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420A - 캡슐 내시경 - Google Patents

캡슐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420A
KR20200086420A KR1020190002532A KR20190002532A KR20200086420A KR 20200086420 A KR20200086420 A KR 20200086420A KR 1020190002532 A KR1020190002532 A KR 1020190002532A KR 20190002532 A KR20190002532 A KR 20190002532A KR 20200086420 A KR20200086420 A KR 20200086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ndoscope
endoscope
outer skin
small intest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리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리안
Priority to KR102019000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420A/ko
Publication of KR2020008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피의 성분을 식용으로 구성하고 그 성분에서 향기가 나도록 구성함으로서 동물 및 피검사자가 거부감 없이 시술할 수 있는 캡슐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소장에 도달하기 이전에 외피가 녹아 사라지도록 구성하여 소장부터 대장을 거처 직장까지 장기의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로 송출하여 내시경을 차질 없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캡슐 내시경 {capsule endoscope}
본 발명은 동물의 장 검사를 위해 섭취 가능한 물질을 캡슐내시경을 포장하여 동물 혹은 피검사자의 캡슐 내시경 시행 불폄함을 줄이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검진의 확대와 함께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위 내시경 및 대장 내시경의 검사가 빈번히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은 위장, 대장 등의 소화계통을 영상 촬영하기 위한 의료기기이다. 이러한 내시경의 관심도 증가와 함께 위장과 대장 사이에 있는 소장 내시경에 대한 관심도 증대 되고 있으나 삽입관의 한계로 인하여 캡슐 내시경이 사용되고 있다.
동물 혹은 피검사자가 캡슐 내시경이 구경을 통해 위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를 삼켜야 하는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를 통해 가정 등에서 자가 캡슐 내시경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캡슐 내시경을 시행함에 있어 복용자가 캡슐 내시경을 받아 들이는데 거부감을 줄여 캡슐 내시경 시행을 용이하게 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기반 동물용 캡슐 내시경 기술은, 캡슐 내시경의 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 본체와 이를 감싸는 물질로 구성된다. 감싸는 식용 물질은 사료 기반으로 구성되어 체내에 들어가서 흡수가 되며 이후 부터 캡슐 내시경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감싸는 식용 물질로 인하여 복용자의 거부감을 줄이고 가미된 향을 통해서 무지한 상태에서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여 측정이 가능하며 캡슐 내시경을 통해서 복용자의 건강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용 외피로 싸여진 캡슐 내시경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캡슐 내시경이 위장을 통과한 후 소장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캡슐 내시경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식용 외피로 감싸진 캡슐 내시경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시경은, 식도로 부터 위장을 거쳐 소장, 대장 등의 소화계통을 촬영하는 것으로 장운동을 동력으로 하여 직장까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슐 내시경은 소화계통 촬영을 위한 본체부(103)와 촬용과 동시에 외부로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04) 그리고 외부와의 통신채널 형성을 위한 전극부(102)로 구성이 되며,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101)로 구성이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103)에는 배터리 모듈을 비롯 하여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 있으며 제어 유닛을 통해 내시경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통신부(104)에는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 보안 및 관리를 수행하며, 장기조직(106)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을 하여 촬영 중 원활한 영상 송출이 될 수 있는 전극부(102)로 구성이 된다. 외피(101)는 소화 기관에서 소화가 되는 얇은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피(101)에는 향기를 유발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피시험자의 거부감을 줄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장에 도달한 캡슐 내시경은 외피가 벗겨진 형태로 캡슐 내시경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부(103), 통신부(104) 및 전극부(102)만이 남아 소화 장기를 통과하며 역할을 수행한다.
101 : 외피
102 : 전극부
103 : 본체부
104 : 통신부
105 : 향기물질
106 : 장기조직

Claims (2)

  1. 인채 무해한 물질로 구성되어 소화액에 의해 자연 흡수 될 수 있도록 캡슐 내시경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 및
    상기 캡슐 내시경에서 영상 촬영 및 제어를 시행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체 내에서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전극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내시경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 내에 포함된 특정 향기가 발생하는 물질
KR1020190002532A 2019-01-09 2019-01-09 캡슐 내시경 KR20200086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32A KR20200086420A (ko) 2019-01-09 2019-01-09 캡슐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32A KR20200086420A (ko) 2019-01-09 2019-01-09 캡슐 내시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20A true KR20200086420A (ko) 2020-07-17

Family

ID=7183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532A KR20200086420A (ko) 2019-01-09 2019-01-09 캡슐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4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ng et al. Wireless endoscopy
JP3993546B2 (ja)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無線型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JP4329394B2 (ja) 小型撮影装置
JP5873230B2 (ja) 生体内撮像デバイスおよび生体内撮像デバイスの作動方法
US20050158246A1 (en) Capsule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medication administration method
US20080177141A1 (en) Memory-type two-section endoscopic system
EA010776B1 (ru) Медицинская беспроводная эндоскоп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капсульного типа
JP2005073886A (ja)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無線型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JP2001137182A (ja) 医療用カプセル内視鏡
CN102302356B (zh) 胶囊内镜诊疗系统的控制方法
WO2005087079A1 (ja) 被検体内導入装置
JP5284846B2 (ja) 生体内観察システム、該生体内観察システムの作動方法
JP2003135387A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2003210393A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2005143560A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KR20200086420A (ko) 캡슐 내시경
JP2005021516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
KR102388737B1 (ko) 캡슐 내시경
Kim et al. Micro capsule endoscope for gastro intestinal tract
US20060173361A1 (en) Endoscopy capsule with site marking capability and application of the same
JP2006102361A (ja) 体内医療装置
JP2006239439A (ja) カプセル型内視鏡
CN213216825U (zh) 一种医用内窥镜连接结构
JP4937874B2 (ja) 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US20080103359A1 (en) Capsule-type endoscopic system with real-time image 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