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846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846A
KR20200091846A KR1020200092592A KR20200092592A KR20200091846A KR 20200091846 A KR20200091846 A KR 20200091846A KR 1020200092592 A KR1020200092592 A KR 1020200092592A KR 20200092592 A KR20200092592 A KR 20200092592A KR 20200091846 A KR20200091846 A KR 2020009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erminal
coupling
coupled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220B1 (ko
Inventor
황필재
황만태
황정배
성은지
이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Abstract

본 실시 예의 청소기는, 일측이 먼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싸이클론부를 형성하고 타측이 먼지통을 형성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위치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수용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핸디형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흡입부와, 본체와,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에는 흡입 노즐이 구비되는 연장관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이 카펫 청소를 위한 청소 부재와, 상기 청소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는 상기 핸들부에 배치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상기 모터가 상기 핸들부에 배치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는 상기 모터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과 제어 신호 송출을 위한 전선에 의해서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전선 들은 상기 본체를 지나 상기 흡입부로 연결된다.
상기 본체 또는 핸들부에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피씨비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런데, 핸디형 청소기는 다른 청소기 들 보다 부피가 작아 조립 과정에서 피씨비의 조립 및 전선 들의 연결 과정이 어렵다.
한편,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7088호(등록일 2012.03.08.)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과정이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단자 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 청소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단자 들이 연결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과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선을 분리함으로써, 단자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일측이 먼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싸이클론부를 형성하고 타측이 먼지통을 형성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위치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수용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전선 통과홀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하측에 위치되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하우징과, 상기 핸들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핸들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가 상기 전선 통과홀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청소기는, 공기와 먼지를 상기 제1바디로 안내하며 길이 방향 축을 가지는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은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전선 통과홀을 통과하는 전선과 연결되는 피씨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은 상기 흡입 모터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은 상기 흡입 모터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본체를 조립하고, 핸들부를 조립한 후에 핸들부를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므로, 본체와 핸들부의 조립 시 스크류를 이용한 조립 과정이 생략되어 청소기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들부에 핸들 단자가 구비되고, 본체에 본체 단자가 구비되며 핸들부가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될 때 본체 단자가 핸들 단자에 결합되므로, 단자 들을 별도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과정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에 커넥팅 단자가 설치되고, 핸들부에 메인 피씨비가 구비되며, 핸들부가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될 때 메인 피씨비가 커넥팅 단자에 결합되므로, 메인 피씨비를 커넥팅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과정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들 단자와 본체 단자를 전원 단자만을 포함하고, 흡입 모터 제어를 위한 신호 단자는 별도로 존재하므로, 핸들 단자와 본체 단자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 단자가 커버 부재에 설치되고, 본체 단자에 연결되는 전선 들이커버 부재에 의해서 가이드되므로, 먼지통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더라도 전선 들이 먼지통을 통해 외부에서 보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바디와 실링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바디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 1 바디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디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디의 정면도.
도 12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체의 정면도.
도 13은 제 1 바디와 제 2 바디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체의 후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흡입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모터가 본체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모터 하우징이 본체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가 본체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필터가 본체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하부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 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가 본체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9는 커버 부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31은 커버 부재에 본체 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사시도.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단자의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피씨비 유닛의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메인 피씨비 유닛의 정면도.
도 37 및 도 38은 도 35의 메인 피씨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피씨비 커넥터의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의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에 메인 피씨비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에 메인 피씨비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파워 피씨비가 지지 리브에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4는 도 43의 상태에서 핸들 커버 및 조작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에 핸들 단자와 메인 피씨비 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핸들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가 커버 부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가 커버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가 커버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가 제 2 바디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가 제 2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커버가 결합된 인너 하우징이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가 결합된 본체에 인너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 인너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에 배터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에 배터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의 앞쪽에 결합되는 흡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상기 본체(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5)의 중앙부가 대략적으로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의 경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일 예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 1 싸이클론부(180)를 포함할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바디(10)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8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8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8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 2 싸이클론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8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는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 분리부가 단일의 싸이클론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각 싸이클론부(180, 19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182)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1 바디(10)는 제 1 싸이클론부(180)와 먼지통(18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부가 제 1 싸이클론부(180)이고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부가 먼지통(182)이다. 이때, 상기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바디(1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을 개폐하는 바디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디(1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 내에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을 가이드하는 먼지 저장 가이드(1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 커버(16)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 1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8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123)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1)이고,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와 상기 제 1 바디(10) 사이 공간이 제 1 먼지 저장부(124)이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0)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2 바디(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의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와 연결되는 배출 가이드(28)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연통되는 유동 가이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출 가이드(28)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8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기 흡입 모터(2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바로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20) 간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0)는 샤프트(2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샤프트(202)의 연장선(임펠러(200)의 회전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상기 제 1 바디(1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과 상기 먼지 분리부의 제 1 싸이클론부(180)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 즉, 제 2 싸이클론부(19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하는 경로가 줄어들고, 공기의 방향 변화가 줄어들 수 있어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경우,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제 2 바디(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바디(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각 모터 하우징(26)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12)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외주면은 제1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바디(12)의 내주면은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동하고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를 따라 유동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30)과, 상기 핸들(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상기 청소기(1)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5)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상기 핸들(3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배터리(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가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청소기(1)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청소기(1)의 앞쪽과 뒤쪽에 무게가 무거운 구성이 분산되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30)의 상방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핸들(30)의 상면은 상기 청소기(1)의 상면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30)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 1 연장부(310)와,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310)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손이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길이 방향(도 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에서 상기 흡입부(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 2 연장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상방에 위치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하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사이에 상기 이동 제한부(312)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이 펴진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은 사용자의 팔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기(1)를 밀거나 당길 때 필요한 사용자의 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핸들(30)은 조작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90)는 상기 제 2 연장부(32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90)를 통하여 청소기(흡입 모터)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90)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390)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90)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 보다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상기 조작부(39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310)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조작부(390)가 위치되므로,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때, 의도하지 않게 상기 조작부(326)가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은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하방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후면과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후면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60)과 상기 제 1 연장부(310)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1)를 바닥에 놓을 때 상기 배터리(40)가 바닥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40)를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청소기(1)의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할 수 있어 상기 배터리(4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은, 아우터 하우징(600)과 인너 하우징(6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하우징(610)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600)의 하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하우징(610)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600) 및 상기 제 1 바디(10)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인너 하우징(6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너 하우징(610)이 상기 아우터 하우징(6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를 수용하고 상기 배터리(40)와 결합되므로, 상기 아우터 하우징(600)이 변형되거나 상기 배터리(40)의 장착 및 분리 과정에서 아우터 하우징(60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하우징(610)은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인너 하우징(6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대 연결 단자(6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를 도시되지 않은 충전대에 안착시키면 상기 충전대의 단자가 상기 충전대 연결 단자(628)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600)에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으로 수용된 배터리(40)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 단자(490)와 결합되기 위한 배터리 연결 단자(6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연결 단자(670)는 상기 배터리(40)의 상측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 단자(49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너 하우징(610)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인너 하우징(610)을 상기 아우터 하우징(60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인너 하우징(610)은 상기 바디 커버(16)의 힌지(162)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결합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 결합부(62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22)를 가지는 필터 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522)는 일 예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제 2 바디(12)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2)의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12)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2)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본체(2)의 높이는 상기 핸들(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상측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구(522)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프리 필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프리 필터(29)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바디와 실링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상기 본체(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는 일 예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의 경계 부위의 실링을 위하여, 상기 청소기(1)는, 실링 부재(15)와, 상기 실링 부재(15)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바디(10, 12)는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1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바디(14)가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바디(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경은 상기 제 1 바디(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바디(14)가 상기 제 2 바디(12)의 하측 개구를 통해 상기 제 2 바디(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경은 상기 제 2 바디(12)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14)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15)는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 바디(14)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링 부재(15)는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상기 지지 바디(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링 부재(15)가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 바디(14)는, 상기 지지 바디(14)의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안착홈(143)과, 상기 제 1 안착홈(143)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1 안착홈(143)과 높이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안착홈(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안착홈(143, 145)에는 상기 실링 부재(15)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홈(143)은 대략 상기 지지 바디(14)의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홈(145)은 상기 개구(142)를 우회하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제2안착홈(145)은 상기 개구(142)의 하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15)는 상기 제 1 안착홈(143)에 안착되는 제 1 부재(151)와, 상기 제 1 부재(151)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안착홈(145)에 안착되는 제 2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15)가 상기 안착홈(143, 14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15)의 일부는 상기 지지 바디(14)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15)가 상기 지지 바디(14)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지지 바디(14)에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지지 바디(14)가 상기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12) 내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실링 부재(15)가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의 경계부에 위치될 수 있어 실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안착홈(143, 145)에는 상기 실링 부재(15)의 일부가 위치되기 위한 고정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15)의 일부가 상기 고정홀(146)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 바디(14)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실링 부재(15)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상기 본체(2)와 연결되는 파이프(51)와, 상기 파이프(51)를 감싸는 파이프 커버(53)와, 상기 파이프 커버(53)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파이프(51)에 결합되는 커버 데코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 1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접촉면에는 후술할 커버 부재(도 25의 70참조)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라운드진 제 1 접촉면(101)과, 상기 제 1 접촉면(101)의 양측에 위치되는 평면의 제 2 접촉면(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커버 부재(도 25의 70참조)가 결합되기 위한 커버 결합 후크(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제 2 바디(12)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05)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외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12)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05)의 상면은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05)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에는 상기 제 1 결합부(10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 후크(104)는 상기 제 1 결합부(105)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결합부(105)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 후크(104)는 상기 제 1 결합부(105)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면(101)의 양측에 평면의 제 2 접촉면(102)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 1 바디(10)에 상기 커버 부재(도 25의 70참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커버 부재(도 25의 70참조)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에는 상기 커버 부재(도 25의 70참조)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리브(103)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 부재(도 25의 70참조)의 상하 및 좌우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1 바디(10)에는 복수의 이동 방지 리브(1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방지 리브(103)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1 접촉면(101)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이동 방지 리브(10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방지 리브(103) 중 적어도 일부의 이동 방지 리브(103)의 단부(103a)는 상기 제 2 접촉면(102)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접촉면(10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방지 리브(103)의 단부(103a)와 상기 제 2 접촉면(10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인너 하우징(610)과 체결되기 위한 하우징 체결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에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의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10)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10)에서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접촉면(101)에서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가 외부 및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에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바디(10)는 체결 부재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함몰 공간(106)과, 상기 함몰 공간(106)에서 상기 체결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홈(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부에는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 1 함몰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함몰면(111)에는 상기 제 2 바디(12)의 일부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수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수용부(112)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파이프(51)와의 결합을 위한 파이프 결합부(114)(또는 흡입부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결합부(114)는 상기 제 1 바디(10)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 수용부(11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결합부(114)는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본체 체결보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수용부(112)에는 상기 실링 부재(15)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2 부재(152)가 상기 바디 수용부(11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결합부(114)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 수용부(112)에 안착된 상기 제 2 부재(152)가 상기 지지 바디(1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리브(1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2 부재(152)는 라운드지므로, 상기 차단 리브(118)가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2 부재(152)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 리브(118)는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1 부재(151)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2 부재(152)는 상기 바디 수용부(11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면(111)에 위치된 상기 파이프 결합부(114)는 상기 파이프(51)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디의 정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바디(12)는, 원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20)의 하측에는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제 2 함몰면(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12)는 상기 원통부(120)의 제 2 함몰면(120a)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1)는 상기 제 1 바디(10)의 바디 수용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1)는 상기 제 1 바디(10)의 바디 수용부(112)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 부재(150)의 제 2 부재(15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1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안내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개구(122)는 상기 제 2 함몰면(120a)에서 상기 원통부(120) 및 상기 연장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1)를 상기 원통부(120)에서 하방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흡입 개구(122)의 일부가 상기 연장부(121)에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의 높이 차이가 크게 나지 않으면서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간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상기 흡입 모터(20)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둘레에 공기를 제 1 싸이클론부(180)로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본체(2)의 직경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80)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어 먼지 분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 사이에 위치되므로, 먼지 분리 성능이 유지되면서, 상기 본체(2)의 직경이나 크기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12)는 공기를 상기 흡입 개구(122)로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가이드(124)는 상기 제 2 바디(12)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가이드(124)에는 상기 파이프(51)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 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12)에는 상기 파이프(51)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본체 체결보스(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12)에는 상기 파이프(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1 단자(139)가 설치되는 단자 설치부(131)와, 본체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전선 통과홀(1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128)은 도시되지 않은 패킹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고, 본체 전선이 패킹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자(139)는 상기 흡입부(5)에 연결되는 연장관의 단부에 연결된 흡입 노즐이 구동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전원 공급용 단자이다.
또는, 상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이 직접 상기 흡입부(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흡입 노즐의 구동부가 상기 흡입부 단자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파이프(51)가 상기 본체 체결보스(130)와 결합되면, 상기 제 2 함몰면(120a)에 위치된 상기 흡입 개구(122), 흡입 가이드(124), 본체 체결보스(130) 및 단자 설치부(131), 전선 통과홀(128)은 상기 파이프(51)에 의해서 커버된다.
상기 제 2 바디(12)는 상기 흡입 개구(122)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 2 바디(12)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결합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132)에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1 결합부(105)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12)에는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1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134)은 패킹(도 13의 138참조)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고, 본체 전선이 패킹(도 13의 138참조)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134)은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134)은 상기 임펠러(202)의 회전축과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134)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12)는 커넥터 지지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지지부(136)는 상기 전선 통과홀(134)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12)는 상기 핸들부(3)와 체결을 위한 제 1 핸들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결합부는 제 1 리브 결합부(139a)와, 제 2 리브 결합부(139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바디(12)는 상하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 1 리브 결합부(139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바디(12)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 1 리브 결합부(139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바디(12)는 수평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 1 리브 결합부(13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제 1 리브 결합부(139a)는 상기 제 2 바디(1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리브 결합부(139a)의 일부와 상기 제 2 바디(1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3)가 상측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부(3)의 일부가 상기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2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제 1 바디와 제 2 바디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바디(14)에 실링 부재(15)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바디(14)에서 상기 실링 부재(15)의 하측 부분을 상기 제 1 바디(10)에 수용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1 부재(151)가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2 부재(152)가 상기 제 1 바디(10)의 바디 수용부(112)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바디(12)를 상기 제 1 바디(1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지지 바디(14)에서 상기 실링 부재(15)의 상측 부분이 상기 제 2 바디(12)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바디(12)의 제 2 결합부(132)가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1 결합부(105)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디(12)의 하단은 상기 실링 부재(15)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 2 바디(12)가 상기 제 1 바디(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디(12)와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실링 부재(15)를 가압한다.
상기 제 2 결합부(132)가 상기 제 1 결합부(105)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132)가 상기 실링 부재(15)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15)의 일부가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12)가 상기 제 1 바디(10)에 결합되면, 상기 제 2 바디(12)의 흡입 개구(122)와 상기 지지 바디(14)의 개구(142)가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를 상기 제 1 바디(10) 및 상기 제 2 바디(12) 각각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먼지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바디(10)와, 흡입 모터(20)를 수용하는 제 2 바디(12)가 별도의 물품으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되므로, 각 바디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12)의 결합 시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12)의 경계 부위에 실링 부재(15)가 구비됨에 따라서, 실링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의 결합 전 또는 결합 후 상기 커넥터 지지부(136)에 커넥팅 단자(349a)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전선 통과홀(134)에 패킹(138)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팅 단자(349a)는 상기 흡입 모터(2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흡입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51)는 상기 본체(2)에 연결되기 위한 본체 연결부(510)와, 상기 본체 연결부(510)에서 연장되며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하는 안내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관(52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흡입 노즐에 연결된 연장관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내관(520)에 흡입 노즐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연결부(510)는 상기 안내관(520)과 연통되며 공기 유동을 위한 안내 덕트(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덕트(514)의 테두리에는 상기 흡입 가이드(124)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5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덕트(514)에는 개폐부(5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26)는 상기 안내 덕트(5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26)는 상기 흡입 모터(20)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내 덕트(514)와 상기 흡입 개구(122)를 연통시키고, 상기 흡입 모터(20)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내 덕트(514)와 상기 흡입 개구(122)의 연통을 차단한다.
상기 안내 덕트(514)의 힌지축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526)가 상기 안내 덕트(514)와 상기 흡입 개구(122)의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 개폐부(526)가 상기 안내 덕트(514)와 상기 흡입 개구(122)의 연통을 차단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청소기(1)가 뒤집히더라도 상기 먼지통(182) 내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안내 덕트(5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연결부(510)는 상기 본체(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단자(528)가 설치되는 단자 설치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연결부(510)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각 바디(10, 12)의 본체 체결보스(116, 130)에 체결되기 위한 파이프 체결보스(5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연결부(510)는 상기 흡입 가이드(124)의 걸림 돌기(126)가 걸리기 위한 걸림홀(5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51)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파이프(51)를 상기 본체(2)의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5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 돌기(126)가 상기 본체 연결부(510)의 걸림홀(512)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안내 덕트(514)의 삽입홈(515)에 상기 흡입 가이드(124)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 체결보스(116, 130)와 상기 파이프 체결보스(516)가 정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51)의 전방에서 체결부재를 상기 파이프 체결보스(516) 및 본체 체결보스(116, 130)에 체결하면, 상기 파이프(51)가 상기 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51)에 구비되는 제 2 단자(528)는 상기 제 2 바디(12)에 설치된 제 1 단자(1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두 단자를 사용자가 직접 연결하지 않고 상기 파이프(51)를 상기 본체(2)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자(139)와 상기 제 2 단자(528)를 흡입 노즐용 단자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51)가 상기 본체(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51)와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2 부재(152)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파이프(51)에는 간섭 방지홈(5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53)는 상기 파이프(51)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5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53)는 상기 안내관(52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5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53)에서 상기 관통홀(531)의 둘레에는 상기 커버 데코부재(55)가 설치되는 설치부(53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532)에는 상기 커버 데코부재(55)에 구비되는 후크(553)가 통과하는 슬롯(5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데코부재(55)는 상기 안내관(52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552)을 구비하는 바디(551)와, 상기 바디(551)에서 연장되는 후크(5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53)가 상기 파이프(51)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데코부재(55)를 상기 설치부(532)에 안착시키면 상기 커버 테코부재(55)의 후크(553)가 상기 파이프 커버(53)의 슬롯(534)을 관통하여, 상기 안내관(520)에 구비되는 후크 걸림 돌기(524)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데코부재(55)가 상기 파이프(51)에 결합되면, 상기 파이프 커버(5)의 테두리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1 함몰면(101)의 단부 및 상기 제 2 바디(12)의 제 2 함몰면(120a)의 단부에 접촉한다.
상기 파이프 커버(53)가 상기 파이프(51)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15)의 제 1 부재(151)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2 부재(152)는 외부 노출이 방지된다. 즉, 상기 흡입부(5)는 상기 두 바디(10, 12)의 경계 부위의 일부분을 커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방향은 제 1 결합 방향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 방향은 일 예로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모터가 본체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2)에 상기 흡입부(5)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2) 내로 수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2) 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모터(20)의 최대 직경은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의 임펠러(200)가 상방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에 모터 제어 기판(20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에 모터 제어 기판(204)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상기 본체(2)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제어 기판(204)이 수평하게 놓인 상태에서 상기 모터 제어 기판(204)이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 기판(204)이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2) 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모터 제어 기판(205)의 최대 직경은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도 5에서 설명한 하부 모터 하우징(27)에 안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이 상기 제 2 바디(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바로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에 안착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이 상기 제 2 바디(12)와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먼저 상기 제 2 바디(12)에 연결한 후에 상기 흡입 모터(20)를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이 상기 모터 제어 기판(205)과 상기 흡입 모터(20)의 일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의 개구의 최소 직경은, 상기 모터 제어 기판(205)의 최대 직경 및 상기 흡입 모터(20)의 최대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모터 하우징이 본체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2) 내로 수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이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2) 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최대 직경은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본체(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이 상기 흡입 모터(20)를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내경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90)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통과부(262)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과의 체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가 본체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에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2) 내로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본체(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9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제1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 형성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벽(220)은 상기 유동 가이드(20)의 일부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유로 형성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부에 상기 흡입 모터(20)가 위치되는데, 상기 본체(2)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상기 흡입 모터(20)와의 갭이 크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상기 흡입 모터(20)와의 갭이 크지 않으면, 공기 유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유로 형성벽(220)이 돌출된 형태로 존재하면, 상기 유로 형성벽(220)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의 단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공기 유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부에 상기 흡입 모터(20)가 위치되기 위하여,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의 직경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을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의 직경은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프리 필터(29)가 안착되기 위한 필터 지지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모터 하우징(26, 27)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22)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상방에서 상기 체결부(222)를 관통한 후에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 및 배출 가이드(28)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필터 기구(5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 리브(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고정 리브(224)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필터가 본체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프리 필터(29)는 손잡이(2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9a)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 필터(29)를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2)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필터 지지부(22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가 상기 유동 가이드(22)에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프리 필터(29)의 외경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배기 필터(560)와, 상기 배기 필터(560)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 필터(560)는 일 예로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기 필터(56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 필터(560)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며, 상기 배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필터(560)와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제2바디(12)가 형성하는 영역에 함께 위치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바디 내에 상기 배기 필터(560)와 상기 프리 필터(29)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기 필터(560)와 상기 프리 필터(29)가 상기 제2바디(12) 내에 위치될 때,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에 상기 프리 필터(29)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 필터(560)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기 프리 필터(29) 및 상기 필터 기구(50)를 관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기 배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링 형태의 배기 필터(560)의 중앙 개구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제2바디(12)와 상기 유동 가이드(22)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리브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프레임은,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을 둘러 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외주면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내주면은 이격되며,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 사이에 상기 배기 필터(56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배기 필터(560)의 하측을 커버하는 필터 커버(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570)는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개구(5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리브(224)가 수용되기 위한 리브 수용부(5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 수용부(574)는, 상기 필터 커버(570)에 구비되는 리브 지지부(577)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형성되는 함몰부(501a)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224)가 상기 리브 수용부(574)에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리브 수용부(574)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실링을 위한 실링 부재(530, 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530, 58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너 실링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부재(530, 580)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의 공기가 상기 배기 필터(56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제2바디(12) 사이 틈새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우터 실링 부재(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실링 부재(530)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 실링 부재(580)는 상기 필터 커버(5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실링 부재(580)는 상기 제 2 바디(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면(12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실링 부재(58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상기 필터 기구(50)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기구(50)의 하측 일부를 상기 제 2 바디(12)에 수용시킨다.
그러면, 상기 필터 기구(50)의 리브 수용부(574)와 상기 고정 리브(224)가 정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 리브(224)가 상기 리브 수용부(574)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224)가 상기 리브 수용부(574)에 용이하게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리브 수용부(574)의 높이는 상기 고정 리브(224)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224)가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고정 리브(224)에 의해서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224)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고정 리브(224)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224)가 상기 리브 수용부(574)에서 빠지면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7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외면에 접촉되는 커버 바디(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제 1 접촉면(101)에 접촉되는 제 1 커버 바디(711)와, 상기 제 1 커버 바디(711)의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접촉면(102)에 접촉하는 제 2 커버 바디(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 바디(711)가 상기 제 1 접촉면(101)에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커버 바디(711)는 라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 바디(712)가 상기 제 2 접촉면(102)에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제 2 커버 바디(712)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제 2 바디(12)의 제 2 결합부(132)가 위치되기 위한 수용 공간(7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713)은 상기 커버 바디(710)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커버 결합 후크(104)가 관통하기 위한 슬롯(714)과 상기 슬롯(714)을 관통한 상기 커버 결합 후크(104)가 걸리기 위한 후크 걸림부(7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714)은 상기 수용 공간(713)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 결합 후크(104)는 상기 수용 공간(713)을 지나 상기 슬롯(714)을 관통하여 상기 후크 걸림부(715)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디(12)의 제 2 결합부(132)는 상기 커버 바디(710)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수용 공간(713)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713)은 상기 커버 바디(710)의 양단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공간이므로, 상기 제 2 바디(12)의 제 2 결합부(132)가 상기 수용 공간(713)에 위치되면, 상기 제 2 결합부(132)에 의해서 상기 커버 바디(710)의 수평 방향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이동 방지 리브(103)가 수용되기 위한 리브 수용 공간(718)과, 상기 리브 수용 공간(718)에 위치된 이동 방지 리브(103)가 상기 제 1 바디(10)에서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리브(719)와, 상기 리브 수용 공간(718)에 수용된 상기 이동 방지 리브(103)를 지지하는 리브 지지면(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 리브(719)는 상기 리브 수용 공간(718)의 입구(718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핸들부(3)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핸들 결합부(7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 결합부(721)는 상기 커버 바디(71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722)와, 상기 제 1 연장부(72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72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 바디(710)의 제 1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바디(710)에서 상기 제 1 바디(10)와 접촉하는 면을 제 2 면이라 하고, 상기 제 2 면의 반대면을 제 1 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장부(723)와 상기 커버 바디(710)의 제 1 면 사이에는 삽입 개구(72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 개구(724)에는 후술할 상기 핸들부(3)의 삽입 리브(도 32의 30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본체 단자(도 27의 80참조)가 결합되기 위한 단자 결합부(7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716)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결합 리브(716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각 결합 리브(716a)에는 상기 본체 단자(8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716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 단자(80)는 상기 복수의 결합 리브(716a)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716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단자(80)가 상기 결합홀(716b)에 결합되면, 상기 핸들부(3)의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 단자(8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결합 리브(716a)의 상하 길이는 상기 본체 단자(80)의 상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상기 핸들 단자(도 33의 90참조)가 상기 본체 단자(8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결합 리브(716)가 상기 핸들 단자(도 33의 90참조)와 상기 본체 단자(80)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본체 단자(80)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지지부(716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지지부(716a)는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결합 리브(716a)의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단자(80)가 상기 단자 지지부(716c)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3)의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 단자(80)하 하측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복수의 본체 전선(도 31의 141, 142참조)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는, 상부 안내 리브(728)와, 하부 안내 리브(728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우징 체결부(108)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가 위치되는 체결부 수용홈(7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바디(710)는 상기 핸들부(3)의 핸들 후크(도 32의 303참조)가 결합되기 위한 핸들 후크 결합부(7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 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 단자(80)는, 단자 하우징(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하우징(810)은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단자 하우징(810)의 양측에는 상기 각 결합 리브(716a)의 결합홀(716b)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돌기(8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하우징(810)에는 제 1 하부 전원 단자(821)와, 제 2 하부 전원 단자(8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하부 전원 단자(821, 822)는 한 쌍의 단자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하부 전원 단자(821, 822)의 단자 핀 들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전원 단자(821)는 일 예로 상기 흡입 모터(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전원 단자(822)는 일 예로 상기 제 1 단자(139)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단자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 단자가 분리되고, 상기 본체 단자(80)가 전원 단자(821, 822)를 가짐에 따라서 상기 본체 단자(8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가 본체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29는 커버 부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70)를 상기 제 1 바디(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바디(10)의 이동 방지 리브(103)를 상기 커버 바디(710)의 리브 수용 공간(718)의 입구(718a)와 정렬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 2 바디(12)의 제 2 결합부(132)의 일부가 상기 커버 바디(710)의 수용 공간(713)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 바디(710)를 상기 제 1 바디(10)와 접촉시킨다. 즉, 상기 제 1 커버 바디(711)가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1 접촉면(101)과 접촉되고, 상기 제 2 커버 바디(712)가 상기 제 2 바디(10)의 제 2 접촉면(102)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0)의 이동 방지 리브(103)는 상기 리브 수용 공간(718) 내로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도 29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바디(10)의 이동 방지 리브(103)가 상기 리브 지지면(720)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 결합 후크(104)가 상기 커버 바디(710)의 슬롯(714)을 관통하여 상기 후크 걸림부(715)에 걸린다.
상기 커버 결합 후크(104)가 상기 후크 걸림부(715)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부재(7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10)의 이동 방지 리브(103)가 상기 리브 지지면(7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70)는 상기 이동 방지 리브(103)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한 리브(719)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2 접촉면(102)과 상기 이동 방지 리브(103)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커버 부재(70)가 상기 제 1 바디(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1은 커버 부재에 본체 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70)가 상기 본체(2), 즉, 상기 제 1 바디(10)에 설치된 후 또는 설치되기 전에 상기 본체 단자(80)를 상기 커버 부재(7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단자(80)에 상기 복수의 본체 전선(141, 14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본체 전선(141, 142)은 상기 안내 리브들(728, 728a)에 의해서 위치가 가이드되고, 상기 본체 단자(80)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 단자(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본체 전선(141, 142)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제어 기판(204)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본체 전선(141)과, 상기 제 1 단자(139)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본체 전선(14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 바디(710)의 제 1 면에 상기 단자 결합부(716)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단자(80)가 상기 단자 결합부(716)에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본체 전선(141, 142)이 상기 본체 단자(80)의 하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본체 전선(141, 142) 및 상기 본체 단자(80)와 상기 제 1 바디(10) 사이에 상기 커버 바디(71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바디(10)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 1 바디(10)의 외부에서 상기 복수의 본체 전선(126, 127) 및 상기 본체 단자(80)가 보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의 외면에 접촉하며, 상기 본체(2)의 외면을 둘러싸는 핸들 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핸들(30)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전선 통과홀(134)을 커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 바디(300)가 상기 본체(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면, 상기 핸들 바디(300)가 상기 전선 통과홀(134)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커버 부재(70)와의 결합을 위한 커버 결합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301)에 의해서 상기 핸들부(3)는 일 예로 상하 방향으로 상기 커버 부재(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301)는, 상기 커버 부재(70)의 핸들 후크 결합부(717)에 결합되기 위한 핸들 후크(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결합부(301)는 상기 커버 부재(70)의 핸들 결합부(721)에 결합되기 위한 삽입 리브(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본체(2)의 제 2 바디(12)에 결합되기 위한 바디 결합부(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304)는, 측면 결합 리브(304a)와, 상부 결합 리브(30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결합 리브(304a)는 상기 제 1 리브 결합부(139a)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상부 결합 리브(304b)는 상기 제 2 리브 결합부(139b)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인너 하우징(610)과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 리브(3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부(3)는 상기 커버 부재(70)에 결합된 상기 본체 단자(80)와 연결되기 위한 핸들 단자(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핸들 단자(90)가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305)는, 상기 핸들 단자(90)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결합 후크(305a, 305b)와, 상기 핸들 단자(90)의 하우징 돌기(도 34의 914참조)가 결합되기 위한 돌기 결합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90)는 상기 복수의 단자 결합 후크(305a, 305b)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 결합 후크(305a, 305b)와 결합된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피씨비(main PCB) 유닛(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은 상기 전선 통과홀(134)을 통과하는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 단자(90)는 단자 하우징(901, 9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90)는, 상기 제 1 상부 전원 단자(921)와 제 2 상부 전원 단자(9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전원 단자(921)는 상기 제 1 하부 전원 단자(821)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상부 전원 단자(922)는 상기 제 2 하부 전원 단자(82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상부 전원 단자(921, 922)는 한 쌍의 단자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상부 전원 단자(921, 922)의 단자 핀 들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 하우징(901, 910)은, 제 1 하우징(901)과, 상기 제 1 하우징(901)과 결합되는 제 2 하우징(9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901)과 상기 제 2 하우징(910) 중 어느 하나에는 하우징 후크(902)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 후크(902)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결합 슬롯(91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4에는 일 예로 제 1 하우징(901)에 하우징 후크(902)가 구비되고, 제 2 하우징(910)에 후크 결합 슬롯(912)이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1 하우징(901)과 상기 제 2 하우징(910)은 일 예로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901)과 상기 제 2 하우징(910)이 함께 단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901) 및 상기 제 2 하우징(910) 각각은 서로 구획된 복수의 단자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구획벽(903, 9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910)에는 상기 핸들 바디(300)의 돌기 결합부(306)에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돌기(9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복수의 하우징 돌기(914)가 상기 제 2 하우징(9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901)의 양측에는 상기 복수의 단자 결합 후크(305a, 306) 각각이 걸리기 위한 후크 걸림홈(90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피씨비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메인 피씨비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37 및 도 38은 도 35의 메인 피씨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9는 본 발명의 피씨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 단자(349a)는 상기 제 2 바디(12)의 커넥터 지지부(136)에 설치되나, 메인 피씨비와의 결합 관계의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도 35 내지 도 38에 피씨비 커넥터를 함께 도시하도록 한다.
도 35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메인 피씨비(3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2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상기 메인 피씨비(341)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피씨비(341)는 복수의 피씨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피씨비(341)는 제 1 피씨비(342)와 제 2 피씨비(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는 세워진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사이에는 두 피씨비(342, 344)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348)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를 연결하기 위한 피씨비 커넥터(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는 기구적으로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는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이 상측에 안착될 수 있는 커넥터 바디(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351)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는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하면(351a)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피씨비(342) 및 상기 제 2 피씨비(344)와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3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피씨비(342, 344)에는 상기 결합 돌기(353)가 결합되기 위한 돌기 결합부(346, 3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결합부(346, 347)는 홈이거나 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로 결합된 피씨비 커넥터(350)와 상기 메인 피시비(341)를 메인 피씨비 조립체라 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돌기(353)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돌기 결합부(346, 3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351)가 상기 제 1 피씨비(342) 및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의 폭은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폭 방향 단부(351b, 351c)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돌기(353)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돌기 결합부(346, 3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351)가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돌기(353)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돌기 결합부(346, 3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351)가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상면과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가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폭 방향 단부(351b, 351c)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돌기(353)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돌기 결합부(346, 3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의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가 복수의 스페이서(35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스페이터(352)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는 상기 핸들 바디(332)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후크(3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후크(357)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357)에 의한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와 상기 핸들 바디(332)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결합 후크(357)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하면(351a)에는 보강 리브(3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54)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하면(351a)에서 돌출되며, 상기 결합 후크(357)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를 연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가 복수의 스페이서(35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 리브(354)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352) 중 상기 결합 후크(357)와 가장 가까운 스페이서(352)와 상기 결합 후크(357)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청소기(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37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8에는 일 예로 상기 제 2 피씨비(344)에 상기 발광부(370)가 설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발광부(370)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8에는 상기 발광부(370)가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엘이디(LED)(371, 372, 373)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40)의 잔량, 상기 흡입 모터(20)의 흡입력의 세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351)에는 상기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에서 조사된 광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광 개구(3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와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는 상기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가 상기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에서 조사되는 광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는 인접하는 두 광 개구(375)의 사이 영역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352)가 상기 각 엘이디(371, 372, 373)에서 조사된 광과 간섭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두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광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페이서(352)는 인접하는 두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 피씨비(342, 344)는, 후술할 파워 피씨비(Power PCB)(도 13의 380참조)를 지지하기 위한 연장부(343, 3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43, 345)는 상기 파워 피씨비(Power PCB)(도 43의 380참조)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경사면(343a, 34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파워 피씨비(도 43의 380참조)와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 단자(349)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6에는 일 예로 상기 제 1 연결 단자(349)가 상기 제 1 피씨비(342)의 제 1 연장부(343)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넥팅 단자(349a)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5에는 일 예로 상기 커넥팅 단자(349a)가 상기 제 2 피씨비(344)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상기 커넥팅 단자(349a)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피씨비(344)는 절개홈(344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상기 커넥팅 단자(349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커넥팅 단자(349a)는 제 1 신호 단자(349b)와, 상기 제 1 신호 단자(349b)와 이격되는 제 2 신호 단자(34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피씨비(344)는 상기 제 1 신호 단자(349b)와 상기 제 2 신호 단자(349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중 하나 이상은 도시되지 않은 전선에 의해서 상기 핸들 단자(9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와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피씨비 커버(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버(360)는,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부(361)와, 상기 상면부(361)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362, 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362, 363)는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를 커버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피씨비(342, 344) 상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362, 363)에 의해서,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와 연결된 각 피씨비(342, 344)가 상기 핸들(3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버(360)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복수의 광 개구(355)를 커버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를 통과한 광이 상기 피씨비 커버(360)를 투과할 수 있도록, 상기 피씨비 커버(360)에는 복수의 광 투과부(3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와 동일하며,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는 상기 피씨비 커버(360)의 상면부(361)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버(360)에서 적어도 복수의 광 투과부(364)는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41은 핸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2는 핸들 바디에 메인 피씨비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3은 핸들 바디에 메인 피씨비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파워 피씨비가 지지 리브에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4는 도 43의 상태에서 핸들 커버 및 조작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 바디(300)는, 제 1 핸들 바디(332)와,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 결합되는 제 2 핸들 바디(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일부 및 제 2 연장부(32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핸들 바디(334)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320)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 상기 제 2 핸들 바디(334)가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와 상기 제 2 핸들 커버(334)가 상기 제 1 연장부(310)와 제 2 연장부(3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상기 핸들(30)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아우터 하우징(6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322)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연장부(320) 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을 지지하는 서포터(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324)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안착되는 안착면(324a)과, 상기 안착면(324a)에 안착된 제 1 피씨비(342)를 지지하는 제 1 리브(324b)와, 상기 안착면(324a)에 안착된 제 2 피씨비(344)를 지지하는 제 2 리브(32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리브(324b, 324c)는 상기 안착면(324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324b)와 상기 제 2 리브(324c)에 의해서, 상기 서포터(342)에 지지된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도 40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브(324b)와 상기 제 2 리브(324c)는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의 수용 공간(322)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의 인입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상기 피씨비 커버(360)의 복수의 광 투과부(364)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가 상기 복수의 삽입홀(32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는 상기 핸들(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에 의해서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에서 조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가 상기 복수의 삽입홀(327)에 삽입되므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상기 복수의 삽입홀(327)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피씨비(34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상기 수용 공간(322)에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325)에는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후크(357)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325a)과, 상기 관통홀(325a)을 관통한 결합 후크(357)가 걸리는 후크 걸림 리브(325b)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워 피씨비(380)는 상기 조작부(390)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 1 스위치(382)와 제 2 스위치(3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스위치(382)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온 또는 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제 2 스위치(384)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흡입력 세기 조절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리브(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326)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325)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326)는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326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상기 경사면(326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위치(382)와 상기 제 2 스위치(384)의 높이는 다르게 된다.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 결합되면, 상기 제 1 피씨(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사이에 상기 지지 리브(326)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지지 리브(326)에 의해서 메인 피씨비(34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리브(326)는 상기 제 1 피씨비(342) 및 제 2 피씨비(344) 각각과 이격된다.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의 경사 각도는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연장부(343, 345)의 경사면(343a, 345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경사면(343a, 345a) 및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이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에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경사면(343a, 345a)이 상기 파워 피씨비(380)와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에 접촉된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도 4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관통하는 끼움 리브(32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피씨비(380)에는 상기 끼움 리브(326b)가 관통하기 위한 슬릿(38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 리브(326b)는 상기 지지 리브(326)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에 안착되면, 상기 끼움 리브(326b)가 상기 슬릿(386)에 끼워지므로, 상기 파워 피씨비(38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을 따라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상기 지지 리브(326)에 안착된 상기 파워 피씨비(380)의 상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스토퍼(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지지 리브(326)에 안착된 상기 파워 피씨비(38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보스(3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씨비(380)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38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390)는, 상기 제 2 핸들 바디(334)에 체결되기 위한 지지 프레임(396)과, 상기 지지 프레임(396)에 결합되는 조작 버튼(39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391)은 상기 제 1 스위치(382)를 누르기 위한 제 1 푸시부(392)와, 상기 제 2 스위치(384)를 누르기 위한 제 2 푸시부(39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조작 버튼(391)이 두 개의 푸시부(392, 39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382)와 상기 제 2 스위치(384)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경사지므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파지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으로 상기 조작 버튼(391)를 조작하여 상기 제 1 스위치(382)를 누르거나 제 2 스위치(384)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인 피씨비 유닛(340)과 파워 피씨비(380)의 조립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의 수용 공간(322)에 상기 피씨비 커버(360)를 인입한 상태에서 상기 피씨피 커버(360)의 광 투과부(364)가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의 삽입홀(327)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를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로 연결하여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완성하고,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상기 피씨비 커버(360)와 상기 핸들 바디(332)의 서포터(324) 사이 공간으로 삽입한다.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피씨비 커버(360)의 한 쌍의 측면부(362, 363)와 상기 서포터(324)의 제 1 및 제 2 리브(324b, 324b)는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의 삽입을 가이드 한다.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가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의 수용 공간(322)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후크(357)가 상기 후크 관통홀(325a)을 관통하여 후크 걸림 리브(325b)에 걸리면,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43과 같이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상기 지지 리브(326)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씨비(380)는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피씨비(341)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 고정된다.
그 다음, 도 44와 같이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 상기 제 2 핸들 바디(334)를 결합시킨 후에 상기 제 1 핸들 바디(334)에 상기 조작부(39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메인 피씨비(341)가 두 개의 피씨비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 내에 수용되므로, 메인 피씨비(341)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두 개의 피씨비가 평행한 상태 및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핸들 바디에 수용되므로, 메인 피씨비 유닛(340)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피씨비를 피시피 커넥터(350)에 연결한 상태에서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제 1 핸들 바디(332)의 수용 공간(322)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가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피씨비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 및 두 개의 피씨비를 상기 제 1 핸들 바디(332)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사용자의 조립 과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5는 핸들부에 핸들 단자와 메인 피씨비 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6은 핸들부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핸들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 바디(300)에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과 상기 조작부(390) 및 상기 핸들 단자(9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스크류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본체(2)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핸들부(3)를 상기 본체(2)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3)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핸들부(3)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핸들부(3)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방향을 제 2 결합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 방향은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방햐인 제 1 결합 방향과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결합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의 제 2 바디(12) 및 상기 커버 부재(70) 각각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핸들부(3)와 상기 제 2 바디(12)의 결합과 상기 핸들부(3)와 상기 커버 부재(70)의 결합은 동시에 수행된다.
한편, 상기 핸들부(3)는, 다수의 핸들 전선(942, 944, 9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핸들 전선(942, 944, 946)은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상기 배터리(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상기 조작부(390)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입력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모터(20) 및/또는 상기 제 1 단자(139)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흡입 모터(20)의 흡입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핸들 전선(942, 944, 946)은, 상기 핸들 단자(90)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단자(139)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핸들 전선(942)과, 상기 핸들 단자(90)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핸들 전선(9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와 연결되면 상기 제 1 핸들 전선(942)은 상기 본체(2)에 구비되는 제 1 본체 전선(126)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핸들 전선(944)은 상기 본체(2)에 구비되는 제 2 본체 전선(127)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핸들 전선(942, 944, 946)은 상기 충전대 연결 단자(628)와 연결되는 단자 연결 전선(9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다수의 핸들 전선(942, 944, 946)이 서로 꼬이지 않은 상태로 위치되도록 핸들 전선 들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전선 가이드(3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핸들부(3)와 상기 커버 부재(70)의 결합 과정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47은 핸들부가 커버 부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48은 핸들부가 커버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49는 핸들부가 커버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25, 도 47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가 상기 커버 부재(70)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3)의 삽입 리브(302)가 상기 커버 바디(710)의 핸들 결합부(721)의 삽입 개구(724)와 정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핸들부(3)의 삽입 리브(302)가 상기 삽입 개구(324)를 지나 상기 핸들 결합부(721)의 제 1 연장부(722)에 안착되어 상기 제 2 연장부(723)에 걸린다.
또한, 상기 핸들부(3)의 핸들 후크(303)가 상기 커버 바디(710)의 핸들 후크 결합부(717)에 걸린다. 또한, 상기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와 연결된다. 즉, 상기 핸들 단자(90)는 상기 핸들부(3)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 부재(7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 단자(8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70)의 복수의 결합 리브(716a)는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결합 리브(716a)는 상기 핸들 단자(90)의 양측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부(3)를 상기 커버 부재(7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가 연결되므로, 상기 핸들 단자(90)와 본체 단자(80)의 결합 과정이 생략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3)의 삽입 리브(302) 및 상기 커버 부재(70)의 핸들 결합부(721)에 의해서 상기 핸들부(3)는 상기 커버 부재(70)에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핸들부(3)와 상기 제 2 바디(12)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0은 핸들부가 제 2 바디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51은 핸들부가 제 2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0, 도 32, 도 50 및 도 51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가 상기 제 2 바디(12)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3)의 측면 결합 리브(304a)가 상기 제 1 리브 결합부(139a)와 정렬되고, 상기 상면 결합 리브(304b)가 상기 제 2 리브 결합부(139b)와 정렬된다. 또한, 상기 제 2 피씨비(144)가 상기 커넥팅 단자(349a)의 제 1 신호 단자(349b)와 상기 제 2 신호 단자(349c) 사이 공간과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측면 결합 리브(304a)가 상기 제 1 리브 결합부(139a)에 끼워지고, 상기 상면 결합 리브(304b)가 상기 제 2 리브 결합부(139b)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피씨비(144)가 상기 커넥팅 단자(349a)의 제 1 신호 단자(349b)와 상기 제 2 신호 단자(349c)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각 신호 단자(349b, 349c)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부(3)를 상기 본체(2)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상기 제 2 피씨비(144)가 상기 커넥팅 단자(349a)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커넥팅 단자(349a)와 메인 피씨비(141)를 연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핸들부(3)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과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52는 바디 커버가 결합된 인너 하우징이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3은 커버 부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4는 커버 부재가 결합된 본체에 인너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5는 본체에 인너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2 내지 도 55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 커버(16)가 결합된 인너 하우징(610)을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6)의 힌지(162)는 상기 인너 하우징(610)의 한 쌍의 힌지 결합부(6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70)가 상기 제 1 바디(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바디(70)의 하면(729)은 상기 제 1 바디(10)의 하면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70)의 하면(729)은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우징 체결부(108)의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커버 바디(70)의 하면(729)과 상기 제 1 바디(10)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인너 하우징(610)의 힌지 결합부(620)가 위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너 하우징(610)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600)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힌지 결합부(620)는 상기 커버 부재(70)의 하면(729)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하우징(610)의 한 쌍의 힌지 결합부(620) 사이에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우징 체결부(108)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 리브(62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리브(622)는 상기 한 쌍의 힌지 결합부(620)를 연결한다.
상기 체결 리브(622)는 체결 부재(S)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6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리브(622)의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안내홈(107)에 위치된다. 상기 체결 리브(622)가 상기 안내홈(107)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리브(622)가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 리브(622)의 하방에서 상기 체결 부재(S)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리브(622) 및 상기 하우징 체결부(108)를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인너 하우징(610)에는 상기 핸들부(3)의 하우징 결합 리브(308)가 결합되는 리브 걸림부(6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걸림부(626)는 일 예로 상기 한 쌍의 힌지 결합부(62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하우징(610)은 상기 제 1 바디(10) 및 상기 핸들부(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6은 배터리 하우징에 배터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7은 배터리 하우징에 배터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56 및 도 57을 참조하면, 상기 인너 하우징(610)은 상기 배터리(40)가 수용되기 위한 배터리 챔버(61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인너 하우징(610)은 상기 배터리(40)가 결합되기 위한 걸림 리브(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는 복수의 결합부(470, 4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470, 474)는 상기 배터리(4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결합부(470)와, 상기 프레임(4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결합부(4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470)와 상기 제 2 결합부(474)는 일 예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470)는 제 1 후크(4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제 1 결합부(470)의 제 1 후크(472)가 상기 공간(622)을 지나 상기 걸림 리브(64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474)는 상기 배터리(40)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4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0)의 하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부(475)가 연장되고, 상기 제 2 결합부(474)는 상기 연장부(475)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475)에 의해서 상기 제 2 결합부(474)는 상기 프레임(410)의 외면과 이격된다.
즉, 상기 프레임(410)과 상기 제 2 결합부(474) 사이에 변형을 위한 여유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여유 공간에 의해서 상기 제 2 결합부(474)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4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474)는 제 2 후크(4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후크(476)는 상기 제 2 결합부(474)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배터리 챔버(6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474)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결합부(474)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600)에는 제 1 노출 개구(602)가 구비되고, 상기 인너 하우징(610)에는 제 2 노출 개구(6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하우징(610)에서 상기 제 2 노출 개구(612)의 상방에는 상기 제 2 결합부(474)의 제 2 후크(476)가 결합되는 결합 슬롯(6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슬롯(614)은 홀 이거나 홈일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474)의 제 2 후크(476)는 상기 인너 하우징(610) 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슬롯(6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의 상측에는 돌출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450)의 내측에 배터리 단자(49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은 상기 돌출부(450)가 수용되는 수용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60)에는 상기 배터리 단자(490)와 결합되기 위한 배터리 연결 단자(6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연결 단자(670)는 상기 메인 피씨비(34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돌출부(450)가 상기 수용부(66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연결 단자(670)가 상기 돌출부(450)를 관통하므로, 상기 수용부(670)는 상기 배터리 연결 단자(670)가 상기 돌출부(450)를 안정적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450)의 상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힌지 결합부(6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622)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으로 상기 제 1 결합부(470)를 상기 프레임(4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결합부(470)의 제1후크(472)와 상기 걸림 리브(640)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제 2 결합부(474)를 조작하여 상기 제 2 결합부(474)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제 2 결합부(474)를 상기 프레임(410) 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결합부(474)는, 상기 프레임(410)과 상기 제 2 결합부(474) 사이 공간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4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러면, 상기 제2후크(476)가 상기 결합 슬롯(614)에서 빠지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결합부(470)와 상기 제 2 결합부(474)는 사용자에 의해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결합부(470)와 상기 제 2 결합부(474) 각각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배터리(40)를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서 하방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40) 만을 충전대에 안착시켜 충전할 수 있다.
도 58은 본 발명의 청소기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5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2)와, 핸들부(3)와, 배터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1)는 전원 공급을 위하여 크게 세 개의 결합 구조를 가진다.
첫 번째 결합 구조는 상기 배터리(40)와 상기 핸들부(3)의 결합을 위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핸들부(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핸들부(3)에 결합되면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40)와 상기 핸들부(3)의 결합은, 상기 배터리 단자(490)와 상기 배터리 연결 단자(670)의 기구적인 결합에 의해서 수행된다. 물론,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상기 배터리 연결 단자(670)와 전선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 단자(490)와 상기 배터리 연결 단자(670)가 결합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40)의 전원이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결합 구조는, 상기 핸들부(3)와 상기 본체(2)의 결합을 위한 구조이다.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상기 핸들 단자(9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핸들부(3)가 상기 본체(2)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면,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가 기구적으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가 기구적으로 결합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으로부터 상기 핸들 단자(90)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 단자(8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3)에 커버 결합부(30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부재(70)에 상기 커버 결합부(301)가 결합되기 위한 상기 삽입 개구(724) 및 핸들 후크 결합부(717)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3)가 상기 커버 부재(70)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결합부(301)와 상기 삽입 개구(724) 및 핸들 후크 결합부(717)는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의 조립 오차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3)에 바디 결합부(304)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의 제 2 바디(12)에 제 1 핸들 결합부(139a, 139b)가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핸들부(3)가 상기 제 2 바디(12)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 결합부(304)와 상기 제 1 핸들 결합부(139a, 139b)도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의 조립 오차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70)에 상기 본체 단자(80)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리브(716a) 및 상기 본체 단자(80)의 하측을 지지하는 단자 지지부(716c)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 단자(8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핸들 단자(90)와 상기 본체 단자(80)의 조립 오차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결합 구조는, 상기 본체 단자(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본체 전선 들과 상기 본체(2)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모터(20) 및 상기 제 1 단자(139) 간의 결합 구조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상기 본체(2) 내에 위치되며 본체 전선 들의 연결에 의한 전기적인 결합구조이다. 이러한 전기적인 결합 구조에 의해서 상기 본체 단자(80)로 공급된 전원이 최종적으로 상기 흡입 모터(20) 및 상기 제 1 단자(139)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는 상기 본체(2)에만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3)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3)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킬 때, 상기 핸들부(3)와 상기 본체(2)의 경계부의 실링을 위한 구조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3)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 모터(20) 및 상기 제 1 단자(139)는 상기 배터리(40)의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이므로, 전원 수급부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 예에서는 커버 부재(70)에 상기 본체 단자(80)를 설치하고, 상기 핸들 단자(90)를 상기 본체 단자(80)에 연결하는 구조가 개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본체의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커넥팅 단자(349a)가 상기 흡입 모터(20)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단자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단자를 함께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 또한 상기 전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2)에서 본체 단자(80)가 생략되고, 상기 핸들부(3)에서 핸들 단자(90)가 생략되며,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상기 커넥팅 단자(349a)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어 신호 및 전원이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 및 상기 커넥터 단자(349a)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로 전달될 수 있고, 전원이 상기 제 1 단자(139)로 전달될 수 있다.
1: 청소기 2: 본체
3: 핸들부 10: 제 1 바디
12: 제 2 바디 40: 배터리
70: 커버 부재 80: 본체 단자
90: 핸들 단자

Claims (8)

  1. 일측이 먼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싸이클론부를 형성하고 타측이 먼지통을 형성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위치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수용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이 구비되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 통과홀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전선 통과홀을 커버하는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하측에 위치되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하우징과, 상기 핸들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핸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바디가 상기 전선 통과홀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와 먼지를 상기 제1바디로 안내하며 길이 방향 축을 가지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 통과홀은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 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전선 통과홀을 통과하는 전선과 연결되는 피씨비 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과홀은 상기 흡입 모터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되는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과홀은 상기 흡입 모터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
KR1020200092592A 2016-08-25 2020-07-24 청소기 KR102391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8315 2016-08-25
KR1020160108315 2016-08-25
KR1020160183823A KR102648244B1 (ko) 2016-08-25 2016-12-30 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23A Division KR102648244B1 (ko) 2016-08-25 2016-12-30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846A true KR20200091846A (ko) 2020-07-31
KR102391220B1 KR102391220B1 (ko) 2022-04-28

Family

ID=616892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23A KR102648244B1 (ko) 2016-08-25 2016-12-30 청소기
KR1020200092592A KR102391220B1 (ko) 2016-08-25 2020-07-24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23A KR102648244B1 (ko) 2016-08-25 2016-12-30 청소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206964B2 (ko)
EP (3) EP4298972A3 (ko)
JP (1) JP6909280B2 (ko)
KR (2) KR102648244B1 (ko)
CN (3) CN111904328B (ko)
AU (1) AU2017314598B2 (ko)
RU (1) RU2707408C1 (ko)
TW (1) TWI7328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41A1 (ko) * 2020-08-11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21B1 (ko) * 2018-04-16 2019-11-08 구병회 개선된 전원 연결 구조를 가진 핸드 헬드 진공청소기
KR102042924B1 (ko) * 2018-05-17 2019-11-08 구병회 핸드헬드 진공청소기
KR102072009B1 (ko) * 2018-08-30 2020-01-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11358156B1 (en) * 2019-05-10 2022-06-14 Vacuum Technologies, Llc Dual connection cyclonic overhead separator
JP7365853B2 (ja) * 2019-10-29 2023-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210069408A (ko) * 2019-12-03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D966637S1 (en) * 2021-04-22 2022-10-11 Suzhou Sweep Electric Appliance Co., Ltd. Vacuum clean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1207A2 (en) * 2006-10-05 2008-04-10 C Enterprise (Hk) Limited Modular power hand tool
JP2012250291A (ja) * 2011-05-31 2012-12-20 Makita Corp 集塵アタッチメント用アダプタ
CN103784081A (zh) * 2014-01-27 2014-05-14 科沃斯机器人科技(苏州)有限公司 手持式吸尘器
CN103860103A (zh) * 2012-11-20 2014-06-18 戴森技术有限公司 清洁器具
KR20140127305A (ko) * 2012-02-10 2014-11-0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 및 이 것을 위한 배터리 팩
JP2015173673A (ja) * 2014-03-12 2015-10-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5195881A (ja) * 2014-03-31 2015-11-09 日立工機株式会社 携帯型集塵機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3119A (en) 1968-03-06 1970-10-13 Sunbeam Corp Cordless portable electric appliance
JPS5214775U (ko) * 1975-07-18 1977-02-02
US6181032B1 (en) * 1999-07-14 2001-01-30 Black & Decker Inc. Releasably connecting power packs to electrical appliances
CN100341456C (zh) * 2005-05-19 2007-10-10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便携式无绳吸尘器
KR100701177B1 (ko) 2005-08-18 2007-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캐니스터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장착구조
GB2474176A (en) 2006-07-18 2011-04-06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handle and suction pipe relatively angled
GB2440108A (en) 2006-07-18 2008-01-23 Dyson Technology Ltd Suction cleaner with filter detection mechanism
WO2008054182A1 (en) 2006-11-03 2008-05-08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for vacuum cleaning
KR100762323B1 (ko) 2006-11-03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CA2599303A1 (en) * 2007-08-29 2009-02-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58208B2 (en) 2016-04-11 2019-04-1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079109B2 (en) 2008-09-02 2011-12-20 Sunstar Americas, Inc. Illuminated toothbrush
US9433332B2 (en) * 2013-02-27 2016-09-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6633B2 (en) * 2009-03-13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12099454A (ja) 2010-10-08 2012-05-24 Sony Corp 可搬型情報処理装置
US9232881B2 (en) * 2011-03-04 2016-01-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handle assembly
GB2508034B (en) * 2012-11-20 2015-10-07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US9155439B2 (en) 2013-01-16 2015-10-1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of utilizing wireless switches to control a vacuum cleaner
WO2014162773A1 (ja) * 2013-04-01 2014-10-09 株式会社 マキタ クリーナ
US10105022B2 (en) * 2013-09-05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JP6151193B2 (ja) * 2014-01-20 2017-06-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117128B2 (ja) * 2014-02-20 2017-04-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2328244B1 (ko) 2014-07-31 2021-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20160034041A (ko) * 2014-09-19 2016-03-29 최상훈 핸디형 청소기
JP2016067459A (ja) 2014-09-29 2016-05-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10251519B2 (en) * 2014-12-17 2019-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204654807U (zh) * 2015-04-30 2015-09-23 宁波亮的电器有限公司 手持式无线真空吸尘器
CN205251427U (zh) * 2015-10-28 2016-05-25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手持式清洁设备
CA168785S (en) * 2015-12-01 2017-04-2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body
TWM520349U (zh) * 2016-01-06 2016-04-21 Zeng Hsing Ind Co Ltd 旋風式吸塵器
WO2018038371A1 (ko) * 2016-08-25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1207A2 (en) * 2006-10-05 2008-04-10 C Enterprise (Hk) Limited Modular power hand tool
JP2012250291A (ja) * 2011-05-31 2012-12-20 Makita Corp 集塵アタッチメント用アダプタ
KR20140127305A (ko) * 2012-02-10 2014-11-0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 및 이 것을 위한 배터리 팩
CN103860103A (zh) * 2012-11-20 2014-06-18 戴森技术有限公司 清洁器具
CN103784081A (zh) * 2014-01-27 2014-05-14 科沃斯机器人科技(苏州)有限公司 手持式吸尘器
JP2015173673A (ja) * 2014-03-12 2015-10-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5195881A (ja) * 2014-03-31 2015-11-09 日立工機株式会社 携帯型集塵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41A1 (ko) * 2020-08-11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5778A4 (en) 2019-07-03
TWI732859B (zh) 2021-07-11
US20200113400A1 (en) 2020-04-16
CN109561799B (zh) 2023-09-29
CN109561799A (zh) 2019-04-02
EP3485778A1 (en) 2019-05-22
EP4298972A2 (en) 2024-01-03
US20230240498A1 (en) 2023-08-03
US11206964B2 (en) 2021-12-28
RU2707408C1 (ru) 2019-11-26
KR20180023773A (ko) 2018-03-07
EP3884829B1 (en) 2023-11-15
KR102648244B1 (ko) 2024-03-18
EP4298972A3 (en) 2024-03-27
AU2017314598B2 (en) 2020-04-02
JP6909280B2 (ja) 2021-07-28
CN113712461A (zh) 2021-11-30
TW201806542A (zh) 2018-03-01
CN111904328A (zh) 2020-11-10
AU2017314598A1 (en) 2019-01-24
EP3884829A1 (en) 2021-09-29
JP2019525813A (ja) 2019-09-12
KR102391220B1 (ko) 2022-04-28
CN111904328B (zh) 202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220B1 (ko) 청소기
US11647883B2 (en) Cleaner
US11076736B2 (en) Cleaner
EP3488748B1 (en) Vacuum cleaner
KR102138214B1 (ko) 청소기
JP7028943B2 (ja) 掃除機
KR101903253B1 (ko) 청소기
KR102548261B1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0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428

Effective date: 2021122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