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133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133A
KR20200092133A KR1020190009303A KR20190009303A KR20200092133A KR 20200092133 A KR20200092133 A KR 20200092133A KR 1020190009303 A KR1020190009303 A KR 1020190009303A KR 20190009303 A KR20190009303 A KR 20190009303A KR 20200092133 A KR20200092133 A KR 20200092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eenhouse
rotating
heigh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971B1 (ko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은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은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은성기업
Priority to KR102019000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971B1/ko
Priority to PCT/KR2020/001100 priority patent/WO2020153752A1/ko
Publication of KR2020009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2Roof windows
    • E05Y2900/154Sky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실하우스의 상부 골조 중앙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온실하우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회동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회동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동부와, 상기 복수 개의 회동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회동대가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골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상기 골조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height-adjustable ceiling switchgear for greenhouses}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하우스의 천장을 개폐하여 내부 생육환경을 조절하고 온실하우스의 천장 각도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하우스는 식물의 주요 생육환경인 온도 및 습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건축물로 투명한 유리 또는 비닐로 외벽을 형성함으로써 태양열을 내부에 모으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온실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열을 온실하우스 내부에 집열시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농작물이 자라기 어려운 겨울에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여름에는 온실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외부 온도보다 높아져 식물이 자라지 못하고 말라죽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27473호는 유리온실용 용마루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용마루재 본체(10)의 상부양측으로는 힌지작동부(11)를 형성하여 천창회전재(30)의 힌지부(31)가 회전 가능케 조립되고, 본체(10)의 하부양측으로는 지붕 서까래(35)가 고정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용마루재 본체(10)의 힌지작동부(11)는 내측으로 개방부를 형성하는 외부지지곡면(14)을 편심된 회전중심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하여서 천창 회전재(30)의 힌지부(32)가 용마루재 본체(10)의 내부힌지홈(12)에 지지되고, 그 회전라운드곡면(34)이 외부지지곡면(14)과 동일 회전곡면으로 당접되게 설치되어 천창회전재(30)의 회전라운드곡면(34)이 편심된 회전중심에 의해 일정각도에서 힌지작동부(11)의 외부지지곡면(14)에 지지되면서 회전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온실용 용마루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온실하우스의 천장을 개폐시켜 외부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내부 공기가 외부로 이동하면서 온실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온실하우스의 천장을 개폐할 때 용마루재 본체(10)와 천창회전재(30)의 힌지부(32)가 마찰을 일으켜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천창회전재(30)가 회전할 때 과도한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두께가 얇은 힌지부(32)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힌지부(32)의 끝단이 내부힌지홈(12)에 여유 공간 없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된 힌지부(32)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용마루재 본체(1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모든 힌지부(32)를 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실하우스의 천장은 아치 형상으로 된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일부 크기가 큰 온실하우스의 경우 천장이 곡면이 아닌 평면에 가깝게 형성되기 때문에 천창회전재가 설정된 각도로 위치되지 못해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실하우스의 천장이 곡면이 아닌 평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경우 천장을 개폐하는 부위가 회동될 수 있는 각도가 제한되며, 지면으로부터 직각이 되는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면 빗물이나 눈이 하우스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2747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장치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품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장치의 각 구성을 단순 세분화하여 모듈화 함으로써 생산속도를 높이고 가공비용을 감소시켜 생산성이 향상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위치를 온실하우스의 골조 간격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변시켜 온실하우스의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실하우스의 천장 곡면 각도에 관계없이 개폐장치가 설정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는 온실하우스의 상부 골조 중앙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온실하우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회동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회동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동부와, 상기 복수 개의 회동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회동대가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골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상기 골조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상기 회동부는 전면, 후면, 하면이 개구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각각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지지단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지지단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되는 회동축과, 일단은 상기 회동축에 축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회동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상기 회동체는 일단 양측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축과 축 결합되는 회동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단은 상기 회동체가 회동될 때 상기 회동축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골조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이격봉과, 상단은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이격봉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상기 이격봉에 고정시키는 제1이격구와, 하단은 상기 골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이격봉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격봉을 상기 골조로부터 수직하게 고정시키는 제2이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온실하우스의 천장 곡면 각도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상기 골조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온실하우스의 천장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동대의 타단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동력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연결대와, 상부에는 상기 연결대가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동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와 상기 회동대를 연결시키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의하면 개폐장치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품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의하면 개폐장치의 각 구성을 단순 세분화하여 모듈화 함으로써 생산속도를 높이고 가공비용을 감소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의하면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위치를 온실하우스의 골조 간격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변시켜 온실하우스의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의하면 온실하우스의 천장 곡면 각도에 관계없이 개폐장치가 설정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온실용 용마루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가 온실하우스의 골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회동부와 고정구가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회동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회동부에 연결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연결구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가 천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연결구 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하우스의 천장을 개폐하여 내부 생육환경을 조절하고 온실하우스의 천장 각도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가 온실하우스의 골조(1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는 온실하우스의 상부 중앙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외면에 형성되며 양측에는 온실하우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회동대(20)의 일단과 연결되고 회동대(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동부(300)와, 복수 개의 회동부(300)에 각각 연결된 회동대(20)가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대(2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단은 프레임(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하단은 양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돌출단(210)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200)를 더 포함하며, 고정구(200)는 돌출단(210)을 통해 온실하우스의 아치형 골조(10)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100)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온실하우스를 구성하는 아치형 골조(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골조(10)에 거치된 상태로 배치되게 되며, 복수 개의 고정구(200)에 의해 골조(10) 상부에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프레임(100)은 회동부(300) 및 연결부(400)의 동작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골조(10)로 전달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회동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온실하우스의 가해지는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면, 후면, 하부면이 개구되어 있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100)의 형상은 아치형, 타원형, 원형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때 프레임(100)의 외면에 결합되는 고정구(200) 및 회동부(300)는 프레임(10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200)는 상단이 프레임(10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0)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구(200)가 골조(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구(200)의 돌출단(210)은 아치형으로 곡면을 가진 골조(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단(210)은 골조(10)와 나사 결합되어 골조(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구(200)의 돌출단(210)이 골조(10)에 결합되면서 밀착되면 고정구(200)의 상단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프레임(100)을 골조(10) 방향으로 가압하여 프레임(100)을 골조(10)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구(200)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100)과 나사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프레임(100)이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회동부(300)는 온실하우스의 천장이 개폐될 때 천장이 회동부(300)를 기준으로 부드럽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부(300)가 프레임(100)의 외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면 양측면에 각각 회동대(20)의 일단이 결합되게 된다.
이때 회동부(30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게 되며 각각의 회동부(300)의 양측에는 각각 회동대(20)가 결합되게 됩니다.
회동부(300) 및 회동대(20)의 수량은 온실하우스의 천장이 개폐되는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회동부(300) 및 회동대(20)가 배치되는 간격은 온실하우스의 아치형 골조(10) 사이의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회동부(300) 및 회동대(20)는 아치형 골조(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치형 골조(10)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회동부(300) 및 회동대(20)가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연결부(400)는 각각의 회동부(300)에 결합되는 각각의 회동대(20)의 타단을 서로 연결시켜 각각의 회동대(20)가 동시에 승강하거나 하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연결대(410)가 회동대(2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회동부(300) 및 연결부(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회동부(300)와 고정구(200)가 프레임(10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회동부(3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회동부(300)는 전면, 후면, 하면이 개구되어 있어 프레임(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각각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지지단(311)이 형성된 지지대(310)와, 지지대(310)에 형성된 지지단(311)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되는 회동축(330)과, 일단은 회동축(330)에 축 결합되어 회동축(330)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회동대(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회동체(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동체(320)는 일단 양측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되어 회동축(330)과 축 결합되는 회동단(3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대(310)는 프레임(10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전면, 후면, 하부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면에는 프레임(1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310)는 양측면 및 상부면에는 회동체(320)가 회동될 때 하중에 의해 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복수 개의 힘살(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힘살(312)은 회동체(320)가 회동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310)의 양측면에는 각각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지지단(3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지지단(311)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중앙에 회동축(3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체(320)는 도 2의 회동대(20) 일단과 결합되어 회동대(20)의 타단이 지지대(310)의 일측 또는 타측면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체(320)의 타단은 회동대(2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회동대(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회동대(20)가 쉽게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회동체(320)의 타단은 전면, 후면, 하부면이 개구되어 있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동체(320)의 형상은 회동대(2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회동체(320)의 타단 양측면과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회동체(320)의 개구된 부위에 삽입된 도 2의 회동대(20)와 나사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회동체(320)의 일단에는 회동체(320)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외면으로 돌출되는 회동단(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단(321)은 서로 이격되어 지지대(310)의 지지단(311)이 위치될 수 있게 되며, 회동단(321)에는 회동축(3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즉, 회동체(320)는 회동축(330)에 의해 지지대(310)와 축 결합되며, 회동축(330)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회동될 수 있게 되며, 회동단(321) 사이에는 지지단(311)이 위치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회동단(321)이 하중에 의해 변형되어 회동단(32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단(321)은 회동체(320)가 회동될 때 회동축(330)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축(330)과 축 결합되는 회동단(321)은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경우 회동축(330)을 기준으로 회동체(320)가 회동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 회동축(330)이 삽입되는 회동단(321)의 홀에 베어링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회동부(300)에 연결부(40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연결구(42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회동체(320) 타단은 전면, 후면, 하부가 개구되어 있어 회동체(320)를 회동시키면 회동대(20)의 외면에 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체(320)는 3면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대(20)를 회동체(320)에 결합하거나 분리하기가 용이하며, 지지대(310)를 프레임(100)에 결합시킨 후 회동대(20)를 회동체(320)에 결합할 때 회동대(20)를 간단히 회동시킴으로써 회동대(20)를 회동체(320)에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부(300)의 지지대(310), 회동체(320), 회동축(33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어 회동부(300)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회동체(320)에 결합된 나사를 풀고 회동체(320)만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체(320)와 회동대(20)가 서로 분리되므로 회동부(300)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400)는 회동대(20)의 타단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동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승강되는 연결대(410)와, 상부에는 연결대(410)가 삽입되고 하부에는 회동대(2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410)와 회동대(20)를 연결시키는 연결구(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대(410)는 각각의 회동대(20)를 연결시키기 위해 연결대(410)에 삽입되는 연결구(4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회동대(20) 타단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연결대(410)는 온실하우스 내부에 형성된 동력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어 온실하우스의 상부로 상승되어 온실하우스의 천장을 열거나, 온실하우스의 지붕에 밀착되도록 하강되어 천장을 닫을 수 있게 된다.
연결구(420)는 연결대(410)와 회동대(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T자형 결속장치로, 상부는 연결대(410)에 삽입되어 연결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는 회동대(20)의 타단이 삽입될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결구(4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구(420)에 연결대(410) 및 회동대(20)가 서로 삽입된 상태가 되면 나사를 체결하여 연결대(410)와 회동대(20)가 연결구(4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구(420)는 상부에 형성되며 연결대(4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제1삽입홀(421)과, 하부에 형성되며 회동대(20)가 하부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서 제1삽입홀(421)까지 관통되는 제2삽입홀(422)로 이루어지며, 제2삽입홀(422)의 크기는 제1삽입홀(42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연결대(410)가 제1삽입홀(4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구(420)의 제1삽입홀(421)은 연결대(4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삽입홀(422)은 회동대(2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회동대(20)의 크기는 연결대(4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삽입홀(421)의 크기는 제2삽입홀(42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크기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제1삽입홀(421)과 제2삽입홀(422)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제1삽입홀(421)에는 연결대(410)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구(420)가 연결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연결구(420)의 하부는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구(420)의 하부에 회동대(20)의 타단을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대(410)에 복수 개의 연결구(420)를 인입시켜 각각의 연결구(420) 하부에 회동대(2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으며, 회동대(20)의 타단이 연결구(420) 하부에 삽입되면 나사를 체결하여 연결구(4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구(420)의 하부 전면 및 후면에는 절개면(4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면(423)을 통해 연결구(420)의 하부가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어 연결구(420)에 회동대(20) 또는 연결대(410)가 쉽게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삽입홀(422)이 형성된 연결구(420)의 하부 전면 및 후면에는 관통되는 절개면(423)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구(420)의 하부가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연결대(410) 및 회동대(20)를 연결구(420)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연결구(420)의 하부가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연결구(420)의 제1삽입홀(421)에 연결대(410)를 삽입하기 위해 연결대(41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한 개씩 인입시키지 않고, 연결대(410)의 원하는 위치에 절개면(423)이 형성된 연결구(420)의 하부를 벌려서 제1삽입홀(421)에 연결대(410)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연결구(420) 중 일부가 회동대(20)가 회동되면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연결구(420)만 분리시킨 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구(420)의 하부가 절개면(423)을 통해 쉽게 벌어질 수 있게 되므로 회동대(20)도 제2삽입홀(422)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개면(423)이 형성된 연결구(420)의 하부는 회동대(2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동대(20)가 제2삽입홀(422)에 삽입되면 회동대(20)의 네 면을 감싸 위치가 임시 고정될 수 있도록 회동대(20)를 지지하게 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회동대(20)를 영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가 천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는 온실하우스의 상부 골조(10) 중앙에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외면에 형성되며 양측에는 온실하우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회동대(20)의 일단과 연결되고 회동대(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동부(300)와, 복수 개의 회동부(300)에 각각 연결된 회동대(20)가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대(2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00)와, 프레임(100)과 골조(10) 사이에 형성되며 프레임(100)을 골조(10)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높이조절유닛(500)은 온실하우스의 천장 곡면 각도에 따라 프레임(100)을 골조(10)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회동부(300) 및 연결부(400)에 의해 온실하우스의 천장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하부가 개구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온실하우스의 천장을 이루는 골조(10)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조절유닛(500)에 의해 골조(10)로부터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높이조절유닛(500)은 프레임(100)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이격구(510)와, 온실하우스의 천장에 수평으로 배치된 골조(10)에 결합되는 제2이격구(5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이격구(510)와 제2이격구(520) 사이에는 이격봉(530)이 형성되어 제1이격구(510)와 제2이격구(520)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프레임(100)이 설치되는 부위의 온실하우스 천장이 곡면이 평면에 가까운 경우 프레임(100)을 골조(10)로부터 높은 위치에 형성시켜 회동부(300)에 의해 연결부(400)가 회동될 수 있는 각도를 넓힐 수 있게 되고, 온실하우스의 크기나 형태에 맞춰 회동부(300) 및 연결부(40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격봉(5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100)이 골조(10)로부터 이격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프레임(100)의 위치를 온실하우스에 따라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부(300)는 전면, 후면, 하면이 개구되어 있어 프레임(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각각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지지단(311)이 형성된 지지대(310)(도5 참조)와, 지지대(310)에 형성된 지지단(311)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되는 회동축(330)(도5 참조)과, 일단은 회동축(330)에 축 결합되어 회동축(330)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회동대(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회동체(320)(도5 참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동체(320)는 일단 양측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되어 회동축(330)과 축 결합되는 회동단(321)(도5 참조)을 더 포함하며, 회동단(321)은 회동체(320)가 회동될 때 회동축(330)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부(300)에 대한 구성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회동부(3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연결부(400)는 회동대(20)의 타단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동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승강되는 연결대(410)와, 상부에는 연결대(410)가 삽입되고 하부에는 회동대(2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410)와 회동대(20)를 연결시키는 연결구(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회동부(300)는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동부(300)에는 회동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결부(400)는 연결대(410)를 각각의 회동대(20) 끝단에 위치시킨 후 연결구(420)를 이용하여 회동대(20)와 연결대(41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고, 연결대(410)는 동력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동되어 동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승강되면서 온실하우스의 천장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연결구(420) 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형성된 연결부(400)의 연결구(420)는 상단에는 도 8의 연결대(4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홀(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도 8의 회동대(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삽입홀(4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8의 회동대(20) 및 연결대(410)가 각각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삽입홀(421)과 제2삽입홀(422)은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구(420)에 회동대(20) 및 연결대(410)가 접촉되면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대(410)의 일면은 개구되어 있어 도 8의 회동대(20)와 연결대(410)가 쉽게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개폐장치를 온실하우스 골조(10)에 설치할 때 각각의 회동대(20)에 연결구(420)를 먼저 설치한 후 연결대(410)를 연결구(420)에 안착시킴으로써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의 높이조절유닛(500)은 프레임(100)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골조(10)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이격봉(530)과, 상단은 프레임(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이격봉(530)의 상부에 결합되어 프레임(100)을 이격봉(530)에 고정시키는 제1이격구(510)와, 하단은 골조(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은 이격봉(530)의 하부와 결합되어 이격봉(530)을 골조(10)로부터 수직하게 고정시키는 제2이격구(5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이격구(510)는 도 8의 프레임(100) 외면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은 프레임(100)에 대응되는 형상인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하단은 이격봉(53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연결단(5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이격구(510)는 도 8의 프레임(100) 외면에 결합된 후 프레임(100)의 하부를 향해 연결단(511)이 돌출된 형태가 되며, 상단은 프레임(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어 있고, 하단은 이격봉(5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이격구(510)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분리되어 프레임(100) 또는 이격봉(530)의 외면을 감싸도록 회동되며, 분리된 제1이격구(510)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단(51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단(5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단(512)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단(512) 및 고정홈(513)은 서로 반대 방향에 고정단(512) 및 고정홈(513)이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고정단(512)이 고정홈(513)에 삽입되면 걸리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게 된다.
제1이격구(510)은 두 개를 나란히 배치시키면 고정단(512) 및 고정홈(513)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되어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제1이격구(510)의 외면에는 제1이격구(510)가 회동되어 프레임(100)의 외면을 감쌀 때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외면으로 돌출되는 리브(514)가 형성되며 리브(514)를 통해 변형 없이 프레임(10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제2이격구(520)의 하단에는 온실하우스의 천장에 형성된 도 9의 아치형 골조(10)를 연결하기 위해 수평으로 배치되는 골조(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이격봉(5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 돌출되는 이격단(5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이격구(520)의 하단은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고 골조(10)가 안착되는 제1연결홀(5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어 이격봉(530)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연결홀(5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격단(523)이 형성된 제2이격구(520)의 상단은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어 있어 제2이격구(520)의 상단이 외면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도 9의 수평으로 배치되는 골조(10)가 제2이격구(520)의 상단을 통해 하단으로 삽입되어 제1연결홀(521)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이격구(520)도 제1이격구(510)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각각 분리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격봉(530)은 상부는 제1이격구(510)의 연결단(511)에 삽입되고, 하단은 제2이격구(520)의 이격단(523)에 삽입된 후 볼트 삽입 또는 나사 결합시켜 이격봉(530)이 제1연결구(420)와 제2연결구(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이격구(510)와 제2이격구(520)에 삽입되는 이격봉(530)의 길이에 따라 도 8의 프레임(100)이 골조(10)로부터 이격되는 높낮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온실하우스의 천장 곡면의 각도에 따라서 이격봉(53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온실하우스의 형태 및 사양에 따라 프레임(100)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에 의하면 개폐장치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품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고, 개폐장치의 각 구성을 단순 세분화하여 모듈화 함으로써 생산속도를 높이고 가공비용을 감소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며,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위치를 온실하우스의 골조 간격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변시켜 온실하우스의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온실하우스의 천장 곡면 각도에 관계없이 개폐장치가 설정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골조 20 : 회동대
100 : 프레임 200 : 고정구
210 : 돌출단 300 : 회동부
310 : 지지대 311 : 지지단
312 : 힘살 320 : 회동체
321 : 회동단 330 : 회동축
400 : 연결부 410 : 연결대
420 : 연결구 421 : 제1삽입홀
422 : 제2삽입홀 423 : 절개면
500 : 높이조절유닛 510 : 제1이격구
511 : 연결단 512 : 고정단
513 : 고정홈 514 : 리브
520 : 제2이격구 521 : 제1연결홀
522 : 제2연결홀 523 : 이격단
530 : 이격봉

Claims (6)

  1. 온실하우스의 상부 골조 중앙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온실하우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회동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회동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회동부와;
    상기 복수 개의 회동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회동대가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골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상기 골조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전면, 후면, 하면이 개구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각각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지지단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지지단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되는 회동축과;
    일단은 상기 회동축에 축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회동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일단 양측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축과 축 결합되는 회동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단은 상기 회동체가 회동될 때 상기 회동축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골조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이격봉과;
    상단은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이격봉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상기 이격봉에 고정시키는 제1이격구와;
    하단은 상기 골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이격봉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격봉을 상기 골조로부터 수직하게 고정시키는 제2이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온실하우스의 천장 곡면 각도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상기 골조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온실하우스의 천장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동대의 타단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동력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연결대와;
    상부에는 상기 연결대가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동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와 상기 회동대를 연결시키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KR1020190009303A 2019-01-24 2019-01-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KR10220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03A KR102201971B1 (ko) 2019-01-24 2019-01-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PCT/KR2020/001100 WO2020153752A1 (ko) 2019-01-24 2020-01-22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03A KR102201971B1 (ko) 2019-01-24 2019-01-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133A true KR20200092133A (ko) 2020-08-03
KR102201971B1 KR102201971B1 (ko) 2021-01-12

Family

ID=7173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303A KR102201971B1 (ko) 2019-01-24 2019-01-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1971B1 (ko)
WO (1) WO20201537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66B1 (ko) * 2021-06-09 2022-03-21 류현민 천창개폐장치를 갖는 경량 온실
KR102392549B1 (ko) * 2021-06-09 2022-04-28 류현민 개선된 거터조립체를 갖는 경량 온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8798B (zh) * 2021-12-24 2023-03-28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园林景观模块支架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852U (ko) * 1998-11-12 2000-06-05 김강권 유리온실용용마루재의조립구조
KR101263858B1 (ko) * 2013-01-22 2013-05-13 박영환 온실지붕구조
KR101375310B1 (ko) * 2013-09-13 2014-04-01 (주)두진건설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1485146B1 (ko) * 2013-09-23 2015-01-23 정영훈 비닐하우스 환기장치
KR101581675B1 (ko) * 2015-07-06 2015-12-31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경질필름 온실 지붕구조
KR101716693B1 (ko) * 2016-08-12 2017-03-15 주식회사은성기업 용마루를 갖는 온실하우스 지붕 개폐용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55B1 (ko) * 2009-02-26 2011-01-25 (주)대기원예자재 비닐하우스용 프레임 결합장치
KR101181634B1 (ko) * 2012-02-24 2012-09-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비굴착 가변형 온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13280B1 (ko) * 2018-02-26 2019-08-22 주식회사은성기업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852U (ko) * 1998-11-12 2000-06-05 김강권 유리온실용용마루재의조립구조
KR200227473Y1 (ko) 1998-11-12 2001-09-17 대한민국 유리온실용용마루재의조립구조
KR101263858B1 (ko) * 2013-01-22 2013-05-13 박영환 온실지붕구조
KR101375310B1 (ko) * 2013-09-13 2014-04-01 (주)두진건설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1485146B1 (ko) * 2013-09-23 2015-01-23 정영훈 비닐하우스 환기장치
KR101581675B1 (ko) * 2015-07-06 2015-12-31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경질필름 온실 지붕구조
KR101716693B1 (ko) * 2016-08-12 2017-03-15 주식회사은성기업 용마루를 갖는 온실하우스 지붕 개폐용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66B1 (ko) * 2021-06-09 2022-03-21 류현민 천창개폐장치를 갖는 경량 온실
KR102392549B1 (ko) * 2021-06-09 2022-04-28 류현민 개선된 거터조립체를 갖는 경량 온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3752A1 (ko) 2020-07-30
KR102201971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213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KR101716693B1 (ko) 용마루를 갖는 온실하우스 지붕 개폐용 연결장치
KR101885537B1 (ko) 태양광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9408B1 (ko) 온실용 거터 및 이를 포함한 온실
US201100238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olar Panels
KR100691394B1 (ko)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2013280B1 (ko) 온실하우스용 천장 개폐장치
KR101795971B1 (ko) 가로등용 태양전지판 경사각도 조절장치
KR20170047766A (ko) 비닐하우스 환기용 용마루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프레임 어셈블리
KR20080006724A (ko) 다단식 화분대
KR200297953Y1 (ko)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
KR10156217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루버창
EP3482016A1 (en) Screen device
EP3162977A1 (en) Roof skylight with raising leaf, in particular with smoke removal function
US20220109396A1 (en) Device for supporting solar modules, kit,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solar module arrangement
KR20140045465A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100470104B1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고정구조
CN217590682U (zh) 光伏一体化屋面旋转支架底座
CN215419027U (zh) 一种户外防水型电气控制柜
KR101083692B1 (ko) 비닐하우스의 서까래 보강장치
KR102526737B1 (ko) 태양광판넬 루버 시스템
KR0129357Y1 (ko) 각도 조절식 지붕
US20230417060A1 (en) Louver canopy adopting a fastener-free quick-mounting structure
CN211703103U (zh) 一种结构稳定的温室模块式连栋结构
KR200324541Y1 (ko) 전동식으로 개폐되는 환기창을 구비한 온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