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523A -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523A
KR20200097523A KR1020190015005A KR20190015005A KR20200097523A KR 20200097523 A KR20200097523 A KR 20200097523A KR 1020190015005 A KR1020190015005 A KR 1020190015005A KR 20190015005 A KR20190015005 A KR 20190015005A KR 20200097523 A KR20200097523 A KR 20200097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unit
travel destin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완
Original Assignee
이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완 filed Critical 이시완
Priority to KR102019001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523A/ko
Publication of KR2020009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의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를 지원하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UI부는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센싱부는, 건물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단말기에 설정된 기준면이 향하는 방향을 센싱하고, 통신부는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게 센싱된 현재 위치와 방향 정보를 전송하여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수신된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UI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Description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NT CAMERA SERVICE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본 발명은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객의 수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외국인들이 한국을 재방문하는 경우는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에 해당한다. 또한, 외국인 여행객뿐만 아니라 국내 여행객의 대부분이 여행 지도와 안내 표지만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혼란을 겪는다고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여행객을 위한 지도 또는 안내 표지판을 보기 편한 형태로 변경하는 것도 일련의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실제로 시행하는데 많은 제약이 수반되면서 또한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여행객들의 여행지에 대한 접근 또는 검색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외국인 여행객 또는 시각 장애인처럼 지도 또는 안내 표지판으로부터 쉽게 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여행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는,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를 지원하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여행지 정보 제공부와,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UI부와, 건물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단말기에 설정된 기준면이 향하는 방향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게 센싱된 현재 위치와 방향 정보를 전송하여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UI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UI부에 의해 상기 주변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센싱부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센싱하고,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UI부를 통해 사용자가 주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 및 주변을 정하기 위한 반경을 입력받고,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타겟 객체들의 정보를 UI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의 모션 동작에 의해 단말기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안내되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변경한다.
UI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음향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및 터치에 의해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고, 화면을 통해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는 공공데이터인 관광자원정보 및 여행지도정보를 저장하며, 통신부는, 공개 API를 통해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 저장된 공공데이터 중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 및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한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는, 카메라가 구동된 상태에서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를 지원하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여행지 정보 제공부와, 카메라가 구동된 후, 사용자로부터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는 UI부와, 건물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위치 및 카메라가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게 센싱된 현재 위치와 방향 정보를 전송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수신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UI부에 표시한다.
UI부에 의해 주변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센싱부는 현재 위치를 센싱하고,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반경 설정 및 사용자가 주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생성하여 UI부에 표시하고,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주변 객체의 위치를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주변 영상에 오버랩하여 UI부에 표시하고, 통신부는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게 현재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면서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의 제공을 요청 및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내외국인 여행객 또는 시각 장애인처럼 지도 또는 안내 표지판으로부터 쉽게 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여행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가 적용된 여행지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의 기준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제1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가 적용된 여행지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및 제2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공공데이터의 활용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건물 검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주변 검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여행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건물 검색 모드에서 건물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주변 검색 모드에서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주변 검색 모드에서 주변 객체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설정 변경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부동산 검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주변 검색 모드에서 검색어 입력창을 보여주는 화면과 핀의 종류를 보여주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의 여행지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지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행지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엘리먼트는 제2엘리먼트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엘리먼트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100)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의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100)가 적용된 여행지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여행지 정보 제공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이하, '웨어러블 단말기'라 함, 100)와 제1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이하, 제1서버'라 함, 2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1서버(200)에게 여행지의 건물에 대한 정보, 또는 주변에 대한 여행지 정보 등의 제공을 요청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시계를 예로 들 수 있다.
제1서버(20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를 DB로부터 검색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에게 전송한다. 제1서버(200)는 공공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공공데이터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정부 3.0을 들 수 있다. 공공데이터는 관광자원정보를 포함한 여행정보 및 여행지도정보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제1통신부(110), 제1UI(User Interface)부(120), 제1저장부(130), 제1센싱부(140),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 및 제1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제1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제1서버(20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1통신부(110)는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제1서버(200)에 저장된 공공데이터 중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 및 수신하고나, 파일 형태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UI부(120)는 사용자와 웨어러블 단말기(100) 간의 인터페이싱 경로를 제공하며, 제1터치 패널(122), 제1마이크(124) 및 제1스피커(1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터치 패널(122)은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화면, 즉,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 명령,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으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제1마이크(124)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 건물 검색 모드와 주변 검색 모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음성 등 사용자의 명령 또는 요청과 관련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1스피커(126)는 사용자 명령 또는 요청에 따라 처리된 결과(예를 들어, 건물에 해당하는 관광/여행지 정보, 또는 주변 검색 정보)를 음향 형태로 출력한다. 제1마이크(124)와 제1스피커(126)는 시각장애인에게 유용할 수 있다.
제1저장부(13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동작 및 실행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각종 응용 프로그램,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제1센싱부(14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와 같은 제1위치 센서(142)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센싱하고, 컴파스와 같은 제1방향 센서(144)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설정된 기준면(100a)이 바라보는 방향을 센싱한다.
기준면(100a)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왼쪽 손목에 차는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두 측면 중 손등을 향하는 측면을 기준면(100a)으로 설정하는 것이 편의성 면에서 우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여행지 정보를 얻고자 하기 위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기준면(100a)이 타겟 건물을 향하도록 이동할 때, 손목 또는 팔목을 움직이므로, 이동성이 가장 편하기 때문이다. 즉, 손가락이 지시하는 방향과 기준면(100a)이 지시하는 방향이 일치하므로, 타겟 건물을 쉽게 지시할 수 있다.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실행(또는 구동)시켜,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에 의해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를 지원하고, 선택된 검색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예를 들어, 화면 제공 또는 음성 정보 제공)을 수행한다.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은 웨어러블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에 플러그 인 베이스로 구현된다. 따라서,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의 플러그 인에 따라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제1UI부(120)에 검색 모드 선택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거나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제1UI부(120)를 통해 '건물 검색'을 명령하면,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건물 검색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단축 버튼을 누르거나, 화면에서 원하는 모드를 터치하거나, 음성으로 '건물 검색'을 말하여 '건물 검색'을 명령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검색을 원하는 건물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기준면(100a)이 정해진 시간 동안 대향하면,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제1센싱부(140)에게 센싱을 요청한다.
제1센싱부(14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와 기준면(100a)이 향하는 방향을 센싱한다.
제1통신부(110)는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의 요청에 의해, 센싱된 현재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즉, 기준면(100a)과 대향한 위치에 있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 제공을 제1서버(200)에게 요청한다.
제1서버(200)는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해당하는 타겟 객체(예를 들어, 광화문)을 DB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타겟 객체와 관련된 여행지 정보를 전송한다.
제1통신부(110)는 제1서버(200)로부터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는,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타겟 객체가 관광지의 명소에 해당하는 건물(예를 들어, 광화문)인 경우, 건물과 관련된 이미지, 상세정보, 관광정보, 여행정보, 연계된 문화 컨텐츠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수신된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1UI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 또는 음성으로 안내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1UI부(120)를 통해 '주변 검색'을 명령하면,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주변 검색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제1UI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주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 및 주변을 정하기 위한 반경을 입력받고, 제1센싱부(140)에게 위치 센싱을 요청한다.
제1통신부(110)는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의 요청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반경 및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를 제1서버(200)에게 요청한다.
제1서버(200)는 수신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검색어에 해당하는 주변 객체들을 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웨어러블 단말기(100)에게 전송한다.
제1통신부(110)는 제1서버(200)로부터 현재 위치의 반경 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검색어에 해당하는 타겟 객체들의 정보를 수신한다.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수신된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1UI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 또는 음성으로 안내한다.
도 3은 제1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는 '편의점'이고, 설정된 반경은 '5미터'이며, 이러한 조건을 기준으로 검색된 타겟 객체들은 5개임을 알 수 있다.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5개의 편의점들에 대한 정보를 제1터치 패널(122)을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가 '길찾기'를 선택하면, 길 안내 서비스를 시작한다.
또한,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동작에 의해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제1UI부(120)를 통해 안내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상태를 유지하다가, 우측으로 30도 정도 기울이면,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도 3에서 'GS계룡지동점'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은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기울기 센서(미도시)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상술한 동작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에 따라 형성된 메뉴(즉, 검색 모드)를 안내하며, 제1서버(200)로부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안내하도록 제1통신부(110) 및 제1UI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160)는 사용자가 건물 검색 또는 주변 검색을 한 이력과, 길 찾기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한 목적지 정보 등을 제1저장부(130) 또는 별도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동일한(또는 유사한) 위치에서 동일한 건물을 검색하거나, 동일한 목적지로 길안내를 요청하면,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는 이전에 방문하거나 검색한 이력이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1제어부(160)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가 적용된 여행지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여행지 정보 제공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와 제2서버(400)를 포함한다.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제2서버(400)에게 여행지의 건물에 대한 정보, 또는 주변에 대한 여행지 정보 등의 제공을 요청한다.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독립된 단말기이거나,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제2서버(400)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를 DB로부터 검색하여 전송한다. 제2서버(400)는 제1서버(200)와 동일하다.
도 5는 제1 및 제2서버(400)에서 제공되는 공공데이터의 활용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부 3.0과 같은 공공데이터는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방식으로 제공되며, 문화 관광, 식품 건강 및 공공 행정 등 다양한 형태의 공공데이터 통합 및 연동에 의해 그 범용성 및 활용성을 넓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제2통신부(310), 제2UI부(320), 카메라(330), 제2저장부(340), 제2센싱부(350),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 및 제2제어부(370)를 포함한다.
제2통신부(310), 제2UI부(320), 제2저장부(340), 제2센싱부(350),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 및 제2제어부(37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통신부(110), 제1UI부(120), 제1저장부(130), 제1센싱부(140), 제1여행지 정보 제공부(150) 및 제1제어부(16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프로그램에 플러그 인 되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여행지 정보를 제공한다. 즉,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카메라(330)가 구동된 상태에서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를 지원하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를 위해, 제2저장부(340)에는 카메라 구동을 위한 카메라 프로그램과, 카메라 프로그램에 플러그 인 베이스로 구현되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더 저장된다.
또한,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UI부(320)에 표시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캡쳐하여 제2저장부(340)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건물 검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주변 검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건물 검색 모드는 사용자의 앞에 있는 명소, 건물 등에 대한 유용한 정보의 바로 겁근이 가능하도록 하며, 카메라를 이용한 건물 정보, 문화 컨텐츠 연계 및 언어 접근성 용이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주변 검색 모드는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명소의 위치, 방향, 거리 정보 등을 즉각적 및 시각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건물 검색 모드와 주변 검색 모드에 따라 제2UI부(320)에 표시되는 화면을 참조하여 여행지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에 플러그 인 베이스로 구현되는 여행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카메라(330)를 구동한 후, 검색을 원하는 건물(예를 들어, 관광 명소)을 피사체로서 인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화면(810)에서 모드(812)를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카메라 프로그램 및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보여주는 화면(820)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화면(820)에서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메뉴는 AR 건물 검색(822) 및 AR 주변 검색(824)이다.
사용자가 도 8에서 AR 건물 검색(822)을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건물 검색 모드로 동작하고, 제2센싱부(350)에게 센싱을 요청한다. 제2센싱부(350)는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와 카메라(330)가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을 센싱한다.
제2통신부(310)는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의 요청에 의해, 센싱된 현재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건물에 대한 정보 제공을 제2서버(400)에게 요청한다. 또한, 제2통신부(310)는 제2서버(400)로부터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건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수신된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도 9에 도시된 화면(910)처럼 처리하여 제2UI부(320)에 표시한다.
도 9는 건물 검색 모드에서 건물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카메라(330)로 광화문을 피사체로서 인식하였으며, 제2서버(400)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건물을 광화문으로 판단하고, 광화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사용자가 화면(910)에서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메뉴(미도시)를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광화문에 대한 상세정보를 보여주는 화면(920)을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8에서 AR 주변 검색(824)을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주변 검색 모드로 동작하고, 검색어 및 주변을 정하기 위한 반경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생성하고, 제2센싱부(350)에게 위치 센싱을 요청한다.
제2센싱부(350)는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센싱한다.
사용자가 검색어(예를 들어, 편의점)를 입력하고, 주변 반경을 설정하면, 제2통신부(310)는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 입력된 검색어 및 반경 정보를 제2서버(400)에게 전송하고, 제2서버(400)로부터 위치 정보, 검색어 및 반경에 대응하는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검색어에 해당하는 수신된 정보는 주변 객체의 위치 정보, 현재 위치로부터 주변 객체까지의 거리 및 주변 객체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포함한다.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수신된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도 10에 도시된 화면(1010)처럼 처리하여 제2UI부(320)에 표시한다.
도 10은 주변 검색 모드에서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수신된 주변 객체들의 위치를 카메라(330)를 통해 보여지는 주변 영상에 오버랩한 화면(1010)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화면(1010)을 참조하면, 검색된 주변 객체들은 6개이고, 카메라(330)로 현재 보여지는 화면에 위치하는 일부 주변 객체(또는 위치)들은 2개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검색된 주변 객체들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는 레이더 아이콘(1014)과, 현재 보여지는 화면에 위치하는 주변 객체를 가리키는 풍선형태의 핀(1012)에 의해 알 수 있다. 즉, 검색된 주변 객체들 전체의 위치는 레이더 아이콘(1014)에서 작은 점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화면(10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카메라(330)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카메라(330)를 통해 보여지는 새로운 주변 영상과, 새로운 주변 영상에 해당하는 주변 객체들을 핀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화면(1020)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1020)의 레이더 아이콘(1016) 중 하나의 점을 선택하거나, 핀(예를 들어, 1012)을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선택된 점에 해당하는 타겟 객체의 상세 정보를 도 11의 화면(1110)과 같이 보여줄 수 있다.
도 11은 주변 검색 모드에서 주변 객체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면(1110)은 청계천에 대한 상세정보를 보여준다. 사용자가 청계천으로 이동하기 위해 AR 도보 네비게이션 메뉴(1112)를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현재 위치에서 화면(1110)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가기 위한 길 안내 화면(1120)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길 안내 화면(1120)은 제2서버(400)와의 협업 하에 제공되며, 이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설정 변경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가 제공하는 다양한 화면들은 설정 메뉴(예를 들어, 도 11의 1122)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설정 메뉴(1122)를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메뉴 설정을 위한 화면(1210)을 생성한다. 메뉴 설정을 위한 화면(1210)은 검색된 건물 또는 주변 객체에 대한 정보의 표시 언어, 주변 반경, 부동산 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1210)에서 '언어'를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다양한 언어 목록을 표시하는 화면(1220)을 생성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언어를 선택한다.
도 13은 부동산 검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뉴 설정 화면(1220)에서 '부동산'을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설정된 반경에 위치하는 건물들의 부동산 정보를 부동산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아 보여주는 화면(1310)을 생성한다. 부동산 정보는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 모두에서 제공될 수 있다. 부동산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는 예를 들어 국토 정보 기본도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국토 정보 기본도에 부동산 매물 정보, 경개/공매 정보 등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14는 주변 검색 모드에서 검색어 입력창을 보여주는 화면과 핀의 종류를 보여주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8에서 AR 주변 검색(824)을 선택하면,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검색어 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1410)을 생성할 수도 있다. 화면(1410)은 사용자가 검색어로 '편의점'을 입력한 경우, 주변에서 검색된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는 화면(1410)의 검색어 입력창을 통해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8에서 AR 주변 검색(824)을 선택한 후,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제2서버(400)는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대표 건물들을 추출 및 검색하고, 검색된 대표 건물들에 대한 정보를 각 대표 건물의 속성별로 분류하여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에게 제공한다.
제2여행지 정보 제공부(360)는 검색된 대표 건물들을 보여주는 화면(1420)을 생성하되, 각 대표 건물의 속성 별로 다른 색상이 매핑된 핀을 각 대표 건물에 표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100)의 여행지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이하, '웨어러블 단말기'라 함, 100)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플러그 인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 중 하나의 선택을 대기한다(S1505).
사용자에 의해 건물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S1510-Yes),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와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설정된 기준면(100a)이 바라보는 방향을 센싱한다(S1515).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제1서버(200)에게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전송하여 여행지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S1520), 현재 위치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525).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수신된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화면 또는 음성 형태로 사용자에게 안내한다(S1530).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사전에 약속된 방향으로 기울이면,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기울어짐 정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S1530단계에서 안내된 정보를 변경한다(S1535, S1540).
한편, 사용자에 의해 주변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S1545),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센싱한다(S1550).
그리고,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주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 및/또는 주변을 정하기 위한 반경을 입력받는다(S1555).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입력된 검색어 및/또는 반경과,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를 제1서버(200)에게 전송하여 여행지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S1560).
그리고,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제1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S1565).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수신된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한다(S1570).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의 여행지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2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카메라(330)를 구동한 후 건물 검색 모드 및 주변 검색 모드 중 하나의 선택을 대기한다(S1605). S1605단계에서,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화면(820)을 통해 모드를 선택한다.
사용자에 의해 건물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S1610-Yes),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와 카메라(330)가 향하는 방향을 센싱한다(S1615).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정보 제공을 받기 위한 피사체를 카메라(330)로 촬영준비를 하며,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카메라(330)가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을 센싱한다.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제2서버(400)에게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전송하여 여행지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S1620), 현재 위치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625).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수신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화면 또는 음성 형태로 사용자에게 안내한다(S1630).
사용자가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를 사전에 약속된 방향으로 기울이면,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S1630단계에서 안내된 정보를 변경한다(S1635, S1640).
한편, 사용자에 의해 주변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S1645),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센싱하고(S1650), 사용자가 주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 및/또는 주변을 정하기 위한 반경을 입력받는다(S1655).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입력된 검색어 및/또는 반경과,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를 제2서버(400)에게 전송하여 여행지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S1660).
그리고,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면서 검색어에 해당하는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제2서버(400)로부터 수신한다(S1665).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300)는 수신된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카메라(330)로 보여지는 주변 영상과 화면과 오버랩하여 표시한다(S1670). 오버랩되는 주변 객체들에 대한 정보는 카메라(330)로 보여지는 주변 영상 중 주변 객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핀(1012)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S1670단계에서 보여지는 화면(예를 들어, 1010)에서 하나의 핀을 선택하면, 선택된 핀에 해당하는 주변 객체까지 이동하기 위한 도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길 안내 화면(1120)과 같이 제공한다(S1675).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지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행지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여행지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은 크게 1. 대상 인지, 2. 대상 정보 추출, 3. 정보 표시로 구분될 수 있다.
1. 대상 인지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워치를 이용하여 대상을 인지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를 통해 대상을 비추어 대상이 인지되도록 한다. 스마트 워치의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팔로 대상의 방향을 가리켜 대상이 인지되도록 한다.
2. 대상 정보 추출에서, 대상 인지 후, 대상의 정보를 공공정보서버에서 추출하여 제공받는다.
3. 정보 표시에서, 스마트폰의 경우, 대상의 정보 및 주변 정보를 표시해 주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하도록 한다. 스마트 워치의 경우, 간략한 대상의 정보를 표시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하도록 한다. 블루투수 이어폰의 경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와 통신하여, 음성으로 대상의 정보를 안내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외국인 관광객이 광화문을 보고 관광 정보를 얻고 싶은 경우, 스마트 워치로 방향을 지시하여 스마트 워치가 대상을 인식하도록 한다. 그리고, 위치와 방향 정보로부터 관광지 정보를 공공서버에서 추출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표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외국인 관광객이 여행 중 주변 관광지를 선택해 찾아가려 할 때, 주변검색모들 선택한 후 주변 관광지를 확인한다.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주변 관광지의 핀들 중 원하는 핀을 선택하면, 공공서버는 선택된 핀에 해당하는 관광지의 상세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한다. 외국인 관광객이 스마트폰에 표시된 관광지 상세정보를 확인한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면, 스마트폰은 스마트워치로 길안내 정보를 전달하고, 스마트워치는 화면으로 길안내를 시작한다.
100: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 200: 제1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
300: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 400: 제2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

Claims (4)

  1. 사용자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을 원하는 타겟 객체를 지정하는 건물 검색 모드 및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여 주변을 검색하는 주변 검색 모드를 지원하는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여행지 정보 제공부;
    상기 건물 검색 모드 및 상기 주변 검색 모드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UI(User Interface)부;
    상기 건물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기준면이 상기 타겟 객체를 향하는 방향을 센싱하되, 상기 검색을 원하는 타겟 객체와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기준면이 정해진 시간동안 대향하면 상기 타겟 객체를 향하는 방향을 센싱하는 센싱부;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게 상기 센싱된 현재 위치와 방향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여행지 정보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건물 검색 및 주변 검색을 한 이력과, 길 찾기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한 목적지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UI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안내하고,상기 기준면은 상기 단말기가 착용되는 손에 따라 변경가능하고,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기준면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단말기가 착용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시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UI부에 의해 상기 주변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센싱부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센싱하고,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상기 UI부를 통해 사용자가 주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 및 상기 주변을 정하기 위한 반경을 입력받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와 입력된 검색어와 반경을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입력된 반경 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주변 객체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신되는 주변 객체들의 정보를 상기 UI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안내하며,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이력이 있는 건물의 검색을 요청하면, 이전에 검색한 이력이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이전에 방문한 이력이 있는 목적지로 길 찾기 안내를 요청하면, 이전에 방문한 이력이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안내 메시지를 화면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동작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안내되는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음향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및
    터치에 의해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고, 화면을 통해 상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는 공공데이터인 관광자원정보 및 여행지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는, 공개 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상기 여행지 정보 제공 서버에 저장된 공공데이터 중 상기 타겟 객체에 대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웨어러블 여행지 정보 제공 단말기.
KR1020190015005A 2019-02-08 2019-02-08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00097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05A KR20200097523A (ko) 2019-02-08 2019-02-08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05A KR20200097523A (ko) 2019-02-08 2019-02-08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23A true KR20200097523A (ko) 2020-08-19

Family

ID=7229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005A KR20200097523A (ko) 2019-02-08 2019-02-08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5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44A1 (ko) * 2022-02-14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투어 가이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44A1 (ko) * 2022-02-14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투어 가이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3849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map and method thereof
US20170284822A1 (en) Input/Output Functions Related to a Portable Device In An Automotive Environment
KR100985737B1 (ko)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89663B1 (ko)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지 않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817243B2 (en)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change in output destination of an application
KR102627612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변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70123618A1 (en) Dynamic user interface for map applications
KR20170046675A (ko) 경로 중단이 감소된 내비게이션 검색 결과의 제공 기법
US2012009640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anaging object related information therein
US20130050131A1 (en) Hover based navigation user interface control
KR20160147052A (ko) 스트리트 뷰 목적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25722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a perspective view of objects and content related thereto for location-based services on mobile device
US20220076469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US10094681B2 (en) Controlling a map system to display off-screen points of interest
EP2993639A1 (en)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through map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4102455A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trieving views extending a user´s line of sight
KR20140132977A (ko)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0720026A (zh) 使用第三方数据在导航应用中自定义可视化
KR102637701B1 (ko) 증강현실 뷰를 사용하는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00097523A (ko) 공간 정보 기반의 카메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10129575A (ko) 위젯을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
KR101899465B1 (ko)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장치
KR102174339B1 (ko)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EP3491853A1 (en) A device for location based services
EP35104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