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647A -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 Google Patents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647A
KR20200089647A KR1020200050830A KR20200050830A KR20200089647A KR 20200089647 A KR20200089647 A KR 20200089647A KR 1020200050830 A KR1020200050830 A KR 1020200050830A KR 20200050830 A KR20200050830 A KR 20200050830A KR 20200089647 A KR20200089647 A KR 2020008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receiving space
bedding
mai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9433B1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63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44725B1/en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20005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433B1/en
Publication of KR2020008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6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2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fixing, or finishing, in upholstery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edding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bedding having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bedding may provide different cushioning feelings, and may provide comfort for a good night′s sleep or rest. In additio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can be quickly and easily formed in a main receiving space inside the bedding.

Description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Bedding with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ing materials{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나 쿠션, 방석과 같은 하나의 침구로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숙면 또는 휴식을 위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edding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ing material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vide different cushioning feelings with a single bedding such as a pillow, cushion, cushion, and comfort for a good night's sleep or rest. It relates to bedding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fillers that can provide.

통상적으로, 인간 생활의 일과 중 대부분은 잠자리를 통하여 휴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안락한 수면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수면을 취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베개를 포함한 침구라 할 수 있다. 특히, 어깨 결림 · 코골이 · 두통 · 불면증 등의 대부분은 베개를 잘못 베거나 잘못 선택한 데 있다고 하는 것도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다.In general, comfortable sleep is very important because most of the daily routines of human life are resting through bed.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in sleeping like this is bedding with pillows.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stiff shoulders, snoring, headaches, and insomnia are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pillow is wrongly cut or wrongly selected.

종래의 베개는, 너무 딱딱하거나 물렁하거나 높거나 낮아서 머리와 목 부위가 침구에 잘 안착되지 않고, 특히 잠자는 동안 머리와 베개가 따로 놀거나 침구를 베고 있어도 머리가 자유자재로 이동되어 목과 어깨 선의 흐름을 깨트리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Conventional pillows are too stiff, soft, high or low so that the head and neck areas do not rest well on the bedding, especially when the head and pillow play separately or cut bedding while sleeping, the head moves freely and the flow of the neck and shoulder lines There was a destruction to break.

일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201호(공고일 : 2002.07.31)에 개시된 기능성 베개는, 침구 몸체의 표면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약간 돌출된 목 받침구가 형성되며, 심재는 통상의 폴리우레탄 메모리 폼으로 하고, 내피는 통상의 아미크로(AMICRO) 섬유직으로 하고, 외피는 통상의 에어로쿨(AEROCOOL) 섬유직으로 구성한 것이다. As an example, the functional pillow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84201 (announcement date: July 31, 2002) has a reces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edding body, and a slightly protruding neck suppor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ore material is It is made of ordinary polyurethane memory foam, the inner skin is made of ordinary AMICRO fiber, and the outer skin is made of ordinary AEROCOOL fiber.

이러한 기능성 베개는 심재가 폴리우레탄 메모리 폼으로 특정한 형태를 가진 하나의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높낮이 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음은 물론, 자는 동안 침구와 머리가 따로 움직임으로써 숙면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정면으로 눕거나 옆으로 누웠을 때에도 같은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편안함을 추구할 수 없었다.Since these functional pillows are made of a single lump with a specific shape as a core material made of polyurethane memory,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height adjustment depending on the user, and it is difficult to sleep due to bedding and head movement while sleeping. There was a problem, and the user could not pursue comfort by providing the same feeling of cushion even when the user was lying on the front or lying on the side.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4446호(공고일 : 2009.12.29)에는 기능성 베개개시되어 있다. 기능성 베개는, 내부에 좌, 우, 중간 구획부가 구비되는 외피와, 상기 좌, 우 구획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좌, 우 구획부에 부합되는 봉 형태로 형성되는 라텍스봉과, 상기 중간 구획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간 구획부에 부합되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라텍스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another precedent docu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34446 (announcement date: December 29, 2009) discloses a functional pillow. The functional pillow includes an outer shell provided with left, right, and middle compartments, and a latex rod formed in a rod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compartments and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compartments, and the middle compartment As being combined, it comprises a latex pad formed in a square shape conforming to the middle compartment.

이러한 기능성 베개는, 외피의 내부를 좌 구획부와 우 구획부 및 중간 구획부로 구분한 후 각각의 구획부에 라텍스봉과 라텍스패드를 삽입하여 높이가 서로 다른 베개를 제공할 수 있었다. These functional pillows were able to provide pillows having different heights by dividing the inside of the outer skin into a left compartment, a right compartment, and a middle compartment, and then inserting a latex rod and a latex pad in each compartment.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베개는, 높이가 서로 다른 라텍스봉과 라텍스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위치에 따라 높이가 서로 다른 베개를 제공할 수는 있었으나, 각 구획부를 베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정면으로 누운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정면으로 누운 사용자의 머리가 옆으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 However,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ior art was able to provide pillows having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position by using latex rods and latex pads having different heights, but the user's head was stable by forming each compart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ow.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seated. In other words, there is no means for stably supporting the user's head lying on the front, which may cause the user's head lying on the front to turn to the side.

한편,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097호(2017.08.03)에는 구획부를 갖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베개는 구획부에 의해 쿠션이 구획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prior document,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484097 (2017.08.03) discloses a pillow having a compartment. The pillow has a cushion partitioned by a compartment, so that the user's head can be stably seated.

그러나, 외피의 상부와 하부를 재봉하여 구획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봉선 영역에 골이 형성되면서 해양 영역의 내부 충전재가 다른 영역의 충전재에 비하여 더 단단하게 뭉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와 하부를 직접 재봉함으로써 재봉 부위가 깊게 오목하게 들어가 큰 오목부가 발생하여 외관을 해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by being configured to sew and divid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he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ner filling material in the marine area is more tightly packed than the filling material in other areas as the bone is formed in the sewing line area. In addition, by sew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directly, the sewing site is deeply concave and a large concave portion is generated, thereby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spoiling the appearance.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56448호(공고일 : 2017.07.19)에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에 따른 베개는, 구획부재(110)가 6개의 구분영역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형으로 이루어진 구획부재(110)는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충전물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획부재(110)의 상단 및 하단은 베개 내커버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한다. 이러한 베개에 의하면, 내부에 채워진 충전재의 쏠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었다. As another prior document, a pillow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56448 (announcement date: July 19, 2017). As shown in Figure 1,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the partition member 110 is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six divisions, the partition member 110 made of a'+' type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To prevent the filling phenomenon of the fill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rtition member 110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cover of the pillow to partition the space. According to such a pillow, the filling phenomenon of the filling material inside could be prevented.

그러나, 구획부재를 구비한 베개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베개 내커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베개 내커버의 상면과 하면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 후 뒤집어 가장자리의 시접이 내부로 향하도록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상의 베개의 경우에 베개 내커버의 상판과 하판의 가장자리를 재봉한 후 뒤집어 가장자리의 시접 부위가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구획부재를 구비한 전술한 베개는 '+'형의 구획부재가 상판과 하판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판과 하판의 가장자리를 재봉한 후 뒤집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시접부위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베개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다.However, since the pillow having a partition member was configured to fix a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having a'+' shap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cover of the pillow,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inner cover of the pillow were sewn together, then turned over and turned o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eam allowance could not be directed inside. That is, in the case of a normal pillow,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inner cover of the pillow were sewn and turned over so that the seam portion of the edge was located in the inner space, but the aforementioned pillow with a partition member had a'+' type compartment Since the members wer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lates, respective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could not be turned over after sewing. Thus, the appearance of the pillow was not beautiful because the seam allowance was exposed to the outside.

.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4446호(공고일 : 2009.12.29).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0934446 (Publication date: 2009.12.29) .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097호(2017.08.03).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484097 (2017.08.03) . 특허문헌 3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56448호(공고일 : 2017.07.19). 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756448 (Publication date: 2017.07.19)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침구로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침구 내부의 일부에만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뒤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숙면 또는 휴식을 위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different cushioning feelings with one bedding, and to form a secondary accommodation space only in a part of the bedding to stably support the user's back, so that the user is comfortable for a good night's sleep or rest. It is to provide bedding that can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개나 방석 또는 쿠션과 같은 침구의 내부에 내부공간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구획부재를 상,하부 구획부재로 구분하여 일부 영역에 설치한 후 침구를 뒤집어 상판과 하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용 시접부위가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침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artition member having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an inner space inside a bedding such as a pillow or cushion or cushion as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and install it in some areas to turn the bedding over and over the upper and lower plates.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edding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am seam for bonding formed on the edg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베개, 방석 또는 쿠션으로 이루어진 침구로서,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형성되는 메인 수용공간에, 양모 재료, 솜 재료, 다운 재료, 직물 재료, 스펀지 재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채움재가 충진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중앙영역 또는 한쪽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는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과는 구분되어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상기 채움재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곡물 재료, 씨앗 재료, 비드나 큐빅 형상의 목재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비드 재료, 석재로 된 비드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튜브칩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보조 채움재가 충진되고, 상기 채움재가 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채움재는, 솜 85 - 95중량%와, 편백나무를 대패로 가공하여 얻어진 편백칩 5 - 15중량%로 이루어지되, 3-7mm의 크기로 절단된 상기 편백칩과 상기 솜을 혼합하여 상기 솜의 올 사이에 상기 편백칩이 균일하게 위치하고, 상기 침구가 베개인 경우에, 전체 길이가 60cm이고, 폭이 40cm이며, 높이는 15cm인 베개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수용공간은, 10 - 14cm의 높이(H), 23 - 27cm의 길이(L) 및 12 - 18cm의 폭(W)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높이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 어깨와 옆머리 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15cm로 하되, 상기 메인 수용공간에는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 충전되는 보조 채움재보다 더 많은 양의 채움재를 충전하며, 상기 침구가 방석 또는 쿠션인 경우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와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보조 개폐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메인 개폐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bedding made of a pillow, cushion or cushion, in the main receiving space formed by sewing the edges of the top and bottom members, wool material, cotton material, down material, textile material, sponge material A filling material made of any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above is filled, and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ain receiving space or a region biased toward one edge, separated from the main receiving space by an upper partition member and a lower partition member. ,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to provide a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the grain material, the seed material, the bead or cubic wood material, the bead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bead material made of stone, When a filling material made of any one or more of the tubular material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illed, and the filling material is made of cotton, the filling material is 85 to 95% by weight of cotton, and cypress obtained by processing cypress wood with a planer The chip is made of 5-15% by weight, but is mixed with the pyeonchi chips cut to a size of 3-7mm and the pyeon, and the pyeonchi chips are uniformly located between all of the pyeon, and if the bedding is a pillow, the whole Based on a pillow having a length of 60 cm, a width of 40 cm, and a height of 15 cm, the auxiliary storage space is 10 to 14 cm in height (H), 23 to 27 cm in length (L), and 12 to 18 cm in width (W). It is made, the height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user is turned to the side to b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houlder and the side of the head to 15cm,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has a greater amount of auxiliary filling material than the secondary filling space When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and when the bedding is a cushion or cushion,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and the entrance of the main receiving space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ans made of a zipper is coupled to the entrance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 At the entrance of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ing different filling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opening and closing means made of a zipper are combined. It is achieved by bedding with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 방석, 쿠션 등을 포함하는 하나의 침구로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침구 내부의 일부에만 구획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뒤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숙면 또는 휴식을 위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different cushioning feelings with a single bedding including a pillow, a cushion, and a cushion, and to form a partition part only inside the bedding to stably support the user's back head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provide comfort for a good night's sleep or rest.

또한, 보조 수용공간에는 고체로 된 채움재를 충전하여 사용자가 베고 누웠을 때 반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메인 수용공간에는 솜과 같이 반력을 갖는 채움재를 충전하여 반력을 갖는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반력 쿠션감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ling material of the solid is fill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o that the reaction force is not generated when the user cuts and lie down, and the main receiving space is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having a reaction force such as cotton to fill the cushion material with a reaction force. By providing 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satisfy a desire to a user who prefers a reaction force cushion feel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침구의 내부에 내부공간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구획부재를 상,하부 구획부재로 구분하여 구성함으로써 메인 수용공간의 내부에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용 시접부위가 내부공간, 즉 메인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member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inside the bedding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to quickly and easily work to form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inside the main receiving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allows the joint seam for forming on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o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that is, the main receiving space.

또한, 메인 수용공간 내부에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 시접부위가 메인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베개나 방석 또는 쿠션과 같은 침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and an effect of quickly and easily manufacturing a bedding such as a pillow or cushion or cushion in which an edge seam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is locat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I can do i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침구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에 도시된 침구로서 베개를 사용하는 상태를 표현한 개략도로, 사용자가 반듯하게 누운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고, (b)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운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력적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bedding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4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edding shown in FIG. 2.
FIG. 5(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ing a pillow as the bedding shown in FIG. 2, and is a view express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lies flat, and (b) is a view express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turns to the side. .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edding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edding shown i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bedding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er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comprises' and/or'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를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Among the attached drawing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ding having a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10)는,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형성되는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움재(50)가 충진되고,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전체 또는 중앙 일부분에 메인 수용공간(S1)과는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에 의해 구분되어 형성되는 보조 수용공간(S2)에는 채움재(50)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60)가 충진되어,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침구(10)는 베개, 방석 또는 쿠션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베개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2 and 3, the bedding 10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ing materials, the main receiving space formed by sewing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The filling material 50 is filled in (S1), and is divided by the upper compartment member 40A and the lower compartment member 40B from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in the entire central o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formed is filled with an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having a cushioning feeling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lling material 50 to provide different cushioning feelings to the user. Here, the bedding 10 means a pillow, cushion or cushion, and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what is made of a pillow.

그리고, 상부 구획부재(40A)는 상판부재(20)의 내부면(23)에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되고, 하부 구획부재(40B)는 하판부재(30)의 내부면(33)에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되며, 각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반대쪽 변 가장자리는 서로 재봉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서로 결합된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에 의해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 중앙 한쪽에 메인 수용공간(S1)과는 구분되는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is sewn and coupled to one sid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inner surface 23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is the inner surface 33 of the lower plate member 30. In the width direction, one side edge is sewn and combined, and the opposite side edges of each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are sewn together. Accordingly,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main receiving space S1 may be formed at one inner center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by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coupl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메인 수용공간(S1)과 보조 수용공간(S2)이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써, 보조 수용공간(S2)에는 메인 수용공간(S1)에 충전되는 채움재(50)와는 쿠션감이 다른 보조 채움재(60)가 충전될 수 있다. 즉, 메인 수용공간(S1)에 충전되는 채움재(50)는, 부드러운 쿠션감과 복원력(반력)을 제공하는 양모 재료, 솜 재료, 다운 재료, 직물 재료, 스펀지 재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보조 수용공간(S2)에 충전되는 보조 채움재(60)는, 독립적으로는 딱딱한 쿠션감을 갖지만 집합된 상태에서는 적절한 변형성을 발휘하여 안정된 지지력을 갖는 재료, 즉 복원력(반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료로서, 곡물재료, 씨앗 재료, 비드나 큐빅 형상의 목재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비드 재료, 석재로 된 비드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튜브칩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way,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are formed separately,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has an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with a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from the filling material (50) fill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 May be charged. That is, the filling material 50 filled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1 is made of any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wool materials, cotton materials, down materials, textile materials, and sponge materials that provide soft cushioning and resilience (reaction). ,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fill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a material that independently has a hard cushioning feeling, but exhibits appropriate deformability in an aggregated state to have a stable support force, that is, a material that does not generate restoring force (reaction force). , Grain material, seed material, bead or cubic wood material, bead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bead material made of stone material, and tube chip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이와 같이, 메인 수용공간(S1)에는 복원력(반력)을 갖는 재료를 충진하여 복원력의 쿠션감을 제공받고, 보조 수용공간(S2)에는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재료를 충진하여 복원력(반력)이 발생되지 않는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메인 수용공간(S1)에 반력이 없는 재료를 충진하고, 보조 수용공간(S2)에 반력이 발생되는 재료를 충진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main receiving space S1 is filled with a material having resilience (reaction)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of resilience, and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filled with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resilience to prevent resilience (reaction). Does not provide comfort.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1 may be filled with a material that does not have a reaction force,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S2 may be filled with a material that generates a reaction force.

한편, 메인 수용공간(S1)에 충전되는 채움재(50)가 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채움재(50)는, 솜 85 - 95중량%와, 편백나무를 대패로 가공하여 얻어진 편백칩 5 - 15중량%로 이루어지되, 3-7mm의 크기로 절단된 편백칩과 솜을 혼합하여 솜의 올 사이에 편백칩이 균일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솜과 편백칩이 혼합됨으로써, 부드러운 쿠션감이 제공됨과 동시에 편백칩으로부터 피톤치드 및 특유의 편백 향이 발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ling material 50 fill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is made of cotton, the filling material 50 is 85 to 95% by weight of cotton and 5 to 15% of cypress chips obtained by processing cypress wood with a planer It is made of %, but it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ypress chip is uniformly positioned between all of the cotton by mixing the cypress chip and the cotton cut into a size of 3-7 mm. In this way, by mixing the cotton and the cypress chip, a soft cushion feeling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phytoncide and the characteristic cypress fragrance can be emitted from the cypress chip.

한편,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에는 메인 개폐수단(70A)이 설치되고, 보조 수용공간(S2)에는 보조 개폐수단(70B)가 각각 설치된다. 메인 개폐수단(70A) 및 보조 개폐수단(70B)은 지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추 또는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퍼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Meanwhile, the main opening/closing means 70A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nd the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70B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The main opening/closing means 70A and the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70B may be made of a zipper, or may be made of a button or a Velcro tape. In this embodiment,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a zipper.

한편, 보조 수용공간(S2)은, 10 - 14cm의 높이(H), 23 - 27cm의 길이(L) 및 12 - 18cm의 폭(W)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수치 한정은, 베개로 이루어진 침구(10)의 전체 길이가 60cm이고, 폭이 40cm이며, 높이는 15cm인 것을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보조 수용공간(S2)이나 침구(10)의 높이(H)는 12cm으로 한다. 만약 12cm 미만일 경우에 높이가 너무 낮아 불편하고, 12cm 이상일 경우에는 고개가 꺽여 경추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조 수용공간(S2)의 길이(L)는 25cm로 하고, 폭(W)은 15cm로 한다. 이는 보조 수용공간(S2)이 사용자의 뒷머리만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너무 크면 옆으로 돌아 누웠을 때 딱딱한 쿠션이 옆머리를 자극하게 되고, 너무 작으면 정면으로 누웠을 때에 사용자의 뒷머리를 충분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가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storage space (S2) is made of a height (H) of 10-14 cm, a length (L) of 23-27 cm, and a width (W) of 12-18 cm. It is assumed that the total length of 10) is 60 cm, the width is 40 cm, and the height is 15 cm. Here, the height (H)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or the bedding 10 is 12 cm. If the height is less than 12cm, it is uncomfortable because the height is too low, and if it is more than 12cm, the head may be bent and an excessive load may be applied to the cervical spine. 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25 cm, and the width (W) is 15 cm. This is for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to stably support only the user's back, and if it is too large, the hard cushion stimulates the side when it is turned to the side, and if it is too small, it sufficiently supports the user's back when it is lying in the fro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이때, 메인 수용공간(S1)의 높이(보조 수용공간을 제외한 침구 전체 영역의 높이)를 15cm로 한다. 이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 어깨와 옆머리 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메인 수용공간(S1)에는 보조 수용공간(S2)에 충전되는 보조 채움재(60)보다 더 많은 양의 채움재(50)가 충전된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e height of the entire bedding area excluding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is set to 15 cm. This is to provide comfort to the user by making it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houlder and the side head when the user is turned to the side. To this end,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is filled with a larger amount of the filling material 50 than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fill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20)의 가장자리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를 재봉함에 따라 형성된 시접부위(8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메인 수용공간(S1)에 위치하게 되므로 침구(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또한, 시접부위(80)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시접부위(80)를 스티치 가공(90)(도 3의 확대도와 같이 외부에서 시접부위를 재봉하는 가공)하여 마감하므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 결합영역이 보다 견고하고 미려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edding 10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eam allowance formed by sewing the edge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Since the 8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locat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e appearance of the bedding 10 is beautiful.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seam allowance portion 80 more robust, the seam allowance portion 80 is closed by stitching 90 (processing to sew the seam allowance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in FIG. 3), so the top plate member 20 and the bottom plate The edge engagement area of the member 30 becomes more robust and beautiful.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10)로서의 베개는, 보조 수용공간(S2)에 충전된 보조 채움재(60)의 쿠션감과 메인 수용공간(S1)에 충전된 채움재(50)의 쿠션감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에게 두 가지의 쿠션감을 제공할을 수 있다. 특히,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조 수용공간(S2)을 베고 눕게 되면, 독립적으로는 딱딱하나 집합된 상태에서는 적절한 변형 쿠션감을 제공하는 보조 채움재(60)가 사용자의 뒷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메인 수용공간(S1)의 높이가 보조 수용공간(S2)보다 높게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옆으로 돌리더라도 보조 수용공간(S2)의 끝부분에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메인 수용공간(S1)의 돌출부(26)에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머리의 흔들림이나 위치 이탈없이 안정적인 숙면을 취할 수 있다. The pillow as the bedding 10 having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cushioning feeling of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fill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and a cushioning feeling of the filling material 50 filled in the main receiving space S1. Since they are different, two cushioning feeling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5 (a),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ndependently hard but in the aggregated state,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that provides a suitable deformation cushioning feeling of the user Stable support for the back head. At this time, when the height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is formed higher tha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even if the user unconsciously turns the head to the side, the main receiving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Since it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26 of the space S1, the user can take a stable sound sleep without shaking the head or deviating from the position.

한편,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워 옆머리로 메인 수용공간(S1)의 상부를 베면, 사용자의 옆머리와 어깨 바깥면 사이의 거리와 침구(10)의 높이, 즉 메인 수용공간(S1)의 높이가 같거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고개의 꺽임 없이 안정적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turns to the side and cuts the upper part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with the side hai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side hea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and the height of the bedding (10), that is, the height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Since is the same or similar, the user can stably sleep without breaking the head.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S2)을 갖는 침구(10)로서의 베개는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 내부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므로 각 부품을 재봉하기 매우 곤란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 발명과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illow as the bedding 10 having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ing materials is very difficult to sew each part because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s formed only in a part inside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nd, since it takes a lot of time, it is manufactu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s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S2)을 갖는 침구(1O)로서 베개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illow as bedding (10)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for accommodating these different filling materials is as follow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4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edding shown in FIG. 2.

a) 단계a) step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를 재단하고, 보조 수용공간(S2)을 이루는 구획부재(40)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재단하되, 상판부재(20)에 결합될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판부재(30)에 결합될 하부 구획부재(40B)로 구분하여 각각 재단한다. The upper partition member 20 and the lower panel member 30 are cut, and the partition member 40 forming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cut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but the upper partition member to be coupled to the upper panel member 20 ( It is divided into 40A) and a lower partition member 40B to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member 30 and cut each.

이때,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에 코너 형성용 노치(42)를 각각 형성한다. 코너 형성용 노치(42)는, 보조 수용공간(S2)이 다각형을 이룰 경우에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코너 형성(굽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보조 수용공간(S2)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변은 상,하판부재(20,30)의 가장자리에 접한 상태이므로 폭방향 양쪽 마주보는 위치 2곳에 각각 절개하여 형성한다. 물론, 보조 수용공간(S2)은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크기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corner notches 42 for forming corners are formed in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respectively. The notch 42 for corner formation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corner formation (bending) of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40B whe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forms a polygon.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 and 30, so that each of the two positions in the width direction is incised. Of course,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S2 may be formed of a polygon including a rectangle, a circle, an ellipse, etc., and thus the size and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may be changed.

그리고,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직물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예로서 메쉬구조의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may be made of fabrics of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As an example, it may be made of a fabric having a mesh structure.

b) 단계b) step

전술한 과정으로 상,하판부재(20,30)와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재단이완료되면, 상판부재(20)의 내부면(23) 한쪽에 상부 구획부재(40A)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고, 하판부재(30)의 내부면(33) 한쪽에 하부 구획부재(40B)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즉,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양쪽 각 양단이 각 내부면(23,33) 한쪽 가장자리에 각각 접하도록 재봉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각 내부면(23,33)에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를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상,하부 구획부재(40A,40B)는 상,하판부재(20,30)의 한쪽 변 가장자리에 각 양 단부가 접하도록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ㄷ"자를 이루도록 한다. When the cutting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 and 30 and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is comple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23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One side edge of the width direction is sewn to join, and one side edg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is sewn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33 of the lower plate member 30. That is, both ends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are sewn togeth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edge of each inner surface 23 and 33,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on each inner surface 23,33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edge reference line L1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Combine each.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are combined so that both ends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 and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form an "c" shape as a whole.

이와 같이, 구획부재(40)를 상,하부 구획부재(40A,40B)로 구분하여 상,하판부재(20,30)에 결합하는 것은 다음 공정에서 시접부위(80)가 메인 수용공간(S1) 및 보조 수용공간(S2)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this way, dividing the partition member 40 into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and joining them to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 and 30, the seam allowance section 80 in the following process is the main receiving space (S1). And it is to prevent exposure to the outside is locat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c) 단계c) step

전술한 과정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가 각 내부면(23,33,)에 각각 결합되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외부면(25,35)이 서로 맞닿도록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를 겹친 후(양쪽 외부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한 후)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즉,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와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는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의 입구와 반대방향에 형성되며, 각각의 입구(S1-1,S2-1)는 상판부재(20)의 가장자리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 사이에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When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spective inner surfaces 23, 33,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each outer surface 25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35) After overlapping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so that the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fter allowing both outer surfaces to contact each other),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are sewn and combined. . That is, the remaining circumferential edges, except for the inlet S1-1 of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1 and the inlet S2-1 of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S2, are sewn and combined. Here, the inlet (S1-1)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let (S2-1)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each of the inlets (S1-1, S2-1) It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edge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edge of the lower plate member 30.

그리고,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에 메인 개폐수단(70A)을 재봉하여 설치하고,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에 보조 개폐수단(70B)을 재봉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메인 개폐수단(70A)과 보조 개폐수단(70B)은 지퍼로 이루어지고, 각 수용공간(S1,S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는 상,하부 구획부재(40A,40B)가 결합된 쪽의 상,하판부재(20,30)의 한쪽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Then, the main opening/closing means 70A is sewn and installed at the entrance S1-1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nd the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70B is sewn to the entrance S2-1 of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And install it. The main opening and closing means (70A) and 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ans (70B) is made of a zipper, it is inten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each receiving space (S1, S2). Here, the inlet (S2-1)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on one edg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30) of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40B) are coupled.

또한, 전술한 과정으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외부면(25,35)이 서로 맞닿도록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외부면(25,35)이 외부로 드러나 메인 수용공간(S1)이 형성되도록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에 설치된 메인 개폐수단(70A)을 개방하거나, 또는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에 설치된 메인 개폐수단(70B)을 개방하고 이를 통하여 뒤집은 후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결합된 둘레 가장자리를 스티치 가공(90)하여 마감한다. 이 스티치 가공(90)에 의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결합부위(시접부위)에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플랜지부에 의해 침구(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으며, 시접부위(80)가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in the state where the edges are sewn and combined so that the outer surfaces 25 and 35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Open or close the main opening/closing means 70A installed at the entrance S1-1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so that each of the external surfaces 25 and 35 of the exterior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form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e main opening/closing means (70B) installed at the entrance (S2-1) of the space (S2) is opened and flipped through it, and the combined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lower plate member (30) are closed by stitching (90). do. By this stitch processing 90, a flange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ngaging portion (sealing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and the appearance of the bedding 10 may be beautiful by the flange portion. In addition, the seam allowance portion 80 can maintain a more secure coupling state.

d) 단계d) step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외부면(25,35)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둘레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내부면(23,33)에 각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결합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를 기준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가 형성하는 예비 보조 수용공간(S3) 내부에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일부영역을 포함한 각 코너영역을 잡아당겨 위치시킨 후,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를 재봉으로 서로 결합하여 전술한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the state that the outer edges 25 and 35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ircumferential edges are sewn and combined,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based on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where one edge of each width direction is coupled to each inner surface 23,33. After placing each corner area including a partial area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inside the preliminary auxiliary receiving space S3 to be formed,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 the side edges 44A, 44B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sewing to form the aforementioned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이와 같이 예비 보조 수용공간(S3) 내부에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일부영역을 포함한 각 코너영역을 잡아당겨 삽입시킴으로써,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를 재봉하여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에 의해 메인 수용공간(S1)의 한쪽에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된다.Thus, by inserting each corner area including the partial area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into the preliminary auxiliary receiving space S3,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of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are inserted. Each side edge 44A, 44B opposite the width direction may be sewn to be joined. In particular, in this process,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by the upper partitioning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ing member 40B.

만약, 구획부재(40)가 1개로 이루어질 경우에 구획부재(40)를 상,하판부재(20,30)의 각 내측면(23,33)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예비 보조 수용공간(S3)의 내부에서 재봉을 해야 하므로 재봉 작업이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반듯하게 재봉하기 어렵고, 특히 결합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부재(40)를 상,하부 구획부재(40A,40B)로 구분하여 전술한 과정으로 결합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If, when the partition member 40 is made of one, in order to join the partition member 40 to each inner surface (23,33)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30), the interior of the preliminary auxiliary receiving space (S3) Sewing is not only very difficult, but also difficult to sew smoothly, especially in the joining opera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by dividing the partition member 40 into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and combining them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can be formed quickly and easily.

e) 단계e) step

전술한 과정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가 재봉되어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되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외부면(25,35)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에 설치된 보조 개폐수단(70B)를 통하여 보조 수용공간(S2)에 위치하는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일부를 외부로 꺼내어(다시 뒤집음)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 사이에 메인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 한쪽에 보조 수용공간(S2)이 위치하도록 한다.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the side edges 44A, 44B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are sewn to form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the upper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are formed. The upper plate locat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through the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70B installed at the entrance S2-1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so that the outer surfaces 25 and 35 of the member 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A part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is formed between the top (20) and the bottom plate member (30) by pulling out a portion of the member (20) and the bottom plate member (30).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즉,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가 재봉되어 상호 결합된 상,하부 구획부재(40A,40B)가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도록 임시 보조 수용공간(S3)의 내부에 위치한 상,하판부재(20,30)를 보조 개폐수단(70B)을 통하여 꺼내 뒤집는다. That is, the opposite side edges 44A, 44B of each width direction are sewn and the mutually coupled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40B are positioned inside the main receiving space S1 to form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 and 30 located inside the temporary auxiliary receiving space S3 are taken out and turned over through 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ans 70B.

이 과정으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 사이에 메인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 한쪽에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된다. In this process, the main receiving space S1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and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formed inside one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f) 단계f) step

전술한 과정으로, 메인 수용공간(S1)의 일측에 보조 수용공간(S2)이 위치하면, 메인 개폐부재(70A)를 통하여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움재(50)를 충진하고, 보조 개폐부재(70B)를 통하여 보조 수용공간(S2)에는 채움재(50)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6)를 충진하여 침구(10)를 완성한다.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e filling material 50 is fill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rough the main opening and closing member 70A, and 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s filled with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 having a cushioning feeling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lling material 50 through the 70B, thereby completing the bedding 10.

이상의 과정으로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구획부재(40)를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로 구분하여 최종적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구획부재(40)를 이용하여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에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보조 수용공간(S2)을 수용하는 메인 수용공간(S1)을 갖는 베개와 같은 침구(1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By separating the partition member 40 forming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nto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through the above process, finally combining with each other, the main member is received using the partition member 40 The operation of forming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nside the space S1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as well as bedding such as a pillow having a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ccommodating such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10) can be produced quickly and easily.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edding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10)가 방석이나 쿠션과 같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보조 수용공간(S2)이 침구(10)의 중앙, 즉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방석이나 쿠션과 같은 침구(10)의 활용도 및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6, the bedding 10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ing materials is made of a square like a cushion or cushion, and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the center of the bedding 10, that is, I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us,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the utilization and practicality of the bedding 10, such as a cushion or cushion can be improved.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구(10)의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에 형성됨으로써, 보조 수용공간(S2)에 곡물 재료, 씨앗 재료, 비드나 큐빅 형상의 목재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비드 재료, 석재로 된 비드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튜브칩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보조 채움재(60)를 충전하고, 메인 수용공간(S1)에는 양모 재료, 솜 재료, 다운 재료, 직물 재료, 스펀지 재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채움재(50)를 충전하거나, 그 반대로 충전함으로써, 침구(10)를 방석이나 쿠션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채움재(50)를 편백나무로 된 비드나 목재 형상의 재료로 구성할 경우에 보조 채움재(50)로부터 편백향이 발산되므로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of the bedd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of the grain material, seed material, beads or cubic shape Wood material, bead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bead material made of stone material, tube filling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illed with an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made of any one or more materials, and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is made of wool material, cotton By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50 made of any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materials, down materials, textile materials, and sponge materials or vice versa, different cushioning feelings are provided to a user who uses the bedding 10 as a cushion or cushion.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50 is made of cypress bead or wood-like material, the cypress fragrance is emitted from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50 to induc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user.

이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방석이나 쿠션과 같은 침구(10)를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력적 순서도이다.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edding 10 such as a cushion or a cushion in which the auxiliary storage space S2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ain storage space S1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7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7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edding shown in FI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영역(반드시 중앙 영역은 아니고 가장자리에 접하지 않은 위치도 포함)에 위치하는 침구(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As shown in FIG. 7, in order to manufacture the bedding 10 in which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not necessarily the central area but also includes a position not touching the edge) I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for the following process.

즉,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b) 단계에서, 상판부재(20)의 내부면(23) 중앙영역에 상부 구획부재(40A)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고, 하판부재(30)의 내부면(33) 중앙영역에 하부 구획부재(40B)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부재(40)는 상,하판부재(20,30)의 중앙영역에 사각형을 이루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7, in step b) described above, the edge of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is sewn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inner surface 23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 30)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urface 33 is sewn to one side edg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As shown in FIG. 7 through this process, each of the partition members 40 is combined by forming a squar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 and 30. In this embodiment, although shown to form a squar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polygon including a square, a circle, or an oval.

전술한 과정으로 상,하부 구획부재(40A,40B)가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내부면(23,33) 중앙영역에 결합되면, c) 단계를 진행하여,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외부면(25,35)이 서로 맞닿도록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를 겹친 후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를 제외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When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are coupled to the central regions of the inner surfaces 23 and 33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rocess c) is performed to proceed to the upper plate member ( 20) After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are overlapped so that the outer surfaces 25 and 35 of the lower plate member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except for the entrance S1-1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e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are sewn to be combined.

이때,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메인 개폐수단(70A)을 재봉하여 결합한다. At this time, the main opening and closing means (70A) made of a zipper is coupled to the entrance (S1-1)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이어서 d) 단계를 진행한다. 즉,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외부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둘레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내부면(23,33)에 각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결합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를 기준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가 형성하는 예비 보조 수용공간(S3) 내에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일부영역을 포함한 각 코너영역을 잡아당겨 위치시킨 후(넣은 후),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를 재봉으로 서로 결합하여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Then step d) proceeds.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edges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ircumferential edges are sewn and combined, each inner surface 23,33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 the preliminary auxiliary receiving space (S3) formed by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based on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one side edge of each width direction is combined. ) After pulling each corner area including some areas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after putting it in), opposite to each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The side edges 44A, 44B are joined to each other by sewing to form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이와 같이,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한쪽 변 가장자리가 상,하판부재(20,30)의 중앙영역에 결합된 상태에서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가 결합되면, 전술한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one side edge of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and 40B is coupl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20 and 30, the opposite side edges 44A and 44B are combined, and the aforementioned auxiliary The accommodation space S2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이때,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는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 방향을 향하는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 사이에 형성되고,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보조 개폐수단(70B)이 결합되어 입구(S2-1)를 개폐한다. 여기서, 보조 개폐수단(70B)은 전술한 b) 단계에서 설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inlet (S2-1)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formed between the opposite side edges (44A, 44B) toward the inlet (S1-1) direction of the main receiving space (S1),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70B made of a zipper is coupled to the opening S2-1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S2-1, wherein the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70B may be installed in step b) described above.

전술한 과정으로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되면, e) 단계를 진행하여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외부면(25,35)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뒤집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 사이에 메인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영역에 보조 수용공간(S2)이 위치하도록 한다. Whe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e) proceeds to turn the outer surfaces 25 and 35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shown in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1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S2 is position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1.

이와 같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일측에 보조 수용공간(S2)이 위치하면,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움재(50)를 충진하고, 보조 수용공간(S2)에는 채움재(50)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60)를 충진하여 침구(10)를 완성한다. 이때,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에 위치하여 보조 개폐수단(70B)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조 수용공간(S2)에 보조 채움재(60)를 먼저 충전한 후 보조 개폐수단(70B)를 닫아 보조 채움재(60)의 이탈을 방지한 후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움재(50)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e filling material 50 is fill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s different from the filling material 50. Filling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having a cushion feeling to complete the bedding 10. At this time, since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located inside the main receiving space (S1) and the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70B)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auxiliary filling space (S2) is first filled with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It is preferable to fill the filling material 50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fter preventing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from leaving by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ans 70B.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 침구(10)는 베개로 이용될 수 있으나, 방석이나 쿠션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방석이나 쿠션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침구(0)의 전체 높이가 10cm 미만으로 낮도록 채움재(50)나 보조 채움재(60)의 충전량을 낮춘다. The bedding 10 manufactur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used as a pillow, but may be used as a cushion or cushion. That is, when used as a cushion or cushion, the filling amount of the filling material 50 or the auxiliary filling material 60 is lowered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bedding 0 is less than 10 cm.

한편,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8 (a) and (b) is a plan view showing a bedding having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the accommodation of different filler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은 다양한 형태, 다양한 갯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독립된 보조 수용공간(S2)에는 각각의 보조 개폐수단(70B)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며, 그 제조방법도 전술한 각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8,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may be of a variety of shapes, various numbers. 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each of the auxiliary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ans 70B is provided in each of the independent auxiliary receiving spaces S2,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구획부재(40)를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로 구분하여 최종적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구획부재(40)를 이용하여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에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 구획부재(40A,40B)를 폭방향 양쪽 변 가장자리를 상,하판부재(20,30)에 직접 재봉하여 결합하므로, 침구(10)의 외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아 침구(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member 40 forming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s divided into the upper partition member 40A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40B, and finally joined to each other, thereby using the partition member 40 The operation of forming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nside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and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members 40A, 40B are widthwise. Since the sewing is directly coupled to the members 20 and 30, a concave portion is no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dding 10, so the appearance of the bedding 10 may be beautiful.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침구 20 : 상판부재
30 : 하판부재 40 : 구획부재
40A : 상부 구획부재 40B : 하부 구획부재
50 : 채움재 60 : 보조 채움재
70A : 메인 개폐부재 70B : 보조 개폐부재
80 : 시접부위 90 : 스티치 가공
10: bedding 20: top plate member
30: lower plate member 40: partition member
40A: upper partition member 40B: lower partition member
50: filling material 60: auxiliary filling material
70A: main opening and closing member 70B: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mber
80: seam allowance 90: stitch processing

Claims (1)

베개, 방석 또는 쿠션으로 이루어진 침구로서,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형성되는 메인 수용공간에, 양모 재료, 솜 재료, 다운 재료, 직물 재료, 스펀지 재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채움재가 충진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중앙영역 또는 한쪽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는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과는 구분되는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상기 채움재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곡물 재료, 씨앗 재료, 비드나 큐빅 형상의 목재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비드 재료, 석재로 된 비드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튜브칩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보조 채움재가 충진되고,
상기 채움재가 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채움재는, 솜 85 - 95중량%와, 편백나무를 대패로 가공하여 얻어진 편백칩 5 - 15중량%로 이루어지되, 3-7mm의 크기로 절단된 상기 편백칩과 상기 솜을 혼합하여 상기 솜의 올 사이에 상기 편백칩이 균일하게 위치하고,
상기 침구가 베개인 경우에,
전체 길이가 60cm이고, 폭이 40cm이며, 높이는 15cm인 베개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수용공간은, 10 - 14cm의 높이(H), 23 - 27cm의 길이(L) 및 12 - 18cm의 폭(W)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높이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 어깨와 옆머리 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15cm로 하되, 상기 메인 수용공간에는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 충전되는 보조 채움재보다 더 많은 양의 채움재를 충전하며,
상기 침구가 방석 또는 쿠션인 경우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와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보조 개폐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메인 개폐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



Bedding made of pillows, cushions or cushions,
Filling material made of any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wool material, cotton material, down material, textile material, and sponge material is filled in the main receiving space formed by sewing th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A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eparated from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by an upper partition member and a lower partition member is formed in a center area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or an area biased toward one edge, and the cushion space is different from the user. In order to provide at least one of a grain material, a seed material, a bead or cubic-shaped wood material, a bead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a bead material made of stone, a tube chip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cushion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lling material The auxiliary filler made is filled,
When the filling material is made of cotton, the filling material is composed of 85 to 95% by weight of cotton and 5 to 15% by weight of cypress chips obtained by processing cypress wood with a planer, but the cypress cut into a size of 3-7mm. By mixing the chip and the cotton, the opal chip is uniformly located between the all of the cotton,
If the bedding is a pillow,
Based on a pillow having a total length of 60 cm, a width of 40 cm, and a height of 15 cm,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is 10-14 cm in height (H), 23-27 cm in length (L) and 12-18 cm in width (W). Is made of,
The height of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is set to 15 cm to b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houlder and the side head when the user turns to the side, but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is filled with a larger amount of filler than the auxiliary filler fill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And
When the bedding is a cushion or cushion, the entrance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and the entrance of the main receiving space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ans made of a zipper is coupled to the entrance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and the main receiv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opening and closing means made of a zipper is coupled to the entrance of the
Bedding with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fillers.



KR1020200050830A 2019-01-17 2020-04-27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KR1024994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830A KR102499433B1 (en) 2019-01-17 2020-04-27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47A KR102144725B1 (en) 2019-01-17 2019-01-17 Manufacturing method of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KR1020200050830A KR102499433B1 (en) 2019-01-17 2020-04-27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347A Division KR102144725B1 (en) 2019-01-17 2019-01-17 Manufacturing method of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647A true KR20200089647A (en) 2020-07-27
KR102499433B1 KR102499433B1 (en) 2023-02-13

Family

ID=8520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830A KR102499433B1 (en) 2019-01-17 2020-04-27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43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46B1 (en) 2007-11-13 2009-12-29 김영걸 Functional pillow
KR20150075526A (en) * 2013-12-26 2015-07-06 박상금 bedclothes having function of health
JP2016168141A (en) * 2015-03-12 2016-09-23 株式会社甲斐 Futon cover and futon
KR20170079878A (en) * 2015-12-31 2017-07-10 전영환 Functional pillow
KR101756448B1 (en) 2015-11-17 2017-07-19 주식회사 백합상사 Pillow
KR200484097Y1 (en) 2015-05-29 2017-08-03 권영택 Pillow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46B1 (en) 2007-11-13 2009-12-29 김영걸 Functional pillow
KR20150075526A (en) * 2013-12-26 2015-07-06 박상금 bedclothes having function of health
JP2016168141A (en) * 2015-03-12 2016-09-23 株式会社甲斐 Futon cover and futon
KR200484097Y1 (en) 2015-05-29 2017-08-03 권영택 Pillow
KR101756448B1 (en) 2015-11-17 2017-07-19 주식회사 백합상사 Pillow
KR20170079878A (en) * 2015-12-31 2017-07-10 전영환 Functional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433B1 (en)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1682B2 (en) Pillow with central area having lower fill volume
US20130283533A1 (en) Pillow
US20200154912A1 (en) Multi-Chamber Adjustable Pillow
US10631674B2 (en) Adjustable pillow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230356496A1 (en) Superimposed cushioning elements
JP2016106908A (en) pillow
US7346947B2 (en) Pillow with central area having lower fill volume
KR20200089647A (en)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KR10214472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edding having sub-containing space for receiving different pillow stuffer
US10806278B1 (en) Body pillow with pillow pocket
JP6243639B2 (en) pillow
US11369220B2 (en) Variable contour pillow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4873052B (en) Combined deformation is rested the head on
JP2015008871A (en) Mattress
JP4553951B2 (en) pillow
KR101469411B1 (en) Pillow for infants
JP2000060704A (en) Pillow
US20230380608A1 (en) Pillow system
CN220089141U (en) Pillow convenient to manufacture and use
RU2798906C1 (en) Customizable pillow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JP2002262977A (en) Pillow
JP3094644U (en) pillow
JP2023092608A (en) Cushion body and cushion body manufacturing method
JP3025963U (en) pillow
JP2002223917A (e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