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943A -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943A
KR20200086943A KR1020190003350A KR20190003350A KR20200086943A KR 20200086943 A KR20200086943 A KR 20200086943A KR 1020190003350 A KR1020190003350 A KR 1020190003350A KR 20190003350 A KR20190003350 A KR 20190003350A KR 20200086943 A KR20200086943 A KR 2020008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product
service provider
provider server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259B1 (ko
Inventor
김성민
김현아
Original Assignee
김성민
김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김현아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102019000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06Q30/0216Investment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을 위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적립금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METHOD FOR PROVIDING MILEAGE USING CRYPTOCURRENCY}
본 발명은 적립금 지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거래에서 이용자가 상품·서비스 구매 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암호화 화폐로서 적립금을 지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거래에서 상품·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의 재이용을 유도하고 단골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상품·서비스 구매 시마다 구매 대금의 일부를 마일리지로서 제공한다. 다만, 마일리지는 사용처가 제한되어 있으며, 마일리지로 상품·서비스 이용 시 그 가치 전체를 인정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용자들이 마일리지를 사용하지 않고 보유 중일 때, 상품·서비스 제공자에게 상기 마일리지가 채무로 책정되는 바,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기업의 가치(예를 들어, 기업의 주식 가치)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이용자들의 이익을 위해 상품·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마일리지를 암호화 화폐로 교환해주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 경우 마일리지를 암호화 화폐로 교환 할 때 교환에 드는 노력(번거로움), 수수료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본원의 과제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다른 과제는 상품·서비스 제공자의 회계 편의성·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립금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을 위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적립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충전 당시의 암호화 화폐의 단위 수량당 가치 및 충전 수량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 화폐가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상기 적립금에 대응되는 수량의 상기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복수의 암호화 화폐 충전 단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으로서의 상기 암호화 화폐의 제공은, 상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암호화 화폐 충전 순서에 따른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암호화 화폐 충전 단계들 각각에 대한 암호화 화폐 충전 시의 가치 및 충전 수량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제1 가치를 갖는 암호화 화폐의 1차 충전 단계; 및 상기 1차 충전보다 시간적으로 늦은, 제2 가치를 갖는 암호화 화폐의 2차 충전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충전된 암호화 화폐를 제1 가치로서 먼저 제공하고, 상기 1차 충전된 암호화 화폐가 전체 소진된 이후, 상기 2차 충전된 암호화 화폐를 제2 가치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암호화 화폐 거래소 등록 전에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획득하여,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암호화 화폐 거래소를 통해 암호화 화폐를 획득하여,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 화폐 거래소를 통한 암호화 화폐의 획득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 화폐 거래소를 통한 암호화 화폐의 획득은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 잔고가 임계 수준 이하일 때 이루어진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상기 상품·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반대 급부로서 암호화 화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립금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 화폐를, 상기 암호화 화폐 거래소로부터 획득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또는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획득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있어서,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제어부로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상기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적립금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적립금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를, 상기 적립금으로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가 충전될 때의 가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호화 화폐가 충전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상기 적립금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를 상기 적립금으로서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 회의 암호화 화폐 충전들에 대해, 충전 순서에 따라 각각의 충전 시의 암호화 화폐 가치를 기준으로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따르면, 상품·서비스 제공자, 즉 기업은 암호화 화폐 거래소 등록 전에 암호화 화폐 발행 주체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고, 발행 주체가 암호화 화폐 시스템에 대한 홍보, 유지 관리, 사용처 확보를 담당하므로 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품·서비스 제공자는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므로 재무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암호화 화폐 확보 시 가치를 기준으로 충전 순서에 따라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므로, 암호화 화폐의 가치 변동성을 고려할 때, 회계 편의성, 회계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소에 등록하기 전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와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 사이의 암호화 화폐의 거래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소 등록 이후 암호화 화폐의 전반적인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로서 적립금을 지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충전 방법들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암호화 화폐 충전 단계들이 있는 경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제공 순서 및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들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용어 '암호화 화폐'는 교환 수단으로 기능하도록 고안된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으로서 암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거래의 안전을 확보하고, 추가적 단위의 생성을 통제하며, 그 자산의 이전을 인증하는 것으로서, 디지털화폐의 일종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암호화 화폐 계좌'는 상품·서비스 제공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 구매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를 포함하며, 시장의 화폐 가치와 암호화 화폐의 내재 가치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는 블록 체인 기술을 이용한 암호화 화폐의 거래 계좌를 의미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상거래에서 적립금의 지급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소 등록 전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와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 사이의 암호화 화폐의 거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암호화 화폐(또는 암호화폐 또는 가상화폐 또는 코인) 관리 서버(100)는, 암호화 화폐의 발행 주체에 의해 관리된다. ICO(Initial Coin Offering)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투자자들에게 판매해 운영 자금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관리 서버(100)는 발행되는 암호화 화폐의 일정 부분을 거래소 등록 전에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제공받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복수의 서버들(예를 들어, 복수의 상품·서비스 제공 회사들의 서버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들 및 이하에서는 단일의 제공자 서버(200)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원에서 단일의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에 적용되는 암호화 화폐 지급 및 충전 방법이 다른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들에게도 동일하게, 동시에, 또는 다른 시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의 운영 주체는 제공된 암호화 화폐의 대가로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운영 주체(즉, 기업)로부터 대금을 받을 수 있고, 지급받은 대금을 예를 들어, 암호화 화폐의 운영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암호화 화폐 홍보, 암호화 화폐 사용처 확보, 거래소 등록 등을 위해 사용하여, 발행된 암호화 화폐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의 운영 주체는 또한, 예를 들어 운영 자금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거래소 등록 이후에 자신에게 남아 있는 암호화 화폐의 일부를 거래소를 통해 판매할 수 있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거래소 등록 전에 관리 서버(100)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공급 받아,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암호화 화폐를 상품·서비스 이용자들의 재 이용을 유도하고 고정 고객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적립금(또한 마일리지로 지칭될 수 있음)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거래소 등록 이후, 추가적인 암호화 화폐가 필요한 경우, 거래소를 통해 암호화 화폐를 더 구입하여 확보할 수 있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거래소 등록 전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다량의 암호화 화폐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의 운영 주체가 암호화 화폐의 개발, 유지 보수, 사용처 확보 및 홍보의 주체로서 활동하게 되므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운영 주체는 암호화 화폐의 유지 보수, 사용처 확보 및 홍보 등에 사용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소 등록 이후 암호화 화폐의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행된 암호화 화폐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또는 제공자)(200), 상품·서비스 이용자(또는, 예를 들어, 온라인 거래의 경우 이용자 단말)(300),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또는 거래소)(400), 그리고 암호화 화폐 사용처 단말들(또는 사용처들)(500)(예를 들어, 영상, 음원, 웹툰, 게임 이용 등)에서 통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목적으로 세 개의 상품·서비스 이용자들(또는 이용자 단말들)(300-1, 300-2, 300-3)을 나타내고 있지만, 더 많은 수의 상품·서비스 이용자가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 또한 암호화 화폐 사용처들에 포함될 수 있다.
암호화 화폐가 거래소에 등록된 후에 암호화 화폐 발행 주체는 암호화 화폐의 홍보, 지속적인 사용처 추가 확보,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암호화 화폐의 사용, 거래, 관리 등에 이용될 수 있는)의 유지 보수 등의 노력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래소 등록 전 대량으로 암호화 화폐를 매입한 상품·서비스 제공자와의 신뢰가 유지될 수 있으며, 암호화 화폐의 사용 성 향상, 가치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화폐 발행 주체는 발행된 암호화 화폐 중 보유하고 있는 일부 암호화 화폐를 거래소를 통해 판매하여, 상기와 같은 활동을 위한 운영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다만, 암호화 화폐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고, 암호화 화폐의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발행 주체는 거래소 등록 이후에는 추가적으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또는 서버의 운영 주체)는 자사의 상품·서비스 이용자(300)에게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반대 급부로서 대금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의 재 이용을 유도하고 고정 고객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대금의 일부를 적립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거래소 등록 전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로부터 대량의 암호화 화폐를 확보하여 자신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할 수 있고, 이를 적립금으로서 이용자(300)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적립률은 이용자(300)가 구입한 상품·서비스의 종류, 상품·서비스 제공자(200)에 대한 이용자(300)의 상대적인 등급(grade)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상기 적립률, 이용 대금을 기초로 적립금을 결정하고, 이를 암호화 화폐로서 이용자(300)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암호화 화폐의 가치는 일반적으로 시장의 흐름에 따라(또는 시간에 따라) 변동성을 갖질 수 있다. 이때, 적립금으로서 지급되는 암호화 화폐의 수량은,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장 가치(거래소 가치)가 아닌,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가 충전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될 때의 암호화 화폐의 단일 수량의 가치(Worth)가 W1이고, 적립금을 지급할 때(즉, 현재) 암호화 화폐의 단일 수량 당 가치가 W2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 화폐를 현재 가치 W2가 아닌, 충전 시 가치 W1을 기준으로 적립금으로서 지급될 수 있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된 적립금이 M인 경우, 이용자(300)에게 제공되는 암호화 화폐의 수량은
Figure pat00001
이 될 수 있다.
한편,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복수회의 암호화 화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거래소 등록 전 발행 주체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소 등록 이후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400)를 통해 암호화 화폐를 더 확보 할 수 있고(즉, 암호화 화폐의 구입), 또한 이용자(300)로부터 상품·서비스 이용에 대한 반대 급부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암호화 화폐 확보들이 본원의 암호화 화폐의 충전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암호화 화폐가 지급되는 순서는, 암호화 화폐의 충전 순서에 따른다. 이 경우에도 암호화 화폐 지급 시점의 가치가 아닌, 충전들 각각의 시점에서의 암호화 화폐의 가치를 기준으로 적립금이 지급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한다.
적립금으로서 지급된 암호화 화폐는 이용자(300)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보관되며, 이용자(300)는 이를 상품·서비스 이용의 대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이용자(300)는 자신의 계좌에 보관된 암호화 화폐를, 상기 언급된 것처럼, 관리 서버(100)의 운영 주체가 확보한 사용처들에서 재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300)는 자신에게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에 대해서도 암호화 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300)가 사용하는 암호화 화폐의 가치는 일반적인 암호화 화폐와 마찬가지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이용자가, 상품·서비스 이용에 대한 반대 급부로서 암호화 화폐를 지급할 때,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가 충전되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충전 시의 암호화 화폐의 단일 수량의 가치 및 수량을 기억한다.
한편, 이용자(300)는 제공받은 암호화 화폐를 거래소를 통해 판매할 수 있고, 또는 거래소를 통해 추가적인 암호화 화폐를 구입하여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거나,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운영 주체에서 또는 사용처들(500)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적립금은 기업에 대해 회계상 채무로 처리된다. 즉,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운영 주체는 이용자들이 보유한 적립금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그들에게 적립금에 해당하는 금액의 채무를 갖는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운영 주체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되어 기업의 가치(예를 들어, 주식 가치)가 낮아질 수 있다.
본 개시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가 암호화 화폐를 구입(예를 들어 마케팅 비용으로)하고, 이를 적립금으로서 상품·서비스 이용자들(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단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가 지급되면, 기존의 마일리지 제공 방식과는 달리, 상품·서비스 제공자는 더 이상 이용자들에게 채무를 갖지 않는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종래 방식에 비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가, 암호화 화폐의 현재 가치가 아닌, 암호화 화폐를 획득할 때의 가격을 기준으로 적립금을 지급하는 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운영 주체의 회계 편의성, 그리고 회계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암호화 화폐의 가치는 변동성을 갖는 바, 적립금으로서 지급되는 암호화 화폐의 가치를 충전 시의 가치로 고정하여 회계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또는 저장소)(210), 제어부(230), 그리고 통신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10)는 상품·서비스 데이터 베이스(210-1),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10-2) 및 암호화 화폐 데이터 베이스(2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서비스 데이터 베이스(210-1)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운영 주체가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10-2)는 상품·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예를 들어 회원 등급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 화폐 데이터 베이스(210-1)는 암호화 화폐가 충전될 때 단위 수량당 암호화 화폐의 가치, 그리고 충전된 암호화 화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충전 단계들이 있는 경우, 암호화 화폐 데이터 베이스(210-1)는 각 충전들에 대한 암호화 화폐의 가치 및 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데이터 베이스(210)의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이용자에 대한 적립률을 결정하고, 특정 이용자에게 제공될 암호화 화폐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상품·서비스 데이터 베이스(210-1)의 상품·서비스 정보, 그리고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10-2)의 특정 회원에 대한 등급을 이용하여 적립률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암호화 화폐 데이터 베이스(210-3)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급될 암호화 화폐의 충전 당시 가치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특정 이용자에게 암호화폐를 제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유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 통신부(250)를 동작시켜 결정된 적립금을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도 3의 블록 다이어그램은 세 개의 구성들만을 개시하지만,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동작들은 제어부(2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로 적립금을 지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는,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 상품·서비스 이용자(300) 사이에서의 암호화 화폐의 거래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와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 사이에서 암호화 화폐 거래가 이루어진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운영 주체는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의 운영 주체에게 대금을 지급하고(단계 S401),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에 암호화 화폐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02). 이를 통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거래소 등록 전에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다량의 암호화 화폐를 확보할 수 있고,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100)의 운영 주체는 암호화 화폐 시스템의 운영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획득한 다량의 암호화 화폐를 자신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 및/또는 보관할 수 있다(단계 S403). 이때,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자신의 암호화 화폐 데이터 베이스에 암호화 화폐의 획득 당시의 단위 수량 당 가치 및 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획득할 때 암호화 화폐의 단위 수량 당 가격 및 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일반적인 거래에서와 같이, 이용자(300)에게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단계 S404), 그 반대 급부로서 이용 대금(예를 들어, 현금,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 결제)을 받을 수 있다(단계 S405). 이와 같은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와 이용자(300) 사이의 거래는, 온라인 상품·서비스 거래, 오프라인 상품·서비스 거래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거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거래가 온라인 거래인 경우 상품·서비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이 될 수 있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의 재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급 받은 이용 대금에 대한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적립률은,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이용자(300)가 구매한 상품·서비스의 종류, 이용자(300)의 상품·서비스 제공자(200)에 대한 회원 등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상품·서비스 데이터 베이스, 그리고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적립률이 결정되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적립금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06). 적립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상기 결정된 적립률에 이용 대금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적립금은 암호화 화폐로서 상품·서비스 이용자(300)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지급될 수 있다(단계 S407). 이때, 적립금으로서 지급되는 암호화 화폐는 앞서 언급된 것처럼 충전 단계(즉, 단계 S303)에서의 암호화 화폐의 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비록 도 4에서는, 단일 이용자(300)에 대한 단일 거래만(단계 S401, S402)을 개시하고 있지만, 도 3의 적립금(암호화 화폐) 지급 방법은 단일 이용자, 또는 복수의 이용자들에 대한 복수의 거래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암호화 화폐 충전 방법들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도 2의 시스템을 참조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가 이용자(300)에게 상품·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용 대금을 받고,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들(단계들 S501 내지 S504)은 도 4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가 관리 서버(100)로부터 획득한 암호화 화폐의 수량은 유한하여 고갈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추가로 암호화 화폐를 획득하여 충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적립금으로서 이용자(300)에게 암호화 화폐의 제공을 지속하기 위해, 자신의 암호화 화폐 계좌의 잔고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505).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된 암호화 화폐의 잔량이 임계 수준(Threshold, T)이하로 감소한 경우,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400)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거래소 서버(400)에 대금을 지급하고(단계 S506), 암호화 화폐의 현재 가치 W에 따라(단계 S507), 거래소 서버(400)로부터 지급된 대금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 N개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S508).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거래소 서버(400)로부터 획득한 암호화 화폐(W, N)(W 가치의 N개의 암호화 화폐)를 자신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할 수 있고(단계 S509), 이때 획득 시의 단위 수량 당 암호화 화폐의 가치와 개수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비록 도 5에서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와 거래소 서버(400) 사이의 단일 거래만을 개시하고 있지만, 도 4의 충전 방법은 거래소를 통한 복수의 충전 단계들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5에서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가 암호화 화폐 계좌 잔고가 임계 수준 이하일 때 거래소 서버(400)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획득하는 것을 개시하지만, 다른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비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시기에 거래소 서버(400)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구입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로, 제공자 서버(200)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비용이 확보될 때, 상기 마케팅 비용의 적어도 일부로 암호화 화폐를 구입할 수 있다. 이는 적립금이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마케팅 비용으로 책정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단계 S601), 이용자(300-1)는 암호화 화폐로 이용 대금의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602). 암호화 화폐로 상품·서비스 이용 대금 지급이 결정되면, 제공자 서버(200)와 이용자(300-1) 사이에서 암호화 화폐의 단위 수량당 현재 가치 W1의 확인이 이루어 질 수 있다(단계 S603)(다만, 단계 S603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화폐의 현재 가치는 거래소 서버(400)의 현재 거래되는 가격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암호화 화폐의 현재 가치 W1이 확인되면, 이용자(300-1)는 암호화 화폐로 상품·서비스에 대한 이용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단계 S604). 예를 들어, 상품·서비스 이용 대금이 M1인 경우,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지급되는 암호화 화폐는
Figure pat00002
개일 수 있다. 즉, 재화로서의 암호화 화폐의 사용은 현재 가치 W1를 기준으로 한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1)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제공받은 암호화 화폐(W1, N1)(즉, W1 가치의 N1개)를 자신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할 수 있다(단계 S605).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1)와 상이한 또는 동일할 수 있는, 이용자(300-2)에게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단계 S606), 이용자(300-2)는 암호화 화폐로 이용 대금의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607). 암호화 화폐로 지급이 결정되면, 제공자 서버(200)와 이용자(300-2) 사이에서 암호화 화폐의 단위 수량당 현재 가치 W2의 확인이 이루어 질 수 있다(단계 S608)(다만, 단계 S608은 생략될 수 있다).
암호화 화폐의 현재 가치 W2이 확인되면, 이용자(300-2)는 암호화 화폐로 상품·서비스에 대한 이용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단계 S609). 예를 들어, 상품·서비스 이용 대금이 M2인 경우,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지급되는 암호화 화폐는
Figure pat00003
개일 수 있다. 즉, 재화로서의 암호화 화폐 사용은 현재 가치 W2를 기준으로 한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2)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제공받은 암호화 화폐(W2, N2)(즉, W2 가치의 N2개)를 자신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할 수 있다(단계 S610).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복수의 충전들(예를 들어, 단계 S605, S610)에 대한 순서, 암호화 화폐의 가치(W1, W2), 암호화 화폐의 개수(N1, N2) 등의 정보를, 예를 들어 자신의 암호화 화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기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정보는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가 제공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암호화 화폐 충전이 있는 경우 암호화 화폐 제공 순서 및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복수 회에 걸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1차 충전(W1, N1)(단계 S701) 및 상기 1차 충전에 비해 시기적으로 늦은 2차 충전(W2, N2)(단계 S702)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충전 및 2차 충전은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거래소 서버(4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이용자들(300-1, 300-2)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제공받아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충전들 각각에서의 암호화 화폐의 가치(W1, W2), 충전된 암호화 화폐의 수량(N1, N2) 및 이들의 순서를 암호화 화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암호화 화폐 제공 시 이용한다는 것이다.
상기 1차 충전 및 2차 충전은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가 수행할 수 있는 암호화 화폐 충전의 예시에 불과하며, 따라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1차 충전 이전에, 또는 1차 충전과 2차 충전 사이에, 또는 2차 충전 이후에 추가적인 암호화 화폐 충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오직 1차 충전과 2차 충전만이 수행되었음을 가정하고, 또한 1차 충전 이전에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암호화 화폐 계좌 잔고가 제로(0) 임을 가정한다. 따라서, 1차 충전과 2차 충전 이후의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는 'N1+N2'개의 암호화 화폐가 존재한다고 가정된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1)에게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단계 S703) 이용 대금을 받을 수 있다(단계 S704).
이후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1)에 대한 적립금 M1을 결정하고(단계 S705), 결정된 적립금 M1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자(300-1)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단계 S706).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자신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서 암호화 화폐를 지급할 때 암호화 화폐의 충전 순서에 따른다. 즉,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먼저 1차 충전된 암호화 화폐(W1, N1)에서 적립금 M1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자(300-1)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적립금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 화폐는, 앞서 설명된 것처럼 충전 시의 가치 W1를 기준으로 하는바, 그 개수는
Figure pat00004
이 된다(다만, 여기서
Figure pat00005
은 N1보다 작다고 가정되며,
Figure pat00006
이 N1보다 큰 경우 2차 충전된 암호화 화폐가 W2의 가치로서 추가로 더 지급될 수 있다).
이후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2)에게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단계 S707) 이용 대금을 받을 수 있다(단계 S708).
한편, 이용자(300-2)는 이용자(300-1)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용자(300-1)와의 거래(단계 S703, S704), 이용자(300-2)와의 거래(단계 S707, S708) 이외에 다른 거래가 더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이용자(300-2)에 대한 적립금 M2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709).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충전된 순서에 따라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해 자신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1차 충전된 W1 가치의 암호화 화폐가 잔존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710).
1차 충전된 W1 가치의 암호화 화폐가 잔존하는 경우(그리고, 이용자(300-2)에게 지급되기에 충분한 경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1차 충전으로부터 적립금 M2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단계 S711). 이때, 적립금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 화폐는, 충전 시의 가치 W1를 기준으로 하는바, 그 개수는
Figure pat00007
이 된다.
1차 충전된 W1 가치의 암호화 화폐가 잔존하지 않은 경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200)는 2차 충전으로부터 적립금 M2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자(300-2)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단계 S712). 이때, 적립금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 화폐는, 충전 시의 가치 W2를 기준으로 하는바, 그 개수는
Figure pat00008
이 된다.
도 7은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는 순서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간단히 표현된 것이며, 따라서,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충전들, 거래들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 예의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을 위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적립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충전 당시의 암호화 화폐의 단위 수량당 가치 및 충전 수량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 화폐가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상기 적립금에 대응되는 수량의 상기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복수의 암호화 화폐 충전 단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으로서의 상기 암호화 화폐의 제공은, 상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암호화 화폐 충전 순서에 따르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암호화 화폐 충전 단계들 각각에 대한 암호화 화폐 충전 시의 가치 및 충전 수량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제1 가치를 갖는 암호화 화폐의 1차 충전 단계; 및
    상기 1차 충전보다 시간적으로 늦은, 제2 가치를 갖는 암호화 화폐의 2차 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충전된 암호화 화폐를 제1 가치로서 먼저 제공하고, 상기 1차 충전된 암호화 화폐가 전체 소진된 이후, 상기 2차 충전된 암호화 화폐를 제2 가치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암호화 화폐의 거래소 등록 전에 암호화 화폐 관리 서버로부터 암호화 화폐를 획득하여,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암호화 화폐 거래소를 통해 암호화 화폐를 획득하여,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화폐 거래소를 통한 암호화 화폐의 획득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화폐 거래소를 통한 암호화 화폐의 획득은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 잔고가 임계 수준 이하일 때 이루어지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상기 상품·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반대 급부로서 암호화 화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립금으로서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립금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 화폐를, 상기 암호화 화폐 거래소로부터 획득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또는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획득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상기 상품·서비스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방법.
  14.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있어서,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제어부로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를 충전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상기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적립금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적립금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를, 상기 적립금으로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암호화 화폐가 충전될 때의 가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호화 화폐가 충전될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상기 적립금에 대응되는 수량의 암호화 화폐를 상기 적립금으로서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회의 암호화 화폐 충전들에 대해, 암호화 화폐를 충전 순서에 따라 각각의 충전 시의 암호화 화폐 가치를 기준으로 이용자의 암호화 화폐 계좌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품·서비스 제공자 서버.
KR1020190003350A 2019-01-10 2019-01-10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 KR10215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50A KR102152259B1 (ko) 2019-01-10 2019-01-10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50A KR102152259B1 (ko) 2019-01-10 2019-01-10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43A true KR20200086943A (ko) 2020-07-20
KR102152259B1 KR102152259B1 (ko) 2020-09-04

Family

ID=7183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350A KR102152259B1 (ko) 2019-01-10 2019-01-10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12A1 (ko) * 2020-09-28 2022-03-31 박영택 가상화폐 거래에 따른 에어드랍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655A (ko) *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각국 화폐별 비트코인 환전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트코인 환전방법
KR20180119488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모아플래닛 암호화폐를 이용한 할인 적립금 지급 방법,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655A (ko) *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각국 화폐별 비트코인 환전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트코인 환전방법
KR20180119488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모아플래닛 암호화폐를 이용한 할인 적립금 지급 방법,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12A1 (ko) * 2020-09-28 2022-03-31 박영택 가상화폐 거래에 따른 에어드랍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259B1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07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ancial data communications and data management
US8595099B2 (en) Financial institution-based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approach
AU2005255453B2 (en) Financial institution-based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approach
US200600205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multiple prescription claims
US20050021527A1 (en) System for resource accounting for multiple entities in an arbitrary value chain
WO2004084043A2 (en) Dynamic merchant pricing model
JP201913929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製造方法
US20020032607A1 (en) Point management apparatus, commodity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settlement mediating apparatus, and network point-settling system
KR100775910B1 (ko) 차등 대금결제시스템 및 차등 대금결제방법
KR102152259B1 (ko)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
EP1321875A1 (en) Commodity order acceptance and transport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370471B2 (ja) ポイントエクスチェンジシステム及びポイントエクスチェンジ方法
WO2008024118A1 (en) Subscription management for periodic travel services
JP2004062805A (ja) 電力メータリ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並びにメータリングサービスセンタ及びメータリング方法
JP2018106587A (ja) 決済装置及び決済システム
WO2020175973A2 (ko) 블록체인 기반 리워드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90989A (ja) 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電子決済方法
KR102483855B1 (ko) 상거래에 연계한 쇼핑연금, 쇼핑보너스, 판매연금, 판매보너스 지급 시스템 및 방법
JP2011192264A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KR102413360B1 (ko) 전자결제수단을 이용한 현금 활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280195B1 (ko) 유무선 온라인상에서의 저작물 과금정산 시스템 및 과금정산 방법
KR101963751B1 (ko) 그룹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5660432A (zh) 一种动态合伙人管理方法和系统
US11610275B1 (en) System and methods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for an energy provider
KR20160038516A (ko) 하이브리드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