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513A -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 Google Patents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513A
KR20200097513A KR1020190014977A KR20190014977A KR20200097513A KR 20200097513 A KR20200097513 A KR 20200097513A KR 1020190014977 A KR1020190014977 A KR 1020190014977A KR 20190014977 A KR20190014977 A KR 20190014977A KR 20200097513 A KR20200097513 A KR 20200097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spraying
lifting
hopp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림
Original Assignee
이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림 filed Critical 이혜림
Priority to KR102019001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513A/ko
Publication of KR2020009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 A01C15/12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with moving floor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제비료나 염화칼슘 등의 입상 살포물을 저장하여 살포가 요구되는 살포영역으로 간편하게 이동한 다음, 저장된 입상 살포물을 살포영역에 안정되게 살포하도록 하는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입상 살포물을 저장하며 하부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형 본체와; 상기 호퍼형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입상 살포물을 살포영역에 방사되게 살포하는 살포부; 및 상기 살포부가 탑재된 본체를 거상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포부는, 호퍼형 본체의 하부에 수평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살포팬과; 상기 살포팬을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와; 기동전류가 축전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를 구동모터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Handy type particles spreader}
본 발명은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제비료나 염화칼슘 등의 입상 살포물을 저장하여 살포가 요구되는 살포영역으로 간편하게 이동한 다음, 저장된 입상 살포물을 살포영역에 안정되게 살포하도록 하는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비료의 경우 대부분의 화학비료가 입제형태로 생산되며 경제적인 비용부담이 큰 입제형 살포기를 구입하기 힘든 농민들은 농약이나 비료를 손으로 쥐고 뿌리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이며 피부가 상하는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에 의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해 능률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입제비료 살포기는 트렉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거나 구조가 복잡하고, 휴대하기가 힘들며 일반 농가에서 구입하기에는 가격이 비싼 결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소규모의 살포영역에 입상비료나 염화칼슘 등을 간편하게 살포할 수 있는 소용의 살포기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되고 있다.
KR 10-1303011 B1 KR 10-0252811 B1 KR 10-2018-0006275 A KR 20-0292428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제비료나 염화칼슘 등의 입상 살포물을 저장하여 살포가 요구되는 살포영역으로 간편하게 이동한 다음, 저장된 입상 살포물을 살포영역에 안정되게 살포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손목의 피로도를 저감하면서 안정된 휴대가 가능하고, 또 입상 살포물의 살포에 따른 조작의 편리성과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는,
입상 살포물을 저장하며 하부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형 본체와;
상기 호퍼형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입상 살포물을 살포영역에 방사되게 살포하는 살포부; 및
상기 살포부가 탑재된 본체를 거상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포부는, 호퍼형 본체의 하부에 수평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살포팬과; 상기 살포팬을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와; 기동전류가 축전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를 구동모터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호퍼형 본체에 양단을 각각 고정하여 환형을 이루는 "∩"자형의 절곡몸체로 구성되어, 호퍼형 본체의 중앙부에 기립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본체와 손잡이부는 상하로 정렬하여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에는 배출구를 따라 승강하여 승강여부 및 승강거리에 따라 배출구의 개폐 및 개폐량을 설정하며, 손잡이부의 파지암 저면에 거상노브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개폐부재가 승강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개폐판의 일편에는 승강 개폐판의 간섭에 의해 스위칭 상태가 전환되는 제어부의 구동 스위칭 유닛이 배치되어, 상기 승강노브가 협지되어 승강 개폐판이 상승하여 배출구가 개방되면 구동 스위칭 유닛은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가 구동모터에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제비료 또는 염화칼슘 등의 입상 살포물을 저장하여 휴대 이동하면서, 저장된 입상 살포물을 원하는 살포영역에 간편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의 공급없이 밧데리로 구동되어 전원선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지역으로 간편하게 이동하여 입상 살포물의 살포가 가능하고, 또 손잡이부의 독특한 구조에 의해 손목의 피로도를 최소화하면서 입상 살포물이 저장된 본체를 안정되게 거상할 수 있어 장시간 입상 살포물의 살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호퍼형 본체의 중앙부에 직립되게 형성되어 호퍼형 본체의 거상을 도모하는 손잡이부에,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 구조와 배출구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개폐구조를 유기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본체를 거상한 한 손으로 입상 살포물의 살포상태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조작에 따른 편리성과 간편성에 의해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에 있어, 손잡이부에 마련된 개폐부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를 통한 입상 살포물의 살포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상기 도 3에서 'A'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에 있어, 손잡이부에 마련된 개폐부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를 통한 입상 살포물의 살포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상기 도 3에서 'A'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1)는, 사용자가 입상 살포물의 살포가 요구되는 살포영역으로 휴대 및 이동하여 저장된 입상 살포물을 살포영역에 간편하게 살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입상 살포물은 노지에 살포되어 작물의 재배에 따른 영양분을 공하는 입상비료나 제설을 위해 도로 등지에 살포되는 염화칼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상 살포물을 저장하며 하부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구(11)가 형성된 호퍼형 본체(10)와; 상기 호퍼형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는 입상 살포물을 살포영역에 방사되게 살포하는 살포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살포부(20)는, 호퍼형 본체(10)의 하부에 수평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살포팬(21)과; 상기 살포팬(21)을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22)와; 기동전류가 축전된 배터리(23)와; 상기 배터리(23)에 축전된 기동전류를 구동모터(22)에 인가하는 제어부(24); 및 상기 살포팬(21)과 구동모터(22)를 수납하여 호퍼형 본체(10)의 하부에 정형화되게 수납하는 받침 케이스(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 케이스(25) 내에, 구동모터(22)와 살포팬(21)을 각각 이격되게 배치하고 이들 사이에 감속기어(23a)를 배치하여서, 구동모터(22)에서 생성된 회전력에 의해 살포팬(21)은 일방향으로 감속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살포팬(21)은 구동모터(22)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회전축(21c)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판몸체(21a)와; 상기 원판몸체(21a)에 방사구조로 직립되게 형성되는 살포날(21b)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1)에서 원판몸체(21a)에 투입된 입상 살포물들은 살포날(21b)을 통해 외측으로 견착하여 원심력에 의해 방사하여 살포된다.
또한, 상기 받침 케이스(25)에 수납된 제어부(24)에는 전류량 조절유닛(24a)을 배치하여 사용자는 전류량 조절유닛(24a)을 통해 배터리(23)에서 구동모터(22)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살포팬(2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호퍼형 본체(10)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들은 배출구(11)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되는 입상 살포물들은 구동모터(22)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살포팬(21)을 통해 살포영역에 방사구조로 살포된다.
이때, 사용자는 전류량 조절유닛(24a)을 통해 구동모터(2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요하는 입상 살포물의 살포량과 살포거리 등을 유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간편하게 거상하여 휴대할 수 있는 거상구조를 마련하여서, 사용자는 손목의 피로도를 최소화한 상태로 거상하여 입상영역에 입상 살포물들을 살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1)를 구성하는 호퍼형 본체(10) 내에, 양단을 호퍼형 본체(10)에 각각 고정하여 환형을 이룬 손잡이부(3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30)와 호퍼형 본체(10)는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형 본체(10)의 하부 내측과 상부내측에, "∩"자형으로 절곡된 손잡이부(30)의 단부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하여서, 손잡이부(30)의 단부는 호퍼형 본체(10)의 상부 중앙에 상하 기립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30)는 호퍼형 본체(10)의 저장공간(12) 내에 형성되어 입상 살포물들을 저장한 호퍼형 본체(10)를 거상함에 따른 모멘트를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입상 살포물들을 저장한 호퍼형 본체(10)를 거상함에 따른 손목이나 팔 등 사용자의 피로가 대폭 저감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형 본체(10)와 손잡이부가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하여, 손잡이부(30)와 호퍼형 본체(10) 사이의 편심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거상에 따른 손목 피로도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살포를 원하는 입상 살포물들을 호퍼형 본체(10)의 저장공간(12) 내에 공급한 뒤, 손잡이부(30)를 이용하여 호퍼형 본체(10)를 거상하고 살포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배출구(11)의 개방를 개방하고 살포부(20)를 구동하면, 도 5와 같이 상기 호퍼형 본체(10)의 저장공간(12) 내에 저장되어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는 입상 살포물들은 살포부(20)를 통해 살포영역에 방사하여 살포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에 저장공간(12) 내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들을 배출구(11)를 통해 강제 배출하는 강제 배출부재(26)를 마련하여, 저장공간(12)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들이 배출구(11)를 통해 보다 원활히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상 살포물들에 의해 배출구(11)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 정량의 입상 살포물들이 배출구(11)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강제 배출부재(26)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살포팬(21)의 회전축(21c)에 고정되는 보스(26a)와, 상기 보스(26a)의 외측에 방사구조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저장공간(12)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을 견착하여 배출구(11)로 강제 배출하는 견착날개(26b)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저장공간(12) 바닥에, 강제 배출부재(26)와의 간섭에 의해 저장공간(12) 내에서 유동하는 유동핀(27)들을 직립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유동핀(27)들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강제 배출부재(26)에 의해 유동하면서 저장공간(12) 내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들을 유동시켜서 입상 살포물의 뭉침 발생을 억제하고, 또 배출구(11)를 통해 입상 살포물들이 보다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12) 내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들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강제 배출부재에 의해 견착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다음, 강제 배출부재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살포팬(21)을 통해 살포영역에 방사하여 살포되고, 결과적으로 저장공간(12) 내에 입상 살포물들이 채류하거나 배출구(11)를 통해 입상 살포물들이 배출되지 아니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퍼형 본체(10)의 중앙부에 직립되게 형성되어 호퍼형 본체(10)의 거상을 도모하는 손잡이부(30)에, 구동모터(22)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칭 구조와 배출구(11)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개폐구조를 유기적으로 형성하여서, 손잡이부(30)를 파지하여 본체(10)를 거상한 한 손으로 입상 살포물의 살포상태를 간편하게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30)에, 배출구(11)를 따라 승강하여 승강여부 및 승강거리에 따라 배출구의 개폐 및 개폐량을 설정하며 손잡이부(30)의 파지암(31)의 저면에 거상노브(32b)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개폐부재(32)를 승강구조로 배치한다.
상기 개폐부재(32)는, 배출구(11)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는 승강 개폐판(32a)과, 링크핀(32c)를 통해 승강 개폐판(32a)의 상부에 링크구조로 연결되며, 파지암(31)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거상노브(32b)를 포함하여서, 링크구조에 의해 부드러운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개폐판(32a)의 일편에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 개폐판(32a)의 간섭에 의해 스위칭 상태가 전환되는 제어부(24)의 구동 스위칭 유닛(24b)이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개폐판의 승강경로 상에, 제어부의 구동 스위치 유닛을 배치하여서, 상승하는 승강 개폐판에 의해 구동 스위치 유닛은 접점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손잡이부(30)의 파지암(31)을 파지한 사용자가 거상노브(32b)를 협지하면 승강 개폐판(32a)은 배출구(11)를 따라 상승하면서 배출구(11)를 개방하고, 이때 승강 개폐판(32a)의 상승거리에 따라 배출구(11)의 개폐량은 조절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 스위칭 유닛(24b)은 상승하는 승강 개폐판(32a)의 간섭단에 간섭되어 구동모터(22)에 전류를 인가하여서, 개방된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된 입상 살포물들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살포팬(21)에 의해 살포영역에 살포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거상노브(32b)의 협지상태를 해제하면 개폐부재(32)는 배출구(11)를 따라 하강하면서 배출구(11)를 폐쇄하고, 이와 동시에 구동 스위칭 유닛(24b)은 승강 개폐판(32a)의 간섭단에 의한 간섭이 해제되고 구동모터(22)에 인가되는 기동전류를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부(30)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배출부재의 거상노브(32b) 협지상태에 따라 배출구(11)의 개폐상태와 살포부(20)의 구동이 유기적으로 설정되므로, 배출구를 개방하는 공정과 살포부를 구동하는 공정을 분리하여 실시함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또 배출구가 개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살포부가 오구동하여 배터리가 소진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구(11)의 개폐구조와 구동 스위칭 구조가 마련된 손잡이부(10)에, 거상노브(32b)의 오동작을 방지하며 거상된 거상노브(32b)를 고정하는 락스토핑 구조를 부가하여서, 오동작의 방지와 함께 사용에 따른 보다 편리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락스토핑 구조는, 도 3과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30)의 파지암(31)의 상부에 진퇴구조로 배치되는 락킹 스토퍼 부재(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거상노브(32b)의 상단에는 외측벽에 스토핑홈(33c)들이 형성된 승강 가이드(33)를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파지암(31)에는 개폐부재(32a)의 상부에 돌출된 승강 가이드(33)의 승강경로를 제공하는 승강공(31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락킹 스토퍼 부재(34)는 지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전방으로 탄지되어, 평상시에는 락킹 스토퍼 부재(34)는 전진하여 파지암(31)의 상부에 형성된 승강공(31a)을 커버하여 폐쇄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상노브(32b)를 협지하여 승강 개폐판(32a)를 상승하려면 락킹 스토퍼 부재(34)를 후퇴시켜 락킹 스토퍼 부재(34)에 의한 승강공(31a)의 폐쇄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므로, 거상노브(32b)를 잘못 파지하여 저장된 입상 살포물들이 살포부(20)를 통해 오살포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거상노브(32b)의 협지하여 승강 개폐판(32a)의 승강 가이드(33)가 승강공(31a)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서 락킹 스토퍼 부재(34)를 놓으면, 도 6b와 같이 락킹 스토퍼 부재(34)는 전진하여 파지암(31)의 상부에 돌출된 승강 가이드(33)의 스토핑홈(33c)을 견착하여 구속하고, 결과적으로 배출구(11)의 폐쇄와 함께 살포부(20)의 구동정지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락킹 스토퍼 부재(34)에 견착되는 승강 가이드(33)의 외벽에 스토핑홈(33c)들을 상하 이격되게 형성하여 승강 개폐판(32a)을 높이별로 다단 구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구(11)의 개폐량에 따른 구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가이드(33)를 배출부재의 거상노브에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거상노브의 상부에 체결을 통해 고정하여서, 체결량에 따라 승강 가이드의 돌출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가이드(33)의 하단에 체결부(33a)를 형성하고, 외경에는 조절휠(33b)을 마련하여서, 조절휠(33b)을 통해 승강 가이드(33)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거상노브(32b)와의 체결량을 증감하여 승강 가이드(33)의 돌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체결량의 조절을 통해 승강 가이드(33)의 견착높이가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배출구(11)의 개폐량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1.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10. 호퍼형 본체 11. 배출구
12. 저장공간
20. 살포부 21. 살포팬
21a. 원판몸체 21b. 살포날
21c. 회전축
22. 구동모터 23a. 감속기어
23. 배터리 24. 제어부
24a. 전류량 조절유닛 24b. 구동 스위칭 유닛
25. 받침 케이스 26. 강제 배출부재
26a. 보스 26b. 견착날개
27. 유동핀
30. 손잡이부 31. 파지암
31a. 승강공 32. 개폐부재
32a. 승강 개폐판 32b. 거상 노브
32c. 링크핀
33. 승강 가이드 33a. 체결부
33b. 조절휠 33c. 스토핑홈
34. 락킹 스토퍼 부재 34a. 스토핑홈

Claims (4)

  1. 입상 살포물을 저장하며 하부에 저장된 입상 살포물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형 본체와;
    상기 호퍼형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입상 살포물을 살포영역에 방사되게 살포하는 살포부; 및
    상기 살포부가 탑재된 본체를 거상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포부는, 호퍼형 본체의 하부에 수평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살포팬과; 상기 살포팬을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와; 기동전류가 축전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를 구동모터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호퍼형 본체에 양단을 각각 고정하여 환형을 이루는 "∩"자형의 절곡몸체로 구성되어, 호퍼형 본체의 중앙부에 기립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본체와 손잡이부는 상하로 정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배출구를 따라 승강하여 승강여부 및 승강거리에 따라 배출구의 개폐 및 개폐량을 설정하며, 손잡이부의 파지암 저면에 거상노브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개폐부재가 승강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개폐판의 일편에는 승강 개폐판의 간섭에 의해 스위칭 상태가 전환되는 제어부의 구동 스위칭 유닛이 배치되어,
    상기 승강노브가 협지되어 승강 개폐판이 상승하여 배출구가 개방되면 구동 스위칭 유닛은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가 구동모터에 인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KR1020190014977A 2019-02-08 2019-02-08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KR20200097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977A KR20200097513A (ko) 2019-02-08 2019-02-08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977A KR20200097513A (ko) 2019-02-08 2019-02-08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13A true KR20200097513A (ko) 2020-08-19

Family

ID=7229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977A KR20200097513A (ko) 2019-02-08 2019-02-08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51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811B1 (ko) 1998-03-25 2000-04-15 이순철 다용도 분사장치
KR200292428Y1 (ko) 2002-07-08 2002-10-19 임옥만 비료발사기
KR101303011B1 (ko) 2013-03-28 2013-09-03 송대환 다용도 살포기
KR20180006275A (ko) 2016-07-08 2018-01-17 추재엽 배부식 초미립자 살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811B1 (ko) 1998-03-25 2000-04-15 이순철 다용도 분사장치
KR200292428Y1 (ko) 2002-07-08 2002-10-19 임옥만 비료발사기
KR101303011B1 (ko) 2013-03-28 2013-09-03 송대환 다용도 살포기
KR20180006275A (ko) 2016-07-08 2018-01-17 추재엽 배부식 초미립자 살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50903B (zh) 动力手持式撒布机
CA2905858C (en) Electrically powered hand spreader
US2573784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s
US20150136870A1 (en) Electric Handheld Broadcast Spreader
US8191804B1 (en) Fertilizer dispenser
KR20100032975A (ko) 시설원예 수확물 이송 및 방제장치
KR20200097513A (ko) 핸디형 입상 살포물 살포기
CN108854637A (zh) 一种易用型农药混合喷洒装置
US4408720A (en) Demountable wheeled liquid sprayer
US2966023A (en) Distributor attachment for a lawn mower
JP3940515B2 (ja)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CN210299207U (zh) 一种果树栽培用农药喷雾装置
KR100973795B1 (ko) 비료거름 살포기
US20100025496A1 (en) Apparatus for Watering or Treating Plants
JP3542778B2 (ja) 肥料散布機
CN110022669B (zh) 用于播撒物料的手持装置
US6910645B1 (en) Gardening product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CN220936419U (zh) 一种林业虫害洒药装置
KR100865969B1 (ko) 유기질 퇴비 살포장치
CN220607093U (zh) 一种病虫害防治装置
KR20150034020A (ko) 손수레 탑재식 비료 및 농약 살포기
JP3843065B2 (ja) 散布材容器、散布機及び散布材投入方法
KR20140094728A (ko) 원심분리형 무인 방제장치
CN220712641U (zh) 一种水果种植用的农药喷洒装置
KR20220070863A (ko) 트랙터 장착용 입제 살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