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645A -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645A
KR20200093645A KR1020207019498A KR20207019498A KR20200093645A KR 20200093645 A KR20200093645 A KR 20200093645A KR 1020207019498 A KR1020207019498 A KR 1020207019498A KR 20207019498 A KR20207019498 A KR 20207019498A KR 20200093645 A KR20200093645 A KR 2020009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ode
terminal
context
terminal context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624B1 (ko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를 공개하고,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다.

Description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UE, User Equipment)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업무의 속도, 지연, 고속 이동성, 효과에 대한 사람들의 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또한 미래 생활에서의 업무의 다양성, 복잡성을 고려하여,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국제 표준 기구에서는 5세대(5G, 5th 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을 연구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5세대 이동 통신 기술의 주요 응용 상황은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MBB, Enhance Mobile Broadband),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사물통신(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이다.
5세대 이동 통신 기술은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NR, New Radio)로 불리우기도 하고, NR 의 조기 배치에서, 완전한 NR 커버리지에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전형적인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커버리지와 NR 커버리지의 결합이다. 이 밖에, 초기에 LTE에 대한 모바일 오퍼레이터의 투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LTE와 NR 사이의 타이트 인터워킹(tight interworking) 작업 모드를 제안하였다. 이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 구조에서, 2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되, 하나는 마스터 노드(MN, Master Node)이고, 다른 하나는 보조 노드(SN, Secondary Node)이다.
UE 핸드오버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소스 셀의 UE 콘텍스트를 타겟 셀에 송신하고, 타겟 셀은 소스 셀의 UE 콘텍스트에 따라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구성을 진행한다. 하지만, EN-DC 구조에서, UE의 콘텍스트는 각각 MN 및 SN인 2개의 위치에 저장되고; MN은 SN 측의 UE 콘텍스트를 알 수 없으므로, UE 핸드오버 과정에서 소스 MN으로부터 타겟 MN으로 전달된 UE 콘텍스트에는 SN 측의 UE 콘텍스트가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타겟 MN이 UE에 합리적인 무선 리소스를 구성할 수 없으며, 또한UE 핸드오버가 실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함을 판단할 경우,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기 콘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됨 - ; 및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함을 판단할 경우,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및
상기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유닛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기 콘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 및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리소스 할당 유닛;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 -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됨 - ; 및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에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소스 MN을 통해 소스 SN 측에서의 단말기의 콘텍스트를 요청한 다음, 타겟 측(타겟 MN 및 타겟 SN)이 단말기의 콘텍스트에 따라 새로운 무선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모든 단말기 콘텍스트(소스 MN 측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소스 SN 측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타겟 MN에 송신함으로써, 단말기에 합리적인 무선 리소스를 구성하고, 단말기 핸드오버의 성공 확률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설명된 도면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의 흐름 모식도 1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의 흐름 모식도 2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1이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2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노드의 구조 구성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첨부된 도면은 단지 참조 설명용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주로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응용되지만,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타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도 있다. 이하, 5G 이동 통신 시스템 중의 주요 응용 상황을 설명한다.
1) eMBB 상황: eMBB는 사용자에 의해 획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및 데이터를 타겟으로 하고, 업무 수요는 매우 신속하게 높아진다. eMBB는 예컨대 실내, 시역, 시골 등 상이한 상황에 배치될 수 있고, 업무 능력과 수요의 차이도 비교적 크므로, 반드시 구체적인 배치 상황과 결부하여 업무를 분석해야 한다.
2) URLLC 상황: URLLC의 전형적인 응용은 산업 자동화, 전력 자동화, 원격 의료 조작, 교통 안전 보장 등을 포함한다.
3) mMTC 상황: URLLC의 전형적인 특징은 높은 연결 밀도, 작은 데이터 양, 지연에 민감하지 않은 업무, 모듈의 원가가 낮고 사용 수명이 긴 등 특징을 포함한다.
LTE와 NR 사이의 tight interworking의 작업 모드에서, SN는 자체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Signalling Radio Bearers), 즉 SRB3을 구비하고, SRB3을 통해 슬레이브 셀 그룹(SCG, Slave Cell Group) 중의 scell의 관리 정보 및 측정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MN 및 SN은 독립적으로 UE에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되, 구체적으로, MN은 LTE 중의 RRC 메시지를 통해 UE에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UE는 MN에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관련된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데, 이러한 구성에서, 메인 셀 그룹(MCG, Main Cell Group) 중의 모든 셀은 서빙 셀(serving cell)로 인정되고, 다른 셀(SCG 중의 셀을 포함)은 인접 셀로 인정된다. SN은 NR 중의 RRC 메시지를 통해 UE에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UE는 SN에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관련된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데, 이러한 구성에서, SCG 중의 셀은 serving cell로 인정되고, 다른 셀(MCG 중의 셀을 포함)은 인접 셀로 인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의 흐름 모식도 1이고, 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제4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며, MN1이라고 불리우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이며, SN1이라고 불리운다. 상기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는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제4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며, MN2라고 불리우고,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이며, SN2라고 불리운다.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제4 네트워크 노드는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되는 기지국 타입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현재 단말기에 제공된 서비스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라고 가정하면, 단말기 콘텍스트는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인 2개의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함을 판단할 경우,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1)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기 콘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통해 구현된다.
단계102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 후,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다음,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4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리소스 구성 정보와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함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의 흐름 모식도 2이고, 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제4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며, MN1이라고 불리우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이며, SN1이라고 불리운다. 상기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는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제4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며, MN2라고 불리우고,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이며, SN2라고 불리운다.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제4 네트워크 노드는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되는 기지국 타입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현재 단말기에 제공된 서비스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라고 가정하면, 단말기 콘텍스트는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인 2개의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함을 판단할 경우,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한다.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한다.
단계302에서,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한다.
이하, 도 2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되, 도 2에서, MN1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소스 MN이고, SN1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소스 SN이며, MN2는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타겟 MN이고, SN2는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타겟 SN이다.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다.
1) MN1은 단말기로부터의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단말기 핸드오버를 진행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2) MN1은 SN1에 단말기 콘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SN1은 SN1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MN1에 송신한다.
3) MN1은 MN1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SN1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MN2에 송신한다.
4) MN2는 SN1 측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SN2에 송신한다.
5) SN2는 SN1 측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고,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MN2에 송신한다.
6) MN2는 MN1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고,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SN2 측의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MN1에 송신한다.
7) MN1은 MN2에 의해 송신된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한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1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401);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40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2)은,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함을 판단할 경우,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403); 및
상기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404)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획득 유닛(401)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기 콘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405); 및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제2 송신 유닛(406)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이다.
상기 해결수단에서,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 응용될 수 있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전술한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 응용에서,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중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 등 처리 기능을 구비하는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2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501);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50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리소스 할당 유닛(503);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504) -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됨 - ; 및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유닛(505)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해결수단에서,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제3 네트워크 노드 측에 응용될 수 있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전술한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 응용에서,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중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 등 처리 기능을 구비하는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가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해보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약간의 명령어를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응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을 구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노드의 구조 구성 모식도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60)는 하나 또는 다수의(도면에서 하나만 도시함) 프로세서(602)(프로세서(6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604), 및 통신 기능에 사용되는 전송 장치(6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도 6에 도시된 구조는 예시적일 뿐 상기 전자 장치의 구조를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60)는 도 6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도 6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메모리(604)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에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602)는 메모리(604)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다양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즉, 상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자성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604)는 프로세서(602)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현예는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송 장치(606)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한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네트워크 노드(60)의 통신 공급업체에 의해 제공된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전송 장치(606)는 기지국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기기와 연결되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는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포함한다. 전송 장치(606)는 무선 방식을 통해 인터넷과 통신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 사이는 충돌되지 않는 전제 하에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 및 지능형 기기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기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구현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밖에, 기재 또는 토론된 각 구성 부분의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기기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모두 하나의 제2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하나의 유닛으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집적된 상기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조합된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서 공개된 기술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낸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인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함을 판단할 경우,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기 콘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인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6.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으로서,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인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은,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됨 - ; 및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8.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로서,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인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함을 판단할 경우,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및
    상기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기 콘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 및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여 단말기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보조 노드인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13.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로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를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1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이며, 상기 제3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제2 이중 연결 네트워크 중의 마스터 노드 및 보조 노드인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제1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리소스 할당 유닛;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 -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는 상기 제4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측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콘텍스트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여 획득됨 - ; 및
    상기 제1 리소스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리소스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장치.
  15.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의 단계, 또는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07019498A 2017-12-07 2017-12-07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389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5046 WO2019109312A1 (zh) 2017-12-07 2017-12-07 一种终端上下文的获取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645A true KR20200093645A (ko) 2020-08-05
KR102389624B1 KR102389624B1 (ko) 2022-04-21

Family

ID=6675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98A KR102389624B1 (ko) 2017-12-07 2017-12-07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79943B2 (ko)
EP (2) EP4124113A1 (ko)
JP (1) JP2021511697A (ko)
KR (1) KR102389624B1 (ko)
CN (2) CN111183677A (ko)
AU (1) AU2017441977A1 (ko)
TW (1) TWI775997B (ko)
WO (1) WO201910931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954A (ko) * 2001-12-18 2004-07-14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 단말기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KR20150119327A (ko) * 2013-02-15 2015-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Lte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단말 핸드오버
KR20160086938A (ko) * 2013-11-27 2016-07-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사용자 기기의 콘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22167A1 (ja) * 2015-07-31 2017-02-09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70134998A1 (en) * 2014-07-10 2017-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menb handover method and device in a small cell system
US20170195935A1 (en) * 2014-12-30 2017-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menb handover without senb 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1544A1 (en) * 2010-11-05 2012-11-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obility For Multipoint Operations
CN103945470A (zh) * 2013-01-18 2014-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源通信节点和目标通信节点
EP2836017A1 (en) * 2013-08-09 2015-02-11 Alcatel Lucent Switching a primary node
CN104378793B (zh) * 2013-08-12 2019-06-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主控基站及受控基站
US10143019B2 (en) * 2013-09-26 2018-11-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between eNB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KR102170402B1 (ko) * 2014-01-29 2020-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EP3474600A1 (en) * 2014-03-20 2019-04-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WO2016021849A1 (en) * 2014-08-08 2016-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of service release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80159B2 (en) * 2014-09-26 2018-05-22 Mediatek Inc. RRC re-establishment on secondary eNodeB for dual connectivity
WO2016120052A1 (en) * 2015-01-30 2016-08-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ual connectivity handover
US20160373972A1 (en) * 2015-01-30 2016-1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Therein for Handover for Dual Connectivity
EP3366062B1 (en) * 2015-10-20 2021-09-08 Parallel Wireless, Inc. X2 protocol programmability
CN106851750B (zh) * 2015-12-03 2020-06-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基站及系统
JP6638816B2 (ja) * 2016-08-12 2020-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ビーム及びセキュリティ強化に関連する装置、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856306B2 (en) * 2016-12-02 2020-12-01 Ofinno, Llc UE context retrieve for V2X services
US10440615B2 (en) * 2017-06-15 2019-10-08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handover in dual connectivity
WO2019061189A1 (en) * 2017-09-28 2019-04-04 Zte Corporation MOBILITY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US10757622B2 (en) * 2017-11-10 2020-08-25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from a priority-based reselection mechanism to a rank-based reselection mechanism
US11228473B2 (en) * 2017-11-29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generation using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base sequenc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954A (ko) * 2001-12-18 2004-07-14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 단말기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KR20150119327A (ko) * 2013-02-15 2015-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Lte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단말 핸드오버
KR20160086938A (ko) * 2013-11-27 2016-07-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사용자 기기의 콘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134998A1 (en) * 2014-07-10 2017-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menb handover method and device in a small cell system
US20170195935A1 (en) * 2014-12-30 2017-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menb handover without senb 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22167A1 (ja) * 2015-07-31 2017-02-09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その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ricsson, "Discussion and Stage 2 TP on Race conditions in case of SN release", 3GPP TSG-RAN WG2 #100, R2-1713398, 2017.11.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83677A (zh) 2020-05-19
KR102389624B1 (ko) 2022-04-21
WO2019109312A1 (zh) 2019-06-13
EP3716684B1 (en) 2022-10-19
EP3716684A1 (en) 2020-09-30
US10979943B2 (en) 2021-04-13
EP3716684A4 (en) 2020-12-09
TWI775997B (zh) 2022-09-01
CN111641981A (zh) 2020-09-08
TW201927038A (zh) 2019-07-01
JP2021511697A (ja) 2021-05-06
US20200288356A1 (en) 2020-09-10
EP4124113A1 (en) 2023-01-25
AU2017441977A1 (en) 2020-07-23
CN111641981B (zh)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827B2 (en) Service message send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396931B1 (ko) 이중 연결 네트워크에서 보조 노드 장애를 보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2040567B (zh) 一种恢复rrc连接的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EP3713258B1 (en) Locatio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device
WO2018033136A1 (zh) 用于小区切换的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EP361199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CN113286331B (zh) 重建立的方法和通信装置
CN111867057B (zh) 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02202405A (zh) 一种切换时无线资源的配置方法及装置
CN109247072A (zh) 系统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CN110519842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EP37807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ell handover
EP3513589A1 (en) Identification of neighboring network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389624B1 (ko) 단말기 콘텍스트 획득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CN108029068B (zh) 移动性管理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2022019109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0557847A (zh)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885354B (zh) 一种QoE测量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EP4369775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8120332A (zh) 信息发送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和系统
CN104053196A (zh) 小小区承载激活与去激活的方法及设备
CN104080137A (zh) 小区切换的方法和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