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262A -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262A
KR20200093262A KR1020190010506A KR20190010506A KR20200093262A KR 20200093262 A KR20200093262 A KR 20200093262A KR 1020190010506 A KR1020190010506 A KR 1020190010506A KR 20190010506 A KR20190010506 A KR 20190010506A KR 20200093262 A KR20200093262 A KR 20200093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ash
blockchain
orig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곤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린아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린아레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린아레나
Priority to KR102019001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262A/ko
Publication of KR2020009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식 공유 서비스에 제공된 답변 컨텐츠 또는 답변 속에 링크된 정적 컨텐츠가 원저작자의 원본인지와 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해쉬함수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증명하고 분산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식 공유 서비스에 제공된 답변 컨텐츠에 링크된 정적 컨텐츠를 블록체인기술을 이용 분산저장시 해쉬값 만을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시 발생하는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로인해 본 발명은 지식공유 서비스의 댓글에 사용된 컨텐츠가 원저작자가 최초에 올린 것인지 아니면 이를 단순 복사하거나 일부만 변형한 컨텐츠인지 여부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증명하고 분산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ng original contents of knowledge sharing servic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컨텐츠 원본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지식 공유 서비스에 제공된 답변 컨텐츠 또는 답변 속에 링크된 정적 컨텐츠의 원본 및 변조 여부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증명하고 저장하도록 구성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가진 무수한 웹 사이트들이 생겨나면서 방대한 양의 컨텐츠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양의 정보 속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검색할 때 해당 분야의 지식이 없거나 적절하지 못한 키워드로 검색시 만족할만한 검색결과가 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검색된 정보가 자신이 원하는 최적의 정보인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색을 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인터넷을 통해 방대한 정보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은 해당 정보에 대한 사전지식이나 전문지식이 없을 경우 매우 많은 시행착오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검색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대한 정보를 보다 쉽고 신속하게 검색하기 위해 각기 다른 검색 알고리즘을 가진 다양한 검색엔진 사이트가 생겨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검색 엔진을 통한 기본 검색 서비스뿐만 아니라 해당 사이트를 방문한 사람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많은 포털 사이트들도 생겨났다.
한편, 종래의 포털 사이트들은 검색엔진을 이용한 단순 검색 서비스뿐만 아니라 묻고 답하기 코너 등을 통해 질문자가 질문을 올리면 전문지식을 가진 자가 직접 답변을 하는 지식 공유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 공유 서비스는 질문자의 질문이 올라오면 이를 본 답변자가 자신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검색자의 단순 검색에 의해서는 알 수 없는 전문적이고 폭넓은 양질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서비스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지식공유 서비스는 답변에 사용된 컨텐츠가 원저작자에 의한 최초 답변 컨텐츠인지 아니면 유사한 질문 및 답변을 검색해서 원저작자 또는 타인의 컨텐츠를 무단 복사하여 답변 컨텐츠로 사용한 것인지 여부를 증명할 수 없어서 원저작자 및 답변 컨텐츠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원저작자의 컨텐츠 증명 및 적절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종래의 지식공유 서비스는 단순히 답변자에게 포털사이트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와 같은 단순 보상만 이루어지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물론 종래의 지식공유 서비스하에서도 컨텐츠 고유 해쉬값 등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나, 유사도 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검증이 힘들고, 검증의 투명성을 확인 할 수 없다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지식공유 서비스의 또다른 문제점으로는 원저작자의 답변 컨텐츠에 포함된 링크된 외부데이터 즉, 정적 컨텐츠의 변조여부를 종래의 지식공유 서비스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로인해 답변의 신뢰성이 없어진 경우에도 이를 검증할 수 없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탈서비스가 제공하는 지식공유 서비스는 댓글에 사용된 컨텐츠가 원저작자가 최초에 올린 것인지 아니면 이를 단순 복사하거나 일부만 변형한 컨텐츠인지 여부를 증명할 수 없고, 또한 최초 원저작자의 댓글 컨텐츠에 포함된 정적테이터의 변조 여부도 증명할 수 없다는 기술적 문제점 때문에 최초 원저작자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원저작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제공할 방법이 없어서 단순히 답변 참여자에 대한 포인트 제공과 같은 일부 보상만 이루어지고, 지식공유 서비스를 통해 발생하는 사용자 트래픽과 이에 따라 발생하는 검색 및 광고 매출과 같은 실질적인 이득은 대부분 지식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자 측에만 돌아간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지속되고 있다.
한편, 최근 데이터의 집중화에 대한 위변조 문제를 해결하고자 데이터의 분산저장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이 광범위하게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인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할수만 있으면 종래 기술에서 제공하지 못한 원본 증명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거라 예상된다,
하지만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에서는 지식인서비스의 댓글에 포함된 외부 데이터 즉, 정적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검증하여 원본 여부를 검증하고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와 외부데이터가 위조 및 변조시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이 아직까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또한 종래의 블록체인 기술은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 속도 등에 대한 한계가 있어서 지식인 서비스에 적용시 수많은 질문과 답변 데이터 발생시 블록체인 데이터 저장 및 전송 속도 저하를 해결할 기술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지식인 서비스 운영상의 문제점과 블록체인 기술의 문제점dp 대한 기술적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09209(2015.03.31.)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20170(2017.02.22.)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84323(2009.08.05.)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92062(2005.09.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식 공유 서비스에 제공된 답변 컨텐츠 또는 답변 속에 링크된 정적 컨텐츠가 원저작자의 원본인지와 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해쉬함수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증명하고 분산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식 공유 서비스에 제공된 답변 컨텐츠에 링크된 정적 컨텐츠를 블록체인기술을 이용 분산저장시 해쉬값 만을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시 발생하는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처리부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후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전송하도록 회원가입모듈과 컨텐츠등록모듈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부와;
입력된 회원정보,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해쉬화한 값과 블록체인에 저장된 블록을 추출하여 해쉬화한 값을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여 원본여부를 증명한 다음 새로운 원본 블록을 생성하도록,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과 원본증명을 위한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로 구성된 컨텐츠 처리부와;
새로 생성된 원본 데이터 블록 및 정적컨텐츠의 변조 여부를 처리하여 생성된 정적컨텐츠 데이터 블록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도록,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과 일반 블록체인 모듈로 구성된 블록체인 처리부와;
새로운 블록 생성을 분산네크워크상의 사용자 단말부들에게 알리고 해당 블록을 전송하도록 컨텐츠 평문 저장모듈과, 컨텐츠저장모듈과 일반 서비스처리모듈로 구성된 서비스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은
사용자 단말부의 컨텐츠등록모듈에서 전송한 컨텐츠를 입력받는 컨텐츠 원본 읽기부; 입력받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어 단위로 토큰화 처리하는 단어 단위 토큰화부; 토큰화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분석하여 일정 개수의 상위 빈도 단어를 산출하는 단어 빈도 산출부; 단어 빈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자주 출현한 단어의 유의어를 산출하는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 단어 빈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위출현 단어와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에서 산출된 유의어 단어에 비중치를 두어 상위 출현 단어 개수를 산출하는 비중측정 리스트화부; 비중측정 리스트화부를 통해 산출된 상위 단어를 해쉬화하는 상위 단어 해쉬화부; 해쉬화된 상위 단어 개수(K)를 파편화한 리스트(Z)에서 재조합한 X값을 생성 처리하는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부;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과 블록체인처리부에 기저장된 블록체인의 개별 블록들의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비교하여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블록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비교하는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부; 유사도 비교가 끝난 X값을 BASE64 Encoding으로 변경하여 처리하는 해쉬값 인코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는 한글일 경우는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유의어를 산출하고, 영어일 경우 사전을 이용해 유의어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비중측정 리스트화부는 상위 출현 단어 비중은 1로 하고, 유의어 단어 비중은 0.5로 설정한 뒤 행렬화시켜 자주 출현하는 상위 단어 개수(K)를 재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부는
블록체인처리부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에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모든 블록을 하나씩 추출하여 가져오는 것을 반복하는 블록체인 컨텐츠 추출부;
추출된 모든 컨텐츠 블록의 X값을 Base64 Decoding하여 Z값으로 변환하는 해쉬 Base64 Decode부;
디코딩된 Z값을 MD5 해쉬값의 Z리스트로 변환시키는 Z리스트 변환부;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과 블록체인처리부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에서 추출되어 변환된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을 매치시켜 비교후 유사도(%)를 생성하는 유사도 계산부;
유사도 결과 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사도 계산부는 X값을 비교하여 문자열의 유사도가 90% 미만 시 블록을 생성하고, 90% 이상이면 유사로 판단하여 블록 생성을 거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블록체인 처리부의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은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을 거쳐 전송된 블록중에 포함된 정적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링크 수신부;
링크주소에 저장된 외부 서버에 저장된 파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외부 파일 해쉬 계산을 위한 파일 다운로드부;
다운받은 파일의 SHA-512 해쉬를 확인하는 해쉬 확인부;
분산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사용자 단말부)들에게 해쉬값의 위변조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해쉬값 검증 신청부;
링크 수신부(부터 해쉬값 검증 신청부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에 따라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거나 Malformed로 저장하는 해쉬검증 저장부;
검증이 끝난 원본 데이터의 등록 요청부;
등록요청단계에 따라 파일 원본 위치에 대한 파일 SHA-512 해쉬 값을 저장하는 원본위치 해쉬정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해쉬검증 저장부는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이 95% 이상일 시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고 검증이 95% 미만일 시 Malformed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정적컨텐츠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기타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부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컨텐츠 처리부가 회원가입단계를 거쳐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부의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단계를 거쳐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S100)와;
컨텐츠 처리부가 입력받은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을 통해 해쉬화한 값과 블록체인 처리부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정보를 불러와 추출후 해쉬화한 값을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여 원본여부를 증명한 다음 새로운 원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S200)와;
블록체인 처리부가 컨텐츠 처리부에서 생성된 원본 블록을 받아 정적컨텐츠의 유무 및 변조여부를 확인한 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300)와;
서비스처리부가 새로운 블록의 생성 또는 블록생성 거절여부 정보를 분산네크워크 상의 사용자 단말부들에게 알리고, 새로 생성된 블록이 있을 경우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S200) 단계는
사용자 단말부의 컨텐츠등록모듈에서 전송한 컨텐츠를 입력받는 컨텐츠 원본 읽기 단계;
입력받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어 단위로 토큰화하는 단어 단위 토큰화 단계(S220);
토큰화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분석하여 일정 개수의 상위 빈도 단어를 산출하는 단어 빈도 산출 단계(S230);
단어 빈도 산출부(223)에서 산출된 자주 출현한 단어의 유의어를 산출하는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단계(S240);
산출된 상위출현 단어와 유의어 단어에 비중치를 두어 상위 출현 단어 개수를 산출하는 비중측정 리스트화 단계(S250);
산출된 상위 단어를 해쉬화하는 상위 단어 해쉬화 단계(S260);
해쉬화된 상위 단어 개수(K)를 파편화한 리스트(Z)에서 재조합한 X값을 생성하는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 단계(S270);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과 블록체인처리부(3)에 기저장된 블록체인의 개별 블록들의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비교하여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블록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비교하는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단계(S280);
유사도 비교가 끝난 X값을 BASE64 Encoding으로 변경하는 해쉬값 인코딩 단계(S2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단계(S240)는 한글일 경우는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유의어를 산출하고, 영어일 경우 사전을 이용해 유의어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비중측정 리스트화 단계(S250)는 상위 출현 단어 비중은 1로 하고, 유의어 단어 비중은 0.5로 설정한 뒤 행렬화시켜 자주 출현하는 상위 단어 개수(K)를 재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단계(S280)는
블록체인처리부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에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모든 블록을 하나씩 추출하여 가져오는 것을 반복하는 블록체인 컨텐츠 추출 단계(S281);
추출된 모든 컨텐츠 블록의 X값을 Base64 Decoding하여 Z값으로 변환하는 해쉬 Base64 Decode 단계(S282);
디코딩된 Z값을 MD5 해쉬값의 Z리스트로 변환시키는 Z리스트 변환단계(S283);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과 블록체인처리부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에서 추출되어 변환된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을 매치시켜 비교후 유사도(%)를 생성하는 유사도 계산 단계(S284);
유사도 결과 값 출력단계(S2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S284)는 X값을 비교하여 문자열의 유사도가 90% 미만 시 블록을 생성하고, 90% 이상이면 유사로 판단하여 블록 생성을 거절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S300) 단계는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을 거쳐 전송된 블록중에 포함된 정적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링크 수신단계(S310);
링크주소에 저장된 외부 서버에 저장된 파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외부 파일 해쉬 계산을 위한 파일 다운로드 단계(S320);
다운받은 파일의 SHA-512 해쉬를 확인하는 해쉬 확인 단계(S330);
분산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사용자 단말부)들에게 해쉬값의 위변조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해쉬값 검증 신청단계(S340);
링크 수신단계(S310)에서 해쉬값 검증 신청단계(S340)까지의 단계를 반복하여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에 따라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거나 Malformed로 저장하는 해쉬검증 저장단계(S350);
검증이 끝난 원본 데이터의 등록 요청단계(S360);
등록요청단계에 따라 파일 원본 위치에 대한 파일 SHA-512 해쉬 값을 저장하는 원본위치 해쉬정보 저장단계(S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해쉬검증 저장단계(S350)는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이 95% 이상일 시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고 검증이 95% 미만일 시 Malformed로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정적컨텐츠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기타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부파일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지식공유 서비스의 댓글에 사용된 컨텐츠가 원저작자가 최초에 올린 것인지 아니면 이를 단순 복사하거나 일부만 변형한 컨텐츠인지 여부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증명하고 분산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식공유 서비스의 댓글 컨텐츠 중 원저작자가 링크한 외부테이터인 웹페이지 내용, 텍스트 파일, 영상 파일, 그림 파일과 같은 정적테이터의 변조 여부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증명하고 해쉬값 만을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시 발생하는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였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식 공유 서비스에 제공된 원저작자의 답변 컨텐츠 또는 답변 속에 링크된 정적 컨텐츠의 원본 및 변조 여부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증명하고 분산저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컨텐츠의 활용도 등을 참고하여 원저작자에게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방법 흐름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회원 가입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본증명을 위한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검사 처리단계의 상세흐름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유사도 비교 단계의 상세흐름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정적컨텐츠의 위변조를 확인하여 블록체인에 처리하는 단계의 상세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부(1), 컨텐츠 처리부(2), 블록체인 처리부(3), 서비스처리부(4)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부(1)는 지식 공유 서비스에 제공된 답변 컨텐츠 또는 답변 속에 링크된 정적 컨텐츠의 원본 및 변조 여부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증명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지식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처리부(2)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후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전송하는 수단이다.
사용자 단말부(1)는 PC나 휴대폰을 포함한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디지털 단말기로 구성되는데, 이 사용자 단말부(1)가 네트워크, 즉 인터넷을 포함하는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인 분산 네크워크 상에서 블록체인이 저장된 분산원장 저장 노드들이다.
컨텐츠 처리부(2)는 입력된 회원정보,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해쉬화 값과 블록체인에 저장된 블록을 추출하여 해쉬화한 값을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여 원본여부를 증명한 다음 새로운 원본 블록을 생성하는 수단이다. 컨텐츠 처리부(2)는 서버 또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PC(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된다.
블록체인 처리부(3)는 새로 생성된 원본 데이터 블록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수단이다. 또한 블록체인 처리부는 원본테이터에 정적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정적컨텐츠의 변조 여부를 처리하여 생성된 정적컨텐츠 데이터 블록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수단이다. 블록체인 처리부(3)는 서버 또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PC로 구성된다.
서비스처리부(4)는 새로운 블록 생성을 분산네크워크상의 사용자 단말부들에게 알리고 해당 블록을 전송하는 수단이다. 서비스처리부(4)는 웹 서버 또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PC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부(1)와 상기 블록체인 처리부(3) 및 서비스처리부(4)는 분산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블록체인 기술로 지식 공유 서비스상의 질문 및 답변 데이터를 분산원장 저장 노드인 사용자 단말부(1)와 블록체인 처리부(3)에 저장됨으로써 데이터의 탈 중앙화를 이루게 된다. 이로인해 사용자 단말부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블록체인 기술을 알지 못하여도, 일반적인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하면 최종적인 데이터는 분산네트워크상의 분산원장 저장 노드인 각 사용자단말부와 본 발명 블록체인 처리부에 저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부(1)는 회원가입모듈(11)과 컨텐츠등록모듈(12)로 구성된다.
회원가입모듈(11)은 모듈이 작동후 보여지는 화면상의 입력란을 통해 이메일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하는 모듈이다.
상기 컨텐츠등록모듈(12)은 회원가입과정을 거쳐 정상적으로 로그인한 상태에서 화면상의 표시된 텍스트 입력란을 통해 답변이나 질문 텍스트를 입력하는 모듈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등록모듈(12)의 입력화면 구성은 '(질문) 제목 등록', '(질문) 포인트 등록', '(공통) 내용 등록'과 같은 여러 실시 형태로 디자인된 항목으로 구성되고, 해당 입력란에 자유롭게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이 종료되면 패스워드를 재차 입력하여 컨텐츠 처리부에 질문이나 답변에 대한 원본텍스트를 전송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컨텐츠 처리부(2)는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과 원본증명을 위한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로 구성된다.
상기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은 사용자 단말부(1)의 회원가입모듈(11)에서 전송된 이메일주소와 패스워드를 받아 패스워드는 해쉬화하여 저장후 저장된 정보를 블록체인 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로 전송하여 블록체인에 계정생성을 요청하고,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으로부터 블록체인에 계정이 생성된 다음 다시 사용자계정, 사용자체인 패스워드, Private Key를 반환받아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를 암호화 키로 사용, AES 256 암호화한 데이터로 저장하는 모듈이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1)의 컨텐츠등록모듈(12)을 통해 저장된 개인키를 통해 질문 및 답변을 등록하고, 재차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회원 정보 저장 모듈(21)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를 해쉬화 하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할 시, 블록체인 지갑 패스워드 및 계정을 복호화(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를 키로 이용)하고, 블록체인 처리부(3)로 질문 및 답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1)의 컨텐츠등록모듈(12)을 통해 입력한 텍스를 전송받아 출현 빈도가 높은 상위 단어를 추출 후 해쉬화 하고, 이를 파편화 후 재조합한 해쉬값의 유사도를 비교 후 유사도가 낮은 원본 컨텐츠만을 인코딩하여 해당 블록을 블록체인 처리부에 전송시켜 블록체인으로 저장토록 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은, 컨텐츠 원본 읽기부(221); 단어 단위 토큰화부(222); 단어 빈도 산출부(223);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224); 비중측정 리스트화부(225); 상위 단어 해쉬화부(226); 해쉬화된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부(227);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부(228); 해쉬값 인코딩부(229);를 통해 처리하여 원본 텍스트를 해쉬화된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저장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과정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텐츠 원본 읽기부(221)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1)의 컨텐츠등록모듈(12)에서 전송한 컨텐츠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상기 단어 단위 토큰화부(222)는 입력받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어 사이에 스페이스(Space)가 있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단어 단위로 토큰화(Tokenize) 처리한다.
상기 단어 빈도 산출부(223)는 토큰화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분석하여 일정 개수의 상위 빈도 단어를 산출하여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토큰화된 전체 단어가 100개의 단어라면 10개의 자주 출현한 단어 빈도를 산출(K개)하면 된다.
상기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224)는 단어 빈도 산출부(223)에서 산출된 자주 출현한 단어의 유의어를 산출하여 처리한다.
이를 위해 한글일 경우는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유의어를 산출하고, 영어일 경우 사전을 이용해 유의어를 산출한다.
상기 비중측정 리스트화부(225)는, 이전 단어 빈도 산출부(223)에서 산출된 상위출현 단어와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224)에서 산출된 유의어 단어에 비중치를 두어 상위 출현 단어 개수(K)를 산출 처리한다.
이때 상위 출현 단어 비중은 1로 하고, 유의어 단어 비중은 0.5로 설정한 뒤 행렬화시켜 자주 출현하는 상위 단어 개수(K)를 재산출한다.
상기 상위 단어 해쉬화부(226)는 비중측정 리스트화부를 통해 산출된 상위 단어를 해쉬화하여 처리한다.
이를 위해 상위 단어 K개를 md5 해시화한다.
예를 들어 상위 단어가 "ABCD"일 경우 Cb08ca4a7bb5f9683c19133a84872ca7의 해쉬값으로 변환된다.
상기 해쉬화된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부(227)는 이전 상위 단어 해쉬화부(226)에서 md5 해쉬화된 상위 단어 개수(K)를 파편화한 (Z)리스트에서 재조합한 "X"값을 생성 처리한다.
예를 들어 아래표를 보면 진한색으로 표시된 문자열이 기존의 md5해쉬값에서 재조합될 Z리스트인데, 이를 변경하여 "X"을 도출한다.
[Z리스트 표(X값 변환 표)]
Figure pat00001
상기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부(228)는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과 블록체인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기저장된 블록체인의 개별 블록들의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비교하여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블록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비교하여 처리한다. 이때 순차적으로 모든 블록들을 불러와 추출 후 비교한다.
이를 위해 해쉬화된 리스트를 파편화 및 재조합부(227)에서 파편화 후 재조합된 형태의'X'값과 블록체인처리부에 저장된 블록을 모두 추출하여 디코팅 후 X값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90% 미만 시 블록을 생성하고, 90% 이상이면 유사로 판단하여 블록 생성을 거절시켜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재조합된 해쉬값을 통한 유사도 비교부(228)는 블록체인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모든 블록을 하나씩 추출하여 가져오는 것을 반복하는 블록체인 컨텐츠 추출부(228a);
추출된 모든 컨텐츠 블록의 X값을 Base64 Decoding하여 Z값으로 변환하는 해쉬 Base64 Decode부(228b);
디코딩된 Z값을 MD5 해쉬값의 Z리스트로 변환시키는 Z리스트 변환부(228c);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과 블록체인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서 추출되어 변환된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을 매치시켜 비교후 유사도(%)를 생성하는 유사도 계산부(228d);
유사도 결과 값을 출력하는 출력부(228e);를 거치면서 처리한다.
상기 유사도 계산부(228d)에서 X값을 비교하여 문자열의 유사도가 90% 미만 시 블록을 생성하고, 90% 이상이면 유사로 판단하여 블록 생성을 거절시켜 처리한다.
상기 유사도 비교가 끝난 해쉬값 인코딩부(229)는 X값을 BASE64 Encoding으로 변경하여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전단계의 Z값 'cb087bb53c19848722e14e2 493bf8b5a'은 'Y2IwODdiYjUzYzE5ODQ4NzIyZTE0ZTI0OTNiZjhiNWEK'로 변환된다.
상기 블록체인 처리부(3)는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과 일반 블록체인 모듈(32)과 구성된다.
상기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은 상기 원본 증명을 위한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을 거친 신규 원본 컨텐츠의 Z값 블록값에 외부서버에 저장된 정적컨텐츠, 예를 들어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기타 파일등이 링크된 외부파일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이러한 외부파일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정적컨텐츠의 위변조를 확인하고, 해당 위변조여부 정보를 거친후 변조되지 않은 원본 정보는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해당 정적컨텐츠 정보를 해쉬화하여 저장하는 모듈이다.
이때 변조가 확인되면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원본으로 저장되지 못하도록 변조된 정보를 해쉬화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은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을 거쳐 전송된 블록중에 포함된 정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링크 수신부(311)와; 링크주소에 저장된 외부 서버에 저장된 파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외부 파일 해쉬 계산을 위한 파일 다운로드부(312)와; 다운받은 파일의 SHA-512 해쉬를 확인하는 해쉬 확인부(313);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들은 링크를 받으면 링크에 직접 연결을 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이후 파일의 해쉬값을 추출하여 URL과 파일의 해쉬를 같이 저장한다.
또한 분산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사용자 단말부)들에게 해쉬값의 위변조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해쉬값 검증 신청부(314)와; 링크 수신부(311)부터 해쉬값 검증 신청부(314)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이 95% 이상일 시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고 검증이 95% 미만일 시 Malformed로 저장하는 해쉬검증 저장부(315)와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은 이전의 URL과 같은 URL 요청이 올 시, SHA-512 해쉬값이 변화되었는지 확인하고 변경되었을 경우 Malformed로 처리한다.
즉, 외부 다른 노드들도 같이 검증하여 HASH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고, 1개노드 또는 95% 이하 노드일 경우 변조일 수 있으므로 신뢰하지 않게 된다.
또한 검증이 끝난 원본 데이터의 등록 요청부(316);와 등록요청단계에 따라 파일 원본 위치에 대한 파일 SHA-512 해쉬 값을 저장하는 원본위치 해쉬정보 저장부(317);를 가진다.
상기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은 상기 원본 증명을 위한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을 거친 신규 원본 컨텐츠의 Z값 블록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저장소로 상기 정적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을 거쳐 정적컨텐츠를 제외한 데이터만 저장된다.
저장되는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내용 해쉬 값('z'값), 고유 키(인덱스) 값, 포인트 등의 관련 내용이고,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또한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는 이메일주소와 해쉬화된 패스워드 블록이 블록체인으로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처리부(4)는 컨텐츠 평문 저장모듈(41)과, 컨텐츠저장모듈(42)과 일반 서비스처리모듈(43)로 구성된다. 참고로 서비스 처리부(4의 각 모듈에 저장된 정보들은 상기블록체인 처리부(3)에 저장된 정보들과는 다른 정보들이다.
서비스 처리부(4)는 분산네트워크와 연결된 웹서버를 말한다.
이하 상기한 시스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방법 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 컨텐츠 처리부(2)가 회원가입단계를 거쳐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부(1)의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단계를 거쳐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S100)와;
b) 컨텐츠 처리부(2)가 입력받은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을 통해 해쉬화한 값과 블록체인 처리부(3)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정보를 불러와 추출후 해쉬화한 값을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여 원본여부를 증명한 다음 새로운 원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S200)와;
c) 블록체인 처리부(3)가 컨텐츠 처리부(2)에서 생성된 원본 블록을 받아 정적컨텐츠의 유무 및 변조여부를 확인한 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300)와;
d) 서비스처리부(4)가 새로운 블록의 생성 또는 블록생성 거절여부 정보를 분산네크워크 상의 사용자 단말부들에게 알리고, 새로 생성된 블록이 있을 경우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00) 단계는 회원가입모듈(11)를 통해 사전에 컨텐츠 처리부(2)의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과 정보를 교환해 회원가입단계를 거친 사용자 단말부(1)로부터 로그인시 입력된 평문의 이메일과 패스워드를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에서 회원인증시 저장된 평문의 이메일 정보와 해쉬화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맞으면 로그인을 승인하는 단계와;
로그인 승인된 사용자 단말부(1)로부터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와 재차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재차 패스워드를 검증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S200) 단계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1)의 컨텐츠등록모듈(12)을 통해 입력한 텍스를 전송받아 출현 빈도가 높은 상위 단어를 추출 후 해쉬화 하고, 이를 파편화 후 재조합한 해쉬값의 유사도를 비교 후 유사도가 낮은 원본 컨텐츠만을 인코딩하여 해당 블록을 블록체인 처리부에 전송시켜 블록체인으로 저장토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S300) 단계는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에서 상기 원본 증명을 위한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을 거친 신규 원본 컨텐츠의 Z값 블록값에 외부서버에 저장된 정적컨텐츠, 예를 들어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기타 파일등이 링크된 외부파일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이러한 정적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정적컨텐츠의 위변조를 확인하고, 해당 위변조여부 정보를 거친후 변조되지 않은 원본 정보는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해당 정적컨텐츠 정보를 해쉬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때 변조가 확인되면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원본으로 저장되지 못하도록 변조된 정보를 해쉬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정적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을 거쳐 정적컨텐츠를 제외한 상기 원본 증명을 위한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을 거친 신규 원본 컨텐츠의 Z값 블록을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저장하느 단계를 가진다.
저장되는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내용 해쉬 값('z'값), 고유 키(인덱스) 값, 포인트 등의 관련 내용이다.
또한 회원인증단계의 이메일주소와 해쉬화된 패스워드 블록을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의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400) 단계는 회원인증이나 블록의 생성 또는 거절 관련 정보를 분산네크워크상의 사용자단말부에 알리고, 생성된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관련정보를 컨텐츠 평문 저장모듈(41)과, 컨텐츠저장모듈(42)과 일반 서비스처리모듈(43)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회원 가입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입단계는, 사용자 단말부(1)의 회원가입모듈(11)에서 평문의 이메일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인터넷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접수한 컨텐츠 처리부(2)의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은 이메일주소 및 패스워드를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S110)를 가진다. 이때 패스워드는 해쉬화 후 저장한다.
이후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은 저장된 신규 회원의 블록을 블록체인 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로 전송해 블록체인화 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S120)를 가진다.
이후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은 전송받은 정보를 승인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다시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로 사용자계정, 사용자체인 패스워드, Private Key를 반환하는 단계(S130)를 가진다.
이후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은 사용자계정, 사용자체인 패스워드, Private Key를 반환받은 후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를 암호화 키로 사용, AES 256 암호화한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S140)를 가진다.
이후 서비스처리부(4)는 회원가입 및 블록체인화 단계가 종료되어 가입이 승인되어 인증된 정보를 사용자단말부(1)에 이메일 전송하는 단계(S150)를 가진다.
이후 사용자 단말부(1)는 인증 이메일 수신 후 링크를 클릭하여 서비스 처리부(4)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는 단계(S160)를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본증명을 위한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검사 처리단계의 상세흐름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유사도 비교 단계의 상세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증명을 위한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에서 처리되는 (S200) 단계는,
컨텐츠 원본 읽기 단계(S210); 단어 단위 토큰화 단계(S220); 단어 빈도 산출 단계(S230);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단계(S240); 비중측정 리스트화 단계(S250); 상위 단어 해쉬화 단계(S260);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 단계(S270);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단계(S280); 해쉬값 인코딩 단계(S290);를 통해 처리하여 원본 텍스트를 해쉬화된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1)에 저장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 원본 읽기 단계(S2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1)의 컨텐츠등록모듈(12)에서 전송한 컨텐츠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상기 단어 단위 토큰화 단계(S220)는 입력받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어 사이에 스페이스(Space)가 있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단어 단위로 토큰화(Tokenize)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어 빈도 산출 단계(S230)는 토큰화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분석하여 일정 개수의 상위 빈도 단어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토큰화된 전체 단어가 100개의 단어라면 10개의 자주 출현한 단어 빈도를 산출(K개)하면 된다.
상기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단계(S240)는 전단계에서 산출된 자주 출현한 단어의 유의어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한글일 경우는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유의어를 산출하고, 영어일 경우 사전을 이용해 유의어를 산출한다.
상기 비중측정 리스트화 단계(S250)는,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단계(S240)에서 산출된 상위출현 단어와 유의어 단어에 비중치를 두어 상위 출현 단어 개수(K)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위 출현 단어 비중은 1로 하고, 유의어 단어 비중은 0.5로 설정한 뒤 행렬화시켜 자주 출현하는 상위 단어 개수(K)를 재산출한다.
상기 상위 단어 해쉬화 단계(S260)는 비중측정 리스트화 단계를 통해 산출된 상위 단어를 해쉬화 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위 단어 K개를 md5 해시화한다.
예를 들어 상위 단어가 "ABCD"일 경우 Cb08ca4a7bb5f9683c19133a84872ca7의 해쉬값으로 변환된다.
상기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 단계(S270)는 이전 상위 단어 해쉬화 단계(S260)에서 md5 해쉬화된 상위 단어 개수(K)를 파편화한 리스트(Z)에서 재조합한 X값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전 상위 단어 해쉬화부(226)에서 md5 해쉬화된 상위 단어 개수(K)를 파편화한 리스트(Z)에서 재조합한 X값을 생성 처리한다. 상세 설명은 전술한 "Z리스트 표(X값 변환 표)" 설명과 같으므로 동일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단계(S280)는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과 블록체인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기저장된 블록체인의 개별 블록들의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비교하여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블록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이때 순차적으로 모든 블록들을 불러와 추출 후 비교한다.
이를 위해 이전단계에서 파편화 후 재조합된 형태의'X'값과 블록체인처리부에 저장된 블록을 모두 추출하여 디코팅 후 X값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90% 미만 시 블록을 생성하고, 90% 이상이면 유사로 판단하여 블록 생성을 거절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재조합된 해쉬값을 통한 유사도 비교단계(S280)는 블록체인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모든 블록을 하나씩 추출하여 가져오는 것을 반복하는 블록체인 컨텐츠 추출 단계(S281); 추출된 모든 컨텐츠 블록의 X값을 Base64 Decoding하여 Z값으로 변환하는 해쉬 Base64 Decode 단계(S282); 디코딩된 Z값을 MD5 해쉬값의 Z리스트로 변환시키는 Z리스트 변환단계(S283);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과 블록체인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서 추출되어 변환된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을 매치시켜 비교후 유사도(%)를 생성하는 유사도 계산 단계(S284); 유사도 결과 값 출력단계(S285);를 거친다.
상기 해쉬값 인코딩 단계(S290)는 유사도 비교가 끝난 X값을 BASE64 Encoding으로 변경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전단계의 Z값 'cb087bb53c19848722e14e 2493bf8b5a'은 'Y2IwODdiYjUzYzE5ODQ4NzIyZTE0ZTI0OTNiZjhiNWEK'로 변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정적컨텐츠의 위변조를 확인하여 블록체인에 처리하는 단계의 상세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300) 단계는,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은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을 거쳐 전송된 블록중에 포함된 정적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링크 수신단계(S310);
링크주소에 저장된 외부 서버에 저장된 파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외부 파일 해쉬 계산을 위한 파일 다운로드 단계(S320);
다운받은 파일의 SHA-512 해쉬를 확인하는 해쉬 확인 단계(S330);
분산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사용자 단말부)들에게 해쉬값의 위변조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해쉬값 검증 신청단계(S340);
링크 수신단계(S310에서 해쉬값 검증 신청단계(S340)까지의 단계를 반복하여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이 95% 이상일 시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고 검증이 95% 미만일 시 Malformed로 저장하는 해쉬검증 저장단계(S350);
검증이 끝난 원본 데이터의 등록 요청단계(S360);
등록요청단계에 따라 파일 원본 위치에 대한 파일 SHA-512 해쉬 값을 저장하는 원본위치 해쉬정보 저장단계(S370);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사용자 단말부 (2) : 컨텐츠 처리부
(3) : 블록체인 처리부 (4) : 서비스처리부
(11) : 회원가입모듈 (12) : 컨텐츠등록모듈
(21) :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
(22) :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
(31) : 정적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
(32) : 일반 블록체인 모듈 (41) : 컨텐츠 평문 저장모듈
(42) : 컨텐츠저장모듈 (43) : 일반 서비스처리모듈
(221) : 원본 읽기부 (222) : 단어 단위 토큰화부
(223) : 단어 빈도 산출부 (224) :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
(225) : 비중측정 리스트화부 (226) : 상위 단어 해쉬화부
(227) :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부 (228) : 해쉬값 유사도 비교부
(229) : 해쉬값 인코딩부 (228a) : 블록체인 컨텐츠 추출부
(228b) : 해쉬 Base64 Decode부 (228c) : Z리스트 변환부
(228d) : 유사도 계산부 (228e): 출력부
(311) : 링크 수신부 (312) : 파일 다운로드부
(313) : 해쉬 확인부 (314) : 해쉬값 검증 신청부
(315) : 해쉬검증 저장부 (316) : 등록 요청부
(317) : 해쉬정보 저장부

Claims (18)

  1.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처리부(2)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후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전송하도록 회원가입모듈(11)과 컨텐츠등록모듈(12)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부(1)와;
    입력된 회원정보,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해쉬화한 값과 블록체인에 저장된 블록을 추출하여 해쉬화한 값을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여 원본여부를 증명한 다음 새로운 원본 블록을 생성하도록, 회원정보 처리 및 저장모듈(21)과 원본증명을 위한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로 구성된 컨텐츠 처리부(2)와;
    새로 생성된 원본 데이터 블록 및 정적컨텐츠의 변조 여부를 처리하여 생성된 정적컨텐츠 데이터 블록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도록,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과 일반 블록체인 모듈(32)로 구성된 블록체인 처리부(3)와;
    새로운 블록 생성을 분산네크워크상의 사용자 단말부들에게 알리고 해당 블록을 전송하도록 컨텐츠 평문 저장모듈(41)과, 컨텐츠저장모듈(42)과 일반 서비스처리모듈(43)로 구성된 서비스처리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은
    사용자 단말부(1)의 컨텐츠등록모듈(12)에서 전송한 컨텐츠를 입력받는 컨텐츠 원본 읽기부(221); 입력받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어 단위로 토큰화 처리하는 단어 단위 토큰화부(222); 토큰화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분석하여 일정 개수의 상위 빈도 단어를 산출하는 단어 빈도 산출부(223); 단어 빈도 산출부(223)에서 산출된 자주 출현한 단어의 유의어를 산출하는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224); 단어 빈도 산출부(223)에서 산출된 상위출현 단어와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224)에서 산출된 유의어 단어에 비중치를 두어 상위 출현 단어 개수를 산출하는 비중측정 리스트화부(225); 비중측정 리스트화부를 통해 산출된 상위 단어를 해쉬화하는 상위 단어 해쉬화부(226); 해쉬화된 상위 단어 개수(K)를 파편화한 리스트(Z)에서 재조합한 X값을 생성 처리하는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부(227);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과 블록체인처리부(3)에 기저장된 블록체인의 개별 블록들의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비교하여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블록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비교하는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부(228); 유사도 비교가 끝난 X값을 BASE64 Encoding으로 변경하여 처리하는 해쉬값 인코딩부(22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부(224)는 한글일 경우는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유의어를 산출하고, 영어일 경우 사전을 이용해 유의어를 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중측정 리스트화부(225)는 상위 출현 단어 비중은 1로 하고, 유의어 단어 비중은 0.5로 설정한 뒤 행렬화시켜 자주 출현하는 상위 단어 개수(K)를 재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부(228)는
    블록체인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모든 블록을 하나씩 추출하여 가져오는 것을 반복하는 블록체인 컨텐츠 추출부(228a);
    추출된 모든 컨텐츠 블록의 X값을 Base64 Decoding하여 Z값으로 변환하는 해쉬 Base64 Decode부(228b);
    디코딩된 Z값을 MD5 해쉬값의 Z리스트로 변환시키는 Z리스트 변환부(228c);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과 블록체인처리부(3)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32)에서 추출되어 변환된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을 매치시켜 비교후 유사도(%)를 생성하는 유사도 계산부(228d);
    유사도 결과 값을 출력하는 출력부(228e);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계산부(228d)는 X값을 비교하여 문자열의 유사도가 90% 미만 시 블록을 생성하고, 90% 이상이면 유사로 판단하여 블록 생성을 거절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처리부(3)의 정적 컨텐츠 처리 및 저장모듈(31)은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22)을 거쳐 전송된 블록중에 포함된 정적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링크 수신부(311);
    링크주소에 저장된 외부 서버에 저장된 파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외부 파일 해쉬 계산을 위한 파일 다운로드부(312);
    다운받은 파일의 SHA-512 해쉬를 확인하는 해쉬 확인부(313);
    분산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사용자 단말부)들에게 해쉬값의 위변조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해쉬값 검증 신청부(314);
    링크 수신부(311)부터 해쉬값 검증 신청부(314)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에 따라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거나 Malformed로 저장하는 해쉬검증 저장부(315);
    검증이 끝난 원본 데이터의 등록 요청부(316);
    등록요청단계에 따라 파일 원본 위치에 대한 파일 SHA-512 해쉬 값을 저장하는 원본위치 해쉬정보 저장부(3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해쉬검증 저장부(315)는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이 95% 이상일 시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고 검증이 95% 미만일 시 Malformed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9. 청구항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적컨텐츠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기타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부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시스템.
  10. 컨텐츠 처리부가 회원가입단계를 거쳐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부의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단계를 거쳐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S100)와;
    컨텐츠 처리부가 입력받은 답변 또는 질문 텍스트를 컨텐츠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을 통해 해쉬화한 값과 블록체인 처리부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정보를 불러와 추출후 해쉬화한 값을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에 대한 유사도를 검사하여 원본여부를 증명한 다음 새로운 원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S200)와;
    블록체인 처리부가 컨텐츠 처리부에서 생성된 원본 블록을 받아 정적컨텐츠의 유무 및 변조여부를 확인한 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300)와;
    서비스처리부가 새로운 블록의 생성 또는 블록생성 거절여부 정보를 분산네크워크 상의 사용자 단말부들에게 알리고, 새로 생성된 블록이 있을 경우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사용자 단말부의 컨텐츠등록모듈에서 전송한 컨텐츠를 입력받는 컨텐츠 원본 읽기 단계(S210);
    입력받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어 단위로 토큰화하는 단어 단위 토큰화 단계(S220);
    토큰화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분석하여 일정 개수의 상위 빈도 단어를 산출하는 단어 빈도 산출 단계(S230);
    단어 빈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자주 출현한 단어의 유의어를 산출하는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단계(S240);
    산출된 상위출현 단어와 유의어 단어에 비중치를 두어 상위 출현 단어 개수를 산출하는 비중측정 리스트화 단계(S250);
    산출된 상위 단어를 해쉬화하는 상위 단어 해쉬화 단계(S260);
    해쉬화된 상위 단어 개수(K)를 파편화한 리스트(Z)에서 재조합한 X값을 생성하는 리스트 파편화 및 재조합 단계(S270);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과 블록체인처리부(3)에 기저장된 블록체인의 개별 블록들의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비교하여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을 블록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비교하는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단계(S280);
    유사도 비교가 끝난 X값을 BASE64 Encoding으로 변경하는 해쉬값 인코딩 단계(S2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위 출현 단어 유의어 산출단계(S240)는 한글일 경우는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유의어를 산출하고, 영어일 경우 사전을 이용해 유의어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비중측정 리스트화 단계(S250)는 상위 출현 단어 비중은 1로 하고, 유의어 단어 비중은 0.5로 설정한 뒤 행렬화시켜 자주 출현하는 상위 단어 개수(K)를 재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된 해쉬값 유사도 비교단계(S280)는
    블록체인처리부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에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모든 블록을 하나씩 추출하여 가져오는 것을 반복하는 블록체인 컨텐츠 추출 단계(S281);
    추출된 모든 컨텐츠 블록의 X값을 Base64 Decoding하여 Z값으로 변환하는 해쉬 Base64 Decode 단계(S282);
    디코딩된 Z값을 MD5 해쉬값의 Z리스트로 변환시키는 Z리스트 변환단계(S283);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과 블록체인처리부의 일반 블록체인 모듈에서 추출되어 변환된 신규 원본 텍스트의 X 값 문자열을 매치시켜 비교후 유사도(%)를 생성하는 유사도 계산 단계(S284);
    유사도 결과 값 출력단계(S28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S284)는 X값을 비교하여 문자열의 유사도가 90% 미만 시 블록을 생성하고, 90% 이상이면 유사로 판단하여 블록 생성을 거절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는
    해쉬 생성 및 유사도 비교 모듈을 거쳐 전송된 블록중에 포함된 정적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링크 수신단계(S310);
    링크주소에 저장된 외부 서버에 저장된 파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외부 파일 해쉬 계산을 위한 파일 다운로드 단계(S320);
    다운받은 파일의 SHA-512 해쉬를 확인하는 해쉬 확인 단계(S330);
    분산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사용자 단말부)들에게 해쉬값의 위변조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해쉬값 검증 신청단계(S340);
    링크 수신단계(S310)에서 해쉬값 검증 신청단계(S340)까지의 단계를 반복하여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에 따라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거나 Malformed로 저장하는 해쉬검증 저장단계(S350);
    검증이 끝난 원본 데이터의 등록 요청단계(S360);
    등록요청단계에 따라 파일 원본 위치에 대한 파일 SHA-512 해쉬 값을 저장하는 원본위치 해쉬정보 저장단계(S3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해쉬검증 저장단계(S350)는 다른 노드들과의 해쉬 검증이 95% 이상일 시 원본 데이터로 저장하고 검증이 95% 미만일 시 Malformed로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18. 청구항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정적컨텐츠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기타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부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KR1020190010506A 2019-01-28 2019-01-28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93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506A KR20200093262A (ko) 2019-01-28 2019-01-28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506A KR20200093262A (ko) 2019-01-28 2019-01-28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262A true KR20200093262A (ko) 2020-08-05

Family

ID=7204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506A KR20200093262A (ko) 2019-01-28 2019-01-28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2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9984A (zh) * 2021-06-25 2021-12-24 杭州宇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事件音视频可信存储、共享方法及系统
KR20220028462A (ko) * 2020-08-28 2022-03-0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4401092A (zh) * 2021-12-17 2022-04-26 浙江工商大学 基于区块链和ipfs的图像文件共享平台侵权保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062A (ko) 2004-03-13 2005-09-16 엔에이치엔(주) 지식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4323A (ko) 2008-02-01 2009-08-05 황나삼 댓글 관리를 통한 댓글 광고 수익 모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1509209B1 (ko) 2014-01-13 2015-04-09 네이버 주식회사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20170A (ko) 2015-08-14 2017-02-22 조현철 문답형 지식검색을 기반으로하는 서비스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062A (ko) 2004-03-13 2005-09-16 엔에이치엔(주) 지식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4323A (ko) 2008-02-01 2009-08-05 황나삼 댓글 관리를 통한 댓글 광고 수익 모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1509209B1 (ko) 2014-01-13 2015-04-09 네이버 주식회사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20170A (ko) 2015-08-14 2017-02-22 조현철 문답형 지식검색을 기반으로하는 서비스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62A (ko) * 2020-08-28 2022-03-0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3839984A (zh) * 2021-06-25 2021-12-24 杭州宇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事件音视频可信存储、共享方法及系统
CN114401092A (zh) * 2021-12-17 2022-04-26 浙江工商大学 基于区块链和ipfs的图像文件共享平台侵权保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9408B2 (ja) 分散ハッシュテーブル及び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を利用した契約の実行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7483181B (zh) 合同管理方法、装置及终端
CN102810089B (zh) 基于内容的短链接系统及实现方法
CN113204532A (zh) 跨全异的不可变分布式账本网络进行身份解析的系统和方法
JP2022509105A (ja) ブロックチェーン上に格納されたデータへのアクセスを可能にする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施され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643224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侵权存证方法及设备
CN107423632A (zh) 可定制的敏感数据脱敏方法和系统
KR20200093262A (ko)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Chen et al. Study and implementation on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electronic evidence generation
KR10223878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저장 및 검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903421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Social Media Information
CN104899499A (zh) 基于互联网图片搜索的Web验证码生成方法
US20230388136A1 (en) Merkle proof entity
WO2021089495A1 (en) Data block modification
CN111428269A (zh) 数据访问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499666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字版权保护方法
CN101611400A (zh) 用于辨识并连结具有匹配机密信息的使用者的系统及方法
CN112862589A (zh) 金融场景下的身份验证方法、装置和系统
US11921689B2 (en) Data structure storage optimisation
WO2018078400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igning a legal document
Shorman et al.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of social networking account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Chenli et al. Provnet: Networked blockchain for decentralized secure provenance
CN116055067A (zh) 一种弱口令检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4358767A (zh) 数据交易流程合规公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Althero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Social Network Accou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