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131A -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 Google Patents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131A
KR20200095131A KR1020190012846A KR20190012846A KR20200095131A KR 20200095131 A KR20200095131 A KR 20200095131A KR 1020190012846 A KR1020190012846 A KR 1020190012846A KR 20190012846 A KR20190012846 A KR 20190012846A KR 20200095131 A KR20200095131 A KR 2020009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lower housing
upper housing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형
홍석현
남경민
최재웅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남경민
최재웅
홍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남경민, 최재웅, 홍석현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2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131A/ko
Publication of KR2020009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이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고, LED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함으로써 후방 차량에게 경고신호를 줄 수 있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반구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량체가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뿔 형상의 상부 하우징;과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램프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ROLY-POLY TYPE TRIPOD}
본 발명은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이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고, LED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함으로써 후방 차량에게 경고신호를 줄 수 있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직, 간접적으로 교통사고 소식을 접하게 된다. 통계에 따르면 2017년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4185명이고 그 중 2차 사고에 의한 사망자는 100명에 육박한다. 2차 사고란 이미 교통사고가 났거나 고장이나 다른 이유 등으로 정차한 차량을 뒤따라오던 또 다른 차량이 추돌해 추가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2차 사고는 일반 사고에 비교하여 사고건수는 3.3%이지만 사망자 발생 비율은 17.1%수준이고 치사율은 58.9%로 11.3%의 치사율의 일반 사고와 비교했을 때 5배 이상이다.
이러한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모든 운전자는 법적으로 안전삼각대를 소지하여야하고 사고 시, 삼각대를 설치해야 할 의무가 있다.
종래, 도로안전 삼각대와 관련한 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0-1596731호에서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829390호에서는 차량용 안전삼각대에 LED 조명을 설치하여 차량의 사고 및 고장 시에 후방의 차량들이 이를 미리 경고함으로써 2차 사고를 방지하고, 후방의 차량에게 방향지시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량통제가 용이한 차량용 LED 안전삼각대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942317호는 신호봉겸용 트렁크 내부 부착형 안전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관절부가 형성되어 삼각형상으로 접었다가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후면에 다수개의 LED 램프와 각 LDE 램프의 전방에 확산렌즈를 형성하여 빛이 멀리까지 전달되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신호봉겸용 트렁크 내부 부착형 안전삼각대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삼각대는 설치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설치했다고 하더라도 고가도로의 경우, 강풍이 불면 넘어지기 쉽다. 또한, 야간에 기존 안전 삼각대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빛이 조사되어야 성능을 발휘하는데 안전거리인 200m 뒤에서는 제대로 식별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자는 종래 사고방지 삼각대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풍이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고, LED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함으로써 후방 차량에게 경고신호를 줄 수 있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96731호(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국내등록특허 제10-1829390호(차량용 LED 안전삼각대) 국내등록특허 제10-1942317호(신호봉겸용 트렁크 내부 부착형 안전삼각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풍이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고, LED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함으로써 후방 차량에게 경고신호를 줄 수 있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반구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량체가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뿔 형상의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램프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실리콘 LED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상기 하부 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싱부의 조도값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발광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외부에 안전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에 의하면, 강풍이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고, LED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함으로써 후방 차량에게 경고신호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의 (a)는 제조된 원뿔형상의 상부 하우징, (b)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경첩결합한 모습, (c)는 실리콘 라이닝처리가 된 하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의 (a)는 하부 하우징에 구비된 건전지와 스위치의 연결모습, (b)는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된 하부 하우징, (c)는 실리콘 LED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구조를 갖는 사고방지 삼각대가 점등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구조를 갖는 사고방지 삼각대, 시판 삼각대의 야간 시인성을 비교한 사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이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고, LED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함으로써 후방 차량에게 경고신호를 줄 수 있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반구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량체가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뿔 형상의 상부 하우징(200)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램프부(210)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구된 반구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량체(미도시)가 구비되는 오뚝이 구조를 가져 바람 등의 공기유동의 불가피한 요인에 의해 쓰러지더라도 스스로 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00)은 외주면에 고휘도 반사지가 접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를 마주보고 오는 차량의 헤드램프 불빛을 재귀반사시켜 식별력을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00)에는 전원공급부(300)가 구비되어 상술될 램프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상가 하부 하우징(10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무게중심을 잡는 중량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00) 및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외부면에는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310)가 구비된다.
상부 하우징(200)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00)은 끼움결합, 경첩을 이용한 결합방법을 이용하여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00) 결합시, 형성되는 빈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결합부위에 실리콘으로 라이닝처리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00)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구성 및 가공성이 좋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타이렌(ABS)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하우징(100)은 전체 또는 도로 바닥과 닿는 부분을 탄성 및 완충재질로 형성하여, 사고 발생시,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를 던졌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램프부(210)가 형성되어 사고 알림 기능을 갖게 된다.
이때, 램프부(220)는 다수 개로 램프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충격에 대비하여 실리콘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램프부(210)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부(210)는 다수개의 램프를 구비하고, 화살표, 삼각형 패턴, 문구 등을 표시하기 위해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상기 하부 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센싱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상기 조도센싱부의 조도값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발광세기 및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조도센싱부에서 측정한 조도가 기설정된 값 보다 낮게 센싱될 경우 상기 램프부의 발광세기를 강하게 하거나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깜빡거려 식별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외부에 안전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는 스위치(310)의 ON/OFF에 의해 작동되거나, 조도 센싱부와 연동되어 안전경고음의 출력하거나 출력 크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조도센싱부에서 측정한 조도가 기설정된 값 보다 낮게 센싱될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를 작동시키거나, 음성 출력부의 소리 크기를 더욱 높여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오뚝이 삼각대의 제조
하부 및 상부 하우징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선정하고, 지름 25cm를 갖는 반구형의 하부 하우징과 지름 25cm, 높이 17.5cm 를 갖는 원뿔 형상의 상부 하우징을 제작하였다.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은 경첩 결합되도록 경첩을 형성하였다.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 결합시, 형성되는 빈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하우징에 실리콘으로 라이닝처리를 하였다.
도 2의 (a)는 제조된 원뿔형상의 상부 하우징, (b)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경첩결합한 모습, (c)는 실리콘 라이닝처리가 된 하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하부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지름 2cm의 스위치 연결홀을 형성하여, 하우 하우징의 외부에 스위치를 구비하고, 하부 하우징 내부의 건전지와 스위치를 연결하였다. 하부 하우징의 외부에 고휘도 반사지를 부착하여 재귀반사를 통해 상대방 운전자에게 식별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30cm의 실리콘 LED를 나선형으로 감아 스위치와 연결시켰다.
도 3의 (a)는 하부 하우징에 구비된 건전지와 스위치의 연결모습, (b)는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된 하부 하우징, (c)는 실리콘 LED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을 보여준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구조를 갖는 사고방지 삼각대가 점등된 모습을 보여준다.
2. 야간 시인성 확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구조를 갖는 사고방지 삼각대, 시판 삼각대의 야간 시인성을 비교한 사진으로 (a)는 50m, (b)는 100m 및 (c)는 200m 거리에서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구조를 갖는 사고방지 삼각대는 왼쪽에 배치되었고, 시판 삼각대는 오른쪽에 배치되었다. 그 결과, 시판 삼각대 보다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가 야간 시인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부 하우징
200 : 상부 하우징
210 : 램프부
300 : 전원공급부
310 : 스위치

Claims (4)

  1.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에 있어서,
    반구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량체가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뿔 형상의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램프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실리콘 LED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상기 하부 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싱부의 조도값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발광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는
    외부에 안전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KR1020190012846A 2019-01-31 2019-01-31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KR20200095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46A KR20200095131A (ko) 2019-01-31 2019-01-31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46A KR20200095131A (ko) 2019-01-31 2019-01-31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31A true KR20200095131A (ko) 2020-08-10

Family

ID=7204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46A KR20200095131A (ko) 2019-01-31 2019-01-31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13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731B1 (ko) 2015-08-05 2016-02-23 투툼 주식회사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101829390B1 (ko) 2016-10-26 2018-02-19 양성목 차량용 led 안전삼각대
KR101942317B1 (ko) 2017-10-13 2019-01-25 이상덕 신호봉겸용 트렁크 내부 부착형 안전삼각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731B1 (ko) 2015-08-05 2016-02-23 투툼 주식회사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101829390B1 (ko) 2016-10-26 2018-02-19 양성목 차량용 led 안전삼각대
KR101942317B1 (ko) 2017-10-13 2019-01-25 이상덕 신호봉겸용 트렁크 내부 부착형 안전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US6422714B1 (en) Illuminated, solar powered, vehicle activated, traffic sign
US9603341B2 (en) Dog leash having intelligent lighting to improve safety
ES2675370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para una bicicleta
BR102017013994B1 (pt) Dispositivo de controle de sinal de alerta para zonas cegas quando veículos fazem uma mudança de pista
JP6639374B2 (ja) 逆走警告装置
KR20230074464A (ko) 복합기능이 구비되는 볼라드
US6939021B2 (en) Triangular light assembly with flashing and non-flashing lights
CN201130502Y (zh) 车用太阳能警示牌
KR101388725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20200095131A (ko) 오뚝이구조의 사고방지 삼각대
CN108430829B (zh) 信号警示灯
KR101157800B1 (ko) 설치 용이성과 시인성이 향상된 교통안전표지판
KR100799585B1 (ko) 보행자 보호용 조명장치
US20030033739A1 (en) Safety lighting device
CN210466738U (zh) 一种交通信号灯投射警示装置
KR100720061B1 (ko) 경고등
KR200461262Y1 (ko)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JP2009187340A (ja) 縁石及び仕切り側面補助信号灯。
JP2009235860A (ja) 自発光式視線誘導装置
KR102152934B1 (ko) 교통안전 표시구
JP2002275839A (ja) 内部発光保安用表示具
US20090022547A1 (en) Roadside barrier marker structure
JP2001338778A (ja) 照明装置
KR102577598B1 (ko) 눈부심 방지가 가능한 바닥 신호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