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617A -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617A
KR20200092617A KR1020190009728A KR20190009728A KR20200092617A KR 20200092617 A KR20200092617 A KR 20200092617A KR 1020190009728 A KR1020190009728 A KR 1020190009728A KR 20190009728 A KR20190009728 A KR 20190009728A KR 20200092617 A KR20200092617 A KR 20200092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animal
insurance company
customer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082B1 (ko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주)인투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투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인투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9000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0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에서 보험청구에 필요한 서류 등을 보험사로 자동으로 전송하고, 보험사는 해당 서류를 심사하여 고객 또는 동물병원의 계좌로 보험금을 자동 및 실시간으로 지급할 수 있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병원의 EMR(전자의무기록)을 통해 보험청구에 필요한 서류 등을 병원에서 보험사로 직접 보냄으로써, 고객(동물보호자), 병원, 보험사에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진료 즉시 보험금 청구 내용을 자동으로 보험사로 보내게 되어 보험 청구, 심사시간 및 보호자 또는 동물병원에서 보험금을 수령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으며, 동물병원에서 접수 시부터 보험가입 객체를 확인하고 진료행위를 하기 때문에 객체를 바꾸거나 차후 보험금을 타내기 위해 진료 이후 진료내역을 수정할 수가 없어 보험사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A SYSTEM FOR AUTOMATICALLY CLAIMING INSURANCE BENEFITS FROM AN ANIMAL HOSPITAL TERMINAL}
본 발명은 동물병원의 EMR에서 동물의 진료 및 처방에 대한 내용을 보험사로 보내어 보험금을 청구하고 보험사는 보험금을 고객 또는 동물병원으로 지급하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동물의 보험에 대한 이슈가 많이 발생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보험이 출시되었으나 동물의 주인 또는 수의사의 묵인에 의하여 보험을 들지 않은 동물이 진료를 받고 보험혜택을 받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개체 식별방법(홍체판독, 비문, 생체칩, RFID, DNA)등을 통해 특정 동물을 특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다양한 상품을 내놓고 있지만 많은 보험사의 동물보험의 손해율이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 가고 있어 보험사들이 보험 보장의 내용을 줄이거나 보험의 종류를 줄이고 있다.
이는 개체 식별 방법만으로 동물을 특정할 수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현재 동물 개체를 식별하는 여러가지 방법(홍체판독, 비문, 생체칩, RFID, DNA)등 이 개발되었지만, 이를 보험과 연계하여 정확히 진료하는 것은 보호자와 수의사의 양심에 맡겨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어려운 경제상황과 동물병원의 과열경쟁으로 인해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동물이 진료를 받고 보험의 혜택을 받는 일이 많이 발생하여 보험사 및 순수한 보험가입자들이 손해를 보는 일이 많아 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진료 시스템에서는 동물 진료 및 시장구조의 특성상 진료를 받은 동물이 이미 해당 진료를 받았다는 것을 특정하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3377호(동물보험 관련 동물개체 정보의 통합 관리와 개체인식수단을 이용한 진료 개체 특정 시스템)를 출원하여 등록 받았다.
등록특허 10-1903377호는 개체인식수단(단말기)을 이용하여 보험환자를 접수하고, 보험금 청구에 관련된 진료의 각 과정마다 개체인식수단을 통해 스캔 후 오더(order)를 내리도록 함으로써 일반환자가 부당한 보험 수혜를 받는 것을 방지하고, 보험환자의 진료내역을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으나, 고객 또는 동물병원에서 보험관련 문서를 전송하면 이를 확인 후 자동으로 보험금을 정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에도 동물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후 보험금을 청구하고 수령할 수는 있었으나, 진료 후 동물의 보호자가 종이로 된 진료내역서를 가지고 메일 또는 팩스를 이용해서 청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2-0087335호(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공개특허 제10-2012-0137597호(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공개특허 제10-2017-0083894호(애완동물 의료보험 기반의 복합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물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에서 보험청구에 필요한 서류 등을 보험사로 자동으로 전송하고, 보험사는 해당 서류를 심사하여 고객 또는 동물병원의 계좌로 보험금을 자동 및 실시간으로 지급할 수 있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은 보험사 서버에 접속하여 동물보험에 가입하고 보험증권을 발급받는 고객 단말;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 보험에 가입된 동물에 대한 진료 및 처방 후 보험증권 가입 정보 및 보험금 청구 내역을 전송하는 동물병원 단말;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보험증권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받으면 해당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여 보험가입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결과를 받아서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보험증권 가입 정보 및 보험금 청구 내역을 전송받아 해당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여 심사를 요청하는 보험사 중계서버; 및 동물보험에 가입한 동물의 보험 가입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부터 보험가입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가입여부를 보험사 중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보험금 청구 내역을 심사하여 고객 단말 또는 동물병원 단말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보험사 서버로부터 보험가입 여부를 전달받아 보험가입 내용을 EMR에 업데이트하고, 보험사 서버로부터 보험금 청구 내역에 대한 심사결과를 전달받아 EMR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진료 완료 후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와 치료내역 및 청구서를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와 치료내역 및 청구서를 토대로 심사하여 보험금을 고객의 계좌로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진료 후 상기 보험사 서버에 보험금의 바로 청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청구선택부; 및 상기 바로청구선택부에서 바로 청구를 선택하지 않으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바로 청구를 선택하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보험금청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실시간으로 심사 후 고객이 부담해야 할 자기부담금을 상기 보험금청구부에 전송하여 보험금청구부가 고객에게 자기부담금을 청구하도록 하고,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상기 동물병원의 계좌로 입금하고,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크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고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제2기준금액 이하면,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실시간으로 심사 후 고객이 부담해야 할 자기부담금을 상기 보험금청구부에 전송하여 보험금청구부가 고객에게 자기부담금을 청구하도록 하고,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상기 동물병원의 계좌로 입금하고,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고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제2기준금액을 초과하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하고,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크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험사 서버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전송된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동물의 품종을 조회하고, 동물병원 단말에서 전송된 보험금 청구 내역을 이용하여 질병 명을 조회하여 동물병원의 위치 및 동물의 품종 별 질병에 대한 내용을 질병내역DB에 저장하는 위치별질병관리부; 및 상기 동물병원 단말에서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 시 상기 질병내역DB를 검색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 동물병원 단말로 해당 동물병원에서 인접한 지역에 있는 동물의 품종 별 질병에 대한 치료 내역을 전송하는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상기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에서 전송한 치료 내역을 이용하여 인접한 지역의 동물 품종 별 질병현황 및 해당 동물병원에서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 동물과 품종이 같은 동물들의 인접한 지역의 질병현황을 표시하는 인접지역질병현황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동물병원의 EMR(전자의무기록)을 통해 보험청구에 필요한 서류 등을 병원에서 보험사로 직접 보냄으로써, 고객(동물보호자), 병원, 보험사에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진료 즉시 보험금 청구 내용을 자동으로 보험사로 보내게 되어 보험 청구, 심사시간 및 보호자 또는 동물병원에서 보험금을 수령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동물병원에서 접수 시부터 보험가입 객체를 확인하고 진료행위를 하기 때문에 객체를 바꾸거나 차후 보험금을 타내기 위해 진료 이후 진료내역을 수정할 수가 없어 보험사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에서 고객이 보험에 가입하고, 동물병원에서 보험을 조회하는 흐름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에서 보험금을 자동으로 청구하고 정산하는 흐름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동물병원 단말의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험사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의 보험금 지급 순서도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의 보험금 지급 순서도2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은 고객 단말(100), 동물병원 단말(200), 보험사 중계서버(300) 및 보험사 서버(400)를 포함한다. 동물병원 단말(200)은 바로청구선택부(210), 보험금청구부(220) 및 인접지역질병현황표시부(230)를 포함하고, 보험사 서버(400)는 위치별질병관리부(410), 질병내역DB(420) 및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430)를 포함한다.
도 1(a)는 동물에 대한 진료 전 보험증권을 전송하여 보험 가입 여부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내용이고, 도 1(b)는 동물에 대한 진료 후 보험증권 가입정보 및 보험금 청구 내역을 전송하여 보험금을 청구하는 내용이다.
도 1(a) 및 1(b)를 참고하면, 고객 단말(100)은 보험사 서버(400)에 접속하여 동물보험에 가입하고 보험증권을 발급받는다. 보험증권을 발급받은 고객은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시작한다.
동물병원 단말(200)은 진료 전에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고 보험증권 및 객체(동물)에 대한 정보를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전송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다.
동물병원 단말(200)은 진료 후에 보험에 가입된 동물에 대한 진료 및 처방 후 보험증권 가입 정보 및 보험금 청구 내역을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전송한다. 보험사 중계서버(300)는 동물병원 단말(200)로부터 받은 내용을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한다.
보험사 서버(400)는 메리츠, AIG 등과 같은 각 보험사의 서버를 말하며, 고객이 서로 다른 보험사를 이용하는 경우 여러 개의 보험사 서버(400)가 있을 것이다. 보험사 중계서버(300)는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중계서버를 말한다.
보험사 중계서버(300)는 동물병원 단말(200)로부터 보험증권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받으면 해당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하여 보험가입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결과를 받아서 동물병원 단말(200)로 전송하고, 동물병원 단말(200)로부터 보험증권 가입 정보 및 보험금 청구 내역을 전송받아 해당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하여 심사를 요청한다.
보험사 서버(400)는 동물보험에 가입한 동물의 보험 가입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고, 보험사 중계서버(300)로부터 보험가입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가입여부를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보험금 청구 내역을 심사하여 고객 단말(100) 또는 동물병원 단말(200)로 보험금을 지급한다.
동물병원 단말(200)은 보험사 서버(400)로부터 보험가입 여부를 전달받아 보험가입 내용을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에 업데이트하고, 보험사 서버(400)로부터 보험금 청구 내역에 대한 심사결과를 전달받아 EMR에 업데이트한다. EMR은 동물병원 단말(200)에서 실행되며, 진료를 받는 동물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 및 보험증권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조회가 가능하며, 보험금 청구 및 지급 내용도 보험사 서버(400)로부터 받아서 업데이트 한다.
동물병원 단말(200)은 진료 완료 후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와 치료내역 및 청구서를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전송하고,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사 중계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와 치료내역 및 청구서를 토대로 심사하여 보험금을 고객의 계좌로 입금한다.
구체적으로, 동물병원 단말(200)은 바로청구선택부(210), 보험금청구부(220) 및 인접지역질병현황표시부(2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바로청구선택부(210)는 진료 후 보험사 서버(400)에 보험금의 바로 청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보험금청구부(220)는 바로청구선택부(210)에서 바로 청구를 선택하지 않으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한다.
그러나 바로 청구를 선택하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한다. 즉, 동물병원 단말(200)의 EMR 에서 진료비 정보 및 보험금 청구서를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전송하면, 보험사 중계서버(300)에서 보험사 서버(400)로 진료비 정보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달한다.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사 중계서버(300)를 통해 보험금청구부(220)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한다. 이 경우는 일단 고객이 진료비를 전액 지불하는 경우이다. 보험사 서버(400)는 심사를 거쳐서 추후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전액 지급한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보험금청구부(220)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으면,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한다. 즉, 동물병원 단말(200)의 EMR 에서 진료비 정보 및 보험금 청구서를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전송하면, 보험사 중계서버(300)에서 보험사 서버(400)로 진료비 정보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달한다.
제1기준금액은 해당 보험금을 실시간으로 심사하여 바로 지급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는 수준의 금액을 말하는 것이다. 치료비용이 큰 금액을 실시간으로 심사하여 바로 지급하기에는 신중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4에서 제1기준금액은 진료비가 20만원인 경우를 예로 들었다. 바로 청구를 선택 시 진료비가 20만원 이하면, 동물병원 단말(200)의 EMR 에서 진료비 정보 및 보험금 청구서를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전송하고, 보험사 중계서버(300)에서 보험사 서버(400)로 진료비 정보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달한다.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 이하면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사 중계서버(300)를 통해 보험금청구부(220)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실시간으로 심사 후 고객이 부담해야 할 자기부담금을 보험금청구부(220)에 전송하여 보험금청구부(220)가 고객에게 자기부담금을 청구하도록 하고,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동물병원의 계좌로 입금한다.
그리고 보험금청구부(220)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크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한다. 액수가 다소 크기 때문에 일단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이와 동시에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는 것이다.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사 중계서버(300)를 통해 보험금청구부(220)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한다. 진료비가 다소 큰 경우에 해당하므로 실시간으로 심사하여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추후 심사하여 지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보험금청구부(220)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고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제2기준금액 이하면,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인 20만원 이하고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제2기준금액인 15만원 이하면 보험사 중계서버(300)를 통해 보험사 서버(400)로 진료비 정보 및 보험금 청구서를 바로 전송한다. 진료비 정보는 치료내역을 포함한다.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사 중계서버(300)를 통해 보험금청구부(220)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실시간으로 심사 후 고객이 부담해야 할 자기부담금을 보험금청구부(220)에 전송하여 보험금청구부(220)가 고객에게 자기부담금을 청구하도록 하고,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동물병원의 계좌로 입금한다.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 이하고,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제2기준금액 이하면 실시간으로 심사를 하여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비용을 바로 동물병원의 계좌로 입금하는 경우이다.
보험금청구부(220)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고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제2기준금액을 초과하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한다.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사 중계서버(300)를 통해 보험금청구부(220)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한다. 해당 진료비는 제1기준금액인 20만원 보다 작은 금액이나,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이미 제2기준금액인 15만원을 넘는 경우는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보험사 서버(400)에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보험사 서버(400)는 실시간 심사가 아닌 일반 심사를 통해서 추후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한다.
이 경우는 이미 당일에 보험금이 상당 부분 지급됐기 때문에 일단 고객에게 보험금을 전부 청구하고 보험사 서버(400)는 추후 심사를 통해 해당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보험금청구부(220)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크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보험사 중계서버(300)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한다.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사 중계서버(300)를 통해 보험금청구부(220)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한다.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크면 액수가 크기 때문에 일단 고객에게 진료비를 청구하고, 추후 심사를 통해서 고객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보험사 서버(400)는 위치별질병관리부(410), 질병내역DB(420) 및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430)를 포함한다.
위치별질병관리부(410)는 동물병원 단말(200)에서 전송된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동물의 품종을 조회하고, 동물병원 단말(200)에서 전송된 보험금 청구 내역을 이용하여 질병 명을 조회하여 동물병원의 위치 및 동물의 품종 별 질병에 대한 내용을 질병내역DB(420)에 저장한다.
각 위치별 동물병원 단말(200)에서 보험사 서버(400)로 보험증권을 전송할 때 동물병원의 위치 또는 동물병원의 아이디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증권을 전송한 동물병원의 위치를 알 수가 있다. 이를 통해 동물병원의 위치 및 동물의 품종 별 질병치료에 대한 내용 및 질병 감염 내역을 질병내역DB(42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430)는 동물병원 단말(200)에서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 시 질병내역DB(420)를 검색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 동물병원 단말(200)로 해당 동물병원에서 인접한 지역에 있는 동물의 품종 별 질병에 대한 치료 내역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A동물병원에서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할 때 보험사 서버(400)는 질병내역DB(420)를 검색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 강남구의 A동물병원 단말(200)로 A동물병원에서 반경 1km 이내에 있는 동물의 품종 별 질병에 대한 치료 내역 및 감염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동물병원 단말(200)의 인접지역질병현황표시부(230)는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430)에서 전송한 치료 내역을 이용하여 인접한 지역의 동물 품종 별 질병현황 및 해당 동물병원에서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 동물과 품종이 같은 동물들의 인접한 지역의 질병현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강남구에 위치한 A동물병원은 A동물병원에서 반경 1km 이내에 있는 동물의 품종 별 어떤 질병에 대한 감염 및 치료를 받았는지를 알 수가 있고, A동물병원에서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가입 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 동물, 즉 고객으로부터 치료를 접수한 동물과 품종이 같은 동물들이 1km 반경 이내에서 어떤 질병에 감염돼서 치료를 받았는지를 알 수가 있다.
보험증권을 통해 이와 같은 질병 치료 내역에 대한 인접한 지역에 대한 조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동물병원의 수의사는 동물의 치료에 대한 정보로 참고하여 치료를 수월하게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동물병원의 EMR(전자의무기록)을 통해 보험청구에 필요한 서류 등을 병원에서 보험사로 직접 보냄으로써, 고객(동물보호자), 병원, 보험사에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진료 즉시 보험금 청구 내용을 자동으로 보험사로 보내게 되어 보험 청구, 심사시간 및 보호자 또는 동물병원에서 보험금을 수령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해, 보험증권에 가입하지 않은 동물들이 보험금을 부당 수령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어 보험가입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보험사는 보험금 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객 단말
200: 동물병원 단말
210: 바로청구선택부
220: 보험금청구부
230: 인접지역질병현황표시부
300: 보험사 중계서버
400: 보험사 서버
410: 위치별질병관리부
420: 질병내역DB
430: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

Claims (7)

  1. 보험사 서버에 접속하여 동물보험에 가입하고 보험증권을 발급받는 고객 단말;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 보험에 가입된 동물에 대한 진료 및 처방 후 보험증권 가입 정보 및 보험금 청구 내역을 전송하는 동물병원 단말;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보험증권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받으면 해당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여 보험가입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결과를 받아서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보험증권 가입 정보 및 보험금 청구 내역을 전송받아 해당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여 심사를 요청하는 보험사 중계서버; 및
    동물보험에 가입한 동물의 보험 가입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부터 보험가입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가입여부를 보험사 중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보험금 청구 내역을 심사하여 고객 단말 또는 동물병원 단말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보험사 서버로부터 보험가입 여부를 전달받아 보험가입 내용을 EMR에 업데이트하고, 보험사 서버로부터 보험금 청구 내역에 대한 심사결과를 전달받아 EMR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진료 완료 후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와 치료내역 및 청구서를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와 치료내역 및 청구서를 토대로 심사하여 보험금을 고객의 계좌로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진료 후 상기 보험사 서버에 보험금의 바로 청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청구선택부; 및
    상기 바로청구선택부에서 바로 청구를 선택하지 않으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바로 청구를 선택하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보험금청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실시간으로 심사 후 고객이 부담해야 할 자기부담금을 상기 보험금청구부에 전송하여 보험금청구부가 고객에게 자기부담금을 청구하도록 하고,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상기 동물병원의 계좌로 입금하고,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크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고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제2기준금액 이하면,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실시간으로 심사 후 고객이 부담해야 할 자기부담금을 상기 보험금청구부에 전송하여 보험금청구부가 고객에게 자기부담금을 청구하도록 하고,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상기 동물병원의 계좌로 입금하고,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작고 해당 고객의 당일 기지급 보험금 합계액이 제2기준금액을 초과하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하고,
    상기 보험금청구부는 바로 청구를 선택 시 해당 진료비가 제1기준금액보다 크면 고객에게 진료비용을 전부 청구하고 동시에 상기 보험사 중계서버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보험금청구부에서 전송된 치료내역 및 보험금 청구서를 수령 후 심사를 거쳐 고객의 계좌로 보험금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험사 서버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전송된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동물의 품종을 조회하고, 동물병원 단말에서 전송된 보험금 청구 내역을 이용하여 질병 명을 조회하여 동물병원의 위치 및 동물의 품종 별 질병에 대한 내용을 질병내역DB에 저장하는 위치별질병관리부; 및
    상기 동물병원 단말에서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 시 상기 질병내역DB를 검색하여 보험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 동물병원 단말로 해당 동물병원에서 인접한 지역에 있는 동물의 품종 별 질병에 대한 치료 내역을 전송하는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상기 위치별질병현황전송부에서 전송한 치료 내역을 이용하여 인접한 지역의 동물 품종 별 질병현황 및 해당 동물병원에서 동물의 보험증권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가입내역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 동물과 품종이 같은 동물들의 인접한 지역의 질병현황을 표시하는 인접지역질병현황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KR1020190009728A 2019-01-25 2019-01-25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KR102179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28A KR102179082B1 (ko) 2019-01-25 2019-01-25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28A KR102179082B1 (ko) 2019-01-25 2019-01-25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617A true KR20200092617A (ko) 2020-08-04
KR102179082B1 KR102179082B1 (ko) 2020-11-16

Family

ID=7204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28A KR102179082B1 (ko) 2019-01-25 2019-01-25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0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53A (ko) * 2002-08-20 2004-02-26 (주)나노씽크 민영 의료보험 자동화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7335A (ko) 2011-01-20 2012-08-07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20137597A (ko) 2011-05-19 2012-12-24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41960B1 (ko) * 2016-10-13 2017-05-30 홍병진 온라인 환경 기반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3894A (ko) 2016-01-11 2017-07-19 최찬영 애완동물 의료보험 기반의 복합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03377B1 (ko) * 2017-09-26 2018-10-02 (주)인투씨엔에스 동물보험 관련 동물개체 정보의 통합 관리와 개체인식수단을 이용한 진료 개체 특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53A (ko) * 2002-08-20 2004-02-26 (주)나노씽크 민영 의료보험 자동화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7335A (ko) 2011-01-20 2012-08-07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20137597A (ko) 2011-05-19 2012-12-24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70083894A (ko) 2016-01-11 2017-07-19 최찬영 애완동물 의료보험 기반의 복합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41960B1 (ko) * 2016-10-13 2017-05-30 홍병진 온라인 환경 기반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
KR101903377B1 (ko) * 2017-09-26 2018-10-02 (주)인투씨엔에스 동물보험 관련 동물개체 정보의 통합 관리와 개체인식수단을 이용한 진료 개체 특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082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1875C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odules of a claims adjudication engine
AU774167B2 (en) The extended order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US201903857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communicating a prescription benefit coverage denial to a prescriber
US201001382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healthcare cost remittance, adjudication, and reimbursement processes
US200700330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payments from service recipients
CA288494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correlation of diagnosis and medication as part of qualifying program eligibility verification
US8442840B2 (en) Transparent healthcare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CN101467176A (zh) 管理保险方案的系统和方法
CA2761549A1 (en) Health care product triage administered closed system
EP0120077A1 (en) Medical insurance verification and processing system
CN111461903A (zh) 商业健康保险线上无单证主动理赔技术
KR2020005592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3538B1 (ko) 보험증권 분석 및 보험금 청구 방법
KR2002002959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구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anz et al. Patterns of postoperative visits among Medicare fee-for-service beneficiaries
KR101882797B1 (ko) 1차 진료 기관들의 협업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2617A (ko) 동물병원 단말에서 보험사로 보험금을 자동 청구하는 시스템
US8069058B2 (en) Obtaining, posting and managing healthcare-related liens
JP4443946B2 (ja) 健康保険等医療保険自己負担分の支払システム及び支払方法
JP2004126793A (ja) 医療費支払システムおよび医療費支払方法
US20070043593A1 (en) Multiple account updates in a practice management system
JP2002073802A (ja) 保険又は共済システム、保険又は共済システム用サーバーコンピュータ、保険又は共済システム用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及びペット用保険又は共済証
US6873959B2 (en) Method for accelerated provision of funds for social services directly to an individual using a smart card
Chin et al. Use of telephone intake for family history taking at a cancer genetics service in Asia
US20230153796A1 (en) Controlled environment facility maintained digital wallets for residents of controlled environment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