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251A -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251A
KR20200093251A KR1020190010485A KR20190010485A KR20200093251A KR 20200093251 A KR20200093251 A KR 20200093251A KR 1020190010485 A KR1020190010485 A KR 1020190010485A KR 20190010485 A KR20190010485 A KR 20190010485A KR 20200093251 A KR20200093251 A KR 20200093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nu
advertisement
order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3996B1 (en
Inventor
황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황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황상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Priority to KR102019001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99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9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06K9/00221
    • G06K9/0036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user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a user; a user advertisement inducement unit which, 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recognized, switches to an advertisement mode to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and attempts to attract the user by activating a display panel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a user menu processing unit which, when the proximity of the user is recognized, switches to a menu providing mode, determines the type of the user through facial recognition of the user, and generates a recommendation menu.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rvice suitable for a user′s request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Description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주문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order process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suitable for a user's needs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a user.

최근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한 자동 주문 시스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키오스크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무인 단말기에 해당한다. 키오스크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 주문 시스템은 사람의 개입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고객이 접근하여 사용을 개시하기 전까지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Recently, an automatic ordering system using a kiosk has been widely used. Kiosk is an unmanned terminal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se it for unmanned automation of information service and work. An automatic ordering system based on a kiosk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utomatically place orders even without human intervention, but it is less efficient in that it does not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until the actual customer approaches and starts using it. I have a problem.

한국등록특허 제10-1240747(2013.02.28)호는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진행할 필요 없이 모바일 기기에 기정해진 동작을 발생시킴으로써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공개적인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장치에 개인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쉽고 빠른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양방향의 광고가 가능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40747 (2013.02.28)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nd a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therefor, without requiring a series of processes to receive the content. 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device, desired content can be provided, an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as it is not necessary to input personal information to a kiosk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place in order to receive the content. By supporting a fast interface, it is possible to induce direct participation of users and disclose a technology capable of interactive advertisement.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6867(2013.05.08)호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오스크를 통하여 제공하는 무료 통화 시에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제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는 무료 통화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과 광고주 모두에게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6867 (2013.05.08)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using a kiosk, and not only can enhance the advertisement providing effect by providing advertisements to users during free calls provided through the kiosk. , It is disclosed a technology that can provide a free call to the user, thus providing advantages to both the user and the advertiser.

한국등록특허 제10-1240747(2013.02.28)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40747 (2013.02.28)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6867(2013.05.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6867 (2013.05.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suitable for a user's needs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존재나 근접에 따른 모드 전환을 통해 사용자 유인을 위한 광고의 제공과 메뉴 결제를 위한 추천 메뉴의 생성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dynamically processing the provision of advertisements for user attraction and creation of a recommendation menu for menu payment through mode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proxim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검출에 실패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를 수행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비활성화 지속시간에 따라 사용자 유인을 위한 광고 및 전자 쿠폰의 제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erforming deactivation of the display panel when a user detection fail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utomatically provide advertisements and electronic coupons for user attraction according to the deactivation dur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상기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하는 사용자 광고 유인부 및 상기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하는 사용자 메뉴 처리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is a use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a user, and 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recognized, switches to an advertisement mode to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and activates a display panel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And a user advertisement incentive for attempting to attract the user, and a user menu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type of the user through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and generating a recommendation menu by switching to a menu providing mode when the user's proximity is recognized.

상기 사용자 검출부는 제1 기준시간 동안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에 대한 검출에 실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The user detector may deactivate the display panel when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continues for a first reference time.

상기 사용자 광고 유인부는 상기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2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과거 결제 기록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연락처로 상기 광고 콘텐츠와 연관된 전자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duration of the deactivation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may periodically search past payment records and provide an electronic coupon associat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a contact of the user.

상기 사용자 광고 유인부는 상기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수 및 상기 전자 쿠폰의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ng unit may increas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sers and the discount rate of the electronic coup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deactivation.

상기 사용자 메뉴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 결정을 위한 사전 동의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may perform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only when requesting prior consen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panel and receiving approval for the request.

상기 사용자 메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종을 추정하여 메뉴 장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하여 상기 메뉴 장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컨텐츠를 상기 추천 메뉴로서 결정할 수 있다.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may determine a menu genre by estimating the user's race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and determine at least one menu content among the menu genres as the recommendation menu by estimating the gender and age of the user. have.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a specific embodiment does not mean that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should be included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are included,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존재나 근접에 따른 모드 전환을 통해 사용자 유인을 위한 광고의 제공과 메뉴 결제를 위한 추천 메뉴의 생성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ynamically process the provision of advertisements for user attraction and creation of a recommendation menu for menu payment through mode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proxim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검출에 실패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를 수행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비활성화 지속시간에 따라 사용자 유인을 위한 광고 및 전자 쿠폰의 제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erforming a deactivation of a display panel when a user detection fail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providing advertisements and electronic coupons for attracting users according to the deactivation duration Can be done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주문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검출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주문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mart order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in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user detection process performed in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mart order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in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us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indicate the existence, and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dentifi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tat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사용자 입출력부(1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include a processor 110, a memory 130, a user input/output unit 1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170.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주문을 자동으로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거나 안면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다양한 정보 수집을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일반적인 키오스크(kiosk)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의 주문 접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and processing an order for a product or service. The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network function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 display panel including a camera and a touch screen for recognizing a user through image analysis, or performing face recognition, and various information It may be implemented by further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the collection. For example,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in a general kiosk form,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o effectively process order acceptance from a user.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광고 또는 추천 메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와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은 POS(Point Of Sales, KDS(Kitchen Display System),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to identify a user's location in connection with a database and provide an advertisement or recommendation menu. The database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and connected through a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system, for example, the external system may include POS (Point Of Sales, KDS (Kitchen Display System),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etc. Can.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 또는 추천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각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1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1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130), 사용자 입출력부(1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can automatically detect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and execute each procedure to provide the advertisement content or recommendation menu to the user, and manage the memory 130 that is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The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the 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in the memory 130 may be scheduled. The processor 1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130, the user input/output unit 1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170 to control data flow therebetween. can do. The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메모리(1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with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사용자 입출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1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1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1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1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image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1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be perform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1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1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 Value Added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검출부(210),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include a user detection unit 210, a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a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70.

사용자 검출부(210)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검출부(2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A 거리(예를 들어, 10m) 이내의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B 거리(예를 들어, 1m) 이내의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The user detector 210 may detect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detection unit 210 may detect the presence of the user by detecting whether the user exists in an area within an A distance (for example, 10 m)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is installed. , By detecting whether the user exists in an area within a B distance (for example, 1 m),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can be detected.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 검출을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주기적인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미지 간의 변화로 도출되는 사용자의 이동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분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센서들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detection unit 210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a user, for example, a camera sensor that generates an image for a corresponding area. The user detector 210 may determine whether a user exists in a specific area by analyz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a camera sensor, and may detect a user's movement situation, which is caused by changes between images through periodic image analysis. . The user detector 210 may simultaneously use a plurality of sensors to increase analysis accuracy.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제1 기준시간 동안 계속하여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에 대한 검출에 실패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제1 기준시간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를 결정하기 위한 비교 기준시간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detector 210 may deactivate the display panel when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continues for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correspond to a comparison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the deactiva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may be set and utilized in advance by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The user detection unit 210 may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by deactivating the display panel.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 검출부(210)에 의해 특정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 광고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 모드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 모드에 해당할 수 있고, 효율적인 광고전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attempt to attract the user by switching to the advertisement mode to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recognized, and activating the display panel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switch to the advertisement mode when the presence of a user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by the user detection unit 210. The advertisement mode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mode for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to play advertisement content for a product or service through a display panel, and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be used to achieve an efficient advertisement delivery purpose. Some functions may be limited.

또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메모리(13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재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 유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인기있는 순서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일정 패턴에 따라 특정 광고 컨텐츠 만을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광고 컨텐츠의 내용을 랜덤하게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acquire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from the memory 130 or an external database and reproduce them through the display panel.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 in various way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user attraction. For example,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sequentially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s in a popular order to multiple users, repeatedly provide only specific advertisement contents according to a certain pattern, and periodically advertise The content of the content can be provided by randomly changing it.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2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과거 결제 기록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연락처로 광고 콘텐츠와 연관된 전자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기준시간은 사용자 유인을 위한 적극적 조치로서 쿠폰 제공을 결정하기 위한 비교 기준시간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활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duration of inactivation for the display panel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periodically searches past payment records and electronic coupons associat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user Can provide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correspond to a comparative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coupon offer as an active measure for user attraction, and may be set and utilized in advance by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가 일정 시간 지속된 경우는 사용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 유인을 위한 적극적 조치로서 과거 결제 기록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전자 쿠폰을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쿠폰은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할인 쿠폰에 해당할 수 있고, 혜택 기간 및 혜택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쿠폰 제공을 위한 주기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deactivation of the display panel las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means that the user does not use any product or service, so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ng unit 230 is an active measure for attracting users, and electronic coupons are provided to users with past payment records. Can be provided periodically. The electronic coupon may correspond to a discount coupon that can receive a discount for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benefit period and benefit rate. The period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coupon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에 따라 과거 결제 기록의 검색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2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과거 결제 기록을 검색할 수 있고, 주기의 반복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거 결제 기록에 대한 검색 범위를 확장하여 전자 쿠폰 제공 대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과거 결제 기록의 검색 범위를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1달 이내'에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2달 이내' 또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3달 이내'로 확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extend the search range of the past payment recor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inactivation for the display panel. More specifically, when the duration of inactivation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periodically search past payment records, and search for past payment records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ycle increases. The scope of electronic coupons can be increased by expanding the scope. For example,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ng unit 230 sets the search range of the past payment record from'within 1 month from the current time' to'within 2 months from the current time' or'within 3 months from the current time' '.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수 및 전자 쿠폰의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는 실제 전자 쿠폰을 제공받을 대상자의 수에 해당하고, 최초 사용자의 수가 10명인 경우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주기가 반복될 때마다 그 수를 11, 12, ... 과 같이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쿠폰의 최초 할인율이 10%인 경우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주기가 반복될 때마다 할인율을 11, 12, ... 과 같이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사용자의 수 및 전자 쿠폰의 할인율에 대한 최대값을 설정하여 주기의 반복에 의한 증가를 제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increas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sers and the discount rate of the electronic coup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eactivation for the display panel. For example, the number of user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argets to receive the actual electronic coupon, and if the number of first users is 10,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ng unit 230 increases the number every time the cycle is repeated 11, 12,. .. can be increased by one. In addition, when the initial discount rate of the electronic coupon is 10%,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ng unit 230 may increase the discount rate by 1%, such as 11, 12, ... every time the cycle is repeated. The user advertisement incentive unit 230 may set the maximum value for the number of users and the discount rate of the electronic coupon to limit the increase by repetition of the cycl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사용자의 수 및 전자 쿠폰의 할인율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may calculate the number of users and the discount rate of the electronic coupon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Mathematics]

(1)

Figure pat00001
(One)
Figure pat00001

(2)

Figure pat00002
(2)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N은 사용자의 수를, N0은 시간당 평균 사용자의 수를, k1 및 k2는 비례상수를, Tu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 지속시간을, D는 전자 쿠폰의 할인율을, R은 주기의 반복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Here, N is the number of users, N 0 is the average number of users per hour, k 1 and k 2 are proportional constants, T u is the duration of inactivation of the display panel, D is the discount rate of the electronic coupon, R Can mean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ycle.

사용자의 수 N은 시간당 평균 사용자의 수 N0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화 지속시간 Tu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비활성화 지속시간 Tu가 증가할수록 사용자의 수 N도 증가할 수 있다. 전자 쿠폰의 할인율 D는 비활성화 지속시간 Tu를 반영하여 증가된 사용자의 수 N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비활성화 지속시간 Tu 및 주기의 반복 횟수 R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비활성화 지속시간 Tu는 초(sec) 단위로 표현될 수 있고, 로그 값으로 변환되어 수학식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number of users N can be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inactivation duration T u of the display panel based on the average number of users N 0 per hour, and as the inactivation duration T u increases, the number N of users may also increase. The electronic coupon, discount 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eactivation duration T u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rease reflects the number of users N, disabled and cycle duration T u iteration of the number of R. The deactivation duration T u may be expressed in units of seconds, and converted to a logarithmic value, and used in an equation.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대기 모드에서 광고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모듈,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 중에서 n개(단, n은 자연수)의 광고 컨텐츠를 선별하여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광고 리스트 생성 모듈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광고 재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모듈은 사용자 검출부(210)로부터 사용자의 존재에 관한 검출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 시점의 모드에 따라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is a mode switching module that performs a switch from a standby mode to deactivate a display panel to an advertisement mode, and n advertisements among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It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list generation module for selecting the content and generating an advertisement list, and an advertisement playback module for sequentially 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list through the display panel. The mode switching module may receive a detection result regarding the presence of the user from the user detection unit 210 and may perform mode switching according to a mode at the time of reception.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동작 상태에 따라 크게 대기 모드, 광고 모드 및 메뉴제공 모드로 구분될 수 있고, 모드 전환 모듈은 모드별 전환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모듈은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 및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에 포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개별로 구현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standby mode, an advertisement mode, and a menu providing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and the mode switching module may play a role of performing switching for each mode. The mode switching module may be included in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and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and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in some cases.

광고 리스트 생성 모듈은 광고 모드로 전환된 경우 메모리(13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 중에서 n개(단, n은 자연수)의 광고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광고 리스트 생성 모듈은 일정한 선별 기준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기 순위, 광고 대상인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광고 리스트 생성 시점의 시각 등을 선별 기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광고 재생 모듈은 광고 리스트 생성 모듈에 의해 광고 리스트 생성이 완료된 경우 해당 광고 리스트를 수신하여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When the advertisement list generation module is switched to the advertisement mode, n advertisement contents may b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30 or an external database (where n is a natural number). The advertisement list generation module may select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 to a certain selection criterion, and may use, for example, a popularity ranking, a price of a product or service targeted for advertisement, and a time when the advertisement list is generated. When the advertisement list generation is completed by the advertisement list generation module, the advertisement playback module may receive the advertisement list and sequentially play advertisement content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list through the display panel.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근접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와 특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접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된 경우 광고 컨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고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은 사용자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로서 동일 분류에 속한 사용자들의 공통적인 특징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인식 결과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user's proximity is recognized,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switch to a menu providing mode to determine the user's type through the user's face recognition and generate a recommendation menu. Proximity of the user means that the user exist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accesses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and orders a product or service through the display panel May correspond to When the user's proximity is recognized,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stop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switch to a menu providing mode to provide a menu to the user. The user type is a result of classifying user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and may correspond to common characteristics of users belonging to the same classification, and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user's facial recognition result.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 결정을 위한 사전 동의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과 동시에 사용자의 안면인식에 관한 사전 동의를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안면인식을 거절한 경우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 유형에 상관없이 미리 정의된 추천 메뉴를 제공하거나 또는 해당 시점에서의 인기 순위를 기초로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perform a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only when requesting prior consent for determining the user's type through the display panel and receiving approval for the request.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request prior consent regarding the user's facial recognition at the same time as switching to the menu providing mode. If the user rejects the face recognition,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provide a predefined recommendation menu regardless of the user type or generate a recommendation menu based on the popularity ranking at the tim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인종을 추정하여 메뉴 장르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하여 메뉴 장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컨텐츠를 추천 메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종,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인종에 따라 메뉴 장르를 1차적으로 결정한 다음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기초로 해당 메뉴 장르 중에서 메뉴 컨텐츠를 2차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determines the menu genre by estimating the user's race through the user's face recognition, and estimates the gender and age of the user to recommend at least one menu content among the menu genres as a recommended menu Can decide.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estimate the user's race, gender, and age based on the user's facial recognition. In addition,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generate a recommendation menu by first determining a menu genre according to a user's race and then secondarily determining menu content among the corresponding menu genres based on the user's gender and ag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된 시점에서의 광고 컨텐츠와 연관되고 사용자 유형별로 구분되는 메뉴 리스트를 추천 메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된 시점에서의 광고 컨텐츠는 광고 모드에서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 전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제공된 광고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사용자 유형별 인기순위에 따른 메뉴 리스트를 각각 생성할 수 있고, 그 중에서 사용자 근접이 인지된 시점에서의 광고 컨텐츠와 연관되는 메뉴만을 선별하여 최종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generate a list of menus, which are associated with advertisement content at the time when proximity of the user is recognized, and are classified by user type, as a recommended menu. The advertisement content at the time when the user's proximity is recognized may correspond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panel before switching from the advertisement mode to the menu providing mode. More specifically,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may generate a menu list according to the popularity ranking of each user type, and among them, select only the menu associat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at the time when the user proximity is recognized to generate the final recommendation menu can do.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는 광고 모드에서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모듈,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는 사용자 유형 결정 모듈, 추천 메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제공하는 메뉴 제공 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메뉴에 관한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모듈은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에 포함된 모드 전환 모듈에 해당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별개의 모듈로서 구현되어 광고 모드에서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generates a mode switching module that performs a transition from an advertisement mode to a menu providing mode, a user typ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a user's type through the user's face recognition, and a recommendation menu It may include a menu providing modul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panel and a payment module providing payment regarding a recommendation menu selected by the user. The mode switching module corresponds to a mode switching module included in the user advertisement incentive unit 230 or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modul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dvertisement mode can be switched to the menu providing mode.

사용자 유형 결정 모듈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에 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인종,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유형 결정 모듈은 안면인식 수행 전에 사용자로부터 사전 동의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user type determination module may acquire an image of the user's face through a camera sensor included in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and may estimate the user's race, gender, and age through image analysis. In one embodiment, the user type determination module may request and receive prior consent from the user before performing facial recognition.

메뉴 제공 모듈은 사용자 유형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유형을 기초로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추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 모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외부 결제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결제 모듈은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특정 메뉴에 대한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nu providing module may generate a recommendation menu based on the user type determined by the user type determination module, and provide a recommendation menu through the display panel. The payment module may perform payment for a corresponding menu when a specific menu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ayment system through a network, and the payment module may perform a payment operation for a specific menu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system.

제어부(27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검출부(210),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 및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and manage a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user detection unit 210,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and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

도 3은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주문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mart order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in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검출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310).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광고 유인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할 수 있다(단계 S330).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메뉴 처리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50).Referring to FIG. 3,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detect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a user through the user detection unit 210 (step S310). 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recognized through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230,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switch to the advertisement mode to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and activate the display panel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attempt to attract the user. (Step S330). When the proximity of the user is recognized through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250,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switch to the menu providing mode to determine the user's type through the user's face recognition and generate a recommendation menu (step S350). ).

도 4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검출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user detection process performed in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는 사용자 검출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림 (a)에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거리 이내의 영역을 존재 감지 영역(41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거리 이내의 영역을 근접 감지 영역(4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는 10m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짧은 1m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에 의해 제1 및 제2 거리들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400 may detect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a user through the user detection unit 210. In Figure (a), the user detector 210 may set the area within the first distance as the presence detection area 410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400, and close the area within the second distance It can be set as the detection area 430. For example, the first distance may correspond to 10 m, and the second distance may correspond to 1 m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distances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400.

사용자 검출부(210)는 존재 감지 영역(410) 내로의 사용자 진입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존재로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그림 (b)에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근접 감지 영역(430) 내로의 사용자 진입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근접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검출부(210)는 사용자 식별을 기초로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할 수 있다.When the user detection unit 210 detects a user entry into the presence detection area 410, the user detection unit 210 may detect the presence of the user. In addition, in Figure (b), when the user detection unit 210 detects the user's entry into the proximity detection area 430, it can detect it as the user's proximity. In particular, the user detector 210 may detect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and for this purpose, various sensors including a camera sensor may be utilized.

사용자 검출부(210)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의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의 존재 검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400)의 광고 모드에서 사용자의 근접 검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를 통한 사용자 검출에 있어서, 사용자 검출부(210)는 대기 모드와 광고 모드에서의 카메라 해상도를 각각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검출부(210)는 대기 모드에서는 카메라 해상도를 낮춰 저해상도로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고, 광고 모드에서는 카메라 해상도를 높여 고해상도로 사용자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검출부(210)는 광고 모드에서의 카메라 해상도를 높임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detection unit 210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of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400, and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cting the user's proximity in the advertisement mode of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400. can do. In the user detection through the camera sensor, the user detection unit 210 may perform user detection by differentially applying the camera resolution in the standby mode and the advertisement mode. For example, the user detection unit 210 may perform user identification at a low resolution by lowering the camera resolution in the standby mode, and perform user identification at a high resolution by increasing the camera resolution in the advertisement mode. In particular, the user detection unit 210 may perform a preparation operation for the user's face recognition by increasing the camera resolution in the advertisement mode.

도 5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주문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mart order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in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검출부(51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사용자 광고 유인부(530)를 통해 광고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검출부(510)는 광고 모드로의 전환에 의해 사용자의 근접을 검출할 수 있다.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근접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 메뉴 처리부(550)를 통해 메뉴제공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detect the presence of a user through the user detection unit 510. When the existence of the user is confirmed,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switch to the advertisement mode through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530 and activate the display panel to attempt to attract the user. At this time, the user detection unit 510 may detect the proximity of the user by switching to the advertisement mode. When the proximity of the user is confirmed,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00 may switch to the menu providing mode through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550, determine the type of the user, and generate a recommendation menu.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뉴 처리부(55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유형 결정을 위한 사전 동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안면인식은 사용자 검출부(5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 메뉴 처리부(550)는 사용자 검출부(510)에 의한 안면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검출부(510)는 사용자 검출 및 안면인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센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550 may request prior consent for the user's type determination through the display panel, and perform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only when an approval for the request is received.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s face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detection unit 510, and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55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user using the face recognition result by the user detection unit 510. In this case, the user detection unit 510 may be implemented by essentially including a camera sensor to perform user detection and facial recogni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0, 400: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11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사용자 입출력부 170: 네트워크 입출력부
210, 510: 사용자 검출부 230, 530: 사용자 광고 유인부
250, 550: 사용자 메뉴 처리부 270: 제어부
410: 존재 감지 영역 430: 근접 감지 영역
100, 400: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110: processor 130: memory
150: user input/output unit 170: network input/output unit
210, 510: user detection unit 230, 530: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250, 550: User menu processing unit 270: Control unit
410: presence detection area 430: proximity detection area

Claims (6)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 유무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인지되면 광고 모드로 전환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켜 상기 사용자의 유인을 시도하는 사용자 광고 유인부; 및
상기 사용자의 근접이 인지되면 메뉴제공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추천 메뉴를 생성하는 사용자 메뉴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A use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A user advertisement attraction unit that attempts to attract the user by switching to an advertisement mode to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recognized, and activating a display panel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When the proximity of the user is recognized,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user menu processing unit that switches to a menu providing mode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user through the user's face recognition and generates a recommendation men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검출부는
제1 기준시간 동안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및 근접에 대한 검출에 실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detection unit
A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anel is deactivated when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and proximity of the user continues for a first reference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광고 유인부는
상기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2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과거 결제 기록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연락처로 상기 광고 콘텐츠와 연관된 전자 쿠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ng part
If the duration of the deactivation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periodically searching past payment records and providing an electronic coupon associat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a contact of the corresponding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광고 유인부는
상기 비활성화의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수 및 상기 전자 쿠폰의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ser advertisement attracting part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sers and the discount rate of the electronic coup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deactiv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메뉴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유형 결정을 위한 사전 동의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Smart order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is performed only when a prior consen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user is requested through the display panel and an approval for the request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메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종을 추정하여 메뉴 장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추정하여 상기 메뉴 장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컨텐츠를 상기 추천 메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menu processing unit
Smart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menu genre by estimating the user's race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menu content among the menu genres as the recommended menu by estimating the user's gender and age. Order processing device.
KR1020190010485A 2019-01-28 2019-01-28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KR1022039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85A KR102203996B1 (en) 2019-01-28 2019-01-28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85A KR102203996B1 (en) 2019-01-28 2019-01-28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251A true KR20200093251A (en) 2020-08-05
KR102203996B1 KR102203996B1 (en) 2021-01-18

Family

ID=7204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485A KR102203996B1 (en) 2019-01-28 2019-01-28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9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24B1 (en) 2022-02-04 2023-01-04 주식회사 굿타임즈 operation method and device of kiosk installed in lodging facil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632A (en) * 2007-03-14 2008-12-16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Kiosk system having user detection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40747B1 (en) 2010-06-29 2013-03-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KR20130046867A (en) 2011-10-28 2013-05-08 (주) 비포유인터랙티브 A method for advertising by using kiosk
KR20130139518A (en) * 2012-06-13 2013-12-23 이정수 Food ordering and payment system with the automatic counter having the advertisement function
JP2016177755A (en) * 2015-03-23 2016-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Order terminal equipment, order system, customer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632A (en) * 2007-03-14 2008-12-16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Kiosk system having user detection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40747B1 (en) 2010-06-29 2013-03-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KR20130046867A (en) 2011-10-28 2013-05-08 (주) 비포유인터랙티브 A method for advertising by using kiosk
KR20130139518A (en) * 2012-06-13 2013-12-23 이정수 Food ordering and payment system with the automatic counter having the advertisement function
JP2016177755A (en) * 2015-03-23 2016-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Order terminal equipment, order system, customer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996B1 (en)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13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modes of providing content on a charging station display
US7730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to a Wi-Fi device
US201201795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Campaigns of Electronic Promotional Content, Including Networked Distribution and Redemption of Such Content
WO200911116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consumer referral
EP136879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content of information presented to an audience
WO200911116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cial network marketing with advocate referral
PH12016000323A1 (en) Commerci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mmerci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150193804A1 (en) Incentive mechanisms for user interaction and content consumption
JP2016218821A (en) Marketing information use device, marketing information use method and program
KR20210044551A (en) Electronic receipt-based artificial calorie calcu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203996B1 (en)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US20210090135A1 (en) Commodity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commodity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and program
CN115392944A (en) Promotion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40278984A1 (en) Dynamic Pricing in Online Content
CN111951043A (e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00116841A (en) Responsive advertisement output method that identifies an emerging object and changes the output method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an emergng object and computerprogram
WO2019093291A1 (en) Customer service assistance device, customer service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477506B1 (en) Revisit service apparatus
JP2002232935A (en)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data processing unit and method, data communic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JP6915694B2 (en) Customer service support equipment, customer service support methods, and programs
KR102042709B1 (en) Responsive advertisement output method that identifies an emerging object and changes the output method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an emergng object and computerprogram
KR20220033270A (en) User stay adaptive advertising apparatus
JP74768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251218B2 (e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300889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