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208A -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208A
KR20200086208A KR1020190117866A KR20190117866A KR20200086208A KR 20200086208 A KR20200086208 A KR 20200086208A KR 1020190117866 A KR1020190117866 A KR 1020190117866A KR 20190117866 A KR20190117866 A KR 20190117866A KR 20200086208 A KR20200086208 A KR 2020008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anbok
cultural
produc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희
Original Assignee
이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희 filed Critical 이남희
Publication of KR2020008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208A/ko
Priority to KR102021015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3Transfer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7/00Dyeing or printing processes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복 원단을 이용하여 전통 바느질 기법에 의해 제조된 창작 한복 원단을 데이터화하여 원단에 선명한 상태로 실사 출력하고 이를 문화 상품으로 제조함으로써 예술성과 작품성이 뛰어난 고가의 창작 제품을 이용하여 일반 소비자가 부담없이 접할 수 있도록 한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화상품은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써, 예술성과 작품성이 뛰어난 고가의 창작 문화 제품을 대중화, 저렴화, 대량생산, 공정의 단순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제품의 완성도 측면에 있어서 실선의 형태, 색감이 선명하고, 뚜렸하여 마치 실제로 생생하게 창작 문화 상품을 접하는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관찰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Cultural products using Korean clothes and traditional sewing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복 원단을 이용하여 전통 바느질 기법에 의해 제조된 창작 한복 원단을 데이터화하여 원단에 선명한 상태로 실사 출력하고 이를 문화 상품으로 제조함으로써 예술성과 작품성이 뛰어난 고가의 창작 제품을 이용하여 일반 소비자가 부담없이 접할 수 있도록 한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오늘날 세계는 각 나라가 국경의 개념 없이 자유롭게 교류하고 있다. 문화선진국들은 자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바탕으로 한 상품을 개발하여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첨단 제품과 문화적 가치를 담은 문화 상품에 대한 선호도 또한 증가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은 정보화 사회의 진전으로 인해 각 나라의 국민들의 문화 감수성이 높아지고, 문화적 가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와 한류열풍으로 인해 세계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어 이에 즈음하여 우리나라만의 장점을 널리 알릴 수 있는 문화상품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바느질을 이용하여 심미적 또는 기타 품격을 표현하기 위하여 제조되는 패션 문화 상품으로는 한복, 보자기 또는 조각보를 포함하는 규방 공예품을 예로 들 수 있다.
한복은 세계적으로 그 아름다움을 주목받고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의상으로 한복의 제작에 사용되는 섬유로는 실크, 모시, 합섬섬유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복은 수십년전만 하더라도 외출복이나 예복 뿐만 아니라 평상복으로도 착용하였으나, 착용방법이 복잡하고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으로 인해 주로 평상복보다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명절, 경사, 상례, 제례 등에서 예복으로 주로 착용한다.
보자기는 예로부터 물건을 싸거나 덮기 위해 사용된 헝겊이나 종이로 만든 생활용품이다. 가장 대표적으로 그 종류와 문양을 보면 조각보와 수보가 있는데, 보자기에 한 땀 한 땀 수를 놓음으로써 정성 어린 마음을 담는 행위의 반복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이렇게 정성 들인 보자기에 물건을 담는 것은 복(福)을 싸두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특히 수보자기는 주로 혼례와 같은 길사에만 사용되었는데, 문양으로는 나무와 꽃이 가장 많고 나아가 학, 봉황, 공작 등의 길조와 나비, 풀벌레 등이 있다. 보자기는 본래 단순한 실용도구에만 그치지 않고 종교적 염원과 바램을 위한 주술적 도구이자 예절과 격식을 갖추기 위한 의례용 도구이기도 하며, 요즘에도 선물을 보낼 때 선물에는 보내는 사람의 마음까지 담아 보냈던 것처럼 보자기라는 물건은 운반을 위한 수단이자 동시에 마음의 도구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전통 조각보는 그 면 구성 자체에서 보여주는 전통미와 더불어 느껴지는 현대적인 곡선과 직선, 그리고 다채로운 색감의 조화가 주목할만한 점이며 우리나라의 문화를 알리고 더불어 수익성까지 연결시키려는 노력과 시도를 구체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각보 모티브는 현대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여 재창조될 수 있기에 명품 패션문화상품으로써 무한한 가능성과 충분한 상품가치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한복이나 보자기 또는 조각보를 포함한 고유의 전통 바느질 제품을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명품화하려는 노력은 상당히 미미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12695호(2012년01월30일)
본 발명자는 20여년 넘게 한복을 포함하는 바느질 제품들을 제작하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다양한 브랜드가 없다는 현실을 염두에 두고 문화 상품에 대하여 우리나라 전통문화에서 모티프를 얻어 재해석하는 작업을 지금까지 해 오던 중,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창작성이 높은 한복 원단 작품을 선명하게 실사출력하여 제조하여 문화 상품을 제조해본 결과 선명한 바느질 실선들의 특징들을 그대로 살려서 작품의 품격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어서 작품의 완성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일반 소비자들이 부담없이 접근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생활에 접목할 수 있다는 기능성과 작품 품격에 따른 심미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한복 원단으로 이루어진 문화 상품을 품격 높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전통적인 느낌을 제공하는 패션문화 상품 제작을 통해서 대중적이며 현대적인 문화상품의 활성화로 기존의 제품과는 달리 DTP(Digital Textile Printing) 나염 방식과 패치워크 방식 등 면구성의 표현에 차별화를 두고 고부가가치의 토털 코디네이션 개념의 패션문화상품을 제작으로 21세기의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 방향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a) 한복 작품을 바느질 기법에 의해 제작하는 단계;
(b) 한복 작품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
(b) 촬영된 한복 작품에 관한 데이터를 전사 프린트 용지에 출력하는 단계;
(d) 재단된 원단을 저면에 위치시키고, 출력된 전사지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e) 전사지의 상부에서 열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
(f) 전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g) 건조된 원단을 가공하여 한복 원단을 제작하는 단계;
(h) 한복 원단을 일정한 크기 및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i) 재단된 원단을 이용하여 문화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j) 가장자리를 공그르기 바느질에 의해 사뜨기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한복 작품을 제작하는 단계 및 (i) 문화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바느질 기법으로써 홈질 기법, 감침질 기법 또는 공그루기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문화 상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화상품은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써, 예술성과 작품성이 뛰어난 고가의 창작 문화 제품을 대중화, 저렴화, 대량생산, 공정의 단순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제품의 완성도 측면에 있어서 실선의 형태, 색감이 선명하고, 뚜렸하여 마치 실제로 생생하게 창작 문화 상품을 접하는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관찰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각보 원단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쿠션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이불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채 커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손지갑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차받침대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a) 한복 작품을 바느질 기법에 의해 제작하는 단계;
(b) 한복 작품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
(b) 촬영된 한복 작품에 관한 데이터를 전사 프린트 용지에 출력하는 단계;
(d) 재단된 원단을 저면에 위치시키고, 출력된 전사지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e) 전사지의 상부에서 열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
(f) 전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g) 건조된 원단을 가공하여 한복 원단을 제작하는 단계;
(h) 한복 원단을 일정한 크기 및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i) 재단된 원단을 이용하여 문화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j) 가장자리를 공그르기 바느질에 의해 사뜨기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한복 작품을 제작하는 단계 및 (i) 문화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바느질 기법으로써 홈질 기법, 감침질 기법 또는 공그루기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방법에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문화 상품"이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전통문화적 특징들을 반영하고 배색들이 조화를 이루어서 제작된 예술적 품격을 가진 상품을 의미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각보를 이용한 원단으로 만든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복 원단을 이용한 창작 작품이 반영된 지갑, 가방, 복주머니, 벼개, 침구류, 커튼, 방석, 매트, 쿠션, 식탁보, 찻잔 받침대, 인테리어 용품 또는 다양한 물품의 커버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한복 원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한국의 전통적인 의상인 한복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단을 포함하는데, 특히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한복 원단 이나 조각보로 이루어진 한복 원단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각보 원단의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쿠션의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이불의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채 커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손지갑의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차받침대의 사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방법은 한복 작품 제작 단계, 디지털 카메라 촬영 단계, 전사프린트 용지 출력 단계, 원단 정렬 단계, 가압 단계, 건조 단계, 원단 가공 단계, 원단 재단 단계, 문화 상품 제조 단계 및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각 개별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한복 작품 제작 단계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창작 한복 작품을 제작한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창작 한복 작품은 한국의 전통적인 의상인 한복의 제조에 사용되는 문양이나 원단을 이용하고, 특히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한복 원단이나 조각보로 이루어진 한복 원단이나 천 조각을 이용하여 바느질 수작업에 의해 전통적인 배색 방법을 감안하여 예술성과 품격있는 창작 한복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창작 한복 작품은 완전한 의류의 형태를 지닌 것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통 배색을 이용하여 한복 또는 그의 일부에 대한 심미감 또는 전통적인 색채 배합의 심미감이 있는 것 또는 조각보나 보자기 등을 활용한 것들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작 한복 작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바느질 기법으로써 홈질 기법, 감침질 기법 또는 공그루기 기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통적이고도 배색의 조화를 이룸으로써 품격을 지닌 조각보 모티브는 수작업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특히 전통적인 바느질인 감침질을 이용함으로써 작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나 이러한 작품 활동은 기계나 재봉틀로는 구현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국의 전통 문양이 새겨진 매우 럭셔리한 형태의 문화상품이 제공될 수 있으며, 보자기 천 위에 '복(福)'이나 '수(壽)' 등의 글을 넣어 행복과 장수를 비는 주술적 소망을 담기도 하고 십장생, 봉황, 용 등과 같은 여러가지 색채와 문양도 넣은 것도 제공될 수 있다.
화려한 문양과 그 안에 들어있을 무수한 이야기와 명절 날 고향집에 대한 추억이 기억나게 하거나 물건의 형태에 따라 자유자재로 모양이 바뀌는 보자기에서 모든 것을 품어주던 어머니의 넉넉한 인심을 떠올릴 수도 있다.
조선 시대 유교의 영향 아래 예(藝)의 관념은 인간적 감각이나 감정을 멀리하게 했으며, 음양오행설에 기초한 우주관은 일반 민중의 생활양식이나 색채까지 규정했다. 따라서 전통자수는 수놓는 이의 감정을 표현하기보다 관습에 따른 관념과 상징성을 형상화하는 방식을 중시하게 됐다.
장신구는 몸치장을 위해 쓰는 패물로, 한복이나 신체에 붙이는 장식품이며 한복을 보다 아름답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장신구의 기능은 미적 의식을 나타내는 장식적 기능, 악을 물리치는 주술적 기능, 부와 권력을 표시하는 신분 표시적 기능이 있다. 여성 노리개의 재료는 이러한 성격이 잘 담겨 있다. 옥나비 한 쌍은 부부 해로의 의미가, 비취는 장수를 상징하고, 포도송이는 자손의 우애, 은침통은 병과 우환을 없애준다고 믿었다. 이렇게 장신구에는 인간의 공통적인 바람이 표현돼있으며, 그것은 의복과의 조화를 통해 여성의 감추어진 내면을 추구하는 예술로 전승됐다.
오방색이라고 불리는 황, 청, 백, 적, 흑 5가지의 색조로 이루어지는 한복의 색에는 여러 가지 상징적 의미들이 담겨 있다. 잡귀를 물리치는 벽사의 의미부터 나이, 혼인 여부, 출산에 대한 표식 말고도 계급의 표시까지 다양하다. 삼국시대에는 자주색이 가장 귀한 색으로 여겨졌다. 백제에서는 붉은 흙빛의 자색과 엷은 청색의 비색에 높은 가치를 둬 서민의 착용을 금지했고, 고구려왕은 자주색 옷인 대수자포를 입었으며, 신랑 법흥왕 때는 관리들의 공복을 자비청황으로 구별했다. 이어 고려와 조선에서도 옷의 색으로 신분을 구별하는 복색제도는 계속되었다.
우리의 전통색은 음양오행에 기반을 둔 민족적인 색채의식을 기반으로 한다. 태양과 지구의 거리가 멀고 가까워지는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음양은 하늘과 땅을 비롯한 천지만물의 기준이 된다.
중국의 상고시대부터 내려온 우주관의 하나인 음양오행설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조선시대 복식에는 큰 영향을 미쳤다. 복식에서 표현되는 오방색은 오방정색과 오방간색으로 나누어진다. 오방정색은 청색, 백색, 황색, 적색, 흑색이 차례로 동, 서, 중앙, 남, 북쪽을 가리키며, 정색 사이사이 중간방위에 오방간색이 만들어진다.
이 중, 적, 홍, 주가 속하는 적색은 나쁜 악귀를 물리치기 위한 주술적 의미로, 신부의 연지나 득남, 장을 담글 때 붉은 고추를 사용하거나, 옷에서도 상급계층을 상징했다. 적색 다음의 위치에 있던 청색은 불행은 내쫓고 복을 끌어들이는 의미로, 다홍치마와 남치마, 청홍보자기, 원앙금침에 사용된 홍색과 함께 사용돼 음과 양의 조화를 이뤘다.
조선시대 왕실에서 귀하게 여긴, 순수한 빛깔의 오방색인 홍색, 특히 왕의 상복인 곤룡포에 사용된 대홍색은 왕 외에는 누구도 범접할 수 없었다. 또한, 내외명부의 예복 중 하나인 원삼은 색으로 계급을 표시했다. 영조 때 이후 예복으로 정착된 원삼은 치마저고리 위에 덧입는 예복으로 조선말 의복이 간소화됨에 따라 대례복으로 승격되었는데, 현재 전통 혼례복인 폐백 옷으로 남아있다. 다만, 궁중에서의 원삼은 청, 홍색의 대란치마와 함께 입어 일반 서민의 옷과 구별되었다. 똑같이 입었을 것 같은 전통혼례복도 엄격한 신분계급의 제한을 두었던 시대였다. 왕비는 홍색, 빈은 자색, 공주와 옹주는 녹색을 입었는데, 이중 일반서민도 입었던 원삼은 가장 급이 낮은 녹원삼에 제한을 두었다. 즉 녹색은 오방색의 사이 색으로 홍색이나 청색에 비해 낮게 취급했던 것. 궁중 예복과 서민 혼례복으로 고루 입었던 원삼은 화려한 금박장식으로 차별화를 두었다. 일반서민들의 녹원삼에는 금박장식을 할 수 없게 제한하기도 했고, 고급옷감과 값비싼 금박장식은 경제적 부담이 커 꿈꿀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것이다.
물론 지금은 실크 한복이 대중화된지 오래다. 현재 한복은 예복이나 주술적 의미보다 하나의 패션아이템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귀한 색에 대한 관념조차 무색해진 게 사실이라 왕족이나 양반의 색이라는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 현재는 어떤 색의 한복을 선택해야 하는지, 예법에 맞는 전통 배색의 한복을 입어야 하는지, 과거에 귀하게 여겨졌던 색에 비중을 둬 한복을 입을지 등을 고민하게 된다.
이에 전통한복부터 현대의 한복을 연구해온 한복 전문가 한복나라 남가람의 윤지원 이사는 세 가지 컬러 웨이를 제안했다. 첫째, 전통 색에 대한 관념과 의미에 바탕을 둔 배색, 둘째, 세계패션 흐름의 컬러트렌드를 따르는 배색, 셋째, 나만의 스타일에 맞는 개성 있는 배색 이 세 가지다.
다만, 전통배색과 배색방법을 먼저 이해하고, 트렌드에 맞춘 나만의 한복 컬러를 선택하는 것이 포인트다. 잘못된 배색을 입으면 그 순간은 잠시 예뻐 보일 수 있지만 아무런 정체성 없는 옷이 되어버린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혼례에서는 청(음)색과 홍(양)색이 주를 이루는데 폐백 음식의 보자기, 음식이 곁들여진 실, 양초 등 모두가 자연의 생명력과 태양의 에너지를 나타내고 잡귀와 병마의 접근을 막는 주술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보자기, 복(福) 주머니 등 한국적인 소재와 미감은 서구의 팝아트적 기법과 융합시킨 작품으로 유명하다. 우리 조상은 물건을 담는 실용적 도구인 천 위에 '복(福)', '수(壽)' 등의 글을 넣어 행복과 장수를 비는 주술적인 소망을 담고 십장생, 용, 봉황 등을 넣어 품위와 격을 이야기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화적 측면에서 품격을 지닌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창작 제품을 실사 출력에 의해 소비자가 부담없이 접할 수 있도록 대중화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b) 디지털 카메라 촬영 단계
이와 같이 제작된 한복 작품은 사진 촬영하여 해상도가 높은 화일로 데이터화할 수 있고, 작품의 품격을 높이기 위하여 칼라, 색감 등 이미지를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각종 부대시설이 마련된 스튜디오에서 촬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컴퓨터에 이미지로 저장한 한 후 다음 작업을 위하여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게 된다. 데이터는 jpg, psd, tif, png, gif 등의 화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해상도는 200 dpi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실사 출력 장치가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임의의 이미지를 선택한 후, 레이아웃(layout)을 설정하고, 인쇄하고자 하는 사이즈(size)를 지정하고 인쇄하고자 하는 원단의 종류와 수량(마수)를 선택함으로서 실사 출력을 준비한다.
(c) 전사프린트 용지 출력 단계
촬영된 작품에 관한 데이터를 전사 프린트 용지에 출력하는 단계로서, 승화전사 프린터와 승화 전사용 잉크젯 기록용 잉크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작품의 무늬가 역상으로 잉크젯 등의 인쇄기로 출력되게 하여 승화전사지를 제작한다.
(d) 원단 및 전사지 정렬 단계
그 다음, 재단된 원단을 저면에 위치시키고, 출력된 승화전사지를 그의 상부에 위치시켜 승화전사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원단"은 실사 출력이 가능한 원단을 의미하고, 이들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직물, 린넨, 면, 천, 합성 섬유 원단, 천연 원단실사 제품, 비닐, 합성 수지옥스퍼드, 트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섬유 직물 또는 수지 필름, 종이, 등의 시트 형상물이 이용되지만, 시트 형상이 아니고, 구 형상, 직육면체 형상물 등, 입체적인 형상물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중 합성섬유 원단은 승화전사지에 사용된 분산염료와의 친화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승화전사에 의해 견뢰도가 우수한 선명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e) 열프레스 가압 단계
준비된 원단에 상기 과정에서 제작된 승화전사지를 뒤집어 올려놓고 가열열프레스 장치로 가열 가압하여 승화전사지의 인쇄된 이미지를 원단에 승화 전사시킨다.
(f) 건조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작품의 디자인이 승화전사된 원단을 건조시킨다. 건조 방식으로는 스팀 건조 방식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서 디지털 프린팅에 사용되는 클리닝(cleaning) 공정, 텐터(tenter) 공정, QC(quality control)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g) 원단 가공 단계
무늬가 인쇄된 한복 원단을 마름질하여 가공하는 단계로서, 원단의 이면을 열로 다림질하여 곧게 편 후 필요한 용도에 따라서 재단하거나 가공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프린팅된 가공 원단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사출력은 디지털 프린팅(Digital printing)이라 부르고도 있으며,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편집한 후에, 그 이미지를 실사출력 프린터에 의하여 일반 용지, 각종 천, 필름 등 다양한 소재의 용지에 인쇄하여 현수막, 광고판 등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인쇄 방법으로서, 경제적이고 제작 작업이 편리하여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승화 전사는 분산 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전사 잉크로 무늬가 프린트된 전사지를 이용하여 피전사체에 무늬를 전사시키는 것으로서, 제판 과정 없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급의 창작 제품을 생산비용이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복 원단 제작 단계에 의해 제조된 조각보 작품에 관한 실물 이미지이다. 그 중에서도 인쇄된 조각보 제품은 실물과 거의 차이가 없는 선명한 바느질 선이 돋보이는 특징을 나타낸다.
(h) 원단 재단 단계
이 단계에서 대량으로 제작된 원단(10)을 목적하는 문화 상품(예, 골프채 커버, 가방, 지갑 등)의 형태에 따라 일정한 크기 및 형상으로 재단한다.
(i) 문화 상품 제작 단계
문화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목적하는 상품에 따라 세부 공정은 다소 달라질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바느질 기법으로써 홈질 기법, 감침질 기법 또는 공그루기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누비형성 단계, 바이어스 처리 단계, 누비 결합 단계 또는 벨크로 부착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은 골프채 퍼터 커버의 문화 상품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1) 누비 형성 단계
재단된 원단을 포함하는 겉감 위에 원단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속감 및 무명을 3단으로 포갠 다음 홈질 기법에 의해 내외부를 결속시켜 결속하여 누비(50)를 거울상으로 대칭되도록 2개를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서 무명은 생략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누비는 겉감과 속감만을 사용하여 누비를 형성할 수도 있고, 역으로 중간층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다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누비는 옷을 만들 때 옷감과 옷감 사이에 솜이나 털, 천 또는 닥종이(한지를 만들 때 쓰는 재료) 등의 보온재를 넣거나 그런 것도 없으면 그냥 보온 내의 처럼 세로 줄로 바느질하여 보온층 또는 볼륨층을 만들어 내는 바느질 방법이다. 이런 바느질을 누비 또는 누비 기법이라고 하는데 좀 더 세분화하면 바느질 땀수와 넓이에 따라 세누비, 잔누비, 중누비, 모양에 따라서 오목누비, 볼록누비 등 으로 구분된다.
(i2) 바이어스 처리 단계
그 다음, 누비(50)의 가장자리를 바이어스 재단된 빛이 나는 실크 공단 띠(20)를 댄 상태에서 안팍으로 바느질하여 테두리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실크 공단 띠(20)를 바이어스 재단한다. 바이어스 재단은 신축성이 있는 직조 원단을 사선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재단하는 방법으로써 신축성이 유지되게 하는 재단법이다.
이어서, 바이어스 재단된 실크 공단띠(20)를, 예를 들면, 수직 방향으로 3 또는 4 등분하여, 그 가장자리를 누비(50)의 가장자리에 일치시킨 다음 누비(50)의 가장자리의 약간 안쪽(예, 1/3 또는 1/4 지점)을 따라 홈질 기법에 의해 바느질하고, 나머지 부분을 내측으로 시접을 넣은 상태에서 가장자리의 반대쪽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고 누비(50)의 내측 가장자리를 홈질 기법 또는 공그르기 기법에 의해 바느질하여 안팍으로 테두리 처리한다. 따라서 바느질 선(30)은 잘 안보이게 된다.
홈질 기법은 안과 겉에 똑같은 바늘 땀이 나오는 바느질의 기초 스티치이며, 솔기를 붙이거나 개더를 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땀의 간격을 좁고 고르게 바느질한다. 주로 외부에 노출이 안되는 부분에 대하여 실시하고 촘촘한 홈질과 드문 홈질이 있으며, 러닝 스티치라고도 한다.
특히,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공그르기 바느질에 의해 실밥이 안보이게 하여 제품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게 한다.
공그르기는 원단 두 장을 겹치게 하거나 겉안감을 이을 때, 또는 시접을 접어서 실밥이 모이지 않게 꿰매거나 겉에서 바느질해도 바늘땀이 보이지 않게 바느질하는 기법으로 단처리에 많이 사용하며, 안에서도 실땀이 단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겉에서나 안쪽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공금질, 슬립 스티치라고도 한다.
(i3) 누비 결합 단계
그 다음 테두리 처리된 2개의 누비(50)의 안쪽을 바깥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맞댄 상태에서 개구부는 남겨 놓고 가장자리를 따라 홈질 기법에 의해 바느질하여 누비를 결속시킨 후 뒤집어서 후속 공정을 수행한다.
별법으로 2개의 누비(50)를 바깥쪽을 맞댄 상태에서 홈질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개구부는 필요에 따라서 창구멍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문화 상품의 특성에 따라서 생략할 수도 있다.
(i4) 밸크로 부착 단계
이어서, 개구부의 내측에 벨크로(60)를 양측에 부착하여 개구부를 탈착가능하게 처리한다.
별법으로 문화 상품의 특성에 따라 벨크로 대신에 지퍼나 가방끈 등을 부착하여 문화 상품을 제조할 수 있다.
(j) 마무리 단계
이어서, 누비(50)끼리의 결합부는 바깥쪽 가장자리를 전통 바느질 기법인 사뜨기(또는 귀갑치기라고도 함)로 바느질하여 마무리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결합부를 촘촘히 바느질함으로써 문화 상품의 강도 및 내구성이 강화되어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훼손되지 않는다.
주요 문화 선진국들은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이용한 다양한 문화상품들을 개발하여 여러 취향을 가진 관광객과 소비자들의 요구에 대처하고 있는 반면, 아직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부에서만 유물이나 문화재의 문양을 활용한 상품판매만 이루어지고 있을 뿐, 디자인과 소재개발, 마케팅, 판매 등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이에 문화상품의 개발에 대한 새로운 인식개편과 시급한 대응의 필요하다.
다양한 문화상품의 종류 중 특히 패션문화상품 분야는 무궁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우리나라도 우수한 전통과 문화를 발굴·연구한 밑바탕 위에 새로운 패션문화상품인 조각보 작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미래지향적인 국가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창출하여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 규방의 자수와 조각보, 민화, 문양 등에서 모티프를 얻어 우리나라 전통의 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새롭게 디자인하여 수제 장인의 손길이 느껴지는 명품화를 이루어 한국적인 미(美)에 대한 새로운 세계화 영역을 개척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적 색채를 가미한 현대적이고 대중적인 고유한 상품 개발과 유통 시스템 개편을 통한 대량생산 체제로의 전환, 그리고 판매자에게 판매할 상품에 대해 정확히 인지해줄 것이며 해외 각국에 문화상품의 전시 및 판매관을 설치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홍보 활동 등이 필요하다.
유물이 전시돼 있는 박물관은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유명 건축물인 궁과 사찰을 거닐며 자료를 수집하고, 규방 여인들이 만들었다는 조각보부터 민화에 등장하는 곤충들까지 우리의 전통미를 한껏 느낄 수 있고, 왕실의 어전과 대웅전에만 사용됐다는 꽃살문은 그중에서도 제일이다. 이 꽃살문에 우리 민족의 색인 백색과 조선시대 국가 색인 청색을 조합해 디자인으로 이 꽃살 문양은 액운을 막는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문화 상품을 통하여 시대적 추세에 부응하여 문화상품이 국가적 이미지 상승과 경제적 부를 창출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 보고, 우리의 전통 요소 중 조각보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고 국내외 문화상품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세계에 우리나라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리 고유의 전통요소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현대에 맞게 대중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디자인 측면만이 아니라 정부차원에서의 문화상품에 대한 지원과 대책마련, 유통과정의 개선, 새로운 마케팅 방식 등도 모두 검토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각보를 모티브로 한 한복 원단을 이용한 문화 상품은 이러한 세계화 영역의 개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우리나라 전통 조각보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는 한편, 명품화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문화 상품의 예로서 도 4의 쿠션 상품, 도 5의 이불 제품, 도 7의 손지갑, 도 8의 차받침대의 실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기술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a) 한복 작품을 바느질 기법에 의해 제작하는 단계;
    (b) 한복 작품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
    (b) 촬영된 한복 작품에 관한 데이터를 전사 프린트 용지에 출력하는 단계;
    (d) 재단된 원단을 저면에 위치시키고, 출력된 전사지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e) 전사지의 상부에서 열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
    (f) 전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g) 건조된 원단을 가공하여 한복 원단을 제작하는 단계;
    (h) 한복 원단을 일정한 크기 및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i) 재단된 원단을 이용하여 문화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j) 가장자리를 공그르기 바느질에 의해 사뜨기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한복 작품을 제작하는 단계 및 (i) 문화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바느질 기법으로써 홈질 기법, 감침질 기법 또는 공그루기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 재단된 원단을 이용하여 문화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i1)재단된 원단을 포함하는 겉감, 원단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속감을 포갠 다음 홈질 기법에 의해 내외부를 결속시키는 누비 형성 단계;
    (i2) 누비의 가장자리를 바이어스 재단된 실크 공단띠를 댄 상태에서 안팍으로 바느질하여 테두리를 처리하는 단계;
    (i3) 테두리 처리된 2개의 누비의 안쪽을 바깥 방향으로 향하게 맞댄 상태에서 개구부를 남겨 놓고 가장자리를 따라 홈질 기법에 의해 바느질 하는 결속 단계;
    (i4) 개구부의 내측에 벨크로를 부착하여 개구부를 탈착가능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2) 단계의 테투리를 처리하는 단계는 바이어스 재단된 실크 공단띠를 누비의 가장자리에 일치시킨 다음 가장자리의 약간 안쪽을 따라 홈질 기법에 의해 바느질하고, 나머지 부분을 내측으로 시접을 넣은 상태에서 가장자리의 반대쪽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누비의 가장자리를 홈질 기법에 의해 바느질 하여 누비의 안팍을 바느질하여 테두리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화상품은 지갑, 가방, 벼개, 침구류, 방석, 매트, 쿠션, 식탁보 또는 물품의 커버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을 이용한 문화 상품.
KR1020190117866A 2019-01-08 2019-09-25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86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256A KR102447399B1 (ko) 2019-01-08 2021-11-12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92 2019-01-08
KR20190002392 2019-01-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256A Division KR102447399B1 (ko) 2019-01-08 2021-11-12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208A true KR20200086208A (ko) 2020-07-16

Family

ID=718396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866A KR20200086208A (ko) 2019-01-08 2019-09-25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10155256A KR102447399B1 (ko) 2019-01-08 2021-11-12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256A KR102447399B1 (ko) 2019-01-08 2021-11-12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862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17222A (zh) * 2022-11-21 2023-01-17 湖南工商大学 一种文创产品vr虚拟展示系统
KR20230093658A (ko) * 2021-12-20 2023-06-27 김순복 한지를 이용한 전통한복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695B1 (ko) 2009-11-03 2012-03-13 김송영 규칙적인 면분할에 따른 색상천 배열을 갖는 조각보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42A (ko) * 2000-08-03 2002-02-09 김승환 직물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695B1 (ko) 2009-11-03 2012-03-13 김송영 규칙적인 면분할에 따른 색상천 배열을 갖는 조각보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658A (ko) * 2021-12-20 2023-06-27 김순복 한지를 이용한 전통한복 제조방법
CN115617222A (zh) * 2022-11-21 2023-01-17 湖南工商大学 一种文创产品vr虚拟展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434A (ko) 2021-11-23
KR102447399B1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 et al. Orientalism: Visions of the east in western dress
Cope Manus× Machina: Fashion in an Age of technology
Martin Cubism and fashion
KR102447399B1 (ko) 한복 원단과 전통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문화 상품 및 그의 제조 방법
Seri Nyonya Kebaya: A Century of Straits Chinese Costume
Audin Patchwork and quilting in Britain
KR102234167B1 (ko) 기러기 매듭을 이용한 한복 앞치마 및 그의 제조 방법
Hashish et al. Innovative Printed Scarf Designs Utilizing Crochet Motifs
Au et al. East and West think differently? The European and Japanese fashion designers
Triston et al. Contemporary Appliqué: Cutting edge design and techniques in textile art
Kramer et al. The Kimono Craze: From Exoticism to Fashionability
Demerdash The Fabric of Diaspora: Memory, Portraiture, and Empowerment in the Quilts of Bisa Butler
Pattullo Textiles Transformed: Thread and thrift with reclaimed textiles
Rusli et al. Visualizing Kelingkan Embroidery through the of Malays Styles and Motives
Dowdell Stitching la Mode: Patterns and Dressmaking from Fashion Plates of 1785-1795
Montano The Crazy Quilt Handbook: 12 Updated Step-by-Step Projects—Illustrated Stitch Guide, Including Silk Ribbon Stitches
Kawlra The Kimono Body
Martin Our new clothes: acquisitions of the 1990s
Abou Hashish et al. A Study of Innovative Printed Scarf Designs Inspired by Crochet Motifs
Heinrich Truth to nature: Pre-Raphaelite dress in Nineteenth-Century visual culture
KR200339528Y1 (ko) 의복이 반입체화 된 그림
Suvanovich SOME NOTES FROM THE HISTORY OF THE ART OF UZBEK EMBROIDERY OF THE NURATA OASIS
Smith American Aestheticization of Africanity: Various Artistic Appropriations of West African Textiles in the United States
Arnbert Scattered Print Gathered Form
Nicholson Contemporary embroidery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