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940A -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940A
KR20200086940A KR1020190003342A KR20190003342A KR20200086940A KR 20200086940 A KR20200086940 A KR 20200086940A KR 1020190003342 A KR1020190003342 A KR 1020190003342A KR 20190003342 A KR20190003342 A KR 20190003342A KR 20200086940 A KR20200086940 A KR 20200086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urrent
outlet
standb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만
Original Assignee
서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만 filed Critical 서동만
Priority to KR102019000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940A/ko
Publication of KR2020008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voltage or current in AC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는 상용전원으로 통전되는 전선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입력 받는 전원 단자;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을 미리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그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감지부; 대기
전력 차단을 위한 비교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된 대기전류 임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
해 검출된 전류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대기전류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을 상기 전원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대기전력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MULTI CONCENT FOR CUTTING STANDBY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라 함은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되게 하는 기구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 정격전압을 100볼트(V)와 220볼트(V), 그리고 정격전류를10~50암페어(A)값으로 설정하여, 외부(전원발생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를 각종 가전기구에 공급토록 하는 중간매개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콘센트는 크게 매입형과 노출형 두 가지 종류로 분리된다. 이 중에서 매입형 콘센트는 외부 전원선이 연결되는 단자판과, 상기 단자판 전면에 부착되는 플러그 유도판을 수용하는 외장구성으로서 보호커버를 구비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매입형 콘센트는 실내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서, 가전기구 사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항상 전류를 흐르게 하고 있는 구성인바, 이에 플러그 삽입에 의한 전원공급으로 가전제품의 사용을
완료한 후, 주의를 기울여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이탈시켜야 한다. 하지만 그러지 않을 경우, 삽입된 플러그에 의한 전원 누출현상으로 인해 에너지가 낭비되는 등,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낙뢰로 인하여 가전제품이 고장나거나 화재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2-0016271호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T(Current Transformer)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전원의 전류값을 검출함으로써, 제품의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기전력 차단 시 래치 소자를 이용하여 함으로써 기존 기술력에 대비해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짧은 동작 시간으로 인해 발열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며, 내구력이 강해 기존에 비해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대기전력차단 멀티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는 상용전원으로 통전되는 전선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입력 받는 전원 단자;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을 미리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그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감지부; 대
기전력 차단을 위한 비교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된 대기전류 임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대기전류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단 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을 상기 전원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대기전력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대기전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에 대해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래치 방식으로 동작하는 래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소자를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전류 감지부는 CT(Current Transformer)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 류값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과부하 방지를 위한 비교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를 저장하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부하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과부하 방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부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가 대기전력 상태이거나 과부하 상태인 경우,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T(Current Transformer)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전원의 전류값을 검출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전력 차단 시 래치 소자를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짧은 동작시간으로 인해 발열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며, 내구력이 강해 기존에 비해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외부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100)는 AC 플러그 삽입구(110), 통신포트 삽입구(120), 리셋 버튼(130), 모드 설정 스위치(140), 부저(150), 로터리 스위치(160), 및커버(170)를 외부 구성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 플러그 삽입구(110)는 AC 플러그가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AC 플러그를 통해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통신포트 삽입구(유무선 통신부)(120)는 통신포트가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통신포트를 통해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포트 삽입구(120)는 콘센트와 스마트폰의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의 제 어 및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리셋 버튼(130)은 도 2의 리셋 스위치(280)에 대응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10 0)를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설정 스위치(140)는 모드를 설정(변경)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여기서, 상기 모드는 절전 모드 및 상 시 모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시 모드는 일반적인 콘센트와 동일하게 대기전력을 검출하지 않고 일반 콘센트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모
드이고, 상기 절전 모드는 대기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타이머의 설정값에 따라 대기전류를 차단해주는 모드를 말 한다.
상기 절전 모드에서 대기전류가 검출되어 차단되었을 시에 콘센트에서의 수동복구 및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를 통해 다시 복구가 가능하다.
상기 부저(150)는 상기 상시 모드에서 검출된 전류값이 과부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100)는 상기 경고음과 함께 램프(미도시)를 통해 경보등을 점등 시킬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160)는 제어전류 선택 모드부로서, 회전형 스위치(로터리스위치)로 몇 개의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로터리 스위치(160)는 가정용 기기의 대기전력에 따라 대기전류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가정용
기기의 대기전력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160)를 조작하여 해당 기기의 대기전력에 맞게 대기전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커버(170)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100)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200)는 전원 단자(210), 전원부(220), 전류 감지부(230), 대기전력 차단부(240), 과부하 방지부(250), 통신부(260), 경보부(270), 리셋 스위치(280), 및 콘센트 제어부(290)를 내부 구성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단자(210)는 상용전원으로 통전되는 전선에 연결되어 교류전원(AC 220V)을 입력 받는다.
상기 전원부(220)는 상기 전원 단자(210)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을 미리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부(22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소자, 즉 정류회로 및 평활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220)는 불규칙한 입력 전압/전류를 일정한 전압/전류로 출력하기 위 해 정전압회로, 정전류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20)는 그 출력측이 상기 리셋 스위치(280)를 통해 상기 콘센트 제어부(29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220)는 상기 리셋 스위치(280)가 눌리게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200)를 일부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전류 감지부(230)는 상기 전원 단자(210)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그 전류값을 검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류 감지부(230)는 상기 전원 단자(210)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류값에 비례 하여 유도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 감지부(230)는 CT(Current Transformer)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단자(210)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류값을 검출할 수 있다. 참고로, 기존에는 전류를 검출하는 데 있어서 전류 검출용 IC를 사
용하였다. 그로 인해, 기존에는 단가가 비싸고 장기간 사용시 반도체 특성 변화에 따른 오차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류 검출을 위해 CT 방식을 이용하므로,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T(변류기)는 임의의 전류(대)에 대해 비례하는 전류(소)로 변성하는 기기로 정의되며, 그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1차 대전류가 흐르면 암페어(Ampere)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자계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자속(Φ)은 철심(Core)을 통해 이동한다. 2차측에 감긴 코일(권선)에 이동한 자속이 쇄교하면서 기전력(E) 이 유기된다. 그 크기는 패러데이 전자유도 법칙에 의거하고, 그 방향은 렌츠의 법칙에 의해 정해진다. 즉, 자속의 변화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자속 및 기전력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2차 전류가 흐른다. 1차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과 2차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은 서로 방향이 다르므로 상쇄되어 운전 중에는 철심에 여자전
류를 위한 자속 정도만 흐를 뿐이다.
요약하면, 상기 변류기는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1차측의 전류를 2차측에서 계측하기 쉬운 전류로 변환하
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류 감지부(230)는 이러한 변류기(CT)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 단자(210)를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류값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40)는 상기 전류 감지부(230)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대기전류 임계치와 비교한다. 상
기 대기전류 차단부(24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단자(210)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을 상기 전원부(220)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즉,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4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대기전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220)에 대해 상기 전원 단자(210)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대기전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40)는 상기 전원부(220)에 대해 상기 전원 단자(210)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공급을 계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전류 임계치는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비교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40)는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교류전원을 상기 전원부(220)에 선 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40)는 래치 방식으로 동작하는 래치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40)는 상기 래치 소자를 이용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참고로, 기존에는 일반적인 릴레이를 사용하여 소음도 발생하고, 구동하며 전류 소모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소
비 전력을 높은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래치 소자를 이용하여 한 번 신호를 줌으로써 다음 신호를 줄 때까지 온(On)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기술에 대비해 동작 시간이 짧기 때문에 발열 및 소음을 줄여줄 수 있으며, 내구력이 강해 기존에 비해 현저하게 불량률이 줄어 유지 관리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계속적으로 전류가 소모되는 기존 방 식과는 달리 계속적으로 전류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자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과부하 방지부(250)는 상기 전류 감지부(240)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과 과부하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 교 결과에 따라 과부하 방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과부하 방지부(25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과부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 방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부(29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센트 제어부(290)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부(220)의 전원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과부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과부하 방지부(250)는 상 기 검출된 전류값과 상기 과부하 임계치를 계속하여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부하 임계치는 과부하 방지를 위한 비교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
을 수 있다. 상기 과부하 방지부(250)는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과부하 방지를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 여부를결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60)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부(260)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330)는 콘센트(310)의 동작을 제어 또는 관리하기 위해 스마트폰(3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320)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콘센트(310)와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상기 콘센트(310)의 동작 제어 및 관리 를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폰(320)은 상기 콘센트(310)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무선 통신을 통
해 상기 콘센트(3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310)는 상기 스마트폰(320)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콘센트 제어부(도 2의 "290" 참조)를 통해 대기전력 차단부(도 2의 "240" 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상
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 받아 구동함으로써, 상기 콘센트(31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32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콘센트(310)의 관리를 위한 상태 확인 신호를 출력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콘센트(3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310)는 상기 스마트폰(32 0)으로부터 상기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 사용에 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3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330)는 상기 스마트폰(320)을 통해 상기 콘센트(310)의 전력 사용 상태
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사용에 관한 상태 정보는 상기 전류 감지부(도 2의 "230" 참조)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 상기 전류값과 대기전류 임계치의 비교 결과, 및 상기 전류값과 과부하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 및 관 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경보부(270)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200)가 대기전력 상태이거나 과부 하 상태인 경우,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경보부(270)는 부저(272)에 경보 신호를 전달하여 경보음을 출력하고, 램프(274)에 경보 신호를 전달
하여 경보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200)가 대기전력 상태이거 나 과부하 상태인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리셋 스위치(280)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콘센트를 일부 초기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콘센트 제어부(2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200), 즉 상기 전원 단자
(210), 상기 전원부(220), 상기 전류 감지부(230),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40), 상기 과부하 방지부(250), 상기통신부(260), 상기 경보부(270), 상기 리셋 스위치(28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CT(Current Transformer)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전원의 전류값을 검출함
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대기전력 차단 시 래치 소자
를 사용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짧은 동작 시간으로 인해 발열 및 소음의 발생을 기존의 기술에비해 줄여주며 내구력이 강해 기존에 비해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
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 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 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전원 단자
220: 전원부
230: 전류 감지부
240: 대기전력 차단부
250: 과부하 방지부
260: 통신부
270: 경보부
280: 리셋 스위치
290: 콘센트 제어부

Claims (5)

  1.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상용전원으로 통전되는 전선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입력 받는 전원 단자;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을 미리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그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감지부;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비교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된 대기전류 임계치를 저장하고, 과부하 방지를 위한 비교 기 준으로서 미리 설정된 과부하 임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대기전류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에 따라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을 상기 전원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대기전력 차단부;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부하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과부하 방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부하 방지부;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 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통신부; 및 통신포트가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통신포트를 통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스마트폰의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 록 하는 통신포트 삽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 상기 전류값과 상기 대기전류 임계치의 비교 결과, 및 상기 전류값과 상기 과부하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콘센트의 관리를 위한 상태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콘센트에 전송하고, 상기 콘센트로부터 응답 신호로서 상기 콘센트의 전력 사용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대기전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에 대해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래치 방식으로 동작하는 래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소자를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부는 CT(Current Transformer)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입력 받은 교류전원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가 대기전력 상태이거나 과부하 상태인 경우,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 신 호를 발생하는 경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KR1020190003342A 2019-01-10 2019-01-10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KR20200086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42A KR20200086940A (ko) 2019-01-10 2019-01-10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42A KR20200086940A (ko) 2019-01-10 2019-01-10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40A true KR20200086940A (ko) 2020-07-20

Family

ID=7183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342A KR20200086940A (ko) 2019-01-10 2019-01-10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9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432B1 (ko)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AU2020202616B2 (en) Electric grill with current protection circuitry
KR101084109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멀티콘센트
KR100929818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KR100633779B1 (ko) 그린 콘센트
KR100912004B1 (ko)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US8995098B2 (en) Miswire protection and annunciation of system conditions for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s and other wiring devices
US8987946B2 (en) Air conditioner
KR101064310B1 (ko) 화재예방 단자함
KR101838741B1 (ko) 도플러 센서를 사용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JPH06237533A (ja) 負荷の状態の予防的チェック機能を有する配電装置
CN115176324A (zh) 固态接地故障断路器
CN104009448B (zh) 一种带火零线识别功能的新型漏电防护方法及装置
US7804255B2 (en) Dimming system powered by two current sources and having an operation indicator module
CN108933427B (zh) 电热水器及其保护装置
KR20130042933A (ko)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EP3531139A1 (en) Electric power consumption overload alarm apparatus
KR101782723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래치형 전자접촉기 회로 시스템 및 구동방법
CN210323280U (zh) 一种剩余电流保护断路器
KR20200086940A (ko) 스마트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KR100918794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KR101048035B1 (ko)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제어기
CN204243898U (zh) 一种具有遥控功能的断路器
US86598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CN109167335B (zh) 一种安全的漏电保护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