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198A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198A
KR20200089198A KR1020190005977A KR20190005977A KR20200089198A KR 20200089198 A KR20200089198 A KR 20200089198A KR 1020190005977 A KR1020190005977 A KR 1020190005977A KR 20190005977 A KR20190005977 A KR 20190005977A KR 20200089198 A KR20200089198 A KR 2020008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using
speaker
air condition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8190B1 (en
Inventor
임재용
유기봉
황성진
김형수
송재용
한동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190B1/en
Publication of KR2020008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1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6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giving audible ind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ich provides a smart guide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ule, thereby inducing an active action of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guidance module can be easily assembled through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can be effectively propagated outside the cabine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base seated on the ground; a cover assembled to the base and shielding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a voice guide module installed on the base.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안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audio guide module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expander, and supplies air or warm air to a building or room using an air conditioning cycle.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The air conditioner is structurally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disposed outdoors and an integrated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integrally manufactured.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In the separate type, an in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to connect the two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a refrigerant pipe.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캐비닛 안에 설치한 것이다. The integral type is an indoor heat exchange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installed in one cabinet.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Integral air conditioners include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that is installed directly by hanging a device on a window, and a duct type air conditioner that is installed outside the room by connecting a suction duct and a discharge duc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로는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upright and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wall.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정 내에 구비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고,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되는 각종 부가 기능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공지능을 통한 스마트가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types of home appliances provided in the home are increasing,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provided in the home appliances are increasing. Accordingly, a smart guide func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6550 B1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566550 B1

본 발명은 음성안내모듈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voice guidance module.

본 발명은 음성안내모듈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assemble an audio guide modu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스마트가이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guide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ule,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duce active ac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모듈을 위한 설치구조를 통해 상기 음성안내모듈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스피커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캐비닛 외부로 전파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ssemble the voice guidance module through the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can effectively propagate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본 발명은 삽입방식을 통해 스피터어셈블리를 조립하우징에 조립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to the assembly housing through the insertion method assembly assembly.

본 발명은 모듈하우징을 설치할 때 설치구조가 체결을 위한 위치정렬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on alignment for fasten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when installing the module housing.

본 발명은 스피커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된 이너공명공간 및 베이스에 배치된 아우터공명공간을 통해 사운드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스피커의 사운드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aightness of the sound through the inner resonance space disposed inside the speaker assembly and the outer resonance space disposed on the base, and minimizes leakage of the sound of the speaker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스마트가이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smart guide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thereby inducing an active action of the user.

둘째, 본 발명은 음성인식모듈을 위한 설치구조를 통해 상기 음성안내모듈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스피커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캐비닛 외부로 전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assemble the voice guidance module through the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to effectively propagate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셋째, 본 발명은 삽입방식을 통해 스피터어셈블리를 조립하우징에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putter assembly can be assembled to the assembly housing through the insertion method.

넷째, 본 발명은 모듈하우징을 설치할 때 설치구조가 체결을 위한 위치정렬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tallation structure provides position alignment for fastening when installing the module housing.

다섯째, 본 발명은 스피커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된 이너공명공간 및 베이스에 배치된 아우터공명공간을 통해 사운드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스피커의 사운드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fth,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raightness of sound through the inner resonance space disposed inside the speaker assembly and the outer resonance space disposed on the base, and minimize leakage of the speaker sound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및 베이스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베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설치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설치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안내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음성안내모듈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음성안내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음성안내모듈에서 스피커어셈블리가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스피커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스피커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안내모듈의 설치 상태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가이드의 디스플레이 표시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and base cover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cover shown in FIG. 3.
FIG. 5 is a rear view of the base cover shown in FIG. 3.
6 is a front view of the base shown in FIG. 3.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shown in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shown in FIG. 6.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voice guidan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voice guidance module shown in FIG. 9.
11 is a bottom view of FIG. 9.
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voice guidance module shown in FIG. 9.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assembly from the voice guidance module of FIG. 9 removed.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assembly shown in FIG. 9.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assembly shown in FIG. 14.
1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voice guidan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isplay state of a smar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실내기의 구성>><<Constitution of indoor>>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지면에 세워지고, 배면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 캐비닛(4)와, 상기 캐비닛(4)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송풍기(5)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4) 상측에 위치되고, 좌우 한 쌍의 토출구(21)(31)가 형성된 토출어셈블리(D)와, 상기 캐비닛(4)에 조립되고, 상기 공기흡입구(16A) 내측에 위치되고,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캐비닛(4)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음향신호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안내하는 음성안내모듈(200)과, 상기 캐비닛(4) 내부에 배치되고,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통신모듈(300)을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n exterior, stands on the ground, and has an air intake port (not shown)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not shown) and a blower disposed inside the cabinet 4 ( (Not shown), the blower assembly (5) is assembled on top, the cabinet (4)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 discharge assembly (D)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outlets (21) (31) formed, and the cabinet (4) It is assembled to, located inside the air intake port (16A), a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exchanging the intake air and refrigerant, disposed in the cabinet (4), and provides a voice or sound signal to the user It includes a voice guidance module 200 for guiding, and a communication module 300 disposed inside the cabinet 4 and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토출어셈블리(D)는 각 토출구(21)(31) 배치된 한 쌍의 토출유닛(2)(3)과,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assembly D includes a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arranged in each discharge port 21 and 31 and a display assembly 10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Includes.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의 틈을 은폐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이미지 또는 문자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를 포함한다. The display assembly 10 may be disposed long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play assembly 10 conceals the gap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The display assembly 10 includes a display 11 on which images or characters are displayed.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한다.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guide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to the outside.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동일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내부에는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토출구로 안내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nd their positions may be different. Each of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may have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Each of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may have air discharge ports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side each of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and 3, an internal flow path guiding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air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선(F)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토출유닛으로 정의하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선(F)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토출유닛으로 정의한다. One of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3) is defined as the left discharge unit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F)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discharge units (2) (3) One is defined as the right discharge unit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F) of the air conditioner.

좌측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좌측부터 공기조화기의 전방까지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부터 공기조화기의 전방까지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The left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air from the lef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right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air from the righ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좌측토출유닛과 우측토출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The left discharge unit and the right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air in opposite directions. The left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air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right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air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 좌측 전방의 제1경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전방의 제2경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The left discharge unit can discharge air in the first inclined direction of the left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right discharge unit can discharge air in the second inclined direction of the right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토출유닛과 우측 토출유닛은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전방에는 2개의 전방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right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 this case, the left discharge unit and the right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air in a parallel direction, and two front air flows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캐비닛의 구성>><<Cabinet Composition>>

캐비닛(100)은 실내기의 외형을 제공한다. The cabinet 100 provides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상기 캐비닛(100)은,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커버(140)(15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커버(160)와, 상기 베이스커버(160) 상측에 조립되는 리어커버(170)를 포함한다. The cabinet 100 includes a base 110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a front cover 140 and 150 that are disposed at an upper front side of the base 110, and a base that is disposed at an upper rear side of the base 110. It includes a cover 160 and a rear cover 170 that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ver 160.

상기 베이스커버(160) 및 리어커버(170)는 베이스(11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170)의 하측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과 오버랩될 수 있다. The base cover 160 and the rear cover 170 may be assembled to the base 110. The lower side of the rear cover 170 may overlap with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0.

상기 베이스커버(160) 및 리어커버(170)는 실내기의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한다. The base cover 160 and the rear cover 170 form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indoor unit.

상기 프론트커버(140)(150)는 토출어셈블리(D)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커버(140)(150) 및 토출어셈블리(D)는 실내기의 측면 및 전면을 형성한다. The front covers 140 and 150 are disposed under the discharge assembly D. The front cover 140 and 150 and the discharge assembly D form side and front surfaces of the indoor unit.

상기 리어커버(170)의 상측은 상기 토출어셈블리(D)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미도시된 흡입구는 상기 리어커버(170) 배면에 배치된다.The upper side of the rear cover 17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charge assembly D. An unillustrated suction port is disposed on the rear cover 170.

실내공기는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토출어셈블리(D)를 통해 토출구(21)(31)로 토출된다. 공기조화된 공기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된다.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cabinet 100 through a suction por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s 21 and 31 through the discharge assembly D. Air-conditioned air flows from rear to front.

상기 프론트커버(140)(150)는 중심선(F)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심선(F) 좌측에 배치된 프론트커버를 좌측 프론트커버(140)로 정의하고, 중심선(F) 우측에 배치된 프론트커버를 우측 프론트커버(150)로 정의한다. The front covers 140 and 15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F.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ront cover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line F is defined as the left front cover 140, and the front cover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line F is defined as the right front cover 150.

좌측 프론트커버(140)는 베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우측 프론트커버(150)는 베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left front cover 140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base 110. The right front cover 150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base 110.

좌측 프론트커버(140) 및 우측 프론트커버(150)는 토출어셈블리(D)의 하측단을 지지하고, 상기 토출어셈블리(D)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The left front cover 140 and the right front cover 150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assembly D, and provide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assembly D.

상기 좌측 프론트커버(140)는 베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우측 프론트커버(150)는 일부가 오버랩되어 중첩되고, 내부에 송풍팬, 열교환기 등 실내기의 작동에 필요한 부품이 배치된다. The left front cover 140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base 110. The right front cover 150 partially overlaps and overlaps, and par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such as a blower fan and a heat exchanger are disposed therein.

<음성안내모듈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voice guidance module>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안내모듈(200)은 통신모듈(300) 또는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은 기능적으로 스피커를 포함한다.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or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functionally includes a speaker.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은 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안내모듈(200)은 베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160)에 의해 숨겨진다.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은 베이스커버(160)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160)를 향해 사운드를 발신한다.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i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0. In this embodiment,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base 110 and is hidden by the base cover 160.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is located inside the base cover 160, and transmits sound toward the base cover 160.

상기 베이스커버(160)는 캐비닛(100)의 하측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커버(160)는 캐비닛(100)의 하측 배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커버 리어월(162)와, 상기 캐비닛(100)의 하측 좌측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커버 레프트월(164)과, 상기 캐비닛(100)의 하측 우측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커버 라이트월(166)을 포함한다. The base cover 160 constitutes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0. The base cover 160 includes a base cover rear wall 162 forming a part of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00, and a base cover left wall 164 forming a part of the lower left surface of the cabinet 100. , A base cover light wall 166 forming a part of the lower right side of the cabinet 100.

상기 베이스커버(160)는 탑뷰로 볼 때 전방이 개구된 'ㄷ'자 형상이고, 상측 및 하측도 개구된다. 상기 베이스커버 레프트월(164) 및 베이스커버 라이트월(166)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base cover 160 has a'c' shape with the front opening when viewed in a top view,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also opened. The base cover left wall 164 and the base cover light wall 166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베이스커버 리어월(162)에 사운드홀(165)이 형성되고, 상기 사운드홀(165)을 일부 커버하는 사운드그릴(161)이 배치된다. 상기 사운드홀(165)은 상기 베이스커버 리어월(162)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A sound hole 165 is formed in the base cover rear wall 162, and a sound grill 161 partially covering the sound hole 165 is disposed. The sound hole 165 penetrates the base cover rear wall 162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은 상기 사운드그릴(161)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운드홀(165)을 향해 사운드를 발생시킨다.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is disposed inside the sound grill 161 and generates sound toward the sound hole 165.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제어부(2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조립되고, 상기 모듈제어부(210)가 설치되는 모듈하우징(220)과, 상기 모듈하우징(220)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제어부(210)와 전기적으로연결되고, 상기 모듈제어부(210)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어셈블리(250)를 포함한다.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includes a module control unit 21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a module housing 220 assembled to the base 110, and the module control unit 210 installed, and the module housing ( It is disposed in 2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dule control unit 210, and includes a speaker assembly 250 fo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odule control unit 210.

본 실시예에서 모듈제어부(210)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다. 상기 모듈제어부(210)는 모듈하우징(220) 내부에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control unit 210 is arrang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The module control unit 210 is install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20.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모듈제어부(210)가 설치되고, 베이스(110)에 조립된다.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하측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을 폐쇄된다.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탑월(232), 레프트월(233), 라이트월(234), 프론트월(235), 리어월(236)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하측을 향해 개구된 모듈하우징 개구면(231)을 더 포함한다.The module housing 220 is a module control unit 210 is installed, it is assembled to the base 110.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220 is opened and the remaining surface is closed. The module housing 220 includes a top wall 232, a left wall 233, a light wall 234, a front wall 235, and a rear wall 236. The module housing 220 further includes a module housing opening surface 231 opened toward the lower side.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베이스(1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부(221) 및 제 2 결합부(222)를 포함한다. The module housing 220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22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22 for coupling with the base 110.

상기 제 1 결합부(221)은 프론트월(235)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다. 상기 제 1 결합부(221)에 후술하는 제 1 가이드리브(187)가 삽입된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1 is disposed on the front wall 235 and penetr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irst guide rib 187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1.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상기 제 1 가이드리브(187)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측방향으로는 상호걸림을 형성한다. The module housing 220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rib 187, and forms a mutual jam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제 2 결합부(222)는 리어월(236)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다. 상기 제 2 결합부(222)는 후술하는 모듈하우징 체결부(186)와 체결결합된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2 is disposed on the rear wall 236 and penetr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222 is coupled to the module housing fastening part 186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레프트월(233) 또는 라이트월(234)에 케이블이 걸려 고정되는 걸이부(22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부(223)는 라이트월(234)에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월(234) 보다 바깥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A hook 223 is formed in which the cable is fastened to the left wall 233 or the light wall 234 of the module housing 220. In this embodiment, the hook portion 223 is disposed on the light wall 234,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wall 234.

상기 걸이부(223)의 내측에는 걸이부홈(22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홈(224)은 라이트월(234)과 동일면 상에 위치된다. 상기 걸이부(22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모듈제어부(210)에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이 걸쳐진다. Inside the hook portion 223, a hook portion groove 224 is formed. The hook portion groove 224 is locat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light wall 234. The hook portion 223 is formed concav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a cab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dule control unit 210 spans.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지지단(2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227)은 후술하는 모듈하우징 리어지지부(185)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지지단(227)은 모듈하우징의 레프트월(233)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립하우징(260)의 삽입이 완료된 후 지지단(227) 및 리어지지부(185)가 접촉된다. The module housing 220 further includes a support end 227, and the support end 227 is fixed to the module housing rear support 18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end 227 of the module housing 22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wall 233 of the module housing, and after the insertion of the assembly housing 260 is completed, the support end 227 and the rear The support portion 185 is in contact.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상기 모듈제어부(210)의 설치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내부에 상기 모듈제어부(21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기판삽입부(226)와, 상기 모듈제어부의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기판지지부(228)가 배치된다. The module housing 220 provides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lign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odule control unit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ubstrate inserting unit 226 into which the edge of the module control unit 210 is inserted, and a substrate support unit 228 by which the edge of the module control unit is supported are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20.

상기 기판삽입부(226)는 탑월(23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탑월(232)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기판삽입부(226)에 모듈제어부(210)가 가장자리가 삽입된다.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226 protrudes downward from the top wall 23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wall 23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dge of the module control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insertion unit 226.

상기 모듈제어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지지부(228)는 기판삽입부(226)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기판지지부(228) 및 기판삽입부(226)는 모듈제어부(210)의 양측을 고정한다. The substrate support part 228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insertion part 226 based on the module control part 210. The substrate support unit 228 and the substrate insertion unit 226 fix both sides of the module control unit 210.

상기 기판지지부(228) 및 기판삽입부(226)에 의해 모듈제어부(210)의 위치가 정렬된 후, 체결부재를 통해 모듈제어부(210)가 모듈하우징(220)에 체결고정된다. After the position of the module control unit 210 is aligned by the substrate support unit 228 and the substrate insertion unit 226, the module control unit 210 is fastened to the module housing 220 through a fastening member.

상기 기판지지부(228) 및 기판삽입부(226)는 체결고정을 하기 전 모듈제어부(210)의 체결위치를 정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228 and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226 provide a function of align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module control unit 210 before fastening.

상기 스피커어셈블리(250)는 모듈제어부(210)의 신호에 따라 사운드를 발생시킨다. The speaker assembly 250 generates soun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module control unit 210.

상기 스피커어셈블리(250)은, 상기 모듈제어부(210)의 신호에 따라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270)와, 일측(본 실시예에서 캐비닛의 후방 상측)이 개구되고 상기 스피커(270)가 설치되는 스피커하우징(240)과,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에 조립되고, 상기 스피커(270)와 밀착되고 상기 일측(본 실시예에서 캐비닛의 후방 상측)을 향해 스피커홀(291)이 형성된 스피커커버(292)와, 상기 스피커커버(292) 및 스피커(27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270)의 외측면을 보호하는 스피커 보호부재(294)(296)와, 상기 스피커(270) 및 모듈제어부(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피커케이블(280)을 포함한다. The speaker assembly 250, a speaker 270 fo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module control unit 210, and one 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rear of the cabinet) is opened and the speaker 270 is installed A speaker housing 292 assembled to the speaker housing 240 and the speaker housing 240, in close contact with the speaker 270 and having a speaker hole 291 toward the one side (the upper rear side of the cabinet in this embodiment) ), the speaker cover 292 and the speaker 270 is disposed between the speaker protection member 294 and 296 to protect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270, the speaker 270 and the module control unit ( 210) includes a speaker cable 280 that electrically connects.

상기 스피커(270)는 캐비닛(100)의 후방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피커(270)는 다른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70)는 캐비닛(100)의 후방을 향해 사운드를 발생시킨다. The speaker 270 is disposed toward the rear upper side of the cabinet 100. Unlike this embodiment, the speaker 270 may be arranged to face different directions. The speaker 270 generates sound toward the rear of the cabinet 100.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은 일측을 향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을 폐쇄된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은 스피커(270)의 형태를 고려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은 캐비닛(100)의 후방 상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의 일측면은 스피커(270)의 배치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speaker housing 240 is opened toward one side and closed on the othe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speaker housing 2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speaker 270. The speaker housing 240 is opened toward the rear upper side of the cabinet 100. One side of the speaker housing 240 is formed to be inclined for the arrangement of the speaker 270.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은 후술하는 조립하우징(260)과의 조립을 위해 조립돌기(243)(244)가 배치된다. 상기 조립돌기(243)(244)는 스피커하우징(2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돌기(243)(244)는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The speaker housing 240 is provided with assembly protrusions 243 and 244 for assembly with the assembly housing 260 to be described later. The assembling projections 243 and 244 protrude outside the speaker housing 240. 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y protrusions 243 and 244 protrude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하우징(220)은 상기 스피커어셈블리(250)가 조립되는 조립하우징(26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피커어셈블리(250)가 상기 모듈하우징(220)에 직접 조립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housing 220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housing 260 in which the speaker assembly 250 is assemble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aker assembly 250 may be directly assembled to the module housing 220.

상기 조립하우징(260)은 상기 스피커어셈블리(25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The assembly housing 260 is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the speaker assembly 250 is inserted.

상기 조립하우징(260)은 상기 스피커어셈블리(250)의 삽입을 위해 개구된 삽입면(26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면(265)은 스피커어셈블리(250)의 삽입방향을 고려하여 조립하우징(260)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The assembly housing 26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urface 265 that is opened for insertion of the speaker assembly 250.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surface 265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housing 260 in considera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peaker assembly 250.

상기 조립하우징(260)은, 하측면에 삽입면(265)이 형성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캐비닛의 후방 상측)을 향해 개구된 스피커개구부(26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스피커하우징(200)이 삽입되는 하우징커버와, 상기 하우징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의 조립돌기(243)(244)가 끼워져 고정되는 조립돌기 삽입부(263)(264)와, 상기 하우징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하우징(24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하우징커버걸림부(255)를 포함한다. In the assembly housing 260, an insertion surface 265 is formed on a lower side, and a speaker opening 261 is opened toward one side (the upper rear side of the cabinet in this embodiment), and the speaker housing ( 2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cover, the housing cover is formed, the assembly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243, 244 of the speaker housing 240 is fitted and fixed assembly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263, 264, and the housing cover It is formed on, and includes a housing cover engaging portion 255 to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speaker housing 240.

상기 조립하우징(260) 내부에 이너공명공간(266)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공명공간(265)은 상기 스피커(270) 및 조립하우징(260) 사이에 형성된다. An inner resonance space 266 is formed inside the assembly housing 260. The inner resonance space 265 is formed between the speaker 270 and the assembly housing 260.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스피커커버(292)가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커버(262)와, 상기 스피커하우징(240)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의 외측면을 감싸 고정하는 제 2 하우징커버(264)를 포함한다. The housing cover, the first housing cover 262, the speaker cover 292 is disposed inside, and the speaker housing 240 is disposed therei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housing 240 to fix It includes a second housing cover 264.

상기 스피커개구부(261)는 상기 제 1 하우징커버(262)에 형성된다. The speaker opening 261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cover 262.

상기 하우징커버걸림부(255)는 스피커하우징(240)의 하단과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커버걸림부(255)는 제 2 하우징커버(264)의 하단에 배치되고,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커버걸림부(255)의 후크는 스피커하우징(240)을 향해 돌출된다. The housing cover engaging portion 255 forms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lower end of the speaker housing 240.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cover engaging portion 255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housing cover 264, and is formed in a hook shape. The hook of the housing cover engaging portion 255 protrudes toward the speaker housing 240.

상기 조립돌기 삽입부(263)(264)는 상기 각 조립돌기(243)(244)와 조립된다. 상기 조립돌기 삽입부(263)(26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 형태이다. 상기 조립돌기 삽입부(263)(264)는 스피커하우징(240)의 삽입을 안내하고, 상기 스피커하우징(240)과 결합된다. The assembly protrusion insertion portions 263 and 264 are assembled with each assembly protrusion 243 and 244. The assemb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s 263 and 264 are slot-shape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ssembly protrusion inserting portions 263 and 264 guide the insertion of the speaker housing 240 and are combined with the speaker housing 240.

상기 스피커개구부(261)는 상기 일측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캐비닛(100)의 후방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개구부(261)의 내측에 상기 스피커홀(291)이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개구부(261) 및 스피커홀(291)을 연통된다. 상기 스피커개구부(261)는 상기 보호부재(294)(296)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보호부재(294)(296)는 상기 스피커개구부(261)의 내측에 위치된다. The speaker opening 261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ne side, and is disposed toward the rear upper side of the cabinet 100 in this embodiment. The speaker hole 291 is disposed inside the speaker opening 261. The speaker opening 261 and the speaker hole 291 are in communication. The speaker opening 261 is covered by the protection members 294 and 296. The protection members 294 and 296 are located inside the speaker opening 261.

상기 제 1 하우징커버(262) 및 제 2 하우징커버(264)의 하측에 상기 삽입면(265)이 형성된다. The insertion surface 265 is formed below the first housing cover 262 and the second housing cover 264.

상기 제 1 하우징커버(262)는 캐비닛의 후방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first housing cover 262 is disposed obliquely toward the rear upper side of the cabinet.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은 상기 조립하우징(260)에 배치된 삽입부(263)(264) 및 하우징커버걸림부(255)를 통해 고정된다. The speaker housing 240 is fixed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263 and 264 and the housing cover 255 disposed on the assembly housing 260.

상기 삽입부(263)(264)는 스피커하우징(240)의 상하 이동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커버걸림부(255)는 상기 스피커하우징(240)의 하측 이동에 대해 상호 걸림을 제공한다. The inserting portions 263 and 264 provide mutual interlocking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directions other tha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peaker housing 240, and the housing cover engaging portion 255 with respect to the lower movement of the speaker housing 240 Provide a mutual jam.

상기 삽입부(263)(264) 및 하우징커버걸림부(255)를 통해 스피커하우징(240)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The speaker housing 240 can be easily assembled through the insertion part 263 and 264 and the housing cover catching part 255.

<베이스의 구성><Configuration of base>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이 조립되는 설치구조(180)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전후 방향을 관통된 베이스홀(181)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홀(181)을 관통해서 스피커(270)의 사운드가 후방으로 전파된다. The base 110 provides an installation structure 180 in which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is assembled. The base 110 includes a base hole 181 penet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ound of the speaker 270 propagates backward through the base hole 181.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에 지지되고, 캐비닛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텀베이스(110a)와, 상기 바텀베이스(110a)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커버 레프트월(164)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레프트월(110b)과, 상기 바텀베이스(110a)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커버 라이트월(166)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라이트월(110c)과, 상기 바텀베이스(110a)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커버 리어월(162)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리어월(111)을 포함한다. The base 110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bottom base 110a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left edge of the bottom base 110a, inside the base cover left wall 164 The base left wall 110b, the base light wall 110c extending upward from the right edge of the bottom base 110a, and disposed inside the base cover light wall 166, and the bottom base ( It includes a base rear wall 111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rear edge of 110a) and is disposed inside the base cover rear wall 162.

상기 베이스홀(181)은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홀(181)의 후방 측에 상기 사운드홀(165)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홀(181)은 상기 사운드그릴(161)에 의해 일부 가려진다. The base hole 181 is formed in the base rear wall 111. The sound hole 165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hole 181. The base hole 181 is partially covered by the sound grill 161.

상기 설치구조(180)는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설치구조(180)는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The installation structure 180 is disposed on the base rear wall 111.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structure 180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base rear wall 111 and guides the insertion of the audio guide module 200.

상기 설치구조(180)는,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베이스홀(181)과,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홀(181)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어셈블리(250)의 스피커개구부(261)와 대향되고, 상기 스피커개구부(261)를 감싸 아우터공명공간(267)을 형성시키는 하우징커버 공명챔버부(182)와,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게 형성되는 모듈하우징 사이드지지부(184)와,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과 체결고정되는 모듈하우징 체결부(186)와,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삽입 시 상기 모듈하우징(220)을 지지하여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모듈하우징 리어지지부(185)와,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제 1 결합부(221)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과 좌우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가이드리브(187)와,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외측면(본 실시예에서 라이트월(234))에 밀착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을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과 좌우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리브(188)와,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하측단을 지지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을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모듈하우징 바텀지지부(189)를 포함한다. The installation structure 180, the base hole 181 formed by penetrating the base rear wall 1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base rear wall 111, the base hole 181 The housing cover resonance chamber portion 182 that is formed to surround the speaker opening portion 261 of the speaker assembly 250 and faces the speaker opening portion 261 to form an outer resonance space 267, and the base. A module housing side support portion 184 formed to enclose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220 and project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wall 111, and project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rear wall 111 , The module housing 220 and the module housing fastening part (186) that is fastened and fixed,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base rear wall 111, the module housing 220 when the module housing 220 is inserted Supporting the module housing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the rear support portion 185,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base rear wall 111,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1 of the module housing 2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inserted, and the first guide rib 187 forming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module housing 2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base rear wall 111, and the outside of the module housing 220 A second guide rib 188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light wall 234 in this embodiment), guides the module housing 2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orms a mutually engaging direction with the module housing 2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module housing bottom support portion 189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base rear wall 111,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module housing 220, and guiding the module housing 2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ncludes.

상기 제 1 가이드리브(187) 및 제 2 가이드리브(188)는 모듈하우징 바텀지지부(189)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리브(187) 및 제 2 가이드리브(188)는 모듈하우징 바텀지지부(189) 및 베이스 리어월(111)과 연결된다. The first guide rib 187 and the second guide rib 188 are disposed above the module housing bottom support 189.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guide rib 187 and the second guide rib 188 are connected to the module housing bottom support 189 and the base rear wall 111.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의 삽입 시, 상기 제 1 가이드리브(187)는 상기 제 1 결합부(221)에 삽입되고, 상기 모듈하우징(220) 내부로 삽입된다. When the voice guide module 200 is inserted, the first guide rib 187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1 and is inserted into the module housing 220.

상기 제 1 가이드리브(187) 및 제 2 가이드리브(188)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리브(187) 및 제 2 가이드리브(188)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The first guide rib 187 and the second guide rib 188 are disposed in parallel. The first guide rib 187 and the second guide rib 188 are vertically disposed.

상기 제 2 가이드리브(188)는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The second guide rib 18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220.

상기 모듈하우징(220)이 설치구조(180)에 삽입되면, 상기 모듈하우징 체결부(186) 및 모듈하우징(220)의 제 2 결합부(222)가 일치된다. 상기 When the module housing 22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180, the module housing fastening part 186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2 of the module housing 220 are matched. remind

상기 제 1 가이드리브(187), 제 2 가이드리브(188) 및 모듈하우징 사이드지지부(184)는 체결을 위한 상기 모듈하우징 체결부(186) 및 제 2 결합부(222)의 위치를 정렬한다. 체결부재(미도시)는 제 2 결합부(222)를 관통하여 모듈하우징 체결부(186)에 체결고정된다. The first guide rib 187, the second guide rib 188, and the module housing side support portion 184 align the positions of the module housing fastening portion 186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2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module housing fastening part 186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222.

상기 모듈하우징 리어지지부(185)에 상기 모듈하우징 체결부(186)가 배치된다. 체결 시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지지단(227)은 모듈하우징 리어지지부(185)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하우징(220)의 지지단(227)은 모듈하우징의 레프트월(233)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립하우징(260)의 삽입이 완료된 후 지지단(227) 및 리어지지부(185)가 접촉된다. The module housing fastening part 186 is disposed on the module housing rear support part 185. Upon fastening, the support end 227 of the module housing 220 is fixed to the module housing rear support portion 185 in close contact.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end 227 of the module housing 22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wall 233 of the module housing, and after the insertion of the assembly housing 260 is completed, the support end 227 and the rear The support portion 185 is in contact.

상기 하우징커버 공명챔버부(182)는 상기 베이스 리어월(1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아우터공명공간(267)을 형성시킨다. 상기 하우징커버 공명챔버부(182)는 상기 베이스홀(181)을 감싸게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베이스홀(181)이 배치된다. The housing cover resonance chamber portion 182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base rear wall 111, and forms the outer resonance space 267 inside. The housing cover resonance chamber part 182 is formed to surround the base hole 181, and the base hole 181 is disposed inside.

상기 하우징커버 공명챔버부(182)는 상기 스피커어셈블리(250)의 스피커개구부(261)와 대향된다. 상기 스피커(270)의 사운드는 상기 아우터공명공간(267)을 통해 베이스홀(181)로 전파된다. The housing cover resonance chamber portion 182 faces the speaker opening portion 261 of the speaker assembly 250. The sound of the speaker 270 is propagated to the base hole 181 through the outer resonance space 267.

상기 하우징커버 공명챔버부(182)는 상기 스피커개구부(261)를 감싸고, 상기 스피커(270)의 사운드에 직진성을 부여한다. 상기 스피커(270)의 사운드는 상기 아우터공명공간(267)에서 증폭될 수 있다. The housing cover resonance chamber portion 182 surrounds the speaker opening portion 261 and provides straightness to the sound of the speaker 270. The sound of the speaker 270 may be amplified in the outer resonance space 267.

상기 조립하우징(260) 내부에는 이너공명공간(266)이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270)에 발생된 사운드는 조립하우징(260) 내부에서 반사되고, 상기 이너공명공간(266)을 통해 증폭될 수 있다. An inner resonance space 266 is formed inside the assembly housing 260. The sound generated in the speaker 270 is reflected inside the assembly housing 260 and can be amplified through the inner resonance space 266.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270)는 캐비닛(100)에 대해 후방 측으로 사운드를 전파시키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270)의 전방 측에 이너공명공간(266)이 배치되고, 후방 측에 아우터공명공간(267)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peaker 270 propagates sound to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0, an inner resonance space 266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peaker 270, and an outer resonance space (at the rear side) 267).

스피커(270)의 사운드는 이너공명공간(266)에서 아우터공명공간(267) 측으로 전파된다. 이너공명공간(266) 및 아우터공명공간(267)은 사운드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스피커(270)의 사운드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sound of the speaker 270 is propagated from the inner resonance space 266 to the outer resonance space 267 side. The inner resonance space 266 and the outer resonance space 267 can improve the straightness of the sound and minimize the leakage of the sound of the speaker 270 to the outside.

상기 제 1 하우징커버(262)가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커버 공명챔버부(182)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커버(262)를 향해 더 돌출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커버(262)를 감싸는 공명챔버커버(183)가 더 배치된다. 상기 공명챔버커버(183)는 모듈하우징 사이드지지부(184)와 연결된다. Since the first housing cover 262 is disposed to be inclined, a resonance chamber that protrudes further from the housing cover resonance chamber portion 182 toward the first housing cover 262 and surrounds the first housing cover 262. The cover 183 is further disposed. The resonance chamber cover 183 is connected to the module housing side support 184.

상기 모듈하우징 사이드지지부(184)는 모듈하우징 리어지지부(185)와 연결되고, 상기 모듈하우징 리어지지부(185)는 모듈하우징 바텀지지부(189)와 연결된다. The module housing side support portion 184 is connected to the module housing rear support portion 185, and the module housing rear support portion 185 is connected to the module housing bottom support portion 189.

상술한 상기 설치구조(180)를 통해 상기 음성안내모듈(200)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스피커(270)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캐비닛(100) 외부로 전파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stallation structure 180,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can be easily assembled, and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270 can be effectively propagated outside the cabinet 100.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음성안내모듈(200) 또는 디스플레이(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마트가이드를 제공한다.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mart guide to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or the display 11.

예를 들어, 실외기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실외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설정치에 근접하는 경우, 음성안내모듈(200) 및 디스플레이(11)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is sensed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outdoor unit, and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approaches the set value, the user may be guided through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and the display 11. .

실외기에서 감지된 온도는 제어부를 통해 서버로 전달되고, 서버는 이에 따른 코드를 제어부에 제공한다.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는 해당 코드를 음성안내모듈(200)에 제공하고, 음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대처방법을 안내한다.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door un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server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de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air conditioner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de to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and guides the user through the voice.

특히, 실외기 온도상승으로 인해 공기조화기가 작동을 멈추기 전에 음성안내모듈(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외기의 환기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안내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ecause the air conditioner stops operating due to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guides the user that the outdoor unit needs to be ventilated, thereby causing active action of the user.

다른 예로, 실내공기 환기를 스마트가이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2시간 이상 운전되고, 실외공기의 질이 좋을 경우 사용자가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door air ventilation may be guided to a user through a smart guid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for 2 hours or more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s good, the user can be guided to ventilate the indoor air.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는 실내기의 작동시간을 카운팅하고, 이를 서버에 전달하며, 서버는 실내기가 설치된 지역의 외부공기 조건을 판단하고, 실내기가 설정시간 이상 작동될 경우, 음성안내모듈(200) 및 디스플레이(11)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air conditioner counts the operating time of the indoor unit, delivers it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determines the external air condition in the area where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and when the indoor unit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The display 11 may guide the user.

다른 예로, 필터교체시간을 스마트가이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lter replacement time can be guided to the user through a smart guide.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는 실내기의 누적 작동시간이 소정시간(예를 들어 720시간)을 카운팅하고, 소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음성안내모듈(200) 및 디스플레이(11)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air conditioner counts the cumulative operating time of the indoor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720 hours), and can guide the user through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and the display 11 when it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have.

다른 예로, 공기조화기의 소비전력을 스마트가이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guided to the user through a smart guide.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는 작동상태 및 작동시간에 따른 소비전력을 판단하고, 기준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음성안내모듈(200) 및 디스플레이(11)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air conditioner may determin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and operating time, and when the reference power is exceeded, the controller may guide the user through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and the display 11.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디스플레이(11)를 통해 안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음성안내모듈(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스마트가이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guides through the display 11 but also provides a smart guide to the user through the voice guidance module 200, it can cause active action of the us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that a pers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10 : 베이스 180 : 설치구조
200 : 음성안내모듈 210 : 모듈제어부
220 : 모듈하우징 240 : 스피커하우징
250 : 스피커어셈블리 260 : 조립하우징
270 : 스피커
110: base 180: installation structure
200: voice guidance module 210: module control unit
220: module housing 240: speaker housing
250: speaker assembly 260: assembly housing
270: speaker

Claims (15)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을 차폐하는 커버; 및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음성안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조립되는 모듈하우징; 및 상기 모듈하우징에 조립되는 스피커어셈블리; 상기 모듈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어셈블리가 배치되는 이너공명공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피커어셈블리와 마주보게 배치된 아우터공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공명공간 및 아우터공명공간이 연결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 base seated on the ground;
A cover assembled to the base and shiel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Includes; a voice guidance module installed on the base,
The voice guidance module includes a module housing assembled to the base; And a speaker assembly assembled to the module housing. It is formed inside the module housing, the inner resonance space in which the speaker assembly is disposed; includes,
The base includes an outer resonance space disposed to face the speaker assembly,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inner resonance space and the outer resonance space are conn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공명공간 및 아우터공명공간을 연통시키는 스피커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speaker opening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and communicating the inner resonance space and the outer resonance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사운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공명공간 및 사운드홀이 연통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ound hole penetrating the cov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er resonance space and the sound hole communic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공명챔버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커버를 향해 개구된 베이스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명챔버부의 내부에 상기 아우터공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챔버부의 전방 측에 상기 이너공명공간이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공명공간의 후방 측에 상기 베이스홀이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sonance chamber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base; Further comprising; a base hole penetrating the base and opening toward the cover;
The outer resonance space is formed in the resonance chamber portion,
The inner resonance space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sonance chamber por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base hole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er resonance spa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사운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홀의 후방 측에 상기 사운드홀이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ound hole penetrating the cov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ound hole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ho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듈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공명공간 및 아우터공명공간을 연통시키는 스피커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개구부는 상기 아우터공명공간을 향해 개구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t is formed on the module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a speaker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inner resonance space and the outer resonance space,
The speaker opening unit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opened toward the outer resonance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모듈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oice guidance modul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module control unit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assembly, and controlling the speaker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하우징은 상기 스피커어셈블리가 조립되는 조립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하우징은,
상기 모듈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스피커어셈블리가 조립되고, 내부에 상기 이너공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커버;
상기 하우징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공명공간을 향해 개구된 스피커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e housing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housing in which the speaker assembly is assembled, and the assembly housing comprises: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module housing, the speaker assembly being assembled, and the inner resonance space formed therein;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cover and opened toward the outer resonance spa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어셈블리는 외측으로 돌출된 조립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삽입면; 상기 하우징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하우징커버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peaker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The assembly housing is formed on the housing cover, an insertion surface into which the speaker assembly is inserted; It is formed on the housing cover,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projection is inserted; further comprising,
The assembling protrusion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housing cov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립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어셈블리의 조립 시 상기 스피커어셈블리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하우징커버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assembly housing is formed on the housing cover, and the housing cover catching portion that forms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speaker assembly when assembling the speake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지면에 지지되는 바텀베이스; 상기 바텀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리어월; 상기 리어월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공명챔버부; 상기 리어월을 관통하고 상기 커버를 향해 개구된 베이스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명챔버부의 내부에 상기 아우터공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챔버부의 전방 측에 상기 이너공명공간이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공명공간의 후방 측에 상기 베이스홀이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base, the bottom base supported on the ground; A base rear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base and disposed inside the cover; A resonance chamber par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rear wall; Further comprising; a base hole penetrating the rear wall and opening toward the cover;
The outer resonance space is formed in the resonance chamber portion,
The inner resonance space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sonance chamber por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base hole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er resonance sp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사운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홀의 후방 측에 상기 사운드홀이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ound hole penetrating the cov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ound hole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hol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듈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공명공간 및 아우터공명공간을 연통시키는 스피커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개구부는 상기 아우터공명공간을 향해 개구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It is formed on the module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a speaker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inner resonance space and the outer resonance space,
The speaker opening unit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opened toward the outer resonance sp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개구부의 전방에 상기 스피커어셈블리가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개구부의 후방에 상기 베이스홀이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peaker assembly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peaker opening, and the base hole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speaker opening.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명챔버부는 상기 조립하우징에 밀착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resonance chamber unit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housing.
KR1020190005977A 2019-01-16 2019-01-16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6381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77A KR102638190B1 (en) 2019-01-16 2019-01-16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77A KR102638190B1 (en) 2019-01-16 2019-01-16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98A true KR20200089198A (en) 2020-07-24
KR102638190B1 KR102638190B1 (en) 2024-02-16

Family

ID=7189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977A KR102638190B1 (en) 2019-01-16 2019-01-16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19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464A (en)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80057639A (en) * 2006-12-20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sound device of refrigerator
KR101566550B1 (en) 2008-11-12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o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464A (en)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80057639A (en) * 2006-12-20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sound device of refrigerator
KR101566550B1 (en) 2008-11-12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o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190B1 (en)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3927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10299394B2 (en) Electrical function cassette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ventilating fan employing the same
JP3242762B2 (en) Air conditioner
US20080047697A1 (en) Air conditioner
KR10263819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20130025822A1 (en) Ventilation apparatus
WO2022262304A1 (en) Ventilation device
KR100323516B1 (en) Air-conditioner having unification type display and control box
KR100457561B1 (en) Display part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20170002343A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KR100389426B1 (en) The outterior air flow structure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JP7261148B2 (en) remote controller
KR20150120218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218864454U (en) Shell assembly and new fan
KR20100052202A (en) Air conditioner
JP2826063B2 (en) Air fan
KR2004004140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Inner Door Part and Outer Door Part
KR200312147Y1 (en) Structure of room air-conditioner
KR100347046B1 (en) The outterior air flow structure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JP3737851B2 (en) Forced supply / exhaust range hood fan
KR20040026403A (en) A Side Exhaust Structure of Air-Conditioner
CN115899905A (en) Humidification modul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JPH09145091A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2792897B2 (en) Blower
JP5817694B2 (en) Outdoo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