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738A -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 Google Patents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738A
KR20200093738A KR1020190010704A KR20190010704A KR20200093738A KR 20200093738 A KR20200093738 A KR 20200093738A KR 1020190010704 A KR1020190010704 A KR 1020190010704A KR 20190010704 A KR20190010704 A KR 20190010704A KR 20200093738 A KR20200093738 A KR 2020009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ar
elevator
brak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3779B1 (en
Inventor
윤창열
Original Assignee
윤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열 filed Critical 윤창열
Priority to KR102019001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779B1/en
Publication of KR2020009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7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36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which prevents an elevator car from tilting to one side or deflecting downwards by a load by loaded or unloaded cargo or riding or alighting passengers after the elevator car stops on a floor of a building corresponding to an entrance of the elevator, and facilitates coupling of a brake pad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right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for elevator deflection prevention having a rotary brake pad which compresses a fixed pad mounted in an elevator room and a brake pad arranged on an actuator mounted on the car on each other if the car stops at an entrance of the elevator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rotates the brake pad about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vator room to rotate the brake pad by the fixed pad even if the car deflects to one side by an increase in a load caused by passengers or cargo in the car and stably couple and release the brake pad by compression, and clamps to allow the horizontal phase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horizontal phas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to always have the same position.

Description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에 멈춘 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결합이 용이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카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멈출 경우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동패드가 엘리베이터실의 수직한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하중이 증감되어 상기 카가 한쪽으로 치우치더라도 상기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안정적으로 압착에 의한 결합 및 압착에 의한 결합이 해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카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s the car of the elevator from being struck downwards or inclined to one side due to the load caused by passengers loading or unloading or loading or unloading after the car of the elevator stops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doorway of the elevator. Regarding a device for easily combining the brake pads, in more detail, when the car stops at the doorway of an elevator installed on a floor provided on each floor of a building, a fixed pad mounted inside the elevator room and an actuator mounted on the car The braking pads provided at each other are configured to be compressed and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raking pa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om as an axis, so that the load due to passengers or cargo increases or decreases in the car, even if the car is biased toward The braking pad can be reliably clamped to the fixed pad so that the coupling by crimping and the coupling by crimping can be released, and the horizontal phase of the car floor and the horizontal phase of the building floor always have the same position.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elevators equipped with a rotating brake pad.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설비는 건물 내에 설치된다. 이 설비는 지지 수단에 의해 균형추 또는 제2엘리베이터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엘리베이터실은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엘리베이터실 또는 균형추에 직접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Generally, elevator equipment is installed in a building. The installation is substantially made of a counterweight or a second elevator chamber by means of support. This elevator room is selectively moved along a substantially vertical guide rail by means of support or by a drive directly acting on the elevator room or counterweight.

이러한 엘리베이터 설비는 단층 또는 여러 층에 걸쳐 건물 내부에서 사람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승강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다.Such elevator facilities are used to transport people and goods inside a building on a single floor or on multiple floors, and include devices for protecting a passenger room in the event of failure of a driving unit or support means.

다음은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The following is a typical prior art related to an elevator braking devic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86호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와이어가 끊어졌을 경우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유압발생부 연결되어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될 경우 별도로 구비된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를 물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면 피스톤이 조를 상향가압하여 조가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에 밀착 가압되어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0405486 relates to an elevator safety device,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and connected to the wire and generates a hydraulic pressure when the wire is broken,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hydraulic pressure When a hydraulic pressure is generated by the hydraulic generating part connected to the generating part, including a separately provided auxiliary wire or a braking part that generates a braking force by vertical bars, when hydraulic pressure is generated by the hydraulic generating part, the piston presses the jaw upwards The jaw was configured to exert the braking force by being pressed closely to the auxiliary wire or vertical bar.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카(본 발명의 '카'와 대응됨.)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하는 제동부가 항상 와이어와 연결되고, 와이어에 제동력을 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카에 적재되는 중량물에 의한 엘리베이터카의 중량 증대로 인하여 와이어가 쳐지거나 건물의 플로어 바닥과 엘리베이터카의 바닥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the elevator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nected to the wire and always applies the braking force to the elevator car because the braking part that exerts the braking force for the elevator car (corresponds to the'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elevator car. Due to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r due to the weight of the load, there is a fear that a wire may be hit or a step may occur betwee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floor of the elevator car, an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to solve this.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비는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엘리베이터카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잇는 제동부와 함께 비상시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제동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로 이동되거나 외부로 이동되는 중량물의 이동 발생시 엘리베이터카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전후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쳐져 기울어짐으로, 엘리베이터카의 수평레벨 유지가 어려워 사고의 원인이되며, 엘리베이터카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 또한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상제동 장치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vator facility is equipped with an emergency braking device capable of braking the elevator car in an emergency with a braking unit capable of generating braking force in a wire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as in the prior art. When the movement of a heavy object that is moved or moved to the outside occurs, the elevator car is struck downward or tilted in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elevator car, causing an accident. Accordingly,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is also inclin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does not operate normally,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to solve this problem.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86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040548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750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1-000750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29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082966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에 대한 일정의 제동력을 가하는 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 장치는 대부분 상기 카에 대한 승하강력을 형성시키는 와이어를 강력하게 파지시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카가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의 바닥면의 수평위상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도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devised to solve a probl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a device that applies a certain braking force to an elevator car, and the brak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car strongly grips a wire forming a raising and lowering force for the car. Since the car connected to the wire is configured to stop, when the temporary or constant load due to passengers or cargo is applied to the c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rizontal phase of the floor surface of the car and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floor may be different. ,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a step could occur between the floor of the car and the floor of the building even when the car is stopped at the correct position at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엘리베이터의 카에 비상제동 장치가 구비되어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경우, 상기 카가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 또한 기울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기울어져 레일 또는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패드의 톱니와 제동패드의 톱니가 어긋나 맞닿게 되어 정상적으로 압착되어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Even when an emergency braking device is provided in an elevator car, when the load due to passengers getting on or off or loading or unloading is biased to one side, the car is inclined, and accordingly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is also inclined. The braking pad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is tilted so that the teeth of the fixed pad and the teeth of the braking pad, which are mounted inside the rail or elevator room,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problems that cannot be crimped and combined, thereby providing a solution to this. The main purpose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엘리베이터의 카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 또는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이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패드홈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에 의해 상기 홀더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fixing pads mounted on a rail or an interior of an elevator room supporting a vertical movement of an elevator car, an actuator mounted on the car, and a rod of the actuator to realize the desired purpose as described above. It is reciprocally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pad groove in the front and the rear is inserted into the pad groove, is coupled to the holder by a coupling shaft, is coupled to be rotatable about the coupling shaft, and fixed It provides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elevator with a rotating brake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king pad that is compressed and released from the pa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와 제동패드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톱니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동패드는 상기 고정패드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eeth having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is formed on each crimping surface of the fixing pad and the braking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eth have curved end portions. It is formed in the form, the braking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pa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드와 홀더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에 고정체결되는 전방하우징과 상기 전방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피스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은 상기 홀더가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rod and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the actuator is fixed to the car front housing and the inner space of the front housing It is built in and comprises a piston portion for reciprocating the ro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pressure of either hydraulic or pneumatic, and the front housing is sliding in the holder is inward, so as to be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space formed in front of the interior spa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드홈은 상기 제동패드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설치홀은 상기 패드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동패드를 탄성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플런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d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rak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earance groove formed to extend to limit the angle at which the braking pad is rotated on both sides, The holder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peripher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that are formed to be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ad groove, and the installation holes are coupled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pad grooves to rotate the braking pad that is rot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nger to restore to the correct position b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동패드는 상기 플런져의 말단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홀은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aking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guide holes in which the end of the plunger is inserted, the guid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do.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정위치에 정차될 때, 고정패드와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정차된 카를 레일 또는 엘리베이터실에 견고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The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elevator provided with the rotational brak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 of the elevator is stopp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doorway of the elevator, the fixed pad and the braking pad are compressed and stopped. You can get the effect of clamping the car firmly to the rail or elevator room,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 카에 승객이 많이 탑승하거나, 화물,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탑재되더라도, 승객, 화물, 지게차 또는 화물차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와이어쳐짐 및 카의 하강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As a result, even when the car is stopped in a fixed position at the doorway of the elevator, or if a forklift truck or a truck loaded with cargo or cargo is loaded, the wire is shrunk due to the load by the passenger, cargo, forklift or truck, and You can get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car from falling,

특히,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당 하중의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재되더라도 카의 하강이 발생하지 않아,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argo elevator, even if a forklift truck or a truck loaded with a considerable load of cargo is mounted on the car of the elevator, the car does not descend, so a step does not occur between the car's bottom surface and the building floor. On the other hand,

엘리베이터의 카에 승객이 탑승 혹은 하차되거나, 화물, 지게차, 화물차가 탑재 혹은 하역될 때, 상기 카의 하중변화가 일측에서 치우쳐 발생되는 경우에도 고정패드와 제동패드의 상호 압착되어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안정된 클램핑 효과를 얻을 수 있고,When passengers are boarded or unloaded in the car of an elevator, or when a load, forklift, or freight vehicle is loaded or unloaded, even when the load change of the car is biased at one side, the fixed pad and the brake pad are compressed to each other to make the coupling smoothly. Stable clamping effect,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카를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된 상태로 정차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ain brake device of the elevator is broken or damage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generate an emergency braking force that can stop the car in a fixed position at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고정패드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의 톱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플런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rail.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rail.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d of the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rail.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uator of a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rail.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ctuator of a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of the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king pad of the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eth of a braking pad of a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actuator of a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nger of a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멈춘 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결합이 용이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20)와, 상기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32)이 형성되는 홀더(30) 및 상기 패드홈(32)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41)에 의해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ar 200 of the elevator is stopped on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doorway 130 of the elevator, and then the car 200 of the elevator due to the load due to passengers getting on or off or loading or unloading cargo. As to the apparatus that facilitates the engagement of the brake pads as well as preventing it from being struck downward or tilted to one side, and more specifically, the rail 100 suppor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r 200 of the elevator or A plurality of fixing pads 10 mounted inside the elevator room 110, an actuator 20 mounted on the car 200, and rods 22 of the actuator 20 are provided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movable, the holder 30 in which the pad groove 32 is formed in the front and the rear is inserted into the pad groove 32, and is coupled to the holder 30 by the coupling shaft 41, and the coupling shaft It is coupled to be rotatable around (41) and has a rotating braking pad that includes a braking pad (40) that is compressed and released from the fixed pad (10) to prevent elevator sagging, and to prevent accidental clamping. It's about the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20);와 상기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32)이 형성되는 홀더(30); 및 상기 패드홈(32)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41)에 의해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rail 100 for suppor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r 200 of the elevator or a plurality of fixing pads 10 mounted inside the elevator room 110; and the car An actuator 20 mounted on the 200; and a holder 30 provided on the rod 22 of the actuator 20,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pad groove 32 formed in the front; And a rear end of the pad groove 32, coupled to the holder 30 by a coupling shaft 41, coupl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coupling shaft 41, and fixed pad 1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cluding; braking pads 40 that are crimped and released from crimping.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톱니(11)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eeth 11 having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is configured to be formed on each crimping surface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th 11 is formed in a curved end portion, the braking pad 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pad (1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드(22)와 홀더(30)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30)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카(200)에 고정체결되는 전방하우징(21);과 상기 전방하우징(21)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2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피스톤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21)은 상기 홀더(30)가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21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rod 22 and the hold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elastic member 34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30; and the actuator 20 The front housing 21 is fixedly fastened to the car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od 22 is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either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e piston portion 23, the front housing 21 is a guide space formed in front of the inner space to be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older 30 is sliding in and sliding, is supported (21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드홈(32)은 상기 제동패드(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격홈(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홀더(30)는 상기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32)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3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설치홀(36)은 상기 패드홈(32)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동패드(40)를 탄성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플런져(3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d groov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raking pad 40, the gap groove 32a extending to limit the angle at which the braking pad 40 rotates on both sid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the holder 30 is form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36 are formed through the so as to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pad groove 32; includes It is configured, and the installation hole 36 is coupl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pad groove 32, the plunger (36a) for restoring the rotating brake pad 40 to the fixed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comprises a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동패드(10)는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홀(14)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aking pa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holes (44) into which the ends of the plunger (36a) is inserted, the guide hole 14 is a rail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0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공지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엘리베이터의 카(200)(이하, '카(200)'라 통칭한다.)가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정위치되며 정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에 포함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 카(200)를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First of all,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rotating brak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mounted on a known elevator system, and is called an elevator car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ar 200'). Collectively.) is positioned in the elevator entrance 130 installed on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so that it can maintain a stopped state, and if the brake device included in the elevator system breaks down or is damaged, the car 200 It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device that generates a braking force that can cause emergency braking.

즉,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종의 공법으로 만들어진 건축물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실(110)에 시설되고,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승객의 탑승 혹은 하차 및/또는 화물의 탑재 혹은 하역이 이루어지는 카(200), 상기 카(200)와 일측이 연결되는 일정의 길이의 와이어(210), 상기 카(200)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와이어(210)의 타측에 연결되는 균형추(220), 상기 와이어(210)에 이송력을 가하여 상기 카(200)에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권상기(230) 및 상기 와이어(210) 또는 카(2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elevator system is installed in an elevator room 110 provided in a building made of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and generally, as shown in FIG. 1, a car 200 in which passengers board or unload and/or load or unload cargo is made, The wire 2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r 200, the counterweight 22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ire 210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ar 200, and transferred to the wire 2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ction machine 230 that provides an elevating force to the car 200 by applying a force, a brake device mounted on the wire 210 or the car 200, and the like.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200)는 건축물의 복수 플로어(120)에 각각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맞추어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와 카(200)의 사이에는 여닫힘이 가능한 엘리베이이터 출입문(140)이 마련되는 구성을 한다.In addition, the car 200 of the elevator system is configured to stop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or doorways 130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floors 120 of the building, and at this time, the doorways 130 and the car 200 of the elevator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the elevator door 14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는 카(200)가 흔들림을 최소화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건축물의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레일(100)이 설치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카(200)에는 레일(100)에 대한 승하강의 용이성 및 흔들림 방지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가이드슈 및/또는 가이드 롤러와 같은 장치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rails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ight direction of the building) of the elevator room 110 so that the car 200 can move up and down while minimizing shaking in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room 110 ( 10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and the car 200 is configured to be further equipped with a device such as a guide shoe and/or a guide roller in order to realize ease of elevating and shaking against the rail 100.

더불어, 상기 레일(100)은 H자형 빔 형태, T자형 빔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 3과 같이, 상기 레일(100)은 T자형 빔의 것을 일실시예로 설명하고, 상기 T자형 빔의 중간부분에 돌출된 리브를 '중앙리브(101)'라 칭한다.In addition, the rail 1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H-shaped beam shape and a T-shaped beam shape. 3, the rail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T-shaped beam, and the rib protruding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T-shaped beam is referred to as a'central rib 101'.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은 건축물의 건축 공법의 종류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형강 구조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레일(100)은 엘리베이터실(110)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구성을 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room 110 may be formed by a structure such as a concrete structure or a section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and the rail 100 form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elevator room 110. And install i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고,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각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Hereinafter,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rotating brak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elevator system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ddition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presented above, It can be mounted in various configurations of elevator systems.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정위치'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바닥면과 상기 특정 플로어(120)의 바닥이 동일한 수평 위상을 가지도록 정차된 위치를 일컫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exact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200 means that the car 200 is stopped at a specific floor 120 of the plurality of floors 120, and the bottom of the car 200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specific floor 120 have the same horizontal phas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쳐짐'이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내외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특히, 카(200)의 내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상기 카(200)가 플로어(120)의 수평레벨보다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일컫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agging" of the elevator car 200 means that the car 200 is stopped at a specific floor 120 of the plurality of floors 120,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r 200. When a heavy object is moved, in particular, when the heavy object is moved inside the car 200, it refers to the car 200 being moved below the horizontal level of the floor 120.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기울어짐'이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내외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특히, 카(200)의 내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상기 카(200)가 플로어(120)의 수평레벨보다 하부로 이동되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만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일컫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tilting" of the elevator car 200 means that the car 200 is stopped at a specific floor 120 of the plurality of floors 120, inside and outside the car 200. When a heavy object is moved, particularly, when the heavy object is mov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r 200, the car 200 is moved below the horizontal level of the floor 120, but only one of the left or right sides is moved downward. Refers to being moved.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패드(10)는The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d 10 is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구비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동패드(40)가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어 상기 카(200)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unted inside the rail 100 or the elevator room 110 supporting vertical movement of the car 200 of the elevator, a plurality is provided, and the braking pad 4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s compressed or relea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or release the braking force to the car (200).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패드(10)는 도 2와 같이, 건축물의 높이방향(이하, 수직방향으로 함.)으로 승강 및 하강 이동되는 카(200)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상기 레일(100) 또는 상기 레일(100)을 내재시키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일정부분에 장착되어,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멈춘 경우에 카(200)에 구비된 제동패드(40)와 일정의 압착력을 형성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Specifically, the fixing pad 10, as shown in Figure 2, the rail 100 to prevent the car 200 moving up and down in the height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ilding does not sha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t is mounted on a certain part of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room 110 to embed the rail 100, the car 200 is provided in the car 200 when it is stopped on a specific floor 120 of the plurality of floors 120 A constant braking force is formed with the brake pad 40 to generate braking force.

즉, 상기 고정패드(10)는 하기의 제동패드(40)와 연계되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경우에 압착력을 형성시킴으로써, 카(200)가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착면이 평평한 상태를 가지는 판상의 블록 형태로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착면은 하기 제동패드(40)의 압착면과 대응 압착되어 카(200)에 탑승 혹은 하차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 지게차, 화물차(이하, '중량물'이라 칭한다.)의 하중에 의하여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의 쳐짐을 방지시키고, 카(200)의 내부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xing pad 10 is connected to the following brake pad 40 to form a compressive force when the car 200 is stopped on a specific floor 120, so that the car 200 is the specific floor ( If it can be clamped to 120)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forms, preferably the crimping surface is configured to have a plate-like block shape having a flat state, the crimping surface and the crimping surface of the following brake pad 40 Corresponding crimping of the wire 21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 200 by the load of the passengers boarding or unloading the car 200 or the cargo, forklift, or freight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heavy weight') that is loaded or unloaded. To prevent sagging,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tep 150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r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120.

아울러, 상기 고정패드(10)는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에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패드(1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고정패드(10)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100)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d 10 has the same or similar length as the interior of the rail 100 or the elevator room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is mounted on the rail 100 or the elevator room 110. Although it may be, preferably, the fixing pad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each of the fixing pad 10 is the same as the horizontal phase of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or adjacent rail 100 or building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in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room 110 of the same or adjacent portion of the horizontal phase of the floor 120 of the.

이때,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100)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라 함은 도 2와 같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멈췄을 때, 카(200)의 상부, 중간부,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room 110 of the same or adjacent part of the horizontal phase of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120 or the same as the horizontal phase of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120 or the adjacent part of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120 2, as shown in FIG. 2, when the car 200 is positioned and stopped on a specific floor 120, the rail 100 or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car 200 Refers to the interior of the seal 110.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액추에이터(20)는The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or 20 is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패드(10)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동패드(40)가 결합되는 홀더(3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고정패드(10)와 상기 제동패드(40)가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being mounted on the car 200 of the elevator, the holder 30 to which the braking pad 4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fixing pad 10 is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fixing pad 10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ing pad 40 is pressed or released.

구체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일정부분이 상기 카(200)에 고정체결되고, 외부의 공압, 유압 또는 전원을 공급받아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된 상기 제동패드(40)가 설치된 홀더(30)의 고정패드(10)에 대한 왕복 이동여부를 조절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레일(100)의 일부분인 중앙리브(101)를 중심으로 중앙리브(101)의 어느 한쪽 편에만 구비되는 구성을 하거나, 중앙리브(101)의 양쪽 편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actuator 20 has a certain portion fixedly fastened to the car 200, and receives external pneumatic, hydraulic, or power to the braking pad 40 provided on the rod 22 of the actuator 20. If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reciprocat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xed pad 10 of the holder 30 is installed, a variety of types can be used, and the actuator 20 is a central rib 101 which is a part of the rail 100 It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only one side of the central rib 101, or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rib 101.

또한, 상기와 같이 액추에이터(20)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패드(10) 및 제동패드(40)가 설치된 홀더(30) 역시 상기 중앙리브(101)를 중심으로 양쪽 편에 각각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actuator 20 is configured as a pair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30 on which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are installed is also configured on both sides around the central rib 101, respectively. It should be obvious.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홀더(30)는The main component holder 30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32)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에 형성된 패드홈(32)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동패드(40)가 레일(1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고정패드(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동패드(40)에 전달되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하중 전달이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 및 피스톤부(23)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20)와 설치된 다수의 패킹(미표시)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원활하게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ake pad provided on the rod 22 of the actuator 20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pad groove 32 formed in the front, the pad pad 32 formed in the fro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elevator car 200 delivered to the braking pad 40 by being coupled so that the 40 is rotated in the axis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100, that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xing pad 10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load to the rod 22 and the piston portion 23 of the actuator 20 prevents damage to the actuator 20 and the plurality of packings (not shown) installed, as well as the brake pad 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smoothly pressed or released from the fixing pad 10.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30)는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부(23)의 전방에 돌출된 로드(22)의 말단에 후방이 복수 개의 결합볼트(미표시)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부(23)의 전진과 후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Specifically, the holder 3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rod 22 protruding in front of the piston portion 23 of the actuator 20 using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not shown), the piston portion 23 ) Is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동패드(40)는The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king pad 40

상기 홀더(30)의 패드홈(32)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41)에 의해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30)와 함께 액추에이터(20)에 의한 왕복 이동가능성으로 상기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여부가 결정되고, 액추에이터(20)에 의한 가압력으로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력이 형성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40)는 후면에 베어링(미표시)이 결합되어 홀더(3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된다.The rear is inserted into the pad groove 32 of the holder 30, is coupled to the holder 30 by a coupling shaft 41, is coupl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coupling shaft 41, the fixing As being compressed and released from the pad 10, whether or not crimping to the fixed pad 10 is determined by reciprocating movement by the actuator 20 together with the holder 30, the pressing force by the actuator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fixing pad 10 is formed to generate a braking force. At this time, the brake pad 40 is coupled to the bearing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is rotated freely from the holder (30).

즉,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압착면과 대응되는 압착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카(200)가 엘리베이터실(110)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동안에는 상기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이 해제된 상태를 가지며,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멈춘 상태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하여 홀더(30)와 함께 고정패드(10) 쪽으로 이동되어 압착된다.That is, the braking pad 4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ss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surface of the fixing pad 10 is formed, and while the car 200 is elevated or lowered in the elevator room 110, the fixing pad ( 10) has a state in which the crimping is released, the car 200 is positioned on a specific floor 120, and in the stopped state, the fixing pad 10 together with the holder 30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20 It is moved to the side and compressed.

이때,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멈춘 상태의 카(200)가 다시 승강 또는 하강이동되도록 작동되면, 카(200)의 승하강 이전에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와 반대로 제동패드(40)를 고정패드(10)에서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홀더(30)와 함께 이동시켜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 간의 압착을 해제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car 200 in a stopped state on the specific floor 120 is operated to move up or down again, the actuator 20 prior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ar 200 has the brake pad 40 as opposed to the above Is moved together with the holder 30 in the direction of dropping from the fixing pad 10 to release crimping between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는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하며 멈출 경우, 상기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 쪽으로 수평이동되어 압착력이 형성되고, 상기 상태에서 카(200)에 중량물이 탑재되더라도 상기 카(2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도로 와이어(210)에 대한 인장력이 전혀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카(200)를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above,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are horizontal when the car 200 stops while being positioned on a specific floor 120, the braking pad 40 is horizontal toward the fixing pad 10 It is moved so that a compressive force is formed, and even if a heavy object is mounted on the car 200 in the above state, the car 200 does not apply any tensile force to the wire 210 separately from the brake device in which the elevator system is basically mounted. The car 200 may be clamped inside the rail 100 or the elevator room 110.

이때,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카(200) 멈춤은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에 대한 하중을 전혀 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210)의 중량물의 탑재에 의한 와이어(210)의 쳐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와이어(210) 쳐짐으로 인한 카(200)의 순간 또는 계속적인 하방으로의 쳐짐으로 인하여 카(200)의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 즉, 쳐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stop of the car 200 by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does not apply a load to the wire 21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r 200, the weight of the wire 210 There is no sagging of the wire 210 due to the mounting of the wire 210 and the bottom surface and the floor 120 of the car 200 due to the momentary or continuous sagging of the car 200 due to the sagging of the wire 210. Step 150 between the bottom surface, that is, to realize the effect of preventing sagging.

아울러,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는 상호 압착력을 형성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they can form or release mutually pressing for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a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teeth 11 having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is formed on the crimping surface.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는 상기 제동패드(40)가 상기 고정패드(10)로 압착되는 경우 상호 대응되어 맞물려 압착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Each of the fixing pads 10 and the braking pads 40 h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that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ads 10 and the braking pads 40 (up and down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eeth 11 having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e tooth 11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tooth 11 of the braking pad 40 is the braking pad ( When 40) is compressed by the fixing pad 10, it i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pressed, thereby realizing an effect of generating a braking force.

이때, 상기 톱니(11)는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돌출되거나 파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내구성을 고려하여 도 6과 같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eeth 11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or fine shape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and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a protruding shape as shown in FIG. 6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Do.

또한, 상기 톱니(11)의 길이는 당업자의판단에 의해 고정패드(10) 및 제동패드(40)의 폭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거나 복수로 나누어지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톱니(11)는 고정패드(10) 및 제동패드(40)의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형성하며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teeth 11 can be configured to form a straight line or divided into a plural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by the judg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teeth 11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form a multi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configured to form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즉, 상기 톱니(11)는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정차되었을 경우, 고정패드(1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가 상호 맞닿으며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고정패드(10)에 형성된 톱니(11)와 제동패드(40)에 형성된 톱니(11) 간의 끼움에 의한 간섭으로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 간의 압착력이 증대되어, 카(200)가 보다 견고하게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at is, the tooth 11 is a car 200 is positioned on a specific floor 120, and when it is stopped, the tooth 11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pressing surface of the braking pad 40 The teeth (11)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configured to be fitted, and the fixed pad (10) due to interference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teeth (11) formed in the fixing pad (10) and the teeth (11) formed in the braking pad (40) The pressing force between the braking pads 40 is increased,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allowing the car 200 to be clamped more firmly inside the rail 100 or the elevator room 110.

한편, 카(200)의 내부에 중량물이 균형을 이루며 탑재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어 탑재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플로어(120)에 정차된 카(200)는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동패드(40)가 카(200)와 함께 일정각도 기울어진상태로 고정패드(10)에 압착되면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기울어진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맞닿게 된 후 상기 제동패드(40)가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대응되어 맞물려져 압착력이 발생되므로,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진 상태의 카(200)를 플로어(120)에 정위치로 복귀시키며 카(200)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inside the car 200 is not mounted in a balanced manner, and is mounted eccentrically on either side, the car 200 generally stopped on the floor 120 is eccentric at a certain ang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braking pad 40 is pressed to the fixing pad 10 in a stat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car 200, the teeth 11 and the inclined braking pad 40 of the fixing pad 10 ) After the teeth 11 of the contact, the braking pad 40 is rotated about the coupling shaft 41 and the teeth 11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teeth 11 of the braking pad 40 ) Is engaged, and a pressing force is generated, thereby returning the car 200 in an inclined state at a certain angle to the floor 120 and returning the car 200 to a fixed position,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clamping the car 20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와 같이, 중량물의 불균형적인 탑재 혹은 하역에 의하여 카(200)가 일정각도 기울어진 경우, 상기 카(200)에 장착된 제동패드(40)는 카(200)와 함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패드(10)에 대응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9, when the car 200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due to unbalanced loading or unloading of heavy objects, the braking pad 40 mounted on the car 200 is connected to the car 200. Together, it corresponds to the fixed pad 10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front-rear direction.

이때, 상기 제동패드(40)는 액추에이터(20)의 작동력에 의하여 홀더(30)와 함께 고정패드(10) 쪽으로 전진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패드(1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의 말단과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의 말단이 맞닿게 되며, 고정패드(10)의 톱니(11)는 고정되어 있고, 제동패드(40)의 톱니(11)는 결합축(41)을 중심으로 제동패드(40)가 회전되므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동패드(40)는 결합축(3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braking pad 40 is moved forward toward the fixing pad 10 together with the holder 30 by the operating force of the actuator 20, and the teeth 11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fixing pad 10 The dist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tooth 11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braking pad 40 come into contact, the tooth 11 of the fixing pad 10 is fixed, and the tooth 11 of the braking pad 40 is engaged Since the braking pad 40 is rotated around the shaft 41, the teeth 11 of the braking pad 40 are moved upward or downward by the teeth 11 of the fixed pad 10, Accordingly, the braking pad 4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a certain angle around the coupling shaft 31 so that the teeth 11 of the braking pad 40 are sandwiched between the teeth 11 of the fixing pad 10. Lose.

상기의 경우, 상기 제동패드(40)는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들이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 즉, 빈공간으로 이동에 의하여 일정각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위상이 변하게되고, 그 결과 제동패드(40)가 구비된 홀더(30) 및 액추에이터(20)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20)가 체결된 카(200)가 일괄적으로 일정각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중량물의 불균형된 탑재에 의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던 카(200)가 정위치로 즉,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braking pad 4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a certain angle by moving the teeth 11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between the teeth 11 of the fixing pad 10, that is, by moving to an empty space. As a result, as a result, the holder 30 and the actuator 20 provided with the braking pad 40 and the car 200 to which the actuator 20 is fastened are collective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a certain angle, resulting in imbalance of the weigh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allowing the car 200, which has been inclined at a certain angle by mounting, to be returned to a fixed position, tha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아울러, 상기 톱니(11)의 크기, 형태 및 돌출높이 또한 톱니(11)들의 사이 즉, 피치의 간격 등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의 용도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ize, shape and protruding height of the teeth 11, and the spacing between the teeth 11, that is, pitch, etc.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and size of the system of the elevator in which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Will be self-evident.

부가하여, 상기 톱니(11)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톱니의 말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패드(10)로 제동패드(40)가 이동되어 압착될 때, 카(200)가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거나,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어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짐이 발생되어 제동패드(40)의 톱니(11)의 말단이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말단과 맞닿게 되면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의 만곡된 말단면과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만곡된 말단면에 의해 제동패드(40)가 자연스럽게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와 같이 카(200)가 정위치로 더욱더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 1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l end is formed in a curved shape, which is a fixed pad when the distal end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mpared to a pointed or edged edge of a general tooth. (10) When the braking pad 40 is moved and compressed, the car 200 is sagging downward, or is eccentric to either side due to the load of the heavy object, and a certain angle is eccentric to cause the inclination to cause the braking pad ( When the distal end of the tooth 11 of the 40 is in contact with the distal end of the tooth 11 of the fixing pad 10, the curved end surface of the tooth 11 of the braking pad 40 and the fixed pad 10 The braking pad 40 is naturally rotated around the coupling shaft 41 by the curved end surface of the tooth 11,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that the car 200 can be returned to the position more smoothly as described above. You can do it.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20)는 상기 홀더(3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고정패드(10)에 대한 제동패드(40)의 압착 및 압착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플로어(120)에 정차된 카(200)의 하방으로의 쳐짐을 방지시킬 수 있을 정도의 로드(22) 가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면, 공압 방식, 유압 방식 또는 모터 방식 등과 같은 방식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ua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rimping and releasing the braking pad 40 against the fixing pad 10 by reciprocating the holder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xing pad ( 10) and the pressure of the rod 22 enough to prevent sagging downward of the car 200 parked on the floor 120 by the pressing force by the braking pad 40, the pneumatic method, It may be configured as a hydraulic system or a motor system.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카(200)에 일측이 고정체결되는 전방하우징(21)과, 상기 전방하우징(21)의 내부공간(이하, '실린더실(24)'이라 함)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2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피스톤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ctuator 20 is connected to the front housing 21 on which one side is fixedly fastened to the car 200 and the inner space of the front housing 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ylinder chamber 24').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iston portion 23 that is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pressure of any one of the inlet hydraulic or pneumatic.

이때, 상기 전방하우징(21)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2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공압 또는 유압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32)가 내입되는 전방하우징(21)의 내부공간 즉, 실린더실(24)은 전방하우징(21)의 외부와 기밀의 상태를 유지하여, 공압 또는 유압이 전방하우징(21)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front housing 21 is formed of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that provides a pressing force to reciprocate the rod 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od 32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housing (21)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inner space, that is, the cylinder chamber 24 should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airtight and external conditions of the front housing 21 so that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does not flow out of the front housing 21.

더불어, 상기와 같이, 전방하우징(21)과 로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실린더실(24)에 공압 또는유압이 가해질 수 있는 액추에이터(20)의 실린더실(24) 후방 즉, 상기 전방하우징(21)의 후방에는 내부에 링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컵 스프링 등과 같은 제2탄성부재(26)가 구비되는 후방하우징(25)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26)에 의한 복원력과 공압/유압에 의한 가압력이 상호 번갈아가며 제동패드(40)를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od 22, the cylinder chamber 24 of the actuator 20 that can be applied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chamber 24, that is, the front At the rear of the housing 21, a rear housing 25 having a second elastic member 26 such as a ring spring, a plate spring or a cup spring is further provided inside,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6 is provided. The restoring force by and the pressing force due to pneumatic/hydraulic can be configured to alternately press and release the braking pad 40 to the fixed pad 10.

즉, 전방하우징(21)은 실린더실(24)이 형성되고, 후방하우징(25) 또한 실린더실(미표시)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21)의 실린더실(24)에는 고압 또는 유압이 가해지며, 상기 후방하우징(25)의 실린더실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26)가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cylinder housing 24 is formed in the front housing 21, the cylinder housing (not shown) is also formed in the rear housing 25, and high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cylinder chamber 24 of the front housing 21. In the cylinder housing of the rear housing 25, the second elastic member 26 is introduced.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26)의 전방은 피스톤부(23)의 후방을 지지하고, 후방은 후방하우징(25)의 실린더실의 후방 내벽에 지지되는 구성을 하여 상기 제2탄성부재(26)가 지속적으로 상기 피스톤부(23)를 전방으로 밀어 로드(22)가 전방으로 전진하려는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6 supports the rear of the piston portion 23, the rear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rear inner wall of the cylinder chamber of the rear housing 25, the second elastic member 26 ) Continuously pushes the piston portion 23 forward so that the rod 22 has a state in which it is trying to advance forwar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성의 액추에이터(20)는 카(200)가 승하강 이동할 때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홀더(30)와 제동패드(40)를 액추에이터(20)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압착해제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카(200)가 플로어(120)의 정위치에 정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하우징(21)의 실린더실(24)에 가해졌던 공압 또는 유압이 해제되어 제2탄성부재(26)에 의한 복원력이 피스톤부(23) 즉, 로드(22)를 전방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로드(22)에 구비된 홀더(30)에 의해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actuator 20 of the above configuration moves the holder 30 and the brake pad 40 to the rear of the actuator 20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when the car 200 moves up and down. (40) is to be able to have a state of being squeezed to the fixing pad 10, and when the car 200 is stopped in the fixed position of the floor 120 to the cylinder chamber 24 of the front housing 21 The applied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and the restoring force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26 advances the piston portion 23, that is, the rod 22 forward, thereby braking by the holder 30 provided in the rod 22. The pad 40 can be compressed by the fixing pad 10.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26)에 의한 복원력은 카(200)를 플로워(120)에 정위치 클램핑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압착력이 고정패드(10)과 제동패드(40) 간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restoring force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26 is such that a compressive force sufficient to clamp the car 200 in place in the floor 120 can be formed between the fixed pad 10 and the brake pad 40. It will be obvious to have a size to do.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플로어(120)에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카(200)의 하중이 제동패드(40)와 홀더(30)를 통하여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직접 가해지고, 그 결과 상기 카(200)의 하중에 의하여 액추에이터(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제동패드(4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을 상기 액추에이터(20)의 하우징 즉, 전방하우징(21)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of the car 200 that can maintain the position in the floor 12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is applied to the braking pad 40 and the holder 30. The car 200 applied to the brake pad 40 in order to prevent the actuator 20 from being damaged by the load of the car 200 as a result of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rod 22 of the actuator 20 through the )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load of the actuator 20 to the housing, that is, the front housing 21.

즉, 상기 전방하우징(21)은 상기 홀더(30)가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 즉, 실린더실(24)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2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홀더(30)가 상기 가이드공간(21a)에 내입되어 상기 전방하우징(21)에 지지되며 슬라이딩되면 제동패드(4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이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That is, the front housing 21 is a guide space (21a) formed in front of the inner space, that is, the cylinder chamber 24 so that the holder 30 is inserted and sliding, but is supported and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support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holder 3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21a) is supported by the front housing 21 and when the sliding load of the car (200) applied to the brake pad (40) actuator (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rod 22, thereby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effect.

이때, 상기 가이드공간(21a)은 상기 홀더(30)의 외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내측면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상기 홀더(30)의 슬라이딩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guide space 21a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holder 30, and lubrican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sliding of the holder 30 can be stably and smoothly performed. can do.

아울러, 카(200)의 하중에 의하여 액추에이터(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드(22)와 홀더(30)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30)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탄성부재(34)에 의해 로드(22)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력은 제동패드(4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카(200)의 하중이 제동패드(40)를 통하여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직접 가해지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ctuator 20 from being damaged by the load of the car 200, a first elastic member 34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30 between the rod 22 and the holder 30 ) May be configured, the horizontal reciprocating force of the rod 22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4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braking pad 40, but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The load of the car 200 capable of maintaining the fixed position on the specific floor 120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rod 22 of the actuator 20 through the braking pad 40 by the pressing force by 40. can do.

이때, 상기 홀더(30)의 후면과 로드(22)의 전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34)의 전방 및 후방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홈(미표시)이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support grooves (not shown) on which the front and rear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4 can be stably supported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3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od 22, respectively.

즉, 상기 제동패드(40)는 제1탄성부재(34)에 의하여 로드(22)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력을 전달받아 고정패드(10)에 대하여 압착 및 압착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카(200)를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력은 상기 가이드공간(21a)을 통하여 액추에이터(20)의 전방하우징(21)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braking pad 40 can be moved to a pressing and releas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pad 10 by receiving the horizontal reciprocating movement force of the rod 22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4, the The holding force for positioning the car 200 form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on a specific floor 120 is forward of the actuator 20 through the guide space 21a. It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housing 21.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1탄성부재(34)에 의하여 상기 제동패드(40)와 로드(22)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로드(22)의 전방에는 앞서 설명된 홀더(30)에 제동패드(40)를 결합시키는 결합축(41)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축(41)에는 상기 홀더(30)가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aking pad 40 and the rod 22 are interconnec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4, the braking pad in the holder 30 described above in front of the rod 22 The coupling shaft 41 for coupling the 4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and the holder 30 is supported while being slid to the coupling shaft 41 so that it can be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축(41)은 제동패드(40)의 전방에서 상기 제동패드(40)와 홀더(30) 및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까지 결합되어 상기 제동패드(40)와 홀더(30) 및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까지 연결시킨다.In addition, the coupling shaft 41 is coupled from the front of the brake pad 40 to the brake pad 40, the holder 30, and the rod 22 of the actuator 20, the brake pad 40 And the holder 30 and the rod 22 of the actuator 20.

즉, 상기 결합축(41)은 제1탄성부재(34)에 의하여 로드(22)의 전방에 연결되는 홀더(30)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키기 이한 구성으로서, 상기 전방하우징(21)의 가이드홈(21a)의 형성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후방이 상기 로드(22)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30)와 제동패드(40)는 상기 결합축(41)의 중간 또는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That is, the coupling shaft 41 is a configuration to further increase the support force for the holder 30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rod 22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4, the guide of the front housing 21 The length of the groove 21a is formed from front to rear, and the rear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rod 22, and the holder 30 and the brake pad 40 are in the middle of the coupling shaft 41 or It is fastened so as to be able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이때, 상기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 쪽으로 전진이동되어 제동패드(40)의 압착면과 고정패드(10)의 압착면이 상호 압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결합축(41)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서 돌출되지 아니한 상태를 가져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shaft 41 in the state where the braking pad 40 is moved forward toward the fixing pad 10 so that the pressing surface of the braking pad 40 and the pressing surface of the fixing pad 10 are mutually compresse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ad 40 should have a stat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pressing surface.

또한, 상기 홀더(30)와 제동패드(40)는 상기 결합축(41)이 관통되거나 내입 또는 체결될 수 있을 정도의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는 상기 결합축(41)의 외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거나 정공의 형태로 구성되어, 카(200)의 기울어짐에 의한 로드(22)를 중심한 제동패드(40)의 기울어짐(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30 and the brake pad 4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not shown) to the extent that the coupling shaft 41 can be penetrated, inserted, or fastened,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is the coupling shaft. Tilt of the brake pad 40 centered on the rod 22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car 200,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41 or in the form of holes (tilt in the front-rear direction ) May be configured to be easier.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동패드(40)의 폭이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큰 경우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1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에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맞닿으면 제동패드(40)의 중량에 의해 제동패드(40)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찰력도 증가되어 지속적인 액추에이터(20)의 작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액추에이터(20)에 과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제동패드(4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braking pad 40 may be formed to a siz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pad 10, which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braking pad 40. In case the car 100 is stopped on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but when the tooth 11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tooth 11 of the braking pad 40 come into contact when the car 100 is eccentrically tilted due to heavy objects The braking pad 40 is not rotated smoothly due to the weight of the braking pad 40, and the frictional force is also increased, so that if the continuous actuator 20 is operated, overloading may occur in the actuator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pad 40 is formed in the size as described above so that rot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아울러,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는 도 10과 같이, 양측말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미표시)를 절삭가공하여 형성되는 유도경사면(1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도경사면(11a)은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1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에 또한 제동패드(40)의 폭이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맞닿으면 더욱더 원환하게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더욱더 원활하게 맞물려 압착되어 보다 용이하게 카(200)를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teeth 11 of the braking pad 40, as shown in Figure 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1a) formed by cutting edges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both sides. When the car 100 is stopped on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the guide slope 11a is eccentrically inclined by a heavy object and the width of the braking pad 4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xed pad 10. When the tooth 11 of the braking pad 40 is in contact with the tooth 11 of the fixing pad 10 when formed in the size of the width, the tooth 11 of the braking pad 40 becomes more fixed By inducing that it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teeth 11 of (10), the braking pad 40 is more smoothly engaged with the fixing pad 10 and compressed, thereby realizing an effect that the car 200 can be clamped more easily. Make it.

한편, 상기 홀더(30)의 패드홈(32)은 상기 제동패드(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격홈(32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패드홈(32)이 상기 제동패드(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4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d groove 32 of the holder 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raking pad 40, the extended groove to extend to limit the angle at which the braking pad 40 is rotated on both sides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32a), which serves as a stoppe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pad groove 32, the brake pad 40, to prevent the brake pad 40 from rotating more than a certain angle It is characterized by.

부가하여 설명하면,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1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동패드(40)는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고정패드(10)에 압착되지만, 상기 카가 기울어지는 오차범위는 계산된 한정범위안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동패드(40)가 최대로 회전되는 일정각도를 상기 한정범위보다 같거나 크게 제한하여도 원활하게 고정패드(10)에 압착된다.In addition, when the car 100 is stopped on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and is eccentrically inclined by a heavy object, the braking pad 40 is rotated about the coupling shaft 41 and fixed pad 10 ), but the error range in which the car is inclined should be included in the calculated limited range, so that even if the constant angle at which the braking pad 40 is rotated to the maximu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imited range, the fixed pad (10) ).

이때, 상기 패드홈(32)은 도 9와 같이, 제동패드(40)의 후방 형상과 대응되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동패드(40)의 후방이 내입되어 결합축(4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유격홈(32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ad groove 3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shape of the braking pad 40, as shown in FIG. 9, the rear of the braking pad 40 is introduced and can be coupled by the coupling shaft 41. And the clearance grooves 32a are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brake pads 40 can be rotated.

아울러, 상기 유격홈(32a)은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하고,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된 제동패드(40)는 앞서 설명한 한정범위 안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며 고정패드(10)에 압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rance groove 32a not only allows the braking pad 40 to be rotated, but also excludes the angle at which the braking pad 40 is rotated, and the braking pad 40 having a limited rotational angle is described above. It rotates smoothly within a limited range and can obtain the effect of being compressed on the fixing pad 10.

이때, 상기 유격홈(32a)은 상기 패드홈(32)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되, 측면 중앙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확장경사면(미표시)을 포하여 구성됨으로써, 제동패드(40)가 결합축(41)을 중심으로 원환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t this time, the clearance groove (32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d groove 32, and comprises an extended inclined surface (not shown)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side, the brake pad 40 ) To realize the effect of rotating circularly around the coupling shaft 41.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홀더(30)는 상기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32)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3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홀(36)은 상기 패드홈(32)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동패드(40)를 탄성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플런져(36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플런져(36a)에 의해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동패드(40)가 액추에이터(20)에 의해 고정패드(10)에 회전되며 압착되면 상기 회전된 제동패드(40)를 복원시킴으로써, 기울어진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holder 30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peripher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36 that are formed to be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ad groove 32, and the installation hole ( 3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nger (36a) that is coupl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pad groove (32) and rotates the braking pad (40) that is rotated to a fixed position by elastic force, the plunger (36a) When the car 200 is stopped on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by an eccentric and inclined by a heavy object, the braking pad 40 rotates on the fixed pad 10 by the actuator 20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compress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tilted car 20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restoring the rotated braking pad 40.

구체적으로, 상기 플런져(36a)는 상기 설치홀(36)에 타측이 결합되는 결합몸체(미표시)와,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미표시) 및 상기 탄성부재의 말단에 구비되는 볼(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이 제동패드(4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면 상기 볼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40)가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서, 기울어진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nger (36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astic body (not shown) and the elastic body (not shown)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body,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36, Consists of a ball (not shown), the ball is rotated while the ball is rotated while the ball is in close contact with either side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raking pad 40, the elastic member As the braking pad 40 is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inclined car 200 is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이때,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 즉, 볼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홀(44)에 의해 제동패드(40)가 회전되어도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 즉, 볼이 안정적으로 상기 제동패드(4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제동패드(40)가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t this time, the braking pad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holes 44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plunger 36a, i.e., a ball is inserted, by the guide hole 44. ) Is rotated, the end of the plunger 36a, that is, the ball stably presses either side of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braking pad 4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braking pad 40 is smooth. Effect to be restored.

더불어, 상기 가이드홀(14)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 즉, 볼이 상기 제동패드(40)의 측면에 접촉되는 위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상기 플런져(36a)의 탄성력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사이드홀(14)은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1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which is the end of the plunger 36a as the braking pad 40 is rotated, that is, Since the phase in which the bal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raking pad 40 is changed, the side hole 14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in order to stably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plunger 36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다시한번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는 경우 제동패드(40) 또한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 각각의 말단이 맞닿게 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의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된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며 클램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car 200 is struck downward due to the movement of heavy objects, the brake pad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ce again in detail when the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the elevator equipped with the rotating brak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bove. (40) Also, the sagging occurs downward, and accordingly, the ends of the teeth 11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teeth 11 of the braking pad 4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bonding by mutual compression is not easy. , Since the distal ends of the teeth 11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teeth 11 of the braking pad 40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teeth 11 of the braking pad 40 are the fixing pad 10 ) It is moved to the upper or lower part by the teeth 11, so that the coupling by mutual compression is smooth, so that the car 200 having sagging downward is restored to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effect of clamping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는 경우, 즉,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동패드(40) 또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 각각의 말단이 서로 어긋나며 맞닿게 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제동패드(40)가 상기 홀더(30)에 결합축(41)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좌측상하부 또는 우측상하부로 회전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울어짐이 발생된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며 클램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r 200 is sagging to the left or right downward by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that is, when the car 200 is inclined to the left or the right by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the brake pad 40 ) Also, inclination occurs to the left or right, and accordingly, the ends of the teeth 11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teeth 11 of the braking pad 40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bonding by mutual compression is achieved. Although not easy, since the braking pad 40 is coupled to the holder 30 by a coupling shaft 41, it is coupl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coupling shaft 41, so the teeth of the braking pad 40 Since the (11) is rotated and moved to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or upper and lower right by the teeth 11 of the fixing pad 10, the coupling by mutual compression is smooth, so that the tilted car 200 is brought to the right position. Restored and clamped effect can be obtain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카(200)가 어느 하나의 플로어(120)에 정위치 상태에서 중량물이 상기 카(20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정위치 상태인 카(200)는 와이어(210)와 본 발명의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의해 플로어(120)와 동일한 수평레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하방으로의 쳐짐 또는 좌측 또는 우측 하방으로 쳐짐 즉, 기울어짐이 방지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r 200 is moved to the interior of the car 200 in a fixed position on any one floor 120, the car 200 in the fixed position is wire 210 And the elevator 120 provided with the rotational braking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ame horizontal level as the floor 120 by the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so sagging downward or sagging downward or left or right, that is, incline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oad is realized.

한편, 본 발명은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카(200)에 쳐짐 혹은 기울어짐이 발생되어도, 제동패드(40)가 홀더(30)의 패드홈(3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카(200)의 쳐짐 혹은 기울어짐이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정위치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인 카(200)의 클램핑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ar 200 is struck or tilted by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rotation of the brake pad 40 is restricted by the pad groove 32 of the holder 30, so that the car 200 i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stable clamping effect of the car 200 by allowing the sagging or tilting to be minimized and to be restored to the correct position.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 간의 압착에 의한 결합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비상시에 비상제동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elevator provided with the rotational brak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upling by compression between the fixed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levator system It can also be used as an emergency braking system in the event of a major brake system failure or damage.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20)의 작동을 위한 제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하여 통합 관리될 수 있고, 특히,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한 고정패드(10)에 대한 제동패드(40)의 압착 및 압착해제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위치된 상태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잇고,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작동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for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aged through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elevator system, in particular, the brake pad 40 for the fixed pad 10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20 ) When the car 200 is in a fixed position on the floor 120 of the building, the crimping and releasing of the structure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r may be manually operated by the administrator.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rough the above embodiment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in.

10 : 고정패드 11 : 톱니
14 : 가이드홀 20 : 액추에이터
21 : 전방하우징 21a : 가이드공간
22 : 로드 23 : 피스톤부
30 : 홀더 32 : 패드홈
32a : 유격홈 34 : 제1탄성부재
36 : 설치홀 36a : 플런져
40 : 제동패드 41 : 결합축
100 : 레일 110 : 엘리베이터실
200 : 엘리베이터의 카
10: fixing pad 11: teeth
14: guide hole 20: actuator
21: front housing 21a: guide space
22: rod 23: piston
30: holder 32: pad groove
32a: clearance groove 34: first elastic member
36: mounting hole 36a: plunger
40: brake pad 41: coupling shaft
100: rail 110: elevator room
200: elevator car

Claims (10)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20);와
상기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32)이 형성되는 홀더(30); 및
상기 패드홈(32)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41)에 의해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Rail 100 for suppor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r 200 of the elevator or a plurality of fixing pads 10 mounted inside the elevator room 110; And
An actuator 20 mounted on the car 200; and
A holder 30 provided on the rod 22 of the actuator 20 and recipro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ad groove 32 being formed i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is inserted into the pad groove 32, is coupled to the holder 30 by a coupling shaft 41, is coupl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coupling shaft 41, to the fixed pad 10 A braking pad 40 that is crimped and crushed;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an elevator with a rotating brak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each of the crimping surfaces of the fixing pad 10 and the braking pad 40,
Exact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an elevator with a rotating brake pa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eeth 11 having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is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11)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eeth (11)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an elevator with a rotating brake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l end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braking pad 40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an elevator with a rotating brake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a siz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pad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2)와 홀더(30)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30)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rod 22 and the holder 30
The first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30; It includes a rotating brake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카(200)에 고정체결되는 전방하우징(21);과
상기 전방하우징(21)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2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피스톤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하우징(21)은
상기 홀더(30)가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21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5,
The actuator 20 is
A front housing 21 fixedly fastened to the car 20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cluding; a piston portion 23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front housing 21 to reciprocate the rod 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either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The front housing 21
The holder 30 is inserted and sliding, and a guide space 21a formed in front of the inner space so as to be reciproc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supported is provided. Exact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system to prevent elevator sagg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홈(32)은
상기 제동패드(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격홈(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groove 32 is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raking pad 40, the groove formed on each side of the braking pad 40 extends to limit the angle of rotation 32a; Exact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preventing sagging of elevators equipped with a typical brake pad.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는
상기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32)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3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홀(36)은
상기 패드홈(32)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동패드(40)를 탄성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플런져(3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7,
The holder 30 i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cluding; form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36 that are formed to be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ad groove 32,
The installation hole 36 is
And a plunger (36a) for restoring the braking pad (40), which is coupl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pad groove (32) and rotated to an exact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Exact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preventing elevator sagg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braking pad 40
The plunger (36a) the end of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44) are provided;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elevator having a rotating brake pa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14)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e hole 14 is
A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sagging of an elevator with a rotating brake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KR1020190010704A 2019-01-28 2019-01-28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KR102173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04A KR102173779B1 (en) 2019-01-28 2019-01-28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04A KR102173779B1 (en) 2019-01-28 2019-01-28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738A true KR20200093738A (en) 2020-08-06
KR102173779B1 KR102173779B1 (en) 2020-11-04

Family

ID=7204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704A KR102173779B1 (en) 2019-01-28 2019-01-28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7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5945B1 (en) 2022-11-28 2024-05-07 Otis Elevator Company Frictionless safety brake actu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506A (en) 1999-06-25 2001-01-26 브뢰흐레 한스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vertical displacements and vertical vibrations of the load carrying means of vertical conveyors
KR100405486B1 (en) 1999-05-17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improving power of engine relying on control of cooling water temperature
KR20140082966A (en) 2011-09-30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Brake device with electromechanical actuation
KR101832428B1 (en) * 2017-06-15 2018-02-26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486B1 (en) 1999-05-17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improving power of engine relying on control of cooling water temperature
KR20010007506A (en) 1999-06-25 2001-01-26 브뢰흐레 한스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vertical displacements and vertical vibrations of the load carrying means of vertical conveyors
KR20140082966A (en) 2011-09-30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Brake device with electromechanical actuation
KR101832428B1 (en) * 2017-06-15 2018-02-26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779B1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49B1 (en)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KR101832428B1 (en)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
EP0651724B1 (en) Elevato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CA2892539C (en) Catching device for a traveling body of an elevator system
CN102421695B (en) Lift hand truck
WO2019176160A1 (en)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KR20080052449A (en) Brake equipment for holding and braking a lift cage in a lift installation and a method of holding and braking a lift installation
KR101011024B1 (en) Rope brake
US8006806B2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US10589962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mounting device
KR20140082942A (en) Brake device with electromechanical actuation
KR20090111284A (en)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coupled to gear drive assembly
EP1409389A1 (en) Elevator rope braking system
US11498803B2 (en) Elevator car parking brake
CN113213316B (en) Climbing elevator with load-based traction
KR102197421B1 (en) Elevator's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preventing opening and deflection of doors
KR20200093738A (en) 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CN102933481B (en) Holding brake with locking mechanism
KR20210048864A (en) Elevator auxiliary binding device
KR20220110220A (en) Safety brakes for elevators
KR100889280B1 (en) Rope brake for elevator
KR20060018938A (en) Air type rope stopper for elevator
KR101324543B1 (en) Traveling braking apparatus of unloader
US6981575B2 (en) Concrete rail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ar
KR102340759B1 (en) Braking system to prevent the fall of work l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