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748A - 조리 기구 - Google Patents

조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748A
KR20200089748A KR1020207018892A KR20207018892A KR20200089748A KR 20200089748 A KR20200089748 A KR 20200089748A KR 1020207018892 A KR1020207018892 A KR 1020207018892A KR 20207018892 A KR20207018892 A KR 20207018892A KR 20200089748 A KR20200089748 A KR 2020008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uction
lid body
electromagne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545B1 (ko
Inventor
바오민 양
디옌궈 판
중바오 저우
야 저우
신화 허
샤오리 류
샤오카이 류
위화 황
이 쑨
페이 러우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861605.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2231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446836.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965665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886233.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2245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448387.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96566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885605.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2231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885495.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22311U/zh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200), 개폐 가능하게 피봇으로 베이스에 장착되는 뚜껑 본체(100), 베이스와 뚜껑 본체 사이의 피봇 연결부에 설치되는 피봇 스프링(1) 및 베이스와 뚜껑 본체의 피봇 연결부에 상대한 말단부에 설치된 흡인 폐쇄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를 개시한다.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자성으로 뚜껑을 개폐하는데 사용되고 자성체(3)와 철심 막대(4)를 포함하며, 자성체와 철심 막대 중 하나는 베이스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뚜껑 본체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자성체는 철심 막대를 자기 흡인하여 뚜껑 본체를 잠근다. 그 중, 뚜껑 본체가 폐쇄 상태인 경우, 뚜껑 본체와 베이스 사이의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피봇 스프링의 복귀 회전력 M2는 자성체와 철심 막대 사이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 M3과 뚜껑 본체의 중심 회전력 M1의 합보다 작아, 뚜껑 본체 자동 잠금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뚜껑 개폐 구조는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매개 변수 설계가 합리하고, 뚜껑 개폐 제어가 정밀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편리하다.

Description

조리 기구
본 발명은 가전제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밥솥 등 가전제품에서는 윗 뚜껑이 밥솥 본체에 편리하게 덮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뚜껑 잠금 기구를 설계하여 잠그며, 이와 같은 뚜껑 잠금 기구는 흔히 누름식 잠금 기구 등과 같은 기계식 스냅핏 잠금 구조이다.
제품에 증설하는 기계식 스냅핏 잠금 구조는, 제품 외관을 지나치게 영향 주지 않도록 구조가 치밀하고 공간을 적게 점해야 하지만, 많건 적건 제품 외관을 복잡하게 하여 제품 외관 설계에 영향을 준다.
또한, 원활한 뚜껑 개폐 조작을 위해, 기계식 스냅핏 잠금 구조는 치수가 작아야 할 뿐만 아니라 아주 정확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탈되거나 뚜껑을 닫지 못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을 바로 영향 주게 된다.
또한, 기계식 스냅핏 잠금 버튼은 흔히 뚜껑 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조작할 때 고온 증기에 손을 쉽게 델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 개폐 구조가 간단하고, 원가가 낮으며, 제어가 정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편리한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와 뚜껑 본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를 제공하며, 상기 뚜껑 본체는 개폐 가능하게 피봇으로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베이스와 뚜껑 본체 사이의 피봇 연결부에 설치되는 피봇 스프링; 및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제2 흡인 폐쇄 부품을 포함하는 흡인 폐쇄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상기 제2 흡인 폐쇄 부품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뚜껑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흡인 폐쇄 부품은 상기 제2 흡인 폐쇄 부품과 서로 흡인되어 상기 뚜껑 본체를 상기 베이스에 잠근다.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 본체가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뚜껑 본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상기 피봇 스프링의 복귀 회전력 M2는 상기 자성체와 철심 막대 사이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 M3과 상기 뚜껑 본체의 중심 회전력 M1의 합보다 작다.
또한, M3-(M2-M1)>1Nm을 만족한다.
또한, M3-(M2-M1)<15Nm을 만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바람직하게 자기 흡인 잠금 컴포넌트이고, 상기 피봇 연결부에 상대한 말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각각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제2 흡인 폐쇄 부품으로 되는 제1 자기 흡인 부품과 제2 자기 흡인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기 흡인 부품과 상기 제2 자기 흡인 부품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뚜껑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자기 흡인 부품은 상기 제2 자기 흡인 부품과 자기 흡인되어 상기 뚜껑 본체를 상기 베이스에 잠그도록 협력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흡인 폐쇄 부품은 자성체이고, 상기 제2 흡인 폐쇄 부품은 철심 막대이다. 자성체는 영구자석일 수 있고, 전자석일 수도 있으며, 철심 막대는 단독 철 막대 또는 철 조각일 수 있고, 전자석의 철심일 수도 있다.
그 중 바람직하게, 상기 철심 막대는 상기 뚜껑 본체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에 상대한 접근 위치와 멀리 떨어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축 가동 막대이다.
그 중, 상기 접근 위치에서, 상기 뚜껑 본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상기 자성체와 철심 막대 사이의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 M3과 상기 뚜껑 본체의 중심 회전력 M1의 합은 상기 피봇 스프링의 복귀 회전력 M2보다 커서 상기 뚜껑 본체를 잠글 수 있다.
상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와 철심 막대 사이의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 M3과 상기 뚜껑 본체의 중심 회전력 M1의 합은 상기 피봇 스프링의 복귀 회전력 M2보다 작아 상기 뚜껑 본체를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 기구는 토글 스위치를 갖는 토글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글 스위치를 촉발하면 상기 토글 기구는 상기 철심 막대를 상기 접근 위치에서 상기 멀리 떨어진 위치를 향해 움직인다. 즉, 토글의 기계적 움직임을 통해 자성체와 철심 막대의 간격을 조절하여 서로 흡인하는 자기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조리 기구는 전자석을 갖는 전자석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은 철심 막대와 상기 철심 막대를 감는 전기전도 권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석 회로에는 상기 전자석에 전기가 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회로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다. 회로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전자석 회로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전자석에 전기가 통하는 여부를 제어하고, 더 나아가 서로 흡인하는 자기력을 제어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로 온오프 스위치가 도통된 경우, 상기 철심 막대는 상기 접근 위치에서 상기 멀리 떨어진 위치를 향해 이동하여 더 나아가 상기 전자석의 전기전도 권선 내에 삽입하도록 설치된다. 그 중, 상기 철심 막대의 자성체에 상대한 접근 단부는 스터브 엔드로 형성되어 자기 흡인 폐쇄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석 회로는 상기 전자석을 흘러 지나는 전류의 흐름방향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는 상기 전자석으로 하여금 상기 자성체에 상대한 자기 반발력을 생성하여 상기 뚜껑 본체를 개방하거나, 스위칭하여 상기 자성체에 상대한 자기 흡인 폐쇄력을 생성함으로써 뚜껑 본체가 자동으로 잠길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 본체의 폐쇄 상태 및 상기 전자석의 전기전도 상태에서, 상기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상기 자성체와 상기 전자석 사이의 자기력을 배척하는 자기 반발 회전력 M4와 상기 피봇 스프링의 복귀 회전력 M2의 합은 상기 뚜껑 본체의 중심 회전력 M1보다 크다.
또한, M4+M2-M1>1Nm을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석 회로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갖는 슬라이드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를 움직이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자성체의 자기 흡인 폐쇄력을 변화함으로써, 상기 뚜껑 본체를 잠그거나 개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저항기를 통해 자기 흡인력의 크기를 조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석은 교류 전자석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체는 전자석일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흡인 폐쇄 컴포넌트가 제1 자기 흡인 부품 및 제2 자기 흡인 부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리 기구는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는 자기력 차단 재질의 자기력 차단판과 복귀 스프링을 갖는 자기력 차단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 차단 버튼은 자기 흡인을 억제하기 위해 누름 상태에서 상기 자기력 차단판을 구동하여 상기 제1 자기 흡인 부품과 제2 자기 흡인 부품 사이에 넣는다.
그 중, 상기 자기력 차단판은 일단부가 개방된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기력 차단 버튼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제1 자기 흡인 부품 또는 제2 자기 흡인 부품은 상기 프레임 구조 내에 제한된다.
그 중, 상기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자기력 차단판은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합금 판재, 스테인리스강 판재 또는 구리 판재 등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 기구는 전기 밥솥이다. 그 중, 상기 뚜껑 본체는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윤곽이며, 상기 직사각형 윤곽은 차례대로 연결되는 제1 직사각형변, 제2 직사각형변, 제3 직사각형변과 제4 직사각형변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본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피봇 경첩점은 상기 제1 직사각형변의 중점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상기 제3 직사각형변의 중점 위치와, 상기 제2 직사각형변 및 상기 제4 직사각형변의 대칭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구에서는 흡인 폐쇄 컴포넌트로 일반적인 기계식 스냅핏 잠금 구조를 대체하고, 흡인 폐쇄 컴포넌트의 두 개 자성체 유닛은 각각 뚜껑 본체와 베이스에 설치될 수 있으며, 뚜껑 폐쇄 시, 상, 하 위치를 맞추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높은 정밀도의 제조와 조립이 필요하지 않고, 조립 후 제품 외관을 영향 주지 않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더욱 편리하고, 버튼 조작만으로 자기 흡인 또는 자기 반발 효과를 제어하여 뚜껑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구조에 기초하여, 매개 변수 설계 등을 최적화함으로써, 훌륭한 뚜껑 본체 자동 잠금 및 자동 개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절약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하며, 전체 원가가 저렴하여, 서로 다른 조리 기구에 더 많이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이후 구체적인 실시양태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더 한층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며, 이하 구체적인 실시양태와 함께 본 발명을 해석하는데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조리 기구의 뚜껑 개폐 기구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조리 기구의 뚜껑 개폐 기구의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 기구가 뚜껑 개방 방지 단계(뚜껑 자동 잠금)의 뚜껑 개폐 기구의 설명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 기구가 뚜껑 개방 필요 단계의 뚜껑 개폐 기구의 설명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 기구가 뚜껑 개방 후의 구조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조리 기구의 뚜껑 개폐 기구의 설명도로서, 뚜껑 개방 방지 단계의 뚜껑 개폐 기구의 회전력 분석을 나타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 기구가 뚜껑 개방 필요 단계의 뚜껑 개폐 기구의 회전력 분석을 나타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조리 기구의 뚜껑 개폐 기구의 설명도;
도 9는 도 8 중의 흡인 폐쇄 컴포넌트 부분의 국부적 확대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조리 기구가 뚜껑 개방 필요 단계의 구조 설명도;
도 11은 도 10 중의 흡인 폐쇄 컴포넌트 부분의 국부적 확대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조리 기구가 뚜껑 개방 후의 구조 설명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조리 기구의 뚜껑 개폐 기구의 설명도로서, 자기력 차단 버튼 누름 전, 버튼 누름 후 및 뚜껑 개방 후의 과정을 차례대로 나타내고;
도 16은 전기 밥솥에서 흡인 폐쇄 컴포넌트의 각 가능한 설치 위치를 나타내며;
도 17은 일 예시의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의 회로 원리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기술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해석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반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사용되는 위치 단어, 예를 들어 “상, 하, 상단, 하단”은 일반적으로 첨부 도면에 표시된 방향이나 직립, 수직 또는 중력 방향에 대해 말하는 각 부품의 상호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단어이다.
본 발명은 신형 조리 기구를 제공하며, 도 1을 참조하면, 당해 조리 기구는 베이스(200)와 뚜껑 본체(100)를 포함하며, 뚜껑 본체(100)는 개폐 가능하게 피봇으로 베이스(200)에 장착된다. 그 중, 베이스(200)와 뚜껑 본체(100) 사이의 피봇 연결부에는 피봇축(2)에 겹쳐 설치되는 피봇 스프링(1)(예를 들어 비틀림스프링 등)이 설치되고, 베이스(200)와 뚜껑 본체(100)의 피봇 연결부에 상대한 말단부에는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흡인 폐쇄 컴포넌트가 설치된다.
뚜껑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제2 흡인 폐쇄 부품을 포함하며,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제2 흡인 폐쇄 부품 중 하나는 베이스(200)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뚜껑 본체(100)에 설치되며,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제2 흡인 폐쇄 부품은 서로 흡인되어 뚜껑 본체(100)를 베이스(200)에 잠근다. 이런 흡인 폐쇄 컴포넌트의 흡인 폐쇄 방식도 다양한 것으로, 예를 들어, 진공 흡인 폐쇄 방식일 수 있고,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자기 흡인 잠금 방식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흡인 폐쇄 컴포넌트로 종래의 기계식 스냅핏 잠금 구조를 대체하였음이 명백하다.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구조 배합이 필요 없고,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 없으며, 제조 정밀도, 조립 형태 위치 정밀도 등 요구가 낮고, 심지어 노출식에 국한 받지 않고 제품 본체 내에 숨기는 은폐식 설계를 할 수 있으며, 제품 외관을 전혀 영향 주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양태에서, 단지 뚜껑 본체(100)와 베이스(200)의 각 말단부에 자성체(3)를 각각 장착하므로써, 간단하게 자기 흡인 덮힘을 실현할 수 있으며, 그 중, 제1 흡인 폐쇄 부품(또는 제1 자기 흡인 부품이라 칭함)과 제2 흡인 폐쇄 부품(또는 제2 자기 흡인 부품이라 칭함)은 전부 자성체(3)이다. 뚜껑 폐쇄 시, 자성체(3) 사이의 자기 흡인력을 통해 뚜껑 본체 자동 잠금을 실현한다. 뚜껑 개방이 필요한 경우, 수동 조작에 의해 인력으로 뚜껑을 열면 된다.
자성체(3)는 영구자석에 국한되지 않고, 자기 흡인력 조절이 가능한 전자석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양태의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제1 흡인 폐쇄 부품으로서의 자성체(3)와 제2 흡인 폐쇄 부품으로서의 철심 막대(4)를 갖는 전자석 회로를 포함하며, 자성체(3)와 전자석 회로 중 하나는 베이스(200)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뚜껑 본체(100)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자성체(3)는 철심 막대(4)를 자기 흡인하여 뚜껑 본체(100)를 잠근다. 그 중, 철심 막대(4) 자체와 자성체(3) 사이에는 자기 흡인력이 존재하며, 전기전도를 통해 전자석을 형성한 후 자기 흡인력을 증가할 수 있으나, 자기 반발력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전자석 회로의 도움을 추가적으로 받아 뚜껑 자동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뚜껑 개방 방지 단계에서, 뚜껑 본체 자동 잠금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전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증강된 자기 흡인력, 즉 도면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Fa가 생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뚜껑 개방 필요 단계에서는 전자석의 극성을 바꿔서, 전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자기 반발력 Fb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뚜껑이 개방되게 하며, 자동으로 뚜껑이 개방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 회로에는 회로 온오프 스위치(5)가 설치되어 전자석에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회로 온오프 스위치(5)가 눌러져 전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증강된 자기 흡인력이 생성되는 경우, 당해 회로 온오프 스위치(5)는 뚜껑 본체 자동 잠금 스위치 버튼을 구성한다. 회로 온오프 스위치(5)가 눌러져 전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증강된 자기 반발력이 생성되는 경우, 당해 회로 온오프 스위치(5)는 뚜껑 개방 버튼을 구성한다.
통상적으로, 전자석 회로는 조리 기구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즉 일반적으로 교류 전자석이다. 물론, 전자석 회로는 전원 배터리와 같이 자체로 전원을 가질 수도 있으며, 직류 전자석을 구성한다. 교류 전자석은 흡인력이 항구불변하는 특점을 갖고 있지만, 흡인 폐쇄 과정에 미세한 진동이 발생하여, 전자석의 권선이 과열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들은 잘 알 것이다. 직류 전자석은 흡인 폐쇄 과정에 진동을 산생하지 않고, 코일이 과열되지 않으나, 흡인력은 점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전자석의 전기 연결 형태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구체적인 제품 수요에 따라 구체적인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여기서 더 이상 과다하게 논술하지 않는다.
전자석 회로가 조리 기구의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품에 전기가 통하지 않으면, 자성체(3)와 철심 막대(4)의 흡인 폐쇄력에 의거하여 뚜껑 본체의 자동 잠금을 실현하고, 인력으로 뚜껑 본체(100)를 개방한다. 제품에 전기가 통하면 전자석에 의해 자동 잠금을 더 한층 증강할 수 있으며, 전자석의 극성 방향 전환을 통해, 뚜껑 본체(100)의 자동 개방을 실현할 수 있다.
그 중, 교류 전원을 연결하든지 직류 전원을 연결하든지 막론하고, 전자석 회로는 모두 바람직하게 전자석을 흘러 지나는 전류의 흐름방향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를 포함하여, 뚜껑 개폐 시 적시에 전자석의 극성 방향 전환을 실현한다. 즉,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는 전자석으로 하여금 자성체(3)에 상대한 자기 반발력을 생성하여 뚜껑 본체(100)를 개방하거나, 스위칭하여 자성체(3)에 상대한 자기 흡인 폐쇄력을 생성함으로써 뚜껑 본체가 자동으로 잠길 수 있도록 한다. 이런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는 전원 제어 유닛의 프로그램 설정을 통해 실현되며, 간단한 브리지 스위치 회로를 통해 실현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시에서, 두 개의 연동 스위치(9)는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를 구성한다. 즉 브리지 회로를 결합하여 전자석의 흐름 방향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의 외부 표시는 실체 스위치일 수 있고, 스크린의 가상 디스플레이 버튼 등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상식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자기 흡인력 또는 자기 반발력의 크기 점진적 변화 조절을 더 한층 실현하고, 자동 잠금 또는 자동 뚜껑 개방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전자석 회로의 전류 크기를 변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런 전류 크기 조절은 다양한 간단한 외부 회로를 통해 실현되거나 제어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 회로는 전자석과 병렬 연결된 슬라이드 스위치를 갖는 슬라이드 저항기(8)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스위치를 움직이어 전자석과 자성체(3)의 자기 흡인 폐쇄력을 변화함으로써 뚜껑 본체(100)를 잠그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저항기(8)를 결합하여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전자기 흡인 폐쇄력의 점진변화 조절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철심 막대(4)는 바람직하게 자성체(3)에 상대한 접근 위치와 멀리 떨어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축 가동 막대이며, 뚜껑 본체(100)가 폐쇄 상태인 경우, 접근 위치에서, 철심 막대(4)와 자성체(3)의 자기 흡인력은 크고, 뚜껑 본체(100)가 폐쇄 상태인 경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철심 막대(4)와 자성체(3)의 자기 흡인력은 약화되며, 뚜껑 본체(100)는 자동으로 도 12에 도시된 뚜껑 개방 상태로 될 때까지 피봇으로 열린다. 이와 같이, 철심 막대(4)의 이동 노정, 간격 등 매개 변수를 설계함으로써, 자동 뚜껑 잠금, 뚜껑 개방을 훌륭하게 완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도 9에 도시된 접근 위치에서, 철심 막대(4)와 자성체(3)의 최소 간격은 a이고, 뚜껑 본체(100)와 베이스(200) 사이의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자성체(3)와 철심 막대(4) 사이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과 뚜껑 본체(100)의 중심 회전력의 합이 피봇 스프링(1)의 복귀 회전력보다 크도록 확보하여, 뚜껑 본체를 잠글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도 10, 도 11에 도시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철심 막대(4)와 자성체(3)의 최소 간격은 b로 확대되고, 자성체(3)와 철심 막대(4) 사이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과 뚜껑 본체(100)의 중심 회전력의 합이 피봇 스프링(1)의 복귀 회전력보다 작도록 확보하여, 자동으로 뚜껑 본체(100)를 개방할 수 있어야 한다. 뚜껑 본체(100) 개방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의 철심 막대(4)는 다시 도 8, 도 9에 도시된 철심 막대 위치로 복귀한다.
뚜껑 개폐를 실현하기 위해 철심 막대(4)가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일 구현형태에서, 조리 기구는 토글 스위치를 갖는 토글 기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토글 스위치 촉발 시, 토글 기구는 철심 막대(4)를 접근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로 움직인다. 즉 외력에 의거해 철심 막대(4)를 이동하여 자성체(3)에서 멀리 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토글 스위치는 뚜껑 개방 버튼을 구성한다. 통상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 막대(4)는 뚜껑 본체(100) 내에 설치된다. 이때, 토글 스위치도 상응하게 뚜껑 본체(100)의 표면 뚜껑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용이하도록 한다.
상술한 철심 막대(4)는 단독 철 막대 또는 철 조각일 수 있다. 또한,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전자석이 설치된 전자석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은 철심 막대(4)와 철심 막대(4)를 감는 전기전도 권선을 포함한다. 이때, 철심 막대(4)는 전자석의 감응 철심이고, 전기전도 상태에서, 철심 막대(4)가 자기 흡입에 의해 자성체(3)에서 자동으로 멀어지게 하여, 도 9 상태에서 도 11의 상태로 변경된다. 이때, 전자석 회로는 철심 막대 이동 제어밸브로 사용되는 회로 온오프 스위치(5)를 포함하며, 회로 온오프 스위치(5)가 도통된 상태에서, 철심 막대(4)는 접근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를 향해 이동하여 더 나아가 전기전도 권선 내에 삽입된다. 또한, 회로 온오프 스위치(5)가 도통된 상태에서, 전자석으로 하여금 자성체(3)에 상대한 자기 반발력을 생성하게 할 수도 있어, 뚜껑 본체(100)를 개방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그 중 바람직하게, 철심 막대(4)의 자성체(3)에 상대한 접근 단부는 자기 흡인에 편리하기 위한 스터브 엔드(41)로 형성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또한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를 증설하였고, 당해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는 이동 설치되는 자기력 차단판(6)을 포함하며, 당해 자기력 차단판(6)은 상부 자기 흡인체와 하부 자기 흡인체 사이에 밀어 넣거나 이출되어 상응하게 뚜껑 본체(100)를 개방하거나 흡인 폐쇄할 수 있다. 이런 차기력 차단 컴포넌트의 뚜껑 개폐 제어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전자석 자극 방향전환 방식에 비해, 원가가 더욱 저렴하고, 조작도 간단하고 편리하다.
그 중,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의 역할은 제어 가능하게 상부 자기 흡인체와 하부 자기 흡인체 사이(즉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제2 흡인 폐쇄 부품 사이)에 들어가 양자 사이 자기 흡인력을 차단하거나 감소함으로써, 뚜껑 개방을 제어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는 복귀 스프링을 갖는 자기력 차단 버튼(7)을 포함하며, 자기력 차단 버튼(7)은 자기력 차단판(6)을 연결하고, 자기 흡인을 억제하기 위해 버튼 누름 상태에서 자기력 차단판을 구동하여 상부 자기 흡인체와 하부 자기 흡인체 사이에 넣는다. 뚜껑 본체(100)가 개방된 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 차단 버튼(7)을 해제하면`자기력 차단 버튼(7)은 복귀 스프링을 통해 순조롭게 누름 전 상태로 복귀한다.
그 중, 자기력 차단판(6)은 조각형을 나타내며, 상부, 하부 자석 흡인체 사이에 삽입될 수 있지만, 보다 훌륭한 자기력 차단 효과를 감안하여, 도시된 자기력 차단판(6)은 바람직하게 일단부가 개방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며, 자기력 차단 버튼(7)의 버튼 누름 상태에서, 상부 자기 흡인체 또는 하부 자기 흡인체는 완정하게 프레임 구조 내에 제한된다.
자기력 차단판(6)은 자기력을 차단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모든 재질일 수 있으며, 흔히 알루미늄재, 알루미늄합금 판재, 트레인리스강 판재 또는 구리 판재 등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뚜껑 본체(100)를 피봇으로 개방해야 하기에,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 차단 버튼(7)은 뚜껑 개방 건으로 바람직하게 베이스(200)에 설치되며, 이렇게 하면 뚜껑 개방 시 뚜껑 본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 증기에 손이 데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상부 자석 흡인체와 하부 자석 흡인체는 뚜껑 폐쇄 상태에서 전부 자극 상호 흡인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상부, 하부 자석 흡인체는 전부 영구 자석이거나, 또는 상부 자석 흡인체와 하부 자석 흡인체 중 어느 하나는 영구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철 조각일 수 있다. 또한, 상부 자석 흡인체와 하부 자석 흡인체 중 어느 하나는 교류 전원이 연결된 교류 전자석과 같은 전자석일 수 도 있다. 전자석의 전자석 회로에는 바람직하게 회로 온오프 스위치(5)가 설치되어 전자석(5)에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회로 온오프 스위치(5),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 슬라이드 저항기(8)의 슬라이드 스위치 및 자기력 차단 버튼(7) 등은 단독으로 뚜껑 개방 누름 스위치를 이루거나, 결합 사용될 수도 있어, 뚜껑 개방 버튼 조합 스위치 등으로 될 수 있다.
상술한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다양한 유형의 조리 기구에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전기 밥솥에서 밥솥 뚜껑과 밥솥 몸체의 뚜껑 개폐 및 뚜껑 잠금 제어에 사용된다.구체적인 응용에서, 출시된 전기 밥솥 등은 다수가 직사각형 형상이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밥솥의 직사각형 윤곽은 차례대로 연결되는 제1 직사각형변, 제2 직사각형변, 제3 직사각형변과 제4 직사각형변을 포함하며, 뚜껑 본체(100)와 베이스(200) 사이 피봇 경첩점은 제1 직사각형변의 중점 위치, 즉 도면의 피봇 경첩점 OO'에 형성되고,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제3 직사각형변의 중점 위치와, 제2 직사각형변 및 제4 직사각형변의 대칭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도면 중 흡인 폐쇄 컴포넌트 설치 위치 P1, P2, P3, P4, P5이다.
이상 음식물 요리에 사용되는 흡인 폐쇄 컴포넌트의 다양한 구체 실시양태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구체적인 응용에서, 각 구조 매개 변수에 대한 설계는 뚜껑 개폐 수요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뚜껑 본체(100)가 폐쇄 상태인 경우, 뚜껑 본체(100)와 베이스(200) 사이의 피봇 경첩점(즉 도 16에 도시된 피봇 경첩점 OO')에 상대해, 피봇 스프링(1)의 복귀 회전력 M2는 자성체(3)와 철심 막대(4) 사이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 M3과 뚜껑 본체(100)의 중심 회전력 M1의 합보다 작다. 이렇게 해야만, 뚜껑 개방 방지 단계에서, 뚜껑 잠금 회전력이 뚜껑 개방 회전력보다 커서 뚜껑 본체 자동 잠금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구체 실시양태에서, 전자석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경우, 자성체(3)와 철심 막대(4) 사이의 자기 흡인 폐쇄력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뚜껑 본체 자동 잠금은 실현할 수 있다. 뚜껑 본체 자동 잠금의 안전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뚜껑 잠금 회전력에 여분의 설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M3-(M2-M1)>1Nm을 만족시키면 조리 기구의 내압 등을 만족시켜 뚜껑 본체가 자동으로 개방되게 된다.
전자석 회로가 존재하는 경우, 철심 막대(4)에 감긴 전기전도 권선은 자기 흡인 폐쇄력을 증강하고, 전기전도 전자석은 뚜껑 본체 자동 잠금 기능을 증강하여, 상술한 뚜껑 잠금 회전력의 여분 설계에 더욱 부합된다. 그러나, 자기 감응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전자석의 전기전도 상태에서, 바람직하게 M3-(M2-M1)<15Nm을 만족시켜, 제품의 저전력소비를 실현하고, 전기부품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도움이 되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뚜껑 폐쇄 상태 하의 뚜껑 개방 필요 단계에서,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를 통해 전자석을 흘러 지나는 전류의 흐름방향을 전환하여, 전자석이 자성체(3)에 상대한 자기 반발력을 생성하도록 하여 뚜껑 본체(1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뚜껑 본체(100)의 폐쇄 상태 및 전자석이 전기를 전도할 때,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자성체(3)와 전자석 사이의 자기력을 배척하는 자기 반발 회전력 M4와 피봇 스프링(1)의 복귀 회전력 M2의 합은 뚜껑 본체(100)의 중심 회전력 M1보다 크다. 즉, 도 7에서 윗 방향 회전력은 아래 방향 회전력보다 크기에, 뚜껑 본체(100)를 개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뚜껑 개방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뚜껑 개방 회전력에 여분 설계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M4+M2-M1>1Nm을 만족시켜, 의외 진동 또는 충돌로 인한 뚜껑 개방 또는 내압 등으로 인한 뚜껑 본체 자동 개방을 방지한다.
이상 회전력 분석에 따라, 목적성 있게 설계 매개 변수에 근거하여 상응한 비틀림스프링, 자석 등을 선택함으로써, 설계 요구에 부합되는 뚜껑 개폐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은 뚜껑 개폐에 사용되는 신규형 자기 흡인 잠금 기구를 설계하였으며, 전기 밥솥 등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상부, 하부 자성체의 자성체 흡인 폐쇄 방식을 통해, 일부 조작 절차(예하면 쌀을 씻는 과정)에서 뚜껑 본체가 열리면 안되는 경우, 뚜껑 폐쇄 자기 흡인 방식으로 뚜껑 본체를 자동으로 잠글 수 있다. 뚜껑 본체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종래의 간단한 버튼 방식만으로도 자기 흡인 폐쇄력을 신속히 감소하여 뚜껑 본체가 안전하게 열릴 수 있도록 보장하고, 제품 원가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며, 또한 뚜껑 본체와 베이스 내에 은폐할 수 있어, 제품 외관에 전혀 영향 주지 않는다.
이상 첨부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세부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에 대해 다양한 간단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흡인 잠금 기구의 뚜껑 본체에 위치한 부분은 베이스에서의 부분과 교체가 가능하며, 전자석은 전부 뚜껑 본체에 설치되는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심지어 뚜껑 본체와 베이스 상의 자성체는 전부 전자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전자석의 전류 크기 제어도 슬라이드 저항기 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외부 전류 공급 유닛을 통해 적합한 크기의 전류를 배당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간단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기술한 각각의 구체적인 기술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상황에서 어떠한 적합한 형태로 조합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여러 가능한 조합 형태에 대해 별도 설명을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다른 실시양태 간 임의의 조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사상에 어긋나지 않는 한,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공개하는 내용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피봇 스프링
2: 피봇축
3: 자성체
4: 철심 막대
5: 회로 온오프 스위치
6: 자기력 차단판
7: 자기력 차단 버튼
8: 슬라이드 저항기
9: 연동 스위치
41: 스터브 엔드
OO': 피봇 경첩점
100: 뚜껑 본체
200: 베이스
P1~P5: 흡인 폐쇄 컴포넌트 설치 위치

Claims (21)

  1. 베이스(200)와 뚜껑 본체(100)를 포함하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100)는 개폐 가능하게 피봇으로 상기 베이스(200)에 장착되고, 그 중,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베이스(200)와 뚜껑 본체(100) 사이의 피봇 연결부에 설치되는 피봇 스프링(1); 및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제2 흡인 폐쇄 부품을 포함하는 흡인 폐쇄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상기 제2 흡인 폐쇄 부품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200)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뚜껑 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흡인 폐쇄 부품은 상기 제2 흡인 폐쇄 부품과 서로 흡인되어 상기 뚜껑 본체(100)를 상기 베이스(200)에 잠그는 조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100)가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뚜껑 본체(100)와 상기 베이스(200) 사이의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상기 피봇 스프링(1)의 복귀 회전력 M2는 상기 제1 흡인 폐쇄 부품과 상기 제2 흡인 폐쇄 부품의 흡인 폐쇄 회전력 M3과 상기 뚜껑 본체(100)의 중심 회전력 M1의 합보다 작은 조리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M3-(M2-M1)>1Nm, M3-(M2-M1)<15Nm인 조리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상기 피봇 연결부에 상대한 말단부에 설치된 자기 흡인 잠금 컴포넌트인 조리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흡인 잠금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흡인 폐쇄 부품으로서의 자성체(3)와 상기 제2 흡인 폐쇄 부품으로서의 철심 막대(4)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는 토글 스위치를 갖는 토글 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글 스위치를 촉발하면 상기 토글 기구는 상기 철심 막대(4)를 상기 접근 위치에서 상기 멀리 떨어진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조리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 막대(4)는 상기 뚜껑 본체(100)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3)에 상대한 접근 위치와 멀리 떨어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축 가동 막대이며,
    그 중, 상기 접근 위치에서, 상기 뚜껑 본체(100)와 상기 베이스(200) 사이의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상기 자성체(3)와 철심 막대(4) 사이의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 M3과 상기 뚜껑 본체(100)의 중심 회전력 M1의 합은 상기 피봇 스프링(1)의 복귀 회전력 M2보다 커서 상기 뚜껑 본체(100)를 잠글 수 있으며,
    상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3)와 철심 막대(4) 사이의 자기 흡인 폐쇄력의 흡인 폐쇄 회전력 M3과 상기 뚜껑 본체(100)의 중심 회전력 M1의 합은 상기 피봇 스프링(1)의 복귀 회전력 M2보다 작아 상기 뚜껑 본체(100)를 개방할 수 있는 조리 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는 전자석을 갖는 전자석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석은 상기 철심 막대(4)와 상기 철심 막대(4)를 감는 전기전도 권선을 포함하는 조리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회로에는 상기 전자석에 전기가 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회로 온오프 스위치(5)가 설치되는 조리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온오프 스위치(5)가 도통된 경우, 상기 철심 막대(4)는 상기 접근 위치에서 상기 멀리 떨어진 위치를 향해 이동하여 더 나아가 상기 전자석의 전기전도 권선 내에 삽입하는 조리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 막대(4)의 자성체(3)에 상대한 접근 단부는 스터브 엔드(41)로 형성되는 조리 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회로는 상기 전자석을 흘러 지나는 전류의 흐름방향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 방향전환 스위치는 상기 전자석으로 하여금 상기 자성체(3)에 상대한 자기 반발력을 생성하여 상기 뚜껑 본체(100)를 개방하거나, 스위칭하여 상기 자성체(3)에 상대한 자기 흡인 폐쇄력을 생성하여 뚜껑 본체(100)가 자동으로 잠길 수 있도록 하는 조리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100)의 뚜껑 폐쇄 상태 및 상기 전자석의 전기전도 상태에서, 상기 피봇 경첩점에 상대해, 상기 자성체(3)와 상기 전자석 사이의 자기력을 배척하는 자기 반발 회전력 M4와 상기 피봇 스프링(1)의 복귀 회전력 M2의 합은 상기 뚜껑 본체(100)의 중심 회전력 M1보다 크고, M4+M2-M1>1Nm인 조리 기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교류 전자석인 조리 기구.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회로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갖는 슬라이드 저항기(8)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를 움직이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자성체(3)의 자기흡인 폐쇄력을 변화함으로써, 상기 뚜껑 본체(100)를 잠그거나 개방할 수 있는 조리 기구.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3)는 전자석인 조리 기구.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흡인 잠금 컴포넌트는 제1 자기 흡인 부품과 제2 자기 흡인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조리 기구는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는 자기력 차단 재질의 자기력 차단판(6)과 복귀 스프링을 갖는 자기력 차단 버튼(7)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력 차단 버튼(7)은 누름 상태에서 상기 자기력 차단판(6)을 구동하여 상기 제1 자기 흡인 부품과 제2 자기 흡인 부품 사이에 넣어 자기 흡인을 억제하고 상기 뚜껑 본체(100)를 개방하는 조리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차단판(6)은 일단부가 개방된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자기력 차단 버튼(7)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제1 자기 흡인 부품 또는 제2 자기 흡인 부품은 상기 프레임 구조 내에 제한되는 조리 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차단 컴포넌트는 상기 베이스(200)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력 차단판(6)은 알루미늄합금 판재, 스테인리스강 판재 또는 구리 판재인 조리 기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는 전기 밥솥인 조리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100)는 직사각형 윤곽이며, 상기 직사각형 윤곽은 차례대로 연결되는 제1 직사각형변, 제2 직사각형변, 제3 직사각형변과 제4 직사각형변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본체(100)와 상기 베이스(200) 사이의 피봇 경첩점은 상기 제1 직사각형변의 중점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흡인 폐쇄 컴포넌트는 상기 제3 직사각형변의 중점 위치와, 상기 제2 직사각형변 및 상기 제4 직사각형변의 대칭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조리 기구.
KR1020207018892A 2017-12-27 2018-06-08 조리 기구 KR102350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861605.5 2017-12-27
CN201721861605.5U CN208822310U (zh) 2017-12-27 2017-12-27 烹饪器具
CN201721885495.6 2017-12-27
CN201711446836.4A CN109965665B (zh) 2017-12-27 2017-12-27 烹饪器具
CN201721886233.1U CN208822450U (zh) 2017-12-27 2017-12-27 烹饪器具
CN201711448387.7A CN109965666B (zh) 2017-12-27 2017-12-27 烹饪器具
CN201721885605.9U CN208822312U (zh) 2017-12-27 2017-12-27 烹饪器具
CN201721885495.6U CN208822311U (zh) 2017-12-27 2017-12-27 烹饪器具
CN201721885605.9 2017-12-27
CN201711446836.4 2017-12-27
CN201721886233.1 2017-12-27
CN201711448387.7 2017-12-27
PCT/CN2018/090427 WO2019128117A1 (zh) 2017-12-27 2018-06-08 烹饪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748A true KR20200089748A (ko) 2020-07-27
KR102350545B1 KR102350545B1 (ko) 2022-01-14

Family

ID=6706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892A KR102350545B1 (ko) 2017-12-27 2018-06-08 조리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53788B2 (ko)
EP (1) EP3705001A4 (ko)
JP (1) JP7027550B2 (ko)
KR (1) KR102350545B1 (ko)
WO (1) WO2019128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1057B (zh) * 2016-12-30 2021-01-2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EP4044007A4 (en) * 2019-10-10 2023-10-25 Samsung Medison Co., Ltd.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MEDICAL DEVICE
US11435089B2 (en) * 2020-09-02 2022-09-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tractable display for an oven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286A (ko) * 1999-11-26 2001-06-15 정담 전기밥솥의 뚜껑개폐장치
JP2005304522A (ja) * 2004-04-16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100871092B1 (ko) * 2008-09-18 2008-11-28 주식회사 세신산업 양면 후라이팬
CN202619335U (zh) * 2012-01-13 2012-12-2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带磁性开关的电饭煲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259Y2 (ko) 1975-06-06 1980-05-15
JPS5829016U (ja) 1981-08-18 1983-02-25 三洋電機株式会社 角筒型炊飯器の蓋体装置
CH658438A5 (en) 1981-10-22 1986-11-14 Saseb Ag Closure for containers
JPH05198152A (ja) 1992-01-21 1993-08-06 Hitachi Ltd ドア開閉装置
JP2000051085A (ja) 1998-08-06 2000-02-22 Emi Nakayama 加熱調理器
JP4225557B2 (ja) 2005-11-18 2009-02-18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模型等の器材取外し機構付き磁力支持天秤装置
JP5243342B2 (ja) 2009-05-12 2013-07-24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開閉蓋付き電気機器
KR200462610Y1 (ko) * 2012-06-20 2012-09-19 (주)잔티아시아 분리형 연소부와 액상누수방지용 카트리지를 갖는 전자담배
CN102918965B (zh) * 2012-07-31 2014-12-03 江苏大学 一种磁吸式精密排种器
CN203447061U (zh) * 2013-05-22 2014-02-2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电饭煲
CN205568748U (zh) * 2016-02-29 2016-09-1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能自动开盖的电热锅
CN206560346U (zh) * 2016-08-11 2017-10-17 中山市金美誉电器有限公司 一种自动翻盖电饭煲
CN106213976A (zh) 2016-08-28 2016-12-14 向双红 一种翻盖电饭锅
CN106175574A (zh) * 2016-08-31 2016-12-07 洛阳圣瑞智能机器人有限公司 混合吸附智能双面擦玻璃机器人
CN106678427B (zh) 2017-03-17 2022-11-18 泉州市纵能电磁阀有限公司 一种延时自闭式冲洗阀
JP6578315B2 (ja) * 2017-04-19 2019-09-18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炊飯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286A (ko) * 1999-11-26 2001-06-15 정담 전기밥솥의 뚜껑개폐장치
JP2005304522A (ja) * 2004-04-16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100871092B1 (ko) * 2008-09-18 2008-11-28 주식회사 세신산업 양면 후라이팬
CN202619335U (zh) * 2012-01-13 2012-12-2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带磁性开关的电饭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8117A1 (zh) 2019-07-04
JP7027550B2 (ja) 2022-03-01
KR102350545B1 (ko) 2022-01-14
JP2021508534A (ja) 2021-03-11
EP3705001A1 (en) 2020-09-09
EP3705001A4 (en) 2021-01-20
US20200315398A1 (en) 2020-10-08
US11653788B2 (en)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9748A (ko) 조리 기구
EP3024362B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CN205107314U (zh) 上盖组件和具有其的电压力锅
CN109965665B (zh) 烹饪器具
ITRM20130017A1 (it) Dispositivo blocco-porta ad attivazione magnetica.
CN109965666B (zh) 烹饪器具
CN208822310U (zh) 烹饪器具
CN108072224B (zh) 一种叠门冰箱及其叠门开关装置
CN110292338A (zh) 一种抽屉式家用电器及其开关门控制方法
CN105063970B (zh) 用于洗衣机的壳体组件及洗衣机
CN208822450U (zh) 烹饪器具
CN208822312U (zh) 烹饪器具
CN107785205B (zh) 一种多开式开闭开关
CN211511438U (zh) 烹饪器具
CN109380977B (zh) 烹饪器具
CN111536754B (zh) 一种基于电磁控制的冰箱用自动关闭装置
CN209404520U (zh) 一种应用阻尼器铰接的烤箱
EP3562265B1 (en) Domestic appliance adapted for stand-by mode
CN208822311U (zh) 烹饪器具
CN208355394U (zh) 水槽式洗碗机的开门结构
CN206476618U (zh) 一种别墅电梯控制器
CN215950533U (zh) 磁控阀组件、水泵控制电路及依赖输水实现功能的家用电器
CN214458991U (zh) 门组件及具有其的衣物处理装置
CN109243875A (zh) 一种开合结构的触发装置
CN207602483U (zh) 一种消除交流接触器噪音的铁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