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594A - 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 Google Patents

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594A
KR20200088594A KR1020190005051A KR20190005051A KR20200088594A KR 20200088594 A KR20200088594 A KR 20200088594A KR 1020190005051 A KR1020190005051 A KR 1020190005051A KR 20190005051 A KR20190005051 A KR 20190005051A KR 20200088594 A KR20200088594 A KR 20200088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bject
unit
ima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즘
Priority to KR1020190005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594A/en
Publication of KR2020008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5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graphing device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which comprises: a subject rotation unit rotating a subject; and a camera unit photographing the subject rotating by the subject rotation unit at a fixed location. While rotating the subject in a state of fixing a camera, a two-dimensional image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 lot to minimize a cost of facilities so as to minimize a cost of photographing for genera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and compactly design a photographing device. The subject rotating at constant speed is photographed by the fixed camera to photograph the clear and accurate two-dimensional image capable of genera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thereby improving quality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and genera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constant quality.

Description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Photography device for 3D image creation{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본 발명은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피사체를 회전시키면서 고정된 위치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3D 이미지 생성을 위한 다수의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본 발명은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graphing device for generating a 3D imag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images for 3D image generation by photographing with a camera at a fixed position while rotating a subject. It is an invention.

일반적으로 3D 이미지는 생동감있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차세대 영상기술로 각광받고 있고, 영화, 교육, 쇼핑 등 다양한 콘텐츠의 제작에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3D images are intended to realize vibrant images, and are in the spotlight as next-generation imaging technologies, and are used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contents such as movies, education, and shopping.

특히, 근래에 들어 인터넷 쇼핑의 증가로 쇼핑 웹사이트에서 의류, 신발 등을 3D 이미지로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의류, 신발 등의 제품을 3D 이미지로 형상을 하게 확인한 후 In particular,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ternet shopping, the shopping website allows consumers to check clothing, shoes, etc. in 3D images, so that consumers can check products such as clothing and shoes in 3D images.

통상적으로 고정된 피사체를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촬영하는 방법과 피사체의 둘레로 다수의 카메라를 배치하여 다수의 카메라에서 동시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In general, a method of photographing a fixed subject while the camera rotates and a method of photographing a subject simultaneously by multiple cameras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ameras around the subject have been propos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문헌으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77792호 '3차원 촬영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As a prior patent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77792 '3D imaging system' has been proposed.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77792호 '3차원 촬영 시스템'은 피사체의 둘레로 다수의 카메라를 배치하여 다수의 카메라로 피사체의 형상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동시에 촬영하여 다수의 2차원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77792 '3D Shooting System' allows multiple 2D images to be acquired by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the shape of the subject from different directions by placing multiple cameras around the subject. .

그리고, 다수의 카메라로 피사체의 형상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촬영된 다수의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a 3D image by using a plurality of 2D images taken from different directions of the shape of a subject with multiple cameras.

그러나,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77792호 '3차원 촬영 시스템'은 피사체의 둘레로 다수의 카메라를 배치하므로 설비 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77792 '3D imag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equipment is greatly increased because a plurality of cameras are arranged around the subject.

이에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Accordingly, the cost of generating a 3D imag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economic feasibi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된 피사체의 둘레로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가 흔들리면서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정확한 2차원 이미지를 얻기 어렵고, 이에 3D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camera is rotated around a fixed subject,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accurate two-dimensional image that generates a 3D image while the camera shakes, thereby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3D image.

0001)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77792호 '3차원 촬영 시스템'(2015.07.16.등록)0001)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77792 '3D shooting system' (2015.07.16. regist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사체를 회전시키면서 피사체의 3D 이미지 생성용 2차원 이미지를 다수 촬영하여 설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capable of minimizing a facility cost by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2D images for generating a 3D image of a subject while rotating a subject while the camera is fix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된 카메라로 등속도로 회전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선명하고 정확한 2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capable of photographing a clear and accurate 2D image capable of generating a 3D image by photographing a subject rotating at a constant speed with a fixed camer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는 피사체를 회전시키는 피사체 회전부,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피사체 회전부로 회전되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ject rotating unit for rotating a subject 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rotated from the fixed position to the subject rotat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기기는 상기 피사체 받침부재를 등속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device may rotate the subject support member at a constant speed.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일정한 주기로 피사체를 반복 촬영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may repeatedly photograph a subject at a constant cycle.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기기는 상기 피사체 받침부재를 2 ~ 20분당 1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device may rotate the subject support member 1 revolution per 2 to 20 minutes.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피사체 받침부재의 1회전 시 상기 피사체를 200 ~ 800회 촬영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may photograph the subject 200 to 800 times during one rotation of the subject support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기기는 피사체를 첫번째 회전 시 기준점으로부터 360° 등속회전하고, 두번째 회전 시 기준점에서 일시 정지한 후 다시 360° 등속회전하여 피사체가 두번째 회전 시 카메라부가 첫번째 회전시 촬영한 피사체의 위치와 다른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device rotates the subject at a constant speed of 360° from the reference point during the first rotation, pauses at the reference point at the second rotation, and then rotates at a constant 360° to rotate the subject. And other locations.

본 발명에서 상기 일시 정지 시간은 피사체의 회전속도 / 카메라 촬영횟수×2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use time may b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ubject / the number of times the camera is photographed×2.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subject.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피사체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되면서 투과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빛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subject and may further include a light diffusion unit that scatters the transmitted light as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unit is transmitted.

본 발명에서 상기 빛확산부는 상기 조명부의 빛이 투과되는 확산천부재 및 상기 확산천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diffusion unit may include a diffusion cloth member through which light of the lighting unit is transmitted and a support frame member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diffusion cloth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확산천부재에는 세로 방향으로 절단되거나 찢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사이로 상기 카메라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이 위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usion cloth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utting line for passing through the camera so as to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torn to allow the camera portion to pass therebetween.

본 발명에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빛확산부의 전면에 위치되어 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전면 조명부, 상기 빛확산부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측면 조명부, 상기 빛확산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아래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상면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unit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unit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rear, the side lighting unit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diffusion unit to irradiate light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the top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unit It may be located on the top side to illuminate the light may include a top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빛확산부에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조명부가 위치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portion positioned to surround the rest of the surface except the one side where the camera portion and the lighting portion are located in the light diffusion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빛확산부와 마주하는 면이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art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surface on which a surface facing the light diffusion part reflects light.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카메라부가 거치되는 카메라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세로로 세워지는 카메라 지지막대부재, 상기 카메라 지지막대부재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카메라 지지막대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카메라 지지막대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카메라부가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거치부재를 포함하라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mera holder on which the camera unit is mounted, wherein the camera holder is positioned vertically on a camera support bar member, and a lower end side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It may include a base member for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and a plurality of camera mounting members that ar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and the camera unit is detachably mounted.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이동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oving wheel parts that are positioned under the base member and roll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 지지막대부재는 높이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거치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레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 거치부재는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is provided with a rail portion in which the camera mounting member is movably positioned in a height direction, and the camera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movement block movably coupled to the rail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 거치부재는 상기 이동블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카메라 높이 고정볼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mounting member may be fixed in position by a camera height fixing bolt that is fastened through the movable block.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 거치부재는 상기 카메라부가 안착되어 거치되고 카메라 받침 힌지부로 상기 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moun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pedestal seated and mounted and the camera support hinge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 받침 힌지부는 카메라 받침대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축구멍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볼스토퍼홈이 이격되게 위치된 축지지부재, 상기 회전축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스토퍼홈 내에 삽입되는 볼스토퍼 및 상기 볼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support hinge part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amera support, a shaft support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ball stopper grooves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xial hol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is rotatably located therein, It may include a spr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stopper and the ball stopper which is positioned and partially protrude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and inserted into the ball stopper groove.

본 발명은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사체를 회전시키면서 피사체의 3D 이미지 생성용 2차원 이미지를 다수 촬영하여 설비 비용을 최소화하여 3D 이미지 생성을 위한 촬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며, 촬영 장치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equipment cost by taking a plurality of 2D images for generating a 3D image of a subject while rotating a subject while the camera is fixed, minimizing the cost for shooting to generate a 3D image, and compactly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esigned.

본 발명은 고정된 카메라로 등속도로 회전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선명하고 정확한 2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어 3D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일정한 품질의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quality of a 3D image and produce a 3D image of a constant quality by taking a clear and accurate 2D image capable of generating a 3D image by photographing a subject rotating at a constant speed with a fixed camera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에서 카메라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카메라 거치대에서 카메라 받침 힌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mera cradle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amera support hinge portion in the camera cradle of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f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회전시키는 피사체 회전부(100), 고정된 위치에서 피사체 회전부(100)로 회전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0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ject rotating unit 100 for rotating a subject and a camera unit 200 for photographing a subject rotated by the subject rotating unit 100 at a fixed position. It includes.

피사체 회전부(100)는 피사체가 올려지는 피사체 받침부재(110), 피사체 받침부재(110)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기(120)를 포함한다.The subject rotating unit 100 includes a subject supporting member 110 on which the subject is raised, and a rotating device 120 rotating the subject supporting member 110.

회전기기(120)는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피사체 받침부재(1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device 120 may include a rotating motor, and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otor to the subject support member 110.

동력 전달부는 복수의 기어로 회전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As an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reduction gearbox that decelerat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motor with a plurality of gears.

감속 기어박스는 회전모터의 감속비에 따라 공지된 기어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reduction gearbox can be variously modified using a well-known ge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duction ratio of the rotating motor,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회전기기(120)는 피사체 받침부재(110)를 2 ~ 20분당 1회전시키고, 카메라부(200)는 피사체 받침부재(110)의 1회전 시 피사체를 200 ~ 800회 촬영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For example, the rotating device 120 rotates the subject support member 110 once every 2 to 20 minutes, and the camera unit 200 photographs the subject 200 to 800 times when the subject support member 110 rotates once.

카메라부(200)는 높이 방향에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어 피사체의 전체 부분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The camera unit 200 is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direction to be able to photograph the entire part of the subject.

카메라부(200)의 높이와 간격은 피사체의 거치 높이와 피사체의 전체 길이에 따라 다양한 예로 조절될 수 있다. The height and spacing of the camera unit 200 may be adjusted in various examples according to the mounting height of the subject and the total length of the subject.

또한, 회전기기(120)는 피사체 받침부재(110)를 등속 회전시키고, 카메라부(200)는 일정한 주기로 피사체를 반복 촬영한다. In addition, the rotating device 120 rotates the subject support member 110 at a constant speed, and the camera unit 200 repeatedly photographs the subject at regular intervals.

카메라부(200)는 일정한 주기로 등속 회전되는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므로 해당 피사체의 외측 둘레에 대한 전체 이미지를 고르게 촬영할 수 있고,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로 균일한 범위로 촬영된 다수의 2D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3D 이미지를 더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Since the camera unit 200 photographs a subject rotated at a constant speed at a regular cycle, the entire imag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evenly, and a 3D image generator that generates a 3D image and multiple 2D images photographed in a uniform range By providing the 3D image can be generated mor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는 2 ~ 20분당 1회전하는 피사체를 고정된 카메라부(200)로 피사체의 1회전 시 200 ~ 800회의 촬영하므로 피사체의 1회전으로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a subject that rotates once every 2 to 20 minutes with a fixed camera unit 200, so when the subject is rotated 200 to 800 times, a 3D image is generated with one rotation of the subject can do.

회전기기(120)는 피사체를 첫번째 회전 시 기준점으로부터 360° 등속회전하고, 두번째 회전 시 기준점에서 일시 정지한 후 다시 360° 등속회전하여 피사체가 두번째 회전 시 카메라부(200)가 첫번째 회전 시 피사체의 위치와 다른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otating device 120 rotates the subject at a constant speed of 360° from the reference point at the first rotation, pauses at the reference point at the second rotation, and then rotates at a constant 360° to rotate the subject. Make it possible to shoo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location.

피사체의 일시 정지 시간은 피사체의 회전속도 / 카메라 촬영횟수×2인 것을 일 예로 한다. As an example, the pause time of the subject is the rotation speed of the subject / the number of times the camera was taken ×2.

이는 피사체의 두번째 회전 시 카메라부(200)가 첫번째 회전 시 촬영한 각 부분의 사이 중앙을 각각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첫번때 회전 시 카메라부(200)로 촬영되는 2D 이미지와 두번재 촬영 시 카메라부(200)로 촬영되는 2D 이미지가 서로 겹쳐지지 않고 피사체의 형상을 더 고르고 균일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allows the camera unit 200 to shoot the center between each part photographed during the first rotation during the second rotation of the subject, so that the 2D image taken by the camera unit 200 during the first rotation and the camera unit during the second shooting ( 200) so that the 2D images shot with each other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hape of the subject can be taken evenly and uniform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는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300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subject.

조명부(300)는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부(200)로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광량을 제공하여 카메라부(200)가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ighting unit 300 irradiates light onto a subject to provide an amount of light that enables the camera unit 200 to clearly photograph the subject, so that the camera unit 200 can clearly photograph the subject.

조명부(300)는 빛을 발광하여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램프부(310) 및 조명 램프부(310)의 위치를 지지하는 램프 스탠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300 may include a lighting lamp unit 310 that emits light to irradiate a subject, and a lamp stand 320 that supports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lamp unit 310.

램프 스탠드(320)는 세워져 위치되고 조명램프부가 설치되는 램프 지지 막대부재(321), 램프 지지 막대부재(321)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램프 지지 막대부재(321)의 세워진 위치를 지지하는 램프 지지다리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mp stand 320 is placed upright and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amp support rod member 321 and the lamp support rod member 321 in which the lighting lamp unit is installed, the lamp support supporting the erected position of the lamp support rod member 321 It may include a leg member 322.

램프 지지다리부재(322)는 램프 지지 막대부재(321)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For example, the lamp support leg member 322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lamp support bar member 321.

램프 지지다리부재(322)는 램프 지지 막대부재(321)를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위치되는 삼각 다리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the lamp support leg member 322 has a triangular leg structure positioned at 120-degree intervals around the lamp support bar member 321.

조명부(300)는 피사체 회전부(100)에 올려져 회전되는 피사체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공지의 촬영용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ighting unit 300 may be variously modified by using a well-known photographic lighting device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a rotating object that is placed on the object rotating unit 100,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조명부(300)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되면서 투과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빛확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to surround a subject and may further include a light diffusion unit 400 that scatters the transmitted light as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unit 300 is transmitted.

빛확산부(400)는 조명부(300)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되면서 빛의 방향성을 산란시켜 피사체로 조사되는 빛을 부드럽게 한다.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softens the light irradiated to the subject by scatter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a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300 is transmitted.

조명부(300)에서 발광된 빛은 빛확산부(400)를 통과하면서 산란되어 피사체를 부드럽게 조명하게 된다.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300 is scat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to gently illuminate the subject.

빛확산부(400)는 조명부(300)의 빛이 투과되는 확산천부재(410)와 확산천부재(410)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재(420)를 포함한다.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includes a diffusion cloth member 410 through which light of the lighting unit 300 is transmitted, and a support frame member 420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확산천부재(410)는 빛을 확산시키는 흰색의 확산천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빛을 확산시키는 공지의 확산천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is an example of a white diffusion cloth that diffuses light, and it can be variously performed by using a known diffusion cloth that diffuses light.

지지프레임부재(420)는 확산천부재(410)의 외측 둘레를 감싸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고, 확산천부재(410)가 세워져 피사체를 감싸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As an example, the support frame member 420 has a structure that wraps and suppor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and is implemented by being modifi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is erected to surround the subject. It can be revealed.

확산천부재(410)에는 세로 방향으로 절단되거나 찢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사이로 카메라부(20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411)이 위치된다.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is provided with a cutting line 411 for passing through the camera so that the camera unit 200 can pass through the cut or torn form in the vertical direction.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411)은 빛확산부(400)의 일면에 위치된 확산천부재(410)의 중앙에 세로로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As an example, the cutting line 411 for passing the camera is vertically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411)은 확산천부재(410)를 자르거나 찢어 형성진 형태로 형성되어 자유롭게 휘어지는 천재질의 특성에 의해 벌어질 수 있고 다시 오므라지게 되어 카메라부(200)가 통과한 부분을 제외하고 개방된 부분이 최소화된다.The cutting line 411 for passing through the camera may be formed by cutting or tearing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and may be opened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that is freely bent, and then become closed again, so that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camera unit 200 passes Except the open area is minimized.

자르거나 찢어 형성진 형태로 형성된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411)에 의해 카메라부(200)가 확산천부재(410)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확산천부재(410)를 통과한 후 확산천부재(410)에 의해 카메라부(200)가 감싸지게 되어 조명부(300)의 빛이 직접적으로 피사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The camera unit 200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by the cutting line 411 for passing the camera formed in the form of a cut or tear,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the diffusion cloth member The camera unit 200 is enclosed by 410 to minimize the direct transmission of light from the lighting unit 300 to the subject.

그리고,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411)는 카메라부(200)의 높이 변화 및 카메라부(200)의 개수 조절에도 카메라부(200)가 빛확산부(400)를 통과하여 빛확산부(400) 내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 있어 조명부(300)의 빛이 통과되는 틈의 크기가 최소화되고, 조명부(300)의 빛이 직접적으로 피사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utting line 411 for passing through the camera passes through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through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even though the height change of the camera unit 200 and the number of camera units 200 are adjusted. In photographing an inner subject, the size of the gap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300 passes is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300 from being directly irradiated to the subject.

조명부(300)는 빛확산부(400)의 외측에 위치되고, 피사체 회전부(100)는 빛확산부(400)의 안쪽에 위치된다.The lighting unit 300 is located outside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and the subject rotating unit 100 is located inside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빛확산부(400)는 피사체 회전부(100) 상에 위치되는 피사체를 감싸도록 복수의 면을 가지는 다각형상 또는 피사체를 감싸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It is revealed that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may have a polyg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faces or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subject so as to surround the subject located on the subject rotation unit 100.

본 발명에서 빛확산부(400)는 평면 상에서 사각형을 이루도록 4개의 면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has four surfaces to form a square on a plane.

그리고, 카메라부(200)와 조명부(300)는 빛확산부(400)의 복수의 면 중 어느 한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unit 200 and the lighting unit 300 are position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조명부(300)는 카메라부(200)가 위치된 빛확산부(400)의 일면에 위치되어 빛확산부(400)의 일면으로 빛을 조사한다.The lighting unit 300 is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where the camera unit 200 is located and irradiates light to on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조명부(300)는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에서 빛확산부(400)를 향해 빛을 조사한다. The lighting unit 300 irradiates light toward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unit 200.

조명부(300)에서 발광된 빛은 카메라부(200)가 위치된 빛확산부(400)의 일면을 통과하여 피사체를 조명하게 된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300 passes through on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where the camera unit 200 is positioned to illuminate the subj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는 빛확산부(400)에서 카메라부(200)와 조명부(300)가 위치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하우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using part 500 positioned to surround the rest of the surfaces except the one surface where the camera part 200 and the lighting part 300 are located in the light diffusion part 400. It can contain.

하우징부(500)는 빛확산부(400)와 마주하는 면이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510)으로 이루어져 조명부(30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하여 확산부를 통해 피사체의 둘레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The housing unit 500 is made of a reflective surface 510 whose surface faces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reflects light, and reflects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ing unit 300 so that light is irradiated around the subject through the diffusion unit. Make it possible.

하우징부(500)의 내측면은 빛반사율이 높은 흰색으로 형성되어 조명부(300)의 빛 중 일부만 반사되고 확산부를 거쳐 피사체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As an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500 is formed of white with high light reflectivity so that only a part of the light of the lighting part 300 is reflected and can be irradiated to the subject through the diffusion par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는 카메라부(200)가 거치되는 카메라 거치대(60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mera holder 600 on which the camera unit 200 is mounted.

카메라부(200)는 카메라 거치대(600)에 의해 거치되어 확산천부재(410)를 통과하여 위치된다. The camera unit 200 is mounted by the camera holder 600 and positioned through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을 참고하면 조명부(300)는 빛확산부(400)의 전면에 위치되어 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전면 조명부(300a), 빛확산부(400)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측면 조명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ring to FIG. 3, the lighting unit 300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and irradiates light toward the rear It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lighting unit (300a),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may include a side lighting unit (300a) for irradiating light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또한, 조명부(300)는 빛확산부(400)의 상면에 위치되어 아래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상면 조명부(300c)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300 may include a top lighting unit 300c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unit 400 to irradiate light downward.

전면 조명부(300a)는 카메라부(200)를 중심으로 카메라부(20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으로 위치될 수 있다. The front lighting unit 300a may be positioned as a pair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amera unit 200 around the camera unit 200.

전면 조명부(300a)는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411)를 기준으로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411)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확산천부재(410)를 통과해 피사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The front lighting unit 300a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utting line 411 for passing through the camera based on the cutting line 411 for passing through the camera, and can pass through the diffusion cloth member 410 to irradiate the subject with ligh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에서 카메라 거치대(6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mera holder 600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카메라 거치대(600)는 세로로 세워지는 카메라 지지막대부재(610), 카메라 지지막대부재(610)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카메라 지지막대부재(610)의 위치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620), 카메라 지지막대부재(61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카메라부(200)가 안착되어 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거치부재(630)를 포함한다. 4 and 5, the camera holder 60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610 and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610, which are vertically erected,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610. The base member 620 and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610 ar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 mounting members 630 on which the camera unit 200 is mounted and mounted.

카메라 거치대(600)는 베이스부재(6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이동 바퀴부(640)를 더 포함하여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카메라부(200)의 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amera cradle 600 is located below the base member 620 and can be freely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further including a plurality of moving wheel parts 640 roll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mera part 200 Can be adjusted.

카메라부(200)는 카메라 거치부재(6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The camera unit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mounting member 630 and the number of photographing subjects may be adjusted.

또한, 카메라 지지막대부재(610)는 높이 방향으로 카메라 거치부재(630)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레일부(611)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610 is provided with a rail portion 611 in which the camera mounting member 630 is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카메라 거치부재(630)는 레일부(611)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camera mounting member 630 is movably positioned on the rail portion 611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amera portion 200.

카메라 거치부재(630)는 레일부(6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631)을 포함하고, 이동블럭(6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카메라 높이 고정볼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the camera mounting member 630 includes a movement block 631 movably coupled to the rail portion 611, and the position is fixed by a camera height fixing bolt fastened through the movement block 631. do.

레일부(611)는 이동블럭(631)이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카메라 지지막대부재(6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형태로 형성되고, 이동블럭(631)은 슬릿형태로 형성된 레일부(611) 내로 삽입되어 카메라 지지막대부재(61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rail portion 611 is formed in a slit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610 so that the moving block 631 is inserted and moved, and the moving block 631 is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611 formed in a slit shape. It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610.

또한, 카메라 거치부재(630)는 카메라부(200)가 안착되어 거치되고 카메라 받침 힌지부(633)로 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받침대(6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unting member 63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support 632 on which the camera unit 200 is seated and mounted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moving block with the camera support hinge 633.

카메라 받침대(632)는 카메라 받침 힌지부(633)로 이동블럭(631)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카메라부(20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amera pedestal 632 is rotatably positioned on the moving block 631 by the camera support hinge part 633 to adjust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camera part 2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의 카메라 거치대(600)에서 카메라 받침 힌지부(633)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amera support hinge portion 633 in the camera cradle 600 of the 3D image generating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를 참고하면 카메라 받침 힌지부(633)는 카메라 받침대(632)의 회전축(633a), 회전축(633a)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축구멍을 구비한 축지지부재(633b)를 포함하고, 축지지부재(633b)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회전축(633a)의 위치를 고정하는 축고정 볼트부재(63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6, the camera support hinge part 633 is an axis support member 633b having an axis of rotation in which the rotation axis 633a and the rotation axis 633a of the camera support 632 are rotatably located therein. ), and may further include a shaft fixing bolt member 633c that is fastened through the shaft support member 633b to fix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shaft 633a.

축고정 볼트부재(633c)는 축지지부재(633b)를 관통하여 축지지부재(633b)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633a)을 가압하여 회전축(633a)의 위치를 고정한다. The shaft fixing bolt member 633c penetrates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33b and is screwed to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33b to press the rotating shaft 633a to fix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shaft 633a.

카메라 받침대(632)는 축고정 볼트부재(633c)를 푼 상태에서 회전축(633a)을 중심으로 회전된 후 카메라부(200)의 촬영 각도에 맞게 각도가 조정된 후 축고정 볼트부재(633c)를 체결하여 조정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After the camera base 632 is rotated around the rotating shaft 633a in the state where the axis fixing bolt member 633c is released, the angle is adjusted to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unit 200 and then the axis fixing bolt member 633c is It can be fixed at an angle adjusted by fastening.

도 6의 (b)를 참고하면 카메라 받침 힌지부(633)는 카메라 받침대(632)의 회전축(633a), 회전축(633a)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축구멍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볼스토퍼홈(633d)이 이격되게 위치된 축지지부재(633b), 회전축(633a)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일부분이 회전축(633a)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볼스토퍼홈(633d) 내에 삽입되는 볼스토퍼(633e), 볼스토퍼(633e)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633f)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6, the camera support hinge part 63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directions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xis hole in which the rotation axis 633a and the rotation axis 633a of the camera support 632 are rotatably located therein. The ball stopper groove 633d is spaced apart from the shaft support member 633b, the rotary shaft 633a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and a portion of the ball shaft stopper 633a protrude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stopper groove 633d ( 633e), a spring member 633f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stopper 633e may be included.

볼스토퍼홈(633d)은 축구멍의 내주면에 360도 반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어 연속되게 위치되어 회전축(633a)의 회전 시 볼스토퍼홈(633d)이 차례로 삽입된다.The ball stopper groove 633d is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at a 360-degree radiu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hole to be continuously positioned, and the ball stopper groove 633d is sequentially inserted when the rotation shaft 633a rotates.

볼스토퍼(633e)는 스프링부재(633f)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회전축(633a)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일부분이 볼스토퍼홈(633d) 내로 삽입되어 회전축(633a)의 회전을 제한한다. The ball stopper 633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member 633f, and a portion protruding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633a is inserted into the ball stopper groove 633d to limit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633a.

볼스토퍼(633e)는 스프링부재(633f)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회전축(633a)이 회전될 경우에 볼스토퍼홈(633d)에서 이탈되어 회전축(633a)의 회전 방향에서 다음 볼스토퍼홈(633d)으로 삽입된다. The ball stopper 633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member 633f and is detached from the ball stopper groove 633d when the rotation shaft 633a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force or higher, and then moves to the next ball stopp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633a.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633d.

즉, 카메라 받침대(632)는 볼스토퍼(633e)가 볼스토퍼홈(633d)에서 이탈되는 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만 회전되어 카메라부(20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평상 시에 볼스토퍼(633e)가 볼스토퍼홈(633d) 내에 삽입되어 회전축(633a)의 회전을 제한하므로 조절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That is, the camera support 632 is rotated only when the ball stopper 633e is rotated beyond the force deviating from the ball stopper groove 633d to adjust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unit 200, and the ball stopper in normal use 633e is inserted into the ball stopper groove 633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633a,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at an adjusted angle.

본 발명은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사체를 회전시키면서 피사체의 3D 이미지 생성용 2차원 이미지를 다수 촬영하여 설비 비용을 최소화하여 3D 이미지 생성을 위한 촬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며, 촬영 장치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equipment cost by taking a plurality of 2D images for generating a 3D image of a subject while rotating a subject while the camera is fixed, minimizing the cost for shooting to generate a 3D image, and compactly photographing apparatus Can be designed.

본 발명은 고정된 카메라로 등속도로 회전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선명하고 정확한 2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어 3D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일정한 품질의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apture a clear and accurate 2D image capable of generating a 3D image by photographing a subject rotating at a constant speed with a fixed camera,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3D image and generating a 3D image of constant quality.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ly changing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피사체 회전부 110 : 피사체 받침부재
120 : 회전기기 200 : 카메라부
300 : 조명부 310 : 조명 램프부
320 : 램프 스탠드 321 : 램프 지지 막대부재
322 : 램프 지지다리부재 400 : 빛확산부
410 : 확산천부재 411 :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
420 : 지지프레임부재 500 : 하우징부
510 : 반사면 600 : 카메라 거치대
610 : 카메라 지지막대부재 611 : 레일부
620 : 베이스부재 630 : 카메라 거치부재
631 : 이동블럭 632 : 카메라 받침대
633 : 카메라 받침 힌지부 633a : 회전축
633b : 축지지부재 633c : 축고정 볼트부재
633d : 볼스토퍼홈 633e : 볼스토퍼
633f : 스프링부재 640 : 이동 바퀴부
100: subject rotating part 110: subject support member
120: rotating device 200: camera unit
300: lighting unit 310: lighting lamp unit
320: lamp stand 321: lamp support bar member
322: lamp support leg member 400: light diffusion unit
410: diffusion cloth member 411: cutting line for passing the camera
420: support frame member 500: housing
510: reflective surface 600: camera holder
610: Camera support bar member 611: Rail
620: base member 630: camera mounting member
631: Mobile block 632: Camera stand
633: camera base hinge 633a: rotating shaft
633b: Shaft support member 633c: Shaft fixing bolt member
633d: Ball stopper groove 633e: Ball stopper
633f: Spring member 640: Moving wheel part

Claims (20)

피사체를 회전시키는 피사체 회전부; 및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피사체 회전부로 회전되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A subject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subject; And
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rotated by the subject rotation unit at a fixed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기는 상기 피사체 받침부재를 등속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device i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ject support member is rotated at a constant spe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일정한 주기로 피사체를 반복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amera unit i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ject is repeatedly photographed at regular interval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기는 상기 피사체 받침부재를 2 ~ 20분당 1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otating device i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ject supporting member is rotated once every 2 to 20 minut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피사체 받침부재의 1회전 시 상기 피사체를 200 ~ 800회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amera unit is a photographing device for 3D image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200-800 shots of the subject during one rotation of the subject suppor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기는 피사체를 첫번째 회전 시 기준점으로부터 360° 등속회전하고, 두번째 회전 시 기준점에서 일시 정지한 후 다시 360° 등속회전하여 피사체가 두번째 회전 시 카메라부가 첫번째 회전시 촬영한 피사체의 위치와 다른 위치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device rotates the subject at a constant speed of 360° from the reference point during the first rotation, pauses at the reference point at the second rotation, and then rotates at a constant 360° again, so that when the subject rotates the second time, the camera unit is position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aken at the first rotation. Shooting device for generating a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shoot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정지 시간은 피사체의 회전속도 / 카메라 촬영횟수×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use time is a shooting device for generating a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ubject / number of camera shots ×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llumin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subjec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되면서 투과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빛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Positioned to surround the subject, and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unit is transmitted while the light diffusion unit for scattering the transmitted light further comprises a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빛확산부는,
상기 조명부의 빛이 투과되는 확산천부재; 및
상기 확산천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light diffusion unit,
A diffusion cloth member through which light of the lighting unit is transmitted; And
And a support frame member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diffusion cloth memb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확산천부재에는 세로 방향으로 절단되거나 찢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사이로 상기 카메라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통과용 절단라인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diffusion cloth me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t or tor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 shooting device for generating a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a cutting line for passing the camera is positioned to allow the camera portion to pass therebetwee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빛확산부의 전면에 위치되어 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전면 조명부;
상기 빛확산부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측면 조명부; 및
상기 빛확산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아래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상면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lighting unit,
A front illumination unit located on the front of the light diffusion unit and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ar;
Side lighting uni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diffusion unit and irradiating light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And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unit and includes an upper surface illumin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downwar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빛확산부에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조명부가 위치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using portion positioned to surround the rest of the surface except the one side where the camera portion and the lighting portion are located in the light diffusion por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빛확산부와 마주하는 면이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housing unit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facing the light diffusion is made of a reflective surface for reflecting l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거치되는 카메라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세로로 세워지는 카메라 지지막대부재;
상기 카메라 지지막대부재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카메라 지지막대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카메라 지지막대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카메라부가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holder to which the camera unit is mounted,
The camera holder,
A vertically supporting camera support member;
A base member position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And
And a plurality of camera mounting member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camera uni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이동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camera holder is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memb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roll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3D image generating apparatus for image genera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막대부재는 높이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거치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레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 거치부재는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camera support bar member is provided with a rail portion in which the camera mounting member is movably positioned in a height direction, and the camera mounting member has a moving block movably coupled to the rail portion. Dragon shooting device.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거치부재는 상기 이동블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카메라 높이 고정볼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The camera mounting member is a shooting device for 3D image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fixed by a camera height fixing bolt that is fastened through the mobile block.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거치부재는 상기 카메라부가 안착되어 거치되고 카메라 받침 힌지부로 상기 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The camera-mounting member is a photographing device for generating a 3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mera pedestal seated and mounted and the camera support hinge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받침 힌지부는 카메라 받침대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축구멍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볼스토퍼홈이 이격되게 위치된 축지지부재;
상기 회전축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스토퍼홈 내에 삽입되는 볼스토퍼; 및
상기 볼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The camera support hinge portion is a rotating shaft of the camera base;
A shaft support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ball stopper grooves are spaced apar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hole in which the rotation shaft is rotatably located therein;
A ball stopper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and partially protru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to be inserted into the ball stopper groove; And
And a spr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stopper.
KR1020190005051A 2019-01-15 2019-01-15 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KR202000885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051A KR20200088594A (en) 2019-01-15 2019-01-15 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051A KR20200088594A (en) 2019-01-15 2019-01-15 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94A true KR20200088594A (en) 2020-07-23

Family

ID=7189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051A KR20200088594A (en) 2019-01-15 2019-01-15 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59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225B1 (en) * 2021-12-23 2022-04-27 주식회사 와이디컴퍼니 Clothing Shooting System For Online Sales
KR102573048B1 (en) * 2022-12-08 2023-08-31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Space Rental System Using 3D Space Scan Data
KR102639271B1 (en) * 2022-12-09 2024-02-21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Space rental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space based on 3D space scan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92Y1 (en) 2015-01-27 2015-07-28 주식회사 포디웰컴 Three dimensional imag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92Y1 (en) 2015-01-27 2015-07-28 주식회사 포디웰컴 Three dimensional imag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225B1 (en) * 2021-12-23 2022-04-27 주식회사 와이디컴퍼니 Clothing Shooting System For Online Sales
KR102573048B1 (en) * 2022-12-08 2023-08-31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Space Rental System Using 3D Space Scan Data
KR102639271B1 (en) * 2022-12-09 2024-02-21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Space rental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space based on 3D space scan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8594A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ion
CA2774371A1 (en) Photography stand
JP2015517238A (en) Automatic scanner and method for 3D digitiz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a human head
JP7332642B2 (en) Formation of uniform illumination lines that can be imaged as low speckle lines
HK1054265A1 (en) Apparatus for generatig data for determining a property of a gemstone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roperty of a gemstone.
BE1019842A5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POSITIONING USING LASER SYSTEMS.
JP2011170014A (en) Stroboscopic device
WO201004968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photograph" data files
CN107420710A (en) A kind of camera test accessory
JP3236441U (en) Camera unit and visual inspection equipment using it
JP6310372B2 (en) Inspection device
CH692847A5 (en) Automatic device detecting print defects appearing on metallised strips or any other printing support comprising a predominance of colored surfaces s
EP3714325A1 (en) Device for acquiring an individual's face by photogrammetry
CN205715131U (en) Dual camera module being assembled into one board automatically
US20240121514A1 (en) Photographic stage
KR101456550B1 (en) 3d real viewer for capturing all side of material
CN205787516U (en) Can centering film studio
JP2016148598A (en) Outer periphery imaging apparatus of object such as caulking terminal, visual insp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and terminal crimp wire manufacturing method
Okada et al. Conical holographic stereograms
KR200214661Y1 (en) Apparatus for fixing a subject for photography and a camera taking a 3 dimensional images
FR2588684A1 (en) PROJECTION APPARATUS WITH SPHERICAL SCREEN MORE ESPECIALLY FOR ADVERTISING USES
FR2602885A1 (en) METHOD FOR TAKING PICTURES FOR RECORDING VISUAL SPHERES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CN207487584U (en) A kind of laser scanning and the device of holographic combined type 3D scanning modelings
JP2016065782A (en) Inspection device
FR2803764A1 (en) Device for treating vertigo or other equilibrium problems by training a patient by standing him or her on a rotating platform and subjecting him to opto-kinetic stimuli while rotating the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