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648A -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648A
KR20200087648A KR1020190022761A KR20190022761A KR20200087648A KR 20200087648 A KR20200087648 A KR 20200087648A KR 1020190022761 A KR1020190022761 A KR 1020190022761A KR 20190022761 A KR20190022761 A KR 20190022761A KR 20200087648 A KR20200087648 A KR 20200087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cryptocurrency
pool
dividend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쉬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쉬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쉬스톤
Publication of KR2020008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암호 화폐 거래소 관리를 위한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간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관리부,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에게 기 설정된 룰에 따라 배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당 풀, 및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배당 풀에 할당하는 수익 할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SYSTEM FOR CRYPTO CURRENCY EXCHANGE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 화폐 거래소 운영 기술과 관련된다.
암호 화폐는 컴퓨터 등에 정보 형태로 남아 실물 없이 사이버상으로만 거래되는 전자 화폐의 일종으로, 암호 기술에 기반하여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매개하는 화폐이다. 암호 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분산형 시스템 방식으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암호 화폐는 거래소를 통해 거래되는데, 3세대 거래소라 불리는 마이닝 기반 거래소에서는 수수료에 따른 수익을 거래소의 마이닝 코인을 보유한 사용자들에게 배당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마이닝 코인 유통량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배당 이익도 감소하여 코인 가치가 하락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8009호(2016.06.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 화폐 거래소의 운영을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암호 화폐 거래소 관리를 위한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간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관리부;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에게 기 설정된 룰에 따라 배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당 풀; 및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배당 풀에 할당하는 수익 할당부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 시 기 설정된 거래 대금을 달성한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급하고, 상기 티켓이 발급된 사용자로부터 티켓 사용 신청을 수신하는 티켓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당 풀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티켓 신청 배당 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은,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일 단위로 전날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 중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고,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 중 기 설정된 금액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에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별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를 제한하고, 상기 티켓 관리부는,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이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유지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티켓을 소멸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 단위는, 상기 유지 기간과 동일하고,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에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배당 풀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제1 이자 풀 및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우수 거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제2 이자 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익 할당부는,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 상기 제1 이자 풀, 및 상기 제2 이자 풀에 기 설정된 비율로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배당 풀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상기 티켓을 보유하였으나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이벤트 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암호 화폐 거래소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간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1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 간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2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 간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1 거래 관리부;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 및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에게 기 설정된 룰에 따라 배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당 풀; 및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배당 풀에 할당하는 제1 수익 할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 간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2 거래 관리부; 및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배당 풀에 할당하는 제2 수익 할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리 서버는,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 시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량 및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 대금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급하고, 상기 티켓이 발급된 사용자로부터 티켓 사용 신청을 수신하는 티켓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당 풀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티켓 신청 배당 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은,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일 단위로 전날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수수료 이익 중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고,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 중 기 설정된 금액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에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별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를 제한하고, 상기 티켓 관리부는,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이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유지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티켓을 소멸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 단위는, 상기 유지 기간과 동일하고,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에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은,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들 중 기 설정된 승급 조건에 만족하는 마이너 암호 화폐를 메이저 암호 화폐로 승급시키는 승급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당 풀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사용자들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제1 이자 풀 및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사용자들 중 우수 거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제2 이자 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당 풀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상기 티켓을 보유하였으나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이벤트 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암호 화폐 거래소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간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1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 간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2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는, 암호 화폐의 거래량, 거래 대금, 및 사용자 수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암호 화폐이고,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는, 신규 상장되는 암호 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량, 및 거래 대금이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암호 화폐이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암호 화폐 거래소 자체적으로 별도의 암호 화폐(또는 토큰)을 발행하지 않음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암호 화폐의 유통량이 증가하여 암호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호 화폐 거래 시 해당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급하고, 암호 화폐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티켓 사용 신청을 통해 배당 풀에서 분배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배당 풀에 들어가지 않은 티켓에 대해서는 별도의 이벤트 풀 등 다양한 사용처를 통해 수수료 이익을 분배함으로써, 암호 화폐 거래소를 사용하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활발한 암호 화폐 거래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암호 화폐 거래소 내에서 사용자들이 티켓을 통해 다양한 투자를 시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암호 화폐 거래소를 메이저 암호 화폐와 마이너 암호 화폐로 이원화하여 운영하고, 기 설정된 승급 조건을 만족하는 마이너 암호 화폐를 메이저 암호 화폐로 승급함으로써, 새로 발생하는 암호 화폐 등에 대해 검증 단계를 거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소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당 풀 그룹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2) 및 거래소 관리 서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해 거래소 관리 서버(104)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150)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100)을 통하여 암호 화폐를 거래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암호 화폐는 사이버상으로 거래되는 암호화 된 전자 화폐로서, 예를 들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라이트코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종류의 암호 화폐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2)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 탑, 노트북 등의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사용자 단말(102) 간의 암호 화폐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를 호스팅 할 수 있다.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사용자 단말(102) 간에 암호 화폐를 거래(매도 또는 매수)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거래소 관리 서버(104)의 예들은 다양한 유형의 서버 컴퓨터, 가령 메인 프레임 기반이나 오픈 시스템 기반의 서버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블록체인 시스템(106)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블록체인 시스템(106)을 통해 사용자 단말(102) 간 암호 화폐의 거래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6)은 블록체인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노드로 구성된 분산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6)을 이용한 암호 화폐 거래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소를 이원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암호 화폐의 종류에 따라 거래소를 이원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암호 화폐는 거래량, 거래 대금, 사용자 수, 및 신규 상장 여부 등에 따라 메이저(Major) 암호 화폐와 마이너(Minor) 암호 화폐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메이저 암호 화폐는 거래량, 거래 대금, 및 사용자 수 등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암호 화폐로서, 암호 화폐로서의 검증이 완료된 암호 화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이저 암호 화폐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반면, 마이너 암호 화폐는 거래량, 거래 대금, 및 사용자 수 등이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암호 화폐로서, 암호 화폐로서의 검증이 안된 암호 화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너 암호 화폐는 새로 만들어지는 암호 화폐(또는 거래소에 신규 상장되는 암호 화폐)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의 암호 화폐라도 거래량, 거래 대금, 및 사용자 수 등이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이면 마이너 암호 화폐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이저 암호 화폐는 1부 리그라는 암호 화폐 마켓에서 거래되고, 마이너 암호 화폐는 2부 리그라는 별도의 암호 화폐 마켓에서 거래될 수 있다. 1부 리그 및 2부 리그는 메이저 암호 화폐와 마이너 암호 화폐가 서로 다른 마켓에서 거래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제1 관리 서버(104-1) 및 제2 관리 서버(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리 서버(104-1)는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제2 관리 서버(104-2)는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리 서버(104-1) 및 제2 관리 서버(104-2)는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이 실제 물리적으로는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소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당 풀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래소 관리 서버(104)는 제1 관리 서버(104-1) 및 제2 관리 서버(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리 서버(104-1)는 제1 거래 관리부(111), 배당 풀 그룹(113), 제1 수익 할당부(115), 및 티켓 관리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래 관리부(111)는 사용자 단말(102) 간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 및 관리할 수 있다. 제1 거래 관리부(111)는 블록체인 시스템(106)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2) 간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 및 관리할 수 있다.
배당 풀 그룹(113)은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수수료를 통해 발생된 이익의 일부를 암호 화폐 거래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배당해주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배당 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당 풀은 각 배당 풀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즉, 해당 배당 풀을 통해 이익을 분배 받는 사용자의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수수료를 통해 발생된 이익 중 일부는 암호 화폐 거래소의 운영자(또는 관리자)가 가지게 되고, 또 다른 일부(또는 나머지)는 암호 화폐 거래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배당될 수 있다. 이하,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수수료를 통해 발생된 이익(수수료 이익) 중 사용자들에게 배당되는 이익을 사용자 배당 이익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때, 수수료 이익 중 사용자 배당 이익을 어느 정도로 할지는 암호 화폐 거래소의 운영자 등이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당 풀 그룹(113)은 티켓 신청 배당 풀(113-1), 제1 이자 풀(113-2), 제2 이자 풀(113-3), 및 이벤트 풀(113-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배당 이익은 기 설정된 비율로 티켓 신청 배당 풀(113-1),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배당 이익은 3:2:1의 비율로 티켓 신청 배당 풀(113-1),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에 각각 할당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은 암호 화폐 거래소의 티켓 보유 사용자들 중 티겟 신청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배당 풀일 수 있다.
여기서, 티켓 보유 사용자는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발급한 티켓을 보유한 사용자일 수 있다.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는 암호 화폐의 거래량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대금 등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급할 수 있다. 티켓은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에서 상기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 받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티켓은 암호 화폐 거래를 발생시킨 사용자에게 사용자 배당 이익 분배를 통한 보너스 혜택을 주기 위한 것으로, 그 명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티켓은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 및 판매가 불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티켓 신청 사용자는 티켓을 보유한 사용자들 중 티켓을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에 사용하기로(또는 넣기로) 신청한 사용자일 수 있다. 즉, 티켓 신청 사용자는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 받으려고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에 들어가기 위해 티켓을 사용한 사용자일 수 있다.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은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 및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티켓을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 및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기로 신청할 수 있다.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은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일 등)로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배당 풀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은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전날 거래에 의한 수수료 이익 중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배당 풀일 수 있다.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은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전날 거래에 의한 수수료 이익 중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티켓 수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티켓을 많이 넣은 사용자일수록 티켓 수에 비례하여 수수료 이익을 분배 받게 된다.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의 경우, 전날 거래에 의한 수수료 이익에 따라 티켓 당 분배 이익이 변동되게 된다. 즉, 전날 암호화 화폐의 거래량이 많아 수수료 이익이 많이 발생한 경우 티켓 당 분배 이익도 많아지게 되는 반면, 전날 암호화 화폐의 거래량이 적어 수수료 이익이 적어지는 경우 티켓 당 분배 이익도 적어지게 된다.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은 신청 티켓의 총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은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들어올 수 있는(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은 일일 신청 티켓의 총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들어올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는 21만개이고, 일일 신청 티켓의 총 개수는 3만개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티켓은 신청한 순서대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들어올 수 있다.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들어온 티켓은 사용자가 해당 티켓을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들어가기로 신청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유지 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등)이 경과하면 소멸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티켓을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사용하기로 신청한 시점으로부터 해당 티켓을 통해 기 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만 이익 분배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의 티켓 총 개수와 일일 신청 티켓의 총 개수를 제한하고, 유지 기간이 경과하면 티켓을 소멸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당 이익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당 이익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은 기 설정된 제2 시간 단위로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배당 풀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간 단위는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시간 단위는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설정된 티켓의 유지 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등)일 수 있다.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은 기 설정된 제2 시간 단위로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 중 기 설정된 금액(즉, 고정된 금액)을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에 신청된 티켓 수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즉,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은 암호 화폐 거래소의 전날 거래에 의한 수수료 이익에 의해 변동되는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과는 달리 고정된 금액을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에 신청된 티켓 수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은 신청 티켓의 총 개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에 신청된 티켓이 적으면 티켓 당 분배 이익이 많아지게 되고,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에 신청된 티켓이 많으면 티켓 당 분배 이익이 적어지게 된다.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은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1b)에 신청된 티켓의 총 개수를 비공개로 할 수 있다.
제1 이자 풀(113-2)은 암호 화폐 거래소의 전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제1 이자 풀(113-2)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배당 풀일 수 있다. 제1 이자 풀(113-2)은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일 등)로 제1 이자 풀(113-2)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티켓 보유와는 관계없이 전체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즉, 암호 화폐 거래소의 전체 사용자들은 암호 화폐 거래 없이 암호 화폐를 보유만 하고 있어도 일종의 이자를 주기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배당" 및 "이자" 등의 용어는 암호 화폐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 중 사용자에게 분배되도록 할당되어 사용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것을 표현한 것으로, 그 명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서비스에서는 다른 명칭으로 사용될 수도 잇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이자 풀(113-2)은 암호 화폐 거래소의 전날 거래에 의한 수수료 이익 중 제1 이자 풀(113-2)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전체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제1 이자 풀(113-2)은 각 사용자들이 보유한 암호화 화폐의 원화 가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할 수 있다.
제2 이자 풀(113-3)은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우수 거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제2 이자 풀(113-3)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해하기 위한 배당 풀일 수 있다. 제2 이자 풀(113-3)은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일 등)로 제2 이자 풀(113-3)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우수 거래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우수 거래 사용자는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암호 화폐 거래량이 기 설정된 순위 이내인 사용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이자 풀(113-3)은 암호 화폐 거래소의 전날 거래에 의한 수수료 이익 중 제2 이자 풀(113-3)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우수 거래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제2 이자 풀(113-3)은 우수 거래 사용자들이 보유한 암호화 화폐의 원화 가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배당 이익을 분배할 수 있다.
이벤트 풀(113-4)은 암호 화폐 거래소의 티켓 보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자 배당 이익의 일부를 분배하기 위한 배당 풀일 수 있다. 즉, 이벤트 풀(113-4)은 티켓은 보유하고 있지만 티켓을 티켓 신청 배당 풀(113-1)에 신청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자 배당 이익의 일부를 분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수수료를 통해 발생된 이익 중 운영자가 가지는 이익(운영자 이익)의 일부를 이벤트 풀(113-4)을 통해 분배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벤트 풀(113-4)은 비정기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풀(113-4)은 설 또는 추석과 같은 명절이나 월드컵 또는 올림픽 등과 같은 행사 시기에 이벤트 성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벤트 풀(113-4)은 이벤트 풀(113-4)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티켓 보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보유한 티켓 수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풀(113-4)은 이벤트 풀(113-4)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을 티켓 보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을 통해 분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티켓에는 티켓 고유 번호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풀(113-4)은 에어 드랍 이벤트 발생 시 티켓 보유 사용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에어 드랍을 할당할 수 있다.
제1 수익 할당부(115)는 제1 거래 관리부(111)를 통한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에 의해 발생되는 수수료(즉, 암호 화폐의 거래 당사자들이 거래소에 지불하는 수수료) 수익 중 사용자 배당 이익을 배당 풀 그룹(113)에 할당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수익 할당부(115)는 사용자 배당 이익을 기 설정된 비율로 티켓 신청 배당 풀(113-1),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익 할당부(115)는 사용자 배당 이익을 3:2:1의 비율로 티켓 신청 배당 풀(113-1),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에 각각 할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수익 할당부(115)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사용자 배당 이익을 기 설정된 비율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익 할당부(115)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단위로 사용자 배당 이익 중 기 설정된 금액을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2a)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익 할당부(115)는 이벤트 입력 신호에 따라 이벤트 입력 신호에 포함된 금액(사용자 배당 이익 또는 운영자 이익 중 일부 금액)을 이벤트 풀(113-4)에 할당할 수 있다. 이벤트 입력 신호는 암호 화폐 거래소의 운영자 또는 관리자가 발생시킬 수 있다.
티켓 관리부(117)는 제1 거래 관리부(111)를 통한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 발생 시 해당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급할 수 있다. 티켓 관리부(117)는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량 또는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 대금 등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관리부(117)는 메이저 암호 화폐가 비트코인인 경우, 1 비트코인당 1개의 티켓을 발급할 수 있다. 티켓 관리부(117)는 티켓 발급 시 해당 티켓에 티켓 고유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티켓 관리부(117)는 티켓을 보유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티켓 사용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티켓 사용 신청에는 사용자 식별 정보, 각 티켓의 티켓 고유 번호, 및 각 티켓이 사용될 배당 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티켓 관리부(117)는 티켓 사용 신청을 그에 대응하는 배당 풀에 저장할 수 있다.
티켓 관리부(117)는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에 신청한 티켓의 경우, 티켓 사용 신청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유지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티켓을 소멸시킬 수 있다.
제2 관리 서버(104-2)는 제2 거래 관리부(121), 제2 수익 할당부(123), 및 승급 관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거래 관리부(121)는 사용자 단말(102) 간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 및 관리할 수 있다. 제2 거래 관리부(121)는 블록체인 시스템(106)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2) 간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 및 관리할 수 있다.
제2 수익 할당부(123)는 제2 거래 관리부(121)를 통한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에 의해 발생되는 수수료 수익 중 사용자 배당 이익을 배당 풀 그룹(113)에 할당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수익 할당부(123)는 사용자 배당 이익을 기 설정된 비율로 티켓 신청 배당 풀(113-1),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익 할당부(123)는 사용자 배당 이익을 3:2:1의 비율로 티켓 신청 배당 풀(113-1),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에 각각 할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수익 할당부(123)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사용자 배당 이익을 기 설정된 비율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113-1a),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익 할당부(123)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단위로 사용자 배당 이익 중 기 설정된 금액을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113-2a)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익 할당부(123)는 이벤트 입력 신호에 따라 이벤트 입력 신호에 포함된 금액(사용자 배당 이익 또는 운영자 이익 중 일부 금액)을 이벤트 풀(113-4)에 할당할 수 있다.
승급 관리부(125)는 암호 화폐 거래소의 마이너 암호 화폐들 중 기 설정된 승급 조건에 만족하는 마이너 암호 화폐를 메이저 암호 화폐로 승급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승급 관리부(125)는 암호 화폐의 거래량, 거래 대금, 및 사용자 수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마이너 암호 화폐를 메이저 암호 화폐로 승급시킬 수 있다.
즉,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100)은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1부 리그와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2부 리그로 이원화 하여 운영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너 암호 화폐들 중 기 설정된 승급 조건을 만족하는 마이너 암호 화폐를 2부 리그에서 1부 리그로 승급시킬 수 있다. 한편,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 시에는 해당 사용자에게 별도의 티켓이 발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배당 풀 그룹(113)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은 1부 리그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분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부 리그의 사용자들에게도 사용자 배당 이익이 분배되는 경우(예를 들어, 티켓 없이도 분배되는 제1 이자 풀(113-2) 및 제2 이자 풀(113-3) 등에 할당된 사용자 배당 이익의 경우) 1부 리그의 사용자들 보다 적은 금액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100)은 암호 화폐 거래소 자체적으로 별도의 암호 화폐(또는 토큰)을 발행하지 않음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암호 화폐의 유통량이 증가하여 암호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사용자 단말(102)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거래소 관리 서버(104)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02 : 사용자 단말
104 : 거래소 관리 서버
104-1 : 제1 관리 서버
104-2 : 제2 관리 서버
111 : 제1 거래 관리부
113 : 배당 풀 그룹
113-1 : 티켓 신청 배당 풀
113-1a :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
113-1b :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
113-2 : 제1 이자 풀
113-3 : 제2 이자 풀
113-4 : 이벤트 풀
115 : 제1 수익 할당부
117 : 티켓 관리부
121 : 제2 거래 관리부
123 : 제2 수익 할당부
125 : 승급 관리부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암호 화폐 거래소 관리를 위한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간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관리부;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에게 기 설정된 룰에 따라 배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당 풀; 및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배당 풀에 할당하는 수익 할당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 시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량 및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 대금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급하고, 상기 티켓이 발급된 사용자로부터 티켓 사용 신청을 수신하는 티켓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당 풀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티켓 신청 배당 풀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은,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일 단위로 전날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 중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고,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 중 기 설정된 금액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는, 컴퓨팅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에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별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를 제한하고,
    상기 티켓 관리부는,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이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유지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티켓을 소멸시키는, 컴퓨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단위는, 상기 유지 기간과 동일하고,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에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 컴퓨팅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당 풀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제1 이자 풀 및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우수 거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제2 이자 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익 할당부는,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 상기 제1 이자 풀, 및 상기 제2 이자 풀에 기 설정된 비율로 각각 할당하는, 컴퓨팅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당 풀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상기 티켓을 보유하였으나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이벤트 풀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0. 암호 화폐 거래소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간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1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 간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2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 간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1 거래 관리부;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 및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에게 기 설정된 룰에 따라 배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당 풀; 및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배당 풀에 할당하는 제1 수익 할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 간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2 거래 관리부; 및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상기 배당 풀에 할당하는 제2 수익 할당부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서버는,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 시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량 및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 대금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급하고, 상기 티켓이 발급된 사용자로부터 티켓 사용 신청을 수신하는 티켓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당 풀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티켓 신청 배당 풀을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은,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로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을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일 단위로 전날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수수료 이익 중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고,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할당된 수수료 이익 중 기 설정된 금액을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에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별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를 제한하고,
    상기 티켓 관리부는,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이 상기 제1 티켓 신청 배당 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유지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티켓을 소멸시키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단위는, 상기 유지 기간과 동일하고,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은, 상기 제2 티켓 신청 배당 풀에 신청할 수 있는 티켓의 총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은,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들 중 기 설정된 승급 조건에 만족하는 마이너 암호 화폐를 메이저 암호 화폐로 승급시키는 승급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배당 풀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사용자들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제1 이자 풀 및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의 사용자들 중 우수 거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제2 이자 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당 풀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소의 사용자들 중 상기 티켓을 보유하였으나 상기 티켓 사용 신청을 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수수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이벤트 풀을 더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20. 암호 화폐 거래소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간 메이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1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 간 마이너 암호 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제2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이저 암호 화폐는, 암호 화폐의 거래량, 거래 대금, 및 사용자 수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이고,
    상기 마이너 암호 화폐는, 암호 화폐의 거래량, 거래 대금, 및 사용자 수가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KR1020190022761A 2019-01-11 2019-02-26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200087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3725 2019-01-11
KR1020190003725 2019-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648A true KR20200087648A (ko) 2020-07-21

Family

ID=7183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761A KR20200087648A (ko) 2019-01-11 2019-02-26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76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649A (ko) 2019-12-17 2021-06-25 옥재윤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9B1 (ko)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9B1 (ko)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649A (ko) 2019-12-17 2021-06-25 옥재윤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4888B2 (en) System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resources used by smart contracts of a blockchain
US8719131B1 (en) Allocating financial risk and reward in a multi-tenant environment
US117560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izing corporate actions
US10686718B1 (en) Allocating resources
CN107993151B (zh) 基金交易清算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068996B2 (en) Managing insurance platforms on a distributed ledger
CN107527222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及系统
KR20170047292A (ko) 전자 거래 시스템에서의 동적 페그 주문
JP6163195B2 (ja) プリペイド決済システム、プリペイド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775967B2 (en) Transaction delegation method, transaction deleg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092953B1 (ko)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광고 모듈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장치 및 방법
US201503322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features for retail cards exchange
US11494468B2 (en) Rights management of cloud resources
CN114830158B (zh) 用于分布式计算系统中的交易验证的方法和系统
KR20200087648A (ko) 암호 화폐 거래소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160007298A (ko) 대차거래 관리 시스템 및 수량 우선 순차 대여 배정 방법
US201402579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unerating crowdworkers
US10366358B1 (en) Backlogged computing work exchange
KR10228771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수익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N114022136A (zh) 一种用于算力交易的方法、设备与系统
EP28873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rules for equity corporate actions
CN115208901B (zh) 一种资源分配方法、系统、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0824691B1 (ko) 수익 자동 배분 방법 및 시스템
JP726749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15668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품앗이 기반의 포인트 배분 서비스 방법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