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569A -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569A
KR20200097569A KR1020190015118A KR20190015118A KR20200097569A KR 20200097569 A KR20200097569 A KR 20200097569A KR 1020190015118 A KR1020190015118 A KR 1020190015118A KR 20190015118 A KR20190015118 A KR 20190015118A KR 20200097569 A KR20200097569 A KR 20200097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ic device
switches
battery
communic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231B1 (ko
Inventor
김유수
이주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231B1/ko
Priority to PCT/KR2020/001719 priority patent/WO2020162691A1/en
Priority to US16/785,455 priority patent/US11424527B2/en
Publication of KR2020009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provided with an AC/DC converting device, e.g. rectennas
    • H04B5/00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신호를 상기 배터리와 송수신하고,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송수신하고, 다수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안테나(예: 코일)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통신 방식들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 및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다수 개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수 개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가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도록 구현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제한된 실장 면적에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최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안테나를 구비할 때보다 전자 장치의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가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게 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신호를 상기 배터리와 송수신하고,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송수신하고, 다수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는,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안테나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안테나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이의 방법은,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신호 변환 회로를 다르게 제어하여,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생성함으로써, 다수 개의 통신 방식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 관리 모듈 및 배터리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시간-전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관리 모듈(188) 및 배터리(189)에 대한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충전 회로(210), 전력 조정기(220), 또는 전력 게이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210)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회로(210)는 외부 전원의 종류(예: 전원 어댑터, USB 또는 무선충전),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의 크기(예: 약 20와트(watt) 이상), 또는 배터리(189)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충전 방식(예: 일반 충전 또는 급속 충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전자 장치(101)와, 예를 들면, 연결 단자(178)를 통해 유선 연결되거나,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조정기(220)는, 예를 들면,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189)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레벨 또는 전류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다른 전압 또는 다른 전류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력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조정기(220)는 상기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189)의 전력을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에게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 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조정기(220)는 LDO(low drop out) regulator 또는 switching regulato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게이지(230)는 배터리(189)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예: 배터리(189)의 용량, 충방전 횟수, 전압,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충전 회로(210), 전압 조정기(220), 또는 전력 게이지(230)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사용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89)의 충전과 관련된 충전 상태 정보(예: 수명,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과충전, 과방전(over discharge), 과열, 단락, 또는 팽창(swelling))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상기 결정된 충전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89)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189)의 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관리 모듈(188)은 배터리(189)에 대한 충전을 조정(예: 충전 전류 또는 전압 감소, 또는 충전 중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외부 제어 장치(예: 프로세서(12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보호 회로(protection circuit module(PCM))(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240)는 배터리(189)의 성능 저하 또는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예: 사전 차단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24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셀 밸런싱, 배터리의 용량 측정, 충방전 횟수 측정, 온도 측정, 또는 전압 측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BMS))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의 상기 사용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충전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모듈(176) 중 해당하는 센서(예: 온도 센서), 전력 게이지(230), 또는 전력 관리 모듈(188)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모듈(176) 중 상기 해당하는 센서(예: 온도 센서)는 배터리 보호 회로(240)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이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배터리(189)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300)이다. 전자 장치(301)의 기능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1)(예: 전자 장치(101)는 배터리(310)(예: 배터리(189)), 전류 제한 회로(320), 신호 변환 회로(330), 또는 안테나(340)(예: 안테나 모듈(19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일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터리(310)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터리(31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189)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모듈(197)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류 제한 회로(320)는,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와 상기 배터리(310)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류 제한 회로(320)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320)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류 값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이하로 제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류 제한 회로(320)는,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수신되는 직류 신호의 전류 값을 기준 전류 값(예: 1.5 암페어(A)) 이하로 제한하고, 상기 전류 값이 제한된 직류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류 제한 회로(320)는,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수신되는 직류 신호의 전류 값이 기준 전류 값을 초과하면 개방(open)되는 스위치(예: FET(field-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류 제한 회로(320)는,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수신되는 직류 신호의 전류 값이 기준 전류 값을 초과하면 기준 전류 값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한기(current limiter)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무선 통신 기법들은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통신 기법,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통신 기법,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법, OTG(On-The-Go)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 기법,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무선 통신 기법들은 전자 장치(301)에서 외부 전자 장치(302)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무선 통신 기법들과 전자 장치(301)가 외부 전자 장치(30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무선 통신 기법들로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320)와 상기 안테나(340)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안테나(340)를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전류 제한 회로(3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직류 신호를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제2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모드로 동작할 때, 안테나(340)를 통해 수신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배터리(310)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제2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모드로 동작할 때, 배터리(310)로 수신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3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브릿지(bridge) 구조의 네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상기 브릿지 구조의 상기 네 개의 스위치들 중 두 개의 스위치들을 설정된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브릿지 구조의 상기 네 개의 스위치들 중 나머지 두 개의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두 개의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에 입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에 입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스위치의 하이 상태는 스위치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를 지칭하고, 스위치의 로우 상태는 스위치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없는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전류 제한 회로(320)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전류 값 이하의 직류 신호를 선택된 통신 방식을 위한 교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교류 신호를 상기 안테나(3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선택된 통신 방식을 위한 교류 신호는 선택된 통신 방식에서 요구하는 주파수에 기반한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설정된 인덕턴스(예: 8 내지 10 마이크로 헨리(μH)(예: 8.8 마이크로 헨리(μH))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외부로 출력(또는 방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외부 전자 장치(302)로부터 무선으로 출력(또는 방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4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400)이다. 전자 장치(401)의 기능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1)는 배터리(410)(예: 배터리(189)), 전류 제한 회로(420), 신호 변환 회로(430), 또는 안테나(440)(예: 안테나 모듈(19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안테나(440)는 코일(L1), 제1 커패시터(C1), 제2 커패시터(C2), 및 상기 제1 스위치(44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안테나(440)의 제1 커패시터(C1), 제2 커패시터(C2), 및 제1 스위치(441)의 제1 단자들이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의 제1 단자(예: 스위치들(M1 및 M2)을 잇는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코일(L1), 및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제2 단자들이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의 제2 단자(예: 스위치들(M3 및 M4)을 잇는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L1)의 제1 단자가 상기 제1 커패시터(C1), 및 상기 스위치(441)의 제2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류 제한 회로(420)는 제3 커패시터(C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일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4의 배터리(410), 전류 제한 회로(420), 신호 변환 회로(430), 및 안테나(440)는 도 3의 배터리(310), 전류 제한 회로(320), 신호 변환 회로(330), 및 안테나(34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4의 전자 장치(401)의 구성들 중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배터리(410)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류 제한 회로(420) 배터리(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류 제한 회로(420)는, 배터리(410)로부터 직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류 제한 회로(420)는, 상기 배터리(410)로부터 수신되는 직류 신호의 전류 값을 기준 전류 값 이하로 제한하고, 상기 전류 값이 제한된 직류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과 로우 드롭아웃 레귤레이터(435, Low Dropout regulator; LDO, 이하에서는 'LDO'라고 지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은 브릿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LDO(435)를 통해 상기 전류 제한 회로(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아래 표 1과 같이,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이 하이 상태, 또는 로우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P1 P2 P3 P4
M1 하이 로우 로우 하이
M2 로우 하이 하이 로우
M3 로우 하이 하이 로우
M4 하이 로우 로우 하이
표 1을 참조하면, P1 내지 P4는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연속하는 두 개의 시간 구간들(예: P1 및 P2, P2 및 P3, 또는 P3 및 P4)은 하나의 주기에 따른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간 구간들(P1 내지 P4)은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선택된 통신 방식이 200 헤르츠(Hz)의 신호를 요구하는 경우, 시간 구간들(P1 내지 P4)은 200 헤르츠(Hz)에 대응하는 주기(200분의 1초)의 절반의 시간(400분의 1초)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현재의 시간 구간(예: P1)에서 다음의 시간 구간(예: P2)으로 변경될 때, 외부 전자 장치(402)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상응하여,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다음 시간 구간에서의 상태를 현재 시간 구간에서의 상태와 다른 상태로 변경하거나, 현재 시간 구간에서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현재의 시간 구간(예: P1)에서 다음의 시간 구간(예: P2)으로 변경될 때, 신호 변환 회로(430)는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현재의 시간 구간(예: P1)에서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의 상태가 하이 상태이고, 두 개의 스위치들(M2 및 M3)의 상태가 로우 상태이면, 신호 변환 회로(430)는 다음의 시간 구간(예: P2)에서,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의 상태를 로우 상태로 변경하고, 두 개의 스위치들(M2 및 M3)의 상태를 하이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현재의 시간 구간(예: P2)에서 다음의 시간 구간(예: P3)으로 변경될 때, 신호 변환 회로(430)는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현재의 시간 구간(예: P2)에서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의 상태가 로우 상태이고, 두 개의 스위치들(M2 및 M3)의 상태가 하이 상태이면, 신호 변환 회로(430)는 다음의 시간 구간(예: P3)에서도,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의 상태를 로우 상태로 유지하고, 두 개의 스위치들(M2 및 M3)의 상태를 하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가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다음 시간 구간에서의 상태를 현재 시간 구간에서의 상태와 다른 상태로 변경하는 경우, 안테나(440)의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변경되는 시점에 외부 전자 장치(402)의 코일(L2)에는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경 정도에 대응하여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402)는 코일(L2)에 소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 장치(401)로부터 소정의 값(예: '1')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가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다음 시간 구간에서의 상태를 현재 시간 구간에서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안테나(440)의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변경되지 않으면, 외부 전자 장치(402)의 코일(L2)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402)는 코일(L2)에 소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401)로부터 소정의 다른 값(예: '0')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시간 구간(P1)에서 시간 구간(P2)으로 변경될 때,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상태가 변경되므로, 외부 전자 장치(402)는 코일(L2)을 통해 전자 장치(401)로부터 수신하는 신호가 나타내는 값을 '1'로 해석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시간 구간(P2)에서 시간 구간(P3)으로 변경될 때,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부 전자 장치(402)는 코일(L2)을 통해 전자 장치(401)로부터 수신하는 신호가 나타내는 값을 '0'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시간 구간(P3)에서 시간 구간(P4)으로 변경될 때,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상태가 변경되므로, 외부 전자 장치(402)는 코일(L2)을 통해 전자 장치(401)로부터 수신하는 신호가 나타내는 값을 '1'로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간 구간들(P1 및 P4)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을 통해 배터리(410)로부터의 신호가 안테나(44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간 구간들(P2 및 P3)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들(M2 및 M3)을 통해 배터리(410)로부터의 신호가 안테나(44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간 구간들(P1 및 P4)에서 안테나(440)에 전달되는 전류의 방향은 시간 구간들(P2 및 P3)에서 안테나(440)에 전달되는 전류의 방향과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간 구간들(P1 및 P4)에서는 안테나(440)의 제1 단자에서 제2 단자로 전류가 흐르고, 시간 구간들(P2 및 P3)에서는 안테나(440)의 제2 단자에서 제1 단자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 중 하이 상태인 두 개의 스위치들(예: 시간 구간들(P1 및 P4)에서의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 또는 시간 구간들(P2 및 P3)에서의 두 개의 스위치들(M2 및 M3))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정된 주기는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정된 주기는 메가 헤르츠(MHz)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주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아래 표 2와 같이, 시간 구간(P1)에서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P1
SP1 SP2 SP3 SP4
M1 ON OFF ON OFF
M2 OFF OFF OFF OFF
M3 OFF OFF OFF OFF
M4 ON OFF ON OFF
표 2를 참조하면, P1은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이 하이 상태를 가지고, 두 개의 스위치들(M2 및 M3)이 로우 상태를 가지는 시간 구간을 지칭한다. 표 2를 참조하면, 시간 구간(P1)은 다수 개의 서브 시간 구간들(SP1 내지 SP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서브 시간 구간들(SP1 및 SP3)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들(M1 및 M4)을 통해 전류 제한 회로(420)와 안테나(4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브 시간 구간들(SP2 및 SP4)에서는 전류 제한 회로(420)와 안테나(440)가 전기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서브 시간 구간들(SP2 및 SP4)에는 안테나(440)의 커패시터들(C1 및 C2)과 코일(L1)이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서브 시간 구간들(SP2 및 SP4)에서는 안테나(440)의 커패시터들(C1 및 C2)과 코일(L1) 간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시간 구간(P1) 내에서 서브 시간 구간들(SP1 및 SP3)과 서브 시간 구간들(SP2 및 SP4) 간의 안테나(440)에 흐르는 전류 값의 변화(예: 0.5 암페어(A) 이하)는 현재의 시간 구간(예: P1)에서 다음의 시간 구간(예: P2)으로 변경될 때 안테나(440)에 흐르는 전류 값의 변화(예: 1 암페어(A) 이상)보다 적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시간 구간(P1) 내에서 서브 시간 구간들(SP1 및 SP3)과 서브 시간 구간들(SP2 및 SP4) 간의 안테나(440)에 흐르는 전류 값의 변화는 무선 통신 기법에서 요구하는 전류 값의 변화 폭보다 적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시간 구간(P1) 내에서 서브 시간 구간들(SP1 및 SP3)과 서브 시간 구간들(SP2 및 SP4) 간의 안테나(440)에 흐르는 전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안테나(440)(예: 코일(L1))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코일(L2)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402)가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시간 구간(P1) 내에서 서브 시간 구간들(SP1 및 SP3)과 서브 시간 구간들(SP2 및 SP4) 간의 안테나(440)에 흐르는 전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는 무선 통신 기법에서 요구하는 신호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외부 전자 장치(402)는 해당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해당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402)에서 잡음(noise)으로 해석되어 무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가,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예: 시간 구간(P1)의 M1 및 M4, 또는 시간 구간(P2)의 M2 및 M3)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번하도록 제어하면, 신호 변환 회로(430)에서 출력되는 전류 값이 증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입력 신호와 비교하여 전압이 감소하고 전류가 증폭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전자 장치(401)에서 외부 전자 장치(402)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법들 중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이 선택되면, 하이 상태인 두 개의 스위치들(예: 시간 구간(P1)의 M1 및 M4, 또는 시간 구간(P2)의 M2 및 M3)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가 하이 상태인 두 개의 스위치들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번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류 공급 회로(420)의 커패시터(C3)에 요구되는 전기 용량이 더 적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패시터(C3)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420)와 상기 신호 변환 회로 사이(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패시터(C3)는, 접지(ground)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패시터(C3)는 설정된 전기 용량(예: 10 마이크로 패럿(μF) 이상(예: 20 마이크로 패럿(μF), 또는 30 마이크로 패럿(μF)))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패시터(C3)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42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에 기초하여 전하를 축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패시터(C3)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42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예: 상기 전류 제한 회로(420)가 상기 배터리(410)로부터 수신되는 직류 신호의 전류 값이 기준 전류 값을 초과하면, 직류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오프된 경우), 상기 축전 전하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에게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401)에서 외부 전자 장치(402)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법들 중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스위치(441)를 온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제1 스위치(441)를 통해 코일(L1)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401)에서 외부 전자 장치(402)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법들 중 MST 기법 이외에 다른 통신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스위치(441)를 오프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제1 커패시터(C1)를 통해 코일(L1)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일(L1)은, 외부 전자 장치(402)의 코일(L2)이 형성한 자기장을 통해 교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일(L1)이 생성한 교류 신호는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일(L1)은 신호 변환 회로(430)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402)는 코일(L2)을 통해 코일(L1)이 형성한 자기장을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의 동작에 따른 시간(t)-전류(A)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시간(t)-전류(A) 그래프의 일부 구간(제1 시점(t1) 내지 제2 시점(t2)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 대한 설명은 도 4의 전자 장치(401)의 기능적 구성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배터리(410)가 설정된 전류(IBAT)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가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이 하이 상태, 또는 로우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면서,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예: 시간 구간(P1)의 M1 및 M4)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설정된 주기(예: 서브 시간 구간들(SP1 내지 SP4))에 따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430)는 배터리(4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코일(L1)에 인가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IL1)는 신호 변환 회로(430)의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하이 상태, 또는 로우 상태에 대한 제어를 통해, -3에서, 3 암페어(A) 사이의 전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IL1)의 값이 -3 암페어(A)인 경우와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IL1)의 값이 -3 암페어(A)인 경우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IL1)의 방향이 변경될 때, 전자 장치(401)의 회로 상태는 과도(transient) 상태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IL1)의 방향이 변경될 때, 배터리(410)에서 출력되는 전류(IBAT)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3 시점(t3)에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의 하이 상태, 또는 로우 상태가 변경되면, 전자 장치(401)의 회로 상태는 정상 상태(steady state)에서 과도 상태로 변경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자 장치(401)의 회로 상태는 정상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배터리(410)에서 출력되는 전류(IBAT)의 값이 떨어지는 시기(예: 과도 상태에 상응하는 시기)에는 전류 제한 회로(420)에 축전되어 있는 전하가 신호 변환 회로(430)에 공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배터리(410)에서 출력되는 전류(IBAT)의 값이 유지되는 시기(예: 정상 상태에 상응하는 시기)에는 전류 제한 회로(420)에 전하가 축전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신호 변환 회로(330)가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예: M1 및 M4)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번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코일(L1)에 인가되는 전류(IL1)의 값은 소정의 폭만큼의 값이 변동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600)이다. 6에 대한 설명은 도 4의 전자 장치(401)의 기능적 구성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상기 전자 장치(4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401)의 프로세서(120)는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은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통신 방식들 각각은 상기 전자 장치(401)가 다수의 무선 통신 기법들 각각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402)와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은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통신 기법,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통신 기법, NFC 기법, 또는 MST 기법에 따른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프로세서는 신호 변환 회로(430)를 통하여 선택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신호를 변환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는 선택된 통신 방식이 제1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배터리(410)로부터의 직류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위한 교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 신호를 상기 코일(L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위한 교류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 요구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방식은 전자 장치(401)가 외부 전자 장치(402)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통신 기법, NFC 기법, 또는 MST 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는 선택된 통신 방식이 제1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440)의 코일(L1)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M1 및 M4)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는 상기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440)의 코일(L1)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M2 및 M3)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M1 및 M4)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는 상기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440)의 코일(L1)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M1 내지 M4)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예: M1 및 M4, 또는 M2 및 M3)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는 선택된 통신 방식이 제2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코일(L1)로부터의 교류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위한 직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신호를 상기 배터리(4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통신 방식은 외부 전자 장치(40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통신 기법, NFC 기법, 또는 MST 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는 선택된 통신 방식이 제1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안테나(440)의 코일(L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410)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M1 및 M4)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는 상기 안테나(440)의 코일(L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410)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M2 및 M3)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M1 및 M4)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430)는 상기 안테나(440)의 코일(L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410)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M1 내지 M4)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예: M1 및 M4, 또는 M2 및 M3)을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7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 블록도(700)이다. 전자 장치(701)의 기능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01)는 배터리(710)(예: 배터리(189)), 전력 관리 회로(720,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이하, 'PMIC'라고 지칭함.), 신호 변환 회로(730), 또는 안테나(740)(예: 안테나 모듈(19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일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7의 배터리(710), 신호 변환 회로(730), 및 안테나(740)는 도 3의 배터리(310), 신호 변환 회로(330), 및 안테나(34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7의 배터리(710), 신호 변환 회로(730), 및 안테나(740)는 도 4의 배터리(410), 신호 변환 회로(430), 및 안테나(44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7의 전자 장치(701)의 구성들 중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구성,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401)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MIC(720)는 배터리(710)와 신호 변환 회로(730)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터리(710)와 신호 변환 회로(7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MIC(720)는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절한 후 배터리(710), 또는 신호 변환 회로(73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MIC(720)가 입력되는 신호를 배터리(710)로 전달하는 경우, PMIC(720)는 배터리(710)에 대해 설정된 전력 출력 정보에 따라 신호 변환 회로(7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전류, 또는 그들의 조합을 조절(예를 들어, 배터리 정보(예: 배터리 전압)에 따라 전류, 전압, 또는 그들의 조합을 조절)하고, 전압, 전류, 또는 그들의 조합이 조절된 신호를 배터리(71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MIC(720)가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을 조절한 후 신호 변환 회로(730)로 전달하는 경우, PMIC(720)는 신호 변환 회로(730)에 대해 설정된 전력 출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7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전류, 또는 그들의 조합을 조절하고, 전압, 전류, 또는 그들의 조합이 조절된 신호를 신호 변환 회로(73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701)가 다수의 무선 통신 기법들 중 제1 무선 통신 기법들에 따른 하나의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40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PMIC(720)는 하나의 통신 방식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 출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7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전류, 또는 그들의 조합을 조절하고, 전압, 전류, 또는 그들의 조합이 조절된 신호를 신호 변환 회로(73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701)는 신호 변환 회로(730)로 전달된 신호를 안테나(740)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4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MIC(720)는 전류 제한 회로(721)를 포함하고, 전류 제한 회로(721)를 이용하여, 배터리(7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를 기준 전류 값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7의 전류 제한 회로(721)와 전류 공급 회로(725)는 도 3의 전류 제한 회로(320)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7의 전류 제한 회로(721)는 도 4의 전류 제한 회로(4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8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 블록도(800)이다. 전자 장치(801)의 기능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801)는 배터리(810)(예: 배터리(189)), 전압 분배 회로(820), 신호 변환 회로(830), 또는 안테나(840)(예: 안테나 모듈(19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일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8의 배터리(810), 신호 변환 회로(830), 및 안테나(840)는 도 3의 배터리(310), 신호 변환 회로(330), 및 안테나(34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8의 배터리(810), 신호 변환 회로(830), 및 안테나(840)는 도 4의 배터리(410), 신호 변환 회로(430), 및 안테나(44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8의 전자 장치(801)의 구성들 중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구성,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401)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 회로(820)는, 배터리(810)와 신호 변환 회로(830)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터리(810)와 신호 변환 회로(8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 회로(820)는,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를 설정된 분배 비율에 따라 조절한 후 배터리(810), 또는 신호 변환 회로(83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 회로(820)의 설정된 분배 비율이 2:1인 경우, 신호 변환 회로(8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을 절반으로 감소시키고, 전류를 두배만큼 증가시킨 후 배터리(81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 회로(820)의 설정된 분배 비율이 2:1인 경우, 배터리(8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을 두배만큼 증가시키고, 전류를 전반으로 감소시킨 후 신호 변환 회로(83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 회로(820)는,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를 설정된 분배 비율에 따라 조절하지 않고 출력하는 바이패스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 회로(820)는 바이패스 경로 상에 전류 제한 회로(8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8의 전류 제한 회로(821)는 도 3의 전류 제한 회로(320)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8의 전류 제한 회로(821)는 도 4의 전류 제한 회로(420)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 회로(820)는, 다수의 무선 통신 기법들 중 제1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하나의 통신 방식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를 설정된 분배 비율에 따라 조절하는 경로, 또는 바이패스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를 설정된 분배 비율에 따라 조절하는 경로가 요구되는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통신 기법,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통신 기법, 또는 OTG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바이패스 경로가 요구되는 통신 방식은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무선 통신 기법들 중 제1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하나의 통신 방식이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인 경우, 전압 분배 회로(820)는, 전류 제한 회로(821)를 이용하여, 배터리(8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를 기준 전류 값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9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 블록도(900)이다. 전자 장치(901)의 기능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901)는 배터리(910)(예: 배터리(189)), PMIC(921), 전압 분배기(925), 신호 변환 회로(930), 안테나(940)(예: 안테나 모듈(197)), 또는 프로세서(950)(예: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일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신호 변환 회로(930)는 네 개의 스위치들(M1 내지 M4), 또는 LDO(9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안테나(940)는 제1 스위치(941), 제1 커패시터(C1), 또는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안테나(940)의 제1 커패시터(C1), 제2 커패시터(C2), 및 제1 스위치(441)의 제1 단자들이 상기 신호 변환 회로(930)의 제1 단자(예: 스위치들(M1 및 M2)을 잇는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코일(L1), 및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제2 단자들이 상기 신호 변환 회로(930)의 제2 단자(예: 스위치들(M3 및 M4)을 잇는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L1)의 제1 단자가 상기 제1 커패시터(C1), 및 상기 스위치(941)의 제2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일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9의 배터리(910), 신호 변환 회로(930), 및 안테나(940)는 도 3의 배터리(310), 신호 변환 회로(330), 및 안테나(34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9의 배터리(910), 신호 변환 회로(930), 및 안테나(940)는 도 4의 배터리(410), 신호 변환 회로(430), 및 안테나(44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9의 PMIC(921)는, 도 7의 PMIC(720)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9의 전압 분배기(925), 도 8의 전압 분배 회로(820)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9의 프로세서(95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9의 안테나(940)의 코일(L1), 제1 스위치(941),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는 도 4의 안테나(440)의 코일(L1), 제1 스위치(941),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의 전자 장치(901)의 구성들 중 도 3, 도 4, 도 7 및 도 8의 전자 장치들(301, 401, 701, 801)의 구성들에 대응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MIC(921)는 전류 제한 회로(예: 도 3의 전류 제한 회로(320), 또는 도 4의 전류 제한 회로 (420))를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MIC(921)와 신호 변환 회로(930)는 전류 제한 회로(예: 전류 제한 회로 (320), 또는 전류 제한 회로 (4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기(925)는 전류 제한 회로(예: 전류 제한 회로(320), 또는 전류 제한 회로(420))를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압 분배기(925)와 신호 변환 회로(930)는 전류 제한 회로(예: 전류 제한 회로 (320), 또는 전류 제한 회로(4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50)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배터리(910)에서 안테나(940)까지의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50)는 전압 분배기(925), 신호 변환 회로(930), 및 안테나(940)를 통해 배터리(9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902)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50)는 PMIC(921), 신호 변환 회로(930), 및 안테나(940)를 통해 배터리(9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902)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통신 기법은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통신 기법, NFC 기법(송신), OTG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 기법(송신), 또는 MST 기법(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50)는 사용자가 다양한 통신 기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50)는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양한 통신 기법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910)에서 안테나(940)까지의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50)는 제2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940)에서 배터리(910)까지의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50)는 신호 변환 회로(930), 및 전압 분배기(925)를 통해 안테나(94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90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배터리(910)에게 전달하거나, 프로세서(950)가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무선 통신 기법은,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통신 기법, NFC 기법(수신), OTG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 기법(수신), 또는 MST 기법(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902)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950)는 안테나(940)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신호가 카드 정보와 같은 결제 정보를 포함하도록, 신호 변환 회로(9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902)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950)는 안테나(940)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에 따라 설정된 전류 값을 가지도록 전류 제한 회로(예: 전류 제한 회로 (3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예: 전자 장치(401))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신호 변환 회로(예: 신호 변환 회로(330))를 다르게 제어하여,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예: 안테나(440))를 통해 생성함으로써, 다수 개의 통신 방식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 및 이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안테나(예: 안테나(440))를 통해 다수 개의 통신 방식들을 제공함으로써, 코일의 실장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 및 이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안테나(예: 안테나(440))를 통해 다수 개의 통신 방식들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제조 원가가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배터리(310) 및 상기 배터리(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신호를 상기 배터리(310)와 송수신하고,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330)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와 송수신하고, 다수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340)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340)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는 상기 지정된 주기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는,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2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34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310)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상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제1 커패시터, 제2 커패시터, 및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 상기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스위치의 제1 단자들은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2 단자들은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스위치의 제2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상기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터리(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류의 값을 기준 전류 값 이하로 제한하여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로 출력하는 전류 제한 회로(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터리(8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8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값을 설정된 비율에 따라 조절한 후 출력하는 전압 분배 회로(8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830)는,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선택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분배 회로(820), 또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821)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배터리(8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터리(7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값, 전류 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조절한 후 상기 신호 변환 회로(730)로 출력하는 전력 관리 회로(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법에 따라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은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OTG(On-The-Go) 방식의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160), 배터리(310), 상기 배터리(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신호를 상기 배터리(310)와 송수신하고,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330),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송수신하고, 다수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340) 및 상기 디스플레이(160), 상기 배터리(310), 상기 신호 변화 회로(330) 및 상기 안테나(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의 사용자 입력을 식별하고,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통신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통신 방식이 제1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340)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의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의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의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법에 따라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통신 방식이 제2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120)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301)의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330)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301)의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 장치(301)의 안테나(340)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301)의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 장치(301)의 안테나(340)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가,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가,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는 상기 지정된 주기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2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2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34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310)로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34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310)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상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안테나(340)는 제1 커패시터, 제2 커패시터, 및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 상기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스위치의 제1 단자들은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2 단자들은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스위치의 제2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상기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터리(310)와 상기 전류 변환 회로(3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자 장치(301)의 전류 제한 회로(320)가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류의 값을 기준 전류 값 이하로 제한하여 상기 신호 변환 회로(330)로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법에 따라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은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OTG(On-The-Go) 방식의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신호를 상기 배터리와 송수신하고,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
    상기 신호 변화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송수신하고, 다수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 회로는,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2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인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상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류의 값을 기준 전류 값 이하로 제한하여 상기 신호 변환 회로로 출력하는 전류 제한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값을 설정된 비율에 따라 조절한 후 출력하는 전압 분배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는,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선택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분배 회로, 또는 상기 전류 제한 회로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값, 전류 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조절한 후 상기 신호 변환 회로로 출력하는 전력 관리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법에 따라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방식인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은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OTG(On-The-Go) 방식의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신호를 상기 배터리와 송수신하고,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회로와 송수신하고, 다수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배터리, 상기 신호 변화 회로 및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의 사용자 입력을 식별하고;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통신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통신 방식이 제1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로 제공하는 동안 상기 신호 변환 회로의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의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 변환 회로의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법에 따라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방식인 전자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통신 방식이 제2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인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브릿지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1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안테나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안테나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스위치들 중 하이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지정된 주기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2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제2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로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주기로 하이 상태와 로우 상태를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들을 상기 하이 상태와 상기 로우 상태 중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들과 다른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인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상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류 변환 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류 제한 회로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류의 값을 기준 전류 값 이하로 제한하여 상기 신호 변환 회로로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법에 따라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방식인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 방식들은 MST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무선 충전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OTG(On-The-Go) 방식의 무선 통신 기법에 따른 통신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15118A 2019-02-08 2019-02-08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9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18A KR102595231B1 (ko) 2019-02-08 2019-02-08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20/001719 WO2020162691A1 (en) 2019-02-08 2020-02-0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16/785,455 US11424527B2 (en) 2019-02-08 2020-02-0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18A KR102595231B1 (ko) 2019-02-08 2019-02-08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69A true KR20200097569A (ko) 2020-08-19
KR102595231B1 KR102595231B1 (ko) 2023-10-30

Family

ID=7194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118A KR102595231B1 (ko) 2019-02-08 2019-02-08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4527B2 (ko)
KR (1) KR102595231B1 (ko)
WO (1) WO202016269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0924A1 (en) * 2010-12-27 2013-10-17 Nec Tokin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module, and system
KR20160061228A (ko) * 2014-11-21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90036372A1 (en) * 2017-07-31 2019-01-3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wireless charg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381B1 (ko) * 2004-10-21 2006-12-14 주식회사 서비전자 무선 단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배터리 모뎀
US7681539B2 (en) 2006-12-05 2010-03-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improving operation of an electrically operable mechanical valve
JP6087740B2 (ja) * 2013-05-20 2017-03-01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通信装置
US9876536B1 (en) * 2014-05-23 2018-01-23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groups of antennas to transmit wireless power to different wireless power receivers
KR101792318B1 (ko) * 2014-09-23 2017-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10045398B2 (en) 2014-09-23 2018-08-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KR102350491B1 (ko) * 2015-11-18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917119B1 (ko) 2017-02-02 2018-11-1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저 전력 소비의 mst 구동 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0924A1 (en) * 2010-12-27 2013-10-17 Nec Tokin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module, and system
KR20160061228A (ko) * 2014-11-21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90036372A1 (en) * 2017-07-31 2019-01-3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wireless 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9249A1 (en) 2020-08-13
WO2020162691A1 (en) 2020-08-13
US11424527B2 (en) 2022-08-23
KR102595231B1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837B1 (ko)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8840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2577457B1 (ko)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101174A (ko) 복수의 배터리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US2020013642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harge of battery
KR102569178B1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4275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voltage divider adaptively changing voltage division ratio
US116215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transmission path at least on basis of attribute of power supplied from outside of electronic device and state of electronic device
US11296518B2 (en) Power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09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US114629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n basis of state of battery
KR20200094926A (ko) 복수의 배터리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KR2020005806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를 진단하는 방법
KR20200099416A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KR20210015467A (ko)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무선 충전 장치의 통신 방법
KR20230036900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95231B1 (ko)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42496A (ko) 전자 장치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102256A (ko)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65758A (ko) 배터리 교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556160B2 (en)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volt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230061235A (ko) 유선 충전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회로의 전력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46123A (ko)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70513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129854A (ko)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