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085A -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085A
KR20200086085A KR1020190002259A KR20190002259A KR20200086085A KR 20200086085 A KR20200086085 A KR 20200086085A KR 1020190002259 A KR1020190002259 A KR 1020190002259A KR 20190002259 A KR20190002259 A KR 20190002259A KR 20200086085 A KR20200086085 A KR 2020008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ame
filter
nano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희
강동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우이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우이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우이앤이
Priority to KR102019000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085A/en
Publication of KR2020008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0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that can easily remove fine dust, facilitate filter maintenance, and save energy by removing moisture.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air inside a chamber,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nanofilter formed of a plurality of nanofibers.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필터유지관리를 용이하도록 하고, 수분을 제거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fine dust, and more specifically, ai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fine dust to remove fine dust, facilitate filter maintenance, and remove moisture to save energy. It's about harmony.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로 조절하고, 동시에 공기속의 먼지 등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여름철 낮은 온도의 바람을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고, 겨울철 따뜻한 바람을 송풍하여 난방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최근의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질, 쾌적성까지 재실자의 요구조건이 확대되고 있으며, 따라서 환기시스템, 제습장치 등 다양한 시스템들이 도입되고 있다.The air conditioner keeps the indoor air in a comfortable state, and adjusts a certain space to a temperature, humidity, and airflow distribution suitable for human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removes dust in the air. The air conditioner cools the room by blowing low-temperature wind in the summer and blows warm wind in the winter so as to be heated.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ir conditioners have been expanding the requirements of occupants to indoor air quality and comfort, and thus various systems such as ventilation systems and dehumidifying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공기조화기는 사용처로부터 반환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리턴부(R.A)와, 리턴부(R.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부(E.A)와,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부(O.A)와,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사용처로 배출하는 급기부(S.A)와, 상기 리턴부(R.A)와 배기부(E.A)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환기챔버(C1)와, 상기 외기부(O.A)와 급기부(S.A)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환기챔버(C1)와 격벽(11)에 의해 구획된 급기챔버(C2)를 구비한 함체(1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함체(10) 내부에는 제1 송풍팬(12), 제2 송풍팬(13), 필터(14), 냉각코일(15), 가열코일(16) 및 전열교환기(17)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는 사용처로부터 반환되는 공기의 온도와 외기의 온도에 따라서 배기부(E.A)를 통한 배기의 유량과, 외기부(O.A)를 통한 외기의 유입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기조화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고, 더불어 환기챔버(C1)와 급기챔버(C2)의 압력차에 따라서 제 1, 2 송풍팬(12, 13)을 제어한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s a return unit (RA) through which the air returned from the use is introduced, an exhaust unit (EA)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return unit (R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outside air is introduced Ventilation chamber (C1) to form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outside air (OA), the air supply (SA) for discharg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to the user, and the return section (RA) and the exhaust (EA) ), and includes a housing 10 that forms a flow path connecting the outer air portion (OA) and the air supply portion (SA) and has a supply chamber (C2) partitioned by a ventilation chamber (C1) and a partition wall (11). do. And inside the enclosure 10 includes a first blowing fan 12, a second blowing fan 13, a filter 14, a cooling coil 15, a heating coil 16 and a total heat exchanger (17). Such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utomatically adjusts the flow rate of exhaust air through the exhaust unit EA and the inflow amount of outside air through the outer air unit OA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returned from the place of use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to enter the air conditioner.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air is minimized, and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fans 12 and 13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chamber C1 and the air supply chamber C2.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각종 분진 등과 같은 인체에 해로운 이물질을 걸러내어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런 이러한 필터는 초기 및 중성능 필터로, 분진은 제거할 수 있으나, 지름이 10㎛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먼지는 제거할 수 없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미세먼지가 우리 몸속으로 들어오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가 먼지를 제거하여 우리 몸을 지키도록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부작용인 염증반응이 나타난다. 기도, 폐, 심혈관, 뇌 등 우리 몸의 각 기관에서 이러한 염증반응이 발생하면 천식, 호흡기, 심혈관계 질환 등이 유발될 수 있다. Such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may be equipped with a filter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various dusts floating in the air flowing from the outside, and supply them in a clean and purified state. Such a filter is an initial and medium performance filter, which can remove dust, but cannot remove 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10 µm or less in diameter. Since the fine dust is so small that it is invisible, it stays in the air and can penetrate the lungs, etc.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or move into the body along the blood vessels and enter the body. In addition, when fine dust enters our body, the cells in charge of immunity act to protect the body by removing dust, and an inflammatory reaction, which is a side effect, appears. When these inflammatory reactions occur in each organ of our body, such as the airways, lungs, cardiovascular, and brain, asthma,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an be triggered.

이러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파필터 이상의 고성능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필터 청소, 교체 및 점검이 어려워, 사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파필터는 송풍팬의 정압을 상승시키므로, 전동력이 증가해 전기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a high-performance filter that is more than a sea wave filter is used to remove such fine dust, it is difficult to clean, replace, and check the fil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is restricted. In addition, since the sea wave filter increases the static pressure of the blower fa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ic power increases and consumes a lot of electric energy.

한편, 필터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청소 및 교환 등의 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 경우, 주기적으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 및 교체하지 않고 그냥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내로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filter to function properly,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and replacement must be performed periodically. However, in general, in the case of an air conditio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often impossible to supply clean air to the room because it is frequently used without regular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filter.

또한,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사용해야 되고, 수분에 의한 장치의 부식이 증가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lot of energy must be used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corrosion of the apparatus due to moisture increases, and thus dur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01046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01046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필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필터유지관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to remove the fine dust by using a nano-filter, to facilitate the filter maintenance management.

또한, 나노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that allows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nanofilter to be easily cleaned, and always supplies clean air to the room.

또한, 하절기에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쾌적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에너지를 절감하여 운전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n the summer to supply pleasant air to the room, and to save energy and reduce operating cos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구를 갖는 환기구역과, 상기 환기구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를 갖는 배기구역과,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를 갖는 외기구역과, 외기구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조절구역과, 상기 조절구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로 급기되도록 급기구를 갖는 급기구역을 갖는 챔버;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환기구역에 구비되는 흡입송풍기; 공기를 급기하도록 상기 급기구역에 구비되는 급기송풍기; 및 상기 조절구역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구역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나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area having a ventilation port for inhaling indoor air, an exhaust area having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flowing in from the ventilation are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 outdoor air area having an external device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a chamber having a control area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from the outside air zone, and a supply air zone having an air supply port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control zone is supplied to the room; A suction blower provided in the ventilation zone to suck air; An air supply blower provided in the air supply area to supply air; And a filter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zone and filtering air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air supply zone, wherein the filter unit comprises a nano filter formed of a plurality of nanofibers. It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조절구역에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기 나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nano-filters formed to cove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rovided in the frame and the frame disposed in the control area Flag.

또한, 상기 프레임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의 외곽틀과, 상기 외곽틀 내부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곽틀 내부에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1 틀과, 상기 외곽틀 내부를 종 방향으로 세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곽틀 내부에 상기 제 1 틀과 크로스되도록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2 틀과, 상기 제 1 틀과 상기 제 2 틀 사이의 빈 공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rame, the outer frame of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the outer frame is formed in a long shape to cro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fram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n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 plurality of second frames that are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as to vertically cross the inside of the frame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so as to cross the first frame inside the outer frame. It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the through-holes provided in.

또한, 상기 조절구역의 상기 필터부와 상기 급기송풍기 사이에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나노필터 방향으로 분사하는 세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lter part of the control zone and the air supply blower, but further comprising a washing member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spraying it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 do.

또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프레임의 폭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되,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관; 및 상기 프레임과 대향되는 상기 안내관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위치되는 상기 나노필터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includes: a guide rail positioned to face the frame but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along the width of the frame; A moving part moved along the guide rai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A guide tube mounted on the moving part and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spray nozzle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along on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tube facing the frame, and water supplied to the guide tube is sprayed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 positioned in the frame through the spray nozzle. It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각각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안내관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각각의 상기 나노필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face each of the nano-filters positioned to face the guide tube.

또한, 하나의 상기 나노필터에 한 쌍의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분사노즐은 상기 안내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나노필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air of the injection nozzle is disposed on one of the nano-filters, the pair of injection nozzles are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tube It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또한, 상기 나노필터의 상측은 상기 외기구역을 향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나노필터의 하측은 상기 급기송풍기를 향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나노필터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nano-filt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facing the outer space area, and the lower side of the nano-filt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facing the air supply blower, and the nano-filter is It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bliquely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또한,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배기댐퍼; 상기 외기구를 개폐하는 외기댐퍼; 상기 배기구역과 상기 외기구역 사이를 연결시키되 일측에 상기 배기구역에서 상기 외기구역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환기댐퍼를 갖는 연결구역;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실내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배기댐퍼, 상기 외기댐퍼 및 상기 환기댐퍼의 개방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xhaust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port; An outdoor air damper that opens and closes the external mechanism; A connection area connecting the exhaust area and the outside area, and having a ventilation damper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exhaust area to the outside area on one si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room temperature;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indoor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s the opening angle of the exhaust damper, the outdoor air damper, and the ventilation damper.

본 발명은 챔버 내부에 나노필터를 구비하므로,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nano-filter inside the chamb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remove the fine particles of small particles.

또한, 세척부재를 이용하여 나노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항상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터유지관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foreign matters accumulated in the nanofilter can be easily cleaned using a cleaning member, it is possible to supply clean air to the room at all times, as well as to facilitate filter maintenance.

또한, 나노필터가 관통홀에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관통홀을 지나가는 공기와 맞닿는 면적이 넓어져서 필터링 효율이 향상되고, 후술하는 세척부재가 물을 나노필터로 분사할 때, 세척부재가 나노필터로 분사한 물이 곧바로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나노필터의 경사진 각도를 따라 천천히 흘러내려가게 되어, 나노필터에 쌓인 이물질이 물과 함께 용이하게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ano-filter is disposed obliquely in the through-hol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increases the filtering efficiency, and when the cleaning member described later sprays water with the nano-filter, the cleaning member sprays with the nano-filter. One water does not fall straight down and flows down slowly along the inclined angle of the nanofilter, so that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nanofilter is easily washed with water.

또한,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은 나노필터 방향으로 정확하게 분사되어, 나노필터에 쌓인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is accurately sprayed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remove various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nano-filter.

또한, 나노필터 및 공기조절부를 구비하므로,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하절기에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쾌적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에너지를 절감하여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equipped with a nano-filter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it effectively removes fine dust and removes moistur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during the summer to supply pleasant air to the room and save energy to reduce operating costs. have.

또한, 나노필터의 제습기능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기기의 부식을 방지하는 가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ehumidification function of the nano filter removes moisture to save energy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rrosion of the device.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필터부 및 세척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lter unit and a cleaning member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A' of FIG. 4.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BB of FIG. 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챔버(100), 흡입송풍기(200), 급기송풍기(210), 공기조절부(300), 필터부(400), 세척부재(500: 도 4 도시) 및 공기조절수단(600: 도 3 도시)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100, a suction blower 200, an air supply blower 210, an air conditioning unit 300, and a filter unit ( 400), a cleaning member 500 (shown in FIG. 4) and an air conditioning means (600: shown in FIG. 3).

챔버(100)는 건물 실내에 구비되는 통상의 실내 공간을 일컫는 것으로, 전산실, 컴퓨터실, 제조 공장, 병원, 일반 사무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챔버(100)는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예를 들면,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구(112)를 갖는 환기구역(110)과, 상기 환기구역(11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22)를 갖는 배기구역(120)과,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142)를 갖는 외기구역(140)과, 상기 배기구역(120)과 상기 외기구역(140) 사이를 연결시키되 일측에 상기 배기구역(120)에서 상기 외기구역(140)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환기댐퍼(132)를 갖는 연결구역(130)과, 외기구역(14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조절구역(150)과, 상기 조절구역(15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로 급기되도록 급기구(162)를 갖는 급기구역(160)으로 구획되도록 구성된다.The chamber 100 refers to a normal indoor space provided in a building interior, and may include a computer room, a computer room, a manufacturing plant, a hospital, and a general office. The chamber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sequentially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ther side, for example, a ventilation zone 110 having a ventilation port 112 for sucking indoor air, and the ventilation zone 110 ), the exhaust area 120 having an exhaust port 122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i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outside air area 140 having an outside mechanism 142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and the exhaust area 120 and the outside air The connection between the zone 140, but the connection zone 130 having a ventilation damper 132 so that air flows from the exhaust zone 120 to the outside zone 140 on one side, and flowing in from the outside zone 140 It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control area 15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d a supply area 160 having an air supply port 162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control area 150 is supplied to the room.

그리고 배기구(122), 연결구역(130) 및 외기구(142)에는 각각 배기댐퍼(122a), 환기댐퍼(132) 및 외기댐퍼(142a)가 구비된다. 배기댐퍼(122a), 환기댐퍼(132) 및 외기댐퍼(142a)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공기조절수단(60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배기구(122), 연결구역(130) 및 외기구(142)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되는 양을 임의로 조절하거나 또는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xhaust damper 122a, a ventilation damper 132, and an external air damper 142a are provided in the exhaust port 122, the connection area 130, and the external mechanism 142, respectively. The exhaust damper 122a, the ventilation damper 132, and the external air damper 142a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if necessary, automatically use the air conditioning means 600 to automatically exhaust the vent 122, the connection area 130, and the like. It may be configured to arbitrarily adjust or open or close the amount of air movement through the mechanism 142.

흡입송풍기(200)는 환기구역(110)에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되는 흡입팬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 즉, 외기를 환기구(112)로부터 환기구역(110)으로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환기구역(110)으로 흡입된 외기는 배기구역(120)으로 전달된다. 급기송풍기(210)는 급기구역(160)에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되는 급기팬을 이용하여 급기구역(160)의 공기 즉, 급기를 급기구(162)로부터 실내로 급기하도록 구성된다.The suction blower 200 is provided in the ventilation zone 110, and is configured to suck outside air, that is, outside air, from the ventilation port 112 to the ventilation zone 110 using a rotating suction fan. The outside air sucked into the ventilation zone 110 is transferred to the exhaust zone 120. The air supply blower 210 is provided in the air supply area 160, and is configured to supply air from the air supply area 160, that is, air supply from the air supply port 162 to the room using a rotating air supply fan.

공기조절부(300)는 조절구역(1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조절구역(150)으로 전달되는 공기를 적절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절하여 급기구역(16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구성이다.The air conditioning unit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zone 150 and controls the air delivered to the control zone 150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be delivered to the air supply zone 160, which is a general configuration.

필터부(400)는 조절구역(150)의 타측에 구비되며, 급기구역(160)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세척부재(500)는 조절구역(150)의 필터부(400)와 급기송풍기(2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필터부(400)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필터부(400)에 쌓인 각종 이물질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필터부(400) 및 세척부재(50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ilter unit 4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rol area 150 and is configured to filter the air moving in the air supply area 160 direction. The washing member 500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unit 400 of the control zone 150 and the air supply blower 210, receives water from the outside, sprays water in the direction of the filter unit 400, and the filter unit It is configured to wash variou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400. The filter unit 400 and the cleaning member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절수단(600)은 온도센서(610), 제어부(620), 배기댐퍼구동부(630), 외기댐퍼구동부(640) 및 환기댐퍼구동부(650)를 포함한다.2 and 3, the air conditioning means 6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610, a control unit 620, an exhaust damper driving unit 630, an external air damper driving unit 640, and a ventilation damper driving unit 650. .

온도센서(610)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610 is installed indoors to measure the indoor temperature.

제어부(620)는 온도센서(610)로부터 실내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배기댐퍼(122a), 상기 외기댐퍼(142a) 및 상기 환기댐퍼(132)의 개방되는 각도 또는 개폐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620)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기댐퍼(122a)를 회전시키는 배기댐퍼구동부(630), 외기댐퍼(142a)를 회전시키는 외기댐퍼구동부(640) 및 환기댐퍼(132)를 회전시키는 환기댐퍼구동부(6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620)는 배기댐퍼구동부(630), 외기댐퍼구동부(640) 및 환기댐퍼구동부(650)를 제어하여 평상시 배기댐퍼(122a)가 20% 내지 30% 열리도록 제어하고, 외기댐퍼(142a)가 30% 내지 20% 열리도록 제어하고, 환기댐퍼(132)가 70% 내지 80% 열리도록 제어한다. 이는, 온도가 양호한 실내 공기를 전부 외부로 배출시키면 에너지 낭비가 심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의 일부를 다시 급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ntrol unit 620 receives the room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610 and selectively controls the opening angle or opening or closing of the exhaust damper 122a, the outside air damper 142a, and the ventilation damper 132.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620 rotates the exhaust damper driving unit 630 for rotating the exhaust damper 122a, the external air damper driving unit 640 and the ventilation damper 132 for rotating the external air damper 142a by a control signal. It includes a ventilation damper driving unit 65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20 controls the exhaust damper driving unit 630, the outdoor air damper driving unit 640, and the ventilation damper driving unit 650 so that the exhaust damper 122a is normally opened by 20% to 30%, and the external air damper 142a ) Is controlled to open 30% to 20%, and the ventilation damper 132 is controlled to open 70% to 80%. This is to discharge some of the indoor air having a good temperature to the outside, so that energy is excessively consumed, so that a part of the indoor air is supplied again to save energy.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필터부 및 세척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lter unit and a cleaning member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 AA' of FIG. 4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BB in FIG. 4.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필터부(400)는 조절구역(150)의 내주연을 따라 조절구역(150)에 배치되는 프레임(410)과, 프레임(410)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418)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노필터(420)를 포함한다.2 to 6, the filter unit 400 includes a frame 410 disposed in the control zone 150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rol zone 150, and a plurality of penetrations provided inside the frame 410. It includes a plurality of nano-filters 420 are formed to cover the hole (418).

프레임(410)은, 조절구역(150)의 내주연을 따라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곽틀(412)과, 상기 외곽틀(412) 내부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곽틀(412) 내부에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1 틀(414)과, 상기 외곽틀(412) 내부를 종 방향으로 세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곽틀(412) 내부에 상기 제 1 틀(414)과 크로스되도록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2 틀(416)과, 상기 제 1 틀(414)과 상기 제 2 틀(416) 사이의 빈 공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418)을 포함한다. 즉, 관통홀(418)은 모자이크 형상으로 배열된다.The frame 410 is formed with an outer frame 412 formed in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justment zone 150 and an elongated shape to cross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41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frames 414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side the frame 412 and the first frame inside the outer frame 412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as to vertically cross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412. A plurality of second frames 416 arranged in parallel to cross the frame 414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8 provided in an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414 and the second frame 416. It includes. That is, the through holes 418 are arranged in a mosaic shape.

나노필터(420)는 각각의 관통홀(418)을 커버하도록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나노필터(420)는 복수의 나노섬유로 구성된다. 나노섬유는 예를 들면 전기장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원료인 고분자 물질에 고전압의 전기장을 걸어서 원료인 고분자 물질 내부에 전기적인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분자들이 뭉쳐 나노 크기의 실 형태로 갈라짐으로써 나노섬유가 생산된다. 이러한 나노섬유를 일정 방향으로 적층 형성하여 필름이나 부직포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한다. 나노사이즈의 나노섬유를 제조하여 나노필터(420)로 형성하면, 직경이 큰 기존의 필터에 비하여 나노급 기공사이즈를 가지므로 인체에 유해한 미세 먼지와 같은 미세입자나 가스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nanofilter 420 is formed in a sheet shape to cover each through hole 418. The nanofilter 4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anofibers. Nanofibers are produced by, for example, an electric field, and a high-voltage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a polymer material as a raw material to generate an electric repulsive force inside the polymer material as a raw material. Fiber is produced. These nanofibers are stack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form a film or nonwoven fabric. When nano-sized nanofibers are manufactured and formed with nano-filters 420, they have a nano-scale pore size compared to conventional filters with a large diameter, so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fine particles or gases, such as fine dust harmful to the human body. It is effective.

또한, 상기 나노필터(420)의 상측은 상기 외기구역(140)을 향하는 상기 관통홀(418)의 내주연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나노필터(420)의 하측은 상기 급기송풍기(210)를 향하는 상기 관통홀(418)의 내주연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나노필터(420)는 상기 관통홀(418)의 내주연에 경사지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nano-filter 4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418 facing the outer air space 140, the lower side of the nano-filter 420 is the air supply blower 21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418 facing the nano filter 420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418.

이처럼 나노필터(420)가 경사지게 배치되면, 첫째, 관통홀(418)을 지나가는 공기와 맞닿는 면적이 넓어져서 필터링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후술하는 세척부재(500)가 물을 나노필터(420)로 분사할 때, 세척부재(500)가 나노필터(420)로 분사한 물이 곧바로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나노필터(420)의 경사진 각도를 따라 천천히 흘러내려가게 되어, 나노필터(420)에 쌓인 이물질이 물과 함께 용이하게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nanofilter 420 i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firs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418 is widened, thereby improving filtering efficiency. Second, when the cleaning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sprays water with the nano-filter 420, the water sprayed by the cleaning member 500 with the nano-filter 420 does not fall directly to the bottom of the nano-filter 420 It slowly flows down along the photographic angle, so that foreign matters accumulated in the nanofilter 420 are easily washed with water.

세척부재(500)는 나노필터(420)에 쌓인 먼지 등을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410)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프레임(410)의 폭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레일(510)과, 상기 안내레일(510)을 따라 상기 프레임(41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520)와, 상기 이동부(520)에 장착되되, 상기 프레임(4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관(530)과, 상기 프레임(410)과 대향되는 상기 안내관(530)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분사노즐(540)을 포함한다. 프레임(410)의 폭이라 하면 도 4에서 프레임(410)의 좌우 방향 즉, 제 1 틀(414)의 길이방향을 일컫는다. 프레임(410)의 높이 방향이라 하면 도 4에서 프레임(410)의 상하 방향 즉, 제 2 틀(416)의 길이방향을 일컫는다. 안내레일(510)은 프레임(410)의 중앙 정도의 높이에 고정되도록 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되며, 레일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동부(520)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안내레일(5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cleaning member 500 is for removing dust and the like accumulated on the nano-filter 420 using water, and is positioned to face the frame 410, but guide rail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width of the frame 410 (510), the moving portion 520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410 along the guide rail 510, and is mounted on the moving portion 520,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410 It includes a guide tube 530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and a spray nozzle 540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tubes 530 facing the frame 410 are formed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The width of the frame 410 refers to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frame 410 in FIG. 4,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414.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410 refers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410 in FIG. 4,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416. The guide rail 510 is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so as to be fixed to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frame 410, and is formed long in a rail shape. The moving unit 5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not shown), and may be automatical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510 us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안내관(53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분사노즐(540)로 전달한다. 즉, 안내관(530)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분사노즐(540)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410)에 위치되는 상기 나노필터(420)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때, 물에는 이물질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제가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guide tube 530 is formed in a pipe shape, and a flow path is formed so that water flows therein, so that water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jection nozzle 540. That is, water supplied to the guide tube 530 is sprayed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 420 located in the frame 410 through the spray nozzle 540. At this time, the water may be mixed with a cleaning agent to more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여기서, 각각의 분사노즐(540)은 상기 안내관(53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각각의 나노필터(42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하나의 상기 나노필터(420)에 한 쌍의 상기 분사노즐(540)이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분사노즐(540)은 상기 안내관(53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나노필터(4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분사노즐(540)에서 분사되는 물은 나노필터(420) 방향으로 정확하게 분사되어, 나노필터(420)에 쌓인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each injection nozzle 540 is disposed to face each nano filter 420 positioned to face the guide tube 530. That is, a pair of the injection nozzles 540 are disposed on one of the nano-filters 420, and the pair of injection nozzles 540 have the nano-filters 42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tube 530. )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Accordingly, the water sprayed from the pair of spray nozzles 540 is accurately sprayed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 42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nano-filter 420.

또한, 나노필터(420) 및 공기조절부(300)를 구비하므로,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하절기에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쾌적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에너지를 절감하여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ano-filter 420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300 are provided, fine dust is efficiently removed,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s removed in the summer to supply pleasant air to the room, and energy is saved to reduce operating cos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챔버 110: 환기구역
112: 환기구 120: 배기구역
122: 배기구 122a: 배기댐퍼
130: 연결부 132: 환기댐퍼
140: 외기구역 142: 외기구
142a: 외기댐퍼 150: 조절구역
160: 급기구역 162: 급기구
200: 흡입송풍기 210: 급기송풍기
300: 공기조절부 400: 필터부
410: 프레임 412: 외곽틀
414: 제 1 틀 416: 제 2 틀
418: 관통홀 420: 나노필터
500: 세척부재 510: 안내레일
520: 이동부 530: 안내관
540: 분사노즐 600: 공기조절수단
610: 온도센서 620: 제어부
630: 배기댐퍼구동부 640: 외기댐퍼구동부
650: 환기댐퍼구동부
100: chamber 110: ventilation area
112: vent 120: exhaust area
122: exhaust port 122a: exhaust damper
130: connection 132: ventilation damper
140: outdoor area 142: external equipment
142a: outdoor damper 150: control area
160: air supply zone 162: air supply
200: suction blower 210: air supply blower
300: air conditioning unit 400: filter unit
410: frame 412: frame
414: first frame 416: second frame
418: through hole 420: nano filter
500: cleaning member 510: guide rail
520: moving part 530: guide
540: spray nozzle 600: air conditioning means
610: temperature sensor 620: control unit
630: exhaust damper driving unit 640: outdoor damper driving unit
650: ventilation damper driving unit

Claims (9)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환기구를 갖는 환기구역과, 상기 환기구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를 갖는 배기구역과,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를 갖는 외기구역과, 외기구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조절구역과, 상기 조절구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로 급기되도록 급기구를 갖는 급기구역을 갖는 챔버;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환기구역에 구비되는 흡입송풍기;
공기를 급기하도록 상기 급기구역에 구비되는 급기송풍기; 및
상기 조절구역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구역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나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In a ventilation zone having a ventilation port for inhaling indoor air, an exhaust zone having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flowing in from the ventilation zone is discharged, an external air zone having an external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ir in the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ir zone A control zon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nd a chamber having an air supply zone having an air supply port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control zone is supplied into the room;
A suction blower provided in the ventilation zone to suck air;
An air supply blower provided in the air supply area to supply air; And
It is provided in the control zone, and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moving in the air supply zone direction,
The filter unit,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ano filter formed of a plurality of nanofib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조절구역에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기 나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unit,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nano-filters formed to cove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rovided in the frame and the frame disposed in the control zo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의 외곽틀과, 상기 외곽틀 내부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곽틀 내부에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1 틀과, 상기 외곽틀 내부를 종 방향으로 세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곽틀 내부에 상기 제 1 틀과 크로스되도록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2 틀과, 상기 제 1 틀과 상기 제 2 틀 사이의 빈 공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The frame, the outer frame of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the first frame is formed in a long shape to cross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side the outer frame, and the outer frame inside It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to be vertically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cond frames arranged in parallel so as to cross with the first frame inside the outer frame, and an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역의 상기 필터부와 상기 급기송풍기 사이에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나노필터 방향으로 분사하는 세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part of the control area and the air supply blower and further includes a cleaning member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outside and sprays it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프레임의 폭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되,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관; 및
상기 프레임과 대향되는 상기 안내관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위치되는 상기 나노필터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cleaning member is:
A guide rail positioned to face the frame but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width of the frame;
A moving part moved along the guide rai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A guide tube mounted on the moving part and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spray nozzle is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tube opposite to the frame,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guide tube is in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 located in the frame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안내관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각각의 상기 나노필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5,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are air conditioners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nano-filters positioned to face the guide tube.
제 6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나노필터에 한 쌍의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분사노즐은 상기 안내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나노필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6,
A pair of the injection nozzles are disposed on one of the nano-filters, and the pair of injection nozzles have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lter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tube. Air conditio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터의 상측은 상기 외기구역을 향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나노필터의 하측은 상기 급기송풍기를 향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나노필터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upper side of the nano-filt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facing the outer air zone, and the lower side of the nano-filt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facing the air supply blower, and the nano-filter passes through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obliquely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배기댐퍼;
상기 외기구를 개폐하는 외기댐퍼;
상기 배기구역과 상기 외기구역 사이를 연결시키되 일측에 상기 배기구역에서 상기 외기구역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환기댐퍼를 갖는 연결구역;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실내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배기댐퍼, 상기 외기댐퍼 및 상기 환기댐퍼의 개방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An exhaust damper that opens and closes the exhaust port;
An outdoor air damper that opens and closes the external mechanism;
A connection area connecting the exhaust area and the outside area, and having a ventilation damper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exhaust area to the outside area on one si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room temperature; And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fine dust removal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room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s the opening angle of the exhaust damper, the outside air damper, and the ventilation damper.
KR1020190002259A 2019-01-08 2019-01-08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 KR202000860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59A KR20200086085A (en) 2019-01-08 2019-01-08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59A KR20200086085A (en) 2019-01-08 2019-01-08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085A true KR20200086085A (en) 2020-07-16

Family

ID=7183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259A KR20200086085A (en) 2019-01-08 2019-01-08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08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07B1 (en) * 2021-10-18 2022-04-20 (주)도우이앤이 Air conditioner including dehumidification damper formed of nano filter
CN116481110A (en) * 2023-06-07 2023-07-25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Fresh air supply device for modularized operating roo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46B1 (en) 2013-06-27 2013-08-28 씨에이엔지니어링(주) Energy-saving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46B1 (en) 2013-06-27 2013-08-28 씨에이엔지니어링(주) Energy-saving air conditio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07B1 (en) * 2021-10-18 2022-04-20 (주)도우이앤이 Air conditioner including dehumidification damper formed of nano filter
CN116481110A (en) * 2023-06-07 2023-07-25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Fresh air supply device for modularized operating room
CN116481110B (en) * 2023-06-07 2023-11-10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Fresh air supply device for modularized operating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58B1 (en) Total heat exchanger and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3672126A (en) Air conditioner
WO2019004700A1 (en) Air-conditioning device having dust removing function
US20070181000A1 (en) Air quality device
KR100617082B1 (en) Thin-type ventilating device
KR200481427Y1 (en) Inner air circulation type subway air purifier
KR102026933B1 (en) Ventilation System of Classroom
KR20200086085A (en)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of Fine Dust Removal
KR20200065454A (en) Air cleaning device and clean air supply system
JP2002098374A (en) Clean room humidifying method and clean room apparatus
CN107388411A (en) A kind of air-conditioning
KR101817092B1 (en) Air cleaner
KR20190059105A (en) unit for filtering and humidification having function of air cleaning and dust removal
KR101999794B1 (en) Ventilation System of Indoor Air
KR102111216B1 (en) Air cleaning device and clean air supply system
KR20100128772A (en) Air conditioner
CN107388378B (en) Air treatment device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1153858B1 (en) Forced evaporation type humidifier for airconditioning
KR200229933Y1 (en) Apparatus for ventilation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JP2007225148A (en) Humidifying or dehumidifying/air cleaning method for indoor space, and heating or cooling or/and humidifying or dehumidifying/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474981B1 (en) Air Washing Filter Device for AHU
CN216977052U (en) Sand prevention type fresh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667868B1 (en) Multi-purpose wet filter for air purification
KR102236463B1 (en) Air cleaning system
KR102242149B1 (en)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