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234A -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234A
KR20200086234A KR1020200002816A KR20200002816A KR20200086234A KR 20200086234 A KR20200086234 A KR 20200086234A KR 1020200002816 A KR1020200002816 A KR 1020200002816A KR 20200002816 A KR20200002816 A KR 20200002816A KR 20200086234 A KR20200086234 A KR 2020008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signals
receiving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ublication of KR2020008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생체에서 생체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고 이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를 출력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기계장치에는 인체나 다른 동물등의 주요 기관인 뇌와 귀, 눈, 팔, 다리, 손, 발, 날개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출력수단에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송수신된 생체전기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포함되는 것이며
출력수단에서 생체전기신호의 시각신호는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의 뇌의 1차시각령에는 다수의 시각관계령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어떤 부위가 망막의 어느 부분에서 입력을 받았는가에 대해서는 정확히 결정되어 있다. 이것을 망막부위복원 혹은 시야대응 시각령지도(visual map)라고 하는데 시각령 지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실제 눈앞의 장면과 같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를 형성하여 생체전기신호의 시각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드는 대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와 동일하게 컴퓨터에서 송수신 되도록 하게 하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에서 출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컴퓨터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방법{Bionic signal Wireless Transceiver and Method}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전기신호의 유선에 의한 송수신 방법은 뇌파측정기라던가 심전도 측정기와 뇌에 전자칩을 이식해서 뇌에서 신체에 내리는 명령을 도청하는 원리로 감지하여 전자칩에서 전기신호로 신체에 내리는 명령에 따라서 또는 신체에 전기신호를 보낼 수 있는 밴드를 부착하여 전자기 유도현상과 같은 원리로 신체 부위에 있는 신경세포에 직접 전기신호를 보내어서 신체 부위를 뇌의 명령대로 움직이게 하는 기술등이 개발되어 있다.
이에서 본 발명은 생체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대상을 생체가 아닌 기계장치에 생체 신호를 보내고 기계장치에서 다시 생체에 송신하는 것이 기술분야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진폭변조와 같은 변조기술이나 증폭기술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체전기신호를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과
생체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생체가 아닌 기계장치와 이 기계장치에 의하여 생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생체 전기신호중에서 심장의 전기 신호는 3m 밖에서도 무선으로 감지가 가능하다고 하며 또한
진폭 변조(AM)와 같이 트랜지스터 변조기나 링 변조기와 같이 신호파에 반송파를 상호작용시키면 변조파가 생성되는 것과 같이
생체 전기에서 생성되는 신호파에 생체신호와 거의 같은 주파수의 5배정도의 정현파를 넣으면 신호파를 증폭시켜서 생체전기신호를 무선 송수신시킬 수 있게 된다고 한다.
뇌파측정기도 전극을 두피에 부착시키면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서 신호파가 생체전기의 이온의 흐름이 아닌 전자의 흐름으로 나타나게 되어 신호파를 증폭시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게 되듯이
생체전기신호를 송신하면 기계장치가 수신하고 이 기계장치에 의하여 생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은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고 이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를 출력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과제의 해결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뇌파의 무선 송수신을 수신하는 기계장치를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어서 주파수에 따라서 특정인의 뇌파를 무선으로 수신 받아서 특정인의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실시간으로 기계장치를 통하여 tv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 또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링 변조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링 변조기의 회로도로서 변조신호 즉 신호파가 반송파와의 상호작용으로 변조파가 생성이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생체간 생체 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이 되려면 생체에 직접 반송파를 조사하여 생체전기신호를 변조시키는 것외에는 대안이 없을텐데
링 변조기와 같이 신호파에 반송파를 상호작용시키면 변조파가 생성되는 것과 같이
생체 전기에서 생성되는 신호파에 반송파를 상호작용시키면 동일한 원리로 변조파가 생성되는데
반송파를 생체의 외측에 상호작용시키면 생체의 신호파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서 링변조기와 같이 변조파가 생성되게 된다.
그러면 반송파의 주파수가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는 실험에 의해서 알 수 밖에 없는데 이 반송파를 생체에 조사하여 이를 변조파로 만들어서 변조파를 수신하여 신호파로 복조하여 신호파를 증폭시켜서 신호파를 출력시키는 것에 대해서
생체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의 정현파를 조사하여 신호파를 증폭시켜서 생체전기신호를 무선 송수신키거나 생체신호와 거의 같은 주파수의 5배정도의 정현파를 넣는 것이 대안이 될 수가 있다.
이에서
수신된 증폭된 신호파를 수신하는 중계기에서 다른 생체에 송신하게 되어 생체간의 무선 송수신이 되게 하는 것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도로서
생체에서 생체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고 이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를 출력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기계장치에는 인체나 다른 동물등의 주요 기관인 뇌와 귀, 눈, 팔, 다리, 손, 발, 날개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출력수단에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송수신된 생체전기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포함되는 것이며
출력수단에서 생체전기신호의 시각신호는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의 뇌의 1차시각령에는 다수의 시각관계령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어떤 부위가 망막의 어느 부분에서 입력을 받았는가에 대해서는 정확히 결정되어 있다. 이것을 망막부위복원 혹은 시야대응 시각령지도(visual map)라고 하는데 시각령 지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실제 눈앞의 장면과 같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를 형성하여 생체전기신호의 시각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드는 대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와 동일하게 컴퓨터에서 송수신 되도록 하게 하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에서 출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컴퓨터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를 더 포함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서
출력수단에서 생체전기신호의 청각신호는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의 청각신호를 이 음파로 귀에 전달이 될 때에 음파의 소밀의 정도와 고막 청소골 와우관을 거쳐 신경세포를 통하여 일차 청각피질로 전달되기까지의 신호파를 출력하여 스피커로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고 이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를 출력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 생체와의 무선 송수신 시에 주파수를 수동으로 일치시키거나 자동으로 일치시키는 장치가 더 포함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과 장치이다.
1 : 변조신호(신호파)
2 : 반송파
3 : 변조파
5 : 생체
10 : 중계기
11 : 시신경
15 : 시각피질
20 : 디스플레이
21 : 1차 청각피질까지의 신경세포
22 : 스피커
23 : 출력

Claims (19)

  1. 생체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의 정현파를 조사하여 신호파를 증폭시켜서 생체전기신호를 무선 송수신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방법.
  2. 제 1항에서 생체신호와 거의 같은 주파수의 5배정도의 정현파를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방법.
  3. 제 2항에서 수신된 증폭된 신호파를 중계기에서 다른 생체에 송신하게 되어 생체간의 무선 송수신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
  4.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고 이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를 출력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
  5. 제 4항의 기계장치에는 인체나 다른 동물등의 주요 기관인 뇌와 귀, 눈, 팔, 다리, 손, 발, 날개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
  6. 제 4항의 출력수단에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송수신된 생체전기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
  7. 제 4항의 출력수단에서 생체전기신호의 시각신호는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의 뇌의 1차시각령에는 다수의 시각관계령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어떤 부위가 망막의 어느 부분에서 입력을 받았는가에 대해서는 정확히 결정되어 있다. 이것을 망막부위복원 혹은 시야대응 시각령지도(visual map)라고 하는데 시각령 지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실제 눈앞의 장면과 같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를 형성하여 생체전기신호의 시각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의 출력장치.
  8. 제 4항의 출력수단에서 생체전기신호의 청각신호는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의 청각신호를 이 음파로 귀에 전달이 될 때에 음파의 소밀의 정도와 고막 청소골 와우관을 거쳐 신경세포를 통하여 일차 청각피질로 전달되기까지의 신호파를 출력하여 스피커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의 출력장치.
  9.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고 이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를 출력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
  10. 제 9항의 기계장치에는 인체나 다른 동물등의 주요 기관인 뇌와 귀, 눈, 팔, 다리, 손, 발, 날개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
  11. 제 9항의 출력수단에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송수신된 생체전기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
  12. 제 9항의 출력수단에서 생체전기신호의 시각신호는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의 뇌의 1차시각령에는 다수의 시각관계령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어떤 부위가 망막의 어느 부분에서 입력을 받았는가에 대해서는 정확히 결정되어 있다. 이것을 망막부위복원 혹은 시야대응 시각령지도(visual map)라고 하는데 시각령 지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실제 눈앞의 장면과 같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를 형성하여 생체전기신호의 시각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의 출력방법.
  13. 제 9항의 출력수단에서 생체전기신호의 청각신호는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의 청각신호를 이 음파로 귀에 전달이 될 때에 음파의 소밀의 정도와 고막 청소골 와우관을 거쳐 신경세포를 통하여 일차 청각피질로 전달되기까지의 신호파를 출력하여 스피커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의 출력방법.
  14.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고 이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를 출력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 생체와의 무선 송수신 시에 주파수를 수동으로 일치시키거나 자동으로 일치시키는 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
  15.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들고 이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를 출력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에서 생체와의 무선 송수신 시에 주파수를 수동으로 일치시키거나 자동으로 일치시키는 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
  16. 제 4항에 있어서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드는 대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와 동일하게 컴퓨터에서 송수신 되도록 하게 하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에서 출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컴퓨터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
  17.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드는 대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와 동일하게 컴퓨터에서 송수신 되도록 하게 하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에서 출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컴퓨터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
  18. 제 9항에 있어서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드는 대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와 동일하게 컴퓨터에서 송수신 되도록 하게 하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에서 출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컴퓨터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
  19. 제 9항에 있어서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생체 또는 생체의 일부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를 만드는 대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와 동일하게 컴퓨터에서 송수신 되도록 하게 하고
    생체 전기신호와 거의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이 가능한 거의 동일한 구조의 기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파에서 출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컴퓨터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청각신호와 시각신호와 기타 생체신호를 각 각의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 스피커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 생체와의 무선 송수신 시에 주파수를 수동으로 일치시키거나 자동으로 일치시키는 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 방법.
KR1020200002816A 2019-01-08 2020-01-08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202000862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09 2019-01-08
KR20190000109 2019-01-08
KR2020190000166 2019-01-12
KR20190000166 2019-01-12
KR20190003297 2019-08-08
KR2020190003297 2019-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234A true KR20200086234A (ko) 2020-07-16

Family

ID=7152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16A KR20200086234A (ko) 2019-01-08 2020-01-08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6234A (ko)
WO (2) WO2020145670A2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79549B2 (en) * 1999-09-15 2005-01-27 Gr Intellectual Reserve, Llc Biometric recognition utilizing unique energy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organism
KR102361026B1 (ko) * 2014-11-20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 장치
KR101737930B1 (ko) * 2015-11-24 2017-05-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군집활동 연구를 위한 뇌파 분석 및 시각화 장치 및 방법
KR20170122305A (ko) * 2016-04-22 2017-1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및 생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31146A (ko) * 2016-05-21 2017-11-29 이정용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670A2 (ko) 2020-07-16
WO2020145806A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5257B2 (en) Hearing assistance device with brain computer interface
US9700261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electrodes for picking up brain wave signals
CN104905909B (zh) 双侧助听系统及验配双侧助听系统的方法
US94080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lectroacoustic stimulation using an off-the-ear sound processor module
EP29117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ound localization by a bilateral cochlear implant patient
US11691000B2 (en) Bone conduction apparatus having tens therapy function
KR20200086234A (ko) 생체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방법
Verhaert et al. Transient and steady state auditory responses with direct acoustic cochlear stimulation
JP7050056B2 (ja) 神経インターフェースへのコネクタを有する頭部装着型ユニット
McBride et al.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Research progress and directions
US20190321655A1 (en) Near infrared light in hearing aid appliances
EP3409319B1 (en) System for neural hearing stimulation integrated with a pair of glasses
WO2021245882A1 (ja) ワイヤレスイヤホン
US20230226351A1 (en) Surgical healing monitoring
US20230089767A1 (en) Enhancing auditory percepts with vestibular simulation
Eke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mproved Digital Hearing Aid
CA2938690C (en) 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ording auditory steady-state responses with a speech-like stimulus
JP2022087062A (ja) スペクトル時間変調テストユニット
WO2024023676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stimulus for tinnitus therapy
CN117203983A (zh) 听力系统适配
Van Yper Central auditory nervous system integrating capacities of simultaneous acoustic and electric stimulation: an electrophysiological approach
Keen Intensity perception in monaural and in binaural hearing
JPH0780070A (ja) Fmθ誘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