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021A -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021A
KR20200090021A KR1020190007051A KR20190007051A KR20200090021A KR 20200090021 A KR20200090021 A KR 20200090021A KR 1020190007051 A KR1020190007051 A KR 1020190007051A KR 20190007051 A KR20190007051 A KR 20190007051A KR 20200090021 A KR20200090021 A KR 20200090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unit
classifier
subject
fea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0930B1 (en
Inventor
김영나
Original Assignee
(주)지영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영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지영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9000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930B1/en
Publication of KR2020009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0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calculator and/or artificial intelligence for assisting a determination by an expert or enhancing the expert determination by automating an art psychotherapy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ncludes: a picture interpreter extracting characteristics by interpreting content of a picture which is drawn by an examinee to be a basic material for an art psychotherapy test; a classifier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extracted by interpreting the content of the picture through the picture interpreter, by preset label; and a determiner outputting determination data by determining the psychological condition, personality, tendency, family relations, left-brain and right-brain preference, sociality and familiariza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classified by the classifier from the picture interpreted by the picture interpreter. Here, at least one of the picture interpreter, the classifier and the determiner includes a learning and inference model comprising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 Also, the apparatus is constituted with an electronic calculation system for data interpretation, classification and inference (for example, a deep neural network, an image processor, an algorithm calculator or the like).

Description

미술심리검사 장치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본 발명은 심리검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술 또는 그림을 이용한 심리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전자계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sychological t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compu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performs a psychological test using art or painting.

심리검사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미술이나 그림을 통해서 수행하는 심리검사가 있다. 이러한 미술심리검사는 취학 전 유아의 경우는 발달기능검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미술심리검사는 그림 표현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요소인 형, 움직임, 공간사용법에 의해 파악된다. 다양한 심리검사 항목을 반영하도록 연구된 그림을 피검자로 하여금 그리게 함으로써 피검자가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느끼고 있는 갈등이나 긴장, 개인적인 심리, 성격, 사회성, 가족화 경향 등을 투사시킨다. 이를 통해 피검자의 무의식에 관한 정보나 심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Various methods for psychological tests are being implemented. Among them, there are psychological tests performed through art or painting, especially for children. Such an art psychological test can also be used as a developmental function test for preschool children.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is grasped by the basic elements in the expression of pictures, such as form, movement, and space usage. By drawing the subjects who have been researched to reflect various psychological examination items, they project the conflict or tension, personal psychology, personality, sociality, and tendency toward family, which the subject feel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rough this, the subject's unconscious information or psychological state can be grasped.

미술심리검사는, 여타 심리검사도 그러하지만, 전문가가 판독해야 하므로 시간이 소요되며 해석 결과가 불균일한 측면이 있다. 특히 피검자에게 사실상 간단한 판단만 해 줘도 되는 사안의 경우에 전문가가 직접 수행하지 않아도 될 경우도 있다. 즉, 반드시 전문가가 수행해야 할 것도 있는 반면에, 전문가가 직접 행하지 않아도 될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인터넷, 모바일 등을 통한 대중서비스, 1차적(초벌) 해석, 범죄 프로파일링, 인적성 검사 등에서 심리검사의 본질이 아닌 약식으로 선행검사 자료로 필요한 경우 등이다.The art psychological test, like other psychological tests, takes time because it needs to be read by an expert, and the results of interpretation are uneve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ssue where only a simple judgment can be actually made to the subject, the expert may not need to perform it. In other word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expert must perform, while the expert may not have to do it directly. For example, public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mobile, etc., primary (first) interpretation, crime profiling, personality test, etc. are not necessary for the prior examination data as an abbreviation of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본 발명은 미술심리검사를 필요한 경우에 한정적이나마 자동화함으로써 전문가에 의한 판단에 보조적으로 또는 전문가 판단을 강화하기 위해 전자계산기 및/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calculator and/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assist the expert judgment or to reinforce the expert judgment by automating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when necessar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검자가 그린 그림이 미술심리검사의 기초자료가 되는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그림 해석기; 상기 그림 해석기에서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추출된 특징을 사전에 정해놓은 라벨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기; 상기 그림해석기에서 해석된 그림으로부터 상기 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특징들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심리상태, 성격, 성향, 가족관계, 좌우뇌 선호도, 사회성, 가족화를 판단하여 판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판단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림 해석기, 분류기, 판단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성되는 학습 및 추론 모델을 포함한다. 그리고 자료 해석, 분류, 추론을 위한 전자계산 시스템(예를 들어, 심층신경망, 이미지프로세서, 알고리즘 연산기 등)으로 구현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 picture interpreter for extracting featur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picture that the picture drawn by the subject is the basic data of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A classifier that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picture in the picture interpreter and classifies the extracted featur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abel; And a judger that outputs judgment data by determining the psychological state, personality, propensity, family relations,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sociality, and familialization of the examinee using features classified by the classifier from the picture interpreted by the picture interpreter. Here, at least one of the picture interpreter, classifier, and judger includes a learning and inference model composed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 And it is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calculation system (eg, deep neural network, image processor, algorithm operator, etc.) for data interpretation, classification, and inference.

상기 그림 해석기는 고양이그림 해석부, 동심원 해석부, 사회성 해석부, 나무그림 해석부, 물고기그림 해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cture interpreter may include a cat picture analysis part, a concentric circle analysis part, a sociality analysis part, a tree picture analysis part, and a fish picture analysis part.

상기 분류기는 고양이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 동심원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 사회성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 나무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 물고기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assifier categorizes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at picture analysis unit by a predetermined label, the categorized feature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oncentric circle analysis unit, and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social analysis unit. A social feature classifying unit that classifies the items by a predetermined label, a tree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that classifies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tree picture analysis unit by a predetermined label, and a fish picture classifying features extracted from the fish picture analysis unit by a predetermined label. It may include a feature classification.

또한, 상기 판단기는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성격, 성향, 심리상태, 가족관계 등을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judging unit is a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for judging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s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a psychological judging unit for determining a subject's personality, propensity, psychological state, family relationship, etc.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It may include a familializa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famil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a socializa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다른 실시형태로 상기 판단기는, 상기 분류기의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 및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성격, 성향, 심리상태, 가족관계 등을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동심원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사회성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judging unit, a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for judging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of the classifier,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the tree picture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and the fish of the classifier Psychological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personality, inclination, psychological state, family relationship, etc.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and a family uniting determination unit that judges the famil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oncentric feature classification unit of the classifier, It may include a sociality judging unit for judging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socialistic feature classification unit of the classifier.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d above will be further clarified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미술심리검사를 자동화함으로써 전문가에 의한 판단에 보조적 역할을 함은 물론 전문가의 판단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인터넷, 모바일 등을 통한 대중서비스, 초벌 해석, 범죄 프로파일링, 인적성 검사, 약식 심리검사 등에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ng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it can not only serve as an auxiliary role for judgment by experts, but also strengthen the judgment of experts, public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mobile, etc., initial interpretation, crime profiling, personality test, and summary psychology It can be used for inspection.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미술심리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좌우뇌 선호도 검사와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고양이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3a와 도 3b는 가족화(life space)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동심원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4a와 도 4b는 사회성(social atom)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세모·동그라미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5는 성격, 성향, 및/또는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나무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6a와 도 6b는 가족관계 및/또는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물고기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7은 고양이그림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600) 및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도 8a~d는 고양이 그림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9a, 9b는 고양이 그림의 예시도
도 10a~g는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1은 동심원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와,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life space)을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800)를 나타낸다.
도 12a~c는 동심원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3은 사회성(social atom) 해석부(3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와,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900)를 나타낸다.
도 14a~i는 사회성 판단용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5는 나무그림 해석부(4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도 16a~g는 나무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7은 물고기그림 해석부(5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와,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도 18a~h는 물고기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struction to draw a cat picture to a subject for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test and psychological test
3A and 3B are exemplary views of an instruction to draw a concentric circle to a subject for a life space test.
4A and 4B are exemplary diagrams of instructions for a subject to draw a picture of a triangle and a circle in order to examine a social atom.
5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struction to have a subject draw a tree picture for personality, propensity, and/or psychological examination;
6A and 6B are exemplary views of an instruction for a subject to draw a fish picture for a family relationship and/or psychological examination.
7 is a cat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150 that classifies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at picture analysis unit 100 for each label, and the right and left brain preferences are determined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cat picture characteristic classifying unit 150.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s also indicate a determination unit 600 and a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for determining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8A-D are exemplary diagrams of a method for determining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s from a cat picture.
9A and 9B are exemplary views of cat pictures
10A to G are exemplary views of a method in which an expert judges a subject's psychology from a cat picture.
FIG. 11 determines a subject's family space from features classified in a concentric circl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250 and concentric circle feature classification units 250 that classify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oncentric circle analysis unit 100 by predetermined labels. It represents the family-oriented judgment unit 800.
12a to c are exemplary views of a method in which an expert judges the familyization of a subject from a concentric circle drawing.
FIG. 13 determines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characteristics classified by the soci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unit 350 and the characteristics classified by the soci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unit 350 by classifying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social atom analysis unit 300 by predetermined labels. Represents the sociality determining unit 900.
14a to i are exemplary views of a method in which an expert judges the sociality of a subject from a figure for determining sociality
15 is a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450 for classifying features extracted from the tree picture analysis unit 400 for each label, and a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450 for determining a subject's psychology. The psychological judgment unit 700 is shown.
16A to G are exemplary views of a method in which an expert judges a subject's psychology from a tree picture.
17 is a fish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550 for classifying features extracted from the fish picture analysis unit 500 for each label, and determining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fish picture characteristic classifying unit 550. The psychological judgment unit 700 is shown.
18A to H are exemplary views of a method in which an expert judges a subject's psychology from a fish pictur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ring to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mean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mponents or functions When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scure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미술심리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피검자가 그린 그림이 미술심리검사의 기초자료가 되는데, 이 그림을 전처리하는 그림 전처리기(10)가 있다. 그림의 전처리는 이미지 스캐닝에 의해 또는 페인팅툴에의 직접 입력에 의해 입력된 그림으로부터 특징을 해석하기 위해 이후의 자동차 처리 단계에서의 에러를 줄이고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림의 화질이나 선명도, 명도, 채도, 색상, 기울기 등을 보정하는 역할이다.The picture drawn by the subject becomes the basic data for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there is a picture preprocessor 10 for preprocessing the picture. Pre-processing of pictures is done by image scanning or by interpreting features from pictures entered by direct input to a painting tool. To reduce errors in subsequent automobile processing steps and improve processing efficiency, picture quality, clarity, brightness, and saturation It is the role to correct color, tilt, etc.

본 발명에 따른 미술심리검사에서 필요한 그림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소개한다. 도 2는 좌우뇌 선호도 검사와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고양이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도 3a와 도 3b는 가족화(life space)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동심원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도 4a와 도 4b는 사회성(social atom)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세모·동그라미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도 5는 성격, 성향, 및/또는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나무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도 6a와 도 6b는 가족관계 및/또는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물고기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The drawings required in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chematically introduced. FIG. 2 shows an example of an instruction to instruct a subject to draw a cat picture for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tests and psychological tests. 3A and 3B are examples of instructions for instructing a subject to draw a concentric circle for a life space test. 4A and 4B give examples of instructions for a subject to draw a picture of a triangle and a circle in order to examine a social atom. FIG. 5 gives an example of an instruction to ask a subject to draw a tree for personality, orientation, and/or psychological testing. 6A and 6B are examples of instructions for instructing a subject to draw a fish for family relations and/or psychological testing.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그림 해석기(20)는, 피검자가 그려서 입력한(또는 스캔 입력한) 그림을 전처리기(10)가 전처리한 후에,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특징(feature)을 추출한다. 본 실시예의 미술심리검사 장치는 특히, 고양이그림 해석부(100), 동심원 해석부(200), 사회성(social atom) 해석부(300), 나무그림 해석부(400), 물고기그림 해석부(500)를 포함한다. 각 해석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차후에 기술한다. 여기서 그림 해석기(20)는 CNN(컨벌루션신경망), RNN(순환신경망) 등의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축할 수 있다. 그림자료를 학습데이터로서 신경망에 다수 입력하여 학습시켜서 학습/추론 신경망 모델을 구축한 후에 이 신경망 모델에 그림 데이터를 입력하여 해석할 수 있다. 점진적으로 그림 해석 실적이 쌓이면서 이 신경망 모델의 성능은 진화될 것이다.Returning to FIG. 1 again, the picture interpreter 20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picture and extracts a feature after the preprocessor 10 preprocesses the picture drawn and input (or scanned) by the subject. In particular,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at picture analysis unit 100, a concentric circle analysis unit 200, a social atom analysis unit 300, a tree picture analysis unit 400, a fish picture analysis unit 500 ). Details of each analysis part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picture interpreter 20 may be constructe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such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a circular neural network (RNN). After learning and inferring a neural network model by inputting a large number of picture data into the neural network as learning data, you can enter the picture data into the neural network model for analysis. The performance of this neural network model will evolve as the results of gradual interpretation of pictures gradually increase.

분류기(30)는 그림 해석기(20)에서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추출한 특징을 사전에 정해놓은 라벨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이것도 역시 CNN, RNN 등의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축할 수 있다. 추출된 특징을 학습데이터로서 신경망에 다수 입력하여 학습시켜서 본 발명의 미술심리검사에 특화된 신경망 모델(학습 및 추론 모델)을 구축한 후에 이 신경망 모델에 그림 해석 데이터를 입력하여 라벨별로 분류한다. 점진적으로 분류 실적이 쌓이면서 신경망 모델의 성능은 진화될 것이다. 분류기(30)는 고양이그림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 동심원 해석부(2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 사회성 해석부(3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 나무그림 해석부(4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 물고기그림 해석부(5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차후에 기술한다.The classifier 30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picture in the picture interpreter 20 and classifies the extracted featur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abel, which can also be construc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s such as CNN and RNN. After building the neural network model (learning and reasoning model) specialized for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putting and learning a number of extracted features into the neural network as learning data, the picture analysis data is input to the neural network model and classified by label. The performance of the neural network model will evolve as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gradually increases. The classifier 30 categorizes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at picture analysis unit 100 by predetermined labels, and the concentric circles that classify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oncentric circle analysis unit 200 by predetermined labels. Th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250,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alysis unit 300 to classify the features extracted by a predetermined label according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unit 350, the tree image analysis unit 400 to classify the features by a predetermined label It includes a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er 450 and a fish picture feature classifier 550 that classifies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fish picture analysis unit 500 for each label.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판단기(40)는 그림해석기(20)의 각 고양이그림 해석부(100), 동심원 해석부(200), 사회성 해석부(300), 나무그림 해석부(400), 물고기그림 해석부(500)에서 추출되고 분류기(30)의 각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 동심원(가족화) 특징 분류부(250),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된 특징들로부터 다양한 심리상태, 성격, 성향, 가족관계, 좌우뇌 선호도, 사회성, 가족화 등의 관심사항을 판단하여 판단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judging machine 40 includes each cat picture interpreter 100 of the picture interpreter 20, concentric circle analysis part 200, sociality analysis part 300, tree picture analysis part 400, and fish picture analysis part 500. Each cat picture feature classifier 150 of the classifier 30, concentric circle (family) feature classifier 250, social feature classifier 350, tree figure feature classifier 450, fish figure feature classification A variety of psychological states, personalities, inclinations, family relations, preferences for left and right brains, sociality, and familialization are judged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unit 550 and judgment data are output.

구체적으로, 판단기(40)는 분류기(30)에서 분류된 특징(예를 들어,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600)와, 분류기(30)에서 분류된 특징(예를 들어,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성격, 성향, 심리상태, 가족관계 등을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와, 분류기(30)에서 분류된 특징(예를 들어,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Life Space(가족화)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800)와, 분류기(30)에서 분류된 특징(예를 들어,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90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determiner 40 determines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s to determin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s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30 (for exampl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150). W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lassified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30 (for example, features categorized in the cat figure feature classifier 150, the tree figure feature classifier 450, and the fish figure feature classifier 550). , Subject's Life Space from the psychological judging unit 700 for judging the propensity, psychological state, family relationship, etc., and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30 (for exampl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oncentric feature classification unit 250) The socialization determination unit 800 determines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family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unit 800 for determining (family), and the characteristic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30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classified in the soci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unit 350) ( 900).

판단기(40)도 또한 CNN, RNN 등의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축할 수 있다. 분류된 특징들을 학습데이터로서 신경망에 다수 입력하여 학습시켜서 학습/추론 신경망 모델을 구축한 후에 이 신경망 모델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할 수 있다. 점진적으로 판단 실적이 쌓이면서 이 신경망 모델의 성능은 진화될 것이다. 역시 더 자세한 내용은 차후에 기술한다.The determiner 40 can also be construc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s such as CNN and RNN. After constructing a learning/inference neural network model by inputting and learning a plurality of classified features into the neural network as learning data,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can be determined from the neural network model. The performance of this neural network model will evolve as the results of judgment gradually build up. Again, mor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은 고양이그림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600) 및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7 is a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150 for classifying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at picture analysis unit 100 for each label and a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150 for determining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s.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s also indicate a determination unit 600 and a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for determining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먼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7에서 보듯이 고양이의 정적모습과 동적모습, 개념적(구체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 고양이 크기의 대소, 좌측 응시방향과 우측 응시방향, 하향 꼬리방향과 상향 꼬리방향, 많은 세부묘사와 적은 세부묘사,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 있음과 없음, 물체 크기의 대소, 표현의 입체성과 평면성, 입의 묘사와 불묘사, 색경계 표현과 불표현, 고양이 수가 1마리 또는 1마리 초과, 지문 또는 표시의 유무이다. First, the label classified by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150, as shown in FIG. 7, shows the static and dynamic appearance of the cat, the conceptual (specific) expression and abstract expression, the size of the cat, the size of the cat, the left gaze direction and the right gaze direction, Downward and upward tail directions, many details and few details, stories and objects around and without cats, size and size of objects, three-dimensionality and flatness of expression, description and immortality of mouth, expression and non-expression of color boundaries , The number of cats is 1 or more than 1, whether there is a fingerprint or a sign.

이상의 각 라벨별로 분류된 고양이그림 특징들은 판단기(40)의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서 피검자의 뇌 선호도를 판단하여 좌뇌선호도 판단결과(610) 또는 우뇌선호도 판단결과(620)로서 출력된다.The cat picture features classified by each label are output as the left brain preference determination result 610 or the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ation result 620 by determining the brain preference of the subject by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of the determiner 40. .

도 7에 나타낸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와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좌우뇌 선호도(피검자가 좌뇌 스타일인지 또는 우뇌 스타일인지)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Before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150 and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shown in FIG. 7, first, to help the understanding, the subject's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the subject) Is a left-brain style or a right-brain style).

도 8a와 같이 감정이 없는 무표정의 고양이 그림은 좌뇌 스타일로 판단하고, 도 8b와 같이 감정이 보이는 표정이 있는 고양이 그림은 우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인간의 희로애락을 관장하는 것은 우뇌이다. 그러므로 고양이의 표정에서 감정을 읽을 수 있다면 우뇌 스타일이며, 좌뇌 스타일은 고양이의 감정을 읽을 수 없는 무표정한 얼굴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도 8c와 같이 색이 적은 고양이 그림은 좌뇌 스타일을 나타내고, 도 8d와 같이 색이 많은 고양이 그림은 우뇌 스타일을 나타낸다. 좌뇌 스타일은 사용하는 색의 양이 적고 단순한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우뇌 스타일은 사용하는 색의 수가 많아 화면이 풍성하게 보인다. As shown in FIG. 8A, the expressionless cat picture is judged by the left brain style, and the cat picture with emotion expression as shown in FIG. 8B is judged by the right brain style. It is the right brain that oversees the joy of humanity. Therefore, if you can read emotions from the cat's expression, it is a right-brain style, and the left-brain style can be inferred from an expressionless face that cannot read the emotions of a cat. Also, as shown in FIG. 8C, a cat picture with a low color represents the left-brain style, and a cat picture with a lot of color as shown in FIG. 8D shows a right-brain style. The left-brain style tends to be simple and the amount of color used is small, while the right-brain style has a large number of colors to use, so the screen looks rich.

이상의 도 8a, 8b, 8c, 8d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7로 돌아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들과 각 특징에 대한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The cases of FIGS. 8A, 8B, 8C, and 8D described above are a judgment method by an expert, and in order to automate this, electronic calculation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when the judgment result is reproducible and sustainable. To this end,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determining the preference of the subject's left and right brains from the cat picture are returned to FIG. 7, and the features classified by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150 and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for each characteristic are determined. Explain the results.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서의 좌우뇌 선호도 판단에 필요한 특징은 고양이 모습 특징(152), 표현정도 특징(154), 세부묘사 정도 특징(162), 고양이 주변의 스토리 또는 물체 특징(164), 물체 크기 특징(166), 입체 표현 특징(168)이다.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eatures required for determining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s in the right and lef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are cat appearance characteristics 152, expression accuracy characteristics 154, detailed description accuracy characteristics 162, and story or object characteristics around the cat 164. , Object size feature 166, three-dimensional expression feature 168. Ea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고양이 모습 특징(152)이 정적인 경우에는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서는 좌뇌 스타일로 판단하고, 동적인 경우에는 우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도 9a에 나타낸 것은 정적인 고양이 모습의 예이다.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는 많은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정적/동적인 고양이 모습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cat figure feature 152 classified in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150 is static,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determines the left brain style, and in the dynamic case, the right brain style. 9A is an example of a static cat shape.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150 may extract a feature of a static/dynamic cat shape using a feature extraction model learned by a lot of data.

고양이의 표현정도 특징(154)은 개념적(구체적)인 경우와 추상적인 경우로 분류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좌뇌 스타일로, 후자의 경우에는 우뇌 스타일로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는 판단한다. 여기서, 개념적 고양이 표현 특징의 예를 들자면, 머리는 앞 모습, 수염은 좌,우 각 3개, 몸은 옆 모습, 다리는 4개, 꼬리는 1개를 갖는 고양이 그림이다.The cat's expression level feature 154 is classified into a conceptual (specific) case and an abstract case, and in the former case, the left and right brain styles and the right and lef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determine. Here, as an example of a conceptual cat expression feature, the head has a front view, a beard with 3 left and right angles, a body with a side view, 4 legs, and 1 tail.

세부묘사 정도 특징(162)은 많음과 적음으로 분류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우뇌 스타일로, 후자의 경우에는 좌뇌 스타일로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는 판단한다. 여기서, 세부묘사의 정도는 고양이의 발이 보이고 발가락이 분화되어 있는 등의 모습을 예로 들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많은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고양이의 세부묘사 특징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level of detail feature 162 is classified into many and few, and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determines the right brain style in the former case and the left brain style in the latter case. Here, the degree of detail can be exemplified by the appearance of the cat's paws and the toes erupting. A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cat's detailed features using a feature extraction model learned from a lot of data.

고양이 주변의 스토리 또는 물체 특징(164)의 유무에 따라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서는 피검자의 뇌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가 그려져 있는 경우에는 우뇌 스타일,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가 없으면 좌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도 9b는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가 그려져 있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책상 위에 고양이가 올라가 있고, 책상 좌측에 네모난 가구(냉장고로 판단해도 무방함)가 있고 우측에는 문이 있으며 벽에는 그림이 붙어 있다. 특징 추출 모델은 먼저 학습된 고양이의 형상을 추출하고, 그 주변에 다른 물체, 나아가서는 스토리가 존재하는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tory or object feature 164 around the cat,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may determine the brain preference of the subject. If a story or object is drawn around a cat, it is judged to be a right-brain style, and if there is no story or object around the cat, it is judged as a left-brain style. 9B is an exemplary view of a picture in which a story or object is drawn around a cat. There is a cat on the desk, square furniture on the left side of the desk (you can judge it as a refrigerator), a door on the right side, and a picture on the wall. The feature extraction model can first extract the shape of the trained cat and judge for itself whether other objects, or even stories, exist around it.

이렇게 고양이 주변에 있는 물체의 크기 특징(166)이 큰지 작은지도 또한 좌우뇌 선호도 판단의 기준이 된다. 전체적인 면적에 비해 물체가 큰 경우는 우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책상, 냉장고, 문 등의 물체 크기는 크고, 나머지 물체는 작게 그리는 등 물체 크기 차에 민감한 그림의 경우에도 우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Whether the size characteristic 166 of the object around the cat is large or small is also a criterion for judging the preference for left and right brains. If the object is larger than the overall area, it is judged by the right brain style. Objects such as desks, refrigerators, doors, etc. are large, while the rest of the objects are small.

입체 표현 특징(168)을 추출하여 입체적으로 그림이 표현된 경우는 우뇌 스타일로, 평면적으로 표현된 경우는 좌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도 9b의 그림에 대해서 특징 추출 모델은 냉장고와 책상이 겹쳐 있는 화면구성으로부터 원근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입체적 그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feature 168 is extracted and the picture is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it is determined as a right brain style, and when it is expressed in a flat manner, it is determined as a left brain style. 9B, the feature extraction model can be judged to be a three-dimensional picture that can sense a difference in perspective from the screen configuration where the refrigerator and the desk overlap.

다음, 다시 도 7로 돌아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에 대해 설명한다.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검사를 이른바, '고양이 심리검사'라고 부른다. 도 7에 나타낸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와 심리 판단부(7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한다. Next, returning to FIG. 7 again,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for determining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by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150 will be described. A test that judges a subject's psychology from a cat picture is called a'cat psychological test'. Before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150 and the psychological judgment unit 700 shown in FIG. 7, first, to assist the understanding, the expert judges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the cat picture drawn by the subject Introduce briefly.

도 10a의 왼쪽과 같이 밤의 풍경 속에 고양이의 존재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오른쪽과 같이 차 밑에 숨어 있는 고양이는 숨고 싶어하는 비사회화 경향과 자존감이 부족하고 열등감이 많을 확률이 있다. 도 10b와 같이 쓰레기통을 뒤지는 길고양이 그림도 역시 피검자가 자존감이 부족한 사람일 확률이 크다. 도 10c와 같이 고양이의 형체가 너무 약하여 눈에 잘 보이지 않아도, 자존감이 약하고 열등감이 심할 가능성이 많다. 도 10d와 같이 고양이의 모습이 작은 경우에는, 자존감이 적다고 볼 수 있으며 열등감의 표현이기도 하다.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10A, the cat's presence in the night scenery is hard to reveal, or the cat hiding under the car as shown on the right has a tendency to lack of self-esteem and lack of self-esteem and inferiority. As shown in Fig. 10b, a picture of a long cat searching through a trash bin is also likely to be a person who lacks self-esteem. As shown in Fig. 10c, even if the cat's shape is too weak to be easily see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elf-esteem is weak and the inferiority is severe. When the appearance of the cat is small as shown in FIG. 10D, it can be regarded as having less self-esteem and is also an expression of inferiority.

도 10e와 같이 몸은 안에 있지만 밖을 동경하는 경향을 보이는 아이의 대부분은 사회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10E, most of the children who have a body inside but tend to admire the outside tend to have poor sociality.

도 10f와 같이 유난히 큰 고양이와 유난히 작은 고양이는 큰 고양이를 상징하는 사람에게 의존적인 경우일 가능성이 많다. As shown in FIG. 10F, the unusually large cat and the exceptionally small cat are likely to be dependent on a person who symbolizes a large cat.

도 10g와 같이 의자 위에 혹은 방석 위에 앉은 교만한 자태의 고양이는 잘난 척하거나 왕자병, 공주병일 확률이 크고 자기중심적 사고를 가졌을 가능성이 크다. As shown in Fig. 10g, a proud cat sitting on a chair or on a cushion is more likely to be pretend to be a good boy, a prince, or a princess, and have a self-centered thinking.

이상의 도 10a~g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 상태 또는 성격 등을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7로 돌아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들과 각 특징에 대한 심리 판단부(7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In the case of FIGS. 10A to G above, it is a judgment method by an expert. In order to automate this, electronic calculation is possible and it will be possible when the judgment result is reproducible and sustainable. To this end, the composition and the action of determining the psychological state or person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cat picture are returned to FIG. 7, and the features classified by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150 and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for each feature are determined. Explain the results.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심리 판단부(700)에서의 판단에 필요한 특징은,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 필요한 특징들과 일부 겹치는 고양이 모습 특징(152)에 덧붙여, 고양이 크기 특징(156), 응시방향 특징(158), 꼬리방향 특징(160), 고양이 입 묘사 특징(170), 색경계 특징(172), 고양이 수 특징(174), 지문 또는 표시 특징(176)이다. As mentioned above, the features necessary for the judgment in the psychological judgment unit 700, in addition to the features required for th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600, and the cat appearance characteristic 152 partially overlapping, the cat size characteristic 156, Staring direction feature 158, tail direction feature 160, cat mouth description feature 170, color boundary feature 172, cat number feature 174, fingerprint or display feature 176.

각 특징에 대한 심리 판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psychological judgment for each fea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고양이 모습 특징(152)이 정적이면(도 9a 참조) 심리 판단부(700)에서는 이 피검자의 심리 상태가 수동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는 많은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정적인 고양이 모습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cat-like feature 152 is static (see FIG. 9A ),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is passive. As mentioned above,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150 may extract a feature of a static cat figure using a feature extraction model learned by a lot of data.

고양이 크기 특징(156)으로부터 고양이 크기가 작은 경우는 큰 경우에 비해 자존감이 떨어지고 열등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고양이 크기의 기준은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표현 면적이 그림 전체 면적의 30% 미만인 경우를 임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From the cat size feature 156, when the cat size is small, it is judged that the self-esteem is poor and the inferiority is compared to the large case. Here, the criterion for cat size may be determined through comparison with a preset threshold. For example, a threshold may be set when the cat's expression area is less than 30% of the total area of the picture.

응시방향 특징(158)은 고양이의 얼굴 또는 눈이 좌측을 향하는지 우측을 향하는지로 분류되는데, 응시방향이 좌측방향일 때는 과거지향적, 우측방향일 때는 미래지향적으로 피검자의 심리 내지는 성격을 판단한다. 응시방향은 고양이 형상의 학습 데이터로부터 얼굴, 눈, 귀, 코, 입, 수염 등의 요소의 몸체에 대한 위치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gaze direction feature 158 is categorized as whether the cat's face or eyes are toward the left or right, and the gaze direction is past-oriented, and when it is in the right direction, the subject's psychological or personality is determined. The gaze direction can be grasped from the cat-shaped learning data to the position of the body of elements such as the face, eyes, ears, nose, mouth, and whiskers.

꼬리방향 특징(160)은 상향이냐 하항이냐로 분류된다. 꼬리방향이 아래쪽이면 순종적, 위쪽이면 불순종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The tail direction feature 160 is classified as up or down. If the tail direction is downward, it is considered obedient, and if it is upward, it is considered to be disobedient.

고양이 입 묘사 특징(170)으로, 고양이의 입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피검자의 말수가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한다. With the cat mouth description feature 17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ject has a large or small number depending on whether the cat has a mouth or not.

색경계 특징(172)은 경계선 영역을 잘 지켜서 색칠을 했느냐 아니냐의 특징인데, 색 표현의 경계선이 잘 지켜져 있으면 협응력이 좋고 섬세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color boundary feature 172 is a characteristic of whether or not the boundary area is well-painted and whether it is painted or not. If the boundary of the color expression is well maintain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rdination is good and delicate.

고양이 수 특징(174)은 형제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마리의 고양이가 그려져 있으면 1자녀의 형제 관계를 나타내고, 1마리가 넘는 고양이가 그려져 있으면 다자녀의 형제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 cat number feature 174 represents sibling relationships. For example, it is judged that if one cat is drawn, it represents the sibling relationship of one child, and if more than one cat is drawn, it represents the sibling relationship of multiple children.

고양이 그림 중에 포함된 지문 또는 표시 특징(176)은 식탐, 욕심의 정도를 나타낸다. Fingerprint or display features 176 included in the cat's picture indicate the degree of appetite and greed.

도 11은 동심원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와,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life space)을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800)를 나타낸다.FIG. 11 determines the life space of a subject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concentric circl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250 and concentric circle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250 to classify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oncentric circle analysis unit 100 by predetermined labels. It represents the family-oriented judgment unit 800.

먼저,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11에서 보듯이 부모표현 특징(252), 동심원내 부모 기재여부 특징(254), 나와 부모간 거리 특징(256), 나와 형제간 거리 특징(258), 선의 형태 특징(260)이다.First, the labels classified by the concentric feature classification unit 250, as shown in FIG. 11, the parental expression feature 252, the parental feature in the concentric circle (254), the distance between me and the parents (256), and the distance between me and the siblings ( 258), a feature of the shape of the line (260).

이러한 각 라벨별로 분류된 동심원 특징들은 판단기(40)의 가족화 판단부(800)에서 피검자의 가족화 판단결과로서 출력된다.The features of the concentric circles classified for each label are output as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family of the subject in the family determination unit 800 of the determiner 40.

도 11에 나타낸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와 가족화 판단부(8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동심원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Before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centric circl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250 and the familialization determination unit 800 shown in FIG. 11, first, to help the understanding, in the manner in which the expert determines the familialization of the examinee from the concentric circles drawn by the examinee Introduce.

도 12a는 동심원 그림으로 자존감.열등감을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내(그림을 그린 피검자)가 집 밖으로 나가있는 경우는 부모에게 지지를 받지 못하는 사람으로 열등감이 클 확률이 크다. 그래서 가족이라는 의미가 이 피검자에게는 많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Fig. 12A shows the determination of self-esteem and inferiority by drawing a concentric circle. When I (the subject who drew the picture) goes out of the hous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inferiority as a person who is not supported by parents. So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meaning of the family is not much for this subject.

도 12b는 동심원 그림으로 의존성을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나와 함께 중심에 같이 있는 사람은 나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이것은 그 사람과 내가 비슷한 성향의 가졌을 확률이 높으며, 혹은 그 사람에게 의존적일 가능성이 있다.Fig. 12B shows the determination of the dependence with a concentric figure. Anyone who is at the center with me seems to have my support, and it is likely that he and I have similar inclinations, or it is possible that they are dependent on that person.

도 12c는 동심원 그림으로 자기 과시욕, 자기 중심적 사고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자신의 모습에 장식을 하거나 나를 중심에 두고도 문구 등으로 강조를 하는 것은 자기 과시욕이나 강한 자기애에 대한 표현일 가능성이 높다. 이런 피검자들은 나의 위치를 반드시 중앙에 그리며, 자기 중심적인 성향을 가지는 경향이 많다.FIG. 12C is a picture of a concentric circle and shows a judgment of self-show, self-centered thinking. Decorating one's figure or emphasizing it with phrases, even when centered on me, is most likely an expression of self-show or strong self-love. These subjects tend to draw my position in the center and tend to be self-centered.

이상의 도 12a~c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동심원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 관련 성향, 심리를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11로 돌아가,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 관련 심리, 성향을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8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In the case of Figs. 12A to 12C above, it is a judgment method by an expert. In order to automate this, electronic calculation is possible and the judgment result will be possible when it is reproducible and sustainable. To this end,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judging the tendency and psychology related to the subject's familialization from the concentric circle drawing are returned to FIG. 11, and the familialization judging unit determines the psychology and propensity related to the subject's familialization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by the concentric feature classification unit 250 The judgment result of (800) will be described.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한 특징들 중의 부모 표현 특징(252)에서 부모 표현이 있는 경우에는 가족화 판단부(800)에서는 부모 중심 가정이며 부부 갈등이 적다고 판단하고, 없는 경우에는 그 반대의 판단결과가 가족화 판단부(800)에서 출력된다. If there is a parental expression in the parental expression feature 252 among the features classified by the concentric feature classification unit 250, the familyization determination unit 800 determines that the family is a parent-centered family and there is little marital conflict.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output from the familyization determination unit 800.

중심원내 부모위치 특징(254)은 가부장적 가정인지 또는 모친의 순종성을 판단하기 위한 특징이다. 부모를 중심에 그린 경우에는 부모 중심의 가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런 부모는 부부간의 갈등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부모를 집안의 중심에 그리면서도 만일 부친이 위에 모친이 아래에 위치한다면 이 가정은 가부장적 가정으로 모친이 순종적인 가정이며, 만일 모친이 위에 부친이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면 이 가정은 모친 위주의 가정이라고 판단한다. The parent location feature 254 in the center circle is a feature for judging whether it is a patriarchal family or obedience of the mother. If the parents are drawn at the center, it can be regarded as a parent-centered family, and these parents can be inferred that there will not be much conflict between the couples. This family is a patriarchal family if the mother is above and the mother is obedient. If the mother is listed above, this family is mother-oriented. I judge that.

나와 부모간 거리 특징(256)이 나와 부모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나에 대한 부모의 지지도가 높다고 판단하고 멀다면 지지도가 낮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나와 부모의 거리에 비해 동생과 부모의 거리가 더 가까운 것으로 그려져 있다면, 부모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동생이라고 판단한다.If the distance between me and parents is 256, the distance between me and the parents is close, and the parent's support for me is determined to be high. Also, if it is drawn that the distance between my brother and my parents is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me and my parents, I think that it is the younger brother who is supported by the parents.

나와 형제간 거리 특징(258)이 나와 형제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나와 형제간의 관계가 좋다고 판단하고, 멀다면 관계가 나쁘다고 판단한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me and the siblings feature 258 is close to me and the siblings,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siblings is good.

선 형태 특징(252)이 직선이라면 우호적인 것으로, 점선이라면 적대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나와 동생의 거리가 멀고 나와 동생 사이를 점선으로 표시한 경우는 동생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If the line feature 252 is a straight line, it is determined to be friendly, and if it is a dotted line, it is determined to be hostile. More specifically, if the distance between me and my brother is far and a dotted line is displayed between me and my brother, it can be judged that the hostility toward my brother is revealed.

도 13은 사회성(social atom) 해석부(3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와,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900)를 나타낸다.FIG. 13 determines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by the social feature classifying unit 350 and the social feature classifying unit 350 to classify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social atom analysis unit 300 for each label. Represents the sociality determining unit 900.

먼저, 사회성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13에서 보듯이 인원수 특징(352), 도형 겹침 특징(354), 도형 크기 특징(356), 도형간 크기 편차 특징(356), 형제표시 특징(356), 나와 형제간 거리 특징(356)이다.First, labels classified by the soci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unit 250, as shown in Figure 13, the number of people features (352), overlapping features (354), shape size features (356), size deviation features between figures (356), sibling display Features 356, distance between me and siblings feature 356.

이러한 각 라벨별로 분류된 사회성 특징들은 판단기(40)의 사회성 판단부(900)에서 피검자의 사회성 판단결과로서 출력된다.The social characteristics classified by each label are output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in the sociality determination unit 900 of the determiner 40.

도 13에 나타낸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와 사회성 판단부(9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사회성 판단용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Before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ocial characteristics classifying unit 350 and the sociality determining unit 900 shown in FIG. 13, first, to assist the understanding, the expert determines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drawing for determining the sociality drawn by the subject Introducing the method.

도 14a와 같이 세모와 동그라미의 크기가 일정하면 이성주의자이며 좌뇌스타일로 자기 통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As shown in FIG. 14A, if the size of the triangle and the circle is constant, it is considered to be a rationalist and self-control is possible with the left brain style.

도 14b와 같이 세모나 동그라미의 크기의 차가 심하면 감정주의자이며 우뇌스타일로 판단한다.As shown in FIG. 14B, if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triangle or the circle is severe, it is an emotionalist and judged by the right brain style.

도 14c와 14d처럼, 좋아하는 사람들은 유난히 크고 겹치게,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유난히 작고 멀게, 즉 크기나 거리의 구분이 정확하게 두 가지로 양분되도록 그리는 피검자는 감정주의자인 우뇌 스타일의 사람으로, 좋고 싫음에 대한 선호도가 심한 사람일 확률이 높으며, 이런 이유로 심한 감정의 기복을 나타내거나 심한 고집을 부리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14c and 14d, the subjects who like are unusually large and overlapping, and those who do not like are exceptionally small and distant, i.e., the subject who draws such that the division of size or distance is precisely divided into two is a right-brain style person who is an emotionalist, good and dislike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being a person with a strong preference for this reason, and for this reason, it may show a severe feeling of relief or a tendency to be stubborn.

도 14e와 같이 다른 사람에 비하여 내가 유난히 작다면 자존감이 약한 사람일 확률이 높다.14e, if I am exceptionally small compared to other peopl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self-esteem is weak.

도 14f와 같이 7~8명 미만의 사람을 그리면 사회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고, 도 14g와 같이 7~8명 이상의 사람을 그리면 사회성이 원만하다고 판단한다.As shown in FIG. 14F, it is judged that sociality is poor when drawing less than 7-8 people, and when drawing 7-8 or more people as shown in FIG. 14G, it is determined that sociality is smooth.

도 14h와 같이 다른 사람 속에 내가 있으면 그 사람과 고착된 상태를 의미하며 의존적인 경우일 가능성이 많다. 피검자가 어린 아이일 때 나타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 하나, 혹 피검자가 고학년이거나 성인이라면 어린 아이와 같은 사고를 지닌 사람일 가능성이 있다.As shown in Fig. 14h, if I am in another person, it means that I am stuck with the person, and it is most likely dependent. It is also a natural phenomenon that can occur when a test subject is a young child, but if the test subject is a high school student or an adult, it is possible that the person has the same thinking as a young child.

도 14i와 같이 다른 사람에 비하여 내가 유난히 크고, 별, 하트, 왕관 등과 같은 요소로 치장을 했다면 자기 과시욕이 큰 사람일 확률이 높다. 자기 중심적일 가능성도 있다.As compared to other people as shown in FIG. 14i, if I am extraordinarily large and dressed with elements such as stars, hearts, crowns, etc.,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being a person with great self-show. It may also be self-centered.

이상의 도 14a~i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성검사를 위한 세모/동그라미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13으로 돌아가,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 성향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9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In the case of FIGS. 14A to I described above, it is a judgment method by an expert, and in order to automate this, it is possible to perform electronic calculation and when the judgment result is reproducible and sustainable. To this end, the composition and action for determining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picture of the triangle/circle for the sociality test are returned to FIG. 13, and the social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sociality tendency of the subject from the characteristics classified by the socialit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350 ( 900).

인원수 특징(352)으로 도출된 인원수(피검자가 그린 세모나 동그라미의 수)가 7, 8명 기준 이상이면 사회성이 양호하고, 그 미만이면 좋지 않다고 판단한다. 만일 도형의 수가 7개 또는 8개를 그렸다면 사회성이 비교적 원만하다고 볼 수 있으나 사회성이 아주 높다고 판단하지는 않는다.If the number of people (number of triangles or circles drawn by the subject) derived from the number of people feature 35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7, 8, it is judged that the sociality is good, and if it is less than that, it is not good. If the number of figures is 7 or 8, it can be considered that sociality is relatively smooth, but it is not judged that sociality is very high.

도형 겹침 특징(354)을 볼 때 도형간 겹침(중첩)이 많은 사람은 선호도가 명확하고 감정기복이 크며 고집이 세다고 판단한다. 도형 겹침이 적고 도형간 분리된 양상일 때에는 그 반대 성향의 사람이라고 판단한다. When looking at the feature of overlapping shapes 354, a person with many overlaps (overlapping) between shapes judges that preference is clear, emotional relief is high, and stubbornness is strong. When there are few overlapping shapes and are separated between shapes, it is judged to be a person with the opposite tendency.

도형간 크기 및 편차 특징(356)에서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크기가 작거나 크다면 피검자는 무난한 사회성을 가지며 이성적이고 통제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실례로, 좋아하는 사람들은 유난히 크고 겹치게, 좋아하지 않는 사람을 유난히 작고 멀리, 즉 크기나 거리의 구분이 정확하게 두 가지로 양분되도록 그린 경우, 좋고 싫음에 대한 선호도가 심한 사람일 확률이 높으며, 이런 이유로 심한 감정의 기복을 나타내거나 심한 고집을 부리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고 판단한다.If the overall size is similarly small or large in the size and deviation characteristics 356 between the figures, the subject judges to have reasonable sociality, rational, and controllability. For example, if you like people who are unusually large and overlapping, and who don't like you are exceptionally small and far, i.e. the size or distance is divided into exactly two parts, you are more likely to have a preference for good and dislike. I think that it may show a severe emotional ups and downs or a tendency to be stubborn.

형제표시 특징(356)을 추출하여 모든 형제가 표현되었으면 관계가 좋고, 그리지 않은 형제가 있으면 배척하거나 관계가 나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가족 중 동생을 그리지 않을 때에는 동생을 배척하려는 모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If all siblings are expressed by extracting the sibling display feature 356, the relationship is good, and if there are not siblings, the relationship is rejected or the relationship is judged to be bad. For example, if you do not draw a younger brother in your family, you can say that you are trying to reject your younger brother.

나와 형제/부모간 거리 특징(356)에서 형제/부모와의 거리가 가까우면 친밀한 관계이지만 멀면 갈등관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In the distance feature 356 between me and the brother/parent, it is determined tha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rother and the parent is close, it is an intimate relationship, but if it is far, it is in a conflict relationship.

도 15는 나무그림 해석부(4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15 is a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450 for classifying features extracted from the tree picture analysis unit 400 for each label, and determining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450. The psychological judgment unit 700 is shown.

먼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15에서 보듯이, 압력부재 특징(452), 열매 표시 특징(454), 줄기 특징(456), 선 중첩도 특징(458), 가지의 짝 형태 특징(460), 가지의 3차원 표현 특징(462), 가지 방향 특징(464), 관 완성도 특징(466), 잎 특징(468), 뿌리 특징(470), 관부 강조위치 특징(472), 관부 위 줄기표현 특징(474)이다.First, the label classified by the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450, as shown in FIG. 15, the pressure member feature 452, the fruit display feature 454, the stem feature 456, the line superposition feature 458, the branch The pair-shaped feature of 460,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feature of the branch 462, the branch orientation feature 464, the tube completeness feature 466, the leaf feature 468, the root feature 470, the tube highlight feature 472 ), is a feature (474) of the stem expression on the tube.

이러한 각 라벨별로 분류된 나무그림 특징들은 판단기(40)의 심리 판단부(700)에서 피검자의 심리 판단결과로서 출력된다.The wooden picture features classified for each label are output as a psychological judgment result of the subject in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of the judger 40.

도 15에 나타낸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와 심리 판단부(7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나무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Before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450 and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shown in FIG. 15, first, to assist the understanding, a method in which an expert judges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the tree picture drawn by the subject Introduce.

도 16a와 같이 곧고 각진 형태의 가지는 저항력, 적응곤란, 고집이 센, 다루기 곤란한, 불평주의자, 흥분하기 쉬운 감정 주의자로 판단한다. 도 16b와 같이 그늘지거나 음영이 있는 관은 감정에 의해 좌우되는, 감정이입, 분위기에 좌우되는, 정확성의 결여, 쾌락 추구형, 색깔에 기쁨을 느끼는, 색에 예민한 부드러운, 여자 같은 성향 또는 심리로 판단한다. 도 16c처럼, 떨어지고 있는, 떨어진 열매는 상실, 어떤 것을 희생함, 어떤 것을 포기함, 산만, 집중력 부족, 열등감의 심리로 판단한다. 도 16d와 같이 상하로 대칭되어 그려진 가지는 의욕적, 순종하지 않는, 불평하고 제멋대로, 적응성 결핍, 사회성 부족으로 판단한다. 도 16e와 같이 고정되고 반복된 열매나 잎은 지체된 발달, 독립심이 없는, 의존적인, 자기 표현능력의 결여로 판단한다. 도 16f와 같이 나무 몸통 주위에 말뚝 등의 지지를 받고 있는 가지는 안전에 대한 욕구, 불안정성, 독립성의 결여, 자기 신념의 결여, 지지를 구하는 심리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16g와 같이 꽃이 그려져 있으면, 자기 존경, 아름다운 것에 집착하는, 자기 자신을 장식하는, 가면적인, 그럴듯하게 꾸미는, 기울어진 지면선, 불안정, 의지가 약한, 적응하려고 하지 않는, 불신임, 억제의 심리로 판단한다.As shown in Fig. 16A, the straight and angled branches are judged to be resistant, adaptive, stubborn, difficult to handle, disgruntled, and excitable emotionalists. The shaded or shaded tube, as shown in FIG. 16B, is influenced by emotion, empathy, mood dependent, lack of accuracy, pleasure-seeking, joyful to color, soft to color, feminine inclination or psychology Judge. As shown in FIG. 16C, the falling, falling fruit is judged as a loss, a sacrifice of something, abandonment of something, distraction, lack of concentration, and inferiority. As shown in Fig. 16D, the branches drawn symmetrically up and down are judged to be ambitious, non-obedient, complaining and unwilling, lack of adaptability, and lack of sociality. The fixed or repeated fruit or leaf as shown in FIG. 16E is judged as a lack of delayed development, independence, dependence, and self-expression. As shown in Fig. 16F, branches having support such as piles around the tree trunk are judged to be psychological seeking for safety, lack of instability, lack of independence, lack of self-belief, and support. When a flower is drawn as shown in Fig. 16G, self-respect, obsessed with beautiful things, masquerade, plausibly decorated, slanted ground lines, instability, weak will, unwilling to adapt, distrust, restraint Judging by the hearing.

이상의 도 16a~g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나무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15로 돌아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In the case of FIGS. 16A to G described above, it is a judgment method by an expert, and in order to automate this, it is possible to perform electronic calculation and when the judgment result is reproducible and sustainable. To this e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the tree picture is returned to FIG. 15,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that determines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by the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450 Explain.

압력부재 특징(452)은 화면이 비어 있는 정도인데, 압력이 부재한 경우(여)는 민감한, (실제에 발을 딛고 있지 않은) 현실 부적응, (정신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모르는) 혼란의 심리를 가진 것으로 판단한다. 압력이 존재하는 경우(부)는 그 반대 성향의 심리로 판단한다.The pressure-absorption feature 452 is the degree to which the screen is empty, but in the absence of pressure (female), it is a sensitive, unadulterated reality (not actually stepping on it), and a mentality of confusion (not knowing how to behave mentally). It is judged to have. When there is pressure (negative), it is judged by the opposite tendency.

열매 표시 특징(454)에서 열매가 표시된 경우는 시각적 재능, 관찰하려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When the fruit is displayed in the fruit display feature 454,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visual talent and an ability to observe.

줄기(몸통) 특징(456)에서 피검자가 표현한 몸통부의 상부와 하부(밑둥)가 일치하는 경우와 상부보다 하부(밑둥)가 더 넓게 표현된 것을 파악하여, 후자의 경우에는 억제, 또는 사고에 있어서 봉쇄적인 심리로 판단한다.In the stem (torso) feature 456, it is understood th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base) of the body part expressed by the subject coincide, and that the lower part (base) is wider than the upper part. Judging by the blockade psychology.

선 중첩도 특징(458)에서는 여러 선의 중복이나 겹침의 차이, 선의 흩어진 정도를 본다. 선이 겹치지 못하고 흩어진 표현일수록 민감성, 예민성, 강한 감정 이입, 성격의 상실, 영역을 분명하게 느끼지 못함(나/너, 자아/대상)으로 판단한다. In the line overlapping feature 458, the overlap or overlap of several lines and the degree of scattering of the lines are seen. It is judged that the more the lines are not overlapping and scattered, the more sensitive, sensitive, empathy, loss of personality, and the inability to clearly perceive the domain (me/you, ego/object).

가지의 짝 형태 특징(460)에서는 짝을 이루는 가지 형태와 그렇지 않은 형태를 고려한다. 서로 짝 맞춘 형태의 가지로 표현된 경우에 피검자는 적응이 잘 안 되는, 사고와 판단의 결여, 현실감 결여, 지속성 결여, 정리되지 못한 사고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pair-shaped feature 460 considers a paired branch form and a non-paired form. When expressed as a paired branch, the subject judges that he or she has poor thinking, lack of thinking and judgment, lack of realism, lack of persistence, and unorganized thinking.

가지의 3차원 표현 특징(462)에서 3차원으로 가지가 표현(가지를 공간적으로 표현)된 경우에는 생산적 재능. 발명가적 재능, 독창적 사고, 고집이 센 것으로 판단한다.Productive talent when a branch is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spatially expressed) in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feature 462 of the branch. It is judged to be inventor talent, original thinking, and stubbornness.

가지 방향 특징(464)은 가지가 위. 하향, 옆으로 뻗은 특징을 포함하는데, 가지가 위로 뻗은 특징일 때에는 감정적 흥분, 갑자기 분노, 현실감 결여의 심리로 판단한다.The branch orientation feature (464) is the branch. It includes features that extend downward and sideways, and when the branches extend upward, it is judged by emotional excitement, sudden anger, and lack of realism.

관 완성도 특징(466)에서 관이 완성된 특징과 관이 윗줄기와 단절된 특징을 고려하여, 후자의 경우에 열등감, 약한 의지, 자존감 결여인 것으로 판단한다.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ted pipe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ipe being disconnected from the upper stem in the pipe completeness feature 466, it is determined that the latter case is inferior, weak will, and lack of self-esteem.

잎 특징(468)이 있는 경우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잎이 없는 나무인 경우에는 열등감, 약한 의지, 자존감 결여의 심리를 보여준다. 반면에 잎이 무성한 특징의 경우에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판단한다. If there is a leaf feature 468, it shows a strong will, and if it is a tree without a leaf, it shows a feeling of inferiority, weak will, and lack of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it is judged that the will is strong in the case of lush features.

뿌리 특징(470)이 땅 위에 보이는 경우에는 피검자가 보수적이며 정확한 스타일일 확률이 크다.When the root feature 470 is visible on the groun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subject is conservative and correct style.

관부 강조위치 특징(472)이 좌측이 강조된 특징인 경우에는 내향적, 냉정함, 침묵의 심리로 판단한다. When the highlight position feature 472 is the highlight feature on the left, it is determined as an introvert, coolness, and silence.

관부 위 줄기표현 특징(474)이 관부 위 줄기를 세부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면 피검자는 개척자이며 현실에 대해 솔직한 심리를 가진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stem representation feature 474 expresses the stem above the tube in detail, it is judged that the subject is a pioneer and has an honest mind about reality.

도 17은 물고기그림 해석부(5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와,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물고기그림 검사는 가족간의 역동성에 관련된 심리 검사이다.17 is a fish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550 for classifying features extracted from the fish picture analysis unit 500 for each label, and determining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fish picture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550. The psychological judgment unit 700 is shown. The fish picture test is a psychological test related to the dynamism of the family.

먼저,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17에서 보듯이, 필압정도 특징(552), 물고기외 장식 특징(554), 물고기 크기 특징(556), 물고기 형태 특징(558), 물고기 이빨 특징(560), 돌의 개수 특징(562), 돌의 크기 특징(564), 구조물 특징(566), 풍선 특징(568)이다.First, the label to be classified by the fish picture feature classifying unit 550, as shown in Figure 17, the pressure rating feature (552), non-fish decorative features (554), fish size features (556), fish shape features (558), Fish tooth features 560, stone number features 562, stone size features 564, structure features 566, balloon features 568.

이러한 각 라벨별로 분류된 물고기그림 특징들은 판단기(50)의 심리 판단부(700)에서 피검자의 심리 판단결과로서 출력된다.The fish picture features classified for each label are output from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of the judge 50 as a psychological judgment result of the examinee.

도 17에 나타낸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와 심리 판단부(7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물고기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17. Before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sh picture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550 and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shown in FIG. 17, first, to assist the understanding, the expert judges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the fish picture drawn by the test subject Introduce.

도 18a와 같이 모양이나 무늬, 색 등으로 화려한 물고기를 그리는 경우는 감정주의인 우뇌 스타일로 정이 많고 감각적인 성향의 소유자일 확률이 크며, 때론 화려하거나 유행에 민감함, 적개심의 경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8b와 같이 지나치게 많은 물풀 속에 물고기가 숨어 있는 것은 숨고 싶어하는 비사회화 경향과 열등감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18c처럼 물고기의 형태가 지나치게 작으면 자존감이 낮고 내향적 성향을 가진 소유자일 확률이 높고, 자아축소, 우울의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도 18d와 같이 내 자신을 그리지 않은 사람은 자신감이 부족하고, 자아 존중감이 낮을 확률이 높다. 또 가족 내에서 불안감을 느끼거나 소속감이 결여된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도 18e와 같이 주변장식에 너무 많이 치중하면 사회화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도 18f와 같이 주변장식을 하지 않고 물고기만 그리는 경우는 인간관계의 관심도나 고민을 나타내며, 인간관계에 있어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판단한다. 도 18g와 같이 산소공급기가 있으면 의존적인 상태나 성격의 경향을 갖는 사람으로 판단한다. 도 18h와 같이 물고기의 형태가 지나치게 크면 자기 중심적이며 외향적인 성격의 소유자일 확률이 크고, 때론 공격적, 조급함, 화를 잘 냄, 과장, 부적절한 보상적 방어 감정, 심한 과잉행동 자기확대욕구, 공상적 자아의 경향을 띠기도 한다.When drawing a colorful fish with a shape, pattern, color, etc., as shown in FIG. 18A, it is highly likely to be an owner of a sentimental and sensuous tendency in the right-brain style, which is an emotionalism. have. It is judged that the presence of fish hiding in too many water pools, as shown in FIG. 18B, means a tendency to desocialization and inferiority to hide. If the shape of the fish is too small, as shown in FIG. 18C,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owner has a low self-esteem and an introverted tendency, and may show a tendency to self-reduction and depression. As shown in Fig. 18D, a person who does not draw himself is less likely to have confidence and has low self-esteem. It also means a feeling of anxiety or lack of belonging in the family. As shown in Fig. 18e, if too much attention is placed on the surrounding decoration, it is judged that he is interested in socialization.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8f, when drawing only fish without surrounding decoration, it indicates the interest or concern of human relations, and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problem in human relations. If there is an oxygen supply as shown in Fig. 18g, it is judged as a person having a dependency state or a tendency of personality. When the shape of the fish is too large, as shown in FIG. 18H, it is highly likely to be a self-centered and extroverted owner, and sometimes aggressive, impatient, angry, exaggerated, improperly compensated defense feelings, severe hyperactivity, self-expansion, and fanciful self It also tends to.

이상의 도 18a~h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물고기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17로 돌아가,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In the case of FIGS. 18A to H described above, a judgment method by an expert is used. In order to automate this, electronic calculation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when the judgment result is reproducible and sustainable. To this end,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determining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the fish picture is returned to FIG. 17,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sychological determination unit 700 that determines the psycholog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by the fish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550 is determined. Explain.

필압 특징(552)이 정돈되지 않았거나 밀도가 약한 상태의 필압 특징이면 소극적이고 자신감이 결여된 상태라고 보여지며 우울한 경향을 띠는 것으로 판단한다. If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552 are not ordered or the density is weak,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o be passive and lack of confidence, and are judged to have a depressive tendency.

물고기외 장식 특징(554)이 주변장식을 하지 않고 물고기만 그린 특징인 경우에는 인간관계에 있어 고민이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decoration feature 554 other than fish is a feature of drawing only fish without surrounding deco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or problem in human relationships.

물고기 크기 특징(556)이 물고기의 형태가 지나치게 작게 표현된 특징인 경우에 자존감이 낮고 내향적 성향을 가진 소유자일 확률이 높고, 자아축소, 우울의 경향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고기의 크기는 어항 대비 물고기의 상대적 크기로 판단가능하다. 또한, 물고기 크기 특징에는 물고기 간의 상대적 크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부모 중 큰 물고기가 가족 내 권력의 중심이며 권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표현은 대개 중심에 부모 물고기가 크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아빠 물고기만 유독 크게 표현되어 있다면, 이는 아빠의 힘이 제일 세다는 상징적 표현이며, 이런 아빠는 권위주의적인 사람일 확률이 크다. When the fish size feature 556 is a feature in which the shape of the fish is expressed too small, it is determined that it is highly likely to be an owner with a low self-esteem and an introverted tendency, and may show a tendency to self-reduction and depression. The size of the fish can be determined by the relative size of the fish compared to the fish tank. In addition, the fish size feature may include the relative size between fish, in which c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arger fish among the parents is the center of power and authority in the family. For example, a common expression is usually that the parent fish is largely drawn in the center. However, if only the fish of the father are expressed in a toxic way, this is a symbolic expression that the power of the father is the strongest, and it is likely that such a father is an authoritarian person.

물고기 형태 특징(558)은 먹이를 먹고 있는 형태, 어항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 어항 위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 물고기간 대화하는 형태의 특징을 포함한다. 먹이를 먹고 있는 물고기의 표현인 경우는 자식을 먹여 살리기 위해 경제적인 면에 열심인 부모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고기가 아래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부터는 피검자가 사고적 성격의 소유자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물고기가 어항 위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부터는 행동적인 면을 중시하는 사람일 확률이 많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물고기 간에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가령, 그 대화 내용이 부모 물고기가 자식 물고기에게 지시를 하고 자식이 그에 대해 대답을 하고 있는 경우라면 피검자의 부모가 지시적인 부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대화 내용이 단절되어 있는 경우라면 가족간의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fish-shaped feature 558 includes features of a type of feeding, a form located under the fish tank, a form located on the fish tank, and a conversation between fish. In the case of the expression of the fish eating the food, it is judged that the expression expresses parents who are eager for economics to feed their children. From the bottom of the fish,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is likely to be an owner of an accidental character. From the fact that the fish is located on the fish tank,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he is a person who values behavioral aspects. And when there is a conversation between the fish, for example, if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is the parent fish instructing the child fish and the child is answering i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arent of the subject is the instructing parent, If the conversation is disconnected, it can be judged that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is not good.

물고기 이빨 특징(560) - 이빨을 드러낸 물고기 또는 이빨이 크게 표현된 물고기가 그려져 있다면 부정적이며 억압 혹은 욕구 불만으로 인한 정서의 공격적 상태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Fish teeth feature (560)-If a fish with teeth exposed or a fish with large teeth is depict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negative expression of the aggressive state of emotion due to oppression or dissatisfaction.

돌의 개수 특징(562)은 어떠한 걱정거리나 문제의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돌 또는 자갈이 많으면 많을수록 걱정이나 문제가 큰 것을 의미한다. 돌의 개수는 사전에 설정된 개수(가령, 3개) 이상인지 그보다 적은지로 파악할 수 있다. The number of stones feature 562 expresses any worry or problem consciousness, and the more stones or gravel, the greater the worry or problem. The number of stones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stones is greater than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3 pieces).

돌의 크기 특징(564)도 또한 어떠한 걱정거리나 문제의식을 표현하는데, 돌이 크면 클수록 걱정이나 문제가 큰 것을 의미하며 그 크기가 매우 크면 비사회화적 성향을 의미하기도 한다. 돌의 크기도 어항의 크기에 대비하여 크다/작다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The size feature 564 of the stone also expresses any worries or problem consciousness. The larger the stone, the greater the worry or problem, and the larger the size, the more unsocialized. The size of the stone is also large/small compared to the size of the fish tank.

구조물 특징(566) - 집 등의 구조물이 있다면 휴식을 원하거나 보호받고 싶은 욕구, 안정된 집에 대한 소원을 갖는 성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Structure characteristics 566-If there is a structure such as a house, it can be interpreted as a desire to rest or be protected, and a tendency to have a desire for a stable house.

말풍선 특징(568)이 추출되었다면, 이는 곧 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족간 소통의 심리인 것으로 판단한다. 말풍선에 기재된 설명을 문자인식하여서 그 대화의 내용도 추론할 수 있다. If the speech bubble feature 568 has been extracted, it means that the conversation is a psychological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can be deduced by text recognition of the description in the speech bub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의 기능(function) 또는 과정(process)을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application-specific IC), 프로그래머블 로직소자(FPGA 등), 기타 전자소자 중의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는 하드웨어 요소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한 하드웨어 요소와 결합되어 또는 독립적으로 소프트웨어로써도 구현 가능한데, 이 소프트웨어는 기록매체에 저장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unction or process of each component i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processor, controller, application-specific IC (ASIC),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etc.),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It can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element that includes at least one and a combination of these.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software, either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elements or independently, which can be stored on a record carrier.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disclosed herein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less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by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4)

피검자가 그린 미술심리검사의 기초자료가 되는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그림 해석기;
상기 그림 해석기에서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추출한 특징을 사전에 정해놓은 라벨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기;
상기 그림해석기에서 해석된 그림으로부터 상기 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특징들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심리상태, 성격, 성향, 가족관계, 좌우뇌 선호도, 사회성, 가족화를 판단하여 판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판단기를 포함하되,
상기 그림 해석기, 분류기, 판단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성되는 학습 및 추론 모델을 포함하고,
상기 그림 해석기는 고양이그림 해석부, 동심원 해석부, 사회성 해석부, 나무그림 해석부, 물고기그림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A picture interpreter that extracts features by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a picture that is the basic data of an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drawn by a subject;
A classifier that classifies the features extracted by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the picture in the picture interpret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abel;
Includes a judgment unit that outputs judgment data by determining the psychological state, personality, propensity, family relations,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sociality, and familyization of the subject using features classified by the classifier from the picture interpreted by the picture interpreter,
At least one of the picture interpreter, classifier, and judger includes a learning and inference model composed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
The picture interpreter is a cat picture analysis unit, a concentric circle analysis unit, a social analysis unit, a wooden picture analysis unit, a fish picture analysis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sh picture analysis unit.
제1항에서, 상기 분류기는
고양이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
동심원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
사회성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
나무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
물고기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를 포함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In claim 1, The classifier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to classify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at picture analysis unit by predetermined labels,
Concentric circl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to classify features extracted from concentric circle analysis units by predetermined labels,
Sociality feature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features extracted from the sociality analysis unit by predetermined labels,
A tree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tree picture analysis unit for each label.
An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device including a fish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fish picture analysis unit by predetermined labels.
제1항에서, 상기 판단기는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성격, 성향, 심리상태, 가족관계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를 포함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In claim 1, wherein the determiner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Psychological judgment unit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inclination, psychological state, family relationship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A familyiz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familyization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device including a sociality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sociality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lassifier.
제2항에서, 상기 판단기는
상기 분류기의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 및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성격, 성향, 심리상태, 가족관계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동심원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사회성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를 포함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In claim 2, The judging machine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left and right brain preference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of the classifier,
Psychological judgment unit to judge the personality, inclination, psychological state, and family relationship of the subject from the features classified in the cat picture feature classification unit, the tree picture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and the fish picture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nit of the classifier,
A familialization judging unit that judges the familialization of the subject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concentric feature classification unit of the classifier,
An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device including a sociality judging unit for judging the sociality of a subject from features classified in the socialistic feature classification unit of the classifier.
KR1020190007051A 2019-01-18 2019-01-18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KR102240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051A KR102240930B1 (en) 2019-01-18 2019-01-18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051A KR102240930B1 (en) 2019-01-18 2019-01-18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021A true KR20200090021A (en) 2020-07-28
KR102240930B1 KR102240930B1 (en) 2021-04-15

Family

ID=7183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051A KR102240930B1 (en) 2019-01-18 2019-01-18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93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41B1 (en) * 2020-07-29 2021-04-01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Image analyz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psychological state of user
KR102240485B1 (en) * 2020-11-06 2021-04-15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Video image total analyz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psychological state of user
CN112674769A (en) * 2020-12-10 2021-04-20 成都探马网络科技有限公司 Psychological test method based on psychological projection
CN114860922A (en) * 2022-03-25 2022-08-05 南京脑科医院 Method for obtaining classification mode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scale, screening method and system
KR102476445B1 (en) * 2021-11-11 2022-12-1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A device that learn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by augmenting art psychological analysis elements from picture data using Partial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WO2024071677A1 (en) *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Children psychological analysis system using image analysis
WO2024106902A1 (en) * 2022-11-15 2024-05-2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ersonality type predi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image data for psychological t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25B1 (en) * 2021-09-03 2023-05-26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Art-based psychological analysis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method for providing psychological analysis result using the same
JP2023543529A (en) * 2021-09-03 2023-10-17 パブロアーツ カンパニー インク. Art psychological analysis data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and efficiently managing art psychological analysis data using the same
WO2023033245A1 (en)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providing synergistic education in which drawing skill evaluation, art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are linked
KR102403704B1 (en)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o provide synergistic education linked to drawing skill evaluation and art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KR102514357B1 (en) 2022-12-06 2023-03-27 김미양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sticker attachment
KR102514361B1 (en) 2022-12-26 2023-03-27 김미양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textbook providing psychological test of subject through sticker attachment and performing psychological test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1B1 (en) *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a drawing
KR101772987B1 (en) * 2017-02-28 2017-08-31 (주)코뮤즈 Method for providing results of psychological tests using scanned image
KR20180013777A (en) * 2016-07-28 2018-02-07 (주) 나무와 숲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rregular data,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1926836B1 (en) * 2018-02-09 2018-12-07 (주)마인드엘리베이션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picture psychological inspection service for psychological scree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1B1 (en) *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a drawing
KR20180013777A (en) * 2016-07-28 2018-02-07 (주) 나무와 숲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rregular data,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1772987B1 (en) * 2017-02-28 2017-08-31 (주)코뮤즈 Method for providing results of psychological tests using scanned image
KR101926836B1 (en) * 2018-02-09 2018-12-07 (주)마인드엘리베이션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picture psychological inspection service for psychological screen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회금, "좌우뇌기능분화와_좌우뇌선호도가_MBTI_심리유형에_미치는_영향", 석사졸업논문, 연세대, 2003년*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41B1 (en) * 2020-07-29 2021-04-01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Image analyz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psychological state of user
KR102240485B1 (en) * 2020-11-06 2021-04-15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Video image total analyz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psychological state of user
CN112674769A (en) * 2020-12-10 2021-04-20 成都探马网络科技有限公司 Psychological test method based on psychological projection
KR102476445B1 (en) * 2021-11-11 2022-12-1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A device that learn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by augmenting art psychological analysis elements from picture data using Partial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CN114860922A (en) * 2022-03-25 2022-08-05 南京脑科医院 Method for obtaining classification mode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scale, screening method and system
WO2024071677A1 (en) *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Children psychological analysis system using image analysis
WO2024106902A1 (en) * 2022-11-15 2024-05-2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ersonality type predi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image data for psychological t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930B1 (en)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0021A (en)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Asimov The end of eternity
Kukkonen Probability designs: Literature and predictive processing
Shulman More than real: A history of the imagination in South India
Bush et al. Early Chinese texts on painting
Kenneally The first word: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language
Blaise Fabricated childhoods: Uncanny encounters with the more-than-human
Küplen Beauty, ugliness, and the free play of imagination
Mellick The art of dreaming: Tools for creative dream work
Pindyck et al. A poetry pedagogy for teachers: Reorienting classroom literacy practices
Laage Embodying the spirit: The significance of the body in the contemporary Japanese dance movement of Butoh
Bramston et al. Basics Product Design 03: Visual Conversations
Butling Seeing in the Dark: The Poetry of Phyllis Webb
Bach The animal continuum in A Midsummer Night's Dream
Sternberg et al. Kitsch
Ngai The cute
Subramaniam How a philosopher reads Kālidāsa: Vedāntadeśika’s art of devotion
Warchoł Conceptual Blending and the Arts: An Analysis of Michał Batory’s Posters
Inglesby Ferrules of engagement: the speech of unheard things in Ulysses
Williams Wild and well: An autobiographical manifesto for the love of black girls
Örsel An exploration of metaphors in WB Yeats' poetry through metaphor theory
Coyne Painting Pictures with Words-From Theory to System
Lieber The essential guide to Jewish prayer and practices
Hempstead " I Am Made and Remade Continually:" The Broken Subject and Autofiction in Nella Larsen and Virginia Woolf
Ouellette Mariners, Renegades and Castaways: Personhood and Narrative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