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800A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0800A KR20200090800A KR1020207016332A KR20207016332A KR20200090800A KR 20200090800 A KR20200090800 A KR 20200090800A KR 1020207016332 A KR1020207016332 A KR 1020207016332A KR 20207016332 A KR20207016332 A KR 20207016332A KR 20200090800 A KR20200090800 A KR 202000908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hydraulic
- flow path
- unified bleed
- bl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25—Drive system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2—Systems using center bypass type changeover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28—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actuating fo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8—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23—Internal combustion eng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5—Control of bleed-off flow, e.g. control of bypass flow to the return l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5—Pressure control for limiting a pressure up to a maximum pressure, e.g. by using a pressure relief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5—Control during special operating conditions
- F15B2211/851—Control during special operating conditions during starting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쇼벨(100)은, 하부주행체(1), 상부선회체(3), 엔진(11), 메인펌프(14), 작동유탱크(T),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 및, 메인펌프(14)에 접속되는 유압회로를 갖는다. 유압회로는, 메인펌프(14)와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의 사이의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제어밸브(170~174R)와, 복수의 제어밸브(170~174R)의 블리드오프유량을 통합 제어 가능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갖는다. 유압회로는, 엔진(11)의 시동 시에, 메인펌프(14)의 토출압이 소정압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탑재한 쇼벨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방향전환밸브(제어밸브)의 블리드오프유량을 통일적으로 제어하는 컷밸브(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포함하는 유압회로를 탑재한 쇼벨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쇼벨에서는, 각 제어밸브는, 붐실린더, 주행용 유압모터 및 선회용 유압모터 등의 유압액추에이터의 하나에 대응하고 있다.
이 유압회로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의 파일럿포트는, 전자비례밸브를 통하여 파일럿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비례밸브는,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엔진시동 시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의 개구상태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엔진시동 시에 통일 블리드오프밸브가 폐쇄되어 있으면, 쇼벨은, 엔진을 시동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축을 갖는 메인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흐름이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로 차단되기 때문이다. 즉, 메인펌프의 회전축에 연결된 엔진의 회전축을 스타터모터로 회전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를 감안하여, 엔진을 확실하게 시동시킬 수 있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탑재한 쇼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유압펌프 및 작동유탱크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하여 구동되는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와, 상기 유압펌프에 접속되는 유압회로를 갖고, 상기 유압회로는, 상기 유압펌프와 복수의 상기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과의 사이의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제어밸브와, 복수의 상기 제어밸브의 블리드오프유량을 모아 제어 가능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가지며, 상기 유압회로는,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 상기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소정압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수단에 의하여, 엔진을 확실하게 시동시킬 수 있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탑재한 쇼벨이 제공된다.
도 1은 쇼벨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엔진시동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엔진시동 시에 있어서의 유압회로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의 유압회로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회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회로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엔진시동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엔진시동 시에 있어서의 유압회로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의 유압회로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회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회로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정적이 아닌 예시로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굴삭기로서의 쇼벨(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쇼벨(100)의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는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작업요소로서의 붐(4), 암(5) 및 버킷(6)은, 어태치먼트의 일례인 굴삭어태치먼트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붐(4)은, 붐실린더(7)에 의하여 구동되고, 암(5)은, 암실린더(8)에 의하여 구동되며, 버킷(6)은,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캐빈(10)이 마련되고, 또한 동력원으로서의 엔진(11)이 탑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쇼벨(100)에 탑재되는 유압회로(HC)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유압회로(H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압회로(HC)는, 주로, 메인펌프(14), 컨트롤밸브(17) 및 유압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유압액추에이터는, 주로,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L),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R),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및 선회용 유압모터(21)를 포함한다.
붐실린더(7)는, 붐(4)을 상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붐실린더(7)의 보텀측유실과 로드측유실의 사이에는 재생밸브(7a)가 접속되어 있다. 붐실린더(7)의 보텀측유실에 연결되는 유로에는 유지밸브(7b)가 접속되어 있다. 재생밸브(7a)는 컨트롤밸브(17)의 외부에서 붐실린더(7)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암실린더(8)는, 암(5)을 펼치고 접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실린더(8)의 보텀측유실과 로드측유실의 사이에는 재생밸브(8a)가 접속되어 있다. 암실린더(8)의 로드측유실에 연결되는 유로에는 유지밸브(8b)가 접속되어 있다. 재생밸브(8a)는 컨트롤밸브(17)의 외부에서 암실린더(8)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버킷실린더(9)는, 버킷(6)을 펼치고 접을 수 있다. 버킷실린더(9)의 보텀측유실과 로드측유실의 사이의 유로에는 재생밸브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선회용 유압모터(21)는, 상부선회체(3)를 선회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용 유압모터(21)의 포트(21L)는 릴리프밸브(22L)를 통하여 작동유탱크(T)에 접속되어 있다. 선회용 유압모터(21)의 포트(21R)는 릴리프밸브(22R)를 통하여 작동유탱크(T)에 접속되어 있다.
릴리프밸브(22L)는, 포트(21L)측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압에 도달한 경우에 개방되며, 포트(21L)측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에 배출한다. 릴리프밸브(22R)는, 포트(21R)측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압에 도달한 경우에 개방되며, 포트(21R)측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에 배출한다.
메인펌프(14)는, 엔진(11)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펌프이며, 작동유탱크(T)로부터 작동유를 흡인하여 토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펌프(14)는, 사판식(斜板式)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며, 좌측메인펌프(14L) 및 우측메인펌프(14R)를 포함한다. 좌측메인펌프(14L)는, 레귤레이터(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레귤레이터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좌측메인펌프(14L)의 사판경전각(傾轉角)을 변경하여 좌측메인펌프(14L)의 배제용적(1회전당 토출량)을 제어한다. 우측메인펌프(14R)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좌측메인펌프(14L)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작동유를 공급하고, 우측메인펌프(14R)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2)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파일럿펌프(15)는, 엔진(11)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펌프이며, 작동유탱크(T)로부터 작동유를 흡인하여 토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펌프(15)는, 고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 단, 파일럿펌프(15)는, 생략되어도 된다. 이 경우, 파일럿펌프(15)가 담당하고 있던 기능은, 메인펌프(14)에 의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즉, 메인펌프(14)는, 컨트롤밸브(17)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기능과는 별도로 회로를 마련하고, 스로틀 등에 의하여 작동유의 공급압력을 저하시킨 후에, 조작장치(26), 전자비례밸브(57) 및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 등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좌측메인펌프(14L), 우측메인펌프(14R) 및 파일럿펌프(15)는, 각각의 회전축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회전축은, 엔진(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회전축은, 변속기(13)를 통하여 소정의 변속비로 엔진(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엔진회전수가 일정하면, 좌측메인펌프(14L), 우측메인펌프(14R) 및 파일럿펌프(15)의 각각의 회전수도 일정해진다. 단, 좌측메인펌프(14L), 우측메인펌프(14R) 및 파일럿펌프(15)는, 엔진회전수가 일정해도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무단변속기 등을 통하여 엔진(11)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컨트롤밸브(17)는, 복수의 밸브와 유로를 포함하는 유압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밸브(17)는, 복수의 밸브가 조립된 주조체이며, 주로, 가변로드체크밸브(50, 51A, 51B, 52A, 52B 및 53),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 전환밸브(62B 및 62C), 및 제어밸브(170, 171A, 171B, 172A, 172B, 173, 174L, 174R 및 175)(이하, "제어밸브(170) 등"이라고 함)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CPU, RAM 및 ROM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컨트롤러(30)는, ROM에 저장된 각종 제어프로그램을 CPU에 실행시킴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가변로드체크밸브(50, 51A, 51B, 52A, 52B 및 53)는, 제어밸브(170, 171A, 171B, 172A, 172B 및 173)의 각각과 좌측메인펌프(14L) 및 우측메인펌프(14R) 중 적어도 일방과의 사이의 연통·차단을 전환 가능한 2포트 2위치의 밸브이다.
전환밸브(62B)는, 붐실린더(7)의 로드측유실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에 배출할지 여부를 전환 가능한 2포트 2위치의 밸브이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밸브(62B)는,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붐실린더(7)의 로드측유실과 작동유탱크(T)의 사이를 연통하고,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그 연통을 차단한다. 또, 전환밸브(62B)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작동유탱크(T)로부터 붐실린더(7)의 로드측유실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갖는다.
전환밸브(62C)는, 붐실린더(7)의 보텀측유실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에 배출할지 여부를 전환 가능한 2포트 2위치의 밸브이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밸브(62C)는,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붐실린더(7)의 보텀측유실과 작동유탱크(T)의 사이를 연통하고,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그 연통을 차단한다. 또, 전환밸브(62C)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작동유탱크(T)로부터 붐실린더(7)의 보텀측유실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갖는다.
제어밸브(170, 171A, 171B, 172A, 172B, 173, 174L 및 174R)는, 각각, 대응하는 유압액추에이터에 유출입하는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포트 3위치의 스풀밸브이며, 대응하는 조작장치(26)로부터 좌우 어느 하나의 파일럿포트에 입력되는 파일럿압에 따라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응하는 유압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4포트와, 2개의 센터바이패스포트를 갖는다.
제어밸브(170, 171A, 171B, 172A, 172B 및 173)에서는, 2개의 센터바이패스포트는, 스풀밸브의 스트로크위치에 관계없이 개구면적(센터바이패스유로(RC1, RC2)의 유로면적)이 소정 값(예를 들면 최댓값)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밸브(174L, 174R)에서는, 스풀밸브의 스트로크위치에 따라 개구면적(센터바이패스유로(RC1, RC2)의 유로면적)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174L, 174R)는, 우측위치 혹은 좌측위치로 이동할수록, 즉, 중립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면적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제어밸브(174L, 174R)는, 제어밸브(170, 171A, 171B, 172A, 172B 및 173)와 동일하게, 스풀밸브의 스트로크위치에 관계없이, 2개의 센터바이패스포트의 개구면적이 소정 값(예를 들면 최댓값)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장치(26)는, 제어밸브(170) 등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장치(26)는, 파일럿펌프(15)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1차측의 압력)을 원압(元壓)으로 하여, 조작량(구체적으로는, 조작각도)에 따라 생성한 파일럿압을,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좌우 어느 하나의 파일럿포트에 작용시킨다.
제어밸브(170)는, 선회용 유압모터(21)에 유출입하는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170)는,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선회용 유압모터(21)에 공급한다.
제어밸브(171A, 171B)는, 암실린더(8)에 유출입하는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171A)는,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암실린더(8)에 공급한다. 제어밸브(171B)는,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암실린더(8)에 공급한다. 따라서, 암실린더(8)에는, 좌측메인펌프(14L) 및 우측메인펌프(14R)의 쌍방으로부터의 작동유가 동시에 유입할 수 있다.
제어밸브(172A)는, 붐실린더(7)에 유출입하는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172A)는,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붐실린더(7)에 공급한다. 제어밸브(172B)는, 조작장치(26)를 통하여 붐상승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붐실린더(7)의 보텀측유실에 유입시킨다. 또, 제어밸브(172B)는, 조작장치(26)를 통하여 붐하강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붐실린더(7)의 보텀측유실로부터 유출하는 작동유를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합류시킬 수 있다.
제어밸브(173)는, 버킷실린더(9)에 유출입하는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173)는,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버킷실린더(9)에 공급한다.
제어밸브(174L)는,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L)에 유출입하는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한다. 제어밸브(174R)는,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R)에 유출입하는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한다.
제어밸브(175)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2)에 있어서의 제어밸브(174R)의 상류측에 마련되며, 주행직진밸브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제어밸브(175)는,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L)에 공급하고 또한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R)에 공급하는 상태와,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L) 및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R)의 쌍방에 공급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175)는, 주행조작과 다른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이 동시에 행해지고 있는 경우,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바이패스유로(BP2)를 경유하여, 제어밸브(174L)의 하류측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유입시킨다. 또,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바이패스유로(BP1)를 경유하여, 제어밸브(174R)의 상류측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2)에 유입시킨다. 이로써,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만이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L) 및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R)의 쌍방에 공급되기 때문에, 하부주행체(1)의 직진성이 향상한다.
한편, 제어밸브(175)는, 주행조작만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그대로 하류측에 통과시킴과 함께,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바이패스유로(BP1) 및 바이패스유로(BP2)를 경유하여 제어밸브(174L)의 하류측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유입시킨다. 이로써,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가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L)에 공급되고, 또한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가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R)에 공급되기 때문에, 하부주행체(1)의 주파성이 향상한다.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있어서, 제어밸브(170, 172B 및 171A)는, 상류측(좌측메인펌프(14L)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탠덤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밸브(170, 172B 및 171A)의 각각에 대하여, 좌측메인펌프(14L)로부터의 작동유가 센터바이패스유로(RC1)를 통하여 패럴렐로 공급되는 구성이다. 즉,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제어밸브(170 및 172B)의 각각의 스트로크위치에 관계없이, 센터바이패스유로(RC1)를 통하여 최하류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71A)까지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170 및 172B)의 각각은, 스트로크위치에 관계없이, 센터바이패스유로(RC1)를 연통시키고 있다. 즉, 제어밸브(170 및 172B)의 각각은, 센터바이패스포트의 개구면적이 최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터바이패스유로(RC1)의 최하류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71A)에 있어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1)는 종단(終端)되어 있다. 즉, 제어밸브(171A)의 하류측에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1)를 통하여 작동유를 공급해야 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센터바이패스유로(RC1)는, 제어밸브(171A)의 하류측에서 플러그 등에 의하여 차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센터바이패스유로(RC1)는, 제어밸브(170, 172B)에 더하여, 제어밸브(171A)를 관통한다.
센터바이패스유로(RC2)에 있어서, 제어밸브(173, 172A 및 171B)는, 상류측(우측메인펌프(14R)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탠덤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밸브(173, 172A 및 171B)의 각각에 대하여, 우측메인펌프(14R)로부터의 작동유가 센터바이패스유로(RC2)를 통하여 패럴렐로 공급되는 구성이다. 즉,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제어밸브(173 및 172A)의 각각의 스트로크위치에 관계없이, 센터바이패스유로(RC2)를 통하여 최하류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71B)까지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173 및 172A)의 각각은, 스트로크위치에 관계없이, 센터바이패스유로(RC2)를 연통시키고 있다. 즉, 제어밸브(173 및 172A)의 각각은, 센터바이패스포트의 개구면적이 최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터바이패스유로(RC2)의 최하류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71B)에 있어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2)는 종단되어 있다. 즉, 제어밸브(171B)의 하류측에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2)를 통하여 작동유를 공급해야 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센터바이패스유로(RC2)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1)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어밸브(171B)의 하류측에서 플러그 등에 의하여 차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센터바이패스유로(RC2)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1)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어밸브(173, 172A)에 더하여, 제어밸브(171B)를 관통한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동작하고, 복수의 제어밸브의 블리드오프유량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제어밸브의 블리드오프유량의 통일적인 제어를 "통일 블리드오프제어"라고 칭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는, 상개형(노멀 오픈형)의 유압구동밸브이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및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를 포함한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는, 제어밸브(170, 172B 및 171A)의 블리드오프유량을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는, 제어밸브(174L)와 제어밸브(170)의 사이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1)로부터 분기하여 작동유탱크(T)에 연결되는 통일 블리드유로(BL1)에 배치되어 있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는,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작동유탱크(T)로의 배출량을 제어 가능한 2포트 2위치의 스풀밸브이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는, 그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이 소정 값 P1 이하인 경우에 제1 위치가 되고, 파일럿압이 소정 값 P1을 초과하여 증대함에 따라 제2 위치에 가까워지며, 파일럿압이 소정 값 P2(>P1) 이상인 경우에 제2 위치로 된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는,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개구면적(통일 블리드유로(BL1)의 유로면적)을 최대로 하고, 제2 위치에 가까워짐에 따라 그 개구면적을 저감시키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통일 블리드유로(BL1)를 차단한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는, 제어밸브(173, 172A 및 171B)의 블리드오프유량을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는, 제어밸브(174R)와 제어밸브(173)의 사이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2)로부터 분기하여 작동유탱크(T)에 연결되는 통일 블리드유로(BL2)에 배치되어 있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는,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작동유탱크(T)로의 배출량을 제어 가능한 2포트 2위치의 스풀밸브이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는, 그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이 소정 값 P1 이하인 경우에 제1 위치가 되고, 파일럿압이 소정 값 P1을 초과하여 증대함에 따라 제2 위치에 가까워지며, 파일럿압이 소정 값 P2(>P1) 이상인 경우에 제2 위치로 된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는,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개구면적(통일 블리드유로(BL2)의 유로면적)을 최대로 하고, 제2 위치에 가까워짐에 따라 그 개구면적을 저감시키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통일 블리드유로(BL2)를 차단한다.
컨트롤러(30)는, 조작레버 등을 포함하는 조작장치(26)의 조작량 및 조작방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29)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와 파일럿펌프(15)를 접속하는 유로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비례밸브(57)에 대하여 지령을 송신한다.
전자비례밸브(57)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비례밸브(57)는, 역비례형의 전자비례감압밸브이며, 전자비례밸브(57L) 및 전자비례밸브(57R)를 포함한다. 전자비례밸브(57L)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전류에 대응하는 파일럿압을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의 파일럿포트에 작용시킨다. 파일럿압은, 지령전류가 클수록 작아진다. 전자비례밸브(57R)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전류에 대응하는 파일럿압을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의 파일럿포트에 작용시킨다. 파일럿압은, 지령전류가 클수록 작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컨트롤러(30)는, 통일 블리드오프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스로틀(18)은, 레귤레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압인 네가티브컨트롤압을 발생시키는 스로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로틀(18)은, 통일 블리드유로(BL1)에 마련된 스로틀(18L)과, 통일 블리드유로(BL2)에 마련된 스로틀(18R)을 포함한다.
제어압센서(19)는, 제어압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며, 검출한 값을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한다. 제어압센서(19)는, 스로틀(18L)의 상류에서 생성되는 제어압을 검출하는 제어압센서(19L)와, 스로틀(18R)의 상류에서 생성되는 제어압을 검출하는 제어압센서(19R)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 2의 유압회로(HC)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을 조정 가능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컨트롤러(30)는, 제어밸브(170, 171A, 171B, 172A, 172B 및 173)의 각각이 블리드오프유량을 제어하는 구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로 블리드오프유량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어밸브(170, 171A, 171B, 172A, 172B 및 173)의 각각이 블리드오프유량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센터바이패스유로(RC1, RC2)에 있어서의 압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2의 유압회로(HC)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1, RC2)에 있어서의 최하류의 제어밸브(171A, 171B)보다 상류측에 있는 분기점으로부터 분기하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가, 센터바이패스유로(RC1, RC2)에 있어서의 최하류의 제어밸브(171A, 171B)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통일 블리드오프제어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제어밸브(170, 171A, 171B, 172A, 172B 및 173)에 있어서의 잔압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통일 블리드오프제어에 의하여 유압회로(HC) 내의 작동유의 압력(메인펌프(14)의 토출압)을 즉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단, 본 발명은, 센터바이패스유로(RC1, RC2)에 있어서의 최하류의 제어밸브(171A, 171B)보다 하류측에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가 배치되는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가 최하류의 제어밸브(171A, 171B)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의 하류에 제어압센서(19L, 19R)와 스로틀(18L, 18R)이 배치된다.
또, 통일 블리드유로(BL1)는, 제어밸브(174L)와 제어밸브(170)의 사이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1)로부터 분기하여 작동유탱크(T)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통일 블리드유로(BL2)는, 제어밸브(174R)와 제어밸브(173)의 사이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2)로부터 분기하여 작동유탱크(T)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분기점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어밸브의 영향이 억제되고, 분기점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어밸브에 관한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성 및 응답성이 향상한다. 즉, 하부주행체(1)를 구동하는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L) 및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R)의 조작성 및 응답성이 향상한다.
통일 블리드유로(BL1)는, 제어밸브(170)와 제어밸브(172B)의 사이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1)로부터 분기하여 작동유탱크(T)에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분기점의 상류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70)는, 분기점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72B 및 171A)의 영향(예를 들면, 잔압 등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선회단독조작 시에 있어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를 이용한 통일 블리드오프제어를 행함으로써, 유압회로(HC) 내의 작동유의 압력을 신속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상부선회체(3)의 선회동작을 신속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는, 조작장치(26)의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압력센서(29)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선회단독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하면, 전자비례밸브(57L)에 지령전류를 공급하고,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에 의한 통일 블리드오프제어를 실행한다. 그 결과,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선회용 유압모터(21)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다만, 통일 블리드유로(BL1)는, 제어밸브(172B)와 제어밸브(171A)의 사이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1)로부터 분기하여 작동유탱크(T)에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통일 블리드유로(BL2)는, 제어밸브(173)와 제어밸브(172A)의 사이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1)로부터 분기하여 작동유탱크(T)에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분기점의 상류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73)는, 분기점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72A 및 171B)의 영향(예를 들면, 잔압 등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아이들링상태로부터의 버킷단독조작 시에 있어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를 이용한 통일 블리드오프제어를 행함으로써, 유압회로(HC) 내의 작동유의 압력을 신속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버킷(6)의 동작을 신속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는, 조작장치(26)의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압력센서(29)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버킷(6)의 단독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하면, 전자비례밸브(57R)에 지령전류를 공급하고,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R)에 의한 통일 블리드오프제어를 실행한다. 그 결과, 우측메인펌프(14R)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버킷실린더(9)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버킷(6)(스켈리턴버킷)에 의한 미세한 토사를 흔들어 떨어뜨리는 동작, 및 버킷(6)에 붙은 토사를 흔들어 떨어뜨리는 동작 등에서는, 버킷(6)의 신속한 동작이 요구된다. 이 구성은, 그와 같은 신속한 동작이 요구되는 장면에서의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성 및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통일 블리드유로(BL2)는, 제어밸브(172A)와 제어밸브(171B)의 사이에서 센터바이패스유로(RC2)로부터 분기하여 작동유탱크(T)에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는, 예를 들면 우선하여 동작시키고 싶은 유압액추에이터(예를 들면, 선회용 유압모터(21) 또는 버킷실린더(9))에 대응하는 제어밸브와, 그 제어밸브의 하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어밸브의 사이로부터 분기하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우선하여 동작시키고 싶은 유압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대한, 다른 유압액추에이터에 관한 제어밸브의 영향이 억제되어, 우선하여 동작시키고 싶은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성 및 응답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다만, 우선하여 동작시키고 싶은 유압액추에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예비어태치먼트(예를 들면, 파쇄기 또는 브레이커 등)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액추에이터여도 된다.
릴리프밸브(58)는, 일차측에 있는 작동유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밸브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릴리프밸브(58)는, 릴리프밸브(58L) 및 릴리프밸브(58R)를 포함한다. 릴리프밸브(58L)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압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개방되어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있어서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에 배출한다. 릴리프밸브(58R)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압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개방되어 센터바이패스유로(RC2)에 있어서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에 배출한다.
게이트로크레버(D1)는, 조작장치(26)의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를 전환한다. 조작장치(26)의 유효상태는, 조작자가 조작장치(26)를 조작하면 대응하는 유압액추에이터가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조작장치(26)의 무효상태는, 조작자가 조작장치(26)를 조작해도 대응하는 유압액추에이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로크레버(D1)는, 운전석의 좌측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는, 게이트로크레버(D1)를 당겨 올려 로크해제상태로 함으로써 조작장치(26)를 유효상태로 한다. 또, 게이트로크레버(D1)를 눌러 내려 로크상태로 함으로써 조작장치(26)를 무효상태로 한다.
게이트로크밸브(59)는, 게이트로크레버(D1)와 연동하는 전자전환밸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로크밸브(59)는, 쇼벨의 시동회로로서의 엔진시동회로(70)로부터의 전압신호에 따라,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 및 유로(CD2)와의 연통·차단을 전환한다. 유로(CD1)는, 파일럿펌프(15)와 조작장치(26)를 접속하는 유로이다. 유로(CD2)는, 파일럿펌프(15)와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접속하는 유로이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로크밸브(59)는, 전압이 인가되면,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 및 유로(CD2)와의 사이를 연통시키고,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 및 유로(CD2)와의 사이의 연통을 차단한다.
엔진시동회로(70)는, 엔진(11)을 시동시키기 위한 전기회로이다. 도 3은, 엔진시동회로(7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시동회로(70)는, 주로, 키스위치(71), 게이트로크스위치(72), 스타터 릴레이(73), 스타터모터(74), 세이프티 릴레이(75), 스타터컷 릴레이(76) 및 배터리 릴레이(77)를 포함한다.
키스위치(71)는, 엔진(11)을 시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스위치(71)는, 캐빈(10) 내에 설치된 키실린더에 조립되어 있는 스위치이며, 키실린더에 삽입된 엔진키의 회전위치에 따라 스위치 위치가 OFF위치, ACC위치, ON위치 및 ST위치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키스위치(71)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또는 스마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등의 전자키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스위치여도 된다. 이 경우, 스위치 위치의 전환은, 휴대키를 통한 조작자의 원격조작 등에 따라 동작하는 전동모터에 의하여 행해져도 된다. 또, 전자키 시스템이 탑재되는 경우, 쇼벨(100)은, 조작자를 인증해도 된다.
도 3은, 키스위치(71)가 OFF위치일 때의 엔진시동회로(70)의 상태를 나타낸다. 일점쇄선으로 그려진 직사각형 프레임은, 키스위치(71)의 현재의 스위치 위치를 나타낸다. OFF위치에서는, B단자는 다른 어느 단자에도 접속되지 않는다. ACC위치에서는, B단자가 ACC단자에 접속되고, 제1 배터리라인(EL1)이 액세서리라인(도시생략)에 접속된다. ON위치에서는, B단자가 ACC단자 및 M단자에 접속되고, 제1 배터리라인(EL1)이 액세서리라인 및 배터리 릴레이라인(EL2)에 접속된다. ST위치에서는, B단자가 M단자 및 ST단자에 접속되고, 제1 배터리라인(EL1)이 배터리 릴레이라인(EL2) 및 스타터컷 릴레이라인(EL3)에 접속된다.
게이트로크스위치(72)는, 게이트로크레버(D1)의 수동조작에 따라, 게이트로크밸브(59)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상태와 게이트로크밸브(59)에 전압을 인가할 수 없는 상태가 전환된다. 게이트로크스위치(72)는, 예를 들면 게이트로크레버(D1)가 당겨 올려져 로크해제상태가 되면 도통(道通)상태로 되어, 게이트로크밸브(59)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게이트로크스위치(72)는, 게이트로크레버(D1)가 눌러 내려져 로크상태가 되면 차단상태로 되어, 게이트로크밸브(59)에 전압을 인가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스타터 릴레이(73)는, 제2 배터리라인(EL4)과 스타터모터(74)의 연통·차단을 전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타터 릴레이(73)는, 엔진(11)이 정지하고 있을 때이고, 또한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차단상태에 있을 때에,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면, 도통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타터모터(74)는, 엔진시동 시에 엔진(11)의 회전축을 회전(크랭킹)시키는 전동모터이다.
세이프티 릴레이(75)는, 제2 배터리라인(EL4)과 스타터 릴레이(73)의 연통·차단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이프티 릴레이(75)는, 엔진(11)이 정지하고 있을 때이고, 또한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차단상태에 있을 때에,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면, 도통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세이프티 릴레이(75)는, 엔진시동후에는, 차단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타터컷 릴레이(76)는, 스타터컷 릴레이라인(EL3)과 세이프티 릴레이(75)의 연통·차단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타터컷 릴레이(76)는, 엔진(11)이 정지하고 있을 때이고, 또한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차단상태에 있을 때에,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면, 스타터컷 릴레이라인(EL3)과 세이프티 릴레이(75)가 도통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타터컷 릴레이(76)는, 키스위치(71)가 ON위치 또는 ST위치에 있어도,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도통상태에 있을 때에는, 스타터컷 릴레이라인(EL3)과 세이프티 릴레이(75)가 차단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타터모터(74)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터리 릴레이(77)는, 제1 배터리라인(EL1)과 제2 배터리라인(EL4)의 연통·차단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 릴레이(77)는, 키스위치(71)가 ON위치 또는 ST위치에 있을 때에 도통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스위치(71)가 OFF위치에 있는 경우, 즉 엔진(11)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 상개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는, 개구면적(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이 최대로 되는 제1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유로(CD1, CD2)에는 파일럿펌프(15)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로(CD1, CD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인 파일럿압은 낮은 상태이다.
이 때,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고, 스타터모터(74)에 의하여 엔진(11)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메인펌프(14)의 회전축은, 엔진(11)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메인펌프(1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를 토출한다.
도 4는,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의 엔진시동회로(70)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실선화살표는 전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화살표는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도 7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면, 제1 배터리라인(EL1)이 배터리 릴레이라인(EL2) 및 스타터컷 릴레이라인(EL3)에 접속된다. 제1 배터리라인(EL1)과 배터리 릴레이라인(EL2)이 접속되면, 배터리(BT)로부터 배터리 릴레이(77)에 전류가 흐르고, 배터리 릴레이(77)는, 도통상태로 되어, 제1 배터리라인(EL1)과 제2 배터리라인(EL4)을 연통시킨다. 한편, 제1 배터리라인(EL1)과 스타터컷 릴레이라인(EL3)이 접속되면, 배터리(BT)로부터 스타터컷 릴레이(76)를 경유하여 세이프티 릴레이(75)에 전류가 흐르고, 세이프티 릴레이(75)는, 도통상태로 되어, 제2 배터리라인(EL4)과 스타터 릴레이(73)를 연통시킨다. 세이프티 릴레이(75)를 거쳐 제2 배터리라인(EL4)과 스타터 릴레이(73)가 연통하면, 스타터 릴레이(73)는, 도통상태로 되어, 제2 배터리라인(EL4)과 스타터모터(74)를 연통시킨다. 제2 배터리라인(EL4)과 스타터모터(74)가 연통하면, 스타터모터(74)는, 엔진(11)의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이 때, 상개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이 최대로 되는 제1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엔진(11)의 회전에 따라 메인펌프(14)가 회전했다고 해도,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작동유탱크(T)에 배출된다. 따라서, 메인펌프(14)의 토출압이 과도하게 증대하는 일은 없고, 엔진부하가 과도하게 증대하는 일도 없다. 그 결과, 스타터모터(74)는, 엔진(11)의 회전축을 소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시켜 엔진(11)을 시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쇼벨(100)은, 엔진(11)을 확실하게 시동시킬 수 있다. 엔진시동 시에 있어서의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이 소정 값 이상으로 되도록, 그 유로면적이 기본적으로 최대인 채 유지되기 때문에, 즉,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에 배출하기 위한 유로가 확보되기 때문이다. 단, 유로면적은, 반드시 최대인 채 유지될 필요는 없고, 엔진(11)을 시동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가 있으면 충분하다.
단, 엔진시동회로(70)는,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도통상태에 있는 경우, 즉, 게이트로크레버(D1)가 당겨 올려져 로크해제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었다고 해도, 엔진(11)을 시동시키는 일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도통상태가 되면, 제2 배터리라인(EL4)이 스타터컷 릴레이(76)에 접속된다. 제2 배터리라인(EL4)이 스타터컷 릴레이(76)에 접속되면, 배터리(BT)로부터 배터리 릴레이(77) 및 게이트로크스위치(72)를 거쳐 스타터컷 릴레이(76)에 전류가 흐르고, 스타터컷 릴레이(76)는, 스타터컷 릴레이라인(EL3)과 세이프티 릴레이(75)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 결과, 세이프티 릴레이(75)가 차단상태로 되고, 스타터 릴레이(73)도 차단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었다고 해도, 스타터모터(74)는 회전하지 않으며, 엔진(11)을 시동시키는 일도 없다. 엔진시동 시에, 조작장치(26)가 의도치 않게 조작되어 버렸을 때의 유압액추에이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엔진(11)이 시동한 후에 키스위치(71)가 ON위치로 전환되면, 스타터컷 릴레이라인(EL3)이 제1 배터리라인(EL1)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세이프티 릴레이(75)가 차단상태로 되고, 스타터 릴레이(73)도 차단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스타터모터(74)는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차단상태에 있는 경우, 즉, 게이트로크레버(D1)가 눌러 내려져 비작업상태인 로크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쇼벨(100)이 비작업상태인 경우)에는, 게이트로크밸브(59)는, 제2 배터리라인(EL4)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게이트로크밸브(59)는 동작하지 않으며,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 및 유로(CD2)를 연통시키는 일은 없다. 그 결과,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전자비례밸브(57)에 도달하는 일은 없고,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을 증대시키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이 최대로 되는 제1 위치로 설정된 채로 되며,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작동유탱크(T)에 배출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장치(26)는 무효상태로 되어 있다. 즉,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조작장치(26)에 도달하는 일은 없고, 조작장치(26)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제어밸브(170 등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을 증대시키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작업상태인 도통상태로 전환되면(예를 들면 쇼벨(100)이 작업상태가 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배터리라인(EL4)과 게이트로크밸브(59)가 접속된다. 제2 배터리라인(EL4)과 게이트로크밸브(59)가 접속되면, 배터리(BT)로부터 배터리 릴레이(77) 및 게이트로크스위치(72)를 거쳐 게이트로크밸브(59)에 전류가 흐른다. 그 결과, 게이트로크밸브(59)는,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 및 유로(CD2)를 연통시킨다.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2)가 연통하면, 전자비례밸브(57)는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에 의하여 개방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전자비례밸브(57)를 통하여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엔진시동회로(70)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개구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센터바이패스유로(RC1, RC2) 내의 작동유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장치(26)가 조작되면, 엔진시동회로(70)는, 유로(CD1)의 파일럿압을 조작장치(26)에 대응한 제어밸브에 작용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조작장치(26)의 조작에 따른 지령전류를 전자비례밸브(57)에 공급하고,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을 조정하여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컨트롤러(30)는, 조작장치(26)의 조작에 따른 블리드오프유량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조작장치(26)에 대응한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상황 등에 대응시켜 적절히 구동시킬 수 있다.
유압회로(HC)는, 키스위치(71)의 스위치 위치(ON위치 및 OFF위치를 포함함)의 전환과 게이트로크스위치(72)의 상태(도통상태 및 차단상태를 포함함), 즉 게이트로크레버(D1)의 상태(로크상태 및 로크해제상태를 포함함)의 전환에 대응시켜, 컨트롤러(30)를 통하는 일 없이,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개구를 유압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또, 유압회로(HC)는, 그 후의 조작장치(26)의 조작에 수반되는 제어밸브에 대한 제어도, 컨트롤러(30)를 통하는 일 없이 유압적으로 실현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30)의 고장 또는 전자비례밸브(57)의 고장 등에 의하여, 전자비례밸브(57)가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여도, 유압회로(HC)는, 조작장치(26)의 조작에 따라 유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비례형의 전자비례밸브(57)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전류를 받고 있지 않은 경우, 개구면적(유로(CD2)의 유로면적)이 최대로 되는 제1 위치인 채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30)로부터 전자비례밸브(57)로의 지령전류가 소실하면,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은 증대하고,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를 차단하는 제2 위치로 설정된다.
이 경우,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흐를 수 없기 때문에, 토출압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토출압이 소정의 릴리프압에 도달하면,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릴리프밸브(58)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흐른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버킷조작레버가 접힘방향으로 조작되면, 소정의 릴리프압을 갖는 작동유가 제어밸브(173)를 통하여 버킷실린더(9)의 보텀측유실에 유입하여, 버킷(6)이 접힌다.
이 구성에 의하여,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포함하는 유압회로(HC)를 탑재하는 쇼벨(100)은, 전자비례밸브(57)가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여도, 조작장치(26)의 조작에 따라 유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개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와는 다른 상폐형(常閉型)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탑재하는 쇼벨은,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개방할 수 없게 되어 버린 경우, 엔진을 시동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엔진시동 시에 메인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에 배출할 수 없어, 토출압의 증대를 일으켜 버리기 때문이다. 즉, 엔진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스타터모터가 발생시키는 토크를 상회하는 토크가 필요해져 버리기 때문이다.
혹은, 상개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탑재하는 쇼벨은,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폐쇄할 수 없게 되어 버린 경우, 엔진을 시동시킬 수는 있지만, 유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작장치(26)가 조작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인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전부가 그 상개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통하여 작동유탱크에 배출되어 버려, 대응하는 유압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술한 문제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에 탑재되어 있는 유압회로(HC)는, 엔진(11)의 시동 시에 메인펌프(14)의 토출압이 소정압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30)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여도, 엔진(11)을 시동시킬 수 있다.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30)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30)의 고장의 경우, 또는 전자비례밸브(57)의 고장의 경우 등이다.
예를 들면,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는, 엔진(11)의 시동 시에,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이 소정 값 이상으로 되도록 유압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30)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여도, 유압적으로는 동작하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통하여, 엔진(11)의 시동 시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에 배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엔진(11)의 시동 시에 유압회로(HC) 내의 작동유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대하여 엔진(11)의 회전부하가 과도하게 증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타터모터(74)에 의하여 엔진(11)을 확실하게 시동시킬 수 있다.
또, 쇼벨(100)은,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26)와, 조작장치(26)의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를 전환하는 게이트로크레버(D1)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는, 게이트로크레버(D1)에 의하여 유효상태가 창출되면,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이 소정 값 미만으로 되도록 유압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30)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여도, 엔진(11)을 시동시킬 수 있고, 또한 엔진(11)을 시동시킨 후에 유압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30)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 빠졌다고 해도, 쇼벨(100)의 조작자는, 쇼벨(100)을 소망하는 자세로 할 수 있고, 또한 쇼벨(100)을 소망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쇼벨(100)은, 파일럿펌프(15)와 상개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사이에, 역비례형의 전자비례밸브(57)와, 컨트롤러(30)를 통하지 않고 게이트로크레버(D1)의 수동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게이트로크밸브(59)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즉, 상개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는, 역비례형의 전자비례밸브(57)가 배치된 유로(CD2)를 통하여 파일럿펌프(15)에 접속되고, 또한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한 파일럿압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자비례밸브(57)와 파일럿펌프(15)의 사이에는, 게이트로크레버(D1)와 연동하는 전자전환밸브로서의 게이트로크밸브(59)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30)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여도, 엔진(11)을 시동시킬 수 있고, 또한 엔진(11)을 시동시킨 후에 유압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는, 엔진(11)의 시동 시에,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이 소정 값 이상으로 되도록 유압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게이트로크밸브(59)는, 컨트롤러(30)가 정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엔진시동후에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도통상태로 되었을 때에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 및 유로(CD2)의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유압회로(HC)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유압회로(HC)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 대신에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의 유압회로(HC)와 다르지만, 그 외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 때문에, 공통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는, 상개형(노멀 오픈형)의 유압구동밸브이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L) 및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R)를 포함한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L)는, 좌측메인펌프(14L)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작동유탱크(T)로의 배출량(블리드오프유량)을 제어 가능한 2포트 3위치의 스풀밸브이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L)는,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이 소정 값 P1 이하인 경우에 제1 위치가 되고, 파일럿압이 소정 값 P1을 초과하여 증대함에 따라 제2 위치에 가까워지며, 파일럿압이 소정 값 P2(>P1)인 경우에 제2 위치로 되고, 파일럿압이 소정 값 P3(>P2)인 경우에 제3 위치로 된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L)는,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개구면적(통일 블리드유로(BL1)의 유로면적)을 최대로 하고, 제2 위치에 가까워짐에 따라 그 개구면적을 저감시키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통일 블리드유로(BL1)를 차단한다. 또, 제3 위치에 있는 경우에 개구면적(통일 블리드유로(BL1)의 유로면적)을 소정 값으로 한다. 이 소정 값은, 제1 위치일 때의 개구면적보다 작은 값이다. 엔진(11)이 작동하고 있는 경우, 즉, 메인펌프(14)가 작동유를 토출하고 있는 경우이고, 또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L)가 제3 위치에 있는 경우, 유압회로(HC) 내의 작동유의 압력(메인펌프(14)의 토출압)은, 소정의 압력(블리드압)으로 유지된다. 소정의 압력(블리드압)은, 유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압력이며, 릴리프밸브(58)의 릴리프압보다 작다.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R)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어떠한 이유로 전자비례밸브(57)가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여도, 유압회로(HC)는, 조작장치(26)의 조작에 따라 유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역비례형의 전자비례밸브(57)는, 개구면적(유로(CD2)의 유로면적)이 최대로 되는 제1 위치인 채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이 증대하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위치로 설정된다.
이 경우,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소정의 블리드압을 발생시키면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흐른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버킷조작레버가 접힘방향으로 조작되면, 소정의 블리드압을 갖는 작동유가 제어밸브(173)를 통하여 버킷실린더(9)의 보텀측유실로 유입하고, 버킷(6)이 접힌다.
이 구성에 의하여,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A)를 포함하는 유압회로(HC)를 탑재하는 쇼벨(100)의 조작자는, 전자비례밸브(57)가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여도, 엔진(11)을 시동시킬 수 있고, 또한 엔진(11)을 시동시킨 후에 유압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유압회로의 또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유압회로는, 릴리프밸브(58) 대신에 가변릴리프밸브(58A)를 포함하는 점, 및 상개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 대신에 상폐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포함하는 점, 및 역비례형의 전자비례밸브(57) 대신에 비례형의 전자비례밸브(57)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의 유압회로와 다르지만, 그 외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 때문에, 공통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변릴리프밸브(58A)는, 일차측에 있는 작동유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밸브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개방된다. 도 7의 예에서는, 가변릴리프밸브(58A)는, 가변릴리프밸브(58AL) 및 가변릴리프밸브(58AR)를 포함한다. 가변릴리프밸브(58AL)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압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개방하여 센터바이패스유로(RC1)에 있어서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배출한다. 가변릴리프밸브(58AR)는, 센터바이패스유로(RC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압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개방하여 센터바이패스유로(RC2)에 있어서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배출한다.
가변릴리프밸브(58A)는, 게이트로크밸브(59)와 동일하게, 키스위치(71)가 ST위치에 있고, 또한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차단상태에 있을 때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변릴리프밸브(58A)는, 키스위치(71)가 ON위치에 있고, 또한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도통상태에 있을 때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변릴리프밸브(58A)는, 전압이 인가되고 있지 않을 때에 릴리프압이 소정의 하한값으로 되고, 전압이 인가되고 있을 때 릴리프압이 소정의 상한값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비작업상태인 차단상태에 있을 때(예를 들면 쇼벨(100)이 비작업상태일 때)에 키스위치(71)가 ST위치로 전환되면, 스타터모터(74)는, 엔진(11)의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이 때, 상폐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를 차단하는 폐쇄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즉,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L, 56R)는, 비작업상태일 때에,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이 소정 값 미만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엔진(11)의 회전에 따라 메인펌프(14)가 회전한 경우,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를 통과할 수 없다. 한편, 가변릴리프밸브(58A)는, 전압이 인가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릴리프압이 소정의 하한값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토출압이 소정의 릴리프압(하한값)에 도달하면, 가변릴리프밸브(58A)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배출된다. 따라서, 메인펌프(14)의 토출압이 과도하게 증대하는 일은 없고, 엔진 부하가 과도하게 증대하는 일도 없다. 그 결과, 스타터모터(74)는, 엔진(11)의 회전축을 소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시켜 엔진(11)을 시동시킬 수 있다.
엔진(11)이 시동한 후에 키스위치(71)가 ON위치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게이트로크스위치(72)가 도통상태로 전환되면, 배터리(BT)로부터 게이트로크밸브(59) 및 가변릴리프밸브(58A)로 전류가 흐른다. 그 결과, 게이트로크밸브(59)는,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1) 및 유로(CD2)를 연통시킨다. 파일럿펌프(15)와 유로(CD2)가 연통하면,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전자비례밸브(57)를 통하여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을 증대시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동작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조작장치(26)의 조작에 따른 지령전류를 전자비례밸브(57)에 공급하고,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을 조정하여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의 유로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가변릴리프밸브(58A)는,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릴리프압이 소정의 상한값으로 된다. 그 결과,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가변릴리프밸브(58A)가 아니라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통과하여, 조작장치(26)의 조작에 따른 블리드오프유량을 실현시키면서, 작동유탱크(T)로 배출된다.
또, 도 7의 예에서는, 컨트롤러(30)의 고장 또는 전자비례밸브(57)의 고장 등에 의하여, 전자비례밸브(57)가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여도, 유압회로(HC)는, 조작장치(26)의 조작에 따라 유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비례형의 전자비례밸브(57)는, 유로(CD2)를 차단하는 폐쇄위치인 채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의 파일럿포트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이 증대하지 않고, 상폐형의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는, 통일 블리드유로(BL1, BL2)를 차단하는 폐쇄위치로 설정된다.
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흐를 수 없기 때문에, 토출압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토출압이 소정의 릴리프압(상한값)에 도달하면, 가변릴리프밸브(58A)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흐른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버킷조작레버가 접힘방향으로 조작되면, 소정의 릴리프압(상한값)을 갖는 작동유가 제어밸브(173)를 통하여 버킷실린더(9)의 보텀측유실에 유입하여, 버킷(6)이 접힌다.
이 구성에 의하여, 도 7의 유압회로(HC)를 탑재하는 쇼벨(100)의 조작자는, 전자비례밸브(57)가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여도, 유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쇼벨(100)은, 유압회로(HC)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압 이상으로 된 경우에 개방되는 가변릴리프밸브(58A)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가변릴리프밸브(58A)는, 엔진(11)의 시동 시에, 릴리프압이 소정의 하한값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소정의 하한값은, 엔진(11)이 작동하고 있을 때의 가변릴리프밸브(58A)의 릴리프압보다 작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30)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여도, 가변릴리프밸브(58A)를 통하여, 엔진(11)의 시동 시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배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쇼벨(100)은, 엔진(11)의 시동 시에 유압회로(HC) 내의 작동유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대하여 엔진(11)의 회전부하가 과도하게 증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쇼벨(100)은, 스타터모터(74)에 의하여 엔진(11)을 확실하게 시동시킬 수 있다.
또, 쇼벨(100)은,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26)와, 조작장치(26)의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를 전환하는 게이트로크레버(D1)와, 게이트로크레버(D1)의 상태에 따라 릴리프압이 변화하도록 구성된 가변릴리프밸브(58A)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가변릴리프밸브(58A)는, 게이트로크레버(D1)에 의하여 유효상태가 창출되면, 릴리프압이 소정의 상한값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어떠한 이유로 컨트롤러(30)를 통한 전기적인 제어에서는 통일 블리드오프밸브(56)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여도, 엔진(11)을 시동시킬 수 있고, 또한 엔진(11)을 시동시킨 후에 유압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쇼벨의 시동회로는, 컨트롤러(30)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만, 컨트롤러(3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자비례밸브(57)는,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에 의하여 폐쇄상태가 유지되고, 조작장치(26)의 조작에 연동하여 폐쇄/개방이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쇼벨의 시동회로는, 조작장치(26)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쇼벨의 비작업상태와 작업상태를 전환해도 된다. 또한, 운전실로서의 캐빈(10) 내에 마련된, 조작자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촬상화상에 근거하여, 쇼벨이 비작업상태인지 작업상태인지가 판단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이 적용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의 각각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되어도 된다.
본원은, 2017년 12월 7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7-235185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한다.
1···하부주행체
1L···좌측주행용 유압모터
1R···우측주행용 유압모터
2···선회기구
3···상부선회체
4···붐
5···암
6···버킷
7···붐실린더
8···암실린더
9···버킷실린더
10···캐빈
11···엔진
13···변속기
14···메인펌프
15···파일럿펌프
17···컨트롤밸브
18, 18L, 18R···스로틀
19, 19L, 19R···제어압센서
21···선회용 유압모터
26···조작장치
29···압력센서
30···컨트롤러
50, 51A, 51B, 52A, 52B, 53···가변로드체크밸브
56, 56L, 56R, 56A, 56AL, 56AR···통일 블리드오프밸브
57, 57L, 57R···전자비례밸브
58, 58L, 58R···릴리프밸브
58A···가변릴리프밸브
59···게이트로크밸브
62B, 62C···전환밸브
70···엔진시동회로
71···키스위치
72···게이트로크스위치
73···스타터 릴레이
74···스타터모터
75···세이프티 릴레이
76···스타터컷 릴레이
77···배터리 릴레이
100···쇼벨
170, 171A, 171B, 172A, 172B, 173, 174L, 174R, 175···제어밸브
BL1, BL2···통일 블리드유로
BP1, BP2···바이패스유로
BT···배터리
CD1, CD2···유로
D1···게이트로크레버
EL1···제1 배터리라인
EL2···배터리 릴레이라인
EL3···스타터컷 릴레이라인
EL4···제2 배터리라인
HC···유압회로
RC1, RC2···센터바이패스유로
T···작동유탱크
1L···좌측주행용 유압모터
1R···우측주행용 유압모터
2···선회기구
3···상부선회체
4···붐
5···암
6···버킷
7···붐실린더
8···암실린더
9···버킷실린더
10···캐빈
11···엔진
13···변속기
14···메인펌프
15···파일럿펌프
17···컨트롤밸브
18, 18L, 18R···스로틀
19, 19L, 19R···제어압센서
21···선회용 유압모터
26···조작장치
29···압력센서
30···컨트롤러
50, 51A, 51B, 52A, 52B, 53···가변로드체크밸브
56, 56L, 56R, 56A, 56AL, 56AR···통일 블리드오프밸브
57, 57L, 57R···전자비례밸브
58, 58L, 58R···릴리프밸브
58A···가변릴리프밸브
59···게이트로크밸브
62B, 62C···전환밸브
70···엔진시동회로
71···키스위치
72···게이트로크스위치
73···스타터 릴레이
74···스타터모터
75···세이프티 릴레이
76···스타터컷 릴레이
77···배터리 릴레이
100···쇼벨
170, 171A, 171B, 172A, 172B, 173, 174L, 174R, 175···제어밸브
BL1, BL2···통일 블리드유로
BP1, BP2···바이패스유로
BT···배터리
CD1, CD2···유로
D1···게이트로크레버
EL1···제1 배터리라인
EL2···배터리 릴레이라인
EL3···스타터컷 릴레이라인
EL4···제2 배터리라인
HC···유압회로
RC1, RC2···센터바이패스유로
T···작동유탱크
Claims (9)
-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유압펌프 및 작동유탱크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하여 구동되는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와,
상기 유압펌프에 접속되는 유압회로를 갖고,
상기 유압회로는, 상기 유압펌프와 복수의 상기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과의 사이의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제어밸브와, 복수의 상기 제어밸브의 블리드오프유량을 통합 제어 가능한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를 가지며,
상기 유압회로는,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 상기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소정압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는,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 통일 블리드유로의 유로면적을 소정 값 이상으로 하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는, 비작업상태일 때에, 통일 블리드유로의 유로면적을 소정 값 미만으로 하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의 개구면적은,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의 조작량에 따라 변화하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회로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압 이상으로 된 경우에 개방되는 가변릴리프밸브를 갖고,
상기 가변릴리프밸브는,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 상기 릴리프압이 소정의 하한값으로 되는, 쇼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와,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의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를 전환하는 게이트로크레버를 갖고,
상기 가변릴리프밸브는, 상기 게이트로크레버에 의하여 유효상태가 창출되면, 상기 릴리프압이 소정의 상한값으로 되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와,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의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를 전환하는 게이트로크레버를 갖고,
상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는, 상기 게이트로크레버에 의하여 유효상태가 창출되면, 통일 블리드유로의 유로면적을 소정 값 미만으로 하는, 쇼벨. - 제7항에 있어서,
상개형의 상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의 파일럿포트는, 역비례형의 전자비례밸브가 배치된 유로를 통하여 파일럿펌프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파일럿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한 파일럿압을 받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비례밸브와 상기 파일럿펌프의 사이에는, 상기 게이트로크레버와 연동하는 전자전환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의 조작량에 근거하여 상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는 별도로,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 상기 통일 블리드오프밸브의 개구를 제어하는 시동회로를 구비하는 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35185 | 2017-12-07 | ||
JPJP-P-2017-235185 | 2017-12-07 | ||
PCT/JP2018/045191 WO2019112063A1 (ja) | 2017-12-07 | 2018-12-07 | ショベ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0800A true KR20200090800A (ko) | 2020-07-29 |
KR102559751B1 KR102559751B1 (ko) | 2023-07-25 |
Family
ID=6675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6332A KR102559751B1 (ko) | 2017-12-07 | 2018-12-07 | 쇼벨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236490B2 (ko) |
EP (1) | EP3722618A4 (ko) |
JP (1) | JP7289794B2 (ko) |
KR (1) | KR102559751B1 (ko) |
CN (1) | CN111433465B (ko) |
WO (1) | WO201911206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2302A (ko) | 2023-02-03 | 2024-08-12 | 주식회사 도터 | 단백질막 선형정렬 및 자외선 가교 가공 장치와 그에 따라 제조된 단백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34024B2 (ja) * | 2018-08-29 | 2022-09-09 | 日立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 |
KR20220037409A (ko) * | 2019-07-29 | 2022-03-24 |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 쇼벨 |
IT202100011213A1 (it) * | 2021-05-03 | 2022-11-03 | Cnh Ind Italia Spa | Sistema e metodo migliorato per controllare un movimento alternato di una benna di un veicolo di lavoro |
CN113417903A (zh) * | 2021-07-28 | 2021-09-21 | 安百拓(南京)建筑矿山设备有限公司 | 一种动力系统和行走动力站 |
CN114319475B (zh) * | 2021-12-31 | 2023-05-23 |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 一种动臂控制阀结构及挖机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359A (ja) | 1996-06-28 | 1998-01-20 | Yutani Heavy Ind Ltd | 建設機械の制御回路 |
KR20110079877A (ko) * | 2008-10-31 | 2011-07-11 |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 건설 기계의 유압 구동 장치 |
JP2014227949A (ja) * | 2013-05-23 | 2014-12-08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エンジン始動装置 |
KR20150054960A (ko) * | 2012-10-18 | 2015-05-20 |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 작업 기계 |
US9725884B2 (en) * | 2012-07-02 | 2017-08-08 | Sumitomo(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 device for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07009A (ja) * | 1996-09-27 | 1998-04-24 | Nec Corp | ドライエッチング装置 |
JPH1181384A (ja) | 1997-09-01 | 1999-03-26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建設機械 |
US6202411B1 (en) * | 1998-07-31 | 2001-03-20 | Kobe Steel, Ltd. | Flow rate control device in a hydraulic excavator |
US6892535B2 (en) * | 2002-06-14 | 2005-05-17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 Hydraulic circuit for boom cylinder combination having float function |
JP4344712B2 (ja) | 2005-03-22 | 2009-10-14 | 日立建機株式会社 | 油圧駆動装置 |
CN102985704B (zh) * | 2010-06-30 | 2015-09-09 | 沃尔沃建造设备有限公司 | 用于施工机械液压泵的控制装置 |
JP2013091953A (ja) | 2011-10-25 | 2013-05-16 | Nobuyuki Sugimura | 建設機械のエンジン始動補助機構 |
JP5622243B2 (ja) | 2011-12-16 | 2014-11-12 | キャタピラー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 流体圧制御回路および作業機械 |
JP6004900B2 (ja) * | 2012-11-07 | 2016-10-12 | Kyb株式会社 | パワーショベルの流体圧制御装置 |
CN104769193B (zh) * | 2012-11-09 | 2017-12-19 |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 挖土机 |
-
2018
- 2018-12-07 EP EP18885937.5A patent/EP3722618A4/en active Pending
- 2018-12-07 CN CN201880078894.2A patent/CN111433465B/zh active Active
- 2018-12-07 KR KR1020207016332A patent/KR1025597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07 JP JP2019558310A patent/JP7289794B2/ja active Active
- 2018-12-07 WO PCT/JP2018/045191 patent/WO2019112063A1/ja unknown
-
2020
- 2020-06-04 US US16/892,733 patent/US1123649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359A (ja) | 1996-06-28 | 1998-01-20 | Yutani Heavy Ind Ltd | 建設機械の制御回路 |
KR20110079877A (ko) * | 2008-10-31 | 2011-07-11 |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 건설 기계의 유압 구동 장치 |
US9725884B2 (en) * | 2012-07-02 | 2017-08-08 | Sumitomo(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 device for same |
KR20150054960A (ko) * | 2012-10-18 | 2015-05-20 |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 작업 기계 |
JP2014227949A (ja) * | 2013-05-23 | 2014-12-08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エンジン始動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2302A (ko) | 2023-02-03 | 2024-08-12 | 주식회사 도터 | 단백질막 선형정렬 및 자외선 가교 가공 장치와 그에 따라 제조된 단백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291610A1 (en) | 2020-09-17 |
EP3722618A4 (en) | 2021-04-07 |
CN111433465A (zh) | 2020-07-17 |
US11236490B2 (en) | 2022-02-01 |
WO2019112063A1 (ja) | 2019-06-13 |
CN111433465B (zh) | 2022-08-16 |
KR102559751B1 (ko) | 2023-07-25 |
JP7289794B2 (ja) | 2023-06-12 |
JPWO2019112063A1 (ja) | 2020-12-24 |
EP3722618A1 (en) | 2020-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89794B2 (ja) | ショベル | |
JP5135169B2 (ja) |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 |
JP4193830B2 (ja) |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 |
US7665299B2 (en) | Hydraulic power management system | |
KR102025780B1 (ko) | 건설 기계의 유압 구동 장치 | |
WO2008015802A1 (fr) | Circuit à pression fluidique | |
JP7377022B2 (ja) |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 |
KR102159596B1 (ko) | 건설 기계 | |
WO2021235207A1 (ja) | 油圧ショベル駆動システム | |
JP6840756B2 (ja) | ショベル、ショベル用コントロールバルブ | |
CN105971043B (zh) | 挖土机 | |
EP3686442A1 (en) |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 |
JP2011021688A (ja) | 油圧駆動装置 | |
US10927867B2 (en) | Work machine having hydraulics for energy recovery | |
JP2008190694A (ja) | オートデセル制御機能を備えた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7037290B2 (ja) | 油圧駆動システム | |
JP3621601B2 (ja) | 建設機械の油圧回路 | |
KR20050049767A (ko) | 굴삭기의 선회제어장치 | |
US11208787B2 (en) | Hydraulic drive system for work machine | |
EP3686440B1 (en) |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 |
JP2020153505A (ja) |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 |
CN117897538A (zh) | 挖土机 | |
JP2011236971A (ja) | 作業機械の油圧システム | |
JP2021038787A (ja) |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