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591B1 -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591B1
KR102252591B1 KR1020190062083A KR20190062083A KR102252591B1 KR 102252591 B1 KR102252591 B1 KR 102252591B1 KR 1020190062083 A KR1020190062083 A KR 1020190062083A KR 20190062083 A KR20190062083 A KR 20190062083A KR 102252591 B1 KR102252591 B1 KR 10225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output
pattern
photographed image
compens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243A (ko
Inventor
추연학
정재호
윤기욱
Original Assignee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온피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5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며,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OUTPUT OF A DISPLAY PANEL}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값 보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특정 값이 출력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가중치(weight)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정상동작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검사한다.
이때,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특정 값의 출력에 따라 정상동작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특정 값이 출력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중치를 조절하여 특정 값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값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물결무늬가 생기는 무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카메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 시, 카메라의 초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정확하게 맞추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함으로써 무아레 현상없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염됨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에서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0-2006-0067502 호에서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로스토크 보상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하나의 스캔 라인과 공통접지로 연결된 유기 EL 소자에서 가 영상신호의 밝기가 스캔 라인에 의한 공통접지의 제한전류 이상으로 턴온될 경우 인가전류가 제한됨에 따라 발생되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프레임 단위로 제한전류 이상을 요구하는 스캔 라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일정개수 이상일 경우 해당 프레임의 전체적인 데이터 라인 구동전류 레벨을 낮추어 인가함으로써 스캔 라인에 의한 공통접지의 제한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크로스토크 현상을 개선할 수 있을 뿐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무아레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디포커싱된 이미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값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딥러닝을 이용하여 디포커싱된 이미지의 값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값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보상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보상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출력보상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보상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출력보상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출력보상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무아레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디포커싱된 이미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값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딥러닝을 이용하여 디포커싱된 이미지의 값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값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패턴’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값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의 색, 밝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학습’은 인공지능(AI)의 한 분야로 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을 이용하는 딥러닝, 베이지언망(Bayesian Network)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인공신경망’은 생물 신경계의 고도의 정보처리기구를 공학적으로 모방해서 입력과 출력을 상호간에 상세히 관련지어 복잡한 제어를 하는 정보처리기술로 스위치나 각 센서 등에서 신호를 보내는 입력 레이어, 그 정보를 바탕으로 입력과 출력의 우선순위를 정하면서 상호관계를 조정하는 은닉 레이어, 이것을 바탕으로 필요한 제어량을 산출해서 출력하는 출력 레이어로 구성된 3종류의 뉴론(신경세포) 모델이 복수로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이하에서 설명할 출력보상장치(10)는 예를 들어 머신 비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에 결합 또는 연결되어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거나 측정할 수 있도록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머신 비전이란, 물체를 검사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사람이 육안으로 판단하던 기존의 방식을 대신하여, 카메라(시각 인식), CPU, SW를 통해 산업을 자동화 시켜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출력보상장치(10)는 머신 비전용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하여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인공신경망이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제 출력값을 추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촬영이미지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습된 인공신경망은 카메라를 통해 아웃포커스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로부터 블러(blur)된 패턴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을 추정하거나, 점, 선 또는 면을 피팅(fitting)하거나, 컬러를 구분하거나, 로봇 가이드를 위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등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검사, 측정 또는 판독하여 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어야 하는 출력값과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고, 정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고를 자동화시킬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출력보상장치(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장치(10)는,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입출력부(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단말(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부(110)는 후술할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부(110)는 카메라의 포커스를 제어하여 아웃 포커스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출력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출력보상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출력보상장치(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우선,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 및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촬영이미지상의 패턴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을 추정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과 패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한 촬영이미지상의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상에서 실제 출력되는 패턴에 대응되는 픽셀값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여 촬영이미지에서 곡선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픽셀값 간의 차이를 학습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실제 패턴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한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과 실제 패턴 간의 차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아웃 포커스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을 촬영할 수 있고, 각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패턴 간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유사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가 되어 각 촬영이미지 상의 블러(blur)된 패턴이 서로 구분되는 카메라의 아웃 포커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학습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에 대해 보상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blur)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테스트하기 위한 굵기 10픽셀의 선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반복되는 줄무늬 패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할 수 있고,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출력되는 줄무늬 패턴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여 줄무늬 사이에 색이 그라데이션으로 변하는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학습에 기초하여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실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촬영이미지 상에서 그라데이션으로 색이 변하는 패턴과 유사도가 높은 패턴에 대한 학습결과를 이용하여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에서 색의 강도가 최고점인 지점과 최저인 지점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각 지점의 중간위치를 기점으로 색을 추론하여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이 줄무늬 패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입력에 대해 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을 기준으로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에 의해 결정된 패턴과의 차이를 기초로 차이가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에 대한 출력값을 조정하기 위해 가중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줄이 100개인 줄무늬 패턴을 기준으로 촬영이미지 상에서 결정된 줄이 98개 줄무늬 패턴과 차이가 발생된 부분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픽셀에 대한 밝기, RGB값에 대한 가중치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출력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한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실제 출력되는 패턴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파일,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출력보상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에 도시된 출력보상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출력보상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할 수 있다(S2001).
예를 들어, 출력보상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상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할 수 있다.
도 4 는 촬영이미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출력보상장치(10)는 줄무늬 패턴을 입력값으로 디스플레이 패턴에 입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401)에 출력되는 줄무늬 패턴(402)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보상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2002).
예를 들어, 출력보상장치(10)는 S2001단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함으로써 촬영이미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blur)된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출력보상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401)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한 촬영이미지(403)로부터 아웃 포커스 촬영으로 인한 블러효과가 발생되어 줄무늬 패턴(402)에 그라데이션 효과가 발생한 그라데이션 패턴(404)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보상장치(10)는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할 수 있다(S2003).
이를 위해, 출력보상장치(10)는 S2002단계에서 촬영이미지로부터 획득된 패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실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출력보상장치(10)가 촬영이미지상의 패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된 실제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출력보상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 및 상기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도 3 은 출력보상장치(10)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 및 상기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출력보상장치(10)는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을 아웃포커스로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001).
예를 들어, 출력보상장치(10)는 출력보상장치(10)를 학습시키기 위한 기 설정된 학습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보상장치(10)는 S3001단계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로부터 블러된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S3002).
예를 들어, 출력보상장치(10)는 줄무늬 패턴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줄무늬 패턴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한 촬영이미지 상의 블러된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출력보상장치(10)는 S3002단계에서 획득된 촬영이미지상의 패턴 및 학습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S3003).
예를 들어, 출력보상장치(10)는 촬영이미지상의 패턴과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패턴을 매칭하여 패턴의 각 지점간의 픽셀 값의 차이를 기초로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과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도 5 는 패턴에서 값의 변화를 그래프형식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출력보상장치(10)는 촬영이미지 상의 제 1 값(501)에 대응되는 실제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제 1 값(502)를 결정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패턴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출력값(503)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한 패턴에 대한 값(504)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상술된 학습결과를 이용하여, 출력보상장치(10)는 S2002단계에서 획득된 촬영이미지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제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 은 촬영이미지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실제 패턴을 결정하는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출력보상장치(10)는 S2002단계에서 촬영이미지상의 패턴에 대한 값(601)를 이용하여 기 학습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촬영이미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실제 출력 패턴에 대한 값(602)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출력보상장치(10)는 결정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제 패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중치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보상장치(10)는 결정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제 패턴과 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을 비교하여 차이점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차이가 발생된 위치의 픽셀을 구성하는 값인 밝기, 휘도, RGB값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출력보상장치(10)는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601)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실제 패턴 값(602)과 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정상 패턴 값(603)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패턴 값(602)의 제 1 값(604)이 정상 패턴 값(603)의 제 1 값(605)과 상이한 경우, 출력보상장치(10)는 출력 값(604)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픽셀에 대한 값의 가중치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출력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한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실제 출력되는 패턴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3 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 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 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출력보상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출력보상장치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30: 메모리
140: 통신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 및 상기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고, 학습된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패턴을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턴 및 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정상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값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출력보상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패턴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된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픽셀값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실제 출력되는 패턴에 대응되는 픽셀값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출력보상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출력보상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패턴이 블러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학습된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턴 및 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정상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보상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패턴을 아웃 포커스로 촬영된 촬영이미지 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픽셀값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실제 출력되는 패턴에 대응되는 픽셀값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보상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7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출력보상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7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62083A 2019-05-27 2019-05-27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5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83A KR102252591B1 (ko) 2019-05-27 2019-05-27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83A KR102252591B1 (ko) 2019-05-27 2019-05-27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43A KR20200136243A (ko) 2020-12-07
KR102252591B1 true KR102252591B1 (ko) 2021-05-17

Family

ID=7379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083A KR102252591B1 (ko) 2019-05-27 2019-05-27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5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6765A1 (ja) 2017-02-09 2018-08-16 株式会社イクス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画像処理装置
KR101909772B1 (ko) 2011-08-29 2018-10-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스펙트럼에 기반한 측색적으로 교정된 다색 카메라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빠른 교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80B1 (ko) * 2013-10-31 2020-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얼룩 보상 방법 및 및 장치
WO2016009493A1 (ja) * 2014-07-15 2016-01-21 株式会社イクス 画像処理方法及び該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画像処理装置
KR102326165B1 (ko) * 2017-08-23 2021-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772B1 (ko) 2011-08-29 2018-10-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스펙트럼에 기반한 측색적으로 교정된 다색 카메라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빠른 교정
WO2018146765A1 (ja) 2017-02-09 2018-08-16 株式会社イクス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43A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286B1 (ko)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EP3025302B1 (en) System and method of correcting image artifacts
US9008415B2 (en) Automatic image adjustment parameter correction
US9905147B2 (en) Display device
US9070044B2 (en) Image adjustment
US10013764B2 (en) Local adaptive histogram equalization
KR20190139262A (ko) 차량 손실 평가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서버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102486230B1 (ko) 딥러닝을 이용한 신규 제품의 품질 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102141302B1 (ko) 회귀 딥러닝 모델 기반의 영상 객체 검출 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US202103580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imag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712744B2 (en) Image quality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KR20230038078A (ko) 표면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210056974A (ko) 멀티카메라를 이용한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252591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143957A (ko) 제품 검사를 위한 자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102273334B1 (ko) 다 채널 이미지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학습 방법 및 장치
KR102252590B1 (ko) 기계학습 환경에 기초한 테스트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08143B2 (en) Automated salience assessment of pixel anomalies
CN113949796B (zh) 用于图像捕获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JP2020003837A (ja) 識別装置および識別方法
US2021007396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merge image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230094429A (ko) 불법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KR20200063949A (ko) 물체 레이블을 활용한 Visual SLAM에서의 영상 특징점 강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