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638A -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638A
KR20200094638A KR1020200000917A KR20200000917A KR20200094638A KR 20200094638 A KR20200094638 A KR 20200094638A KR 1020200000917 A KR1020200000917 A KR 1020200000917A KR 20200000917 A KR20200000917 A KR 20200000917A KR 20200094638 A KR20200094638 A KR 2020009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y
value
correction
luminance value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트라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라이시스 filed Critical (주)트라이시스
Priority to KR102020000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4638A/ko
Publication of KR2020009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값을 보정하여 획득한 보정 입력값 또는 보정 입력값을 추가적으로 보정하여 획득한 추가 보정 입력값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data}
본 개시에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통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써, 가전제품, 스마트폰, 모니터 등 각종 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용 범위가 매우 넓고, 실제 제품으로 구현되는 해상도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시장이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제조 과정에서 물리적인 결함의 발생확률이 높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물리적인 결함을 완화 또는 제거하기 위한 각종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개시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그레이를 보정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특히, 복수개의 그루핑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게인값 및 오프셋값이 결정된 경우, 입력 그레이는 게인값 및 오프셋값에 따라 보정 입력 그레이로 보정될 수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입력 그레이를 보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픽셀에 대해서, 제 1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1 그레이와 제 2 그레이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1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 1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프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1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1 보정 그레이를 상기 제 1 그래프로부터 결정하고, 제 2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3 그레이와 제 4 그레이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3 휘도값과 제 4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 2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프를 결정하고, 상기 제 3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3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3 보정 그레이를 상기 제 2 그래프로부터 결정하고, 상기 제 1 그레이를 상기 제 1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고, 상기 제 3 그레이를 상기 제 3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기 위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 그레이를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에 따라 보정하여 획득된 보정 입력 그레이를 이용하여 보정된 휘도값을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보정 그레이와 상기 제 1 그레이와의 차이인 제 1 차이값 및 상기 제 3 보정 그레이와 상기 제 3 그레이와의 차이인 제 2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픽셀들을 기설정된 단위로 구획하여 복수개의 단위 블록을 결정하고, 상기 단위 블록들 중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대해서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 입력 그레이가 소수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응되는 보정 루트(LUT)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수 부분에 대한 올림 또는 내림을 수행하고, 상기 올림 또는 내림의 수행 결과에 따라 추가 보정된 추가 보정 입력 그레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드라이버 IC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루트값은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루트값은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좌표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루트값은 0 이상이고,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보다 작은 정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입력 그레이는 상기 입력 그레이에 상기 게인값을 곱한 후 상기 오프셋값을 더한 값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그래프는 상기 제 1 그레이와 상기 제 1 휘도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 1 지점과 상기 제 2 그레이와 상기 제 2 휘도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그래프는 상기 제 1 그레이와 상기 제 1 휘도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 1 지점과 상기 제 2 그레이와 상기 제 2 휘도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스플라인 곡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플라인 곡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되는 최소 그레이와 최대 그레이 사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그레이 및 상기 제 2 그레이가 위치하는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입력 그레이를 보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픽셀에 대해서, 제 1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1 그레이와 제 2 그레이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1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 1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1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1 보정 그레이를 상기 제 1 그래프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제 2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3 그레이와 제 4 그레이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3 휘도값과 제 4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 2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3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3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3 보정 그레이를 상기 제 2 그래프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레이를 상기 제 1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고, 상기 제 3 그레이를 상기 제 3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기 위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그레이를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에 따라 보정하여 획득된 보정 입력 그레이를 이용하여 보정된 휘도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그레이를 보정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특히, 복수개의 그루핑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게인값 및 오프셋값이 결정된 경우, 입력 그레이는 게인값 및 오프셋값에 따라 보정 입력 그레이로 보정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구간에 대한 그래프인 제 1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2 구간에 대한 그래프인 제 2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직선 형태의 제 1 그래프와 직선 형태의 제 2 그래프가 동시에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구간에 대한 그래프인 제 3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2 구간에 대한 그래프인 제 4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곡선 형태의 제 3 그래프와 곡선 형태의 제 4 그래프가 동시에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인값과 오프셋값에 따른 입력값과 보정 입력값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가 보정 입력값을 추가 보정 입력값으로 추가 보정할 때 이용되는 루트값을 결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20)는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픽셀들 또는 블록들의 출력값(예: 휘도값)을 촬상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20)는 픽셀들 또는 블록들의 출력값을 촬상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출력값은 휘도값, 레드 컴포넌트값, 그린 컴포넌트값, 블루 컴포넌트값 등 픽셀 또는 블록으로부터 획득(예: 측정, 수신, 촬영)될 수 있는 각종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은 픽셀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블록들의 출력값을 획득 하는 실시 예는 픽셀들의 출력값(예 휘도값)을 획득한다는 실시 예의 일 예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촬상 장치(20)로부터 수신한 픽셀들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드라이버 IC(11)에 인가되는 입력값(예: 입력 그레이)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이용해서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에 포함된 픽셀들에 인가되는 입력 그레이를 보정하여 보정 입력 그레이를 획득하고, 보정 입력 그레이를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드라이버 IC에 인가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 및 드라이버 IC(11)는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0) 내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의 연산을 통해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픽셀의 결함이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이용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리시버(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촬상 장치(20)를 그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는 드라이버 IC(11) 및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PC, 전자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넷북, 모니터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일 수 있다.
드라이버 IC(11)는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픽셀을 점등하는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버 IC(11)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을 픽셀에 인가하여 픽셀을 점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리시버(110)는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픽셀들의 출력값(예: 휘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리시버(110)는 촬상 장치(20)로부터 출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출력값은 촬상 장치(20)가 디스플레이(10)로부터 획득하는 기설정된 형식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셀들의 출력값은 휘도값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픽셀들을 기설정된 단위로 구획하여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픽셀을 하나의 단위로 구획할 수 있고 다른 예로, 16개의 픽셀을 하나의 단위로 구획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수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에 대해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게인값 및 오프셋값은 단위 블록들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은 해당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한 보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한 입력값을 보정하여 보정 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값이 k이고 게인값이 a이고 오프셋값이 b일 때, 프로세서(120)는 보정 입력값을 “a*k+b”로 결정할 수 있다. k라는 입력값에 대한 이상적인 출력값이 x일 때, 픽셀의 결함 등에의해 k라는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이 x가 아닐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20)는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이용해 입력값을 보정함으로써, 이상적인 출력값(또는 이상적인 출력값과 가까운 출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k라는 입력값이 인가되어야 하는 경우, k라는 입력값 대신 a*k+b를 입력하여 x라는 출력값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픽셀마다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메모리의 양이 커지기 때문에,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단위 블록마다 게인값 및 오프셋값이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 입력값은 입력값에 게인값을 곱한 후 오프셋값을 더한 값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보정을 위해 이용되는 값이 게인값 및 오프셋값인 경우 사실상 1차식 형태의 보정이 수행되나, 보정을 위해 이용되는 값이 3개 이상인 경우 2차 이상의 수식 형태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입력값은 기설정된 그레이값에 대응하고,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그레이값에 대응하는 기준값과 출력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보정 전 입력값(입력 그레이)이 k이고 보정 후 입력 값(보정 입력 그레이)이 m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k를 m으로 만들기 위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보정 전 입력값이 입력 그레이일 때 보정 후 입력 값은 보정 입력 그레이일 수 있다.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입력값을 보정하여 보정 입력값을 획득하면, 보정 입력값은 게인값 및 오프셋값에 따라 소수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 입력값이 소수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픽셀들에 대응되는 보정 루트(LUT)값에 기초하여 소수 부분에 대한 올림 또는 내림을 수행하여 추가 보정 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올림 또는 내림의 수행 결과에 따라 추가 보정된 추가 보정 입력값을 드라이버 IC(11)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보정 루트값은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정 루트값은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수보다 작은 정수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보정 루트값은 0 이상이고,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수보다 작은 정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수가 4개인 경우, 4개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루트값은 각각 0, 1, 2, 3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수가 16개인 경우, 16개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루트값은 각각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수가 4개인 경우, 4개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루트값은 각각 0, 1, 2, 2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예로 보정 루트값을 결정하는 예가 제한 해석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 또는 디스플레이(10)는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을 결정할 때 LUT(look up table)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정 입력값이 소수인 경우, 프로세서(120) 또는 디스플레이(10)는 픽셀들에 대응되는 보정 LUT 값에 기초하여 소수 부분에 대한 올림 또는 내림을 수행하여 픽셀들에 인가하여 추가 보정 입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픽셀에 대한 보정 입력값이 25.6인 경우, 소수 부분은 0.6이고, 제 1 수식에 0.6을 인가한 결과값과 제 2 수식에 따라 결정된 제 1 픽셀에 대한 LUT값을 비교하여 보정 입력값을 25.0 또는 26.0으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수식에 0.6을 인가한 결과 값이 2.4이고(예: 0.6*4=2.4), 제 2 수식에 따라 결정된 제 1 픽셀에 대한 LUT값이 0인 경우, 프로세서(120) 또는 디스플레이(10)는 보정 입력값을 26.0으로 갱신하여 제 1 픽셀에 인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픽셀에 대한 보정 입력값이 25.5인 경우, 소수 부분은 0.5이고, 제 1 수식에 0.5를 인가한 결과값과 제 2 수식에 따라 결정된 제 1 픽셀에 대한 LUT값을 비교하여 보정 입력값을 25.0 또는 26.0으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수식에 0.5를 인가한 결과 값이 2.0(예: 0.5*4=2.0)이고, 제 2 수식에 따라 결정된 제 1 픽셀에 대한 LUT값이 2으로 서로 같은 경우, 프로세서(120) 또는 디스플레이(10)는 보정 입력값을 25.0으로 갱신하여 제 1 픽셀에 인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추가 보정 입력값을 갱신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수식 및 픽셀의 블록 상의 위치(예: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등)에 따라 LUT값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보정 입력값의 소수 부분에 기설정 값을 곱하여 획득된 값과 픽셀에 대응되는 루트 값을 비교해서 루트 값이 작은 경우 소수 부분에 대해 올림을 수행하고 루트 값이 크거나 같은 경우 소수 부분에 대해 내림을 수행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가 메모리(130)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130)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에 집적된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도 2에서 제 1 그레이, 제 2 그레이, 제 3 그레이, 제 4 그레이는 입력값의 일 예일 수 있고, 제 1 보정 그레이, 제 2 보정 그레이는 보정 입력값의 일 예일 수 있고, 제 1 휘도값, 제 2 휘도값, 제 3 휘도값, 제 4 휘도값은 출력값의 일 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픽셀에 대해서, 제 1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1 그레이와 제 2 그레이 각각에서 디스플레이(10)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1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에 따라 제 1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프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그래프는 두 개의 지점(제 1 그레이와 제 1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1 지점과 제 2 그레이와 제 2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그래프는 제 1 그레이와 제 1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1 지점과 제 2 그레이와 제 2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곡선(예: 스플라인 곡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플라인 곡선은 디스플레이(10)에서 구현되는 최소 그레이와 최대 그레이 사이의 범위 내에서 제 1 그레이 및 제 2 그레이가 위치하는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1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1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1 보정 그레이를 제 1 그래프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기준 휘도값은 입력 그레이가 인가되었을 때 출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상적인 휘도값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제 1 그레이가 입력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0)는 제 1 기준 휘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디스플레이(10)는 제 1 그레이가 입력되었을 때, 제 1 기준 휘도값이 아닌 제 1 휘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1 그래프를 이용해서 제 1 기준 휘도값이 출력되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입력값인 제 1 보정 그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그래프에 대한 역함수 관계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2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3 그레이와 제 4 그레이 각각에서 디스플레이(10)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3 휘도값과 제 4 휘도값에 따라 제 2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프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그래프는 두 개의 지점(제 3 그레이와 제 3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3 지점과 제 4 그레이와 제 4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4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그래프는 제 3 그레이와 제 3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3 지점과 제 4 그레이와 제 4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4 지점을 연결하는 곡선(예: 스플라인 곡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플라인 곡선은 디스플레이(10)에서 구현되는 최소 그레이와 최대 그레이 사이의 범위 내에서 제 3 그레이 및 제 4 그레이가 위치하는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3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3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3 보정 그레이를 제 2 그래프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기준 휘도값은 입력 그레이가 인가되었을 때 출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상적인 휘도값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제 3 그레이가 입력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0)는 제 3 기준 휘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디스플레이(10)는 제 3 그레이가 입력되었을 때, 제 3 기준 휘도값이 아닌 제 3 휘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그래프를 이용해서 제 3 기준 휘도값이 출력되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입력값인 제 3 보정 그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그래프에 대한 역함수 관계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1 그레이를 제 1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고, 제 3 그레이를 제 3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기 위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1 보정 그레이와 제 1 그레이와의 차이인 제 1 차이값 및 제 3 보정 그레이와 제 3 그레이와의 차이인 제 2 차이값에 기초하여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보정에 이용되는 보정값은 게인값 및 오프셋값 외에도 다른 값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게인값 및 오프셋값 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2 이상 차수의 함수 수식을 이용해서 3개 이상의 보정값을 이용해서 보정 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픽셀들을 기설정된 단위로 구획하여 복수개의 단위 블록을 결정하고, 단위 블록들 중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대해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보정 입력 그레이가 소수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응되는 보정 루트(LUT)값에 기초하여 소수 부분에 대한 올림 또는 내림을 수행하고, 올림 또는 내림의 수행 결과에 따라 추가 보정된 추가 보정 입력 그레이를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드라이버 IC(11)에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 루트값은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보정 루트값은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좌표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정 루트값은 0 이상이고,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보다 작은 정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입력 그레이를 게인값 및 오프셋값에 따라 보정하여 획득된 보정 입력 그레이를 이용하여 보정된 휘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1 그레이에 게인값을 곱한 후 오프셋값을 더하여 제 1 보정 그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3 그레이에 게인값을 곱한 후 오프셋값을 더하여 제 3 보정 그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원래 입력해야하는 입력 그레이가 아니라 보정 입력 그레이를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에 결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적인 휘도값에 가까운 출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가 디스플레이(10) 내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130)의 용량이 하드웨어 구현 과정에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단위로 하나의 게인값과 오프셋값이 할당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구간(340)에 대한 그래프인 제 1 그래프를 도시한다.
제 1 그래프는 제 1 그레이(311)와 제 1 휘도값(312)이 나타내는 제 1 지점(310)과 제 2 그레이(321)와 제 2 휘도값(322)이 나타내는 제 2 지점(320)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다.
기준 휘도값은 미리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1 그레이(311)에 대응하는 기준 휘도값인 제 1 기준 휘도값(332)을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제 1 기준 휘도값(332)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값인 제 1 보정 그레이(331)를 제 1 그래프를 이용해서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1 그레이(311) 대신 제 1 보정 그레이(331)를 입력함으로써, 제 1 기준 휘도값(332)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제 1 그래프가 실제로 디스플레이(10)에서 구현되는 그레이-휘도의 관계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오차는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2 구간(440)에 대한 그래프인 제 2 그래프를 도시한다.
제 2 그래프는 제 3 그레이(411)와 제 3 휘도값(412)이 나타내는 제 3 지점(410)과 제 4 그레이(421)와 제 4 휘도값(422)이 나타내는 제 4 지점(420)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다.
기준 휘도값은 미리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3 그레이(411)에 대응하는 기준 휘도값인 제 3 기준 휘도값(432)을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제 3 기준 휘도값(432)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값인 제 3 보정 그레이(431)를 제 2 그래프를 이용해서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3 그레이(411) 대신 제 3 보정 그레이(431)를 입력함으로써, 제 3 기준 휘도값(432)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제 2 그래프가 실제로 디스플레이(10)에서 구현되는 그레이-휘도의 관계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오차는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직선 형태의 제 1 그래프와 직선 형태의 제 2 그래프가 동시에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그래프와 제 2 그래프는 서로 상이한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제 1 그래프와 제 2 그래프는 모두 직선 형태이기는 하지만 서로 상이한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간(예: 제 1 구간, 제 2 구간)에 따라 서로 상이한 함수로 입력값과 출력값의 관계가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간별로 서로 상이한 직선의 함수로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관계를 모델링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모델링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제 1 그래프와 제 2 그래프를 무리하게 하나의 그래프로 모델링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많은 연산이 수행되어야 하거나, 불필요하게 많은 리소스(예: 메모리)가 소모될 수 있다. 그러나, 각 구간별로 상이한 그래프로 모델링된다는 점을 전제할 경우,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관계를 보다 용이하게 모델링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구간(640)에 대한 그래프인 제 3 그래프를 도시한다.
제 3 그래프는 제 1 그레이(611)와 제 1 휘도값(612)이 나타내는 제 1 지점(610)과 제 2 그레이(621)와 제 2 휘도값(622)이 나타내는 제 2 지점(620)을 연결하는 곡선(예: 스플라인 곡선)일 수 있다.
기준 휘도값은 미리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1 그레이(611)에 대응하는 기준 휘도값인 제 1 기준 휘도값(632)을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제 1 기준 휘도값(632)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값인 제 1 보정 그레이(631)를 제 3 그래프를 이용해서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1 그레이(611) 대신 제 1 보정 그레이(631)를 입력함으로써, 제 1 기준 휘도값(632)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제 3 그래프가 실제로 디스플레이(10)에서 구현되는 그레이-휘도의 관계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오차는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2 구간(740)에 대한 그래프인 제 4 그래프를 도시한다.
제 4 그래프는 제 3 그레이(711)와 제 3 휘도값(712)이 나타내는 제 3 지점(710)과 제 4 그레이(721)와 제 4 휘도값(722)이 나타내는 제 4 지점(720)을 연결하는 곡선(예: 스플라인 곡선)일 수 있다.
기준 휘도값은 미리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3 그레이(711)에 대응하는 기준 휘도값인 제 3 기준 휘도값(732)을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제 3 기준 휘도값(732)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값인 제 3 보정 그레이(731)를 제 4 그래프를 이용해서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3 그레이(711) 대신 제 3 보정 그레이(731)를 입력함으로써, 제 3 기준 휘도값(732)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제 4 그래프가 실제로 디스플레이(10)에서 구현되는 그레이-휘도의 관계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오차는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곡선 형태의 제 3 그래프와 곡선 형태의 제 4 그래프가 동시에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3 그래프와 제 4 그래프는 동일한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3 그래프와 제 4 그래프는 도 5의 경우와는 달리 동일한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제 1 픽셀의 입력값과 출력값 간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그래프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 1 픽셀의 제 1 그레이(611)가 인가되었을 때 제 1 휘도값(612)이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그레이(611)에 대한 이상적인 출력값은 제 1 기준 휘도값(632)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제 1 그레이(611)를 제 1 보정 그레이(631)로 보정하여 인가할 수 있다. 제 1 그레이(611)를 제 1 보정 그레이(631)로 보정하기 위해 게인값 및 오프셋 값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서는 제 1 픽셀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여러 개의 픽셀에 대해서 동일한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픽셀, 제 3 픽셀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픽셀에 상기 기술을 적용한 결과, 프로세서(120)는 여러 픽셀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게인값과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인값과 오프셋값이 개시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인값과 오프셋값에 따른 입력값과 보정 입력값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값을 보정 입력값으로 갱신할 때 게인값(a)과 오프셋값(b)이 이용될 수 있다.
게인값(a)과 오프셋값(b)은 복수의 픽셀들에 인가되는 입력값을 보정 입력값으로 갱신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게인값과 오프셋값만을 이용해서 입력값의 보정이 수행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를 때 더 많은 인수가 이용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인수가 이용되는 경우, 그래프는 다차식의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가 보정 입력값을 추가 보정 입력값으로 추가 보정할 때 이용되는 루트값을 결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위 블록 내에 포함된 픽셀들 각각의 위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좌표값이 대응될 수 있다.
각 픽셀들에 대한 좌표값은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각 픽셀들에 대한 좌표값이 순차적으로 결정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임의의 결정 방식에 따라 각 픽셀들에 대한 좌표값이 결정될 수도 있다.
현재 픽셀에 대응되는 루트값은 현재 블록 내에서 현재 픽셀의 상대적 위치 및 현재 블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각 픽셀에 대한 좌표값은 현재 블록 내에서 현재 픽셀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 픽셀에 대한 좌표값은 각 픽셀에 대한 루트 값을 결정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픽셀에 대한 루트값은 각 픽셀의 세로 좌표값과 단위 블록의 가로 크기를 곱한 값에 각 픽셀의 가로 좌표값을 더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2,1) 픽셀의 예를 들면, (2,1) 픽셀의 좌표값은 (2, 1)이고, 단위 블록의 가로 크기는 4이므로, (2,1) 픽셀의 루트값은 1(세로 좌표값)곱하기 4(단위 블록의 가로 크기)에 2(가로 좌표값)를 더한 값인 6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픽셀에 대한 루트값은 각 픽셀의 가로 좌표값과 단위 블록의 가로 크기를 곱한 값에 각 픽셀의 세로 좌표값을 더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2,1) 픽셀의 예를 들면, (2,1) 픽셀의 좌표값은 (2, 1)이고, 단위 블록의 가로 크기는 4이므로, (2,1) 픽셀의 루트값은 2(가로 좌표값)곱하기 4(단위 블록의 가로 크기)에 1(세로 좌표값)를 더한 값인 9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픽셀에 대한 루트값은 각 픽셀의 세로 좌표값과 단위 블록의 세로 크기를 곱한 값에 각 픽셀의 가로 좌표값을 더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1, 3) 픽셀의 예를 들면, (1, 3) 픽셀의 좌표값은 (1, 3)이고, 단위 블록의 세로 크기는 4이므로, (1, 3) 픽셀의 루트값은 3곱하기 4에 1를 더한 값인 13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픽셀에 대한 루트값은 각 픽셀의 가로 좌표값과 단위 블록의 세로 크기를 곱한 값에 각 픽셀의 세로 좌표값을 더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1, 3) 픽셀의 예를 들면, (1, 3) 픽셀의 좌표값은 (1, 3)이고, 단위 블록의 세로 크기는 4이므로, (1, 3) 픽셀의 루트값은 1곱하기 4에 3를 더한 값인 7일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에 개시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가 동작하는 모든 실시 예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픽셀에 대해서, 제 1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1 그레이와 제 2 그레이 각각에서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1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에 따라 제 1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프를 결정한다.
제 1 그래프는 두 개의 지점(제 1 그레이와 제 1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1 지점과 제 2 그레이와 제 2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그래프는 제 1 그레이와 제 1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1 지점과 제 2 그레이와 제 2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곡선(예: 스플라인 곡선)일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1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1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1 보정 그레이를 제 1 그래프로부터 결정한다.
기준 휘도값은 입력 그레이가 인가되었을 때 출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상적인 휘도값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제 1 그레이가 입력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0)는 제 1 기준 휘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디스플레이(10)는 제 1 그레이가 입력되었을 때, 제 1 기준 휘도값이 아닌 제 1 휘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1 그래프를 이용해서 제 1 기준 휘도값이 출력되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입력값인 제 1 보정 그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그래프에 대한 역함수 관계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11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2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3 그레이와 제 4 그레이 각각에서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3 휘도값과 제 4 휘도값에 따라 제 2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프를 결정한다.
제 2 그래프는 두 개의 지점(제 3 그레이와 제 3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3 지점과 제 4 그레이와 제 4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4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그래프는 제 3 그레이와 제 3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3 지점과 제 4 그레이와 제 4 휘도값이 나타내는 제 4 지점을 연결하는 곡선(예: 스플라인 곡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플라인 곡선은 디스플레이(10)에서 구현되는 최소 그레이와 최대 그레이 사이의 범위 내에서 제 3 그레이 및 제 4 그레이가 위치하는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14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3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3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3 보정 그레이를 제 2 그래프로부터 결정한다.
기준 휘도값은 입력 그레이가 인가되었을 때 출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상적인 휘도값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제 3 그레이가 입력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0)는 제 3 기준 휘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디스플레이(10)는 제 3 그레이가 입력되었을 때, 제 3 기준 휘도값이 아닌 제 3 휘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2 그래프를 이용해서 제 3 기준 휘도값이 출력되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입력값인 제 3 보정 그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그래프에 대한 역함수 관계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115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1 그레이를 제 1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고, 제 3 그레이를 제 3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기 위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제 1 보정 그레이와 제 1 그레이와의 차이인 제 1 차이값 및 제 3 보정 그레이와 제 3 그레이와의 차이인 제 2 차이값에 기초하여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16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입력 그레이를 게인값 및 오프셋값에 따라 보정하여 획득된 보정 입력 그레이를 이용하여 보정된 휘도값을 획득한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보정된 휘도값에 소수값이 포함된 경우,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소수값에 대한 올림 또는 내림을 수행하여 추가 보정 입력값(예: 추가 보정 입력 그레이)을 획득하고, 획득한 추가 보정 입력값을 드라이버 IC(11)에 인가하여 출력값(예: 휘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 20: 촬상 장치
11: 드라이버 IC
100: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110: 리시버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Claims (13)

  1.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입력 그레이를 보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셀에 대해서, 제 1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1 그레이와 제 2 그레이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1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 1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프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1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1 보정 그레이를 상기 제 1 그래프로부터 결정하고, 제 2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3 그레이와 제 4 그레이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3 휘도값과 제 4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 2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프를 결정하고, 상기 제 3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3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3 보정 그레이를 상기 제 2 그래프로부터 결정하고, 상기 제 1 그레이를 상기 제 1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고, 상기 제 3 그레이를 상기 제 3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기 위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 그레이를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에 따라 보정하여 획득된 보정 입력 그레이를 이용하여 보정된 휘도값을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보정 그레이와 상기 제 1 그레이와의 차이인 제 1 차이값 및 상기 제 3 보정 그레이와 상기 제 3 그레이와의 차이인 제 2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을 결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픽셀들을 기설정된 단위로 구획하여 복수개의 단위 블록을 결정하고, 상기 단위 블록들 중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대해서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을 결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 입력 그레이가 소수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응되는 보정 루트(LUT)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수 부분에 대한 올림 또는 내림을 수행하고,
    상기 올림 또는 내림의 수행 결과에 따라 추가 보정된 추가 보정 입력 그레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드라이버 IC에 인가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루트값은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루트값은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좌표값에 따라 결정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루트값은 0 이상이고, 상기 픽셀이 포함된 단위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보다 작은 정수 값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입력 그레이는 상기 입력 그레이에 상기 게인값을 곱한 후 상기 오프셋값을 더한 값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래프는 상기 제 1 그레이와 상기 제 1 휘도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 1 지점과 상기 제 2 그레이와 상기 제 2 휘도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래프는 상기 제 1 그레이와 상기 제 1 휘도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 1 지점과 상기 제 2 그레이와 상기 제 2 휘도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스플라인 곡선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 곡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되는 최소 그레이와 최대 그레이 사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그레이 및 상기 제 2 그레이가 위치하는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12.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입력 그레이를 보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셀에 대해서, 제 1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1 그레이와 제 2 그레이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1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 1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1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1 보정 그레이를 상기 제 1 그래프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제 2 그레이 구간에 포함되는 제 3 그레이와 제 4 그레이 각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휘도값인 제 3 휘도값과 제 4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 2 그레이 구간에서 그레이 변화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3 그레이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인 제 3 기준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3 보정 그레이를 상기 제 2 그래프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레이를 상기 제 1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고, 상기 제 3 그레이를 상기 제 3 보정 그레이로 보정하기 위한 게인값 및 오프셋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그레이를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오프셋값에 따라 보정하여 획득된 보정 입력 그레이를 이용하여 보정된 휘도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 12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00917A 2020-01-03 2020-01-03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94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917A KR20200094638A (ko) 2020-01-03 2020-01-03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917A KR20200094638A (ko) 2020-01-03 2020-01-03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588A Division KR102064756B1 (ko) 2019-01-30 2019-01-30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638A true KR20200094638A (ko) 2020-08-07

Family

ID=7204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917A KR20200094638A (ko) 2020-01-03 2020-01-03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46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96887A (zh) * 2024-01-02 2024-02-02 吉林大学 一种led医用显示高精细灰度控制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96887A (zh) * 2024-01-02 2024-02-02 吉林大学 一种led医用显示高精细灰度控制系统
CN117496887B (zh) * 2024-01-02 2024-03-12 吉林大学 一种led医用显示高精细灰度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0545A1 (zh) 伽马调整的方法及装置
CN108039143B (zh) 一种伽马电路调整的方法及装置
US202200053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ixel compensation valu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335233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3495709B (zh) 色彩校正方法、ap芯片、终端和存储介质
US9747847B2 (en) Dynamically updating an electronic paper display by computational modeling
US112446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uminance of display device
US10664959B2 (en) Method of performing an image-adaptive tone mapping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US11170690B2 (en) Pixel leakage and internal resistance compens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4242013B (zh) 消除液晶显示器亮度mura缺陷的方法及装置
KR20200094638A (ko)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64756B1 (ko)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07060B1 (ko)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7767327B (zh) 图像渲染方法及装置、计算设备、显示设备
CN112992065B (zh) 显示面板的亮度调节方法、亮度调节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206236A (zh) 伽马调试方法、伽马调试装置及显示装置
US2021013394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similarity of adjacent rows in a picture and display device
KR20170015678A (ko) 영상 처리 방법,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900846B2 (en) Chrominance visual angle correction method for display, and intelligent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083262B1 (ko)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381828B2 (e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determining similarity of adjacent rows of an image
CN114708826B (zh) 亮度校正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624008B (zh) 拖影测试方法、装置及系统、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20200128257A1 (en) Method and module for processing image data
JP5268146B2 (ja) 表示ムラの再現方法及び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