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891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891A
KR20200086891A KR1020190003229A KR20190003229A KR20200086891A KR 20200086891 A KR20200086891 A KR 20200086891A KR 1020190003229 A KR1020190003229 A KR 1020190003229A KR 20190003229 A KR20190003229 A KR 20190003229A KR 20200086891 A KR20200086891 A KR 20200086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scharge direction
air
air conditio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973B1 (ko
Inventor
박석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9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을 각각 맵핑(mapping)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공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 및 설정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운전되거나 난방운전된다. 냉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 및 기화되면서 주변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고, 실내기 팬이 회전 동작함에 따라 냉기가 실내로 토출된다.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액화되면서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 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기압 센서, 공기 중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온도, 습도, 기압, 공기 중의 먼지량 등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수집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와 구분되어 위치하고,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는 각 센서가 위치하는 공간의 온도, 습도, 기압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풍향, 풍속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실내 공간에 대한 공조가 정확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복수의 센서의 위치를 공기조화기가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입력 장치(예: 터치 패널, 키 등)을 직접 조작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의 대응 관계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토출 방향과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대응 관계가 틀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내 공간에 대한 공조가 정확하게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자동으로 판단 및 설정하고, 대응 관계에 따라 실내 공간에 대한 공조를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각각에 따라 공기가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실내 공기의 상태의 변화량 등에 기초하여 공기의 토출 방향과 센서를 맵핑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 공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자동으로 판단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을 각각 맵핑(mapping)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통신 연결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고,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을 각각 맵핑(mapping)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설정을 위한 별도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공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 및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수동 설정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조작 없이, 공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자동으로 판단 및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자동으로 판단 및 설정한 후,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공조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 및 설정할 수 있어,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한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토출 방향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토출 방향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21) 및 실외기(2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3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실외기(21)에 복수로 연결될 수 있고 그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 벽걸이형 실내기(31b) 및 천장형 실내기(31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31) 및 실외기(21)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31)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31)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21)는, 연결된 실내기(31)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외기(2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21) 및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실외기(21) 및 실내기(31)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리모컨(41)은, 예를 들면, 실내기(31)에 연결되어, 실내기(31)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달하고, 실내기(31)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41)은 실내기(3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 공기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실내 기압을 감지하는 기압 센서, 실내 공기 중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온도, 습도, 기압, 공기 중의 먼지량 등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수집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31)와 실외기(21)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b)와, 압축기(102b)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측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예를 들면,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 통신부(320), 제어부(330), 메모리(340), 입력부(350) 및/또는 출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실내 공기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는,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실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실내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 센서, 실내 공기 중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온도, 습도, 기압, 공기 중의 먼지량 등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수집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는,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식별 데이터(예: 장치 식별자(identifier; ID),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MAC 주소(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등)을 더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제어부(33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은, 제어부(330)와 페어링(pairing)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실외기(21) 및 실내기(31)와 구분되는 실내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실외기(21) 및/또는 실내기(31)와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태양 전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태양 전지 모듈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장치(예: 터치 패널, 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는,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실내 공기의 상태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는, 이전 신호를 출력한 후, 실내 공기의 온도가 1℃ 이상 변하는 경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는, 이전 신호를 출력한 후, 실내 공기의 습도가 5% 이상 변하는 경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10분인 경우, 10분 마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예를 들면,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320)는,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예를 들면, 제어부(330)와 연결될 수 있고,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센서의 식별 데이터를 제어부(330)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예를 들면, 제어부(330)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예를 들면, 리모컨(41)과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320)는 리모컨(41)으로부터 사용자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320)는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정보를 리모컨(41)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예를 들면, 통신 연결 방식에 따라, 리모컨(41)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실외기(21), 실내기(31), 및/또는 원격제어기(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통신부(320)를 통해, 센서부(31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페어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통신 연결된 센서부(3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의 페어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의 페어링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출력부(360)를 통해, 페어링 연결이 해제된 센서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통신부(320)를 통해, 센서부(310)로부터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센서부(310)로부터 실내 공기의 온도, 습도, 기압, 공기 중의 먼지량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공기의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변화량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제1 센서의 식별 데이터 및 제2 센서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제1 센서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가 22℃에서 25℃ 로 상승하고, 제2 센서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가 22℃에서 23℃로 상승하는 경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실내 공간의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 및 제2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30)는, 제1 센서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3℃, 제2 센서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1℃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구분하여 처리한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구분하여 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 테이블을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송풍기(109)의 동작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사용자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송풍기(109)에 구비된 실내팬(109a)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350)를 통해 목표 실내 온도를 1℃ 낮추는 사용자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330)는, 송풍기(109)에 구비된 실내팬(109a)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센서부(330)로부터 수신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풍기(109)에 구비된 실내팬(109a)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된 온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의 온도가 2℃ 상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30)는, 송풍기(109)에 구비된 실내팬(109a)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즉 풍향을 변경하기 위해, 실내기(31)에 구비된,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베인(미도시) 또는 루버(미도시)의 개도각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제1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베인 또는 루버의 개도각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은, 예를 들면, 실내기(31)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mapping)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제1 토출 방향과 제1 센서를 맵핑할 수 있고, 제2 토출 방향과 제2 센서를 맵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하나의 토출 방향에 하나의 센서만 맵핑할 수 있고, 하나의 센서에 하나의 토출 방향만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메모리(3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구분하여 처리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제1 토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온도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제1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이 가장 큰 경우, 제어부(330)는 제1 토출 방향과 제1 센서를 서로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횟수를 확인할 수 있고, 신호를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제1 토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제1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횟수가 가장 많은 경우, 제어부(330)는 제1 토출 방향과 제1 센서를 서로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메모리(3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제1 방향과 맵핑된 센서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가 2℃ 상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풍기(109)에 구비된 실내팬(109a)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제1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 경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통신부(320)를 통해, 센서부(310)로부터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입력부(3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제어부(33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공기조화기(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40)는,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경우, 정면, 좌측 및 우측의 세 방향을 토출 방향으로 저장할 수 있고, 천장형 실내기(31c)의 경우, 구비된 베인에 대응하는 방향을 토출 방향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40)는,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식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제어부(330)와 페어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와 페어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장치 식별자(ID), IP 주소, MAC 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제어부(330)가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에서 산출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변화량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제어부(330)가 구분하여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40)는, 제어부(330)가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제어부(330)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3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장치(예: 키, 터치 패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350)는, 예를 들면, 리모컨(41)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50)는, 예를 들면,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제어부(3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된,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출력부(3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미도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100)의 운전 상태, 에러 발생 등과 관련된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부(36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센서부(31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출력부(36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신 연결 해제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센서부(31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출력부(360)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통해 통신 연결 해제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출력부(36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60)는, 예를 들면, 스피커, 버저 등의 오디오 장치을 구비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1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고, 에러 발생시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센서부(31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출력부(360)에 구비된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60)는, 예를 들면, 리모컨(41)에 구비된 표시 장치 및/또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토출 방향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구비된 베인(410, 420)의 개도각을 변경하여,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구비된 베인(410, 420)의 개도각을 변경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인 정면, 좌측 및 우측의 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와 페어링 연결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0a)는, 예를 들면, 페어링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모두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을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를 각각 맵핑할 수도 있다.
도 4b의 도면부호 (a)를 참조하면,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베인(410, 420)의 개도각을 변경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로부터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는, 실내 공간의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서(310a)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가 22℃에서 25℃로 상승하고, 제2 센서(310b)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가 22℃에서 23℃로 상승하고, 제3 센서(310c)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는 변동이 없는 경우, 제1 센서(310a) 및 제2 센서(310b)는 실내 공간의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제1 센서(310a)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3℃, 제2 센서(310b)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1℃, 제3 센서(310c)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0℃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제1 센서(310a)를 좌측 방향과 맵핑할 수 있다.
한편,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신호가 수신된 횟수가 가장 많은 제1 센서(310a)를 좌측 방향과 맵핑할 수 있다.
도 4b의 도면부호 (b) 및 (c)를 참조하면,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정면 방향 및 우측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정면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 후,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예를 들면, 정면 또는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베인(410, 420)의 개도각을 변경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정면 또는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로부터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정면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제2 센서(310b)를 정면 방향과 맵핑할 수 있고,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제3 센서(310c)를 우측 방향과 맵핑할 수 있다.
한편, 스탠드형 실내기(31a)는, 신호가 수신된 횟수에 기초하여, 정면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신호를 가장 많이 출력한 제2 센서(310b)를 정면 방향과 맵핑할 수 있고,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신호를 가장 많이 출력한 제3 센서(310c)를 우측 방향과 맵핑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토출 방향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천장형 실내기(31c)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구비된 베인(510, 520, 530, 540)의 개도각을 변경하여,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장형 실내기(31c)의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은, 천장형 실내기(31c)에 구비된 베인(510, 520, 530, 54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천장형 실내기(31c)는 베인(510, 520, 530, 54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토출구만 개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와 페어링 연결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페어링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모두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을 각각 맵핑할 수도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를 각각 맵핑할 수도 있다.
도 5b의 도면부호 (a)를 참조하면, 천장형 실내기(31c)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제1 베인(510)에 대응하는 제1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제1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구비된 베인(510, 520, 530, 540)의 개도각을 변경하여, 제1 베인(510)에 대응하는 토출구를 개방하고, 나머지 베인(520, 530, 540)에 각각 대응하는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제1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로부터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는, 실내 공간의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서(310a)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가 22℃에서 25℃ 로 상승하고, 나머지 센서(310b, 310c, 310d)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가 22℃에서 23℃ 로 상승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는, 실내 공간의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제1 센서(310a)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3℃, 나머지 센서(310b, 310c, 310d)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1℃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천장형 실내기(31c)는,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제1 센서(310a)를 제1 방향과 맵핑할 수 있다.
한편, 천장형 실내기(31c)는, 신호가 수신된 횟수가 가장 많은 제1 센서(310a)를 제1 방향과 맵핑할 수도 있다.
도 5b의 도면부호 (b), (c) 및 (d)를 참조하면, 천장형 실내기(31c)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제1 베인(510)을 제외한 나머지 베인(520, 530, 540)에 각각 대응하는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예를 들면, 제1 베인(510)을 제외한 나머지 베인(520, 530, 540)에 각각 대응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구비된 베인(510, 520, 530, 540)의 개도각을 변경할 수 있다.
천장형 실내기(31c)는, 제1 베인(510)을 제외한 나머지 베인(520, 530, 540)에 각각 대응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각각 토출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310a, 310b, 310c, 310d)로부터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천장형 실내기(31c)는,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베인(520)에 대응하는 제2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제2 센서(310b)를 제2 방향과 맵핑할 수 있고, 제3 베인(530)에 대응하는 제3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제3 센서(310c)를 제3 방향과 맵핑할 수 있고, 제4 베인(540)에 대응하는 제4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이 가장 큰 제4 센서(310d)를 제4 방향과 맵핑할 수 있다.
한편, 천장형 실내기(31c)는, 신호가 수신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베인(520)에 대응하는 제2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신호를 가장 많이 출력한 제2 센서(310b)를 제2 방향과 맵핑할 수 있고, 제3 베인(530)에 대응하는 제3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신호를 가장 많이 출력한 제3 센서(310c)를 제3 방향과 맵핑할 수 있고, 제4 베인(540)에 대응하는 제4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안 신호를 가장 많이 출력한 제4 센서(310d)를 제4 방향과 맵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제어부(330)는, S610 동작에서,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페어링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S620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각각에 따라 공기가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베인의 개도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경우, 토출 방향인 정면,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을, 토출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각각에 따라 공기가 순차적으로 토출되는 동안,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통신부(320)를 통해, 센서부(310)로부터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및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S630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메모리(340)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출력부(36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제어부(330)는, S701 동작에서,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페어링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S702 동작에서, 통신 연결된 센서의 개수가, 공기조화기(100)의 토출 방향의 개수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경우, 제어부(330)는,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토출 방향인 정면, 좌측 및 우측 방향에 대응하는, 3개 이상의 센서와 통신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통신 연결된 센서의 개수가 토출 방향의 개수 미만인 경우, S701 동작으로 분기하여,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 연결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S703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베인의 개도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경우, 제어부(330)는,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토출 방향인 정면,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베인의 개도각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S704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제1 토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센서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공기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제1 센서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가 22℃에서 25℃ 로 상승하고, 제2 센서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온도가 22℃에서 23℃로 상승하는 경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실내 공간의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30)는, 제1 센서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3℃, 제2 센서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의 변화량을 1℃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제1 센서로부터 신호를 3회 수신하고, 제2 센서로부터 신호를 1회 수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구분하여 처리한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S705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S703 동작의 수행 횟수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의 개수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경우, 제어부(330)는, 토출 방향인 정면,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을, 토출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모두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S703 동작의 수행 횟수가,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의 개수 미만인 경우, S703 동작으로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공기가 토출되지 않은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에서, 우측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S703 동작의 수행 횟수는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토출 방향의 개수인 3개 보다 적은 2회이므로, 제어부(330)는 S703 동작으로 분기하여 우측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S706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센서부(310)로부터 수신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메모리(340)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센서부(3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S707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의 경우, 토출 방향인 정면,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좌측 방향은 제1 센서와 맵핑되고, 정면 방향은 제2 센서와 맵핑된 반면, 우측 방향과 맵핑된 센서가 없는 경우, 제어부(330)는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모든 토출 방향이 센서와 각각 맵핑된 경우, S708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출력부(3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 경우, S709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S707 동작의 수행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S707 동작의 수행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하인 경우, S703 동작으로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실내기(31a)에서, 우측 방향과 맵핑된 센서가 없는 경우, 제어부(330)는 우측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S707 동작의 수행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S710 동작에서,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사용자가 제1 모드(예: 자동 설정 모드) 및 제2 모드(예: 수동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부(3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된, 제1 모드(예: 자동 설정 모드) 및 제2 모드(예: 수동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공기조화기(100)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S709 동작으로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출력부(3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공기조화기(100)의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S703 동작으로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00)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의 토출 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공기의 토출 방향과 복수의 센서 간의 대응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 및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수동 설정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실내 공기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시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을 각각 맵핑(map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페어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습도, 기압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식별자 및 MAC 주소(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실내 공기의 상태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및 기 설정된 시간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및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태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및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횟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를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상기 기 설정된 횟수 이하인 경우,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상기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통신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을 각각 맵핑(mapping)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페어링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의 개수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습도, 기압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실내 공기의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식별자 및 MAC 주소(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실내 공기의 상태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및 기 설정된 시간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하는 동작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및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동작;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상태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및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횟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 대하여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어느 하나를 맵핑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 중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상기 기 설정된 횟수 이하인 경우,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 및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상기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맵핑한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방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각각 맵핑한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 및
    상기 맵핑된 센서가 없는 토출 방향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90003229A 2019-01-10 2019-01-1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9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29A KR102295973B1 (ko) 2019-01-10 2019-01-1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29A KR102295973B1 (ko) 2019-01-10 2019-01-1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891A true KR20200086891A (ko) 2020-07-20
KR102295973B1 KR102295973B1 (ko) 2021-08-30

Family

ID=7183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229A KR102295973B1 (ko) 2019-01-10 2019-01-1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9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426B1 (ko) * 1997-04-09 1999-06-15 전주범 에어컨의 온도 감지방법 및 그 장치
JP2007057175A (ja) * 2005-08-25 2007-03-08 Jr Higashi Nippon Consultants Kk 空調吹出口制御システム
KR101134988B1 (ko) * 2011-08-24 2012-04-09 (주)와이앤지 움직임 검출센서를 이용한 시스템 에어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72873A (ko) * 2013-12-20 2015-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온도 조절 시스템
KR101818354B1 (ko) * 2016-07-06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팅 센서모듈,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80021596A (ko) * 2016-08-22 201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426B1 (ko) * 1997-04-09 1999-06-15 전주범 에어컨의 온도 감지방법 및 그 장치
JP2007057175A (ja) * 2005-08-25 2007-03-08 Jr Higashi Nippon Consultants Kk 空調吹出口制御システム
KR101134988B1 (ko) * 2011-08-24 2012-04-09 (주)와이앤지 움직임 검출센서를 이용한 시스템 에어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72873A (ko) * 2013-12-20 2015-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온도 조절 시스템
KR101818354B1 (ko) * 2016-07-06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팅 센서모듈,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80021596A (ko) * 2016-08-22 201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973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57955U (zh) 空气调节机
KR101195560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운전제어방법
US20190353374A1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936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534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496043B (zh) 空调装置
US11313577B2 (en) Air-conditioning system, machine learning apparatus, and machine learning method
KR20090044785A (ko) 냉매 누설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5206570A (ja) 換気装置及び換気空調システム
JP6200663B2 (ja) 換気システム
WO2018105250A1 (ja) 空気調和装置
KR2010004123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0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959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39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93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10371404B2 (en) Receiver and air-condition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KR2010007940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58046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160025221A (ko) 공기조화기
KR20100082521A (ko) 가전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7957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3115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0437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112082B1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