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561A -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561A
KR20200097561A KR1020190015106A KR20190015106A KR20200097561A KR 20200097561 A KR20200097561 A KR 20200097561A KR 1020190015106 A KR1020190015106 A KR 1020190015106A KR 20190015106 A KR20190015106 A KR 20190015106A KR 20200097561 A KR20200097561 A KR 20200097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ground short
signal
microcontrolle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816B1 (ko
Inventor
석보석
강호준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8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07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는,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탑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및 스위칭 동작에 의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입력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입력포트에 스위치 유닛의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출력포트에 스위치 유닛의 그라운드 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검출 회로 내지 검출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서도 그라운드 쇼트 여부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를 제공할 수 있고, 전자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전자장치 오작동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Ground Short Detection Switch Circuit, And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입력방식을 통해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에 있어서 그라운트 쇼트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을 사용하여 디지털 입력방식을 통해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회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회로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자동차 내 시트를 조작하는 스위치, 자동차 내 창문의 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들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두 가지의 예에 적용되는 스위치의 경우, 운전 중, 오동작에 의해 운전자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제품들의 경우에는 회로 및 PCB에서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불구합에 의한 방지대책이 필요하다.
상기회로의 경우는 스위치와 MCU INPUT라인 사이에서 어떠한 요인에 의해 그라운드 SHORT가 발생될 경우, 그 불구합을 식별하지 못하고 일반적인 스위치 동작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최근 안전사양의 요구(ISO26262)로 스위치 회로에 그라운드 SHORT감지로직을 구현하라는 고객요구사양이 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가 ACTIVATION 될 경우에, MCU가 읽는 상태와 스위치 DEACTIVATION상태에서 해당 스위치 라인에 GROUND SHORT가 발생했을 때의 MCU입력상태가 같기 때문에 불구합 상태를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3485호 (2012년 09월 11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입력방식을 통해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에 있어서 그라운트 쇼트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는,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탑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및 스위칭 동작에 의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입력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입력포트에 스위치 유닛의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출력포트에 스위치 유닛의 그라운드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의 그라운드 단자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출력포트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와, 스위칭 동작이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 단자에 그라운드 쇼트(ground short)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이상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그라운트 쇼트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상이할 경우, 그라운드 쇼트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정상적인 액티베이션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의 입력 단자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입력포트에 제공하고, 상기 스위치 유닛의 그라운드 단자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출력포트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와, 스위칭 동작이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 단자에 그라운드 쇼트(ground short)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이상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각각의 입력되는 펄스 형태를 구분하여 그라운트 쇼트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에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펄스 신호가 아니거나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형태의 신호와 상이할 경우, 그라운드 쇼트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와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정상적인 액티베이션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에 따르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입력포트에 스위치 유닛의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출력포트에 스위치의 그라운드 단자가 연결하여 스위치 회로를 구성한 후,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와, 스위칭 동작이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 단자에 그라운드 쇼트(ground short)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이상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그라운트 쇼트 상태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별도의 검출 회로 내지 검출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서도 그라운드 쇼트 여부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검출 회로 내지 검출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서도 그라운드 쇼트 여부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전자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전자장치 오작동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입력방식을 통해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에서, 스위치 유닛의 동작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로에서, 스위치 유닛의 동작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회로에서, 스위치 유닛의 동작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100)은, 입력포트(111)와 출력포트(112)를 탑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1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유닛(120)의 입력 단자(121) 및 그라운드 단자(122)와 연결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120)은, 스위칭 동작에 의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입력 단자(121)와 그라운드 단자(12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입력포트(111)에 스위치 유닛(120)의 입력 단자(121)가 연결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출력포트(112)에 스위치 유닛(120)의 그라운드 단자(122)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 유닛(120)의 입력 단자(121)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입력포트(111)에 접속하여 스위치 유닛(120)의 스위칭 동작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스위치 유닛(120)의 그라운드 단자(122)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출력포트(112)에 접속하여 스위치 유닛(120)의 스위칭 동작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스위치 유닛(120)으로부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제공되는 스위칭 동작 신호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일정 주기마다 반복되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pulse)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120)의 그라운드 단자(122)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출력포트(112)에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스위치 유닛(120)의 입력 단자(121)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입력포트(111)에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스위치 유닛(120)의 그라운드 단자(122)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출력포트(11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펄스 형태의 스위칭 동작 신호 전달과정은 스위칭 동작 발생 즉시 동시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유닛(120)의 그라운드 단자(122)로부터 제공되는 펄스 형태의 스위칭 동작 신호는 스위치 유닛(120)의 입력 단자(121)로부터 제공되는 펄스 형태의 스위칭 동작 신호와 동일한 펄스 형태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와, 스위칭 동작이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 단자(121)에 그라운드 쇼트(ground short)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이상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그라운트 쇼트 상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동작이 액티베이션 상태인지 그라운트 쇼트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히 구분하여 판단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입력되는 펄스 형태를 구분하여 스위치가 어떠한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단자(121)와 그라운드 단자(122)로부터 제공되는 펄스 형태의 스위칭 동작 신호가 동일한 펄스 형태를 가질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입력되는 펄스 형태를 구분하여 그라운드 쇼트 상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와, 스위칭 동작이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 단자(121)에 그라운드 쇼트(ground short)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이상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각각의 입력되는 펄스 형태를 구분하여 그라운트 쇼트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출력포트(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상이할 경우, 그라운드 쇼트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출력포트(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정상적인 액티베이션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111)에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펄스 신호가 아니거나 출력포트(112)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형태의 신호와 상이할 경우, 그라운드 쇼트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111)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와 출력포트(112)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정상적인 액티베이션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에 따르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입력포트에 스위치 유닛의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출력포트에 스위치의 그라운드 단자가 연결하여 스위치 회로를 구성한 후,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와, 스위칭 동작이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 단자에 그라운드 쇼트(ground short)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이상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그라운트 쇼트 상태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별도의 검출 회로 내지 검출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서도 그라운드 쇼트 여부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예로서, 접합형 FET(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ET),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JFET(Junction gate FET) 중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스위치는 NPN 형으로 구현되거나, PNP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검출 회로 내지 검출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서도 그라운드 쇼트 여부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전자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전자장치 오작동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1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111: 입력포트
112: 출력포트
120: 스위치 유닛
121: 입력 단자
122: 그라운드 단자

Claims (10)

  1. 입력포트(111)와 출력포트(112)를 탑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110); 및
    스위칭 동작에 의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입력 단자(121)와 그라운드 단자(122)를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120);
    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입력포트(111)에 스위치 유닛(120)의 입력 단자(121)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출력포트(112)에 스위치 유닛(120)의 그라운드 단자(12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120)의 그라운드 단자(122)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출력포트(112)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와, 스위칭 동작이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 단자(121)에 그라운드 쇼트(ground short)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이상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그라운트 쇼트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출력포트(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상이할 경우, 그라운드 쇼트 상태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출력포트(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정상적인 액티베이션 상태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120)의 입력 단자(121)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입력포트(111)에 제공하고,
    상기 스위치 유닛(120)의 그라운드 단자(122)는, 펄스(pulse) 형태로 스위칭 동작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의 출력포트(112)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와, 스위칭 동작이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 단자(121)에 그라운드 쇼트(ground short)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에 이상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각각의 입력되는 펄스 형태를 구분하여 그라운트 쇼트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111)에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펄스 신호가 아니거나 출력포트(112)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형태의 신호와 상이할 경우, 그라운드 쇼트 상태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스위칭 동작의 액티베이션(activation) 상태에서, 입력포트(111)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와 출력포트(112)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정상적인 액티베이션 상태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10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190015106A 2019-02-08 2019-02-08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18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06A KR102189816B1 (ko) 2019-02-08 2019-02-08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106A KR102189816B1 (ko) 2019-02-08 2019-02-08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61A true KR20200097561A (ko) 2020-08-19
KR102189816B1 KR102189816B1 (ko) 2020-12-11

Family

ID=7229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106A KR102189816B1 (ko) 2019-02-08 2019-02-08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32A (ko) * 2020-10-16 2022-04-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단락 진단 회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399A (ko) * 2004-03-19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제동등 오픈쇼트 감지장치
KR20070038284A (ko) * 2005-10-05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교류 발전기의 전기부하 출력신호 고장 진단방법
KR20080004961A (ko) * 2006-07-07 2008-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dp용 파워 서플라이의 고장분석방법 및 회로
KR20110094826A (ko) * 2010-02-18 2011-08-24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파워 스위치의 단락 검출회로
KR101183485B1 (ko) 2010-02-18 2012-09-24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파워 스위치의 단락 검출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399A (ko) * 2004-03-19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제동등 오픈쇼트 감지장치
KR20070038284A (ko) * 2005-10-05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교류 발전기의 전기부하 출력신호 고장 진단방법
KR20080004961A (ko) * 2006-07-07 2008-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dp용 파워 서플라이의 고장분석방법 및 회로
KR20110094826A (ko) * 2010-02-18 2011-08-24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파워 스위치의 단락 검출회로
KR101183485B1 (ko) 2010-02-18 2012-09-24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파워 스위치의 단락 검출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32A (ko) * 2020-10-16 2022-04-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단락 진단 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816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3710B2 (en) Desaturation detection circuit and desaturation circuit monitoring function
JP6403231B2 (ja) フェイルセーフな入力を有する安全開閉装置
US9477212B2 (en) Safety switching device for the failsafe shutdown of an electrical load
EP0010882B1 (en) A switching circuit
US9722600B2 (en) Driving circuit of switch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control
US20180026517A1 (en) Driver circuit, circuit arrangement comprising a driver circuit, and inverter comprising a circuit arrangement
KR102189816B1 (ko) 그라운드 쇼트 검출 스위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0882475B2 (en) Multi-voltag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control device
US11831148B2 (en) Undervoltage protection and control circuit for electronic switches
US10606703B2 (en) Monitoring circuit
US11239650B2 (en) Digital input circuit for receiving digital input signals from a signal generator
EP4206697A1 (en) Self-locking and detection circuit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0967568B (zh) 静电放电检测装置
WO20201913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ort to ground protection for a circuit including a fet device
EP3358592B1 (en) Output signal switching device (ossd)
US10008104B2 (en) Security system output interface with overload detection and protection
US7082023B2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function monitoring of an electronic-mechanical position switch
US11194280B2 (en) Interlock circuit
US6320405B1 (en) Circuit for the switching of loads
KR20210069396A (ko) 전압 모니터링 회로
JP4853395B2 (ja) 半導体試験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11619919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switching an electrical load and method for checking a status of a safety output of a circuit arrangement
JP6280672B2 (ja) 三線式センサ接続断線検出方法
US11824531B2 (en) Switching device and system having the switching device for converting a differential input signal
EP4106194A1 (en) Fault protection testing in a high-power swi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