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767A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5767A KR20200095767A KR1020190013544A KR20190013544A KR20200095767A KR 20200095767 A KR20200095767 A KR 20200095767A KR 1020190013544 A KR1020190013544 A KR 1020190013544A KR 20190013544 A KR20190013544 A KR 20190013544A KR 20200095767 A KR20200095767 A KR 202000957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ject recognition
- cameras
- images
- camera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6K9/0020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7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e use of two or more 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6—Image acquisition using multiple overlapping images; Image stitch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 H04N5/247—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
Claims (14)
-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물체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이미지를 병렬적으로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물체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체인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해 각 이미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병렬적으로 입력받는, 물체인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기 설정된 설치조건에 기초하여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증강처리하는, 물체인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카메라에서 물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증강처리하는, 물체인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기초로 상기 물체를 인식하는 기준인 물체의 특징을 학습하는, 물체인식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설치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물체의 특징간의 연결관계를 학습하는, 물체인식장치. - 물체인식장치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물체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이미지를 병렬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물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체인식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방법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해 각 이미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병렬적으로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체인식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방법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기 설정된 설치조건에 기초하여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증강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체인식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방법은,
제 1 카메라에서 물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증강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체인식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방법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기초로 상기 물체를 인식하는 기준인 물체의 특징을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체인식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방법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설치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물체의 특징간의 연결관계를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체인식방법. - 제 7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물체인식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7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3544A KR20200095767A (ko) | 2019-02-01 | 2019-02-01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KR1020210059985A KR20210056974A (ko) | 2019-02-01 | 2021-05-10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3544A KR20200095767A (ko) | 2019-02-01 | 2019-02-01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9985A Division KR20210056974A (ko) | 2019-02-01 | 2021-05-10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5767A true KR20200095767A (ko) | 2020-08-11 |
Family
ID=720484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3544A Ceased KR20200095767A (ko) | 2019-02-01 | 2019-02-01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KR1020210059985A Ceased KR20210056974A (ko) | 2019-02-01 | 2021-05-10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9985A Ceased KR20210056974A (ko) | 2019-02-01 | 2021-05-10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0009576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7576B1 (ko) | 2022-01-27 | 2022-10-21 | 국방과학연구소 | 다채널 적외선 영상 기반의 물체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WO2024090942A1 (ko) * | 2022-10-24 | 2024-05-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다수의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된 객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증강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WO2024204890A1 (ko) * | 2023-03-30 | 2024-10-03 |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로부터 신체 부위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
2019
- 2019-02-01 KR KR1020190013544A patent/KR20200095767A/ko not_active Ceased
-
2021
- 2021-05-10 KR KR1020210059985A patent/KR20210056974A/ko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6974A (ko) | 2021-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348815B (zh) |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以及非瞬时性存储介质 | |
TWI709919B (zh) | 車險圖像處理方法、裝置、伺服器及系統 | |
KR102486230B1 (ko) | 딥러닝을 이용한 신규 제품의 품질 검사 방법 및 시스템 | |
KR20210056974A (ko) |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 |
KR102206698B1 (ko) | 이상 검사 장치 및 이상 검사 방법 | |
TW202014985A (zh) | 缺陷檢測裝置及方法 | |
CN110136224A (zh) | 图像融合方法和设备 | |
KR102141302B1 (ko) | 회귀 딥러닝 모델 기반의 영상 객체 검출 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 |
CN111507362B (zh) | 神经网络的训练方法、基于神经网络的分类方法及其装置 | |
JP7481956B2 (ja) | 推論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装置 | |
KR20220101373A (ko) | 영상 기반 pcb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 |
US9536298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surface flaw of object | |
CN117853826B (zh) | 基于机器视觉的物体表面精度识别方法及相关设备 | |
KR102271418B1 (ko) | 제품 검사를 위한 자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
CN113436222A (zh) |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KR20220156432A (ko) | 딥러닝을 활용한 사진 기반 건축공사 하자 검출 시스템 | |
KR102252590B1 (ko) | 기계학습 환경에 기초한 테스트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00044227A (ko) | 이미지에 대한 기계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JP2020003837A (ja) | 識別装置および識別方法 | |
KR102273334B1 (ko) | 다 채널 이미지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학습 방법 및 장치 | |
KR20230156512A (ko) | 딥러닝 특징 추출 기반 제조품 결함 검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CN114119594A (zh) | 一种基于深度学习的油液渗漏检测方法和检测装置 | |
KR20230069396A (ko) |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영상으로부터 식물 잎을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 |
KR102252591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 |
US1208005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small objects in an image using a neural net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103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402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