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282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282A
KR20200092282A KR1020200089489A KR20200089489A KR20200092282A KR 20200092282 A KR20200092282 A KR 20200092282A KR 1020200089489 A KR1020200089489 A KR 1020200089489A KR 20200089489 A KR20200089489 A KR 20200089489A KR 20200092282 A KR20200092282 A KR 2020009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wall
base
disposed
camera module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307B1 (ko
Inventor
이준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3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282A/ko
Priority to KR1020200182903A priority patent/KR102269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며, 적외선 차단필터가 접착부재 고정되는 베이스; 광학계가 설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돌출되지 않는 일부 구간을 가지는 제 1 차단벽; 및 상기 돌출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는 광학계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과 광학계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또는 홀더 등에 접착부재로 접착 고정된다.
이때, 적외선 차단필터를 접착 고정하는데 접착부재가 경화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적외선 차단필터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물 유입 방지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며, 적외선 차단필터가 접착부재 고정되는 베이스; 광학계가 설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돌출되지 않는 일부 구간을 가지는 제 1 차단벽; 및 상기 돌출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차단벽은 동일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단벽은 상기 배출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단벽은 상기 제 1 차단벽과 일정 거리 이격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차단벽은 상기 베이스에 관통 형성된 윈도우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부재가 접착 고정되는 베이스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차단벽을 형성하므로, 이물 이동경로가 증가하여 외부 이물의 유입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가 도포되지 않는 면을 제 1 차단벽으로 막아줄 수 있으며, 접착부재의 경화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 통로는 제 1 차단벽의 개구부와 제 2 차단벽 사이 공간부로 형성되므로, 가스로 인한 적외선 차단필터의 얼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바닥면에 접착부재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바닥면에 접착부재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베이스(20) 및 홀더부재(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20)에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결합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마주보는 면에 관통 형성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적외선 차단 필터(25)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는 상기 베이스(20)에 접착부재(50)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는 베이스(20)의 상부면 또는 바닥면 중 어느 한 곳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25)는 광 투과성 재질의 필름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0.05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홀더부재(3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더부재(30)는 내부에 소정의 광학계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보이스 코일 모터 등으로 액츄에이터가 설치될 경우, 마그네트, 요크 및 코일이 권선된 보빈이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의 개재 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빈에는 복수 매의 렌즈가 설치된 렌즈배럴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렌즈배럴과 홀더부재(30)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홀더부재(30)에 렌즈들이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액츄에이터의 구성 없이 고정 초점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카메라 모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20)가 별도 부재로 마련될 경우에 있어서, 적외선 차단 필터(25)가 베이스(20)에 접착 고정되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 이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는 베이스(20)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바라보는 바닥면 측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20)에는 접착부재(50)를 도포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25)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 홈부는 베이스(20)에 형성된 윈도우 둘레에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 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 홈부의 깊이는 적외선 차단 필터(25)의 두께보다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적외선 차단 필터(25)의 두께는 1mm 미만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오목 홈부의 깊이는 1mm 내외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부재(50)의 도포 두께를 고려하면, 상기 오목 홈부의 내부에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이 배치되도록 수 mm의 깊이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제 1 차단벽(10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차단벽(100)은 상기 윈도우 둘레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벽(100)은 돌출되지 않는 일부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차단벽(100)의 일부 구간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50)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40)는 제 1 차단벽(100)에 형성된 개구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길이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1 차단벽(100)의 형상은 윈도우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윈도우가 사각형이면 제 1 차단벽(100)도 사각형이고, 윈도우가 원형이면 제 1 차단벽(100)도 원형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가 곡선과 직선의 조합을 가지면, 제 1 차단벽(100) 또한 윈도우를 따라 형성되므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 1 차단벽(100)은 도 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므로, 상기 오목 홈부에 도포되는 접착부재(50)는 상기 제 1 차단벽(100)에 의해 윈도우 안쪽으로 흘러 넘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많은 양의 접착부재(50)가 도포 되더라도, 접착부재(50)가 윈도우 안쪽으로 흘러 넘쳐 다른 부품들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차단벽(100)과는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물론, 제 1 차단벽(100) 근접한 위치에 도포될 수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50)가 흘러 넘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제 2 차단벽(200)은 상기 제 1 차단벽(100)의 돌출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2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단벽(200)은 제 1 차단벽(100)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2 차단벽(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에 돌출 형성된 제 1 차단벽(100)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벽(200)은 상기 배출구(4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배출구(40)의 제 1 길이의 폭 보다 긴 제 2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차단벽(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곡선 또는 지그재그 형상 등과 같은 복잡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 2 차단벽(200)의 돌출 높이는 제 1 차단벽(100)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 2 차단벽(200)이 제 1 차단벽(100) 보다 높으면, 상기 제 2 차단벽(200)에 의해 적외선 차단 필터(25)가 접착 위치에서 이탈할 수 있고, 제 1 차단벽(100)이 더 높게 형성되면, 적외선 차단 필터(25)와 제 2 차단벽(200)이 밀착되지 못하여, 외부 이물이 배출구(40)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은 동일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면이 적외선 차단 필터(25)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의 돌출 높이는 접착부재(50)의 도포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50)의 도포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면, 접착부재(50)와 적외선 차단 필터(25)가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차단벽(200)이 돌출 형성된 오목 홈부에는 접착부재(50)가 도포되지 않는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으로 표시된 접착부재(50)의 도포면은 배출구(40)와 제 2 차단벽(200)이 돌출된 위치와는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접착부재(50)를 상기 제 2 차단벽(200)이 돌출된 위치까지 도포할 경우, 접착부재(50)의 경화 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구(40)와 제 2 차단벽(200)으로 형성된 가스 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다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 홈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차단벽(100)의 바깥쪽 영역에 접착부재(50)를 도포하여 적외선 차단 필터(25)를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50)의 경화 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배출구(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데, 이때 가스는 배출구(40)을 통과한 후 제 2 차단벽(200)에 한 번 충돌한 후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으로 형성되는 유로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차단벽(100)은 접착부재(50) 미도포 구간에서 외부 이물이 윈도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 2 차단벽(200)은 배출구(40)와 일정 거리 이격 된 위치에 돌출 되어, 가스 배출 유로를 복잡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외부 이물이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이물이 제 2 차단벽(200)의 측면과 배출구(40) 사이에 형성된 복잡한 유로를 통과해야만 윈도우 안쪽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 서는 베이스(20)의 저면에 상기한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이 돌출된 구성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20)의 상부면으로 상기 홀더부재(30)와 마주보는 면에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20; 베이스
25; 적외선 차단필터 30; 홀더부재
40; 배출구 50; 접착부재
100; 제 1 차단벽 200; 제 2 차단벽

Claims (20)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를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를 광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홀과, 상기 베이스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 사이에는 상기 차단벽에 의해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통로를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홀로 오픈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제1차단벽과, 상기 제1차단벽과 이격되는 제2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벽은 상기 배출구를 바라보는 제1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은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을 바라보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벽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은 평행인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의 연장방향으로,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의 폭은 상기 배출구의 폭보다 긴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에 함몰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면은 상기 접착부재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와 상기 제2영역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로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홀과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홀에서 상기 배출구를 바라보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차단벽이 보이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은 서로 마주보는 제2면과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벽은 상기 제1차단벽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제1차단벽의 상기 제3면까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차단벽의 상기 제2면과 상기 제1차단벽의 상기 제3면 사이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과 상기 제2차단벽은 동일 높이인 카메라 모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의 두께보다 큰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차단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제1차단벽과 상기 제2차단벽에 의해 적어도 2회 꺾이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홀의 내주면에서 연장된 카메라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트, 코일 및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16.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를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과, 상기 베이스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가 배치되는 홈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접착부재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와 상기 제2영역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홀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차단벽에 의해 적어도 2회 수직으로 꺾이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통로를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홀로 오픈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제1차단벽과, 상기 제1차단벽과 이격되는 제2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벽은 상기 배출구를 바라보는 제1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의 연장방향으로,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의 폭은 상기 배출구의 폭보다 긴 카메라 모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은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을 바라보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벽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은 평행인 카메라 모듈.
  20.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필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089489A 2020-07-20 2020-07-20 카메라 모듈 KR10219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489A KR102197307B1 (ko) 2020-07-20 2020-07-20 카메라 모듈
KR1020200182903A KR102269125B1 (ko) 2020-07-20 2020-12-2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489A KR102197307B1 (ko) 2020-07-20 2020-07-20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602A Division KR102137573B1 (ko) 2013-09-23 2013-09-23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903A Division KR102269125B1 (ko) 2020-07-20 2020-12-2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282A true KR20200092282A (ko) 2020-08-03
KR102197307B1 KR102197307B1 (ko) 2020-12-31

Family

ID=7204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489A KR102197307B1 (ko) 2020-07-20 2020-07-2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3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073A (ja) * 2007-06-20 2009-01-08 Hitachi Maxell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073A (ja) * 2007-06-20 2009-01-08 Hitachi Maxell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307B1 (ko)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04642B (zh) 透镜移动装置
CN105527776B (zh) 透镜移动装置
KR1024550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137573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092282A (ko) 카메라 모듈
KR102345985B1 (ko) 카메라 모듈
KR102197306B1 (ko) 카메라 모듈
KR102137567B1 (ko) 카메라 모듈
KR102519158B1 (ko) 카메라 모듈
KR102521649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084399A (ko) 카메라 모듈
KR102445493B1 (ko) 카메라 모듈
KR102323623B1 (ko) 카메라 모듈
JP7461797B2 (ja) レンズユニット
KR20210016001A (ko) 렌즈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