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411B1 - Pillow for infants - Google Patents

Pillow for inf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411B1
KR101469411B1 KR1020140033437A KR20140033437A KR101469411B1 KR 101469411 B1 KR101469411 B1 KR 101469411B1 KR 1020140033437 A KR1020140033437 A KR 1020140033437A KR 20140033437 A KR20140033437 A KR 20140033437A KR 101469411 B1 KR101469411 B1 KR 10146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illow
head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for infa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pillow for infant, which holds up a neck and a head, can be used with only one pillow without an extra pillow in response to change of head size as infant grows by forming a pillow body in a polygonal shape and differently setting the thickness for each circumference or forming grooves having different depth and size on the bottom of each circumference and providing various height, induces comfortable sleep of infant and helps growth and development.

Description

유아용 베개 {PILLOW FOR INFANTS}PILLOW FOR INFANTS

본 발명은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의 목과 머리를 받치는 베개에 있어서, 베개 본체를 대략 각형으로 형성하고 각 둘레부마다 두께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또는 각 둘레부의 하부면에 깊이나 크기가 서로 다른 요홈을 형성하여 다양한 높낮이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성장에 따른 머리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별도의 베개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베개만으로도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 유아의 편안한 수면을 유도함과 아울러 올바른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for supporting a neck and head of an infant, in which a pillow body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 thickness is set differently for each circumferential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use only one pillow without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separate pillow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head size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infant, As well as for infant pillows that help to promote proper growth.

일반적으로, 출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유아의 머리뼈는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물렁물렁한 연골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생후 12 ~ 24개월이 지나면 뇌의 성장과 함께 머리뼈가 칼슘화 되면서 단단해지게 된다.In general, the infant's head bones are not one, but several soft and soft cartila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12 to 24 months of age, the brain bone grows with the growth of the brain. do.

그런데, 만일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의 머리를 똑바로 눕히면 뒷머리가 압박되어 납작하고 평평하게 변형될 뿐만 아니라 얼굴이 비대칭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유아 성장기에 머리 모양을 바르게 잡아줄 필요가 있다.However, if the baby's head is laid down in this process, the back of the head is pressed, flattened and deformed, and the face may change to asymmetry.

한편, 종래에 흔히 사용되는 유아용 베개는 단단하고 유아의 머리가 접하는 상면이 평평한 모양으로 되어 있어 유아를 똑바로 눕힐 경우 머리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유아를 옆으로 눕히거나 또는 엎어서 눕혀 재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유아는 머리를 스스로 가눌 수가 없기 때문에 질식 등 사고의 우려가 있었다.Meanwhile, the infant pillow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past is hard and the top surface of the infant's head is flat, so that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right, the infant may deform on the head. Therefore, the infant may be laid down or laid down In such cases, the infant could not share his / her own head, and there was a fear of suffocation such as suffocation.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용 베개 본체를 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유아들이 선호하는 동물이나 캐릭터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오목하게 안착부를 형성하여 유아를 똑바로 눕힌 상태에서도 뒷머리 모양을 둥글고 예쁘게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infant pillow body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may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n animal or a character preferred by the infant, and a concav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make the shape of the back hair round and beautiful even when the infant is laid down Respectively.

그런데, 원형으로 된 유아용 베개는 본체 중앙의 홈부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둘레의 높이(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에 따라 머리의 크기가 달라질 경우에는 베개를 새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그대로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rounded infant pillow has a constant height (thickness)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groove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when the size of the head varie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infant, a new pillow may be purchased and used, And it is used as it is.

동물이나 캐릭터 형상으로 된 베개 또한 높이가 전체적으로 일정한데다가 본체의 어느 한 방향으로만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아 성장에 따라 머리 크기가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처음 사용하던 베개를 계속해서 사용하거나 또는 머리 크기별로 새롭게 구입해야만 하였다.The pillow in the form of animal or character is also entirely fixed in height and can only support the head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refore, the head size may vary depending on the growth of the infant, I had to buy a new one by size.

이로 인해 베개의 높이가 잘 맞지 않아 유아의 머리가 부자연스럽게 들리거나 꺾여 불편함을 주거나 목에 긴장감을 주기도 하였으며, 또한 이와 같이 높이가 맞지 않는 베개를 장시간 동안 계속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목 부위에 무리를 주게 되고, 이로 인해 숙면을 취하기도 어려워져 유아의 올바른 성장을 저해한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pillow did not fit well,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could be unnaturally lifted or bent, causing discomfort or tension on the neck. Also, if the pillow which does not fit with such height is use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And it is difficult to take a good night's sleep, thereby causing a great problem of inhibiting the proper growth of the infant.

또한, 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매번 크기별로 베개를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비용이 추가로 소요된다는 단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cost was incurred in order to purchase a new pillow every size according to the growth of infants.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3617호 "유아용 베개" (2013.06.19)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3617 "Infant Pill" (June 19, 2013)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426582호 "영유아용 짱구베개" (2006.09.07)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26582 "Infant Pillow for Infants and Toddlers" (2006.09.07)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463044호 "유아용 목 베개" (2012.10.09)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63044 "Baby pillow" (2012.10.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유아의 머리 크기에 따라 별도로 베개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베개만으로도 적절하게 대응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유아용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ant pillow which can be suitably accommodated by only one pillow,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의 머리 크기 변화에 따라 다양하고 적절한 높낮이를 가진 베개를 제공함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유도함과 아울러 유아의 체형이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low having a variety of suitable height according to a change in a head size of an infant, thereby inducing a comfortable sleep and allowing a child to properly shape the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는, 베개 본체 및 유아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본체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본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안착부를 중심으로 각 둘레부마다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ant pill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llow body and a seat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is seated, wherein the main body is polygonal,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support portion.

이때, 본체의 각 지지부는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분리 구획하도록 각 지지부 사이에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supporting part of the main body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depending on the height, and partition walls may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s so as to separate the supporting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상기 베개 본체의 각 지지부는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s of the pillow body may be integrally formed using a foaming resin.

이때, 상기 본체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및 제3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아 성장에 따른 머리 크기에 따라 상기 제1,2,3지지부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유아 머리를 받치도록 구성된 것이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the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ing portion, a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a third supporting por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ing portions may be sequenti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head size, Respectively.

상기 지지부는 가장자리 부근이 중심부에 비하여 좀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유아 머리의 측면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more from the edge than the center portion an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of the infant.

이러한 지지부의 특징은 하기 제2,3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에도 적용된다.The feature of the support portion is also applied to the infant pillow according to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는, 베개 본체 및 유아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본체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본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안착부를 중심으로 각 둘레부마다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요홈을 가진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ant pillo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llow body and a seating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can be seated. The infant pillow comprises a polygonal body,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having grooves formed in different depths from one another.

이때, 상기 요홈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거나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각 지지부마다 다수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oove is formed to be long in a rectangular shape or circular, and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in each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요홈은 하나의 지지부에는 형성되지 않음과 아울러 나머지 지지부에는 깊이를 달리 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 is not formed in one support portion, and the remaining support portions may be formed at different depths.

상기 요홈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 형성될 경우에는 중앙에서 외측으로 향할수록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grooves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grooves are preferably formed so as to have a shallower depth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center.

아울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는, 베개 본체 및 유아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본체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본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안착부를 중심으로 각 둘레부마다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요홈을 가진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은 각 지지부에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ant pillo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llow body and a seating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can be seated. The infant pillow comprises a polygonal body, And a plurality of supports each having a groove formed in a diameter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 groove being formed through each suppor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베개에 따르면, 베개의 본체를 대략 각형으로 형성하고 본체의 각 둘레부마다 두께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또는 각 둘레부의 하부면마다 깊이나 크기가 서로 다른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유아가 성장할수록 달라지는 머리의 크기에 대응하여 유아의 머리와 목 부위를 알맞게 받쳐주도록 다양한 높낮이를 제공하여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고, 유아의 체형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유아의 머리 크기 변화에 맞추어 베개를 크기별로 새로 구입할 필요 없이 하나의 베개만으로도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에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fant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of the pillow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peripheral portions of the main body is set differently, or recesses having different depths and siz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peripheral portions As the size of the head grows as the baby grows, it can provide a variety of levels to support the head and neck of the infant in a suitable manner, so that the user can take a comfortable sleep, help the infant's body shape to grow properly, It is advantageous not only in high efficiency of use but also in cost reduction because a single pillow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having to purchase a new pillow according to a change in head size.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평단면도
도3(a)는 도1의 A-A' 단면도
도3(b)는 도1의 B-B' 단면도
도3(c)는 도1의 C-C'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저면 사시도
도5(a)는 도4의 A-A' 단면도
도5(b)는 도4의 B-B' 단면도
도5(c)는 도4의 C-C'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요홈의 형상을 변형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7(a)는 도6의 A-A' 단면도
도7(b)는 도4의 B-B' 단면도
도7(c)는 도4의 C-C'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3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3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3 (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aby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5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5 (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7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4
Fig. 7 (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평단면도이며, 도3(a)는 도1의 A-A' 단면도이고, 도3(b)는 도1의 B-B' 단면도이며, 도3(c)는 도1의 C-C'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a) And FIG. 3 (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는, 베개 본체 및 유아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본체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본체(1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안착부(20)를 중심으로 각 둘레부마다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지지부(11,12,13..)를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infant pill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llow body and a seating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is seated. The infant pillow comprises a polygonal body, (11, 12, 13...) Having different heights at respective circumferential portions around the center portion (20).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본체(10)는 직물로 된 커버와 그 내부에 내장되는 충전재로 이루어지며, 유아의 머리가 안착됨과 아울러 뒷머리의 돌출 부분이 자연스럽게 감싸이도록 본체 중앙에는 안착부(20)가 구비된다.First, the main body 10 is composed of a cover made of a fabric and a filler embedded therein, and a seat 2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is seated and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back of the head is naturally wrapped.

안착부(20)는 본체(10)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 또는 본체의 중앙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홀(hole)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안착부(20)는 본체의 정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유아의 머리 크기 등을 고려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부 중 높이(두께)가 낮은 지지부 측에 보다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eating part 20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10 or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so as to pass through the body. At this time, although the seating part 2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art 20 is formed closer to the side of the supporting part having a lower height (thickness) Do.

커버는 유아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것이므로 촉감이 부드럽고 땀 흡수력이 좋으며 통기성이 좋은 면과 같은 직물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충전재와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하도록 지퍼나 접착테이프(Velcro)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체결수단은 유아의 머리나 목 부위에 직접 닿지 않도록 지지부의 모서리 부근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Since the cover is directly touched to the skin of the infant, it is made of a cloth fabric such as a soft touch, a good sweat absorbing ability and a good breathability, and a fastening means such as a zipper or an adhesive tape such as a Velcro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ans is mounted near the edge of the support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head or neck of the infant.

충전재는 유아의 머리를 받쳤을 때 쿠션감이 있고 가벼우면서도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소재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가 충전재 기능을 하게 되며, 각 지지부는 각 둘레부를 가리키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Fillers are materials that have a cushioning feel when applied to the infant's head and are lightweight and of adequate streng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functions as a filler material, and each support portion indicates each circumferential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체(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원형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 is most preferably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quadrangle, o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본체(10)는 중앙의 안착부(20)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는 유아의 목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1,12,13..)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유아의 다양한 머리 크기에 대응하도록 본체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즉, 본체의 각 둘레부마다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The body 10 includes a support 11, 12, 13.. Formed around the center seat 20 to support the neck of the infant, the support being adapted to correspond to various head sizes of the infant The heights are formed to be differen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that is, at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예컨대, 도2에서와 같이 본체(10)의 형상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각 둘레부를 구성하는 지지부는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 및 제3지지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3지지부(11,12,13)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즉 제1지지부에서 제3지지부 방향 또는 제3지지부에서 제1지지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점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도록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ing portions constituting the respective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main body include a first supporting portion 11, a second supporting portion 12 and a third supporting portion 13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portions 11, 12, and 13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portions 11, 12, The thickness is gradually increased or thinned.

이에 따라 유아의 성장에 의해 달라진 머리의 크기에 맞추어 제1,2,3지지부(11,12,13)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유아의 머리와 목 부위를 받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portions 11, 12, and 13 are sequenti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changed by the growth of the infant so as to support the head and the neck of the infant.

아울러, 지지부(11,12,13..)는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즉, 공지의 발포 과정에서와 같이 천연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원액을 금형에 넣고 열처리에 의해 발포 성형하되, 일정 간격마다 두께를 달리 하여 발포 성형한 것이 사용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parts 11, 12, 13. Are integrally formed by using a foaming resin. That is, as in a known foaming process, a raw liquid such as natural rubber or polyurethane is put into a mold, Molded by foam molding with different thicknesses at regular intervals.

이와 같이 지지부(11,12,13..)는 하나의 소재로 일체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지지부 각각 즉, 도2에서와 같은 제1,2,3지지부(11,12,13)를 이루는 소재를 서로 다르게 하여 커버 내부에 삽입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ing portions 11, 12, 13. May be integrally formed of one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the supporting portions, that i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ing portions 11, 12, 13 Or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ver with different materials.

예컨대, 제1지지부(11)는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갓난아기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좁쌀이나, 또는 라텍스, 메모리폼과 같이 딱딱하지 않고 복원력 및 탄력이 좋은 소재로 얇게 구성하고, 제3지지부(13)는 머리가 어느 정도 성장한 유아가 사용할 수 있도록 솜이나 스펀지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1지지부에 비하여 더욱 두껍게 구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ortion 11 may be made of a small size, such as a strawberry or a latex or a memory foam, which is suitable for use by a newborn baby, and is thin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restoring force and elasticity. 13 may be made thicker than the first support portion by using a material such as cotton or a sponge so that the head can be used by an infant growing to some extent.

이러한 소재는 상기 열거된 것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아의 성장 정도 및 머리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제3지지부(13)를 제1지지부(11)와 마찬가지로 라텍스나 메모리폼 등의 소재로 구성하되 제1지지부에 비하여 더욱 두껍게 형성하면 된다.Such a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ose listed above, but may be suitably selec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growth of the infant and the size of the head. That is, the third support portion 13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latex or memory foam, like the first support portion 11, but may be thicker than the first support portion.

또한, 지지부(11,12,13..)를 구성하는 상기와 같은 소재는 곰팡이와 세균을 억제하고 흡습성을 높이도록 황토로 염색하거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고 습도 조절이 가능한 숯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The above-mentioned materials constituting the supporting parts 11, 12, 13 .. may be dyed with yellow soil so as to suppress fungi and bacteria and increase hygroscopicity, or may be added with charcoal capable of releasing far infrared rays and negative ions, It is possible.

아울러, 본체(10) 내부에는 소재가 서로 다른 지지부 사이를 분리 구획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격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를 이루는 소재에 따라 내부커버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artition wall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body 10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partition the support parts having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and an inner cover may be separately provid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upport part.

상기 격벽은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고 커버의 상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재봉하여 결합되며, 이에 따라 각 지지부를 이루는 소재가 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 partition wall is made of a fabric material and is sewn and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 surfaces of the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material constituting each support part can be fixed without detaching from the position.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는 본체(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원형(도넛형)의 본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치수를 다르게 재단한 직물 원단을 재봉에 의하여 결합하되,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각 지지부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여 각 지지부에 필요로 하는 소재를 삽입 충전하여 구성하면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ase where the main body 10 is circular, and the fabric is trim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circular (donut) A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between each support portion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each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by filling and filling a required material.

또한, 지지부(11,12,13..)가 좁쌀이나 솜 등과 같이 쉽게 분산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직물 원단을 재봉하여 별도의 내부커버(미도시)를 만든 후 여기에 상기 소재를 밀봉한 상태에서 커버 내부에 삽입하면 된다.In the case where the supporting portions 11, 12, 13. Are made of a material easily dispersible such as rice straw or cotton, the fabric is sewed so as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ortion to form a separate inner cover The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the cover in a sealed state.

이러한 지지부(11,12,13..)는 유아의 머리와 목의 측면 부위를 보다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이 중심부에 비하여 더욱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아가 수면 중에 뒤척이더라도 머리와 목 부위가 쉽게 돌아가지 않고 안정되게 잘 감싸줌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게 된다.The support portions 11, 12, 13 ..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s 15 whose edge portions are more protruded than the center portion so as to more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and neck side portions of the infant, Even when it is turned back during sleep, the head and the neck are not easily turned around and are wrapped in a stable manner, thereby inducing comfortable sleeping.

참고로, 도3에서는 지지부(11,12,13..)의 하부면을 굴곡 있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지지부를 메모리폼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경우에는 바닥면에 접하는 본체 하부면을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3, the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s 11, 12, 13. Are curv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is formed using a material such as a memory foam,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flat horizontally.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유아용 베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ction and effect of the infant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발포 성형된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본체(10)를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First, the main body 10 of the infan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by using foam-molded polyurethane foam.

이때, 발포 과정에서 상기 본체(10)를 이루는 지지부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데, 제1지지부(11)는 좌우 양단의 길이 28㎝, 두께 3㎝로 하고, 제2지지부(12)는 좌우 양단의 길이 28㎝, 두께 4㎝로 하며, 제3지지부(13)는 좌우 양단의 길이 30㎝, 두께 6㎝로 설정하여 발포 성형한다. 이러한 치수는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part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during the foaming process is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supporting part 11 has a length of 28 cm at both ends and a thickness of 3 cm. The second supporting part 12 has left and right ends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3 is set to 30 cm in length and 6 cm in thickness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ends and foam molding is performed. Needless to say, these dimensions can be adjusted within a certain range.

이어서, 이를 커버 내부에 삽입 충전한 후 커버의 개방부위는 지퍼(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한다.Then, after inserting the cover into the inside of the cover, the opening portion of the cover is fasten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zipper (not shown).

상기와 같이 제조된 유아용 베개는 본체(10)의 둘레를 이루는 제1,2,3지지부(11,12,13)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개를 이용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portions 11, 12, and 13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fant pillow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naturally adjusted in height.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infant's head.

즉, 유아가 생후 3개월 이내로 머리둘레가 33~41㎝일 경우에는 제1지지부(11)에 의해 머리를 받쳐주고, 생후 1~10개월로 머리둘레가 36~48㎝ 정도로 성장한 경우에는 제2지지부(12)로 머리를 받쳐주며, 생후 5~18개월로 머리둘레가 45~50㎝ 정도로 성장한 경우에는 제3지지부(13)로 머리를 받쳐주면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head of a baby is 33 to 41 cm in height within 3 months of birth, the head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11). If the head circumference is 1 to 10 months old and the head circumference is 36 to 48 cm, The head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art 12, and when the head circumference is grown to 45 to 50 cm at the age of 5 to 18 months after birth, the head is supported by the third supporting part 1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개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베개 위에 수건 등을 덧대거나 또는 별도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베개를 마련하거나 또는 높이가 다른 베개를 새로 구입할 필요가 전혀 없이, 유아의 성장에 따른 머리 크기에 따라 높이 조절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유아를 눕혔을 때 머리가 부자연스럽게 들어 올려지거나 꺾일 우려가 없고, 목과 등 부분이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로 적당한 높이에서 머리와 목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편안한 수면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attach a towel or the like on the pillow or a functional pillow provided with a separate height adjusting means, or to purchase a new pillow having a different height, The height adjustment is natur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Therefore, when the child is laid down, the head is not lifted unnaturally or broken, and the neck and back are leveled. So that comfortable sleeping becomes possi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baby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5(a)는 도4의 의 A-A' 단면도이며, 도5(b)는 도4의 B-B' 단면도이고, 도5(c)는 도4의 C-C' 단면도이다.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aby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또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요홈의 형상을 변형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7(a)는 도6의 A-A' 단면도이며, 도7(b)는 도4의 B-B' 단면도이고, 도7(c)는 도4의 C-C' 단면도이다.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4, and FIG. 7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여기에서, 도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1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아용 베개는, 베개 본체 및 유아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본체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본체(1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안착부(20)를 중심으로 각 둘레부의 하부면에 각각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요홈(41,42,43..)을 가진 지지부(31,32,33..)를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fant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llow body and a seating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is seated. The infant pillow comprises a polygonal body 10, (31, 32, 33...) Having recesses (41, 42, 43 ..) formed at different depths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circumferential portion as a center.

본 실시예의 커버와 충전재 및 안착부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ver, the filler and the seat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체(10)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앙의 안착부(20)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유아의 목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31,32,33..)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유아의 다양한 머리 크기에 대응하도록 그 하부면(저면)에 일정 간격마다 즉, 각 둘레부마다 깊이(높이)가 서로 다른 요홈(41,42,43..)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10 includes support portions 31, 32, 33... Formed to support the neck of the infant around the center seating portion 20 as in the first embodiment, Grooves (41, 42, 43...) Having different depths (height)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bottom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hat is, at each circumferential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various head sizes of the infant.

예컨대,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본체(10)의 형상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의 둘레를 구성하는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 및 제3지지부(33)를 포함하게 되고, 상기 제1,2,3지지부의 하부면, 즉 실내 바닥면에 접하는 수평면에는 제1요홈(41)과 제2요홈(42) 및 제3요홈(43)이 각각 형성된다.4 and 5, when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31 constituti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2 and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31 constituti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A first groove 41, a second groove 42, and a third groove 43 are form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portions, that is, .

여기에서, 상기 제1,2,3요홈(41,42,43)은 서로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되, 제1지지부(31)에서 제3지지부(33) 방향 또는 제3지지부(33)에서 제1지지부(31) 방향과 같이 일측 방향을 향하여 점점 깊거나 얕아지도록 형성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oves 41, 42 and 43 have different depths from each oth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oves 41, And is formed so as to become gradually deeper or shallower toward one side as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31.

또한, 요홈(41,42,43)은 각 지지부의 하부면마다 다수 형성되되, 대략 윷 모양과 같이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눌릴 수 있도록 다른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면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s 41, 42, and 43 are formed on each of the low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supporting parts, and they are formed to be long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However, A groove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요홈은 각 지지부마다 깊이를 달리 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1개의 지지부에는 형성하지 않고 나머지 2개의 지지부에 깊이를 달리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groov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is time, the grooves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depths for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but they may not be formed in one support portion as in the drawing, but may be formed at different depths in the remaining two support portions.

또한, 상기 요홈은 가로 세로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되 도7에서와 같이 중앙 부위에는 더욱 깊게, 외측으로 향할수록, 즉 상하 가장자리 부위에는 그보다 얕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grooves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y are formed so as to be deeper at the center portion as shown in Fig. 7, and to be outwardly directed, that is, shallower at the upper and lower edge portions.

아울러, 도면에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요홈은 각 지지부 상에 관통되도록 형성하되, 각 지지부마다 크기(직경)를 다르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n the drawings, the grooves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and the support portions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diameters).

상기와 같이 각 지지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 또는 크기(요홈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도 포함)를 서로 다르게 차이를 둠으로써 베개 본체의 각 지지부마다 눌리는 정도가 차별화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pth or the size (including the case where the recess is not formed) of th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supporting portion is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egree of pressing of each supporting portion of the pillow body is differentiated.

이에 따라 유아의 연령이나 성장에 따라 달라지는 머리의 크기에 맞추어 제1,2,3지지부(31,32,33)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유아의 머리와 목 부위를 받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portions 31, 32, and 33 are sequential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head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age or growth of the infant so as to support the head and the neck of the infant.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동작은 이미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각 지지부(31,32,33)의 높이(두께)를 동일하게 구성하여 말끔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본체(10) 하부면에 각각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 각 요홈(41,42,43)에 따라 그 압축 정도를 달리 함으로써 유아가 누웠을 때 유아의 머리 크기 등에 대응하여 알맞은 높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height of each of the supporting portions 31, 32, and 33 (thickness of the supporting pillars 31, 32, and 33) ) Of the body 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 degree of compressio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recesses 41, 42, and 43 formed at different depth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have a neat appearance, Thereby providing a proper height.

10 : 본체 11,31,51 : 제1지지부
12,32,52 : 제2지지부 13,33,53 : 제3지지부
15 : 돌출부 20 : 안착부
41,61 : 제1요홈 42,62 : 제2요홈
43 : 제3요홈
10: main body 11, 31, 51:
12, 32, 52: second supporting portion 13, 33, 53:
15: protruding portion 20:
41, 61: first groove 42, 62: second groove
43: Third groove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베개 본체 및 유아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본체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본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안착부를 중심으로 각 둘레부마다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요홈을 가진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요홈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부는 각각 가장자리 부근이 중심부에 비하여 더욱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유아 머리의 측면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The infant pillow comprises a pillow body and a seat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is seated,
The main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each having a groov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having a depth different from each other around the seating portion,
The grooves may be elongated in a rectangular shape or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thereof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infant hea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using a foaming res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각 지지부마다 다수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the grooves are formed for each suppor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베개 본체 및 유아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본체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본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안착부를 중심으로 각 둘레부마다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원형의 요홈을 가진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은 각 지지부에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The infant pillow comprises a pillow body and a seat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is seated,
Wherein the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each having a circular groov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having a diamete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ach circumferential portion around the seat portion, the groove being formed through each support portion.
KR1020140033437A 2013-11-01 2014-03-21 Pillow for infants KR1014694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84 2013-11-01
KR20130008984 2013-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411B1 true KR101469411B1 (en) 2014-12-04

Family

ID=5267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437A KR101469411B1 (en) 2013-11-01 2014-03-21 Pillow for inf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4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886B1 (en) * 2015-12-22 2017-11-08 문경환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itional deformity of infants, babies head and it's production method
KR20200048690A (en) 2018-10-30 2020-05-08 (주)와이앤피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20A (en) * 2003-06-19 2004-12-31 윤진규 Improvement in pillow for providing better sleep and health
KR200441285Y1 (en) * 2007-05-02 2008-08-04 지성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illow supporting cervical vertebrae
JP4221251B2 (en) * 2003-06-30 2009-02-12 株式会社タイカ Body pressure dispersion cushion material
KR20100010906U (en) * 2009-04-28 2010-11-05 김훈회 Multi height pill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20A (en) * 2003-06-19 2004-12-31 윤진규 Improvement in pillow for providing better sleep and health
JP4221251B2 (en) * 2003-06-30 2009-02-12 株式会社タイカ Body pressure dispersion cushion material
KR200441285Y1 (en) * 2007-05-02 2008-08-04 지성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illow supporting cervical vertebrae
KR20100010906U (en) * 2009-04-28 2010-11-05 김훈회 Multi height pillow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886B1 (en) * 2015-12-22 2017-11-08 문경환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itional deformity of infants, babies head and it's production method
KR20200048690A (en) 2018-10-30 2020-05-08 (주)와이앤피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638B2 (en) Feeding pillow with removable support surface
US9113719B2 (en) Feeding pillow with protective surface
US6829794B2 (en) Infant and child back head curve support pad
US20130283533A1 (en) Pillow
US10702072B2 (en) Bedding assembly
KR101469411B1 (en) Pillow for infants
JP2012011191A (en) Bed for infants
KR101438928B1 (en) A baby is bath or breast-feeding prop
KR100935799B1 (en) Pillow
KR20050019575A (en) A cushion pillow
KR200377121Y1 (en) Pillow of infant
KR101635775B1 (en) Infant mat as sleeping assistant
KR102109107B1 (en) Anti-vomiting cushion
US20060101579A1 (en) Breast feeding support device
KR101795886B1 (en)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itional deformity of infants, babies head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1574773B1 (en) Functional pillow
CN209750633U (en) Adjustable U type ring of air microcirculation is embraced and is shaped pillow
US20170181555A1 (en) Chest Support Pillow
KR20100006002U (en) Pillow
KR200352129Y1 (en) baby feed mattress set
KR102109106B1 (en) Anti-vomiting cushion
KR20110008959U (en) Nursing cushion
KR20130126852A (en) Assemble possiblity pillow
KR101987869B1 (en) bed clothes set
KR20120055899A (en) Arm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