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120A - 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120A
KR20200095120A KR1020190012821A KR20190012821A KR20200095120A KR 20200095120 A KR20200095120 A KR 20200095120A KR 1020190012821 A KR1020190012821 A KR 1020190012821A KR 20190012821 A KR20190012821 A KR 20190012821A KR 20200095120 A KR20200095120 A KR 20200095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olidifying agent
pile construction
stirring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9389B1 (en
Inventor
백예지
백기원
Original Assignee
백예지
백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예지, 백기원 filed Critical 백예지
Priority to KR102019001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389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a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comprises: a rod having a rod shape, a hollow space formed therein to move a solidifying agent, and a first spray hole being arrang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and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space; an excavation unit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d, and can excavate the ground by rotation; an auger screw helically coupled to a side of the rod above the excavation unit; and a wing unit including an agitation shaft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rod, and an agitation wing arranged on an end of the agitation shaft. A continuous unit having one or more of the wing units with the same length of the agitation shaft is formed. A plurality of the continuous units are formed along the ro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o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d. The length of the agitation shaft arranged on a plurality of the continuous units becomes smaller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od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ro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comprises a drilling step, a solidifying agent injection step, an excavation soil-solidifying agent agitation step, and a pile forming step.

Description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 {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

본 발명은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에 굴착부가 결합된 로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오거 스크류를 통해 천공홀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 굴착토사와 로드의 중공부를 통해 주입된 고화제를 천공홀 내에서 깊이 방향으로 교반할 수 있으며,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를 형성하되 연속부의 교반축 길이를 로드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함으로써 계단형의 말뚝을 시공할 수 있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a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an auger screw extending along the side of a rod with an excavation unit coupled to the tip, the field excavation soil and sand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drilled hole The solidifying agent injected through the hollow part of the rod can be stirred in the depth direction within the perforated hole, and a continuous part provided with one or more blades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is formed, but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of the continuous part is chang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apable of constructing a stepped pile by making it smaller and a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강도가 크지 않은 지반에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구조물의 하중을 단단한 지지층에 전달해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말뚝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로 PHC 말뚝이나 강관말뚝과 같은 기성말뚝이 시공되고, 이때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 결과 최근들어 구조물의 하중이 크지 않은 경우, 기성말뚝 대신 지반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교반하여 깊이방향으로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의 말뚝 구조물을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개발되어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말뚝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When constructing a structure on a ground with low strength, piles are used to stably support the structure by transferring the load of the structure to the rigid support layer. In general, ready-made piles such as PHC piles or steel pipe piles are constructed as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structure, and civil complaints frequently occur due to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at this time. As a result, recently, when the load on the structure is not large, a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form a cylindrical pile structure with the same diameter in the depth direction by stirring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rilling the ground instead of the ready-made pile. Is used in However, this pile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말뚝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 천공홀 내부에 위치하는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가 교반되는데, 이 때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따라 강도가 다른 굴착토사와 고화제가 혼합되기 때문에 말뚝 구조물의 강도가 깊이에 따라 달라져서 말뚝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안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When constructing a pile structure,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located inside the drilled hole are agitated. At this time, the strength of the pile structure is adjusted to the depth because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are mixed with different strength depending on the depth from the grou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ile structure is not structurally stable.

구체적으로, 지반은 일반적으로 깊이에 따라 강도가 다른 토사로 구성되어 있어서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혼합한 말뚝 구조물 시공 시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제대로 교반하더라도, 교반이 동일 심도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심도에 따라 고화제와 교반되는 굴착토사의 종류가 달라져서 말뚝 구조물의 상,하부에서 강도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Specifically, the ground is generally composed of soil whose strength varies depending on the depth, so even if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ier are properly stirred when constructing a pile structure in which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are mixed, the agitation occurs only at the same depth.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ength difference occur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ile structure because the types of the solidifying agent and the excavated soil to be stirred are different.

또한, 말뚝 구조물 상부에 하향의 압축하중이 작용하면, 말뚝 구조물과 지반 사이에는 하중 작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향의 주면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주면마찰력은 말뚝 구조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말뚝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경감시키기 때문에, 말뚝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게 된다. 따라서 말뚝 구조물에 전달되는 깊이별 하중 크기를 고려할 때 말뚝은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보다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시공 재료의 최적화 측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downward compressive load acts on the top of the pile structure, an upward main surface friction force acts between the pile structure and the grou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ad acting direction. Since this principal frictional force reduces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pil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ile structure, the load transferred through the pile structure becomes small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size of the load by depth transmitted to the pile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optimiza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that the pile has a smaller diameter as it goes downwards than a cylinder having the same diameter.

그러나 종래의 말뚝 구조물은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말뚝 상부를 하중에 적합한 단면으로 형성하면 말뚝 하부는 하중에 비해 큰 단면을 갖게 되어 재료의 낭비가 발생하고, 말뚝 하부를 하중에 적합한 단면으로 형성하면 말뚝 상부가 하중에 비해 단면이 작아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ile structure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same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If the top of the pile is formed with a cross section suitable for the load, the bottom of the pile has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load, resulting in waste of material and If it is formed in a cross-section suitable for the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p of the pile is structurally weak because the cross-section is small compared to the loa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에 굴착부가 결합된 로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오거 스크류를 통해 천공홀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 굴착토사와 로드의 중공부를 통해 주입된 고화제를 천공홀 내에서 깊이 방향으로 교반할 수 있으며,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를 형성하되 연속부의 교반축 길이를 로드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함으로써 계단형의 말뚝을 시공할 수 있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an auger screw extending along the side of the rod to which the excavation part is coupled to the tip, injection through the site excavation soil and the hollow part of the rod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erforated hole The solidifying agent can be stirred in the depth direction within the perforated hole, and a continuous part with one or more blades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is formed, but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of the continuous part is reduc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thereby making it stepp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apable of constructing a pile of stair and a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고화제가 이동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1분사공이 마련되어 있는 로드; 상기 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 상부에서 상기 로드 측면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는 오거 스크류; 상기 로드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 끝단에 마련되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상기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속부는 상기 로드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상기 로드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연속부에 구비된 상기 교반축의 길이는 상기 로드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has a rod shape, has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a solidifying agent can move, and a first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is Loaded rod; An excavation uni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and capable of excavating the ground by rotation; And an auger screw spir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rod from the top of the excavation part. A wing portion including a stirr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rod and a stirring blade provided at an end of the stirring shaft; and a continuous portion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ng portion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is formed, the A plurality of continuous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rod while go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continuous portions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로드 측면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는 상기 오거 스크류의 나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오거 스크류에는, 상기 오거 스크류를 관통하는 교란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wing portion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be disposed on a spiral of the auger screw that is helic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rod, and the auger screw penetrates the auger screw. A disturbing hole may be form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상기 날개부의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교반축의 끝단에서 상기 교반축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며, 상기 교반축과 상기 교반 날개가 형성하는 각도는 95도 내지 120도일 수 있다. The stirring blade of the wing portion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extends while forming a downward slope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at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and the stirring shaft and the The angle formed by the stirring blade may be 95 degrees to 120 degre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교반축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절삭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 측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며, 상기 고화제를 상기 로드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제2분사공이 마련될 수 있다. The stirring blade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body coupled to the stirring shaft, and a cut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strength than the body. The rod side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nd capable of spraying the solidifying agent to the outside of the ro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상기 오거 스크류는 상기 로드 측면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오거 스크류 중간에 상기 오거 스크류가 마련되지 않는 1개 이상의 절단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절단부를 중심으로 상, 하부에 있는 상기 오거 스크류의 나선 방향이, 동일하거나 서로 반대일 수 있다. The auger screw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extended along the side of the rod, and one or more cut portions in which the auger screw is not provided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uger screw, Spiral directions of the auger screw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t least one cut portion may be the same or opposite to each oth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상기 절단부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 칼날이 구비된 복수 개의 파쇄 날개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cutting portion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having a blade at one end may be install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오거 스크류의 직경은 상기 로드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되, 상기 굴착부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auger scre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constant along the length of the rod, bu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excavation por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오거 스크류의 직경은 상기 로드의 하부에서는 상기 굴착부의 폭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로드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되, 천공홀의 직경 보다는 작을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auger scre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excavation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and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to the upper portion, but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계단 형태로 직경이 좁아지는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 단계;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통해 상기 천공 단계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에 고화제를 주입하는 고화제 주입 단계;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통해 상기 굴착토사와 상기 고화제를 교반하는 굴착토사-고화제 교반단계; 상기 굴착토사-고화제 교반단계를 거친 상기 굴착토사와 상기 고화제가 교반된 혼합물을 경화시켜 말뚝을 형성하는 말뚝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고화제가 이동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1분사공이 마련되어 있는 로드; 상기 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 상부에서 상기 로드 측면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는 오거 스크류; 상기 로드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 끝단에 마련되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상기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속부는 상기 로드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상기 로드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연속부에 구비된 상기 교반축의 길이는 상기 로드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drilling step of forming a drilled hole whose diameter is narrowed in a step shape by using a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A solidifying agent injection step of injecting a solidifying agent into the excavated soil generated in the drilling step through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Excavation soil-solidifying agent stirring step of stirring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through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The excavated soil-a pile forming step of forming a pile by curing the excavated soil and the mixture in which the solidifying agent has been stirred to form a pile, an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has a rod shape. A rod having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solidifying agent can move, and having a first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 excavation uni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and capable of excavating the ground by rotation; And an auger screw spir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rod from the top of the excavation part. A wing portion including a stirr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rod and a stirring blade provided at an end of the stirring shaft; and a continuous portion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ng portion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is formed, the A plurality of continuous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rod while go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continuous portions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본 발명은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를 형성하고, 연속부의 교반축 길이를 하부로 갈수록 작게 함으로써 계단형 말뚝을 시공할 수 있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거 스크류를 이용하여 천공과정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천공홀의 깊이방향으로 효과적으로 교반함으로써 깊이 방향으로 강도가 균일한 계단 형상의 토사-고화제 혼합 말뚝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apable of constructing a stepped pile by forming a continuous portion provided with one or more wing portions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agitation shaft and reducing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of the continuous portion toward the lower side, and a stepped pile using the same Regarding the construction method, by effectively stirring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generated in the drilling process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drilling hole using an auger screw,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epped soil-solidifying agent mixed pile with uniform strength in the depth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은 오거 스크류를 로드 측면을 따라 연장하되, 천공홀이 시작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아래까지 연장함으로써, 천공홀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가 교반된 혼합물이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천공홀 내부에서 깊이 및 반경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교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auger screw along the side of the rod, but extends to a certain depth below the ground at which the perforation hole starts, so that the mixture of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erforated ho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ed hole. It does not have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ffectively stirred in the depth and radial direction inside the perforated hole.

본 발명은 교반축의 끝단에서 교반축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교반 날개와, 상기 교반 날개가 지반과 접촉되는 부분에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절삭부를 추가함으로써 교반 날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stirring blade by adding a stirring blade extending downward inclined from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and a cutting part made of a high-strength material to a portion in which the stirring blade contacts the ground.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은 오거 스크류 중간에 마련된 1개 이상의 절단부에 복수개의 파쇄 날개를 설치하여 굴착토사-고화재 혼합물 내부에 있을 수 있는 토사 덩어리를 더욱 잘게 파쇄함으로써 굴착토사와 고화제의 교반정도를 높이고 혼합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are installed in at least one cutting part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uger screw to further finely crush the soil mass that may be in the excavated soil-solidifying material mixture, thereby increasing the agitation degree of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또한, 본 발명은 오거 스크류에 형성되는 교란홀을 통해 고화제와 교반된 굴착토사 혼합물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화제와 굴착토사의 교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vortex in the mixture of the solidifying agent and the stirred excavated soil through the disturbing hole formed in the auger screw,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stirring effect of the solidifying agent and the excavated soil through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와 계단형 말뚝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반축과 교반 날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오거 스크류에 교란홀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오거 스크류에 절단부가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의 절단부를 중심으로 오거 스크류의 나선방향이 반대로 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의 공정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and the stepped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irring shaft and a stirr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at a disturbing hole is formed in the auger screw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a cut portion is provided in the auger screw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spiral direction of the auger screw is reversed around the cut part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of a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단에 굴착부가 결합된 로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오거 스크류를 통해 천공홀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 굴착토사와 로드의 중공부를 통해 주입된 고화제를 천공홀 내에서 교반함에 있어,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를 형성하되 연속부의 교반축 길이를 로드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함으로써 따라 계단형 말뚝을 시공할 수 있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a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wherein the on-site excavated soil and the hollow portion of the rod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erforated hole through an auger screw extending along the side of the rod to which the excavation part is coupled to the tip. In stirring the solidifying agent injected through the perforated hole, a continuous part provided with one or more blades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agitation shaft is formed, but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of the continuous part is made small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thereby forming a stepped pile. It relates to a stair-type pile construction device capable of constructing a construction and a stair-typ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는, 로드(110), 굴착부(120), 오거 스크류(130), 날개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d 110, an excavation part 120, an auger screw 130, and a wing part 140.

상기 로드(110)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고화제가 이동할 수 있는 중공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면서 고화제를 천공홀 내부로 분사할 수 있는 제1분사공(112)이 마련되어 있다. The rod 110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a hollow part 111 through which the solidifying agent can move is formed, and in the lower part, the solidify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hol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art 111. A first injection hole 112 is provided.

상기 로드(110)는 상기 원통형 말뚝 시공장치(100)의 기본 축이 되는 것으로, 후술할 상기 굴착부(120), 상기 오거 스크류(130), 상기 날개부(140)는 상기 로드(110)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The rod 110 is a basic axis of the cylindrical pile construction device 100, the excavation portion 120, the auger screw 130, and the wing portion 140 to be described later, the rod 110 It can be rotated around an axis.

상기 로드(110)의 측면에는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며, 고화제를 상기 로드(110)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제2분사공(1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분사공(150)은 상기 제1분사공(112)과 함께 천공홀 내부에 고화제를 분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분사공(112)은 상기 로드(110)의 하부에서, 상기 제2분사공(150)은 상기 로드(110)의 측면에서 고화제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분사공(150)은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injection hole 150 may be provided on a side of the rod 110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art 111 and to spray a solidifying agent to the outside of the rod 110. The second injection hole 150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first injection hole 112 to spray a solidifying agent into the hole. That is, the first injection hole 112 is capable of spraying the solidifying agen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110 and the second injection hole 150 from the side of the rod 110.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holes 150 may be formed as necessary.

상기 굴착부(120)는 상기 로드(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지반(G)을 굴착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굴착부(120)에는 날개 형상으로 돌출되는 굴착비트(1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굴착부(120)가 회전하면, 상기 굴착비트(121)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굴착비트(121)가 지면을 파고들면서 지반을 굴착하여 천공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The excavation part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110 and is capable of excavating the ground G by rotation. Specifically, a drilling bit 121 protruding in a wing shape may be provided on the drilling part 120. When the excavation part 120 rotates, the excavation bit 121 also rotates, and the excavation bit 121 excavates the ground while digging into the ground to form a hole.

상기 오거 스크류(130)는 상기 굴착부(120)의 상부에서 상기 굴착부(12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로드(110) 측면에 나선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오거 스크류(130)는 나선형상으로 상기 로드(110)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로드(110) 측면을 따라 연장되되, 직경이 상기 굴착부(120)의 폭보다 작거나 같고, 천공홀이 시작되는 지면(S)과 거리를 두고 지면의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The auger screw 130 is disposed above the excavation unit 120 and spaced apart from the excavation unit 120, and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rod 110 in a spiral shape. The auger screw 130 extends along the side of the rod 110 while surrounding the side of the rod 110 in a spiral shape, and the diamet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excavation portion 120, and the perforation hole starts. It can be extended to the bottom of the ground with a distance from the ground (S).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직경은 상기 로드(110)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되, 상기 굴착부(120)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오거 스크류(130)에 의해 상,하부로 이송된 굴착토사-고화제 혼합물이 상기 오거 스크류(130)와 천공홀 내벽 사이 공간을 통해 하,상부로 순환되어 깊이방향의 교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 diameter of the auger screw 130 is constant along the length of the rod 110, bu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excavation part 120. Through this, the excavated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transferred to the top and bottom by the auger screw 130 is circulated to the bottom and the top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auger screw 130 and the inner wall of the perforated hole, so that agitation in the depth direction is effectively achieved. It can be.

또한,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직경은 상기 로드(110)의 하부에서는 상기 굴착부(120)의 폭보다 작거나 같지만, 상기 로드(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되, 천공홀의 직경보다 작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최대 직경이 지표면에서 천공홀의 직경(도 1을 기준으로, 천공홀의 최상부 직경)보다 작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천공홀의 하부에 비해 굴착토사-고화제 혼합물의 양이 많은 천공홀 상부에서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직경을 크게 하여 혼합물의 상,하부 순환을 촉진함으로써 굴착토사와 고화제의 교반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auger screw 13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excavation portion 12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110, bu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110 to the upper portion, It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Specifically, the maximum diameter of the auger screw 13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on the ground surface (based on FIG. 1, the top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Through this, the diameter of the auger screw 130 is increas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le where the amount of the excavated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is larg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hole, thereby promoting the upper and lower circulation of the mixture, thereby improving the stirring effect of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It can be raised.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오거 스크류(130)는 현장토사와 고화제를 상,하로 교반할 수 있는 것으로, 고화제가 심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토사와 교반되어 심도별로 강도특성이 다른 토사-고화제 혼합물을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나선 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교반시킴으로써 깊이방향으로 강도가 균일한 토사-고화제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the auger screw 130 is capable of stirring up and down the fiel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and the solidifying agent is agitated with different types of soil according to the depth, so that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or each depth. It is possible to form a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having a uniform strength in the depth direction by stirring the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by raising or lowering it up and down along the spiral direction of the auger screw 130.

상기 날개부(140)는 상기 로드(110)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교반축(141)과 상기 교반축(141) 끝단에 마련되는 교반 날개(1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140)는 상기 로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로드(11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140)는 상기 로드(110)의 측면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로드(11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날개부(140)는 'ㅡ'자 형상, 삼발이 형상, 십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wing part 140 includes a stirring shaft 14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rod 110 and a stirring blade 142 provided at an end of the stirring shaft 141. Specifically, a plurality of the wing parts 140 may be provid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11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d 110.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140 may be arranged in a zigzag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rod 110, and when the rod 110 is viewed from above, the wing portion 140 has a'-' shape and has a triangular shape. It can be arranged in a shape or a cross shap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상기 날개부(140)가 구비된 연속부(140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속부(140a)는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상기 날개부(140)가 모여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 a continuous portion 140a having at least one wing portion 14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may be formed. Here, the continuous portion 140a represents a portion in which one or more wing portions 14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are gathered.

상기 연속부(140a)는 상기 로드(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상기 로드(110)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연속부(140a)에 구비된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는 상기 로드(110)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continuous portions 140a may be formed along the rod 110 while go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110, and the stirring shaft 141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continuous portions 140a The length may decreas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110.

즉,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동일한 상기 날개부(140)가 상기 로드(11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다가,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작아진다. 이후, 다시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동일한 상기 날개부(140)가 상기 로드(110)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다가,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는 또 다시 작아진다.That is, the wing portion 14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extends from top to bottom along the rod 110,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is reduced. Thereafter, the wing portion 14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extends downward along the rod 110,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becomes smaller again.

이와 같이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동일한 상기 날개부(140)가 상기 로드(11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다가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작아지고, 길이가 작아진 상기 교반축(141)이 상기 로드(110)를 따라 또 다시 하부로 연장되면, 도 1과 같이 계단형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계단형 말뚝(160)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ing part 14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extends from top to bottom along the rod 110,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is reduced,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is reduced. When the shaft 141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along the rod 110 agai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epped pile 160 having a smaller diameter in a step shape as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날개부(140)는 상기 로드(110)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나선상에 배치함으로써 오거 스크류(130)가 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140)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가 형성하는 나선 위에(나선상에) 상기 날개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auger screw 130 is continuous by arranging the wing part 140 on the spiral of the auger screw 130 that is helically coupled to the rod 110. Specifically, the wing portion 140 may be disposed on the spiral (on the spiral) formed by the auger screw 130, the wing portion 140.

즉, 상기 오거 스크류(130)는 연속되지 않고, 중간에 연속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며, 연속되지 않는 부분에 상기 날개부(140)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오거 스크류(130)가 연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오거 스크류(130)와 상기 날개부(140)가 동일한 나선상에 배치되면, 상기 오거 스크류(130)가 상기 날개부(140)의 보강리브 역할을 하면서 지반 천공시 상기 날개부(140)에 작용하는 저항력으로 인해 상기 날개부(1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나선간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오거 스크류(130)을 통한 굴착토사-고화제 혼합물의 상부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That is, the auger screw 130 is not continuous, there is a non-continuous part in the middle, and the wing part 140 is disposed in the non-continuous part, so that the auger screw 130 may be continuous. In this way, when the auger screw 130 and the wing portion 140 are disposed on the same spiral, the auger screw 130 serves as a reinforcing rib of the wing portion 140 and the wing portion 140 when drilling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ng part 140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auger screw 130, and at the same time secure the space between the spirals of the auger screw 130 as much as possible. The upper movement can be smooth.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날개부(140)의 상기 교반 날개(142)는 상기 교반축(141)의 끝단에서 상기 교반축(14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날개(142)는 상기 교반축(141)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형성되면 지반 굴착중에 상기 교반 날개(142)와 천공홀 벽면간의 마찰로 인해 상기 교반 날개(142)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tirring blade 142 of the wing part 140 may extend while forming a downward slope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141 at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141. . The stirring blade 142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tirring shaft 141, but when formed in this way, the stirring blade 142 is damag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tirring blade 142 and the wall of the perforated hole during ground excav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frequently.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반 날개(142)는 상기 교반축(141)의 끝단에서 상기 교반축(141)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면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교반축(141)과 상기 교반 날개(142)가 형성하는 각도는 95도 내지 120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교반축(141)의 외측이라 함은, 상기 교반 날개(142)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로드(110)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To prevent this, the stirring blade 142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141 while forming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141, and the stirring shaft 141 and the stirring The angle formed by the wing 142 is preferably 95 degrees to 120 degrees. Here, the outer side of the stirring shaft 141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d 110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tirring blade 142 is arranged.

상기 교반축(141)과 상기 교반 날개(142)가 형성하는 각도가 95도 보다 작으면, 굴착 도중 상기 교반 날개(142)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상기 교반축(141)과 상기 교반 날개(142)가 형성하는 각도가 120도 보다 크면, 상기 교반 날개(142)의 내측이 하부 상기 연속부(140a)에 위치한 길이가 작은 교반축(141)에 부착된 교반 날개(142)의 외측보다 외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교반 날개(142)의 내측면이나 교반축(141)에 의해 지반이 절삭되어 상기 교반 날개(142)와 상기 교반축(141)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stirring shaft 141 and the stirring blade 142 is less than 95 degrees, damage to the stirring blade 142 occurs frequently during excavation. In addition,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stirring shaft 141 and the stirring blade 142 is greater than 120 degrees, the inside of the stirring blade 142 is located in the lower continuous portion 140a,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 the ground is cut by the inner side of the stirring blade 142 or the stirring shaft 141, so that the stirring blade 142 and the stirring shaft ( 141) damage can occur frequently.

상기 교반축(141)의 끝단에서 상기 교반축(14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교반 날개(142)가 하향 경사를 형성하면서 지반을 굴착하기 위해서, 상기 교반 날개(142)는 상기 교반축(141)에 결합되는 몸체(143)와 상기 몸체(143)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절삭부(1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excavate the ground while the stirring blade 142 forms a downward slope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141 at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141, the stirring blade 142 is the stirring shaft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ody 143 coupled to the body 141 and a cutting portion 144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strength than the body 143.

상기 교반축(141)의 끝단에서 상기 교반축(14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교반 날개(142)가 하향 경사를 형성하면, 상기 교반 날개(142)의 일단만 지반에 접촉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43)는 상기 교반축(141)과 결합되는 부분이며, 상기 절삭부(144)는 지반과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상기 절삭부(144)는 지반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절삭부(144)는 상기 몸체(143) 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stirring blade 142 forms a downward slope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141 at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141, only one end of the stirring blade 142 contacts the ground. Referring to FIG. 3, the body 143 is a part that is coupled to the stirring shaft 141, and the cutting part 144 is a part that contacts the ground. Since the cutting part 144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cutting part 144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strength than the body 143.

이와 같이 상기 교반축(141)의 끝단에서 상기 교반축(14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교반 날개(142)에 하향 경사를 형성하면서, 상기 몸체부(143)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절삭부(144)를 구비하면, 상기 교반 날개(142)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지반을 굴착할 수 있다. In this way, while forming a downward slope on the stirring blade 142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141 at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141, the material made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strength than the body portion 143 If the cutting part 144 is provided, the ground can be excavated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stirring blade 142.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거 스크류(130)에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를 관통하는 교란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거 스크류(130)를 통해 토사-고화제 혼합물이 상부로 이동한 후 상기 오거 스크류(130)와 천공홀 공벽 사이의 공간으로 하부로 이동하는 방법을 통해 상하로 교반될 수 있는데, 상기 오거 스크류(130)를 통해 토사-고화제 혼합물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교란홀(133)에 의해 혼합물에 와류가 형성되어 토사와 -고화제의 교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disturbing hole 133 penetrating the auger screw 130 may be formed in the auger screw 130. As described above, the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is moved upward through the auger screw 130 and then stirred up and down through a method of moving downward into the space between the auger screw 130 and the hole wall of the hole. ,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upward through the auger screw 130, a vortex is formed in the mixture by the disturbing hole 133, so that the stirring effect of the soil-solidifying agent may be improved.

상기 교란홀(133)은 토사-고화제 혼합물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거 스크류(13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교란홀(133)을 통해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교란홀(133)이 상기 오거 스크류(130)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turbance hole 133 is for forming a vortex in the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and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uger screw 130, but in order to effectively form a vortex through the disturbance hole 133,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urbance hole 133 is irregularly formed in the auger screw 130.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오거 스크류(130)는 상기 로드(11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중간에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가 마련되지 않는 1개 이상의 절단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에서는 상기 절단부(132)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날개부(14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나, 도 5 및 도 6의 계단형 말뚝 시공 장치에는 상기 날개부(14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5 and 6, the auger screw 130 extends along the side of the rod 110, but at least one auger screw 130 is not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uger screw 130. The cutting part 132 may be provided. In FIGS. 5 and 6, the wing portion 140 is omitted to show the cut portion 132, but the wing portion 140 may be provided in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of FIGS. 5 and 6. will be.

상기 절단부(132)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가 연장되지 않는 부분이다. 상기 오거 스크류(130)에서 상기 절단부(132)를 마련하는 것은,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의 상하방향 교반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오거 스크류(130)에 상기 절단부(132)가 마련되지 않으면,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 혼합물은 상기 오거 스크류(130)를 따라 계속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The cutting part 132 is a part where the auger screw 130 does not extend. The provision of the cutting part 132 in the auger screw 130 is to increase the vertical agitation effect of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in the field. If the cutting part 132 is not provided in the auger screw 130,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mixture can continue to rise or fall along the auger screw 130.

그러나 상기 절단부(132)가 마련되면, 현장 굴착토사와 상기 고화제 혼합물은 상기 오거 스크류(130)가 없는 상기 절단부(132)에서 상승 또는 하강이 중단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절단부(132)를 통해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 혼합물이 계속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절단부(132)를 중심으로 구역별로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 혼합물을 상하방향으로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when the cutting part 132 is provided,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mixture can be stopped ascending or descending in the cutting part 132 without the auger screw 130.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n-sit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mixture from continuing to rise or fall through the cutting part 132, and through this, the sit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mixture are vertically arranged around the cutting part 132 by region. It becomes possible to stir effectively in the direction.

도 6을 참조하면,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나선 방향은 상기 절단부(132)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절단부(132)를 중심으로 상, 하부에 있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the helical directions of the auger screw 130 formed in a helical shape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around the cutting part 132. Specifically, the helix directions of the auger screws 130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t least one cut portion 132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절단부(132)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절단부(132)를 중심으로 상, 하부에 있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나선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는 것이며, 서로 반대 방향일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132)를 중심으로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나선 방향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utting portions 132 may be provided, and the helical directions of the auger screws 130 located above and below the cutting portion 132 may be the same or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 The helical direction of the auger screw 130 around the cutting part 132 may be changed as necessary.

이와 같이 상기 오거 스크류(130)의 나선 방향을 상기 절단부(132)를 중심으로 변경하면, 현장토사와 고화제의 교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에 비하여, 일 방향과 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상기 오거 스크류(130)는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 혼합물에 와류를 만들어 교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if the helical direction of the auger screw 130 is changed around the cutting part 132,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agitation effect of the on-site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Compared to the auger screw 130 rotating in one direction, the auger screw 130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t the same time creates a vortex in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mixture to further increase the stirring effect. .)

또한, 상기 절단부(132)에는 굴착토사-고화제 혼합물 내부에 있을 수 있는 토사 덩어리를 더욱 잘게 파쇄할 수 있는 파쇄 날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쇄 날개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각판 형상의 일단에는 날카로운 단면이 형성된 칼날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ting part 132 may be provided with a crushing blade (not shown) capable of finely crushing a mass of soil that may be in the excavated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The crushing blades ar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a blade having a sharp cross section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quare plate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파쇄 날개는 직사각형의 철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일 단면은 날카로운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쇄 날개는 상기 절단부(132)에서 상기 로드(11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로드(110)와 함께 회전하면서 굴착토사-고화재 혼합물 내부에 있을 수 있는 토사 덩어리를 파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rushing wing may be composed of a rectangular steel plate, and one cross-section of the rectangle may be made of a sharp cross-section. The crushing blade may be coupled to the rod 110 at the cutting portion 132, and may crush a mass of soil that may be inside the excavated soil-solidified material mixture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d 110.

상술한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이용한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천공 단계(S100), 고화제 주입 단계(S200), 굴착토사와 고화제 교반 단계(S300), 말뚝 형성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술할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의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는, 상술한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Referring to Figure 7,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lling step (S100), a solidifying agent injection step (S200),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stirring step (S300), pile formation step (S400) It is made including. Since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of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same as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천공 단계(S100)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계단 형태로 직경이 좁아지는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계단 형태의 천공홀은 단단한 풍화토나 풍화암까지 천공될 수 있다. The perforating step (S100) is a step of forming a perforated hole whose diameter is narrowed in a step shape using a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Stair-shaped perforation holes can be drilled to hard weathered soil or weathered rock.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는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상기 날개부(140)가 구비된 연속부(14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속부(140a)는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상기 날개부(140)가 모여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연속부(140a)는 상기 로드(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상기 로드(110)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속부(140a)의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는 상기 로드(110)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may have a continuous portion 140a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ng portion 14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The continuous portion 140a represents a portion in which one or more of the wing portions 14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are gathered.) The continuous portion 140a is at the top of the rod 110. A plurality of pieces may be formed along the rod 110 while going downward,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of the continuous portion 140a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110.

즉,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동일한 상기 날개부(140)는 상기 로드(11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다가, 상기 교반축(141)의 길이가 작아진다. 이후, 길이가 작아진 동일 길이의 교반축(141)이 상기 로드(11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다시 연장되다가, 상기 교반축(141)길이가 또 다시 작아진다. That is, the wing portion 14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extends from top to bottom along the rod 110,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141 is reduced. Thereafter, the agitation shaft 141 of the same length, whose length is reduced, extends again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rod 110, and the length of the agitation shaft 141 is reduced again.

이와 같이 상기 연속부(140a)가 상기 로드(11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로드(11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상기 연속부(140a)의 교반축(141) 길이가 작아지므로, 상기 천공 단계(S100)에서 도 1과 같은 계단 형태로 직경이 좁아지는 천공홀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a plurality of the continuous portions 140a are formed while going from top to bottom along the rod 110, and the stirring shaft 141 of the continuous portion 140a goes from top to bottom along the rod 110 Since the length is reduced, in the drilling step (S100),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drilled hole whose diameter is narrowed in the form of a staircase as shown in FIG. 1.

상기 고화제 주입 단계(S200)는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통해 상기 천공 단계(S100)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에 고화제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에는 고화제를 주입할 수 있는 홀(제1분사공(112), 제2분사공(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천공홀 내부로 고화제가 주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공 단계(S100)에서 계단 형상의 천공홀이 단단한 풍화토나 풍화암까지 천공될 때 발생하는 상기 굴착토사에 고화제를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고화제 주입 단계(S200)는 상기 천공단계(S100)와 함께 진행될 수도 있다. The solidifying agent injection step (S200) is a step of injecting a solidifying agent into the excavated soil generated in the drilling step (S100) through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has holes (first injection hole 112, second injection hole 150) through which a solidifying agent can be injected, and a solidify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hole through the hole. do. Specifically, in the drilling step (S100), a solidify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excavated soil generated when the step-shaped drilling hole is drilled to hard weathered soil or weathered rock. Here, the solidifying agent injection step (S200)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drilling step (S100).

상기 굴착토사와 고화제 교반 단계(S300)는 상기 천공 단계(S100)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와 상기 고화제 주입 단계(S200)에서 천공홀에 주입한 고화제를 상기 굴착부(120)와 상기 오거 스크류(130), 상기 날개부(140)를 이용해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교반하는 단계이다.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stirring step (S300) includes the excavated soil generated in the drilling step (S100) and the solidifying agent injected into the drilling hole in the solidifying agent injection step (S200) to the excavation unit 120 and the auger screw. (130), it is a step of stirring in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using the wing portion 140.

구체적으로 상기 굴착부(120)와 날개부(140)는 일정 깊이에서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교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오거 스크류(130)는 상기 굴착부(120)와 상기 날개부(140)에 의해 교반된 굴착토사-고화제 혼합물을 상하방향으로 교반해서 토사-고화제 혼합 말뚝의 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excavation unit 120 and the wing unit 140 serve to agitate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ication agent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auger screw 130 is the excavation unit 120 and the wing unit 140 The excavated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stirred by is stir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trength of the soil-solidifying agent mixed pile is consta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말뚝 형성 단계(S400)는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통해 상기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교반한 후 이 혼합물을 경화시켜 말뚝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에는 상기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교반할 수 있는 상기 굴착부(120), 상기 오거 스크류(130), 상기 날개부(140)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상하좌우로 교반하여 강도가 균일한 계단형 형상의 말뚝을 형성하게 된다. The pile forming step (S400) is a step of stirring the excavated soil and a solidifying agent through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and then curing the mixture to form a pile.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 the excavation part 120, the auger screw 130, the wing part 140, etc., which can stir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through which the excavated soil And a solidifying agent are stirred up, down, left and right to form a stepped pile with uniform strength.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를 형성하고, 연속부의 교반축 길이를 하부로 갈수록 작게 함에 따라 계단형 말뚝을 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오거 스크류를 이용하여 천공과정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천공홀의 깊이방향으로 효과적으로 교반함으로써 깊이 방향으로 강도가 균일한 계단 형상의 토사-고화제 혼합 말뚝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inuous portion provided with one or more wing portions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is formed,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of the continuous portion is reduced toward the bottom.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ill a pile. In addition, in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ngth in the depth direction is uniform by effectively stirring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generated in the drilling process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drilling hole using an auger screw.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struct a stepped soil-solidifying agent mixed pi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오거 스크류를 로드 측면을 따라 연장함으로써, 천공홀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 굴착토사와 고화제가 교반된 혼합물이 천공홀 내부에서 깊이 및 반경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an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tending the auger screw along the side of the rod, the mixture of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drilled hole is inside the drilled ho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ffectively stirred in the depth and radi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교반축의 끝단에서 교반축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로 연장되는 교반 날개와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교반 날개에 고정되어 지반과 접촉되는 절삭부를 통해 교반 날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오거 스크류에 형성되는 교란홀을 통해 토사-고화제 혼합물에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토사-고화제의 교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of a stirring blade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at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and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fixed to the stirring blade to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stirring blade through the cutting part in contact. In addition,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vortex in the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through the disturbing hole formed in the auger screw, through which the soil-solidifying ag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stirring effe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은 오거 스크류 중간에 마련된 1개 이상의 절단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파쇄 날개를 통해 토사-고화재 혼합물 내부에 있을 수 있는 토사 덩어리를 더욱 잘게 파쇄함으로써 굴착토사와 고화제 교반정도를 높이고 혼합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and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ss of soil that may be inside the soil-solidified material mixture is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installed at one or more cutting portion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uger screw. By crushing more finely,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stirring of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and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mixtur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축의 상, 하면에는 교반 갈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교반 갈귀는 상기 교반축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선택적으로 마련되거나, 상기 교반축의 상면 및 하면에 동시에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교반축의 상, 하면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반 갈귀는 상기 교반축의 상, 하면에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머리빗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반 갈귀는 토사-고화제 혼합물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토사 덩어리를 파쇄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는 머리빗 형상의 상기 교반 갈귀를 통해 토사 덩어리를 잘게 파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be modified and used as follows. Stirring claws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irring shaft. The stirring prong is sel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tirring shaft, or may be provided simultaneousl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irring shaft, and has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irring shaft. Specifically, the stirring claw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irring shaft,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air comb. The stirring claw is for crushing the soil mass that may exist in the soil-solidifying agent mixtur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inely crush the soil mass through the agitation claw in the shape of a comb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rovi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로드 111...중공부
112...제1분사공 120...굴착부
121...굴착비트 130...오거 스크류
131...종단부 132...절단부
133...교란홀 140...날개부
140a...연속부 141...교반축
142...교반 날개 143...몸체
144...절삭부 150...제2분사공
160...계단형 말뚝
110... rod 111... hollow part
112...First injection hole 120...Excavation part
121... drilling bit 130... auger screw
131...end part 132...cut part
133... Disturbance Hall 140... Wings
140a...continuous part 141...stirring shaft
142...stirring wings 143...body
144...cutting part 150...2nd injection hole
160...stepped pile

Claims (11)

천공홀 형성과정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교반시켜 토사-고화제 혼합 말뚝을 만들기 위한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고화제가 이동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1분사공이 마련되어 있는 로드;
상기 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 상부에서 상기 로드 측면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는 오거 스크류;
상기 로드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 끝단에 마련되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상기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속부는 상기 로드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상기 로드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연속부에 구비된 상기 교반축의 길이는 상기 로드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In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for making a soil-solidifying agent mixed pile by stirring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hole,
A rod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solidifying agent can move, and having a first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 excavation uni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and capable of excavating the ground by rotation; And
An auger screw spir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rod at the top of the excavation part;
Includes; a stirr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rod, and a wing portion comprising a stirring blad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A continuous portion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ng portion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continuous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rod while go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he continuous portion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로드 측면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는 상기 오거 스크류의 나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g part,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spiral of the auger screw coupled to the side of the rod in a spir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 스크류에는,
상기 오거 스크류를 관통하는 교란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auger screw,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urbing hole through the auger screw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교반축의 끝단에서 상기 교반축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며,
상기 교반축과 상기 교반 날개가 형성하는 각도는 95도 내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irring wing of the wing portion,
It extends while forming a downward slope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shaft at the end of the stirring shaft,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stirring shaft and the stirring blade is 95 degrees to 120 degre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교반축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절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tirring blade,
A stepped pile construction apparatus comprising a body coupled to the stirring shaft, and a cut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strength than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 스크류는 상기 로드 측면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오거 스크류 중간에 상기 오거 스크류가 마련되지 않는 1개 이상의 절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ger screw is extended along the side of the rod,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ut portion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uger screw is not provided with the auger screw.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절단부를 중심으로 상, 하부에 있는 상기 오거 스크류의 나선 방향이, 동일하거나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6,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lix directions of the auger screw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t least one cut portion are the same or opposite to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 칼날이 구비된 복수 개의 파쇄 날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cut part,
Doedoe made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provided with a blade at one end are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 스크류의 직경이 상기 로드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되, 상기 굴착부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auger screw is constant along the length of the rod, but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excava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 스크류의 직경이 상기 로드의 하부에서는 상기 굴착부의 폭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오거 스크류의 직경이 상기 로드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되, 천공홀의 직경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meter of the auger screw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excavation part in the lower part of the rod,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auger screw gradually increases as it goes from the bottom of the rod to the top, bu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천공홀 형성과정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와 고화제를 교반시켜 토사-고화제 혼합 말뚝을 만들기 위한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에 있어서,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계단 형태로 직경이 좁아지는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 단계;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통해 상기 천공 단계에서 발생한 굴착토사에 고화제를 주입하는 고화제 주입 단계;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를 통해 상기 굴착토사와 상기 고화제를 교반하는 굴착토사-고화제 교반단계;
상기 굴착토사-고화제 교반단계를 거친 상기 굴착토사와 상기 고화제가 교반된 혼합물을 경화시켜 말뚝을 형성하는 말뚝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고화제가 이동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1분사공이 마련되어 있는 로드; 상기 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 상부에서 상기 로드 측면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는 오거 스크류; 상기 로드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 끝단에 마련되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의 길이가 동일한 1개 이상의 상기 날개부가 구비된 연속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속부는 상기 로드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상기 로드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연속부에 구비된 상기 교반축의 길이는 상기 로드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
In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method for making a soil-solidifying agent mixed pile by stirring the excavated soil and solidifying agen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hole,
A perforating step of forming a perforated hole whose diameter is narrowed in the form of a step by using a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A solidifying agent injection step of injecting a solidifying agent into the excavated soil generated in the drilling step through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Excavation soil-solidifying agent stirring step of stirring the excavated soil and the solidifying agent through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The excavated soil-a pile forming step of forming a pile by curing the excavated soil and the mixture in which the solidifying agent has been stirred,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tirring step of the solidifying agent, to form a pile;
The stepped pile construction device,
A rod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solidifying agent can move, and having a first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 excavation uni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and capable of excavating the ground by rotation; And an auger screw spir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rod from the top of the excavation part. A wing portion comprising a stirr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rod and a stirring blade provided at an end of the stirring shaft; and a continuous portion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ng portion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is formed, the A plurality of continuous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rod while go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and the length of the stirring shaf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he continuous portions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d. .
KR1020190012821A 2019-01-31 2019-01-31 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 KR102259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21A KR102259389B1 (en) 2019-01-31 2019-01-31 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21A KR102259389B1 (en) 2019-01-31 2019-01-31 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20A true KR20200095120A (en) 2020-08-10
KR102259389B1 KR102259389B1 (en) 2021-06-02

Family

ID=7204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21A KR102259389B1 (en) 2019-01-31 2019-01-31 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38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944A (en) * 2013-01-31 2013-03-08 시지엔지니어링(주) Screw anchor pile
US8845236B1 (en) * 2013-02-15 2014-09-30 FixDirt, LLC Ground anchor
JP2015010343A (en) *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サムシング Inclined stirring blade and underground stir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50070807A (en) * 2013-12-17 2015-06-25 스키너스 주식회사 Auger tail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compound cross-section foundation structure
KR20160084088A (en) * 2015-01-05 2016-07-13 양성문 Agitating rod for ground excavation
JP2016130404A (en) * 2015-01-13 2016-07-21 藤井 俊彦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ground improvement pi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944A (en) * 2013-01-31 2013-03-08 시지엔지니어링(주) Screw anchor pile
US8845236B1 (en) * 2013-02-15 2014-09-30 FixDirt, LLC Ground anchor
JP2015010343A (en) *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サムシング Inclined stirring blade and underground stir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50070807A (en) * 2013-12-17 2015-06-25 스키너스 주식회사 Auger tail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compound cross-section foundation structure
KR20160084088A (en) * 2015-01-05 2016-07-13 양성문 Agitating rod for ground excavation
JP2016130404A (en) * 2015-01-13 2016-07-21 藤井 俊彦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ground improvement p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389B1 (en)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0948B1 (en) method for boring and piling
KR100394413B1 (en) In-situ soil mixing pile by multi-auger machine and column wall set up method
JP3133466U (en) Drilling head of ground improvement column construction equipment
KR101299210B1 (en) Auger for ground improved and piling construction
KR102070299B1 (en) Construction apparatus of Cylindrical type pile and Construction apparatus of Taper typ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aper type pile
JP4974364B2 (en) Pile burying method
KR102222835B1 (en) Ground improvement method for organic soil
KR20140050524A (en) Ground improved using auger and pile construction methods
KR20190036318A (en) Construction apparatus of Taper typ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aper type pile
EP160056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 pile
KR20200095120A (en) Construction apparatus of stepp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pped pile
KR102098185B1 (en) Excavation agitator with guide bit, high strength continuous wall formation and deep layer mixing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JP5281213B1 (en) Core material and soil cement continuous wall method using the same
JP2005282063A (en) Composite field preparation pil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composite field preparation pile
JP5777167B2 (en)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small-diameter concrete cast-in-place pile.
JP3524085B1 (en) Foundation steel pipe pile and its stable support method
JPS5924026A (en) Pile formation work
KR101998208B1 (en) Double rod type mixing equipment and mixing method for harding ground using the same
KR101037208B1 (en) drilling rod
JP2003213679A (en) Construction method of pile hole, excavating rod and excavating head
JPH07197469A (en) Structure of earth retaining wall and earth retaining method
KR20210095394A (en) Helix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66873B1 (en) Earth drilling method for preventing soil from emitting by casing and earth reinforcement method thereof
JP3244568U (en) Casing used for pulling out piles and backfilling
JP6553101B2 (en) Ground improvement stir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