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010A -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010A
KR20200097010A KR1020190014211A KR20190014211A KR20200097010A KR 20200097010 A KR20200097010 A KR 20200097010A KR 1020190014211 A KR1020190014211 A KR 1020190014211A KR 20190014211 A KR20190014211 A KR 20190014211A KR 20200097010 A KR20200097010 A KR 20200097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keyboard
detachable
magn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356B1 (ko
Inventor
강남현
김태윤
하정원
박시형
조민식
윤경국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푸시버튼이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상기 푸시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키보드부와,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는 마우스 및 상기 키보드부와 상기 마우스 각각의 일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탈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노트북의 몸체에 탈착이 가능한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해지고 노트북 키보드를 누를 때 터치패드에 손이 접촉되어 작업에 방해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키보드를 누리는 압력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노트북이나 무선키보드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Laptops with detachable and self-energized mouse}
본 발명은 노트북 키보드나 무선키보드 등의 전자기기에 탈착 및 자가발전이 가능한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가볍고 보관하기도 쉽고 사용자가 밖에서도 편리하게 업무를 보거나 문서작성 등을 할 수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를 하고 있다.
노트북은 스크린과 키보드가 분리되어 키보드를 두 손으로 눌러서 동작시켜 문서작성 등을 수행하게 되며, 스크린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터치패드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이동함으로서 스크린 상의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노트북은 전원을 연결하여 연결된 전원을 이용하여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노트북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을 하여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지역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키보드는 내부에 건전지가 구비되어 배터리의 용량만큼 사용하고 배터리를 교환하게 된다.
그러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문서작성을 하는 중에 터치패드의 위치로 인하여 키보드의 키를 눌러주는 작업중에 중복터치나 위치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외부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경우 미리 배터리를 충전을 하여야 하나 배터리 충전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노트북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할 경우 마우스와 비교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9548호, 2018.12.05.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6965호, 2018.11.28.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노트북의 몸체에 탈착이 가능한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는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키보드를 누리는 압력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는, 복수 개의 푸시버튼이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상기 푸시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키보드부와,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는 마우스 및 상기 키보드부와 상기 마우스 각각의 일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탈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보드부는, 상기 푸시버튼의 하부에 대응되게 장착되어, 상기 푸시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보드부와 마우스는, 내부에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마우스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이 형성되는 상기 키보드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자석 및 상기 마우스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과 자착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키보드부에 상기 제2자석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전환되는 제3자석과, 상기 제3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며, 전류가 인가된 상기 제3자석의 단부의 극성이 상기 제1자석과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척력에 의해 상기 마우스를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마우스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이 형성되는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상기 마우스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슬롯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볼록한 형상의 탄성체와, 상기 절곡부재의 전방에 오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상기 홈에 안착되어 상기 키보드부와 마우스가 결합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노트북의 몸체에 탈착이 가능한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해지고 노트북 키보드를 누를 때 터치패드에 손이 접촉되어 작업에 방해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보드를 누리는 압력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노트북이나 무선키보드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자가발전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도 있다.
또한, 키보드부에 결합된 마우스를 단순한 구조에 따른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우스가 분리된 상태의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우스가 결합된 상태의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본 발명은 노트북 키보드나 무선키보드 등의 전자기기에 탈착 및 자가발전이 가능한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노트북의 몸체에 탈착이 가능한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는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를 제공하며, 키보드를 누르는 압력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키보드의 푸시버튼의 하부에 압전소자가 구비하고, 키보드부에 마우스가 탈착될 수 있는 구성 및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우스가 분리된 상태의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우스가 결합된 상태의 탈착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마우스(200)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는 도 1을 참조하면 크게 키보드부(100), 마우스(200) 및 탈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보드부(100)는 복수 개의 푸시버튼(110)이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상기 푸시버튼(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200)는 상기 키보드부(10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전기에너지를 바로 사용하는 것과 배터리에 충전을 하여 사용하는 것 모두 가능하다.
상기 탈착부(300)는 상기 키보드부(100)와 상기 마우스(200) 각각의 일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탈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키보드는 상기 푸시버튼(110)의 하부에 대응되게 장착되어, 상기 푸시버튼(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소자(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압전소자(120)는 병렬회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압전소자(120)를 직렬회로로 연결하게 되면 모든 압전소자(120)에 동일한 압력을 주지 않으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없게 되므로, 복수 개의 상기 압전소자(120)를 병렬회로로 연결하여 모든 압전소자(120)에 같은 양의 압력을 주지 않더라도 전기가 발생이되며, 추가로 전력증폭장치를 더 구비하여 더 큰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보드부(100)와 마우스(200)는, 내부에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가 더 구비되어 배터리의 소모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전기가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노트북이나 무선키보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탈착부(300)는 상기 키보드부(100)와 상기 마우스(20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탈착부(300)의 제1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착부(300)는, 절개홈(310), 제1자석(320), 제2자석(330), 제3자석(340) 및 분리버튼(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홈(310)은, 상기 키보드부(100)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마우스(20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3자석과 분리버튼(350)은 상기 절개홈(310)에 상기 마우스(2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절개홈(310)에서 상기 마우스(200)를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들이다.
상기 제1자석(320)은 상기 절개홈(310)이 형성되는 상기 키보드부(100)의 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자석(320)은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자석(330)은 상기 마우스(20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320)과 자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자석(330)은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1자석(320)과 제2자석(330)은 자기장이 형성되는 영역 내로 인접하면 상호 인력에 의해서 붙음으로서 상기 절개홈(310) 내에 상기 마우스(2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홈(310)에서 상기 마우스(20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상기 제1자석(320)과 제2자석(330)의 인력이상의 힘을 가하면 분리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3자석(340)은 전자석을 이용하여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키보드부(100)에 상기 제2자석(330)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자석(340)은 중심의 철심과 철심의 주위로 코일을 감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코일의 감긴 횟수를 조절하여 상기 제2자석(330)과 제3자석(340) 간의 척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버튼(350)은 상기 제3자석(34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역할을 수행하며, 전류가 인가된 상기 제3자석(340)의 단부의 극성이 상기 제1자석(320)과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상기 제2자석(330)과 제3자석(340)의 척력에 의해 상기 마우스(200)를 상기 키보드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1자석(320)과 제2자석(330) 간의 인력보다 상기 제2자석(330)과 제3자석(340) 간의 척력이 크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탈착부(300)의 제2실시예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착부(300)는, 절개홈(310), 고정부재(360), 가이드수단(370) 및 이탈방지수단(3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홈(310)은, 상기 키보드부(100)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마우스(20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360)는, 가이드레일(361)과 절곡부재(3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61)은 상기 절개홈(310)이 형성되는 상기 키보드부(10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60)는 상기 가이드레일(361)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수단(370)은, 가이드슬롯(371)과 가이드홈(3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슬롯(371)은 상기 마우스(20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61)이 관통하여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고, 상기 가이드홈(372)은 상기 가이드슬롯(371)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재(362)가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가령, 상기 고정부재(360)가 상기 가이드수단(370)에 끼워지도록 맞춘 뒤 전방으로 밀어주면 상기 가이드슬롯(371)이 상기 가이드레일(361)을 따라 이동을 함으로서 상기 마우스(200)가 상기 절개홈(310)에 안착이 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재(362)는 상기 가이드슬롯(371)이 상기 가이드레일(361)을 따라 이동을 하는 중에 상기 가이드레일(3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탈장비수단은, 상기 마우스(200)가 상기 절개홈(310)에 결합이 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 분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체(381)와 홈(3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체(381)는 상기 가이드홈(372)의 일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382)은 상기 절곡부재(362)의 전방에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체(381)가 상기 홈(382)에 안착되어 상기 키보드부(100)와 마우스(2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마우스(200)를 당김으로 상기 탄성체(381)와 홈(382)의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탈착부(300)의 제3실시예를 도 4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360)에 상기 가이드부재를 끼워 마우스(200)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절개홈(310)에 상기 마우스(200)를 안착시키면 제1자석(320)과 제2자석(330)이 인력에 의해서 자착된다. 이후 상기 절개홈(310)으로부터 상기 마우스(20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리버튼(350)을 눌러 상기 제3자석(340)에 전류를 인가시켜 상기 제3자석(340)의 단부의 극성이 상기 제1자석(320)과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상기 제2자석(330)과 제3자석(340)의 척력에 의해 밀려나게 되는데, 밀려나는 방향은 상기 가이드레일(361)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61)로부터 상기 가이드슬롯(371)이 이탈됨으로서 상기 마우스(200)가 상기 절개홈(310)으로부터 분리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탈착부(300)의 제4실시예를 도 5와 도 6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360)에 상기 가이드부재를 끼워 마우스(200)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절개홈(310)과 상기 마우스(200)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도록 한 뒤 단속수단(390)을 이용하여 상기 마우스(200)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속수단(390)은 상기 키보드부(1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단속대기홈(392)과, 상기 마우스(20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속대기홈(392)과 연통되는 단속결합홈(393) 및 상기 단속대기홈(392)과 단속결합홈(393) 상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200)가 상기 절개홈(310)에 결합되면, 상기 단속대기홈(392) 상에 위치하는 상기 단속편(391)을 상기 단속결합홈(393)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마우스(200)를 단속하게 된다.
상기에 기술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가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배터리에 전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자석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노트북이나 무선키보드 등에서 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키보드부
110 : 푸시버튼
120 : 압전소자
200 : 마우스
300 : 탈착부
310 : 절개홈
320 : 제1자석
330 : 제2자석
340 : 제3자석
350 : 분리버튼
360 : 고정부재
361 : 가이드레일
362 : 절곡부재
370 : 가이드수단
371 : 가이드슬롯
372 : 가이드홈
380 : 이탈방지수단
381 : 탄성체
382 : 홈
390 : 단속수단
391 : 단속편
392 : 단속대기홈
393 : 단속결합홈

Claims (6)

  1. 복수 개의 푸시버튼이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상기 푸시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키보드부;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는 마우스;
    상기 키보드부와 상기 마우스 각각의 일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탈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는,
    상기 푸시버튼의 하부에 대응되게 장착되어, 상기 푸시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와 마우스는, 내부에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마우스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절개홈;
    상기 절개홈이 형성되는 상기 키보드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자석;
    상기 마우스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과 자착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키보드부에 상기 제2자석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전환되는 제3자석;
    상기 제3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며, 전류가 인가된 상기 제3자석의 단부의 극성이 상기 제1자석과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척력에 의해 상기 마우스를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마우스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절개홈;
    상기 절개홈이 형성되는 상기 키보드부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부재;
    상기 마우스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슬롯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볼록한 형상의 탄성체와, 상기 절곡부재의 전방에 오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상기 홈에 안착되어 상기 키보드부와 마우스가 결합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KR1020190014211A 2019-02-07 2019-02-07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KR10216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11A KR102160356B1 (ko) 2019-02-07 2019-02-07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11A KR102160356B1 (ko) 2019-02-07 2019-02-07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10A true KR20200097010A (ko) 2020-08-18
KR102160356B1 KR102160356B1 (ko) 2020-09-25

Family

ID=7226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211A KR102160356B1 (ko) 2019-02-07 2019-02-07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3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918A (ko) * 2003-10-10 200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pc
JP2007527045A (ja) * 2003-07-08 2007-09-20 ボルクヴァルト、グレン ロルス ポータブルデジタルコンピュータのための入力装置、および多機能マウスを有するポータブルデジタルコンピュータ
KR20090006250A (ko) * 2007-07-11 2009-01-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발전형 무선 입력장치
KR20130143323A (ko) * 2012-06-21 2013-12-31 정용석 자가 발전이 가능한 키보드
KR20180126965A (ko) 2017-05-19 2018-11-2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가능한 패드형 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
KR20180129548A (ko) 2017-05-27 2018-12-05 윤석종 탈부착 터치패드 겸 마우스를 내장한 노트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7045A (ja) * 2003-07-08 2007-09-20 ボルクヴァルト、グレン ロルス ポータブルデジタルコンピュータのための入力装置、および多機能マウスを有するポータブルデジタルコンピュータ
KR20050034918A (ko) * 2003-10-10 200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pc
KR20090006250A (ko) * 2007-07-11 2009-01-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발전형 무선 입력장치
KR20130143323A (ko) * 2012-06-21 2013-12-31 정용석 자가 발전이 가능한 키보드
KR20180126965A (ko) 2017-05-19 2018-11-2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가능한 패드형 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
KR20180129548A (ko) 2017-05-27 2018-12-05 윤석종 탈부착 터치패드 겸 마우스를 내장한 노트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356B1 (ko)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6323B2 (en) Cable connector device
US10649548B2 (en) Retractable fang attachment for stylus
US8081160B2 (en) Separable and shape-changeable mouse
US9101052B2 (en) Sli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ame
JP3515774B2 (ja) 摩擦のないペン取り出し、固定機構
JP2009199961A (ja) キー入力装置
TWI508386B (zh) 插座及具有插座的電插接組件
US9268365B2 (en) Protecting cover
JP5161146B2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US9389644B2 (en) 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00117953A (ko) 정렬 및 상호연결 시스템
EP4124929A1 (en) Accommodating cylinder, touch pen assembly, and protective case
US11543861B2 (en) Orientation specific control
TW201504860A (zh) 投射電容式觸控筆及其控制方法
US20230197323A1 (en) Electro-permanent-magnet-based force profile for an input element on an input device
US9331519B2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20170330709A1 (en) Magnetic type keyboard and magnetic key thereof
JP6125703B1 (ja) 固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160356B1 (ko) 탈착식 마우스를 구비한 자가발전식 전자기기
WO2021213506A1 (zh) 输入设备和电子设备输入系统
US6479184B1 (en) PDA battery buckling device
JP2024024073A (ja) 電子ペン
JPH053656A (ja) 発電スイツチ
CN214846449U (zh) 一种磁吸拼接式pad
KR200305620Y1 (ko) 자석을 이용한 컴퓨터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