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686A -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686A
KR20200095686A KR1020190013315A KR20190013315A KR20200095686A KR 20200095686 A KR20200095686 A KR 20200095686A KR 1020190013315 A KR1020190013315 A KR 1020190013315A KR 20190013315 A KR20190013315 A KR 20190013315A KR 20200095686 A KR20200095686 A KR 20200095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biometric information
identity verification
verification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Original Assignee
(주) 다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산소프트 filed Critical (주) 다산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01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686A/ko
Publication of KR2020009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철저한 신원확인을 할 수 있으며, 지원금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Identity ve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철저한 신원확인을 할 수 있으며, 지원금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신원 확인을 위해서 기본적으로는 신분증을 활용하고 있으며, 신분증 이외에 지문인식 시스템이나, 홍채인식 시스템 등등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가장 보편적으로는 신분증에 사진을 부착하여 그 사진과 본인을 대조 확인하는 것이 전통적인 신분 확인 방법이었으며, 지문인식 시스템이나 홍채인식시스템은 고가의 인식시스템과 인식 단말기들을 설치해야하며, 일부 특정한 신분확인 용도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지문인식시스템이나 홍채인식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시스템구축비용과 유지관리비용 및 인식율과 인식시간 등등의 장애요인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기 때문에 이들 시스템을 실제로 적용하는 분야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였다.
한편, 국가 등에서 복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는데, 실제 지원금의 수령 조건을 회피하여 부정 수급하는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인력, 시간, 예산 부족 등의 문제로 부정수급을 근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작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지원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예산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부정 수급을 관리하는 지역 담당자가 요양원 등 시설에 방문하여 지원금과 관련된 인원들을 확인하더라도 극히 일시적이고, 형식적인 신원 검증에 그치기 때문에 지원금이 어느 정도 부당하게 지급되었는지 파악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간편하면서도 정확한 신원 확인을 통해 정당하게 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선행특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5501호의 '신원확인을 제공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9659호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통한 신원 확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8427호의 '사진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 등이 이미 공개되어 있으나,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에 대해서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55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965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84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철저한 신원확인을 할 수 있으며, 지원금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은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신원확인 대상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자 단말과;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웹서버와;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와; 상기 신원검증서버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 또는 관리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에 있어서, 검증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원금 관리서버는 상기 검증정보를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의 신원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생체 정보를 수집한 시간 및 위치가 미리 설정한 시간 및 위치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지원금 지급 여부 및 지원금 내역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에 있어서, 신원검증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1차 생체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한 결과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에 다시 신원확인 대상자의 2차 생체 정보를 수집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에 있어서, 1차 및 2차 생체 정보는 지문인식, 홍채인식, 얼굴인식, 음성인식, 전자서명, 정맥인식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 본인의 실시간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웹서버와;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웹서버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와; 상기 신원검증서버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검증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생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GPS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은 신원확인 대상자의 얼굴인식을 위한 영상을 제공하는 폐쇄회로TV(CCTV)와; 상기 폐쇄회로TV(CCTV)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웹서버와; 신원확인 대상자의 사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영상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진을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와; 상기 신원검증서버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 또는 관리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은,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신원확인 대상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에서 폐쇄회로TV(CCTV)의 영상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진을 대비한 결과, 신원확인이 되지 않거나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신원검증서버에서는 상기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신원확인 대상자의 신원확인 대상자의 2차 생체 정보를 수집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철저한 신원확인을 할 수 있으며, 지원금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의 제3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은 국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에서 복지, 교육 등 다양한 목적으로 단체 또는 개인에게 지원금을 지급하는 경우, 지원금이 정당하게 집행되도록 검증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지원금은 보조금, 공공근로의 임금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크게 지원금을 수령하는 자가 단체인 경우와, 개인인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요양 병원이나 유치원과 같은 단체인 경우와, 공공근로를 하는 개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양 병원, 유치원 등의 단체의 경우 입원한 환자/요양사 또는 유치원 교사의 수에 비례하여 정부에서 지원금이 지급되는데, 실제 입원하지 않은 환자, 근무하지 않는 요양사/교사를 허위 신고하거나 행정기관에서 감사하는 때에만 환자나 교사를 대체하거나 근무하는 것처럼 하는 등의 부정 수급이 발생하곤 한다.
이러한 부정 수급은 이를 관리, 감독하는 관할 행정기관의 관리자(예를 들어 동사무소의 사회복지 담당자 등)의 인력과, 현장 방문에 따른 시간 등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었으나, 본 발명의 신원 검증시스템을 실행하게 되면 원천적으로 지원금의 부정 수급을 예방 및 근절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낭비되던 예산을 지원금을 필요한 계층에 지급함으로써 복지 사회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은 공공근로와 같이 개인에게 임금 형태로 지급하는 지원금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단체와 개인을 이하에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체에 대한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100)은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121)이 설치되어 신원확인 대상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자 단말(120)과,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웹서버(110)와,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1), 상기 웹서버(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32)와, 상기 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133)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130)와, 상기 신원검증서버(130)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 또는 관리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웹서버는 신원 검증시스템의 내용을 안내하고, 지원금 지금과 위반에 대한 규정을 안내하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국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포털 사이트에서 운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수집한 생체 정보는 직접 신원검증서버로 제공되지 않고 웹서버에 1차 저장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신원검증서버의 운영 주체가 예를 들어 시청, 구청 등의 행정기관인 경우 신원검증서버의 보안을 위한 방화벽으로 인해 관리자 단말(또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에서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 관리자 단말과 신원검증서버를 중계하는 웹서버를 두고, 신원검증서버에서 웹서버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원검증서버의 경우에도 지원금 관리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검증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지원금 관리서버에서 신원검증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검증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검증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웹서버 또는 스마트폰의 앱스토어 등에 접속하여 관리자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동사무소와 같은 행정기관의 공무원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 이동 단말기,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지문인식, 홍채인식, 얼굴인식, 음성인식, 전자서명, 정맥인식 등의 생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서, 관리자 단말이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마이크, 인식기 등과 연동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얼굴인식을 선택한 다음, 신원확인 대상자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면, 촬영한 사진과 함께 촬영한 시간, 장소가 신원검증서버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신원검증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생체 정보가 저장되는데, 이때 저장되는 생체 정보는 신원확인 대상자가 제출한 자료 또는 국가에서 관리하는 지문, 사진 등의 자료에 대하여 신원확인 대상자의 동의를 받아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신원검증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1차 생체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한 결과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에 다시 신원확인 대상자의 2차 생체 정보를 수집,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2차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최초 1차 생체 정보 때와 달리, 다른 생체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고, 복수의 생체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생체 정보를 얼굴인식을 위한 사진 촬영으로 설정한 경우에도 2차 생체 정보 요청시에는 관리자 단말에 지문을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얼굴인식을 위한 사진과 함께 지문을 동시에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생체 정보를 조작하거나 고의로 잘못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부정한 목적이 있는 경우, 강화된 신원 검증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지원금은 부정 수급할 수 없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예방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상기 지원금 관리서버는 지원금과 관련된 예산을 직,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여성가정부, 교육부 등의 행정기관이 운영 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치원 교사에 지급되는 지원금과 관련하여 시군구 특정 지역의 신원검증서버에서는 지역 관할에 속한 다수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각 지역의 다수의 신원검증서버에서 생성한 검증정보는 교육부에서 관리하는 지원금 관리서버로 통합되기 때문에 각 지역 특성에 맞고 통합적인 지원금 관리가 가능해지며, 각종 통계 자료를 산출하여 관련 제도 개선 자료로 활용하기가 용이해진다.
상기 지원금 관리서버는 상기 검증정보를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의 신원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생체 정보를 수집한 시간 및 위치가 미리 설정한 시간 및 위치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지원금 지급 여부 및 지원금 내역을 산출하게 된다.
즉, 관리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생체 정보 중 지문, 얼굴 사진을 통한 신원 확인은 신원검증서버에서 수행하고,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의 적합성은 지원금 관리서버에서 수행한다.
상기 지원금 관리서버는 상기 검증정보를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의 신원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생체 정보를 수집한 시간 및 위치가 미리 설정한 시간 및 위치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지원금 지급 여부 및 지원금 내역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시간, 위치는 지원금의 지급이 정당한지 확인할 수 조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요양원의 환자를 기준으로 지원금이 책정되어 있고, 각 환자가 입원하기 때문에 요양원에 지급하는 지원금의 경우,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은 1차 09~12시, 2차 18~21시로 설정하고, 촬영 장소는 요양원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신원확인 대상자의 얼굴 사진의 경우 개인 사진은 물론, 여러 명이 함께 촬영한 사진도 가능하다.
만일, 촬영 장소가 요양원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촬영된 경우에는 신원검증서버에서는 신원확인 대상자인 해당 환자가 요양원에 입원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요양원에 입원하지 않은 사람을 요양원 환자인 것으로 지원금을 신청한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서 직접 사진을 촬영하지 못하고, 관리자도 생체 정보를 변경하지 때문에 잘못된 지원금 지급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신원확인 대상자인 해당 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치료를 받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관련 증빙 서류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하여 정당한 사유가 있었음을 입증함으로써, 지원금이 삭감되는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원 검증시스템은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서버(110)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121)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21)을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 본인의 실시간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120a)과,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31),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32)와, 상기 사용자 단말(120a)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133)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130)와, 상기 신원검증서버(130)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 하나로 여러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과 달리, 사용자 단말을 채택하여 신원확인 대상자 본인의 생체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장소에서 입력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장소는 해당 관할 지역의 공공근로 사업 담당자 등이 신원검증서버 또는 지원금 관리서버에 미리 입력하여 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다수의 인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신원확인 대상자 본인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을 활용하는 신원확인 대상자에 대해서는 지원금 관리서버에서 모바일 지역 상품권을 해당 사용자 단말에 지급하는 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검증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생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GPS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학교 주변에서 공공근로를 신청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경우, 신청한 사람이 미리 정해진 시간과 학교 주변에서 근무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원확인을 위한 생체 정보와, 실시간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입력하게 된다.
실시간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되는데, 위의 예에서 학교 주변에서 공공근로가 이루어지는 경우, 전자지도 등에 공공근로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구획하게 되면, 실시간 위치 정보와 대비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에서 근무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체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수집한 생체 정보만을 채택하기 때문에 위조, 변조가 불가능하고, 수집한 생체 정보는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 및 시간 정보가 함께 저장되기 때문에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신원확인 대상자는 근무 장소에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다음 1차 생체 정보(예를 들어, 사진)를 입력하고, 근무가 끝나는 시간에 2차 생체 정보(예를 들어, 사진)를 입력하게 되는데, 그 근무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에서는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즉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가 동의한 시간(1차 사진 입력~2차 사진 입력)에만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다른 용도로 개인의 위치 정보 등이 활용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의 제3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원 검증시스템은 신원확인 대상자의 얼굴인식을 위한 영상을 제공하는 폐쇄회로TV(CCTV)(120b)와, 상기 폐쇄회로TV(CCTV)(120b)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웹서버(110)와, 신원확인 대상자의 사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1), 상기 웹서버(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32)와, 상기 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영상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진을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133)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130)와, 상기 신원검증서버(130)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 또는 관리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폐쇄회로TV(CCTV)(120b)는 예를 들어 요양원, 유치원 등 건물 내에 설치된 것일 수도 있고, 공원, 도로 등에 설치된 것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통신 수단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직접 웹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고, 폐쇄회로TV(CCTV)를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 행정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영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신원확인 대상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증부에서 폐쇄회로TV(CCTV)의 영상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진을 대비한 결과, 신원확인이 되지 않거나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신원검증서버에서는 상기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신원확인 대상자의 신원확인 대상자의 2차 생체 정보를 수집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회로TV(CCTV) 단독으로, 관리자 단말와, 사용자 단말과 함께 복합적으로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신원 검증시스템
110 : 웹서버
120 : 관리자 단말
120a : 사용자 단말
120b : 폐쇄회로TV(CCTV)
121 : 어플리케이션
130 : 신원검증서버
131 : 데이터베이스
132 : 통신부
133 : 검증부
140 : 지원금 관리서버

Claims (7)

  1.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신원확인 대상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자 단말과;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웹서버와;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와;
    상기 신원검증서버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 또는 관리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원금 관리서버는 상기 검증정보를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의 신원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생체 정보를 수집한 시간 및 위치가 미리 설정한 시간 및 위치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지원금 지급 여부 및 지원금 내역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검증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1차 생체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한 결과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에 다시 신원확인 대상자의 2차 생체 정보를 수집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생체 정보는 지문인식, 홍채인식, 얼굴인식, 음성인식, 전자서명, 정맥인식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5.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원확인 대상자 본인의 실시간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체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웹서버와;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웹서버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와;
    상기 신원검증서버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검증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생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GPS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6. 신원확인 대상자의 얼굴인식을 위한 영상을 제공하는 폐쇄회로TV(CCTV)와;
    상기 폐쇄회로TV(CCTV)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웹서버와;
    신원확인 대상자의 사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신원확인 대상자의 영상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진을 대비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신원검증서버와;
    상기 신원검증서버로부터 신원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신원확인 대상자 또는 관리자에게 지급할 지원금을 산출하는 지원금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신원확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신원확인 대상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에서 폐쇄회로TV(CCTV)의 영상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진을 대비한 결과, 신원확인이 되지 않거나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신원검증서버에서는 상기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신원확인 대상자의 신원확인 대상자의 2차 생체 정보를 수집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KR1020190013315A 2019-02-01 2019-02-01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KR20200095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315A KR20200095686A (ko) 2019-02-01 2019-02-01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315A KR20200095686A (ko) 2019-02-01 2019-02-01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53A Division KR20200096186A (ko) 2020-07-27 2020-07-27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686A true KR20200095686A (ko) 2020-08-11

Family

ID=7204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315A KR20200095686A (ko) 2019-02-01 2019-02-01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6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7464A (zh) * 2020-08-13 2021-04-02 中国软件与技术服务股份有限公司 基于身份识别的信息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659B1 (ko) 2000-05-04 2003-04-11 정상원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통한 신원 확인 방법
KR20050098427A (ko) 2004-04-07 2005-10-12 (주)케이스카이비 사진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05501B1 (ko) 2003-06-17 2008-02-20 유나이티드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즈 아이디, 인코포레이티드 신원확인을 제공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개인을추적하여 식별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659B1 (ko) 2000-05-04 2003-04-11 정상원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통한 신원 확인 방법
KR100805501B1 (ko) 2003-06-17 2008-02-20 유나이티드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즈 아이디, 인코포레이티드 신원확인을 제공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개인을추적하여 식별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
KR20050098427A (ko) 2004-04-07 2005-10-12 (주)케이스카이비 사진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7464A (zh) * 2020-08-13 2021-04-02 中国软件与技术服务股份有限公司 基于身份识别的信息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36318B (zh) 一种不动产登记系统及不动产登记的方法
US11456876B2 (en) Virtual credentials and licenses
CN110462658A (zh) 用于提供数字身份记录以核实用户的身份的系统和方法
EP2677465A1 (en) Validation system for confirming the registration and/or controlling access by physical persons through biometric facial recognition
CA28965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users of network computer systems based on non-credentialed information
KR101671735B1 (ko) 온라인 인증을 통한 개인정보 서비스 제공시스템
US11423133B2 (en) Managing travel documents
KR102392036B1 (ko) 부동산 사기 거래 방지 시스템
US20210165862A1 (en) Method and a system to locally store and authenticate a data of a user
KR101690736B1 (ko) 국가 행정업무 통합처리형 부동산 전자거래 장치 및 방법
KR20070080423A (ko) 보험급여 원격 자동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101365371B1 (ko) 역량기반 취업 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49751B1 (ko) 상수도 운영 및 관리 시스템
KR20200095686A (ko)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CZ2015472A3 (cs) Způsob navazování chráněné elektronické komunikace, bezpečného přenášení a zpracování informací mezi třemi a více subjekty
KR20160031446A (ko) 보안잠금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기존고객 간편 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존고객 간편 대출 모바일 서비스방법
US20070067330A1 (en) Security method for verifying and tracking service personnel
US11928201B2 (en) Mobile credential with online/offline delivery
KR20200096186A (ko)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KR102019730B1 (ko) 온라인 보험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93611A (ko) 주주총회 운영 서버 및 방법
KR101796982B1 (ko) 인증 체계 및 유통 체계 기반의 개인 정보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2007431B1 (ko) 자동이체 등록 신청정보의 진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N114697114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Alliance Privacy and Secure Identification Systems: The role of smart cards as a privacy-enablin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