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666A - Circular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Circular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666A
KR20200086666A KR1020207012616A KR20207012616A KR20200086666A KR 20200086666 A KR20200086666 A KR 20200086666A KR 1020207012616 A KR1020207012616 A KR 1020207012616A KR 20207012616 A KR20207012616 A KR 20207012616A KR 20200086666 A KR20200086666 A KR 20200086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display device
plate
polariz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8003B1 (en
Inventor
신이치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4175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093501A1/en
Publication of KR2020008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원편광판(1)으로서, 편광자(2)와, 편광자(2)의 한쪽에 배치된 위상차층(RF)을 구비하고,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 이상이며, 위상차층(RF)은 1/2 파장판(3)과 1/4 파장판(4)을 포함하고, 1/2 파장판(3) 및 1/4 파장판(4)은 각각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며, 1/4 파장판(4)의 지상축 방향이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을 양으로 하여 -20°∼20°의 범위에 있고, 또한 1/4 파장판(4)의 지상축 방향에 대하여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이 80°∼100° 또는 -10°∼1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인 원편광판(1)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lar polarizing plate (1) used in a ben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larizer (2) and a retardation layer (RF)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2), the visibility correction unit of the polarizer (2) The transmittance is 42% or more, and the retardation layer (RF) includes a half wave plate 3 and a quarter wave plate 4, and a half wave plate 3 and a quarter wave plate 4 ) Each includes a layer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ured,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4 is positively counterclockwise from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2 in the range of -20° to 20°. In additio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in which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set in the range of 80° to 100° or -10° to 10° 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4 to provide.

Description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Circular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원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원편광판을 구비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r polarizing plat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da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본원은 2017년 11월 1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7-217106호 및 2018년 10월 25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8-20120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217106 filed on November 10, 2017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201205 filed on October 25, 2018, the contents of which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

종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광 반사에 의한 악영향을 억제하기 위해서, 원편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굴곡 가능(플렉시블)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단순한 플렉시블화 뿐만 아니라, 매우 작은 곡률 반경에서의 플렉시블화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circular polarizing plates have been used to suppress adverse effects of external light reflection in display devices.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a flexible (flexible) display device typified by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s. In addition, it is desired to realize not only a simple flexible display device, but also a flexible display with a very small radius of curvature.

그러나, 유기 EL 표시 장치를 매우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시키면, 원편광판 중의 위상차층에 큰 힘(굴곡 부분의 외측에는 인장력, 굴곡 부분의 내측에는 압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굴곡 부분의 위상차가 변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is bent with a very small radius of curvature, a large force (tensile force on the outside of the bent portion and compressive force on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is applied to the phase difference layer in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so the phase difference of the bent portion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of discarding.

그래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1/2 파장(λ/2)판 및 1/4 파장(λ/4)판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λ/2판 및 λ/4판이 각각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75∼105도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원편광판이 제안되어 있다. Therefore, with respect to this problem, in Patent Document 1 below, a phase difference film including a 1/2 wavelength (λ/2) plate and a 1/4 wavelength (λ/4) plate is provided, and the λ/2 plate and λ/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proposed in which four plates each contain a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is adjusted to define an angle of 75 to 10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특허문헌 1 : 국제공개 제2016/158300호Patent Document 1: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158300

그런데, 상술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서는, 그 시인성에 관해서 한층 더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표시 장치를 굴곡시켰을 때의 굴곡 부분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상(색감) 변화를 저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bendable display device, further improvement is required regarding its visibility. In addition, it is desired to reduce a change in color (color) of reflected light in a bent por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bent.

이 때문에,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원편광판에서는, 표시 장치의 굴곡 부분에 추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편광판의 굴곡 전후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in a circular polarizing plate applied to a bendable display device,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curved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it is also desired to make wrinkles less likely to occur before and after bending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에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굴곡에 의한 색 변화를 저감하면서, 굴곡에 의한 주름이 생기기 어려운 원편광판, 및 상기 원편광판을 구비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such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aims to provid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which is less likely to cause wrinkles due to bending while reducing color changes due to bending,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d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원편광판으로서,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에 배치된 위상차층을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 이상이며, 상기 위상차층은 1/2 파장판과 1/4 파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1/2 파장판 및 상기 1/4 파장판은 각각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며, 상기 1/4 파장판의 지상축(遲相軸) 방향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을 양으로 하여 -20°∼20°의 범위에 있으며, 또한 상기 1/4 파장판의 지상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이 80°∼100° 또는 -10°∼1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이 제공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ircular polarizing plate used in a bendable display device, a polarizer, a phase differenc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the visibility of the polarizer are corrected. Silver is more than 42%,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half wave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the half wave plate and the quarter wave plate each comprises a layer cured by a liquid crystal compound,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quarter wave plate is in the range of -20° to 20° with a positiv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provided in which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set in the range of 80° to 100° or -10° to 1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1/2 파장판과 상기 1/4 파장판이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Further, in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1/2 wavelength plate and the 1/4 wavelength plate are adhered through an adhesive layer may be used.

또한, 상기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인 구성이라도 좋다.In addition, in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the display device may b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원편광판에 있어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Further, in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may not be changed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하나의 원편광판과 굴곡 가능한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n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ny one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s and a bendabl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와,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윈도우 필름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display panel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a window film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display panel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re provided. good.

또한,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Further, in the display device, a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wherein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display panel.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갖는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spects.

[1]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원편광판으로서,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에 배치된 위상차층을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 이상이며, 상기 위상차층은 1/2 파장판과 1/4 파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1/2 파장판 및 상기 1/4 파장판은 각각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며, 상기 1/4 파장판의 지상축 방향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을 양으로 하여 -20°∼20°의 범위에 있고, 또한 상기 1/4 파장판의 지상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이 80°∼100° 또는 -10°∼10°의 범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1] A circular polarizing plate used in a ben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larizer, and a phase differenc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wherein the polarizer has a visibility-correcting unitary transmittance of 42% or more, and the phase difference layer is 1/2 A wavelength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are included, and the half wave plate and the quarter wave plate each include a layer cured by a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is the polarizer. It is in the range of -20° to 20° with a positiv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and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80° to 100° or-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which is set in a range of 10° to 10°.

[2] 상기 1/2 파장판과 상기 1/4 파장판이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원편광판. [2]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1/2 wavelength plate and the 1/4 wavelength plate are adhered through an adhesive layer.

[3]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한 원편광판. [3]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4]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원편광판. [4] Any of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 does not change with a * coordinate axis and b * coordinate axis in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described in one paragraph.

[5]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원편광판과 굴곡 가능한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5] A ben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and a bendable display panel.

[6]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와,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윈도우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에 기재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6]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sid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acing the display panel and a window film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acing the display panel [5] The bendabl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7]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에 기재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7] The ben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5], comprising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acing the display pane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굴곡에 의한 색 변화를 저감하면서, 굴곡에 의한 주름이 생기기 어려운 원편광판, 및 상기 원편광판을 구비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that is less likely to cause wrinkles due to bending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while reducing color change due to be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원편광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원편광판을 구비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유기 EL 소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표시 장치의 굴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b)는 표시 장치의 굴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c)는 표시 장치의 굴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d)는 표시 장치의 굴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과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의 관계, 및 λ/2판의 지상축 방향과 λ/4판의 지상축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원편광판을 구비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ircular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endabl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rganic EL element.
4A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 curved state of a display device.
4B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 curv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FIG. 4C is a schematic view for describing a curv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4D is a schematic view for describing a curv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2 plate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4 plat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bendabl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shown in FIG.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각 구성 요소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구성 요소에 따라서는 치수의 축척을 다르게 하여 도시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예시되는 재료나 수치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may be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order to make each component easier to see, and scales of dimension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onents. In addition, the materials, numerical values, etc.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on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and can be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scope without changing the subject matt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원편광판(1) 및 도 2에 도시하는 원편광판(1)을 구비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10)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원편광판(1)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표시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ndable display device 10 including, for exampl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1 shown in FIG. 1 and a circular polarizing plate 1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Here,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본 실시형태의 원편광판(1)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편광자(2)와, 편광자(2)의 한쪽의 면 측에 배치된 1/2 파장(λ/2)판(3) 및 1/4 파장(λ/4)판(4)을 포함하는 위상차층(RF)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편광자(2)의 양면에는 각각 보호 필름(보호층)(5, 6)이 배치되어 있다.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has a polarizer 2 and a half-wavelength (λ/2) plate 3 arrang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2. And a phase difference layer (RF) including a quarter wavelength (λ/4) plate 4. In addition, protective films (protective layers) 5 and 6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2, respectively.

편광자(2)의 한쪽의 면 측에는, PSA층(점착제층)(7)을 통해 λ/2판(3)이 적층되어 있다. λ/2판(3)과 λ/4판(4)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8)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 원편광판(1)의 λ/4판(4)과 대향하는 면에는, 후술하는 표시 패널(20)에 적층하기 위한 PSA층(점착제층)(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PSA층(9)의 표면에는, 사용되기 전까지 박리 필름(도시하지 않는다)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PSA층(7, 9)은,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2, a λ/2 plate 3 is laminated through a PSA layer (adhesive layer) 7. The λ/2 plate 3 and the λ/4 plate 4 are laminated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8. A PSA layer (adhesive layer) 9 for stacking on the display panel 2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facing the λ/4 plate 4. In addition, a release film (not shown)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PSA layer 9 until it is used. Further, the PSA layers 7 and 9 are formed of, for example, an acrylic adhesive.

편광자(2)는, 특정 방향으로 편광면을 가진 직선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것이며, 이 편광자(2)를 통과한 광은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직선 편광이 된다. 편광자(2)의 두께는, 예컨대 1 ㎛∼80 ㎛ 정도이다. The polarizer 2 passes light of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polarizing surface in a specific direction,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er 2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that vib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2 is, for example, about 1 μm to 80 μm.

편광자(2)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일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polarizer 2 include hydrophilic polymer films such as polyvinyl alcohol-based films, partially formaliz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s, an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partially saponified films, with dichroic materials such as iodine and dichroic dyes. In addition to the dyeing treatment and the stretching treatment, polyene-based alignment films such as a dehydration treatment of polyvinyl alcohol and a dehydrochloric acid treatment of polyvinyl chloride can be use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one obtained by dye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as hav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일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3∼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행하여도 좋고, 염색하면서 행하여도 좋다. 또한, 연신하고 나서 염색하여도 좋다. Dyeing with iodine is performed, for example, by dipp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n aqueous solution of iod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 ratio of uniaxial stretching is 3 to 7 times.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dyeing treatment or may be performed while dyeing. Moreover, you may dye|dye after extending|stretching.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컨대,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물이나 블로킹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subjected to a swelling treatment, a crosslinking treatment, a washing treatment, and a drying treatment, if necessary. For example, by staining and was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water before dyeing, it is possible not only to clea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but also to prevent anti-blocking agents, as well as to swell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o prevent staining and the like. Can.

편광자(2)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6-170368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액정 화합물이 중합한 경화막 중에 2색성 색소가 배향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2색성 색소로서는, 파장 380∼800 nm의 범위 내에 흡수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서, 예컨대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배향한 채로 중합할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이며, 분자 내에 중합성 기를 가질 수 있다.As the polarizer 2,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6-170368, for example, one in which a dichroic dye is oriented in a cured film obtained by polymerization of a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used. As the dichroic dye, one having absorption 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 to 800 nm can be used, and an organic dye is preferably used. As a dichroic dye, an azo compound is mentioned, for example.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liquid crystal compound that can be polymerized while being oriented, and may have a polymerizable group in the molecule.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99% 이상이라도 좋고, 99.9% 이상이라도 좋다.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5% 이하라도 좋고, 99.99% 이하라도 좋다.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적분구 구비 흡광 광도계(닛폰분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V7100」)를 이용하여, 얻어진 편광도에 대하여 「JIS Z 8701:1999」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행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The polarization degree corrected for visibility of the polarizer 2 is preferably 9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7% or more. Moreover, it may be 99% or more, or 99.9% or more.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er 2 may be 99.995% or less, or 99.99% or less. Visibility Correction The polarization degree is corrected by a two-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of "JIS Z 8701:1999"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polarization degree using an absorbing photometer equipped with an integrating sphere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It can be calculated by performing.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95∼99.9%로 함으로써, 초기의(굴곡 전의) 색상을 뉴트럴에서 떨어진 위치로 조정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굴곡 전후의 반사광의 색상에 관해서,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99.9% 이상으로 함으로써, 원편광판(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5% 미만이면,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5% 이상이면,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기능을 하기 쉽게 된다.Correcting the visibility of the polarizer 2 By setting the polarization degree to 95 to 99.9%, it is easy to adjust the initial color (before bending) to a position away from the neutral. For this reason, regarding the color of reflected light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escribed later,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sign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Moreover, the durability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polarization degree corrected for visibility of the polarizer 2 to be 99.9%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er 2 is less than 95%, it may not function as an antireflection film. That is, when the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er 2 is 95% or more, it becomes easy to function as an antireflection film.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적분구 구비 흡광 광도계(닛폰분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V7100」)를 이용하여, 얻어진 투과율에 대하여 JIS Z 8701:1999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행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하한치 및 상한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조합의 예로서는, 42% 이상 60% 이하, 44% 이상 50% 이하를 들 수 있다.The transparency of the polarizer 2 is preferably 42% or more, more preferably 44% or more, more preferably 60%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50% or less. Visibility correction simplex transmittance is corrected for the transmittance obtained by using a light absorbing photometer equipped with an integrating sphere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with a two-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of JIS Z 8701:1999. It can calculate by doing.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can be arbitrarily combined. Examples of the combination include 42% or more and 60% or less, and 44% or more and 50% or less.

편광자(2)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을 42% 이상으로 함으로써, 편광자(2)의 직교 색상을 용이하게 뉴트럴 측에서 떨어진 곳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굴곡 전후에 색 변화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50%를 초과하면, 편광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반사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50% 이하이면, 편광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고도, 반사 방지 기능을 달성하기 쉽게 된다.By setting the visibility of the polarizer 2 to be corrected, the transmittance of the simple substance is 42% or more, so that the orthogonal color of the polarizer 2 can be easily adjusted away from the neutral side, so that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escribed later is not noticeable. Can.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50%, the polarization degree becomes too low, and the antireflection function may not be achieved in some cases. That is, if it is 50% or less, it is easy to achieve an antireflection function without excessively low polarization.

λ/2판(3)은, 입사광의 전계 진동 방향(편광면)으로 π(=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으로, 직선 편광의 방향(편광 방위)을 바꾸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원편광의 광을 입사시키면, 원편광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돌릴 수 있다. The λ/2 plate 3 provides a phase difference of π (=λ/2) in the field oscillation direction (polarization surface) of the incident light, and has a function of changing the direction (polarization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In addition, when light of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inciden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circularly polarized light can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λ/2판(3)은, 특정 파장 λ 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값인 Re(λ)가 Re(λ)=λ/2를 만족한다. 이 식은 가시광역의 어느 파장(예컨대, 550 nm)에서도 달성되면 된다. 그 중에서도, 파장 550 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값인 Re(550)가 210 nm≤Re(550)≤300 nm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20 nm≤Re(550)≤290 nm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λ/2 plate 3, Re(λ), which is an in-plane retardation value at a specific wavelength λ nm, satisfies Re(λ)=λ/2. This expression can be achieved at any wavelength in the visible region (eg, 550 nm).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Re(550) which is an in-plane retardation value at wavelength 550 nm satisfies 210 nm<=Re(550)<=300 nm.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o satisfy 220 nm ≤ Re (550) ≤ 290 nm.

파장 550 nm에서 측정한 λ/2판(3)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인 Rth(550)는 -150∼150 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0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etardation value Rth(55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λ/2 plate 3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50 nm is preferably -150 to 150 nm, and more preferably -100 to 100 nm.

λ/2판(3)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주름을 방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하기 쉽다고 하는 관점에서, 0.5∼10 ㎛가 바람직하고, 0.5∼5 ㎛가 보다 바람직하고, 0.5∼3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λ/2판(3)의 두께에 관해서는, 면내의 임의의 5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들을 산술 평균한 것이다.The thickness of the λ/2 plate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5 to 10 µm, more preferably 0.5 to 5 µm, and 0.5 to 5 µm from the viewpoint of easy to remarkably improve the effect of preventing wrinkles. 3 μm is more preferable. In addition, regarding the thickness of the λ/2 plate 3, the thickness of any five points in the plane was measured, and these were arithmetic average.

λ/2판(3)은, 후술하는 보호 필름(5, 6)의 재료로서 예시한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λ/2판(3)을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λ/2판(3)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형상을 기준으로 막대형 타입(막대형 액정 화합물)과 원반형 타입(원반형 액정 화합물,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저분자 타입과 고분자 타입이 있다. 여기서, 고분자란 일반적으로 중합도가 100 이상인 것을 말한다(고분자물리·상전이 다이나믹스, 도이 마사오 저, 2 페이지, 이와나미쇼텐, 1992). The λ/2 plate 3 may include a film containing a resin exemplified as a material for the protective films 5 and 6 to be described later, a layer in which a liquid crystal compound is cured, and the like. When the λ/2 plate 3 is formed of resin, polycarbonate-based resin, cyclic olefin-based resin, styrene-based resin, and cellulose-based resin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λ/2 plate 3 includes a layer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ured. The type of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bar type (rod-lik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sk type (disc-type liquid crystal compound, discotic liquid crystal compound) based on the shape. In addition, there are low molecular weight type and high molecular weight type, respectively. Here, the polymer generally refers to a polymerization degree of 100 or more (polymer physics and phase transition dynamics, Masao Doi, 2 pages, Iwanami Shoten, 1992).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액정 화합물이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막대형 액정 화합물이나 2종 이상의 원반형 액정 화합물, 또는 막대형 액정 화합물과 원반형 액정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좋다.Any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oreover, you may use 2 or more types of rod liquid crystal compounds, 2 or more types of disc type liquid crystal compounds, or a mixture of a rod typ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sc type liquid crystal compound.

또한, 막대형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표 평11-513019호 공보의 청구항 1, 또는 일본 특허공개 2005-289980호 공보의 단락 [0026]∼[0098]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원반형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7-108732호 공보의 단락 [0020]∼[0067], 또는 일본 특허공개 2010-244038호 공보의 단락 [0013]∼[0108]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Moreover, as a rod-lik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thing of the claim 1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1-513019, or the paragraph of [0026]-[0098]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5-289980 can be used suitably, for example. As the disc-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for example, those described in paragraphs [0020] to [0067] of JP-A-2007-108732 or paragraphs [0013] to [0108] of JP-A-2010-244038 can be suitably used. .

λ/2판(3)은, 중합성 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막대형 액정 화합물 또는 원반형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학 특성의 온도에 의한 변화나 습도에 의한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the λ/2 plate 3 us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group (rod-like liquid crystal compound or disc-like liquid crystal compound). Thereby, the change by the temperature of the optical characteristic or the change by humidity can be made small.

액정 화합물은 2 종류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그 경우, 적어도 하나가 2 이상의 중합성 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λ/2판(3)은, 중합성 기를 갖는 막대형 액정 화합물 또는 중합성 기를 갖는 원반형 액정 화합물이 중합에 의해서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층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에 포함된다. 이 경우, 층으로 된 후에는 이제 액정성을 보일 필요는 없다.Th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In that cas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has two or more polymerizable groups. That is, the λ/2 plate (3) is preferably a layer formed by fixing a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group or a disc-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group by polymerization, and such a layer is included in the layer cured by the liquid crystal compound. do. In this case, after layering,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exhibit liquid crystallinity.

막대형 액정 화합물 또는 원반형 액정 화합물에 포함되는 중합성 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기나 고리 중합성 기 등의 부가 중합 반응이 가능한 작용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아크릴로일기 양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type of the polymerizable group contained in the rod-like liquid crystal compound or the disc-like liquid crystal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addition polymerization reaction such as a polymerizable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 or a ring polymerizable group is preferable. More specifically, a (meth)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 styryl group, an allyl group,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Especially, a (meth)acryloyl group is preferable. Here, the (meth)acryloyl group is a concept including both a methacryloyl group and an acryloyl group.

λ/2판(3)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기판(임시 기판을 포함한다)에, 중합성 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이하, 단순히 「조성물」이라고 한다)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얻어진 도막에 대하여 경화 처리(자외선의 조사(광 조사 처리) 또는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λ/2판(3)을 제조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forming the λ/2 plate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methods can be mentioned. For example, a coating film is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optically anisotropic layer contain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group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composition") to a predetermined substrate (including a temporary substrate), to form a coating film. The λ/2 plate 3 can be produced by subjecting it to curing treatment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light irradiation treatment) or heat treatment).

조성물의 도포는, 공지된 방법, 예컨대 와이어바 코팅법, 압출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법 및 다이 코팅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can be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such as a wire bar coating method, extrusion coating method, direct gravure coating method, reverse gravure coating method and die coating method.

조성물에는 상술한 액정 화합물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조성물에는 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중합 반응의 형식에 따라, 예컨대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가 선택된다. 예컨대,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α-카르보닐 화합물, 아실로인에테르, α-탄화수소 치환 방향족 아실로인 화합물, 다핵 퀴논 화합물, 트리아릴이미다졸 다이머와 p-아미노페닐케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01∼2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composition may contain components other than the liquid crystal compound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composition may contain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s, for example,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photo polymerization initiator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merization reaction. For example,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α-carbonyl compounds, acyl ethers, α-hydrocarbon substituted aromatic acylines, polynuclear quinone compounds, and combinations of triarylimidazole dimers and p-aminophenyl ketones. .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01-20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solid content of a composition, and, as for the usage-amoun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5-5 mass %.

또한,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 강도의 점에서, 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또는 양이온 중합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작용성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Moreover, a polymerizable monomer may b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rom a point of uniformity and film strength of a coating film.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radical polymerizable or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s. Especially, a polyfunctional radical polymerizable monomer is preferable.

또한,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상술한 중합성 기 함유의 액정 화합물과 공중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2-296423호 공보 중의 단락 [0018]∼[0020]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액정 화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polymerizable wit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polymerizable group as a polymerizable monomer.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those described in paragraphs [0018] to [0020] of JP 2002-296423 A. The use amount of the polymerizable monomer is preferably 1 to 50% by mass, and more preferably 2 to 30% by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liquid crystal compound.

또한,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 강도의 점에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불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1-330725호 공보 중의 단락 [0028]∼[0056]에 기재된 화합물, 일본 특원 2003-295212호 명세서 중의 단락 [0069]∼[0126]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urther, the composition may contain a surfactant from the viewpoint of uniformity and film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Examples of the surfactant include conventionally known compounds. Among them, a fluorine-based compound is particularly preferable. Specific surfactants include, for example, compounds described in paragraphs [0028] to [0056]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30725, and compounds described in paragraphs [0069] to [0126]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295212. .

또한, 조성물에는 용매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으며,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컨대 아미드(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술폭시드(예, 디메틸술폭시드), 헤테로환 화합물(예, 피리딘), 탄화수소(예, 벤젠, 헥산), 알킬할라이드(예,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스테르(예,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할라이드, 케톤이 바람직하다. 또한, 2 종류 이상의 유기 용매를 병용하여도 좋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contain a solvent, and an organic solvent is preferably used.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amide (eg, N,N-dimethylformamide), sulfoxide (eg, dimethyl sulfoxide), heterocyclic compound (eg, pyridine), hydrocarbon (eg, benzene, hexane), alkyl halide (eg , Chloroform, dichloromethane), esters (eg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ketones (eg acetone, methyl ethyl ketone), ethers (eg tetrahydrofuran, 1,2-dimethoxyethane) Can. Especially, alkyl halide and ketone are preferable. Moreover, you may use together 2 or more types of organic solvents.

또한, 조성물에는, 편광자 계면 측의 수직 배향제, 공기 계면 측의 수직 배향제 등의 수직 배향 촉진제, 및 편광자 계면 측의 수평 배향제, 공기 계면 측의 수평 배향제 등의 수평 배향 촉진제와 같은 각종 배향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밀착 개량제, 가소제, 폴리머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In addition, various kinds of compositions such as a vertical alignment agent such as a vertical alignment agent on the polarizer interface side, a vertical alignment agent on the air interface side, and a horizontal alignment agent such as a horizontal alignment agent on the polarizer interface side and a horizontal alignment agent on the air interface side An alignment agent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n adhesion improver, a plasticizer, a polymer, and the like.

λ/2판(3)에는, 액정 화합물의 배향 방향을 규정하는 기능을 갖는 배향막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배향막은 일반적으로는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한다. 배향막용 폴리머 재료로서는, 다수의 문헌에 기재가 있으며, 다수의 시판 제품을 입수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머 재료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이미드, 그의 유도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변성 또는 미변성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λ/2 plate 3 may include an alignment film having a function of defin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alignment film generally has a polymer as a main component. As a polymer material for an alignment film, there are many literatures, and many commercial products can be obtained.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o use polyvinyl alcohol or polyimide, and its derivatives as a polymer material,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use a modified or unmodified polyvinyl alcohol.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배향막에 관해서는, 국제공개 제2001/88574호의 43 페이지 24번째 행∼49 페이지 8번째 행, 일본 특허 제3907735호 공보의 단락 [0071]∼[0095]에 기재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참조할 수 있다. Regarding the alignment film usa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dified polys described in paragraphs [0071] to [0095] of Japanese Patent No. 3907735, page 24, line 24 to page 49, line 8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1/88574. Vinyl alcohol can be referred to.

또한, 배향막에는 통상 공지된 배향 처리가 실시된다. 예컨대, 러빙 처리, 편광을 대는 광배향 처리 등을 들 수 있지만, 배향막의 표면 거칠기의 관점에서, 광배향 처리가 바람직하다. Moreover, a well-known orient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the alignment film. For example, rubbing treatment, polarization photo-alignment treatment, etc. may be mentioned, but from the viewpoint of surface roughness of the alignment film, photo-alignment treatment is preferable.

배향막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 이하인 경우가 많고, 그 중에서도, 0.01∼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1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alignment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often 20 µ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0.01 to 10 µm, more preferably 0.01 to 5 µm, and even more preferably 0.01 to 1 µm.

λ/4판(4)은, 입사광의 전계 진동 방향(편광면)으로 π/2(=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으로, 어떤 특정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또는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The λ/4 plate 4 provides a phase difference of π/2 (=λ/4) in the direction of electric field oscillation (polarization surface) of incident light, and converts linearly polarized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n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It has the function of converting to linearly polarized light).

λ/4판(4)은, 특정 파장 λ 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값인 Re(λ)가 Re(λ)=λ/4를 만족한다. 이 식은, 가시광역의 어느 파장(예컨대, 550 nm)에서 달성되면 된다. 그 중에서도, 파장 550 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값인 Re(550)가 100 nm≤Re(550)≤160 nm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10 nm≤Re(550)≤150 nm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λ/4 plate 4, Re(λ) which is an in-plane retardation value at a specific wavelength λ nm satisfies Re(λ)=λ/4. This expression may be achieved at any wavelength in the visible region (eg, 550 nm).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Re(550) which is an in-plane retardation value at wavelength 550 nm satisfies 100 nm<=Re(550)<=160 nm.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o satisfy 110 nm ≤ Re (550) ≤ 150 nm.

파장 550 nm에서 측정한 λ/4판(4)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인 Rth(550)는 -120∼120 nm인 것이 바람직하고, -80∼8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retardation value Rth(55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λ/4 plate 4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50 nm is preferably -120 to 120 nm, and more preferably -80 to 80 nm.

λ/4판(4)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굴곡 시에 필름의 표리에서의 치수 변화의 차이에 의한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0.5∼10 ㎛가 바람직하고, 0.5∼5 ㎛가 보다 바람직하고, 0.5∼3 ㎛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λ/4판(4)의 두께에 관해서는, 면내의 임의의 5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들을 산술 평균한 것이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λ/4 plate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0.5 to 10 μm is preferable, and 0.5 to 5 μm, in that wrinkles due to a difference in dimensional change in the front and back of the film at the time of bending can be prevented. Μm is more preferable, and 0.5 to 3 μm is more preferable. Here, about the thickness of the λ/4 plate 4, the thickness of any five points in the plane was measured, and these were arithmetic average.

λ/4판(4)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λ/2판(3)의 재료로서 예로 든 것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성 기를 갖는 막대형 액정 화합물 또는 중합성 기를 갖는 원반형 액정 화합물이 중합에 의해서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층으로 된 후에는 이제 액정성을 보일 필요는 없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λ/4 plate 4 includes a layer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ured. The type of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ame material as exemplified as the material for the λ/2 plate 3 can be used.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od-like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has a polymerizable group or the disc-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has a polymerizable group is a layer formed by being fixed by polymerization. In this case, after layering,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exhibit liquid crystallinity.

원편광판(1)에 포함되는 층 중, 편광자(2) 이외에,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1층 또는 2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2) 이외에,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이 3층 이상 포함되는 경우, 주름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층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굴곡 시에 주름이 생기기 쉽다고 생각된다. Among the layers included i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cured by the liquid crystal compound other than the polarizer 2 is one layer or two layers. In addition to the polarizer 2, when three or more layers of a layer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ured are included, it is considered that wrinkles are likely to occur at the time of bending because the number of layers likely to cause wrinkles increases.

보호 필름(5, 6)은 편광자(2)를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적어도 편광자(2)의 외측의 면(λ/2판(3)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 필름(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편광자(2)의 내측의 면(λ/2판(3)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보호 필름(6)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The protective films 5 and 6 function as a protective layer for protecting the polarizer 2, and at least on the outer side of the polarizer 2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pposite to the λ/2 plate 3). The protective film 5 is arrange|positioned. Moreover, the protective film 6 may be arrange|position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olarizer 2 (the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λ/2 plate 3).

보호 필름(5, 6)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λ/2판(3)이 보호 필름(5, 6)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films 5 and 6,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light transmittance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such as a chain polyolefin resin (polypropylene resin, etc.), a cyclic polyolefin resin (norbornene resin, etc.)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ester-based resins such as cellulose diacetate, polyester-based resins, polycarbonate-based resins, (meth) acrylic resins, polystyrene-based resins or mixtures thereof, copolymers, etc. can be used. have. That is, the λ/2 plate 3 can also serve as the protective films 5 and 6.

또한, 보호 필름(5, 6)은 위상차 필름이나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더불어 갖는 보호 필름이라도 좋다.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연신(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 등)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 값이 부여된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protective films 5 and 6 may be protective films having optical functions such as a retardation film or a brightness enhancing film. For example, a film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resin can be stretched (uniaxially stretched or biaxially stretched), or a liquid crystal layer or the like formed on the film can be used as a retardation film having an arbitrary retardation value.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외에,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hain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copolymers containing two or more chain olefins in addition to homopolymers of chain olefins such as polyethylene resins and polypropylene resins.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쇄상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의 유도체로 변성한 그라프트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상 올레핀으로서, 예컨대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s a generic term for a resin that is polymerized using a cyclic olefin as a polymerization unit.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for example, ring-opening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ddition polymers of cyclic olefins,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with chain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typically random copolymers), and unsaturated carbohydrates thereof. And graft polymers modified with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hydrides thereof. Among them, as a cyclic olefin, a norbornene-based resin using norbornene-based monomers such as norbornene or polycyclic norbornene-based monomers is suitably used.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과의 에스테르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물이나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is an ester of cellulose and fatty acids. Specific examples of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includ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propionate, and cellulose dipropionate. Further, those copolymers or portions of hydroxyl groups modified with other substituents may also be used. Among them, cellulose triacetate (triacetyl cellulose: TAC) is particularly preferred.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이외의 수지이며,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과의 중축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디올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ester-based resin is a resin other than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having an ester bond, and generally contains a polycondensate of a polyhydric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polyhydric alcohol. As the polyvalent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ate, and dimethyl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Diol may be used as the polyhydric alcohol,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glycol, propane diol, butanediol, neopentyl glycol, and cyclohexanedimethanol.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As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ester resin,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naphthalate, polycyclohexanedimethyl terephthalate, polycyclohexane And dimethyl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보네이트기를 통해 모노머 단위가 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폴리머 골격을 수식한 변성 폴리카보네이트라고 불리는 수지나,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등이라도 좋다.The polycarbonate-based resin includes a polymer in which monomer units are bonded through carbonate groups. As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a resin called modified polycarbonate modified with a polymer skeleton, copolymerized polycarbonate, or the like may be used.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주된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C1-6(탄소수가 1∼6인)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가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100 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이용된다.The (meth)acrylic resin is a resin containing a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as its main constituent monomer. Specific examples of the (meth)acrylic resins include poly(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methyl poly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nd meta Methyl acrylate-acrylic acid ester-(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acrylic acid methyl-styrene copolymer (MS resin, etc.), copolymer of methyl methacrylate and a compound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for example, methacrylic acid Methyl-methacrylic acid cyclohexyl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norbornyl copolymer, and the like). Preferably, a polymer composed mainly of a poly(meth)acrylic acid C 1-6 (carbon number of 1 to 6) alkyl ester such as methyl poly(meth)acrylate is used. More preferably, a 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methyl methacrylate as the main component (50 to 100% by weight, preferably 70 to 100% by weight) is used.

보호 필름(5, 6)의 두께는 10 ㎛∼20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95 ㎛이다. 보호 필름(5, 6)은, 면내 위상차 값 Re(550)가, 예컨대 0 nm∼10 nm이며,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 Rth(550)가, 예컨대 -80 nm∼+80 nm이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s 5 and 6 is preferably 10 µm to 200 µm, more preferably 10 µm to 100 µm, further preferably 15 µm to 95 µm.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s Re(550) of the protective films 5 and 6 are, for example, 0 nm to 10 nm, and the retardation values Rth (550) of the thickness direction are, for example, -80 nm to +80 nm.

외측의 보호 필름(5)은, 그 편광자(2)와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보호 필름(5)의 두께는 5 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150 ㎛이다. The outer protective film 5 has surface treatments such as hard coat treatment, anti-reflection treatment, anti-sticking treatment, and anti-glare treatment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er 2, if necessary. It may be carried out.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5 in this case is 5 mm or less, preferably 1 mm or less, more preferably 1 μm to 500 μm, still more preferably 5 μm to 150 μm.

내측의 보호 필름(6)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광학적으로 등방성」이란, 면내 위상차 값 Re(550)가 0 nm∼10 nm이며,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 Rth(550)가 -10 nm∼+10 nm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의 보호 필름(6)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95 ㎛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protective film 6 is optically isotropic. That is, this "optically isotropic" means that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e(550) is 0 nm to 10 nm, and the retardation value Rth(55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 nm to +10 nm.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6 in this case is preferably 20 μm to 200 μm, more preferably 30 μm to 100 μm, still more preferably 35 μm to 95 μm.

접착제층(8)은, 접착제로서,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같은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원편광판(1)에서는, 접착제층(8)을 통해 λ/2판(3)과 λ/4판(4)을 적층함으로써, 굴곡 시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8 is an adhesive, for example,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preferably an ultraviolet-curable adhesive) containing a curable compound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and X-rays, or polyvinyl. An aqueous adhesive in which an adhesive component such as an alcohol-based resin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can be used. I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by laminating the λ/2 plate 3 and the λ/4 plate 4 through the adhesive layer 8, it is possible to prevent wrinkles from forming during bending.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양호한 접착성을 보이므로,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및/또는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하기 위한 양이온 중합 개시제 및/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s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since it shows good adhesiveness,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nd/or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can be preferably used.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further include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or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initiating a curing reaction of the curable compound.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옥세탄환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그 밖의 비닐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Examples of the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nclude an epoxy-based compound (a compound having 1 or 2 or more epoxy groups in a molecule), an oxetane-based compound (a compound having 1 or 2 or more oxetane rings in a molecule),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lifted. Examples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nclude (meth)acrylic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two or more (meth)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other vinyl compounds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double bond, or these. And combinations.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nd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양이온 중합 촉진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are cationic polymerization accelerators, ion traps, antioxidants, chain transfer agents, tackifiers, thermoplastic resins, fillers, flow modifiers, plasticizers, antifoaming agents, antistatic agents, leveling agents, solvents, etc., as required. It may contain additives.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λ/2판(3)과 λ/4판(4)을 접합하는 경우, 접착제층(8)으로 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통해 λ/2판(3)과 λ/4판(4)을 적층한 후,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킨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이 적합하고, 이 경우의 광원으로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수계 접착제를 통해 λ/2판(3)과 λ/4판(4)을 적층한 후, 가열 건조시키면 된다. When the λ/2 plate (3) and the λ/4 plate (4) are bonded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the λ/2 plate (3) and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re used as the adhesive layer (8). After laminating the λ/4 plate 4, the adhesive layer is cure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and X-rays. Among them, ultraviolet light is suitable, and as a light source in this case,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chemical lamp, a black light lamp, a microwave excitation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the water-based adhesive, the λ/2 plate 3 and the λ/4 plate 4 are laminated through the water-based adhesive and then dried by heating.

접착제층(8)의 두께는 0.5∼5 ㎛가 바람직하고, 0.5∼3 ㎛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8 is preferably 0.5 to 5 μm, and more preferably 0.5 to 3 μm.

접착제층(8)의 온도 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600 MPa∼4000 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 MPa∼3500 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 MPa∼3000 M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00 MPa∼3000 MPa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장 탄성률을 보이는 딱딱한 접착제층(8)으로 λ/2판(3)과 λ/4판(4)을 접합함으로써, 굴곡 시에 위상차층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8 at a temperature of 30°C is preferably 600 MPa to 4000 MPa, more preferably 700 MPa to 3500 MPa, even more preferably 1000 MPa to 3000 MPa, and 1500 MPa. It is most preferable that it is ∼3000 MPa. By bonding the λ/2 plate 3 and the λ/4 plate 4 with the hard adhesive layer 8 showing such a storage elastic modulu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wrinkles from forming in the retardation layer during bending.

접착제층(8)의 온도 3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원편광판(1)에 있어서의 접착제층(8)의 온도 3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하기의 방법으로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경우는 그 측정치로 한다. 한편, 직접 측정할 수 없는 경우는, 접착제층(8)의 형성과 같은 조건(접착제의 종류, 경화 조건)으로 박리지 상에 접착층 시험편을 형성하고, 이러한 접착층 시험편을 박리지로부터 박리한 것에 대해서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저장 탄성률과 동일한 값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the temperature of 30 degrees C of the adhesive layer 8 is the measured value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the temperature of 30 degrees C of the adhesive layer 8 i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can be measured directly by the following method. Shall be On the other hand, if it cannot be measured directly, the adhesive layer test piece is formed on the release paper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formation of the adhesive layer 8 (type of adhesive, curing condition), and the adhesive layer test piece is peeled from the release paper. It can be regarded as the same value as the storage modulu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접착제층(8) 또는 접착층 시험편의 저장 탄성률은 시판되는 동적 점탄성 장치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아이티게이소쿠세이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제품명 DVA-220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8 or the adhesive layer test piece can be measured by a commercially available dynamic viscoelasticity device,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by the product name DVA-220 manufactured by Haiti Chemical Co., Ltd.

점착제층(8)은, 점착제로서, 종래 공지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편광판이 노출되는 고온 환경, 습열 환경 또는 고온과 저온이 반복되는 환경 하에서, 벗겨짐 등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접착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고,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가공성의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has adhesiveness such that peeling does not occur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 moist heat environment, or a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environment where the polarizing plate is exposed. It can be. Specifically,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etc. may be mentioned, and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workability,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articularly preferred.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가소제, 유리 섬유, 유리 비드, 금속 가루,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을 포함하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등, 각종 첨가제를 적절하게 배합하여도 좋다. In the adhesive, if necessary, tackifiers, plasticizers, glass fibers, glass beads, metal powders, other inorganic powders, fillers, pigments, colorants, filler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silane coupling agents Various additives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점착제층(8)은, 통상 점착제의 용액을 이형(離型) 시트 상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형 시트 상에의 도포는, 예컨대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을 형성한 이형 시트는, 이것을 전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이용된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is usually formed by applying a solu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to a release sheet and drying it. As the coating on the release sheet, for example, a roll coating method such as reverse coating or gravure coating, a spin coating method, a screen coating method, a fountain coating method, a dipping method, a spray method or the like can be employed. The release sheet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is used by a method for transferring it.

점착제층(8)의 두께는 통상 3∼10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50 ㎛이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 is usually about 3 to 100 μm, and preferably 5 to 50 μm.

본 실시형태의 원편광판(1)은,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10)에 이용된다.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10)의 구체예로서는, 유기 EL 표시 장치, 원편광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대표적으로는 VA(Vertical Alignment)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본 실시형태의 원편광판(1)은, 굴곡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하여 적합하게 이용된다.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of this embodiment is used for a bendable display device 10 as shown in FIG. 2. Specific examples of the bendable display device 10 include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circularly polarized light (typicall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VA (Vertical Alignment) mode), a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display, and the like. Can. Especially,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of this embodiment is used suitably for a flexible organic EL display device.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0)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굴곡 가능한 표시 패널(20)과, 표시 패널(20)의 시인 측에 배치된 상기 원편광판(1)을 구비하고 있다. 원편광판(1)은, 편광자(2)가 시인 측으로 되도록, PSA층(9)을 통해 표시 패널(20)의 시인 측의 면에 접착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endable display panel 20 and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arranged on the vie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20, as shown in FIG. have.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is adhered to the viewing side of the display panel 20 through the PSA layer 9 so that the polarizer 2 is on the viewing side.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0)에서는, 외광이 표시 패널(20)의 시인 측에서 입사함으로써, 편광자(2)를 통과한 광이 직선 편광으로 된다. 이 직선 편광의 광은, λ/2판(3)을 통과하여 직선 편광의 방향이 변환된 후, λ/4판(4)을 통과하여 원편광으로 된다. 이 원편광의 광은, 표시 패널(20)에서 반사됨으로써, 입사 시와는 반전된 원편광으로 된다. 표시 패널(20)에서 반사된 원편광의 광은, 다시 λ/4판(4) 및 λ/2판(3)을 통과했을 때에, 입사 시와는 직교된 직선 편광으로 된다. 따라서, 이 직선 편광의 광은 편광자(2)에서 차단된다. 그 결과로서, 외광 반사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10 of this embodiment, when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viewing side of the display panel 20,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er 2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λ/2 plate 3 and the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is converted, and then passes through the λ/4 plate 4 to become circularly polarized light.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reflected by the display panel 20, so that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reversed from the time of incidence. When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reflected from the display panel 20 passes through the lambda /4 plate 4 and the lambda /2 plate 3 again, it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orthogonal to the time of incidence. Therefore, this linearly polarized light is blocked by the polarizer 2.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external light reflection can be suppressed.

표시 패널(20)의 일례로서는,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유기 EL 소자(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3은 유기 EL 소자(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An example of the display panel 20 includes, for example, an organic EL element 200 as shown in FIG. 3. Her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ganic EL element 200.

구체적으로 이 유기 EL 소자(200)는, 기판(210)과, 제1 전극(220)과, 유기 EL층(230)과, 제2 전극(240)과, 이들을 덮는 밀봉층(250)을 갖고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200)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기판(210) 상에 평탄화층(도시하지 않는다)을 두어도 좋고,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40)의 사이에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층(도시하지 않는다)을 두어도 좋다. Specifically, the organic EL element 200 has a substrate 210, a first electrode 220, an organic EL layer 230, a second electrode 240, and a sealing layer 250 covering them. have. In addition, the organic EL element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anarization layer (not shown) on the substrate 210, if necessary, and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40 may be provided. An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be provided for prevention.

기판(210)은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가요성을 갖는 기판(210)을 이용하면, 표시 장치(10)를 상술한 곡률 반경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200)를 소위 롤투롤 프로세스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 및 대량 생산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판(210)은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판(210)은 유기 EL층(230)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The substrate 21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en the flexible substrate 210 is used,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bent at a radius of curvatur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since the organic EL device 200 can be manufactured by a so-called roll-to-roll process, it is possible to realize low cost and mass production. In addition, the substrate 2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arrier property. The substrate 210 can protect the organic EL layer 230 from oxygen or moisture.

배리어성 및 가요성을 갖는 기판(210)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예컨대 가요성을 부여한 얇은 유리, 배리어성을 부여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필름, 합금,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210 having barrier properties and flexibility include, for example, thin glass to which flexibility is given, thermoplastic resin or thermosetting resin film to which barrier properties are applied, alloys, metals, and the like.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를 들 수 있다. 합금으로서는, 예컨대 스레인레스, 36 얼로이, 42 얼로이를 들 수 있다. 금속으로서는, 예컨대 구리, 니켈, 철, 알루미늄, 티탄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or thermosetting resin include polyester resin, polyimide resin, epoxy resin, polyurethan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olefin resin, polyamide resin, polycarbonate resin, silicone resin, fluorine resin,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s. Examples of the alloy include strainless, 36 alloys, and 42 alloys. Examples of the metal include copper, nickel, iron, aluminum, and titanium.

기판(210)의 두께는 5 ㎛∼50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30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200 ㎛이다. 이러한 두께라면, 표시 장치(10)를 상술한 곡률 반경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200)를 롤투롤 프로세스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210 is preferably 5 μm to 500 μm, more preferably 5 μm to 300 μm, and even more preferably 10 μm to 200 μm. If it is such a thickness,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bent at the above-mentioned radius of curvature. Further, the organic EL device 200 can be suitably used in a roll-to-roll process.

제1 전극(220)은 양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정공 주입성을 쉽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일 함수가 큰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 산화물(IZO), 산화규소를 첨가한 인듐주석 산화물(ITSO),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 산화물(IWO),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아연 산화물(IWZO),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인듐 산화물(ITiO),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인듐주석 산화물(ITTiO),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산화인듐주석(ITMO) 등의 투명 도전성 재료, 및 금, 은, 백금 등의 금속 및 이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220 can function as an anode. In this case, a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a material having a large work functio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y hole injection. Specific examples of such materials includ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tin oxide (ITSO) containing silicon oxide, indium oxide (IWO) including tungsten oxide, indium zinc containing tungsten oxid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oxide (IWZO), indium oxide (ITiO) containing titanium oxide, indium tin oxide (ITTiO) containing titanium oxide, and indium tin oxide (ITMO) containing molybdenum, and gold, silver, and platinum And metals such as these and alloys thereof.

유기 EL층(230)은 다양한 유기 박막을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구체적으로 이 유기 EL층(230)은, 정공 주입성 유기 재료(예컨대, 트리페닐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며, 양극으로부터의 정공 주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된 정공 주입층(230a)과, 예컨대 구리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230b)과, 발광성 유기 물질(예컨대, 안트라센, 비스〔N-(1-나프틸)-N-페닐〕벤지딘, N,N’-디페닐-N-N-비스(1-나프틸)-1,1’-(비페닐)-4,4’-디아민(NPB))을 포함하는 발광층(230c)과, 예컨대 8-퀴놀리놀알루미늄 착체를 포함하는 전자 수송층(230d)과, 전자 주입성 재료(예컨대, 페릴렌 유도체, 불화리튬)를 포함하며, 음극으로부터의 전자 주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된 전자 주입층(230e)을 갖고 있다.The organic EL layer 230 is a laminate including various organic thin films. Specifically, the organic EL layer 230 includes a hole-injecting organic material (eg, a triphenylamine derivative), and a hole-injecting layer 230a provided to improve hole injection efficiency from the anode, such as copper phthalocyanine A hole transport layer 230b containing a light-emitting organic material (for example, anthracene, bis[N-(1-naphthyl)-N-phenyl]benzidine, N,N'-diphenyl-NN-bis(1-naph) A light emitting layer 230c including til)-1,1'-(biphenyl)-4,4'-diamine (NPB),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230d comprising, for example, an 8-quinolinol aluminum complex, It contains an electron injecting material (for example, perylene derivative, lithium fluoride), and has an electron injecting layer 230e provided to improve electron injecting efficiency from the cathode.

유기 EL층(230)은, 그 밖에도, 발광층(230c)에 있어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을 생기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이 채용된다. 유기 EL층(230)의 두께는, 발광한 광을 가능한 한 투과시키기 위해서, 되도록이면 얇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5 nm∼200 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m 정도이다. As for the organic EL layer 230, any suitable combination may be employed in which the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in the light emitting layer 230c to cause light emission.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EL layer 230 is preferably as thin as possible in order to transmit the emitted light as much as possible, specifically 5 nm to 200 nm, and more preferably about 10 nm.

제2 전극(240)은 음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극(240)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전자 주입을 쉽게 하여 발광 효율을 올린다고 하는 관점에서, 일 함수가 작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이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240 may function as a cathode. In this case, a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240, a material having a small work functio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y electron injection and higher luminous efficiency. Aluminum, magnesium, and these alloys are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of such a material.

밀봉층(250)은 배리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된다. 밀봉층(250)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에폭시 수지, 폴리요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밀봉층(250)은, 에폭시 수지(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도공하고, 그 위에 배리어성 시트를 접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The sealing layer 25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barrier properties and transparency. 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ealing layer 250 include, for example, epoxy resin, polyurea,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ealing layer 250 may be formed by coating an epoxy resin (epoxy resin adhesive) and bonding a barrier sheet thereon.

유기 EL 소자(200)는 롤투롤 프로세스로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기 EL 소자(200)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2-169236호 공보에 기재된 수순에 준한 수순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200)는, 장척형의 원편광판(1)과 롤투롤 프로세스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유기 EL 표시 장치가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organic EL device 200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in a roll-to-roll process. The organic EL device 200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2-169236.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publication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Further, the organic EL element 200 is continuously stacked in a roll-to-roll process with the elongated circular polarizing plate 1, so that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또한, 굴곡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상세한 것은, 예컨대 일본 특허 제4601463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 제470799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는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Further, details of the bendable organic EL display device are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4601463 or Japanese Patent No. 4707996. These descrip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에서는, 유기 EL 소자(200)를 사용한 양태에 관해서 예시하고 있지만, 그와 같은 양태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표시 장치(10)는, 예컨대 액정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20)과, 표시 패널(20)의 시인 측에 배치된 원편광판(1)을 구비하는 양태라도 좋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20 illustrates an aspect using the organic EL element 20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n aspect, and the display device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The aspect provided with the display panel 20 containing a display element and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arrange|positioned at the vie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20 may be sufficient.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0)로서는, 도 4(a)∼도 4(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굴곡된 상태(굴곡이 고정된 상태)도 포함한다. 여기서, 도 4(a)∼도 4(d)는 표시 장치(10)의 굴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As the display device 10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4(a) to 4(d), a curved state (a state in which bending is fixed) is also included. Here, FIGS. 4(a) to 4(d) are schematic diagrams for describing a curv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0.

구체적으로 이 표시 장치(10)는, 예컨대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절첩식과 같이, 중앙부에서 굴곡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디자인성과 표시 화면을 최대한 확보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도 4(c) 및 도 4(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부에서 굴곡되어 있어도 좋다.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bent at the central portion,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olding expressions shown in FIGS. 4A and 4B.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design performance and the display screen as much as possible, as shown in Figs. 4(c) and 4(d), they may be bent at the ends.

또한, 표시 장치(10)는, 도 4(a)∼도 4(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긴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되어 있어도 좋고, 그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되어 있어도 좋다. 즉, 표시 장치(10)는, 그 용도에 따라, 특정 부분이 (예컨대, 네 모퉁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면 된다. Further,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bent along its long longitudinal direction or bent along its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4(a) to 4(d).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only needs to be bent in a specific portion (eg, part or all of the four corners in an oblique direction) according to its use.

표시 장치(10)의 적어도 일부는, 곡률 반경(굴곡 반경)이 10 mm 이하로 굴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m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mm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0)는, 이러한 매우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된 상태에서의 반사광의 색상(색감) 변화를 저감하며, 또한 원편광판(1)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굴곡 반경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 mm라도 좋고, 0 mm를 초과해도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radius (bending radius) of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10 is bent to 10 mm or less, more preferably 8 m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4 mm or less.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reduces the change in color (color) of reflected light in a state of being bent with such a very small radius of curvature, and also makes it difficult to cause wrinkles o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The lower limit of the bending radiu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0 mm or more than 0 mm.

표시 장치(10)의 굴곡 방향(굴곡 시작선(L)과 직교하는 방향)과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의 관계, 및 λ/2판(3)의 지상축 방향과 λ/4판(4)의 지상축 방향의 관계를 도 5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의 (a), (b)는 표시 장치(10)의 굴곡 방향과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의 관계, 및 λ/2판(3)의 지상축 방향과 λ/4판(4)의 지상축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5의 (a), (b)에서는,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λ/2판(3)의 지상축 방향을 「1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λ/4판(4)의 지상축 방향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nding start line L) and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2,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2 plate 3 and λ/4 plate ( The relationship of the slow axis direction of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Here, FIGS. 5A and 5B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2,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2 plate 3 and the λ/4 plate.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of the slow axis direction of (4). 5(a) and 5(b),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2 is indicated by a "dash line",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λ/2 plate 3 is indicated by a "dotted chain line", λ /4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plate 4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표시 장치(10)는, 도 5의 (a),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적어도 평탄부(10a)와, 평탄부(10a)의 단부에 위치하는 직선형의 굴곡 시작선(L)(도 5의 (a), (b) 중에 나타내는 2점 쇄선)으로부터 굴곡 시작선(L)과 직교하는 방향(굴곡 방향)을 따라 굴곡된 굴곡부(10b)를 갖고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의 굴곡 방향은, 이 표시 장치(10)를 평탄부(10a)의 법선 방향(도 5의 (a), (b)에서의 Z축 방향)에서 볼 때, 직선형의 굴곡 시작선(L)과 직교하는 방향(도 5의 (a), (b)에서의 Y축 방향)에 해당한다. Th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t least a flat portion 10a and a straight curved start line L located at an end portion of the flat portion 10a, as shown in FIGS. 5A and 5B. It has a bent portion 10b bent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nd starting line L (bending direction) from the two-dot chain line shown in Figs. 5A and 5B. In this case,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is a straight lin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viewed from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10a (the Z-axis direction in Figs. 5A and 5B).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nding start line L of (Y-axis direction in Fig. 5 (a), (b)).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0)에서는, λ/4판(4)의 지상축 방향(0°)에 대하여 표시 장치(10)의 굴곡 방향이 반시계 방향을 양으로 하여 -10°∼10°(도 5(a)에서는 0°) 또는 80°∼100°(도 5(b)에서는 9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5° 또는 85°∼9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또는 90°로 설정되어 있다. In the display device 10 of this embodiment,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direction (0°) of the λ/4 plate 4 is -10° to 10° with a positive counterclockwise direction. (0° in FIG. 5(a)) or 80° to 100° (90° in FIG. 5(b)), preferably -5° to 5° or 85° to 95°, more preferably Is set to 0° or 90°.

이때, λ/2판(3)의 지상축 방향은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각도(α)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λ/2판(3)의 지상축 방향이 각도(α)가 되도록, 표시 패널(20)의 면 상에 원편광판(1)이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λ/2 plate 3 is set to form a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2. That is,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λ/2 plate 3 is a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2.

또한, λ/4판(4)의 지상축 방향은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각도(β)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λ/4판(4)의 지상축 방향이 각도(β)가 되도록, 표시 패널(20)의 면 상에 원편광판(1)이 배치된다. 여기서, 각도(α) 및 각도(β)는, 어느 편광자(2)의 흡수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을 포지티브로 한 각도이다. 각도(β)는,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0°)에 대하여 λ/4판(4)의 지상축 방향이 반시계 방향을 양으로 하여 -20°∼20°(도 5의 (a), (b)에서는 -1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4 plate 4 is set to form an angle β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2. That is,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λ/4 plate 4 is the angle β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2. Here, the angle α and the angle β are angles in which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positive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2. The angle β is -20° to 20° in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λ/4 plate 4 relative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0°) of the polarizer 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 and (b), the range is -15°).

구체적으로 각도(α)와 각도(β)의 바람직한 조합에 관해서 설명한다. 각도(α)는 -8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78°∼-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6°∼-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각도(β)는 -2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8°∼-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a preferable combination of the angle α and the angle β will be described. The angle α is preferably -80° to -70°, more preferably -78° to -70°, further preferably -76° to -70°. At this time, the angle β is preferably -20° to -10°, more preferably -18° to -10°, and even more preferably -16° to -10°.

또한, 각도(α)는 8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78°∼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6°∼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각도(β)는 2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8°∼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ngle α is preferably 80° to 70°, more preferably 78° to 70°, and even more preferably 76° to 70°. At this time, the angle β is preferably 20° to 10°, more preferably 18° to 10°, and even more preferably 16° to 10°.

이러한 범위가 되도록, λ/2판(3)의 지상축 방향(각도(α)) 및 λ/4판(4)의 지상축 방향(각도(β))을 조정함으로써, 굴곡에 의한 색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By adjusting the slow axis direction (angle (α)) of the λ/2 plate 3 and the slow axis direction (angle (β)) of the λ/4 plate 4 so as to be in such a range, color changes due to bending can be adjusted.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실시형태의 원편광판(1)은,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이, CIE 1976 L*a*b* 색 공간의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SCE 방식으로 측정한 반사광의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을 걸치지 않으며 또한 b* 좌표축을 걸치지 않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이 변화되더라도, 이 색상의 변화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편광판의 색상을 조정하거나 위상차층의 위상차 값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각 좌표축을 걸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the CIE 1976 L * a * b * a * axis and b *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of a color sp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gn does not change in betwee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measured by the SCE method obtained before and after bending is set to a value that does not span the a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and does not span the b * coordinate axis. Accordingly, even if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bending is changed, the change in color can be made inconspicuous.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color of the polarizing plate or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retardation layer,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to cross each coordinate axis.

또한, 위상차 필름의 파장 분산성을 조정하는 것도 색상의 제어에 유효하다. 예컨대, 원편광판(1)의 위상차 값을 올린 경우는, a* 값 및 b* 값이 낮아지고, 원편광판(1)의 위상차 값을 내린 경우는, a* 값 및 b* 값이 높아진다. In addition, adjusting the wavelength dispersibility of the retardation film is also effective for color control. For example, when the phase difference valu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is raised, the a * value and the b * value are lowered, and when the phase difference valu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is lowered, the a * value and the b * value are increased.

또한, 굴곡 시작 전후로, a* 값 및 b* 값의 적어도 한쪽이 0이라도, 다른 쪽의 부호에 변화가 없는 경우는, 굴곡 전후에 부호가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 즉, 이 경우는,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걸치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한, 이 평가를 할 때의 굴곡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In addition, if before and after the start of bending, at least one of the a * value and the b * value is 0,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other sign, it is assumed that the sign does not change before and after the bend. That is,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a * coordinate axis and b * coordinate axis are not passed. In addition, the bending method at the time of making this evaluation can follow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 mentioned later.

반사 색상은 CM-2600d(코니카미놀타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분광측색계)로 측정할 수 있다. 「JIS Z 8722:2009」에 준거하고, 설정 조건은 이하와 같게 할 수 있다. The reflection color can be measured by CM-2600d (a spectrophotometer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Co., Ltd.). Based on "JIS Z 8722:2009", the setting conditions can be made as follows.

·광원: D65 광원 ·Light source: D65 light source

·측정 직경: 8 mmφ ·Measurement diameter: 8 mmφ

·시야: 2° Vision: 2°

·기하 조건: 기하 조건 c Geometry: Geometry c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hing of the said embodimen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예컨대, 상기 표시 장치(10)의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30)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의 구성에 더하여, 터치 센서(40)와 윈도우 필름(50)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6은 원편광판(1)을 구비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30)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sensor. Specifically, as in the display device 30 shown in FIG. 6,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touch sensor 40 and the window film 50. Her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bendable display device 30 hav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도 6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30)에 있어서, 터치 센서(40)는, 원편광판(1)의 표시 패널(20)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윈도우 필름(50)은, 원편광판(1)의 표시 패널(20)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40)의 시인 측에 원편광판(1)이 존재하면, 터치 센서(40)의 패턴이 시인되기 어렵게 되고, 표시 패널(20)에 표시되는 화상의 시인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In the display device 30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touch sensor 40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splay panel 20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and the window film 50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facing the display panel 20. When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 is present on the viewing side of the touch sensor 40, the pattern of the touch sensor 40 becomes difficult to be visually recognized, and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visibilit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0 is improved.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30)에서는, 표시 패널(20), 터치 센서(40), 원편광판(1), 윈도우 필름(50)의 순으로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윈도우 필름(50), 원편광판(1), 터치 센서(40)의 어느 한 층의 적어도 일면에, 후술하는 차광 패턴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ly, in the display device 30 illustrated in FIG. 6, the display panel 20, the touch sensor 40,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and the window film 50 are stacked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in this order. Hav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light-shielding patter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any one layer of the window film 50,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and the touch sensor 40.

또한, 터치 센서(40) 및 윈도우 필름(50) 적층 순서에 관해서는, 상술한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표시 패널(20), 원편광판(1), 터치 센서(40), 윈도우 필름(50)의 순으로 적층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acking order of the touch sensor 40 and the window film 5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20,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the touch sensor 40, the window film It can also be set as the laminated structure in the order of (50).

또한, 윈도우 필름(50)에 관해서는, 상술한 원편광판(1)을 구성하는 보호 필름(5)이라도 좋으며, 이 윈도우 필름(50)이 원편광판(1)의 보호 필름(5)을 겸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In addition, regarding the window film 50, the protective film 5 constitut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nd the window film 50 also serves as a protective film 5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May b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상기 표시 장치(10)의 구성에 더하여, 원편광판(1)의 표시 패널(20)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터치 센서(4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in a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4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facing the display panel 20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You may.

(윈도우 필름) (Window film)

윈도우 필름(50)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30)의 시인 측에 배치되어, 그 밖의 구성 요소를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온습도 등의 환경 변화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보호층으로서는 유리가 사용되어 왔지만,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30)에 있어서의 윈도우 필름(50)은, 유리와 같이 강직하고 딱딱한 것이 아니라, 굴곡 가능한 특성을 갖고 있다. The window film 50 is disposed on the viewer's side of the bendable display device 30, and serves as a protective layer that protects other components from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impact or temperature and humidity from the outside. Glass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such a protective layer, but the window film 50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30 is not rigid and rigid like glass, but has a bendable property.

윈도우 필름(50)은, 굴곡 가능한 투명 기재(51)와, 투명 기재(51)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하드 코트층(52)을 갖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30)에 있어서, 윈도우 필름(50)을 구성하는 하드 코트층(52)은 투명 기재(51)의 원편광판(1)과는 반대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하드 코트층(52)은, 표시 장치(30)의 최외층으로 되어 있으며, 외기(공기)와 접해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52)은 투명 기재(51)의 원편광판(1) 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하드 코트층(52)은 투명 기재(51)의 편면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투명 기재(51)의 양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The window film 50 has a bendable transparent base material 51 and a hard coat layer 52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51. In the display device 30 shown in FIG. 6, the hard coat layer 52 constituting the window film 50 is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51. The hard coat layer 52 is an outermost layer of the display device 30 and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air). In addition, the hard coat layer 52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51 on the side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 Moreover, the hard coat layer 52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51 o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51.

(투명 기재) (Transparent description)

투명 기재(51)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7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또한, 투명 기재(51)의 두께는 5∼200 ㎛이며, 바람직하게는 20∼100 ㎛이다.The transparent substrate 51 has a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of 70% or more, and preferably 80% or more.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51 is 5 to 200 μm, and preferably 20 to 100 μm.

투명 기재(51)는, 투명성이 있는 고분자 필름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노르보르넨, 또는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등의 폴리올레핀류,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의 (변성) 셀룰로오스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류, 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스티렌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류, 폴리염화비닐류, 폴리염화비닐리덴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류, 폴리이미드류, 폴리아미드이미드류, 폴리에테르이미드류, 폴리에테르술폰류, 폴리술폰류, 폴리비닐알코올류, 폴리비닐아세탈류, 폴리우레탄류, 에폭시 수지류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미연신 필름, 일축 연신 필름 또는 이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51, any polymer film having transparency can be used. Specifically,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norbornene, or cycloolefin-based derivatives having units of monomers containing cycloolefin, diacetyl cellulose, triacetyl cellulose, propionyl cellulose, etc. Modification) Celluloses, acrylic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co)polymers, polystyrenes such as styrene (co)polymer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s,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s, ethylene-vinyl acetate Polyesters such as copolymers, polyvinyl chlorides, polyvinylidene chloride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polyarylate, polyamides such as nylon, polyimides, And films formed of polymers such as polyamideimides, polyetherimides, polyethersulfones, polysulfones, polyvinyl alcohols, polyvinyl acetals, polyurethanes, and epoxy resins. Further, these unstretched films, uniaxially stretched films, or biaxially stretched films can be used.

투명 기재(51)에는, 이들 고분자를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투명 기재(51) 중에서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올레핀계 필름, 아크릴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se poly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m in the transparent substrate 51. Preferably, among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substrate 51,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amide film, polyamideimide film or polyimide film, polyester film, olefin film, acrylic film, or cellulose film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heat resistance. desirable.

고분자 필름 중에는, 실리카 등의 무기 입자, 유기 미립자, 고무 입자 등을 분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나 염료와 같은 착색제, 형광 증백제, 분산제, 가소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용제 등의 배합제를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It is also preferable to disperse inorganic particles such as silica, organic fine particles, and rubber particles in the polymer film. Further, a colorant such as a pigment or dye, a fluorescent whitening agent, a dispersing agent, a plasticizer, a heat stabilizer, a light stabilizer, an infrared absorb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 lubricant, a solvent, etc. may be included.

(하드 코트층) (Hard coat layer)

하드 코트층(5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2∼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52)의 두께가 2 ㎛ 미만이면, 충분한 내찰상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된다. 한편, 하드 코트층(52)의 두께가 100 ㎛를 초과하면, 내굴곡성이 저하하여, 경화 수축에 의한 컬 발생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즉, 하드 코트층(52)의 두께가 2 ㎛ 이상이면, 충분한 내찰상성을 확보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하드 코트층(52)의 두께가 100 ㎛ 이하이면, 내굴곡성이 저하하여, 경화 수축에 의한 컬 발생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5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 to 100 μm,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52 is less than 2 μm, it is difficult to ensure sufficient scratch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52 exceeds 100 µm, bending resistance decreases, and a curl generation problem due to curing shrinkage may occur. That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52 is 2 µm or more, it becomes easy to ensure sufficient scratch resistance.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52 is 100 µm or less, the bending resistance de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cause curling problems due to curing shrinkage.

하드 코트층(52)은, 활성 에너지선 또는 열에너지를 조사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성 재료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형성할 수 있지만,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ard coat layer 52 may be formed by curing a hard coat composition containing a reactive material that forms a crosslinked structure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or thermal energy, but is preferably cure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활성 에너지선이란, 활성종을 발생하는 화합물을 분해하여 활성 종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에너지선으로 정의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가시광, 자외선, 적외선, X선, α선, β선, γ선 및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The active energy ray is defined as an energy ray capable of decomposing a compound generating an active species to generate an active species.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include visible light, ultraviolet ray, infrared ray, X ray, α ray, β ray, γ ray and electron beam. Among them, ultraviolet rays are particularly preferred.

하드 코트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및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의 중합물을 함유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란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 갖는 라디칼 중합성 기로서는, 라디칼 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작용기면 되며, 탄소-탄소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등을 들 수 있다. The hard coat composition contains at least one polymerizable product of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and a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group. The radically polymerizable group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may be any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ausing a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group containing a carbon-carbon unsaturated double bond. Specifically, a vin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etc. are mentioned.

또한,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 2개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경우, 이들 라디칼 중합성 기는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 1 분자 중에 갖는 라디칼 중합성 기의 수는, 하드 코트층(52)의 경도를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when the said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has two or more radically polymerizable groups, these radically polymerizable groups may be the same respectively, or may differ.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radically polymerizable groups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has in one molecule is two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52.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높은 반응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1 분자 중에 2∼6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라고 불리는 화합물이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불리는 분자 내에 여러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분자량이 수백 내지 수천인 올리고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high reactivity, a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s preferable, and a compound or epoxy called a polyfunctional acrylate monomer having 2 to 6 (meth)acryloyl groups in one molecule Oligomers having several (meth)acryloyl groups having molecular weights of several hundred to thousands in a molecule called (meth)acrylate, urethane (meth)acrylate, and polyester (meth)acrylate can be preferably us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epoxy (meth)acrylate, urethane (meth)acrylate and polyester (meth)acrylate.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이란,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비닐에테르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이 1 분자 중에 갖는 양이온 중합성 기의 수는, 하드 코트층(52)의 경도를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개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양이온 중합성 기로서 에폭시기 및 옥세타닐기의 적어도 1종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The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 cationic polymerizable group such as an epoxy group, oxetanyl group, and vinyl ether group. The number of cationically polymerizable groups of the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in one molecule is preferably two or more, and more preferably three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52. Moreover, as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the compound which has at least 1 type of an epoxy group and an oxetanyl group as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group is preferable.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등의 환상 에테르기는, 중합 반응에 따른 수축이 작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에테르기 중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다양한 구조의 화합물이 입수가 용이하고, 얻어진 하드 코트층(52)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의 상용성도 컨트롤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Cyclic ether groups such as an epoxy group and an oxetanyl group are preferable in that shrinkage due to polymerization reaction is small. In addition, the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in the cyclic ether group is advantageous in that a compound of various structures is readily available,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durability of the obtained hard coat layer 52, and is also easy to control compatibility with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There is this.

또한, 환상 에테르기 중 옥세타닐기는, 에폭시기와 비교하여 중합도가 높아지기 쉽고, 저독성이며, 얻어진 하드 코트층(52)의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네트워크 형성 속도를 빠르게 하여,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혼재하는 영역에서도 미반응의 모노머를 막 중에 남기지 않고서 독립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oxetanyl group in the cyclic ether group is easy to increase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compared to the epoxy group, is low toxicity, and increases the rate of network 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of the obtained hard coat layer 52, and is mixed with the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 Even in this region,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forming an independent network without leaving unreacted monomers in the membrane.

에폭시기를 갖는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지환족환을 갖는 다가 알코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또는 시클로헥센환, 시클로펜텐환 함유 화합물을, 과산화수소, 과산 등의 적당한 산화제로 에폭시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지환족 에폭시 수지;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장쇄 다염기산의 폴리글리시딜에스테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의 호모폴리머, 코폴리머 등의 지방족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나 수첨 비스페놀 A 등의 비스페놀류, 또는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 카프로락톤 부가체 등의 유도체와 에피크롤히드린과의 반응에 의해서 제조되는 글리시딜에테르 및 노볼락에폭시 수지 등이며, 비스페놀류로부터 유도되는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As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for example, an alicyclic epoxy resin obtained by epoxidizing a polyglycidyl ether of a polyhydric alcohol having an alicyclic ring or a compound containing a cyclohexene ring or a cyclopentene ring with a suitable oxidizing agent such as hydrogen peroxide or peracid. ; Aliphatic epoxy alcohols, or aliphatic epoxy resins such as polyglycidyl ethers of alkylene oxide adducts, polyglycidyl esters of aliphatic long-chain polybasic acids, 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glycidyl (meth)acrylates; Bisphenols such as bisphenol A, bisphenol F and hydrogenated bisphenol A, or glycidyl ethers and novolac epoxys produced by the reaction of derivatives such as alkylene oxide adducts and caprolactone adducts with epichlorohydrin Resins, and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s derived from bisphenols.

하드 코트 조성물에는 중합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양이온 중합 개시제, 라디칼 및 양이온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및 가열 중 적어도 1종에 의해 분해되며, 라디칼 또는 양이온을 발생하여 라디칼 중합과 양이온 중합을 진행시키는 것이다. The hard coat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olymerization initiator.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radical and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which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These polymerization initiators are decomposed by at least one of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nd heating, and generate radicals or cations to advance radical polymerization and cationic polymerization.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및 가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라디칼 중합을 개시하는 물질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예컨대,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과산화수소, 과안식향산 등의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capable of releasing a substance that initiates radical polymerization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and heating. For example, examples of the thermal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organic peroxides such as hydrogen peroxide and perbenzoic acid, and azo compounds such as azobisbutyronitrile.

활성 에너지선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분자의 분해로 라디칼이 생성되는 Type 1형 라디칼 중합 개시제와, 3급 아민과 공존하여 수소 인발형 반응으로 라디칼을 생성하는 Type 2형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있으며, 각각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a type 1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n which radicals are generated by decomposition of molecules, and a type 2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that coexists with a tertiary amine to generate radicals through a hydrogen draw reaction. It can also be used together or in combination.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및 가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양이온 중합을 개시하는 물질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방향족 요오드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구조의 차이에 의해서 활성 에너지선 조사 또는 가열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것으로나 양이온 중합을 개시할 수 있다.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capable of releasing a substance that initiates cationic polymerization by at least one of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nd heating. As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 aromatic iodonium salt, an aromatic sulfonium salt, a cyclopentadienyl iron (II) complex, or the like can be used. These can initiate cationic polymerization with either or both of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or heating due to the difference in structure.

중합 개시제는 하드 코트 조성물의 전체(100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경화를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어, 최종적으로 얻어진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나 밀착력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한편,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 수축에 의한 접착력 불량이나 깨짐 현상 및 컬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 이상이면, 경화를 충분히 진행시킬 수 있어, 최종적으로 얻어진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나 밀착력을 구현하기 쉽게 된다. 한편,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10 중량 이하이면, 경화 수축에 의한 접착력 불량이나 깨짐 현상 및 컬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contain 0.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100% by weight) of the hard coat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less than 0.1% by weight, curing cannot proceed sufficiently,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mechanical properties or adhesion of the finally obtained coating film.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exceeds 10% by weight, there is a case that poor adhesion or cracking phenomenon and curl phenomenon due to curing shrinkage may occur. That is, if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0.1% by weight or more, curing can proceed sufficiently, and it is easy to realize mechanical properties or adhesion of the finally obtained coating film.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less than 10 weight, it is difficult to cause poor adhesion, cracking and curling due to curing shrinkage.

하드 코트 조성물은, 용제,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제는, 중합성 화합물 및 중합 개시제를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기술분야의 하드 코트 조성물의 용제로서 알려져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는, 무기 입자, 레벨링제, 안정제,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윤활제, 방오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hard coat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lvents and additives. The solvent is capable of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polymerizable compound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y known solvent as a solvent for the hard coat composition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The additive may further include inorganic particles, leveling agents, stabilizers, surfactants, antistatic agents, lubricants, antifouling agents, and the like.

(터치 센서) (Touch sensor)

터치 센서(40)로서는,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 다양한 양식의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어느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그 중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이 바람직하다.As the touch sensor 40, various types of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surface acoustic wa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capacitive method have been proposed, and any method may be used. Among them, the capacitive type is preferred.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40)는, 활성 영역 및 이 활성 영역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다. 활성 영역은, 표시 패널(20)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이다. 한편, 비활성 영역은 표시 패널(20)에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비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The capacitive touch sensor 40 is divided into an active area and an inactive area located on an outer portion of the active area. The active area is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display unit)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0, and is an area where a user's touch is sensed. Meanwhile, the inactive area is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non-display unit) in which the screen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0.

터치 센서(40)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기판과, 기판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 감지 패턴과, 기판의 비활성 영역에 형성되며, 감지 패턴과 패드부를 통해 외부의 구동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각 센싱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40)를 구성하는 기판으로서는 통상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이용된다. The touch sensor 40 includes a substrate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a sensing pattern formed in an a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and a sensing pattern formed in an ina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and each sensing line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through the sensing pattern and the pad portion It may include. As a substrate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40, a material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is usually used.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기판으로서는, 윈도우 필름(50)의 투명 기재(51)와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센서(40)의 기판은, 인성(toughness)이 2000 MPa% 이상인 것이 크랙의 억제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성이 2000∼30000 MPa%인 것이다. As the substrate having flexible properties, a material such as the transparent substrate 51 of the window film 50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on of cracks that the substrate of the touch sensor 40 has a toughness of 2000 MPa% or more. More preferably, the toughness is 2000 to 30000 MPa%.

또한, 기판의 인성은, 기판을 구성하는 고분자 재료의 인장 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변형(%)〔횡축〕에 대하여 응력(MPa)〔종축〕을 플롯하여 얻어지는 응력-변형 곡선(Stress-strain curve)에서 파괴점까지의 곡선의 하부 면적으로서 정의된다. 터치 센서(40)를 구성하는 기판은, 상기 범위의 인성을 갖는 것이, 이 터치 센서(40)의 균열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oughness of the substrate is obtained from the stress-strain curve obtained by plotting the stress (MPa) [longitudinal axis] against the strain (%) [transverse axis] obtained through the tensile test of the polymer material constituting the substrate. It is defined as the lower area of the curve up to the breaking point.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cracking of the touch sensor 40 that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40 has the toughness in the above range.

감지 패턴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을 갖출 수 있다.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은 동일층에 형성되며, 터치되는 지점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The sensing pattern may have a first pattern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attern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and each pattern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sense a touched point.

제1 패턴은 각 단위 패턴이 이음매(joint)를 통해 상호 접속된 형태이다. 한편, 제2 패턴은 각 단위 패턴이 아일런드(island) 형태로 상호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브릿지 전극이 필요하다.The first pattern is a form in which each unit pattern is interconnected through a join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attern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unit pattern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n island form. Therefore, a separate bridge electrode is requi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pattern.

감지 패턴은 주지된 투명 전극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 산화물(IZO), 아연 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 카드뮴주석 산화물(CTO),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탄소 나노 튜브(CNT), 그래핀, 금속 와이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ITO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e sensing pattern, a well-known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can be applied. For exampl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zinc oxide (ZnO), indium zinc tin oxide (IZTO), cadmium tin oxide (CTO), PEDOT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carbon Nanotubes (CNT), graphene, and metal wires. Moreover,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o use ITO.

금속 와이어에 사용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은, 금, 알루미늄, 구리, 철, 니켈, 티탄, 테르늄, 크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metal used for the metal wi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ilver, gold, aluminum, copper, iron, nickel, titanium, ternium, and chromium. Moreover,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브릿지 전극은 감지 패턴의 상부에 절연층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상에 브릿지 전극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절연층 및 감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bridge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sensing pattern through an insulating layer. In addition, a bridge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n insulating layer and a sensing pattern may be formed thereon.

브릿지 전극은 감지 패턴과 같은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몰리브덴, 은, 알루미늄, 구리, 팔라듐, 금, 백금, 아연, 주석, 티탄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bridg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sensing patter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molybdenum, silver, aluminum, copper, palladium, gold, platinum, zinc, tin, titanium, or an alloy of two or more of them.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감지 패턴과 브릿지 전극의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은 제1 패턴의 이음매와 브릿지 전극의 사이에만 형성할 수 있으며, 감지 패턴을 덮는 층에 형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브릿지 전극은 절연층에 형성된 컨택트 홀을 통해 제2 패턴과 접속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must be electrically insulated,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between the sensing pattern and the bridge electrode. Th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nly between the seam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bridge electrode, or may be formed on the layer covering the sensing pattern. In the latter case, the bridg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attern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터치 센서(40)는, 패턴이 형성된 패턴 영역과,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패턴 영역 사이의 투과율의 차, 구체적으로는 이들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차에 의해서 유발되는 광투과율의 차를 적절히 보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판과 전극의 사이에 광학 조절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40 appropriately compensates for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a patterned region where a pattern is formed and a non-patterned region where no pattern is formed, specifically, a difference in light transmittance caused by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n these regions. As a means for compensating, an optical control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광학 조절층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조절층은, 광경화성 유기 바인더 및 용제를 포함하는 광경화 조성물을 기판 상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광경화 조성물은 무기 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입자에 의해서 광학 조절층의 굴절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The optical control layer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The optical control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a photo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a photocurable organic binder and a solvent on a substrate.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inorganic particle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control layer can be increased by the inorganic particles.

광경화성 유기 바인더는, 예컨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카르복실산계 단량체 등의 각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성 유기 바인더는, 예컨대 에폭시기 함유 반복 단위, 아크릴레이트 반복 단위, 카르복실산 반복 단위 등의 상호 다른 각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라도 좋다.The photocurable organic binder may include, for example, copolymers of respective monomers such as acrylate-based monomers, styrene-based monomers, and carboxylic acid-based monomers. The photocurable organic binder may be a copolymer containing each other repeating unit such as an epoxy group-containing repeating unit, an acrylate repeating unit, or a carboxylic acid repeating unit.

무기 입자는, 예컨대 지르코니아 입자, 티타니아 입자, 알루미나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 중합성 모노머, 경화 보조제 등의 각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organic particles may include, for example, zirconia particles, titania particles, alumina particles, and the like.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each additive such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polymerizable monomer, and a curing aid.

(접착제) (glue)

접착제로서는, 수계 접착제, 유기 용제계 접착제, 무용제계 접착제, 고체 접착제, 용제 휘산형 접착제, 습기 경화형 접착제, 가열 경화형 접착제, 혐기 경화형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경화제 혼합형 접착제, 열용융형 접착제, 감압형 접착제(점착제), 재습형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이 자주 이용된다. 또한,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상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dhesive include water-based adhesives, organic solvent-based adhesives, solvent-free adhesives, solid adhesives, solvent volatilization-type adhesives, moisture-curable adhesives, heat-curable adhesives, anaerobic-curable adhesives,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curing agent mixed adhesives, and hot-melt adhesives,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dhesives), rewet adhesives, and the like can be used. Among them, water-based adhesives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are frequently used. Moreover, what was mentioned above can be used as an aqueous adhesive and an active-energy-ray-curable adhesive.

(점착제) (adhesive)

점착제로서는, 주제(主劑) 폴리머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으로 분류되며,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에는, 주제 폴리머에 더하여, 가교제, 실란계 화합물, 이온성 화합물, 가교 촉매,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염료, 안료, 무기 필러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A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epending on the main polymer,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reth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main polymer, a crosslinking agent, a silane-based compound, an ionic compound, a crosslinking catalyst, an antioxidant, a tackifier, a plasticizer, a dye, a pigment, an inorganic filler, etc. may be ad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점착제를 구성하는 각 성분을 용제에 용해·분산시켜 점착제 조성물을 얻고, 이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층이 형성된다. 점착층은 직접 형성하여도 좋고, 기재에 형성한 것을 별도 전사할 수도 있다.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dissolved and dispersed in a solvent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drying after co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a substrate.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directly, or the one formed on the substrate may be transferred separately.

접착 전의 점착면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이형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점착층의 두께는 0.1∼5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300 ㎛이다. 점착제를 복수 층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층의 두께나 종류는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release film to cover the adhesive surface before adhesio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when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0.1 to 500 µm, and preferably 1 to 300 µm. When using multiple layers of an adhesive, the thickness or kind of each layer may be the same or may differ.

(차광 패턴) (Shading pattern)

차광 패턴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30)의 베젤 또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서 적용할 수 있다. 차광 패턴에 의해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30)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배선이 숨겨져 시인되기 어렵게 됨으로써 화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The light-shielding pattern can be applied as at least a part of the bezel or housing of the bendable display device 30. The wiring arranged in the periphery of the bendable display device 30 is hidden by the light-shielding pattern, making it difficult to visually recognize,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image.

차광 패턴은 단층 또는 복층의 형태라도 좋다. 차광 패턴의 컬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흑색, 백색, 금속색 등의 다양한 컬러를 갖는다. 차광 패턴은,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안료와, 아크릴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고분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다. The light shielding pattern may be in the form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color of the light shielding patter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has various colors such as black, white, and metallic. The light-shielding pattern may be formed of a pigment for realizing color, and a polymer such as acrylic resin, ester resin, epoxy resin, polyurethane, and silicone. Moreover, these can also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차광 패턴은 인쇄, 리소그래피, 잉크젯 등 각종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의 두께는 1 ㎛∼100 ㎛이며, 바람직하게는 2 ㎛∼50 ㎛이다. 또한, 광패턴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 등의 형상을 부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The light-shielding pattern can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rinting, lithography, and inkjet. The thickness of the light shielding pattern is 1 µm to 100 µm, and preferably 2 µm to 50 µm.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give a shape such as a slo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ptical pattern.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분명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by examples.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suitably as long as it does not change the summary.

[실시예 1] [Example 1]

(편광자의 제작) (Production of polarizer)

장척형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도비가 다른 롤 사이에서 6배로 일축 연신하여,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장척형의 편광자를 얻었다. 이 장척형의 편광자는 연신 후에 권취하여 권회체로 했다. 이 편광자의 색도는 직교 a=0.04, 직교 b=-0.11이며,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5% 정도이고,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7%였다. The long polyvinyl alcohol film was dy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then uniaxially stretched 6 times between rolls having different speed ratios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to obtain a long polarizer having an absorption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longated polarizer was wound after stretching to obtain a wound body. The chromaticity of this polarizer was orthogonal a=0.04, orthogonal b=-0.11, the polarizer's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was about 99.995%, and the polarizer's visibility correction corrected group transmittance was 42.7%.

(보호 필름) (Protective film)

보호 필름으로서, 장척형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두께 40 ㎛, 코니카미놀타사 제조, 상품명: KC4UYW)을 이용했다. 이 보호 필름은 권회체로서 준비했다. 또한, 이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 값 Re(550)는 5 nm이며,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 Rth(550)는 45 nm였다. As the protective film, a long triacetyl cellulose film (40 µm thick,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product name: KC4UYW) was used. This protective film was prepared as a wound body. Moreover,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e(550) of this protective film was 5 nm, and the retardation value Rth(550) in the thickness direction was 45 nm.

(λ/2판) (λ/2 edition)

λ/2판으로서,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및 배향막을 포함하는 필름을 이용했다. As the λ/2 plate, a film containing a layer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was cured and an alignment film was used.

(λ/4판) (λ/4 version)

λ/4판으로서,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및 배향막을 포함하는 필름을 이용했다. As the λ/4 plate, a film comprising a layer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was cured and an alignment film was used.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Ultraviolet curing adhesive)

이하의 성분을 혼합하고, 탈포하여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조정했다. 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mixed and defoamed to adjust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CEL2021P, 가부시키가이샤다이셀 제조): 70 질량부 3',4'-epoxycyclohexylmethyl 3,4-epoxycyclohexane carboxylate (trade name: CEL2021P, manufactured by Kadashi Chemical Co., Ltd.): 70 parts by mass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상품명: EX-211, 나가세켐텍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0 질량부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trade name: EX-211,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20 parts by mass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상품명: EX-121, 나가세켐텍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0 질량부 2-ethylhexylglycidyl ether (trade name: EX-121,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10 parts by mass

양이온 중합 개시제(상품명: CPI-100, 산아프로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고형분량 2.25 질량부(50%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으로서 배합했다)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trade name: CPI-100, manufactured by San Apro Co., Ltd.): 2.25 parts by mass of solid content (mixed as a 50% propylene carbonate solution)

1,4-디에톡시나프탈렌: 2 질량부 1,4-diethoxynaphthalene: 2 parts by mass

(원편광판의 제작) (Production of circular polarizing plate)

편광자, 보호 필름, λ/2판 및 λ/4판을 각각 200 mm× 300 mm로 잘라낸 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통해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맞붙였다. λ/2판과 λ/4판을 상기 자외선 경화형 UV 접착제(접착제층)를 통해 맞붙였다. 또한, λ/2판과 보호 필름을 아크릴계 점착제층(PSA층)을 통해 맞붙였다. λ/4판에 박리 필름 구비 아크릴계 점착제층(PSA층)을 접착했다. After cutting the polarizer, the protective film, the λ/2 plate, and the λ/4 plate to 200 mm×300 mm, respectively, a protective film wa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through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The [lambda]/2 plate and the [lambda]/4 plate were pasted through the UV curable UV adhesive (adhesive layer). In addition, the λ/2 plate and the protective film were pasted through an acrylic adhesive layer (PSA layer).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SA layer) with a release film was adhered to the λ/4 plate.

λ/2판은, 맞붙였을 때에, 그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75°의 각도(α)를 이루도록 배치했다. λ/4판은, 맞붙였을 때에, 그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15°의 각도(β)를 이루도록 배치했다. 또한, 편광자의 흡수축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했다.When the λ/2 plate was pasted, the slow axis was disposed so as to form an angle α of -7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When the λ/4 plate was pasted, the slow axis was arranged so as to form an angle β of -1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In additio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was arranged to be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상과 같이 하여 보호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 PSA층, λ/2판, UV 접착제층, λ/4판, PSA층이 순서로 적층된 원편광판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원편광판을 20 mm×80 mm의 사이즈로 트리밍했다.As described abov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in which a protective film, a polarizer, a protective film, a PSA layer, a λ/2 plate, a UV adhesive layer, a λ/4 plate, and a PSA layer were sequentially stacked. Then, the produced circular polarizing plate was trimmed to a size of 20 mm x 80 mm.

(평가용 샘플의 제작) (Preparation of evaluation samples)

실시예 1의 원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제거한 후, 점착제면을 알루미늄박(가부시키가이샤 UACJ 제조, 상품명 「마이호일(등록상표)」)의 마테의 면에 접착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After the release film was removed from the original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the adhesive side wa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mat of aluminum foil (manufactured by UACJ, trade name "My foil (registered trademark)") to obtain a sample for evaluation.

그 결과, 도 5(a)에 도시하는 경우와 같이, λ/2판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75°의 각도(α)를 이루고 있었다. λ/4판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15°의 각도(β)를 이루고 있었다. 원편광판의 굴곡 방향은, λ/4판의 지상축 방향에 대하여 0°의 각도를 이루고 있었다. 원편광판의 굴곡 시작선(L)은,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75°를 이루고 있었다. 이와 같이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에 관해서, 굴곡 후에 굴곡 상태를 해소한 상태(평평한 상태)에서, 색 변화 및 주름 발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a), the slow axis of the λ/2 plate formed an angle α of -7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The slow axis of the λ/4 plate had an angle β of -1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had an angle of 0° 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4 plate. The curved starting line L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as 7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Thus, a sample for evaluation was obtained. About the obtained sample for evaluation, the evaluation test of color change and wrinkle generation was performed in the state which canceled the bending state after bending (flat state).

(접착층 시험편의 온도 30℃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측정) (Measurement of storage modulus at a temperature of 30°C of the adhesive layer test piece)

우선, 두께 50 ㎛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한 면에, 도공기(바코터, 다이이치리카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λ/2판과 λ/4판을 접합하기 위해서 사용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고, 그 도공면에 추가로 두께 50 ㎛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적층시켰다. First, ultraviolet rays used to bond the λ/2 plate to the λ/4 plate using a coating machine (Bar Coater, manufactured by Daiichi Rika Co., Ltd.) on one side of a 50 µm-thick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film. A curable adhesive was coated, and a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was further laminated on the coated surface.

이어서, 퓨전 UV 시스템즈사 제조의 「H 벌브」에 의해, 적산 광량이 1500 mJ/㎠(UVB)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30 ㎛였다. 이것을 5 mm×30 mm의 크기로 재단하고, 양면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벗겨내어 접착제의 경화 필름을 얻었다. Subsequently,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was 1500 mJ/cm 2 (UVB) by "H bulb" manufactured by Fusion UV Systems, and the adhesive layer was cur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was 30 μm. This was cut to a size of 5 mm x 30 mm, and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film on both sides was peeled off to obtain a cured film of adhesive.

이 경화 필름을 그 긴 변이 인장 방향이 되도록, 아이티게이소쿠세이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동적 점탄성 측정장치 「DVA-220」를 이용하여, 그립핑 툴 간격 2 cm로 파지하고, 인장과 수축의 주파수를 10 Hz, 측정 온도를 30℃로 하여, 온도 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구했다. 접착층 시험편의 온도 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2060 MPa였다.This cured film was gripped at a gripping tool spacing of 2 cm using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DVA-220'' manufactured by Haiti Chemical Co., Ltd. so that its long side was in the tensile direction. Was 10 Hz and the measurement temperature was 30°C, and the storage modulus at the temperature of 30°C was determine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a temperature of 30°C of the adhesive layer test piece was 2060 MPa.

(평가 시험) (Evaluation test)

평가용 샘플을, 직경 5 mm의 맨드릴을 눌러 대어, λ/4판의 지상축 방향(0°)에 대하여 표시 장치(10)의 굴곡 방향이 0°의 각도가 되도록 맨드릴의 둘레면을 따라 원편광판이 알루미늄박에 대하여 외측(OUT)이 되도록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원편광판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여, 색 변화가 적은 것을「A」, 색 변화가 큰 것을 「B」로서 평가했다. 또한, 주름이 적은 것을 「A」, 주름이 많은 것을 「B」로서 평가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 The sample for evaluation is pressed against a mandrel having a diameter of 5 mm, and is circ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drel so that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is 0° 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direction (0°) of the λ/4 plate. The polarizing plate was bent to the outside (OUT) with respect to the aluminum foil. Then, after bending,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as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as "A" for small color change and "B" for large color change. In addition, those with little wrinkles were evaluated as "A" and those with many wrinkles as "B".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실시예 2] [Example 2]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와 같은 식의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평가용 샘플을, 맨드릴의 둘레면을 따라 원편광판이 알루미늄박에 대하여 내측(IN)이 되도록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 In Example 2, samples for evalu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ere prepared. Then, the sample for evaluation was bent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drel so that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became inside (IN) with respect to the aluminum foil. And after bending, the evaluation test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실시예 3] [Example 3]

실시예 3에서는, 도 5(b)에 도시하는 경우와 같이, 원편광판의 굴곡 방향이 λ/4판의 지상축 방향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고, 원편광판의 굴곡 시작선(L)이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15°를 이루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 In Example 3, as shown in FIG. 5(b),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orms an angle of 90° 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4 plate, and the bending starting line L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s A sample for evaluation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roduced except that -15° was formed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Then, this evaluation sample was b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And after bending, the evaluation test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의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평가용 샘플을, 맨드릴의 둘레면을 따라 원편광판이 알루미늄박에 대하여 내측(IN)이 되도록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 In Example 4, a sample for evaluation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3 was produced. Then, the sample for evaluation was bent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drel so that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became inside (IN) with respect to the aluminum foil. And after bending, the evaluation test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에서는, 원편광판의 굴곡 방향이 λ/4판의 지상축 방향에 대하여 60°의 각도를 이루고, 원편광판의 굴곡 시작선(L)이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45°를 이루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orms an angle of 60° 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4 plate, and the bending starting line L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orms -4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Except for that, samples for evalu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ere produced. Then, this evaluation sample was b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And after bending, the evaluation test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2에서는, 원편광판의 굴곡 방향이 λ/4판의 지상축 방향에 대하여 -30°의 각도를 이루고, 원편광판의 굴곡 시작선(L)이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45°를 이루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orms an angle of -30° 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λ/4 plate, and the bending starting line L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orms 4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Except for that, samples for evalu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ere produced. Then, this evaluation sample was b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And after bending, the evaluation test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3에서는, λ/2판과 λ/4판을 점착층을 통해 맞붙인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식의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 In Comparative Example 3, a sample for evalu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produced except that the λ/2 plate and the λ/4 plate were pasted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n, this evaluation sample was b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And after bending, the evaluation test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4에서는, λ/2판과 λ/4판을 점착층을 통해 맞붙인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같은 식의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 In Comparative Example 4, a sample for evalu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2 was produced except that the λ/2 plate and the λ/4 plate were pasted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n, this evaluation sample was b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And after bending, the evaluation test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비교예 5] [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5에서는, 비교예 1과 같은 식의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평가용 샘플을, 맨드릴의 둘레면을 따라 원편광판이 알루미늄박에 대하여 내측(IN)이 되도록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 후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은,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았다.In Comparative Example 5, a sample for evaluation of the same formula as Comparative Example 1 was produced. Then, the sample for evaluation was bent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drel so that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became inside (IN) with respect to the aluminum foil. And after bending, the evaluation test of the same formula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id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평가] [evaluation]

표 1로부터 분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의하면, 비교예 1∼5와 비교하여, 굴곡 부분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상(색감) 변화 및 주름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모두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As is clear from Table 1,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1 to 5, good results were obtained with respect to changes in color (color) of reflected light and presence or absence of wrinkles in the curved portion. Was obtained.

1…원편광판
2…편광자
RF…위상차층
3…λ/2판(1/2 파장판층)
4…λ/4판(1/4 파장판)
5, 6…보호 필름(보호층)
7…PSA층(점착층)
8…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
9…PSA층(점착층)
10…표시 장치
20…표시 패널
30…표시 장치
40…터치 센서
50…윈도우 필름
200…유기 EL 소자
210…기판
220…제1 전극
230…유기 EL층
240…제2 전극
250…밀봉층.
One… Circular polarizer
2… Polarizer
RF... Retardation layer
3… λ/2 plate (1/2 wave plate layer)
4… λ/4 plate (1/4 wave plate)
5, 6… Protective film (protective layer)
7… PSA layer (adhesive layer)
8…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9… PSA layer (adhesive layer)
10… Display device
20… Display panel
30… Display device
40… Touch sensor
50… Window film
200… Organic EL device
210… Board
220… First electrode
230… Organic EL layer
240… Second electrode
250… Sealing layer.

Claims (7)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원편광판으로서,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에 배치된 위상차층을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 이상이며,
상기 위상차층은 1/2 파장판과 1/4 파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1/2 파장판 및 상기 1/4 파장판은 각각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며,
상기 1/4 파장판의 지상축(遲相軸) 방향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을 양으로 하여 -20°∼20°의 범위에 있고, 또한 상기 1/4 파장판의 지상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이 80°∼100° 또는 -10°∼1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A circular polarizing plate used in a bendable display device,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The polarizer's visibility correction group transmittance is 42% or more,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half wave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The 1/2 wavelength plate and the 1/4 wavelength plate each include a layer cured by a liquid crystal compound,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quarter wave plate is in the range of -20° to 20° with a positiv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 circular polariz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is set in a range of 80° to 100° or -10° to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2 파장판과 상기 1/4 파장판이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1/2 wave plate and the 1/4 wave plate are adhered through an adhesive lay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굴곡 전후에 얻어지는 반사광의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before and after ben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 does not change with the a * coordinate axis and the b * coordinate axis in the a * b * chromaticity coordinat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ircular polarizing plate made with.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원편광판과 굴곡 가능한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A ben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bendable display pan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와,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윈도우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The touch sensor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sid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acing the display panel;
And a window film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opposite to the display panel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The bendable display device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acing the display panel.
KR1020207012616A 2017-11-10 2018-11-09 Circular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KR1026680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7106 2017-11-10
JP2017217106 2017-11-10
JP2018201205A JP6589033B2 (en) 2017-11-10 2018-10-25 Display device
JPJP-P-2018-201205 2018-10-25
PCT/JP2018/041757 WO2019093501A1 (en) 2017-11-10 2018-11-09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666A true KR20200086666A (en) 2020-07-17
KR102668003B1 KR102668003B1 (en) 2024-05-2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8300A (en) 2011-07-01 2016-09-01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ed internet protocol (ip) traffic offload (sipto) and local ip access (lipa) mo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8300A (en) 2011-07-01 2016-09-01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ed internet protocol (ip) traffic offload (sipto) and local ip access (lipa) mo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95604A (en) 2020-06-16
JP2019215582A (en) 2019-12-19
TWI767086B (en) 2022-06-11
JP2019091022A (en) 2019-06-13
JP6589033B2 (en) 2019-10-09
TW201929281A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5682B2 (en) Circular polarizer
JP6589033B2 (en) Display device
KR20200085755A (en) Circular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WO2019093474A1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KR20210049798A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20024364A (en) Optical laminate
WO2020121965A1 (en)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16212443A (en) Optical film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196575A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optical laminate, image display panel using them,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20088414A (en)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WO2019093501A1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20118989A (en) Optical film
KR102668003B1 (en) Circular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WO2019093476A1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7205202B2 (en) LAMINATED BODY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21196576A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optical laminate, image display panel using them,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20121964A1 (en) Stacked body, and image display device employing same
KR20230057284A (en) Laminate and display device
CN113341493A (en)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