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978A -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978A
KR20200089978A KR1020190006944A KR20190006944A KR20200089978A KR 20200089978 A KR20200089978 A KR 20200089978A KR 1020190006944 A KR1020190006944 A KR 1020190006944A KR 20190006944 A KR20190006944 A KR 20190006944A KR 20200089978 A KR20200089978 A KR 20200089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antioxidant
weight
antioxid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미숙
고재영
김용진
박녹현
이은수
이정미
김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00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978A/ko
Publication of KR2020008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녹나무잎, 은행나무잎 및 삼나무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가 탁월하며, 상기 조성물은 효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Cinnamomum camphora, Ginkgo biloba and Cryptomeria japonica}
본 명세서에는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노화를 촉진하는 원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자유 라디칼 (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 (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상당히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에너지 대사 과정, 면역 반응 등에서 필수 불가결하게 생성되며, 외부의 유해 환경에 의해서도 유발되는 피할 수 없는 요소이다.
활성산소는 반응성이 매우 커서 체내에서 DNA 변성, 과도한 신호전달 유발 및 단백질 변성 등을 초래하여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누적하는 일련의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활성산소는 피부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물질은 멜라닌과 주름을 생성시키는 원인 물질로 작용한다. 이러한 유해한 반응들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 (uric acid, vit.C, vit.E 등) 또는 항산화 효소 (glutathione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catalse 등)에 의해 정교하게 그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산소종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생성된 활성산소종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KR 10-2015-0071967 A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현저하게 개선된 항산화 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녹나무잎, 은행나무잎 및 삼나무잎의 혼합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및 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및 당류가 1 : 1 내지 9 : 1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C1-C4 알코올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당류는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당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효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효모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과 효모 추출물은 1 : 10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 용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현저하게 개선된 항산화 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험예에 따라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저장 안정성 및 피부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항산화에 현저하게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혼합 추출물은, 하나의 추출 원료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들의 혼합물, 2 이상의 추출 원료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의 혼합물, 또는 3가지의 추출 원료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녹나무 (Cinnamomum camphora)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제주도 및 남부 도서지방에 분포한다. 방풍림, 풍치수로 식재되며, 일본에서는 녹나무의 특이한 향기 때문에 가로수, 정원수 등으로 흔히 식재되고 있으며, 목재는 건축재, 선박재로 쓰인다.
은행나무 (Ginkgo biloba)는 낙엽교목으로 가로수, 풍치수로 주로 식재되는 나무이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조각재, 바둑판 등으로, 열매는 식용으로, 잎은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는 우리나라 남부 지역, 일본, 대만의 주요 조림수종으로, 겨울철의 추위가 심하지 않고 상대습도가 높은 비옥지에서 잘 자란다. 방풍, 산림녹화용으로 많이 식재되고 생울타리용으로도 이용된다. 잎은 향료의 원료로 쓰이고, 나무껍질은 염색제, 선박의 물막이 등으로 이용된다. 근피는 삼목근피라 하여 약용에 이용되고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녹나무잎, 은행나무잎 및 삼나무잎의 혼합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세 가지 식물의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항산화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효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Saccharomyces sp.),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속 (Schizosaccharomyces sp.), 토룰로프시스 속 (Torulopsis sp.), 로도토룰라 속 (Rhodotorula sp.) 및 칸디다 속 (Candida s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시판되는 것을 이용하거나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의 가공물, 예를 들어 건조, 농축, 분획, 정제, 발효, 현탁 등 추가적인 가공에 의한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추가적인 가공은 1 이상의 가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조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 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순차적인 용매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도 본 명세서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유효성분의 추출 정도나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열수 추출법, 침지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냉침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아임계 추출법, 용매 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고온 추출법, 고압 추출법,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한 추출법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나 자연발효대사 등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일 수 있으며, 추출 이후 감압증류, 감압농축,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및 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및 당류로 이루어진 용매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및 당류가 1 : 1 내지 9 : 1 내지 9, 1 : 1 내지 7 : 1 내지 7, 1 : 1 내지 5 : 1 내지 5 또는 1 : 1 내지 3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 추출물인 것이 항산화 효능 증진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C1-C4 알코올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당류는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당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당류는 글루코스 (glucose), 프룩토스 (fructose), 만노스 (mannose). 갈락토스 (galactose) 및 자일로스 (xy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당류는 크로스 (sucrose), 락토스 (lactose), 말토스 (maltose), 트레할로스 (trehalose), 멜리비오스 (melibiose) 및 셀로비오스 (cellobi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다당류는 라피노스 (raffinose), 스타키오스 (stachyose), 스타치 (starch), 덱스트린 (dextrin), 글리코겐 (glycogen), 셀룰로오스 (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 (hemicellulose) 및 자일란 (xyl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당알코올은 소르비톨 (sorbitol), 만니톨 (mannitol), 이디톨 (iditol), 자일리톨 (xylitol) 및 에리트리톨 (Erythr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이고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효모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효모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이고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과 효모 추출물은 1 : 10 내지 10 : 1의 중량비, 1 : 8 내지 8 : 1의 중량비 또는 3: 7 내지 7 : 3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 용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 용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제, 점적제, 크림제, 연고제, 패취제, 패드제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부형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001 mg/g/일 내지 100 mg/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g/g/일 내지 50 mg/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효성분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침출차, 액상차, 음료,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또는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또는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명세서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혼합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습윤화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비교예 1. 녹나무잎 추출물의 제조
글리세롤, 물, 당알콜을 3 : 1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에서 2~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녹나무잎을 마쇄하여 투입하고 1시간 동안 추출하여 비교예 1의 녹나무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은 필터를 사용하여 용액만 분리하였다.
비교예 2. 은행나무잎 추출물의 제조
글리세롤, 물, 당알콜을 3 : 1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에서 2~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은행나무잎을 마쇄하여 투입하고 1시간 동안 추출하여 비교예 2의 은행나무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은 필터를 사용하여 용액만 분리하였다.
비교예 3. 삼나무잎 추출물의 제조
글리세롤, 물, 당알콜을 3 : 1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에서 2~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삼나무잎을 마쇄하여 투입하고 1시간 동안 추출하여 비교예 3의 삼나무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은 필터를 사용하여 용액만 분리하였다.
비교예 4. 효모 추출물의 제조
먼저, 1 L의 정제수에 탄소원, 질소원, 인산염, 무기염류 및 미량영양성분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 5.5~6.5로 조절된 배지에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여 25~35 ℃에서 증식시킨 다음, 물에 용해시켜 여과에 의해 용해된 부분과 용해되지 않는 부분을 분리한 후, 용해된 부분을 별도로 취해 농축하여 비교예 4의 효모 추출물 (yeast extract)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효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과 비교예 4의 효모 추출물을 10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2의 효모 추출물 함유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지 5.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중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예 3의 화장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2.00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5.00
에틸 알코올 7.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40
방부제 적량
적량
하기 표 2의 조성 (중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예 4의 유액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0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20
세테아릴알코올 0.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6.50
디메치콘올 2.00
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50
정제수 잔량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5.00
프로필렌글라이콜 5.00
글리세린 2.00
방부제 적량
적량
하기 표 3의 조성 (중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예 5 및 비교예 5의 영양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비교예 5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0 글리세린 3.00
부틸렌글라이콜 5.00 부틸렌글라이콜 5.00
카보머 0.10 카보머 0.10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0.50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8.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8.00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5.00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5.0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4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40
세테아릴 알코올 1.00 세테아릴 알코올 1.00
방부제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0 트리에탄올 아민 0.10
실험예 1. 항산화 효능 평가
상기 제조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DPPH는 구별되는 ESR (electron spin resonance) 시그널을 나타내는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 항산화제와 반응하여 ESR 시그널의 손실이 나타나거나 540 nm에서 흡광도의 감소가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DPPH 시약 (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aldrich)을 에탄올에 100 uM 농도로 5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완전히 녹였다. 추출물을 적정 농도로 에탄올에 녹여서 준비하고, 연속 희석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준비된 DPPH 용액 190 ul와 샘플 10 ul를 분주하고 37 ℃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 다음,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 내지 3의 녹나무잎 추출물, 은행나무잎 추출물 및 삼나무잎 추출물에 비해 실시예 1 및 2의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5 및 비교예 5의 영양크림으로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20대 내지 60대의 건강한 여성 100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한 그룹은 상기 실시예 5의 영양크림을 하루 두 차례 도포하도록 하고 다른 그룹은 상기 비교예 5의 영양크림을 하루 두 차례 도포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으로 나누어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 및 보습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름 개선 효과
(응담자수)
보습 효과
(응답자수)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 5의 영양 크림 4 27 16 3 6 30 12 2
비교예 5의 영양크림 1 3 30 16 1 1 34 14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형예 1] 스킨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스킨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5.5
폴리솔베이트 80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로션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로션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에센스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0.5
세틸옥타노에이트 1.0
옥틸도데세스-16 0.5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0.2
폴리실록산 0.4
초산토코페롤 0.1
에탄올 6.0
글리세린 15.0
잔탄검 0.07
프로필렌글리콜 4.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1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크림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젤
하기 표 9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0.5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
세틸옥타노에이트 1.0
글리세린 5.0
호호바왁스 3.0
디엘판테놀 1.0
에탄올 7.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6
프로필렌글리콜 3.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팩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프로필렌글리콜 3.0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이상,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녹나무잎, 은행나무잎 및 삼나무잎의 혼합 추출물인, 항산화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및 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 추출물인, 항산화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및 당류가 1 : 1 내지 9 : 1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 추출물인, 항산화용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C1-C4 알코올인, 항산화용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당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항산화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항산화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효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항산화용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항산화용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과 효모 추출물은 1 : 10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항산화용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항산화용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 용도를 갖는, 항산화용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용도를 갖는, 항산화용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190006944A 2019-01-18 2019-01-18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00089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944A KR20200089978A (ko) 2019-01-18 2019-01-18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944A KR20200089978A (ko) 2019-01-18 2019-01-18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978A true KR20200089978A (ko) 2020-07-28

Family

ID=7183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944A KR20200089978A (ko) 2019-01-18 2019-01-18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99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967A (ko) 2013-12-19 2015-06-2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샤스타데이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967A (ko) 2013-12-19 2015-06-2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샤스타데이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833018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0813B1 (ko)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KR101227171B1 (ko) 아피오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21137B1 (ko)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위도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9978A (ko) 녹나무, 은행나무 및 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00820B1 (ko) 프로방스장미꽃잎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50144129A (ko)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1810B1 (ko) 안젤리카 및 크랜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599A (ko) EGF 및 hGH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3956B1 (ko) 그린 토마토 뽕나무버섯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40B1 (ko) 튤립 잎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및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96500B1 (ko)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