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693A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693A
KR20200095693A KR1020190013342A KR20190013342A KR20200095693A KR 20200095693 A KR20200095693 A KR 20200095693A KR 1020190013342 A KR1020190013342 A KR 1020190013342A KR 20190013342 A KR20190013342 A KR 20190013342A KR 20200095693 A KR20200095693 A KR 20200095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protrusion
fixed scroll
coupled
typ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639B1 (ko
Inventor
박태상
김주형
주상현
최이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6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매 누설을 방지하고 압축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상기 선회 스크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스크롤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거동 제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 {Scroll-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매 누설을 방지하고 압축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 스크롤이 고정되고, 이 고정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 등의 유체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기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스크롤형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유체의 흡입, 압축 및 토출 과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 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크롤형 압축기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에 의하여 구성 부품 사이에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축 방향 움직임과 반경 방향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축 방향으로 구성 부품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반경 방향으로는 거동을 제한하기 용이하지 않다. 그 중 하나의 방법은 가이드 핀을 이용하는 것이나, 이러한 가이드 핀과 그 상대물이 조립될 때 슬라이딩 공차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스크롤형 압축기는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가 변형되면 고정 스크롤과 탄성 플레이트 사이로 냉매가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압의 냉매인 CO2 냉매를 이용하는 압축기의 경우, 다른 냉매를 사용하는 압축기에 비하여 더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스크롤의 움직임이 고압에 의해 더 크게 발생하여 냉매가 누설되거나, 탄성 플레이트나 고정 스크롤이 마모되는 등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링 능력을 향상시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의 작동시 반경 방향의 고정 스크롤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상기 선회 스크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스크롤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거동 제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동 제한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 측에 접촉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 삼각형 형상 또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동 제한부는,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동 제한부는, CO2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에 단면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서, 상기 돌기부의 반대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2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고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 측에 접촉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 스크롤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홈은, CO2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탄성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돌기부에 의하여, 실링 능력이 보강되어 냉매가 누설될 수 있는 가능성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탄성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고정 스크롤의 홈에 결합되므로, 이러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함께 결합된 고정 스크롤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누설을 줄여 압축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탄성 플레이트의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돌기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돌기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돌기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100)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110)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싱(110) 내에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싱(110) 내에, 모터(200), 회전축(300), 서로 맞물리는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 그리고 회전축(300)이 설치되는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10)은 횡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에는 냉매의 출입을 위한 흡입구(111) 및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터(200)의 회전자(210)와 결합되는 회전축(30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선회 스크롤(600)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즉, 모터(200)는 회전축(300)을 통하여 선회 스크롤(600)이 선회 운동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200)의 일측에는 프레임(4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메인 프레임으로서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이 설치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레임(400)에는 고정 스크롤(500)이 결합되어 압축 공간(5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110)에는 이러한 압축 공간(501)로부터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실(101)을 포함하고, 토출구(112)는 이 토출실(101)에 구비되어, 토출실(101)의 냉매는 토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실(101)에서 오일은 유분리기(113)를 통해 냉매와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하측에 분리된 오일은 오일픽업을 통하여 흡입되어 회전하는 각 부분에 공급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흡입구(111) 측에는 별도의 인버터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인버터 공간에는 인버터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모터(200)는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220) 및 이 고정자(220)에 결합되어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230)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이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 공간에 설치되는 인버터부(120)는 모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20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00)의 일측에는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31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케이싱(100)의 내측 단부측에도 베어링(320)이 설치되어 회전축(30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고정 스크롤(500)과 프레임(400) 사이에는 고정 스크롤(500)에 결합되어 이 고정 스크롤(500)에 대하여 선회 운동을 하는 선회 스크롤(6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 스크롤(600)은 회전축(300)에 연결되며, 회전축(300)의 중심과 편심되게 결합되어 선회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스크롤(500)과 프레임(400) 사이에는 원형을 이루는 탄성 플레이트(80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800)는 고정 스크롤(500)에 대하여 선회 스크롤(6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고정 스크롤(500)과 프레임(400) 사이에는 고정 스크롤(500)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거동 제한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동 제한부(810)는, 탄성 플레이트(800)에 형성되어 고정 스크롤(500)의 테두리 측에 접촉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돌기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810)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거동 제한부(810)는, 고정 스크롤(500)의 테두리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돌기부(810)가 결합되는 홈(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동 제한부(810)는 돌기부(810)와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고, 또한 돌기부(810)와 홈(51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거동 제한부(810)와 돌기부(810)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거동 제한부(810)는 고정 스크롤(500)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뿐 아니라, 압축기에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거동 제한부(810)는 고정 스크롤(500)과 탄성 플레이트(800) 사이 및 탄성 플레이트(800)와 프레임(40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거동 제한부(810)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이와 같이, 스크롤형 압축기(100)에서는, 선회 스크롤(600)과 고정 스크롤(500)의 사이에 압축실(501)이 형성되어, 선회 스크롤(600)과 프레임(400)의 사이에 배압실(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압실(401) 내에는 선회 스크롤(600)의 선회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쇄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700)는 회전축(300)에 설치되고, 회전축(300)의 편심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거동 제한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때, 고정 스크롤(500)과 프레임(400) 사이에는 고정 스크롤(500)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거동 제한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동 제한부(810)는, 탄성 플레이트(800)에 형성되는 돌기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810)는 고정 스크롤(500)에 접촉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부(810)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기부(810)는 고정 스크롤(500)의 테두리 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810)는 실링 능력을 극대화하여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홈(510)에 돌기부(810)가 결합될 때 고정 스크롤(500)의 반경 방향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돌기부(810) 자체로도 고정 스크롤(500)의 반경 방향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고, 또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810)에 결합되는 홈(510)에 의하여 이러한 고정 스크롤(500)의 반경 방향의 거동을 제한하는 기능이나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810) 및 이 돌기부(810)와 결합되는 홈(510)은 고정 스크롤(500)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뿐 아니라, 고정 스크롤(500)과 탄성 플레이트(800) 사이 및 탄성 플레이트(800)와 프레임(40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기부(810)는,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 단면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 플레이트(800)의 일측 방향(일례로, 고정 스크롤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돌기부(8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탄성 플레이트(800)의 돌기부(810)의 반대측에는 함몰부(8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810)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스크롤(500)에 선회 스크롤(600)이 결합되며, 탄성 플레이트(800)는 프레임(400)과 선회 스크롤(600) 사이에 결합되는 상태가 되시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00)에는 회전자(210)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플레이트(800)는 원반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장착홀(8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홀(820)을 통하여 회전축(300)이 삽입될 수 있다.
장착홀(820)의 크기는 회전축(300)보다 크며, 선회 스크롤(600)의 대향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이러한 장착홀(820)의 크기는 프레임(400)의 대향면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플레이트(800)의 외측에는 고정 스크롤(500)과 결합되는 날개부(8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830)에는 결합홀(8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결합홀(831)을 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핀(410)에 의하여 탄성 플레이트(800)는 고정 스크롤(5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이드 핀(410)에 의한 탄성 플레이트(800)의 결합은 슬라이딩 공차에 의하여 서로 움직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냉매가 누설될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압의 냉매인 CO2 냉매를 이용하는 압축기의 경우, 다른 냉매를 사용하는 압축기에 비하여 더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스크롤(500)의 움직임이 고압에 의해 더 크게 발생하여 냉매가 누설되거나, 탄성 플레이트(800)나 고정 스크롤(500)이 마모되는 등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돌기부(810)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고정 스크롤(500)에는 이러한 돌기부(810)가 결합되는 홈(51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810)에 형성되는 돌기부(810)에 의하여, 실링 능력이 보강되어 냉매가 누설될 수 있는 가능성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기부(810)는 고정 스크롤(500)의 홈(510)에 결합되므로, 이러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함께 결합된 고정 스크롤(500)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누설을 줄여 압축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탄성 플레이트의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부(810)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810)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 플레이트(800)의 일부 단면이 돌기부(810)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플레이트(800)에서 돌기부(810)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함몰부(8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 형상을 이용하여 탄성 플레이트(800)에 효과적으로 돌기부(8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돌기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된 홈(510)과, 이 홈(510)에 결합되며 탄성 플레이트(800)에 형성된 제1 실시예에 의한 돌기부(812)의 형상을 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홈(510)은 고정 스크롤(500)의 테두리측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홈(510)에 결합되는 돌기부(812)의 형상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된 홈(510)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돌기부(812)는 이러한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홈(510)에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 의한 돌기부(812)의 형상은 리브 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돌기부(812)는 탄성 플레이트(80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812)의 반대측에는 이러한 압력을 가함에 따라 형성되는 역시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함몰부(812a)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812a)는 돌기부(812)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부(812)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812a)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돌기부(812)가 형성된 반대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사항과 공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돌기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된 홈(510)과, 이 홈(510)에 결합되며 탄성 플레이트(800)에 형성된 제2 실시예에 의한 돌기부(813)의 형상을 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홈(510)은 고정 스크롤(500)의 테두리측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홈(510)에 결합되는 돌기부(813)의 형상은 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원호 형상은 단면이 곡선형인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반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된 홈(510)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단면이 원호 형상인 돌기부(813)는 폭이 홈(510)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홈(5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실시예에 의한 돌기부(813)의 형상은 리브 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돌기부(813)는 탄성 플레이트(80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813)의 반대측에는 이러한 압력을 가함에 따라 형성되는 역시 원호 형상의 함몰부(813a)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813a)는 돌기부(813)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부(813)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813a)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돌기부(813)가 형성된 반대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사항과 공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돌기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된 홈(510)과, 이 홈(510)에 결합되며 탄성 플레이트(800)에 형성된 제3 실시예에 의한 돌기부(814)의 형상을 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홈(510)은 고정 스크롤(500)의 테두리측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홈(510)에 결합되는 돌기부(814)의 형상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삼각형 형상은 경우에 따라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된 홈(510)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돌기부(814)는 폭이 홈(510)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홈(5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실시예에 의한 돌기부(814)의 형상은 리브 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돌기부(814)는 탄성 플레이트(80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814)의 반대측에는 이러한 압력을 가함에 따라 형성되는 역시 삼각형 형상의 함몰부(814a)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814a)는 돌기부(814)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부(814)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814a)는 탄성 플레이트(800)의 돌기부(814)가 형성된 반대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사항과 공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압축기 110: 케이싱
120: 인버터부
200: 모터 210: 회전자
220: 고정자 230: 절연체
300: 회전축 400: 프레임
500: 고정 스크롤 600: 선회 스크롤
700: 밸런스 웨이트 800: 탄성 플레이트
810, 812, 813, 814: 거동 제한부, 돌기부
811, 812a, 813a, 814a: 함몰부

Claims (15)

  1.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상기 선회 스크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스크롤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거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동 제한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 측에 접촉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 삼각형 형상 또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동 제한부는,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동 제한부는, CO2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에 단면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서, 상기 돌기부의 반대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9.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고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 측에 접촉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 스크롤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홈은, CO2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 삼각형 형상 또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에 단면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서, 상기 돌기부의 반대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KR1020190013342A 2019-02-01 2019-02-01 스크롤형 압축기 KR102174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342A KR102174639B1 (ko) 2019-02-01 2019-02-01 스크롤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342A KR102174639B1 (ko) 2019-02-01 2019-02-01 스크롤형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693A true KR20200095693A (ko) 2020-08-11
KR102174639B1 KR102174639B1 (ko) 2020-11-05

Family

ID=7204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342A KR102174639B1 (ko) 2019-02-01 2019-02-01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7501A1 (en) * 2021-03-25 2022-09-29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ctric compres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083A (ko) * 1994-10-04 1996-05-22 제이 엘. 채스킨 페놀 타르 폐기물의 환원 방법
KR20180117470A (ko) * 2017-04-19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083A (ko) * 1994-10-04 1996-05-22 제이 엘. 채스킨 페놀 타르 폐기물의 환원 방법
KR20180117470A (ko) * 2017-04-19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7501A1 (en) * 2021-03-25 2022-09-29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ctric compressor
US11773850B2 (en) * 2021-03-25 2023-10-03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ctric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639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9463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20130121865A1 (en) Scroll compressor
JP2005299653A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及びそれを備えた回転式圧縮機のガス漏れ防止装置
KR101335427B1 (ko) 스크롤 압축기
KR20020002874A (ko) 스크롤 압축기의 반경방향 순응구조
KR102174639B1 (ko) 스크롤형 압축기
US11421688B2 (en) Vane compressor with elastic member protruding into the cylinder
CN111749886B (zh) 涡旋型压缩机
JP2003286979A (ja) ヘリカルブレ−ド式圧縮機
US20200032798A1 (en) Motor-operated compressor
WO2017124999A1 (zh) 密封组件和包括该密封组件的涡旋压缩机
KR20200132421A (ko) 스크롤형 압축기
KR20200031868A (ko) 스크롤형 압축기
KR20200117703A (ko) 스크롤형 압축기
JPH08165994A (ja) スクロール型流体装置
US20240151228A1 (en) Scroll compressor
WO2003083308A1 (fr) Compresseur rotatif
KR102232427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2003286978A (ja) ヘリカルブレ−ド式ポンプ
KR102330158B1 (ko) 스크롤 압축기
WO2023042328A1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KR100393565B1 (ko) 비대칭 스크롤 압축기
JP2005016492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05061304A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KR20200069510A (ko) 스크롤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