비상 상황 발생 시점 또는 감지 시점과 동일한 시점 또는 그 이후의 정해진 시간 간격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 2 계층(T1-T2), 제 3 계층(T2-T3) 및 제 4 계층(T3-T4)은 각각 정해진 시간 간격(t1, t2, t3)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가 노드들을 계층들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상호 작용의 시간을 기반으로,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을 계층들로 구분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orm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nodes and nodes in step 340. In this case, the processor 140 may form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by arranging nod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nodes and connecting the node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s of the nodes.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may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that is configured to evolve according to the time flow (T1, T2, T3, T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includes at least four layers (T1, T1-T2, T2-T3, T3-T4), that is, a first layer (T1), a second layer (T1). -T2), a third layer (T2-T3), and a fourth layer (T3-T4) may be includ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time flow, the order of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that is, from the first layer (T1) to the second layer (T1-T2), the third layer (T2-T3) and the fourth layer (T3-T4) Can be evolved into The first layer (T1) may correspond to a time interval equal to or after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or detection time, and the second layer (T1-T2), the third layer (T2-T3), and the fourth layer. The layers T3-T4 may correspond to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1, t2, and t3,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processor 140 may divide the nodes into layers.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divide nodes into layers 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time of interaction.

일 예로,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 화재와 관련된 데이터로부터 104 명의 개인 노드들과 286 건의 상호 작용이 검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과 같은 수학 기반 방법론을 통하여, 노드들과 노드들 간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노드들의 관계 구조를 조사할 수 있다. SNA는 그룹과 개인 행동의 핵심 빌딩 블록인 액터 세트 간의 관계의 구조 (패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SNA의 관점은 조직의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 내부 또는 외부의 다른 사람들과 개인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세서(140)가 하기 [표 1]과 같이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 화재와 관련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from data related to a fire in the Kilmore East area, 104 individual nodes and 286 interactions may be detected. The processor 140 may examine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nodes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nodes and nodes through a mathematical-based methodology such as social network analysis (SNA). SNA focuses on the structure (pattern) of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and sets of actors, which are the key building blocks of individual behavior, and SNA's perspectiv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others within or outside the organization that can affect the success of the organization. Focus on. Based on this, the processor 140 may form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related to a fire in the Kilmore East area as shown in Table 1 below.

전자 장치(100)는 350 단계에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을 검출할 수 있다.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은 노드들 간 응집력, 연결성 또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은,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의 밀도, 클러스터링 계수, 노드들의 중심성 또는 상호 작용의 방향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valuate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in step 350.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ct the property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The property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may indicate at least one of cohesion, connectivity, and structure between nodes. The property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nsity of nodes, a clustering coefficient, a centrality of nodes, or a direction of interaction 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밀도(density)는 노드(participant)들의 상호 연결 정도(interaction)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밀도는 노드들의 모든 연결 개수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밀도를 n(n-1)/2로 산출할 수 있으며, n은 노드들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Density may indicate the degree of interconnection of nodes (participants). Here, the density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all connections of nodes.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calculate the density as n(n-1)/2, and n may represent the number of nodes.

클러스터링 계수(clustering coefficient)는 각각의 노드에 직접 연결된 이웃, 즉 다른 노드들 간의 통신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클러스터링 계수는 각각의 노드에 직접 연결되는 다른 노드들의 밀도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클러스터링 계수를 모든 노드들의 클러스터링 계수의 평균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 i에 ki 개의 다른 노드들이 직접 연결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노드 i의 클러스터링 계수를 ki(ki-1)/1로 산출할 수 있다. The clustering coefficient may indicat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s directly connected to each node, that is, other nodes. In this case, the clustering coefficient may be determined by the density of other nodes directly connected to each node. The processor 140 may calculate the clustering coefficient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s an average of the clustering coefficients of all nodes. For example, when ki other nodes are directly connected to node i, the processor 140 may calculate the clustering coefficient of node i as ki(ki-1)/1.

중심성(network centralization)은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의 중요성을 나타내며, 노드들의 역할, 동작 및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성은 노드들의 성질, 예컨대 리더십, 만족도 및 효율성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각각의 노드에 직접 연결된 다른 노드들의 개수로 각각의 노드에 대한 중심성을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40)는 모든 노드들의 중심성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중앙 집중식 구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가장 중심에 있는 노드의 중심성과 모든 다른 노드들의 중심성 간 차이값의 합계와 가능한 최대 차이값의 합계 간 비율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중상 집중식 구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Network centralization indicates the importance of nodes 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le, operation and structure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Here, centrality may reflect the nature of nodes, such as leadership, satisfaction, and efficiency.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calculate the centrality of each node based on the number of other nodes directly connected to each node. 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may check whether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has a centralized structure based on the centrality of all nodes. Here, the processor 140 may check whether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has a centralized structure based on the ratio between the sum of the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centrality of the most central node and the centrality of all other nodes and the maximum possible difference value. .

방향성은 상호 연결되는 노드들 사이의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하위 계층의 노드로 접근이 가능하나, 하위 계층의 노드로부터 상위 계층의 노드로 접근은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각각의 노드에 대하여, 각각의 노드를 향하는 입력 링크(in-degree)와 각각의 노드로부터 다른 노드로 향하는 출력 링크(out-degree)를 구분할 수 있다. Directionality may indicate a direction between nodes that are interconnect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ccess a node of a lower layer from a node of an upper layer, but it may not be possible to access a node of a higher layer from a node of a lower layer. Here, for each node, the processor 140 may distinguish an input link (in-degree) toward each node and an output link (out-degree) from each node to another node.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하기 [표 1]과 같이 킬모어 이스트(Kilmore East) 지역 화재와 관련된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을 검출할 수 있다. 하기 [표 1]에 따르면, 비상 대책 네트워크가 낮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계층에서 밀도가 가장 높으나, 시간 흐름에 따라, 제 3 계층 및 제 4 계층에서 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계층, 제 3 계층 및 제 4 계층에서 구성 요소(component)가 1이라는 것은, 비상 대책 네트워크가 완전히 연결됨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제 2 계층, 제 3 계층 및 제 4 계층에서 모든 관계자들 또는 관계기관들이 고립되지 않고, 최소한 하나의 경로로 연결될 수 있다. 클러스터링 계수에 따르면, 시간 흐름에 따라, 중앙 집중화가 점차로 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흐름에 따라, 입력 링크를 기반으로 상위 10 명의 개인 노드들이 하기 [표 2]와 같이 정렬되고, 출력 링크를 기반으로 상위 10 명의 개인 노드들이 하기 [표 3]과 같이 정렬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detect an attribute of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related to a fire in the Kilmore East area as shown in Table 1 below. According to the following [Table 1],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may have a low density. The density is highest in the second layer, but the density may decrease in the third layer and the fourth layer over time. In addition, a component of 1 in the second layer, the third layer and the fourth layer may indicate that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is completely connected. That is, in the second layer, the third layer, and the fourth layer, all related parties or related organizations are not isolated and may be connected by at least one path. According to the clustering coefficient, over time, the centralization can be gradually distributed. Here, over time, the top 10 individual nodes may be sorted based on the input link as shown in [Table 2] below, and the top 10 individual nodes based on the output link may be sorted as shown in [Table 3] below.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전자 장치(100)는 360 단계에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노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역할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시간 흐름에 따라, 노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역할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노드들의 방향성, 즉 입력 링크와 출력 링크를 정규화하여, 하기 [표 4]와 같이 상위 10 명의 개인 노드들을 정렬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노드들의 직접 링크 개수를 기반으로, 상위 10 명의 개인 노드들을 정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40)는 시간 흐름에 따라, 하기 [표 5]와 같이 5 명의 비상 대책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자들을 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조정자들을 중심으로 비상 대책 활동이 중앙 집중화되도록, 조정자들을 선출할 수 있다. 이 후 전자 장치(100)는 도 2로 리턴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djust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in step 360.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djust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The processor 140 may change the role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Here, the processor 140 may change the role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ver time.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normalize the directions of nodes, that is, the input link and the output link, and sort the top 10 individual nodes as shown in Table 4 below. That is, the processor 140 may sort the top 10 individual nodes based on the number of direct links of the nodes. Through this, the processor 140 may select coordinators for coordinating five emergency measures, as shown in Table 5 below, as time passes.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elect coordinators so that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are centralized around coordinators. After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turn to FIG.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전자 장치(100)는 220 단계에서 비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는 230 단계에서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210 단계에서 구축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시간 흐름에 따라,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비상 대책 활동을 진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in step 220. In response to thi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based on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in step 230.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us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established in step 21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volve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in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over time. Through thi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layers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도 5 도 2의 비상 대책 네트워크 기반 비상 대책 활동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도 2의 비상 대책 네트워크 기반 비상 대책 활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ep of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based on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of FIG. 6A, 6B, 6C, and 6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ep of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based on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of FIG. 2.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511 단계에서 비상 상황에 대응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제 1 계층의 노드들로 하여금,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제 1 계층의 노드들 중 조정자들을 중심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제 1 계층의 노드들 중 조정자들로 하여금, 제 1 계층의 나머지 노드들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1이 도래할 때까지 비상 대책 활동을 준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511,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epare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in response to an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cause nodes of the first layer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to perform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as shown in FIG. 6A. 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centered on coordinators among the nodes of the first layer. Here, the processor 140 may allow coordinators among the nodes of the first layer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remaining nodes of the first lay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epare for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until T1 arrives.

513 단계에서 T1이 도래하면, 전자 장치(100)는 515 단계에서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제 1 계층에 의해 비상 상황이 해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515 단계에서 비상 상황이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517 단계에서 비상 상황에 대응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제 2 계층의 노드들로 하여금,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제 2 계층의 노드들 중 조정자들을 중심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제 2 계층의 노드들 중 조정자들로 하여금, 제 2 계층의 나머지 노드들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2가 도래할 때까지 비상 대책 활동을 준비할 수 있다.When T1 arrives in step 513,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has been resolved by the first layer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in step 51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5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not been resolv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volve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in step 517.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cause nodes of the second layer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to perform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as shown in FIG. 6B. 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centered on coordinators among the nodes of the second layer. Here, the processor 140 may allow coordinators among the nodes of the second layer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remaining nodes of the second lay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epare for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until T2 arrives.

519 단계에서 T2가 도래하면, 전자 장치(100)는 521 동작에서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제 2 계층에 의해 비상 상황이 해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521 단계에서 비상 상황이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523 단계에서 비상 상황에 대응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제 3 계층의 노드들로 하여금,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제 3 계층의 노드들 중 조정자들을 중심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제 3 계층의 노드들 중 조정자들로 하여금, 제 3 계층의 나머지 노드들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3가 도래할 때까지 비상 대책 활동을 준비할 수 있다.When T2 arrives in step 519,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has been resolved by the second layer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in operation 52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21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not been resolv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volve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in step 523.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cause nodes of the third layer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to perform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as shown in FIG. 6C. 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centering on coordinators among nodes of the third layer. Here, the processor 140 may allow coordinators among the nodes of the third layer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remaining nodes of the third lay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epare for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until T3 arrives.

525 단계에서 T3가 도래하면, 전자 장치(100)는 527 동작에서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제 3 계층에 의해 비상 상황이 해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527 단계에서 비상 상황이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529 단계에서 비상 상황에 대응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제 4 계층의 노드들로 하여금,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제 4 계층의 노드들 중 조정자들을 중심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제 4 계층의 노드들 중 조정자들로 하여금, 제 4 계층의 나머지 노드들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전자 장치(100)는 도 2로 리턴할 수 있다. When T3 arrives in step 525,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has been resolved by the third layer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in operation 527.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27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not been resolv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volve an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in step 529.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cause the nodes of the fourth layer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to perform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as shown in FIG. 6D. In this case,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centering on coordinators among the nodes of the fourth layer. Here, the processor 140 may allow coordinators among the nodes of the fourth layer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remaining nodes of the fourth lay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After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turn to FIG. 2.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방법은,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reinforcing an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al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establishing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per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activity based o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상기 구축 단계는,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과 관련된 노드들과 상기 노드들 간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노드들과 상호 작용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various steps of constructing may include detecting an interaction between nodes related to emergency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nodes based on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Based on the interaction, 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evaluating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detecting an attribute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adjusting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attribute can do.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속성은,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상기 노드들의 밀도, 클러스터링 계수, 상기 노드들의 중심성 또는 상기 상호 작용의 방향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nsity of the nodes, a clustering coefficient, a centrality of the nodes, or a direction of the interaction 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는, 시간 흐름에 따라 진화되도록 구성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may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configured to evolve over tim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노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방향성을 정규화하여, 상기 상호 작용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노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자로 선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djusting step may include normalizing the directionality for each of the nodes, and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nodes as a coordinator based on the number of interactions.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조정자를 중심으로 상기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erforming step may include perform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y centering on the coordinato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축 단계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uilding may include collecting data, and analyzing the data to extract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노드들의 위치, 상기 상호 작용의 시간, 상기 상호 작용의 내용, 상기 상호 작용이 실행된 장치 또는 상기 상호 작용이 실행된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the detecting step, at least one of the locations of the nodes, the time of the interaction, the content of the interaction, the device in which the interaction is executed, or the technology in which the interaction is executed is detect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이전에 발생된 비상 상황을 고려하여, 미래의 비상 상황을 위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생되는 비상 상황에 대해,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stablish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for a future emergency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a previously generated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that occurs by using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되었으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have been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Therefore,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12)

전자 장치의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축 단계는,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과 관련된 노드들과 상기 노드들 간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노드들과 상호 작용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organization of emergency measures of an electronic device,
Establishing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d
And per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activity based o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The construction step,
Detecting an interaction between nodes related to emergency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nodes based on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interactions with the nodes;
Evaluating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and detecting an attribute of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And
And adjusting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attribu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상기 노드들의 밀도, 클러스터링 계수, 상기 노드들의 중심성 또는 상기 상호 작용의 방향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tribute is
A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ensity of the nodes, a clustering coefficient, a centrality of the nodes, or a direction of the interaction 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는,
시간 흐름에 따라 진화되도록 구성되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 method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that is structured to evolve over ti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노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방향성을 정규화하여, 상기 상호 작용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노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자로 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justing step,
And normalizing the directionality for each of the nodes, and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nodes as a coordinator based on the number of interaction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조정자를 중심으로 상기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erforming step,
Performing the emergency response activity around the coordin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단계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ilding step,
Collecting data; And
And analyzing the data to extract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노드들의 위치, 상기 상호 작용의 시간, 상기 상호 작용의 내용, 상기 상호 작용이 실행된 장치 또는 상기 상호 작용이 실행된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step,
And detecting at least one of a location of the nodes, a time of the interaction, a content of the interaction, a device in which the interaction was performed, or a technique in which the interaction was performed.
비상 대책 조직력 강화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비상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대책과 관련된 노드들과 상기 노드들 간 상호 작용을 검출하고,
상기 노드들과 상호 작용에 기반하여,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평가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의 속성을 검출하고,
상기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In th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organization of emergency measures,
An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Constructing an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and using the interface unit, a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emergency countermeasure activities based on the emergency countermeasure network,
The processor,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odes and the nodes related to emergency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nodes, to form an emergency response network,
Evaluate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detect the attribute of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n apparatus configured to adjust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based on the attribu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에서 상기 노드들의 밀도, 클러스터링 계수, 상기 노드들의 중심성 또는 상기 상호 작용의 방향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ttribute is
The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ensity of the nodes, a clustering coefficient, a centrality of the nodes, or a direction of the interaction 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대책 네트워크는,
시간 흐름에 따라 진화되도록 구성되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mergency response network,
A device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that is structured to evolve over ti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방향성을 정규화하여, 상기 상호 작용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노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자로 선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ocessor,
The device is configured to normalize the directionality for each of the nodes, and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nodes as a coordinator based on the number of interaction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정자를 중심으로 상기 비상 대책 활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cessor,
An apparatus configured to perform the emergency response activity around the coordinator.
KR1020190015439A 2019-02-11 2019-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KR1022089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439A KR102208906B1 (en) 2019-02-11 2019-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439A KR102208906B1 (en) 2019-02-11 2019-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51A true KR20200097951A (en) 2020-08-20
KR102208906B1 KR102208906B1 (en) 2021-01-28

Family

ID=7229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439A KR102208906B1 (en) 2019-02-11 2019-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90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445A (en) * 2008-12-24 2010-07-02 김원국 System reponding to emergency
KR100989332B1 (en)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An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the emergency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04205A (en) * 2015-02-26 2016-09-05 (주)바인테크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is based on the machine to machine
KR20180059356A (en)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urgent response against disaster situations including chemical hazard, and disaster response method using thereof
KR101872294B1 (en) * 2017-10-25 2018-06-29 부산광역시 Method for propagation of disaster situ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executin the method
KR101876717B1 (en) * 2017-12-06 2018-07-13 주식회사 피씨엔 Recovery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disasters and accidents
KR20180097093A (en) * 2017-02-22 2018-08-3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445A (en) * 2008-12-24 2010-07-02 김원국 System reponding to emergency
KR100989332B1 (en)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An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the emergency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04205A (en) * 2015-02-26 2016-09-05 (주)바인테크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is based on the machine to machine
KR20180059356A (en)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urgent response against disaster situations including chemical hazard, and disaster response method using thereof
KR20180097093A (en) * 2017-02-22 2018-08-3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KR101872294B1 (en) * 2017-10-25 2018-06-29 부산광역시 Method for propagation of disaster situ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executin the method
KR101876717B1 (en) * 2017-12-06 2018-07-13 주식회사 피씨엔 Recovery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disasters and accide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valuating Emergency Response Network Emergence: The case of the Kilmore East Fire, Alireza Abbasi, Centre for Complex Systems Research, Faculty of Engineering and IT, University of Sydne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906B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ggag et al. Resilient cities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e: a meta-research
Hofeditz et al. Meaningful Use of Social Bots? Possible Applications in Crisis Communication during Disasters.
Clark-Ginsberg et al. Comparing networked and linear risk assessments: from theory to evidence
Nel et al. Supply chain disruptions: Insights from South African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providers and clients
Ståhlbröst et al. Stakeholders in smart city living lab processes
da Silva et al. Dynamic modeling of an early warning system for natural disasters
CN111932200A (en) Remote bidding evaluation system
Hajializadeh et al. RV-DSS: Towards a resilience and vulnerability-informed decision support system framework for interdependent infrastructure systems
KR1022089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Balakrishnan et al. Modeling interdependent effects of infrastructure failures using imprecise dependency information
Jennex Managing Crises and Disasters with Emerging Technologies: Advancements: Advancements
Keshtegar et al. The impact of business intelligence on enablers of EFQM excellence model with mediating role of knowledge sharing
Véronneau et al. A model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ntinuity
CN109919638A (en) A kind of staple product quality safety electronic tracing system
Latino et al. Lesson learned and best practice management: A tool to support the enterprise
Hassel Risk and vulnerability analysis in society’s proactive emergency management: Developing methods and improving practices
Rodriguez et al. Anduyog: A web-based application for relief and casualty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for local government units in the Philippines
Medina et al. Using indirect blockmodeling for monitoring students roles in collaborative learning networks
Thakurta A value-based approach to prioritise non-functional requirements during software project development
Schätter et al. A multi-stage scenario construction approach for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Lim Identifying management factors for digital incident responses on Machine-to-Machine services
Rankin et al. City Resilience: Analysis of Strategies World-Wide
Abbott et al. Kids, Cats, and Control: Designing Privacy and Security Dashboards for IoT Home Devices
Bout Digital volunteers in emergency management
Burke et al. Moving beyond Hierarchies: Creating Effective Collaboration Networks for West Nile Virus Biosurveillance in Oreg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