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438A -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 - Google Patents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438A
KR20200096438A KR1020200092568A KR20200092568A KR20200096438A KR 20200096438 A KR20200096438 A KR 20200096438A KR 1020200092568 A KR1020200092568 A KR 1020200092568A KR 20200092568 A KR20200092568 A KR 20200092568A KR 20200096438 A KR20200096438 A KR 20200096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yer
woven
fabric
droplet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638B1 (ko
Inventor
문종환
Original Assignee
(주)삼성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섬유 filed Critical (주)삼성섬유
Priority to KR102020009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6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소재로 직조된 복수의 직물을 수 겹 적층하고, 적층된 직물의 층별로 접결점(接結點)을 달리하여 접결 조직점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간극을 통한 비말과 먼지의 전파를 적극 방지 유도하고, 해당 직물 간 적층 순서를 설정 변경하여 사용처와 계절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원사로 직조된 직물을 수 겹 적층하되 층별로 접결점(接結點) 위치에 차이를 두어 직물 간 접결조직점의 간극이 축소되는 원단을 이용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 원사로 직조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제1직물층(100);과, 제1직물층의 원사를 포함한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 원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제2직물층(200);과, 제1 및 제2직물층의 원사를 포함한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 원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3직물층(3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mask}
본 발명은 직물의 조직 간 간극을 최소화하여 바이러스의 침투를 차단하되 통기성은 적극 보존되는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소재로 직조된 복수의 직물을 수 겹 적층하고, 적층된 직물의 층별로 접결점(接結點)을 달리하여 접결 조직점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간극을 통한 비말과 먼지의 전파를 적극 방지 유도하고, 해당 직물 간 적층 순서를 설정 변경하여 사용처와 계절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마스크라 함은 대상물을 가리거나 내·외부적인 다양한 요인들로부터 대상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흔히 보온용 마스크를 비롯하여 보건용 마스크나 방진 마스크 및 방독면 등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건용 마스크는 특수 제조된 직물을 사용하여 공기 중에 전파되거나 또는 비말로 전파되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 보건용 마스크는 그만큼 통기성이 저하되어 호흡 곤란에 따른 착용이 기피되고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와 관련한 기술사례 중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2070호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마스크본체;와, 마스크본체에 포개어 적층되며 착용자의 볼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제2마스크;와, 마스크본체와 제2마스크 사이공간에 개재되어 외기를 공급받아 착용자에게 전달하는 팬부재;로 구성되어 미세 먼지의 침투를 차단함은 물론, 팬부재로부터 원활한 공기 유입을 도모하는 기술이다.
상기 마스크와 관련한 기술사례 중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2091347호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하여 외부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몸체;와, 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귀에 거치되는 끈;과, 몸체의 내부에 홈 형태로 형성된 필터장착구;와, 필터장착구에서 몸체를 관통하는 구멍 형태의 흡기구; 및 배기구;와, 필터장착구에 삽입되는 필터;와, 배기구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하는 체크밸브;와, 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테두리부;로 구성되어 필터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나아가 테두리부로 하여금 안면에 밀착 착용이 가능하되 장시간 착용에도 안면에 마스크 자국이 발생하지 않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을 비롯하여 현존하는 모든 마스크는 공기 중 또는 비말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의 차단을 위해 다양한 소재와 형상의 필터부재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필터부재가 적용된 마스크는 생산이 까다롭고, 필터부재의 잦은 교체와 수리에 대해 불편함이 동반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외기의 유입을 위해 마련된 통기공을 통해 오히려 바이러스가 침투되는 등의 또 다른 악영향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생산 효율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하되 기존 대비 우수한 수준의 바이러스 차단 기능을 부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덧붙여 우수한 통기성을 기반으로 착용성이 뛰어난 마스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2070호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등록특허공보 제10-2091347호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비말이 통과할 수 없는 수준의 조직성을 가진 원단으로만 마스크를 제조함으로써 생산 효율성은 물론, 안전성이 확보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가지의 원단으로 제작하여 생산 단가가 저렴하고, 세탁만으로 청결이 유지되어 반영구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경사와 위사에 대한 밀도의 차이를 기반으로 보온, 보습의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대응하는 계절 맞춤형 마스크의 제공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중직 원단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원사로 직조된 직물을 수 겹 적층하되, 층별로 접결점(接結點) 위치에 차이를 두어 직물 간 접결조직점의 간극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결점(接結點)은 0.5 내지 1cm의 간격으로 접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 또는 린넨(linen) 또는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중직 원단으로 제조되는 기능성 마스크는 린넨으로 직조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제1직물층(100);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제2직물층(200);과,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3직물층(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제1직물층(100);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제2직물층(200);과,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3직물층(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예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제1직물층(100);과,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2직물층(200);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제3직물층(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예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1직물층(100);과,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제2직물층(200);과,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3직물층(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예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1직물층(100);과,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2직물층(200);과,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제3직물층(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를 이용하여 다중직의 원단을 획득함에 따라 생산 효율성이 매우 우수함은 물론, 접결점의 선정을 기반으로 조직 간 간격이 최소화되어 통기성은 원활하게 보존하면서 비말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는 적극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주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가지의 원단으로 제작하여 마스크의 생산 단가가 매우 저렴하고, 특히 단순 세탁만으로 청결이 유지되어 반영구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경사와 위사에 대한 밀도의 차이를 두어 마스크의 보온 내지 보습 수준을 조절함에 따라 계절에 맞춰 착용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원단의 실물 사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중직 원단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직물의 조직 간 간극을 최소화하여 바이러스의 침투를 차단하되 통기성은 적극 보존되는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며, 아울러 해당 원단으로 제조되어 비말 차단이 우수한 기능성 마스크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소재로 직조된 복수의 직물을 수 겹 적층하고, 적층된 직물의 층별로 접결점(接結點)을 달리하여 접결 조직점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간극을 통한 비말과 먼지의 전파를 적극 방지 유도하고, 해당 직물 간 적층 순서를 설정 변경하여 사용처와 계절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원단으로 제조된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원단의 실물 사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는 직물을 여러 겹으로 적층한 다중직(多重織)의 원단으로 제조되며, 상세하게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 원사로 직조된 직물을 수 겹 적층하되, 층별로 접결점(接結點)의 선정 위치와 배열 간격에 차이를 두어 직물 간 조직점(組織點)의 간극이 축소된 원단을 말한다.
여기에서 상기 직물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 또는 린넨(linen) 또는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로 직조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는 폴리프로필렌 하이바(Polypropylene Fiber)를 방적하여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로써, 상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는 수분 배출이 뛰어나고 속건, 경량, 열전도성, 내약품성, 화학 반응 방지, 항균, 방취, 내마모성, 친환경성, 정전기 발생 차단, 극성오염물질 저항성 등의 특성이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는 폴리프로필렌에 마스터배치를 첨가하면서 방사하여 이루어지며, 통상의 혼타 공정, 소면 공정, 코마 공정, 연조 공정, 조방 공정, 정방 공정, 정사 공정을 순차 거쳐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복수의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를 추가 연사한 후 열 세팅과 싸이징 공정을 거쳐 생성된 경사 빔을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한다.
상기 제직(製織)이란 직물을 짜는 조작으로 주로 직기(織機)를 이용한다. 상기 직기를 이용하여 날실을 가지런히 정리해 정경(整經)시킨 후 기계에 부착하고, 종광을 이용해 날실을 서로 엇갈리게 상하로 개구(開口)시킨 다음 씨실을 그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것을 다시 바디로 날실 사이에 밀어넣고 또 개구시켜 씨실을 짜 넣는 일을 반복하여 짜진 부분을 감아냄과 동시에 날실을 내보내는 공정을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린넨(linen) 사(絲)는 마로부터 추출한 원료를 이용하여 실로 가공한 것으로, 피부에 달라붙지 않아 쿨링 기능이 뛰어나고, 땀의 흡수 기능이 우수하여 여름용 소재로 제격이다.
상기 린넨은 일반적인 원사 제조공정을 거쳐 린넨사로 제조되거나, 상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와 같이 방적공정을 거쳐 린넨 방적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린넨 방적사는 통상의 혼타 공정, 소면 공정, 코마 공정, 연조 공정, 조방 공정, 정방 공정, 정사 공정을 순차 거쳐 제조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복수의 린넨 방적사를 추가 연사한 후 열 세팅과 싸이징 공정을 거쳐 생성된 경사 빔을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하계용 원단으로 실의 굵기가 가늘며 Pilling성이 적은 린넨사를 사용하며, 동계용 원단으로는 실의 꼬임수와 굵기가 두꺼우며 Pilling성 높은 방적사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계절과 목적 및 쓰임에 맞춰 린넨사와 린넨 방적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조된다.
상기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는 폴리에스테르 화학사를 미세하게 가공하여 만든 원사로써 화학사를 가공하여 제조되었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주변의 미세 먼지를 적극 흡착한다.
상기 폴리에스터 극세사는 우수한 촉감과 통기성을 보유한 특성이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여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사용하기 보다 원단과 원단 사이에 개재하여 필터부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 극세사는 통상의 혼타 공정, 소면 공정, 코마 공정, 연조 공정, 조방 공정, 정방 공정, 정사 공정을 순차 거쳐 제조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복수의 폴리에스터 극세사를 추가 연사한 후 열 세팅과 싸이징 공정을 거쳐 생성된 경사 빔을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한다.
상기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는 나일론 원사에 구리를 코팅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정경 후 경사 빔 상태에서 원사를 구리 코팅하여 대전방지 성능 또는 전자파 차폐 성능이 부여된 원사이다.
나일론 원사에 구리를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증착법, 이온도금법, 무전해도금법, 스퍼터링법, 코팅법, 스프레이 도포법, 용사법 등의 공지된 기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는 증착법을 활용하였다.
상기 나일론 구리 증착 코팅사는 통상의 혼타 공정, 소면 공정, 코마 공정, 연조 공정, 조방 공정, 정방 공정, 정사 공정을 순차 거쳐 제조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복수의 나일론 구리 증착 코팅사를 추가 연사한 후 열 세팅과 싸이징 공정을 거쳐 생성된 경사 빔을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한다.
한편, 상기 접결점(接結點)이란, 원단과 원단을 접하여 결합한다는 의미로써 원단에 형성된 조직 간극에 실을 진입시켜 꿰매어 접결한다. 일반적으로 접결은 복수의 원단을 적층한 후 어느 하나의 접결조직점에 원포인트로 일괄 접결하는데, 이러한 경우 접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조직점으로 비말이 침투하여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된 원단의 각층별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접결점을 선정하여 접결함에 따라 기본 대비 더욱 많은 조직점을 축소할 수 있다.
일례로 원단 3장을 적층한 후 가장 하단에 배치된 원단을 제1직물층(100), 제1직물층 상단에 배치된 원단을 제2직물층(200), 제2직물층 상단에 배치된 원단을 제3직물층(300)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각 원단은 우측 가장자리부터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조직점들을 제1열, 제1열을 기준으로 하여 좌향으로 제2열 내지 제10열로 순차 구성됨을 가정한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접결방식은 제1,2,3직물층(100,200,300)을 모두 적층 정렬하고, 제1열, 제3열, 제5열 등 홀수 간격으로 접결한다. 이렇게 접결된 다중직 원단은 제2열, 제4열, 제6열 등 짝수 간격의 조직점들이 잔존하고, 잔존된 조직점으로 비말 등이 침투하여 각종 바이러스를 전파시킨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중직 원단은 제1직물층(100)과 제2직물층(200)의 접결점으로 제1열, 제3열, 제5열 등 홀수 간격으로 접결하고, 제2직물층과 제3직물을(300)의 접결점으로 제2열, 제4열, 제6열 등 짝수 간격으로 접결함에 따라 모든 조직점들을 차폐하여 비말 등이 침투할 수 없다.
더구나, 원단 자체적으로 통기성은 유지되어 외기와 내기의 유동 및 이에 대해 호흡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를 더 제안한다.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하여 외부적 요인들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는 제1직물층(100);과, 바이러스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직물층(200);과, 원단에 잔류하는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제3직물층(300);으로 구성되고, 생산자의 의도를 비롯하여 주변 환경과 사용목적에 따라 각 직물층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원단별로 경사의 밀도를 달리하여 제조함으로써 보온성과 보습성의 수준을 조절하여 하계용 또는 동계용 등 계절에 맞는 마스크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표를 포함한다.
아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계절별, 기능별로 구분한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 하계용 마스크(A TYPE)
- 제1직물층(100):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린넨으로 직조되어 땀흡수와 속건성, 항균, 항취, 소취 효과를 비롯하여 땀으로 인한 피부 접착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우수함.
- 제2직물층(200):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로 직조되어 수분 흡수 차단으로 바이러스 흡착/증식 억제, 비말 완벽 차단, 형태 안정과 경량성 등 착용감이 우수함.
- 제3직물층(300): 제2직물층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에스터 극세사와 나일론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어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필터 기능 지원, 구리 증착 코팅사의 살균 및 항균 기능 지원 등 바이러스의 흡입을 원천 차단함.
* 하계용 마스크(B TYPE)
- 제1직물층(100):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로 직조되어 수분 흡수 차단으로 바이러스 흡착/증식 억제, 비말 완벽 차단, 형태 안정과 경량성 등 착용감이 우수함.
- 제2직물층(200):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로 직조되어 수분 흡수 차단으로 바이러스 흡착/증식 억제, 비말 완벽 차단, 형태 안정과 경량성 등 착용감이 우수함.
- 제3직물층(300): 제2직물층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에스터 극세사와 나일론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어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필터 기능 지원, 구리 증착 코팅사의 살균 및 항균 기능 지원 등 바이러스의 흡입을 원천 차단함.
* 하계용 마스크(C TYPE)
- 제1직물층(100):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로 직조되어 수분 흡수 차단으로 바이러스 흡착/증식 억제, 비말 완벽 차단, 형태 안정과 경량성 등 착용감이 우수함.
- 제2직물층(200): 제1직물층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에스터 극세사와 나일론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어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필터 기능 지원, 구리 증착 코팅사의 살균 및 항균 기능 지원 등 중간층까지 침투한 바이러스를 제거함.
- 제3직물층(300):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로 직조되어 수분 흡수 차단으로 바이러스 흡착/증식 억제, 비말 완벽 차단, 형태 안정과 경량성 등 착용감이 우수함.
* 동계용 마스크(A TYPE)
- 제1직물층(100):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로 직조되어 수분 흡수 차단으로 바이러스 흡착/증식 억제, 비말 완벽 차단, 형태 안정과 경량성 등 착용감이 우수함.
- 제2직물층(200): 제1직물층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에스터 극세사로 직조되어 필터 기능을 지원함.
- - 제3직물층(300):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에스터 극세사와 나일론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어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필터 기능 지원, 구리 증착 코팅사의 살균 및 항균 기능 지원 등 바이러스의 흡입을 원천 차단함.
* 동계용 마스크(B TYPE)
- 제1직물층(100):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로 직조되어 수분 흡수 차단으로 바이러스 흡착/증식 억제, 비말 완벽 차단, 형태 안정과 경량성 등 착용감이 우수함.
- 제2직물층(200): 제1직물층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에스터 극세사와 나일론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어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필터 기능 지원, 구리 증착 코팅사의 살균 및 항균 기능 지원 등 중간층까지 침투한 바이러스를 제거함.
- 제3직물층(300): 제2직물층 상부에 적층되며, 폴리에스터 극세사로 직조되어 필터 기능 지원, 중량감 조절로 경량성 등 착용감이 우수함.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능성 마스크는 폴리프로필렌 방적사를 이용하여 다중직의 원단을 획득함에 따라 생산 효율성이 매우 우수함은 물론, 접결점의 선정을 기반으로 조직 간 간격이 최소화되어 통기성은 원활하게 보존하면서 비말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는 적극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가지의 원단으로 제작하여 마스크의 생산 단가가 매우 저렴하고, 특히 단순 세탁만으로 청결이 유지되어 반영구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경사와 위사에 대한 밀도의 차이를 두어 마스크의 보온 내지 보습 수준을 조절함에 따라 계절에 맞춰 착용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직물층
200. 제2직물층
300. 제3직물층

Claims (9)

  1.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원사로 직조된 직물을 수 겹 적층하되, 층별로 접결점(接結點) 위치에 차이를 두어 직물 간 접결조직점의 간극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결점(接結點)은 0.5 내지 1cm의 간격으로 접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 또는 린넨(linen) 또는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별 접결점이 불특정한 다중직 원단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린넨으로 직조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제1직물층(100);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제2직물층(200);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3직물층(3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
  6. 제4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제1직물층(100);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제2직물층(200);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3직물층(3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
  7. 제4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제1직물층(100);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2직물층(200);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제3직물층(3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
  8. 제4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1직물층(100);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제2직물층(200);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3직물층(3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
  9. 제4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방적사로 직조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1직물층(100);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 또는 나일론(Nylon) 구리 증착 코팅사로 직조되며 제1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살균 및 항균 기능이 부여되는 제2직물층(200);
    폴리에스터(Polyester) 극세사로 직조되며 제2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제3직물층(3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용 기능성 마스크.
KR1020200092568A 2020-07-24 2020-07-24 통기성이 부여된 다기능 마스크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 KR10222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68A KR102222638B1 (ko) 2020-07-24 2020-07-24 통기성이 부여된 다기능 마스크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68A KR102222638B1 (ko) 2020-07-24 2020-07-24 통기성이 부여된 다기능 마스크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438A true KR20200096438A (ko) 2020-08-12
KR102222638B1 KR102222638B1 (ko) 2021-03-05

Family

ID=7203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568A KR102222638B1 (ko) 2020-07-24 2020-07-24 통기성이 부여된 다기능 마스크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6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202A (zh) * 2021-05-07 2021-08-10 华中科技大学 一种多功能织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07459B1 (ko) * 2020-08-13 2021-09-30 류하나 마스크용 원단
KR102319112B1 (ko) 2020-08-31 2021-10-29 (주)한경컴퍼니 비말침투 방지용 마스크
KR20220031195A (ko) 2020-09-04 2022-03-11 (주)엘노아 발열 감지 기능을 갖는 마스크
EP3978664A1 (de) * 2020-10-01 2022-04-06 UTT Technische Textilien GmbH & Co. KG Maske zur nase und mund bedeckung
WO2022124683A1 (ko) * 2020-12-07 2022-06-16 (주)신화케이엔엘 살균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55A (ko) * 2000-08-14 2001-02-05 차영운 3중직 직물의 제직방법 및 3중직 직물
KR102091347B1 (ko) 2019-04-12 2020-03-19 이의용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
KR20200032887A (ko) 2018-09-19 2020-03-27 (주)레피오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55A (ko) * 2000-08-14 2001-02-05 차영운 3중직 직물의 제직방법 및 3중직 직물
KR20200032887A (ko) 2018-09-19 2020-03-27 (주)레피오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KR102091347B1 (ko) 2019-04-12 2020-03-19 이의용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459B1 (ko) * 2020-08-13 2021-09-30 류하나 마스크용 원단
KR102319112B1 (ko) 2020-08-31 2021-10-29 (주)한경컴퍼니 비말침투 방지용 마스크
KR20220031195A (ko) 2020-09-04 2022-03-11 (주)엘노아 발열 감지 기능을 갖는 마스크
EP3978664A1 (de) * 2020-10-01 2022-04-06 UTT Technische Textilien GmbH & Co. KG Maske zur nase und mund bedeckung
WO2022124683A1 (ko) * 2020-12-07 2022-06-16 (주)신화케이엔엘 살균 마스크
CN113235202A (zh) * 2021-05-07 2021-08-10 华中科技大学 一种多功能织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638B1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638B1 (ko) 통기성이 부여된 다기능 마스크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
USRE40314E1 (en) Velour fabric articles having flame retardance and improved dynamic insulation performance
EP2630880B1 (en) Layered heat-resistant protective garment
US20090298370A1 (en) Flame Retardant Fabrics
EP3368298A1 (en) Three-dimensional channeled fabric structure for garments and/or footwear
US20170173370A1 (en) Inner Lining Fabric With Moisture Management Properties
JP2002115106A (ja) 耐熱性防護服
CN211165652U (zh) 一种透气效果好的涤纶纤维面料
CN210851615U (zh) 一种防寒服面料及采用该面料制成的防寒服
CN205030547U (zh) 一种可降解、阻燃、抗菌型手术衣用无纺布
JP5478405B2 (ja) メッシュ生地およびメッシュ衣服
KR102223442B1 (ko) 항균 마스크 제조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항균 마스크
JP5755976B2 (ja) 医療用織物
CN207711541U (zh) 一种新型耐火防水沙发布
CN215473665U (zh) 一种疏水隔油牛津布
CN220685396U (zh) 一种持久抗菌吸排涤纶提花透气双面组织面料
CN215713691U (zh) 一种吸湿排汗功能提花面料
CN216733397U (zh) 一种具有抗菌效果的阻燃型纺织面料
CN216545070U (zh) 一种高透气性的抗菌面料结构
CN219856270U (zh) 一种防晒面料
CN214983764U (zh) 一种透气性能好的防辐射面料
CN217258845U (zh) 一种抗菌抗起球运动面料
CN215473530U (zh) 一种复合型增强耐磨的牛津布涂层面料
CN216183306U (zh) 一种服装制作用透气型复合面料
CN213441467U (zh) 纳米隔热手套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